KR20110067982A - 용기 - Google Patents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7982A
KR20110067982A KR1020090124789A KR20090124789A KR20110067982A KR 20110067982 A KR20110067982 A KR 20110067982A KR 1020090124789 A KR1020090124789 A KR 1020090124789A KR 20090124789 A KR20090124789 A KR 20090124789A KR 20110067982 A KR20110067982 A KR 201100679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container
container body
corrugated pipe
cont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47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34236B1 (ko
Inventor
임성현
Original Assignee
임성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성현 filed Critical 임성현
Priority to KR10200901247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4236B1/ko
Publication of KR201100679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79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42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42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24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13/00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 등의 내용물을 보관하는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용기는, 상부가 개구된 용기본체(10)와, 용기본체의 열린 상부를 개폐하기 위한 뚜겅(20)으로 구성되고 있다. 상기 뚜껑(20)의 저면에는, 상하로 펼쳐지거나 접힐 수 있는 주름관(30)이 부착되어 있다. 주름관(30)은 하방으로 펼쳐져서 내용물의 상면과 접촉하는 것에 의하여, 용기 내부의 잔류 공기를 최소화하여 내용물의 산화를 방지한다. 그리고 뚜겅(20)에는 상기 주름관(30)의 조작에 의하여 외부로 액상 내용물을 추출할 수 있는 추출관(40)이 설치되어 있다.
용기, 음식물산화방지, 주름관

Description

용기{Container}
본 발명은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의 내용물이 공기와 접촉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뚜껑을 열지 않고서도 액상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기는 용기본체와 뚜껑으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용기본체는 합성수지 또는 유리로 형성되기 때문에 내용물을 넣기 위한 정해진 용량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뚜껑은 용기본체의 상부에 마련되는 출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일반적인 용기에서, 용기본체는 정해진 체적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내용물의 잔량에 따라서 용기 내부의 공간이 커지게 된다. 용기 내부의 공간에 존재하는 공기와의 접촉에 의하여 산화 등과 같이 내용물이 손상될 우려가 있어서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일반적인 용기의 경우에는, 액상의 내용물을 꺼내기 위해서는 반드시 뚜껑을 열어야 하는 사용상의 불편함도 제기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내부의 공기의 잔류량을 최소화시킴으로써 내용물이 산화되는 것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는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액상의 내용물을 뚜껑을 열지 않고서도 외부로 꺼낼 수 있는 용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는 주름관을 용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용기는, 내용물을 담을 수 있도록 상부가 열려 있는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의 열린 상부를 개폐하는 뚜껑; 그리고 상기 뚜껑의 하면에 장착되어, 용기본체 내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접거나 펼칠 수 있는 주름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두껑에 설치되어 용기본체의 내부와 연통하면서 외측으로 연장된 추출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뚜껑은, 용기본체의 열린 상부를 개폐할 수 있고, 상기 주름관이 결합되는 뚜겅본체와; 상기 주름관이 열린 중심부분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중간뚜껑으로 구성되고 있다.
그리고 주름관과 뚜껑본체는 서로 대응하는 부분에 나사산을 형성하여 나사 결합에 의하여 서로 결합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뚜겅의 하부에 결합되어 있는 주름관을 하방으로 펼치는 것에 의하여, 내용물이 들어 있는 용기본체에서 공기의 양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는 내용물이 용기 내에 들어 있는 공기와 접촉하는 것에 의하여 산화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게 되어 내용물을 장기간에 걸쳐 신선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주름관을 조작하는 것에 의하여, 액상 내용물을 추출관을 통하여 외부로 추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뚜껑을 열지 않고서도 용기본체 내부의 액상 내용물을 추출할 수 있게 되는 사용상의 편리함을 기대할 수 있게 한다.
다음에는 도시한 실시예를 기초로 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용기의 단면도를 보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용기의 평면도를 보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용기는 내용물을 담을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하는 용기본체(10)와, 상기 용기본체(10)를 개폐하기 위한 뚜껑(20)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용기본체(10)는 내용물을 담을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하고 있으며, 내용물을 넣거나 꺼낼 수 있도록 상단부가 열려 있다. 그리고 상기 뚜껑(20)은 상기 용기본체(10)의 상단의 열린 부분을 개폐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뚜껑(20)은 도시한 바와 같이 압입시켜 개폐하는 방식, 스냅인 방식으로 상기 용기본체(10)의 상부와 결합 되어도 좋고, 다른 방식으로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며, 여러 가진 공지된 구성으로 용기본체(10)를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뚜겅(20)의 하부에는 하단부가 막힌 주름관(30)이 부착되어 있다. 상기 주름관(30)은 도 1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예시적으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하방으로 펼쳐지거나 상방으로 접힐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합성수지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주름관(30)은, 상기 용기본체(10)의 내부에서 하방으로 펼쳐질 수 있으며 상방으로 접힐 수도 있어서, 용기본체(10)의 내부에서 일정한 공간을 차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주름관(30)이 하방으로 펼쳐져서 도 1의 좌측에 도시한 상태가 되면 용기본체(10)의 내부에 담겨 있는 내용물의 상단까지 접촉하게 된다. 즉, 주름관(30)이 펼쳐져 하방으로 내려오면, 용기본체(30)의 내부에 담겨 있는 내용물 이외에, 잔류하는 공기의 양이 최소로 되는 상태이다. 따라서 내용물이 공기와 접촉하는 것에 의하여 발생할 수 있는 내용물의 산화를 최대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주름관(30)은 내용물의 양에 따라서, 도 1의 우측에 도시한 바와 같은 상태로 상부로 접힐 수 있어서, 용기본체(10)의 저장 공간을 충분히 사용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에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뚜껑(20)은 용기본체(10)의 상단부와 결합하는 뚜껑본체(22)와, 상기 뚜껑본체(22)의 중간뚜껑분에 결합되는 중간뚜 껑(24)로 구성되고 있다. 상기 뚜껑본체(22)는 실질적으로는 상기 용기본체(10)의 열린 상부를 개폐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뚜껑본체(22)는, 용기본체(10)의 측벽의 상단부가 끼워지는 결합홈(22a)이 가장 자리부분을 따라 하면에 형성되어 있어서, 뚜껑(20)을 용기본체(10)에 압입시키는 방식으로 결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용기본체(10)와 뚜껑(20)은 여러 가진 방식으로 서로 결합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그리고 상기 뚜껑본체(22)의 중앙 부분은 열려 있고, 이러한 부분에는 중간뚜껑(24)가 결합된다. 상기 중간뚜껑(24)을 열면 실질적으로 상술한 주름관(30)이 노출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주름관(30)을 하방으로 펼치거나 상방으로 접을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중간뚜껑(24)은 이와 같이 상기 주름관(30)을 조작하기 위하여 형성되는 부분이다.
또한 상기 뚜껑본체(22)의 내측에는 나사산부분(22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나사산부분(22b)은 주름관(30)의 상단부 외측에 형성되는 나사산부분(32)과 나사결합하는 부분이다. 따라서 상기 주름관(30)은, 그 나사산부분(32)이 뚜껑(20)의 나사산부분(22b)과 결합하는 것에 의하여, 뚜껑(20)의 하방에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주름관(30)의 나사산부분(32)과 뚜껑본체(22)의 나사산부분(22b)은 서로 수직 방향을 유지하면서 결합할 수 있도록, 수직방향으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주름관(30)과 뚜껑(20)의 결합은 도시한 바와 같은 나사 결합 방식 이외에도 다른 방식으로 결합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함은 당연하다.
그리고 상기 중간뚜껑(24)은 상술한 바와 같이, 뚜껑본체(22)의 중간의 비어 있는 부분에 결합된다. 상기 뚜껑본체(24)와 중간뚜겅(24)의 결합은,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중간뚜껑(24)의 하면에 형성된 하부레그(24a)가 뚜껑본체(22) 중심의 비어 있는 부분의 내측에 형성되는 걸림부(22c)에 탄력적으로 걸리도록 구성되고 있다. 즉 상기 걸림부(22c)는 하방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벌어지는 형상을 가지고 있고, 상기 하부레그(24a)도 하방에서 외측으로 더욱 벌어진 형상을 가지고 있어서 이들이 서로 탄력적으로 결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형상 및 구조에 한정될 수는 없고, 상기 중간뚜껑(24)이 뚜껑본체(22)에 착탈 가능한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다른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뚜껑본체(22)은 평면도 상에서 볼 때 원형으로 형성되고 있으며, 뚜껑본체(22)의 비어 있는 중앙에 착탈되는 중간뚜껑(24)도 원형으로 구성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중간뚜껑(24)의 중심에는 손잡이(24b)가 성형되어 사용자가 잡기 쉽도록 구성하고 있다. 상기 손잡이(24b)는, 그 양측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에 의하여 상대적으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사용자가 쉽게 잡을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뚜껑본체(22)의 외주연에서 외측으로 연장되고, 하방으로 벤딩 가능하게 형성되는 걸림편(22m)은 용기본체(10)와의 체결 상태를 더욱 견고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걸림편(22m)에 돌기를 형성하고 그 위치에 대응하는 용기본체(10)의 외측면에는 걸림홈을 형성하는 구성, 또는 그 반대되는 구성 등을 이용하여 상기 뚜껑본체(22)가 용기본체(10)에 보다 확실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뚜껑본체(22)는 하나의 사출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별도로 형성된 것을 서로 결합하는 것에 의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용기본체(10)의 상단부를 개폐할 수 있으며, 상기 주름관(30)을 하부에 부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용기본체(10)의 내부에 담겨 있는 액상의 내용물을, 뚜껑(20)을 열지 않고 외부로 추출할 수 있는 추출관(40)이 상기 뚜껑(20)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추출관(40)은 용기본체(10)의 내부와 연통하고 있으며, 외부와도 연통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추출관(40)의 외측 단부는 하방을 향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는 본 발명에 의한 용기의 사용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상술한 용기본체(10)의 내부에 내용물을 채운 상태에서 뚜껑(20)을 닫게 되면, 상기 주름관(30)의 막힌 하단부는 실질적으로 내용물의 상부와 접촉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주름관(30)은 중간뚜껑(24)을 열고 주름관(30)을 직접 조작할 수 있다. 그리고 용기본체(10)의 내용물의 양이 줄어들게 되면, 상기 주름관(30)을 하방으로 밀어 내려서 그 하단부가 내용물의 상면과 항상 접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실질적으로 용기본체(10) 내부의 공기의 양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어 내용물이 공기와의 접촉에 의하여 산화되는 것을 최대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주름관(30)을 이용하여 액상의 내용물을 뚜껑(20)을 열지 않은 상태에서 외부로 취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액상 내용물이 담겨 있는 경우, 상기 주름관(30)을 하방으로 누르게 되면 주름관(30)의 부피가 늘어나는 만큼 내용물은 상부로 올라오면서 결국은 상기 추출관(40)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것임은 당연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주름관(30)의 외측면은 용기본체(10)의 내측면과 가능하면 밀착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용기본체(10) 내부의 공기 양을 최소화시키기 위해서는 주름관(30)의 외측면이 용기본체(10)의 내측면에 근접하는 것이 더욱 유리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추출관(40)의 외측단부에는 별도의 마개를 설치하여 외부의 공기가 용기본체(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뚜껑의 내부에 접철식 주름관을 설치하여 상기 주름관을 위아래로 펼치거나 접는 것에 의하여 용기본체 내부에서 공기가 잔류하는 양을 최소화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용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용기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용기본체 20 ..... 뚜껑
22 ..... 뚜껑본체 24 ..... 중간뚜껑
30 ..... 주름관 40 ..... 추출관

Claims (4)

  1. 내용물을 담을 수 있도록 상부가 열려 있는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의 열린 상부를 개폐하는 뚜껑; 그리고
    상기 뚜껑의 하면에 장착되어, 용기본체 내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접거나 펼칠 수 있는 주름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두껑에 설치되어 용기본체의 내부와 연통하면서 외측으로 연장된 추출관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용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용기본체의 열린 상부를 개폐할 수 있고, 상기 주름관이 결합되는 뚜겅본체(22)와; 상기 주름관이 열린 중심부분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중간뚜껑으로 구성되는 용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관과 뚜껑본체는 서로 대응하는 부분에 나사산을 형성하여 나사결합에 의하여 조립되는 용기.
KR1020090124789A 2009-12-15 2009-12-15 용기 KR1011342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4789A KR101134236B1 (ko) 2009-12-15 2009-12-15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4789A KR101134236B1 (ko) 2009-12-15 2009-12-15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7982A true KR20110067982A (ko) 2011-06-22
KR101134236B1 KR101134236B1 (ko) 2012-04-05

Family

ID=44400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4789A KR101134236B1 (ko) 2009-12-15 2009-12-15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423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15082A (zh) * 2016-08-15 2016-11-16 张小亚 一种方便存放的家电包装结构
CN108773582A (zh) * 2018-07-02 2018-11-09 何君梅 一种妇科用医用棉球储存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5439B1 (ko) * 2017-05-12 2018-01-05 김미경 공기 배출구가 일체로 형성된 진공뚜껑을 갖는 일회용 식품 용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7752U (ja) * 1993-09-06 1995-03-31 ポーラ化成工業株式会社 キャップ
JPH11314641A (ja) * 1998-04-30 1999-11-16 Masakazu Kobayashi 容器内不用空間除去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15082A (zh) * 2016-08-15 2016-11-16 张小亚 一种方便存放的家电包装结构
CN108773582A (zh) * 2018-07-02 2018-11-09 何君梅 一种妇科用医用棉球储存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4236B1 (ko) 2012-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7603Y1 (ko)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RU2007119372A (ru) Колпачок для бутылок
KR101134236B1 (ko) 용기
JP6125887B2 (ja) 二重容器
EP2487118B1 (en) Cap for squeeze container
US10723537B2 (en) Cartridge pump
KR200391436Y1 (ko) 용기의 뚜껑 개폐구조
KR20140022330A (ko) 연질의 접철부가 있는 이종물질 수용장치
CN104859934B (zh) 可伸缩侧划口吸嘴盖
KR101089167B1 (ko) 원터치 캡이 구비된 화장품용기
KR20090001986U (ko) 배출부 인출식 튜브형 용기
KR20100125488A (ko) 접철식 용기
KR20110000821U (ko) 빨대가 구비된 용기
KR101523522B1 (ko) 휴대형 샤워볼 보관 용기
KR200383738Y1 (ko) 가루녹차용기
KR102245650B1 (ko) 화장품 용기
KR102050048B1 (ko) 이중 튜브 뚜껑
KR200265447Y1 (ko) 착탈식 보관용기
KR200394934Y1 (ko) 개량형 샴프용기
KR100936302B1 (ko) 이종물질을 수용하는 뚜껑의 내용물 내입방법
KR200467289Y1 (ko) 용기캡
KR200433650Y1 (ko) 분할용기 조립체
KR200230333Y1 (ko) 이중용기
KR102500557B1 (ko) 액상물 포장용기용 뚜껑
KR20130123710A (ko) 알뜰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