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1986U - 배출부 인출식 튜브형 용기 - Google Patents

배출부 인출식 튜브형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1986U
KR20090001986U KR2020070014175U KR20070014175U KR20090001986U KR 20090001986 U KR20090001986 U KR 20090001986U KR 2020070014175 U KR2020070014175 U KR 2020070014175U KR 20070014175 U KR20070014175 U KR 20070014175U KR 20090001986 U KR20090001986 U KR 2009000198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contents
opening
discharge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41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44902Y1 (ko
Inventor
기중현
Original Assignee
(주)연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연우 filed Critical (주)연우
Priority to KR20200700141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4902Y1/ko
Priority to PCT/KR2008/004622 priority patent/WO2009028809A2/en
Publication of KR2009000198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198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49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490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5/00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 B65D35/44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5/00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 B65D35/24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with auxiliary devices
    • B65D35/36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with auxiliary devices for applying contents to surfaces
    • B65D35/38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 B65D47/08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integrally formed with the base element provided with the spout or discharge pass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2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poppet valves or lift valves, i.e. valves opening or closing a passageway by a relative mo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seat
    • B65D47/241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poppet valves or lift valves, i.e. valves opening or closing a passageway by a relative mo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seat the valve being opened or closed by actuating a cap-like element
    • B65D47/24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poppet valves or lift valves, i.e. valves opening or closing a passageway by a relative mo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seat the valve being opened or closed by actuating a cap-like element moving hel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튜브형 용기에 관한 것으로, 내용물 배출부가 돌출되어 내용물이 배출구 주변에 잔류하지 않도록 하는 동시에 캡이 결합된 상태로 회동 개폐되어 사용상의 불편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한 튜브형 용기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내부에 내용물이 충전되며, 내용물이 출입되는 개구부가 구비된 용기본체; 상기 용기본체의 개구부에 일체로 구비되거나 별체로 형성되어 결합되며, 중앙부에 배출구가 구비된 배출부가 외부로 길게 돌출 형성된 고정캡; 및 상기 고정캡의 외부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배출부가 통과되는 통공 및 이 통공을 개폐시키는 플립탑이 형성되어 그 상하 위치에 따라 배출부가 외부로 노출되거나 내부에 수용되도록 하는 승강캡을 포함하는 배출부 인출식 튜브형 용기를 제공한다.
Figure P2020070014175
튜브, 용기, 고정캡, 승강캡, 플립탑

Description

배출부 인출식 튜브형 용기 {TUBE TYPE RECEPTACE HAVING RETRACTABLE OUTLET}
본 고안은 튜브형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시에는 용기본체의 배출부를 캡 외부로 돌출시켜 내용물을 깨끗하게 배출시킬 수 있고 사용후에는 배출부를 캡 내부에 수용하여 편리하게 보호할 수 있는 튜브형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튜브형 용기는 화장품이나 의약품, 세제 등 매우 다양한 제품의 포장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튜브형 용기는 다양한 형태가 있지만, 캡의 구조에 따라 분리형 캡을 구비한 종류와 회동식 캡을 구비한 종류로 크게 나뉠 수 있다.
즉, 분리형 캡을 구비한 튜브형 용기는, 용기본체의 배출부가 외부로 길게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고, 이 배출부에 나사결합되는 캡 또는 끼움결합되는 캡을 구비하여 이 캡을 돌리거나 당겨 열면 내용물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 한 용기는 돌출된 배출부에 형성된 배출구를 통해 내용물이 배출되므로, 배출구 주변에 내용물이 묻어 잔류되는 것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캡이 용기본체와 완전히 분리되는 구조이므로, 캡을 열고 닫을때, 용기본체와 캡을 각각 양손으로 잡아야하는 불편이 있고, 특히 나사결합형 캡은 캡을 회전시켜야 함에 따라 불편이 가중된다. 또한, 분리된 캡을 별도로 손으로 잡거나 외부에 내려놓아야 하고, 사용 후 캡을 바로 결합하지 않은 채로 방치하게 되거나 캡을 분실하게 되는 문제도 있었다.
한편, 회동식 캡을 구비한 튜브형 용기는 용기본체에 결합된 캡의 일부가 원터치 방식으로 회동 개폐되는 것으로, 캡의 중앙부에 배출구가 형성되고, 캡의 일측에 회동되는 마개가 구비되어 이 마개를 밀거나 당겨 배출구를 열고 닫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용기는 캡이 용기본체와 분리되지 않으므로, 위의 캡 분리형 용기와 같은 사용상의 불편과 분실 등의 문제는 없다.
그러나, 내용물을 배출시킬 때 캡의 배출구 주변에 내용물이 묻어 잔류하게 되고, 잔류된 내용물이 쌓여 배출구 주변이 매우 지저분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내용물 배출부가 돌출되어 내용물이 배출구 주변에 잔류하지 않도록 하는 동시에 캡이 결합된 상태로 회동 개폐되어 사용상의 불편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한 튜브형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르면, 내부에 내용물이 충전되며, 내용물이 출입되는 개구부가 구비된 용기본체; 상기 용기본체의 개구부에 일체로 구비되거나 별체로 형성되어 결합되며, 중앙부에 배출구가 구비된 배출부가 외부로 길게 돌출 형성된 고정캡; 및 상기 고정캡의 외부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배출부가 통과되는 통공 및 이 통공을 개폐시키는 플립탑이 형성되어 그 상하 위치에 따라 배출부가 외부로 노출되거나 내부에 수용되도록 하는 승강캡을 포함하는 배출부 인출식 튜브형 용기가 제공된다.
상기한 본 고안의 튜브형 용기에서, 상기 승강캡의 내주면과 고정캡의 외주면 중 일측에는 안내홈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안내홈을 따라 이동되는 안내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안내홈의 양단 중 적어도 일측에 수평방향 고정홈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 상기 안내홈은 적어도 일부 구간이 경사방향으로 형성되어 승 강캡이 회전에 따라 승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승갑캡의 승강에 따라 배출부가 외부로 돌출되거나 내부에 수용되도록 함으로써, 내용물을 배출한 후에 배출구 주변에 내용물이 잔류되지 않아 청결 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고, 사용 후에는 승강캡을 바닥으로 하여 용이하게 세워 보관할 수 있고, 사용 중이나 후에 캡의 분실로 인한 불편을 방지할 수 있는 등 튜브형 용기의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안내홈의 적어도 일측에 고정홈을 형성하여 승강캡의 위치를 편리하게 고정 가능하게 하고, 안내홈을 경사방향으로 형성하여 회전식 작동 구조를 갖도록 함으로써 이러한 튜브형 용기의 사용 편의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튜브형 용기의 일실시예를 각각 열림 및 닫힘 상태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용기는, 내부에 내용물이 충전되는 통상의 튜브 용기 형태로 이루어진 용기본체(100)와, 이 용기본체(100)의 개구부(101)에 결합되며 중앙부에 외부로 길게 돌출된 배출부(111)가 형성된 고정캡(110)과, 이 고정캡(110)을 감싸되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어 배출부(111)가 외부로 노출되거나 내부에 수용되도록 하는 승강캡(12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캡(110)은 용기본체(100)의 개구부(101)를 개폐시켜 주로 생산과정에서 개구부(101)를 통해 용기본체(100)에 내용물을 주입하거나 사용중 내용물을 리필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1차적 개폐수단으로, 용기본체(100)에 나사결합, 끼움결합 등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쉽게 열지 못하도록 고정된 상태로 결합되거나 용기본체(100)와 일체로 성형될 수도 있다. 이 고정캡(110)의 내부에는 용기본체(100)의 개구부(101) 주위의 밀폐를 위한 실링재(103)가 구비되고, 상기 배출부(111)의 외측 단부에 내용물을 빼내 사용할 수 있도록 배출구(113)가 형성된다.
상기 승강캡(120)은 중앙부에 상기 배출부(111)가 통과되는 통공(123)이 형성되고, 배출부(111)가 내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통공(123)을 덮도록 회동 개폐되는 플립탑(125)이 구비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 플립탑(125)에는 닫힘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결합돌기(127)가 형성된다. 이 결합돌기(127)는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캡(110)의 배출구(113)에 결합될 수도 있고, 별도의 결합공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결합돌기(127)의 끼움결합 구조 외에도 상기 플립탑(125)의 잠금 구조 는 통상의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립탑(125)과 승강캡(120)의 맞닿는 부분에 외력의 강도에 따라 걸림 상태가 유지되거나 해제되는 걸림돌기와 걸림턱을 구비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승강캡(120)의 승강동작을 위한 구조는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데, 가장 간단하게는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캡(110)의 외주면에 상하방향으로 안내홈(115)이 형성되고 승강캡(120)의 내주면에 상기 안내홈(115)을 따라 이동되는 안내돌기(121)가 형성되어 승강캡(120)이 이탈되지 않으면서 승강동작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안내홈(115)의 양측에는 위치유지를 위한 고정홈(116)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튜브형 용기는,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캡(120)이 상향 위치된 상태에서, 용기본체(100) 측으로 승강캡(120)을 밀d어내리면 승강캡(120)의 하강에 따라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공(123)을 통해 배출부(111)가 외부로 인출된다. 이때, 상기 플립탑(125)은 인출되는 배출부(111)에 밀려 회동 개방될 수도 있고, 플립탑(125)을 먼저 회동시켜 개방한 다음에 승강캡(120)을 하강시킬 수도 있다. 배출부(111)가 외부로 돌출되면 용기본체(100)를 가압하여 배출구(113)를 통해 내용물을 배출시켜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돌출된 배출부(111)를 통해 내용물을 배출하게 되므로, 사용 후 배출구(113) 주변에 내용물이 잔류되지 않아 장기간 사용해도 용기 상태가 청결하게 유지될 수 있다.
사용후에는 상기 승강캡(120)을 당겨올려 다시 상향 이동시키고 플립탑(125) 을 회동시켜 덮으면 배출부(111)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용기를 닫을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캡 부분이 용기본체(100)와 별도로 분리되지 않으면서 개폐되는 구조를 이루므로, 사용 중 캡의 분실로 인한 불편이 발생하지 않으며, 승강캡(120)을 상향 또는 하향 이동시키는 간단한 동작으로 개폐가 이루어지므로, 사용 편의성도 향상된다.
한편, 전술할 실시예에서는, 캡이 고정캡과 승강캡으로 분할된 구조를 예시하였으나, 실질적으로 용기본체(100)에 고정캡(110)이 일체로 형성되어 이 고정캡(110) 부분에 승강캡(120)이 직접 결합된 구조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승강캡(120)의 승강동작을 위한 안내홈(115) 및 안내돌기(121)의 위치와 형태는 전술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반대로 고정캡(110) 또는 용기본체(100)에 안내돌기(121)가 형성되고 승강캡(120)에 안내홈(115)이 형성될 수도 있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내홈(115)이 경사진 형태(나선형 구조도 포함)로 이루어져 승강캡(120)을 회전시키면 승강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안내홈(115)의 양측에 위치 유지를 위해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형태의 고정홈(116)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배출부 인출식 튜브형 용기의 일실시예를 개방 및 폐쇄 상태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요부인 고정캡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Claims (3)

  1. 내부에 내용물이 충전되며, 내용물이 출입되는 개구부(101)가 구비된 용기본체(100);
    상기 용기본체(100)의 개구부(101)에 일체로 구비되거나 별체로 형성되어 결합되며, 중앙부에 배출구(113)가 구비된 배출부(111)가 외부로 길게 돌출 형성된 고정캡(110); 및
    상기 고정캡(110)의 외부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배출부(111)가 통과되는 통공(123) 및 이 통공(123)을 개폐시키는 플립탑(125)이 형성되어 그 상하 위치에 따라 배출부(111)가 외부로 노출되거나 내부에 수용되도록 하는 승강캡(120)을 포함하는 배출부 인출식 튜브형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캡(120)의 내주면과 고정캡(110)의 외주면 중 일측에는 상하방향으로 안내홈(115)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안내홈(115)을 따라 이동되는 안내돌기(121)가 형성되며, 상기 안내홈(115)의 양단 중 적어도 일측에 수평방향 고정홈(116)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부 인출식 튜브형 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홈(115)은 적어도 일부 구간이 경사방향으로 형성되어 승강캡(120)이 회전에 따라 승강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부 인출식 튜브형 용기.
KR2020070014175U 2007-08-27 2007-08-27 배출부 인출식 튜브형 용기 KR2004449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4175U KR200444902Y1 (ko) 2007-08-27 2007-08-27 배출부 인출식 튜브형 용기
PCT/KR2008/004622 WO2009028809A2 (en) 2007-08-27 2008-08-08 Tubular receptacle having retractable outl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4175U KR200444902Y1 (ko) 2007-08-27 2007-08-27 배출부 인출식 튜브형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1986U true KR20090001986U (ko) 2009-03-04
KR200444902Y1 KR200444902Y1 (ko) 2009-06-15

Family

ID=40387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4175U KR200444902Y1 (ko) 2007-08-27 2007-08-27 배출부 인출식 튜브형 용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44902Y1 (ko)
WO (1) WO2009028809A2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7543B1 (ko) * 2014-03-13 2015-07-20 (주)연우 회전개폐식 튜브용기
KR20190015446A (ko) * 2014-02-03 2019-02-1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용기
WO2019039751A1 (ko) * 2017-08-22 2019-02-28 (주)연우 액상 내용물 토출 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830311A (zh) * 2010-05-13 2010-09-15 戴永锋 多嘴软膏壳
KR20240015869A (ko) 2022-07-28 2024-02-06 김한호 화장료 튜브용기용 배출구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튜브용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75049U (ko) * 1987-02-14 1988-11-14
JPS63202649U (ko) * 1987-06-18 1988-12-27
JP4223029B2 (ja) * 2005-08-10 2009-02-12 オリンパス株式会社 試薬容器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5446A (ko) * 2014-02-03 2019-02-1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용기
KR101537543B1 (ko) * 2014-03-13 2015-07-20 (주)연우 회전개폐식 튜브용기
WO2015137708A1 (ko) * 2014-03-13 2015-09-17 (주)연우 회전개폐식 튜브용기
WO2019039751A1 (ko) * 2017-08-22 2019-02-28 (주)연우 액상 내용물 토출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028809A2 (en) 2009-03-05
KR200444902Y1 (ko) 2009-06-15
WO2009028809A3 (en) 2009-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4902Y1 (ko) 배출부 인출식 튜브형 용기
US20050236424A1 (en) Single use unit dosage dispensing closure
BR112018010908B1 (pt) Sistema de fechamento e recipiente
JP2014520045A (ja) 容器の内容物に添加物を導入するための手段を有する容器閉鎖具
KR200463676Y1 (ko)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KR200439647Y1 (ko) 화장품 용기 캡
JP5813580B2 (ja) 二重容器
KR200391436Y1 (ko) 용기의 뚜껑 개폐구조
KR101288797B1 (ko) 이중 화장품 용기
KR101057333B1 (ko) 회전 개폐식 브러쉬 튜브의 오버캡부 구조
KR101129252B1 (ko) 노즐개폐에 따른 오버캡 체결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
KR20150073683A (ko) 하부 개방 가능한 쓰레기통
KR101802133B1 (ko) 액상 내용물 토출 용기
KR101134236B1 (ko) 용기
JP5541569B2 (ja) 継続使用容器と詰め替え容器の組合せ
JP4953241B2 (ja) 液体吐出容器
JP5191839B2 (ja) 二剤混合容器
KR200383177Y1 (ko) 절취 마개를 갖는 용기 뚜껑
CN210479540U (zh) 一种可伸缩侧撕的盖组件
KR101635471B1 (ko) 이종물질을 수용한 배출장치
KR20130059664A (ko) 배출호스용 보관홈을 갖는 저장통
KR20120128738A (ko) 내용물 배출용 병뚜껑의 구부 주위 밀폐구조
KR200412108Y1 (ko) 포장튜브의 캡 구조
KR200167208Y1 (ko) 토출용 마개
JP2022115545A (ja) 携帯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1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