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1436Y1 - 용기의 뚜껑 개폐구조 - Google Patents

용기의 뚜껑 개폐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1436Y1
KR200391436Y1 KR20-2005-0011925U KR20050011925U KR200391436Y1 KR 200391436 Y1 KR200391436 Y1 KR 200391436Y1 KR 20050011925 U KR20050011925 U KR 20050011925U KR 200391436 Y1 KR200391436 Y1 KR 2003914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contents
container
inlet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19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창수
Original Assignee
박창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창수 filed Critical 박창수
Priority to KR20-2005-00119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143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14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143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8Arrangements of closures with protective outer cap-like covers or of two or more co-operating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3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means for ve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02Loosely-engaging lids or covers for jars, cans, or like containers for liquids without means for effecting sealing of container
    • B65D51/12Flexible non-elastic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장품이나 연고 등의 내용물(이하, 내용물이라 통칭 함)을 담아 보관 및 휴대·사용되는 용기의 개폐를 위한 뚜껑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용기로부터 뚜껑을 완전 분리하지 않고서도 내용물을 토출시킬 수 있도록 하여, 뚜껑의 분실을 방지하고 사용에 따른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용기의 뚜껑 개폐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몸체 상부에 입구가 일체로 형성되되, 입구에는 작동부가 단차지게 형성되고, 상면 중앙에는 고정봉이 소정 높이를 갖도록 돌출되며, 뚜껑은 하부가 개방되고 상면에는 토출공이 관통된 내·외부캡 및 중간캡으로 이루어지되, 외부캡의 내주면 하단부에는 걸림턱이 형성됨에 따라, 뚜껑을 회전방식에 의해 간편·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고, 내용물의 토출시 뚜껑이 전혀 분리, 이탈되지 않고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내용물의 토출이 원할하게 이루어지므로서, 뚜껑이 분실될 우려가 전혀없으며, 사용에 따른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용기의 뚜껑 개폐구조{Close and opening structure of vessel cover}
본 고안은 용기의 뚜껑 개폐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장품이나 연고 등의 내용물(이하, 내용물이라 통칭 함)을 담아 보관 및 휴대·사용되는 용기의 개폐를 위한 뚜껑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용기로부터 뚜껑을 완전 분리하지 않고서도 내용물을 토출시킬 수 있도록 하여, 뚜껑의 분실을 방지하고 사용에 따른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용기의 뚜껑 개폐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기(容器)라 함은 각종 내용물을 담아 보관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담고자 하는 내용물이나 사용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지며, 용기에는 담겨진 내용물의 밀폐 및 차폐를 위한 뚜껑이 결합된다.
용기에 결합되는 뚜껑은 내용물을 밀폐 및 차폐시켜 내용물이 무방비하게 외부로 유출되거나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현재, 용기에 사용되고 있는 뚜껑은 첨부 도면 도 1(a),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a)에 따른 용기(100)는 상단부에 입구(102)가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숫나사(103)가 형성된 몸체(110)와; 내주면에 숫나사(103)와 대응되는 암나사(113)가 형성된 뚜껑(120)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입구(102)에는 내용물의 배출을 위한 토출구(104)가 형성된다.
도 1(b)에 따른 용기(200)는 상부에 입구(202)가 형성되고, 입구(202)의 외주면 상단부에는 결합돌기(203)가 형성된 몸체(210)와; 내주면에 결합홈(212)이 형성되며, 입구(202)로부터 일체로 연장되게 형성된 결합편(214)에 의해 이탈되지 않도록 결합된 뚜껑(220)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결합편(214)은 입구(202)와 뚜껑(220)의 소정 위치에 일체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도 1(a)에 따른 용기(100)의 뚜껑(120)은 숫나사(103)와 암나사(113)에 의해 입구(102)에 분리·결합되며, 토출구(104)를 개방하거나 밀폐 및 차폐하게 되는 것이며, 도 1(b)에 따른 용기(200)의 뚜껑(220)은 입구(202)에 형성된 결합돌기(203)와 뚜껑(220)에 형성된 결합홈(212)에 의해 원터치 방식으로 결합되며, 토출구(204)를 개방하거나 밀폐 및 차폐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도 1(b)에 따른 용기(200)에서는 뚜껑(220)이 연결편(214)에 의해 입구(202)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토출구(204)를 개방한 상태에서도 입구(202)로부터 완전 분리되어 이탈되지 않고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용기 뚜껑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먼저, 도 1(a)에 따른 용기 뚜껑은 입구로부터 완전 분리되어 이탈되는 것으로서, 비교적 간단한 결합구조를 이루고 있으나, 용기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뚜껑이 입구로부터 완전 분리·이탈되어 분실되는 경우가 비일비재(非一非再)하게 발생하였으며, 이로 인해, 용기의 토출구 밀폐 및 차폐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토출구를 통해 내용물이 무방비한 상태로 유출되어 낭비되며, 개방된 토출구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먼지 등의 각종 이물질이 유입되어 내용물이 오염되거나 변질되어 사용할 수 없게 되므로, 휴대 및 보관·사용에 따른 효율성과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그리고, 도 1(b)에 따른 용기 뚜껑은 연결편에 의해 뚜껑이 입구와 일체를 이루도록 연결되어 있으므로, 뚜껑의 이탈에 따른 분실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갖고 있으나, 결합돌기와 결합편에 의한 원터치 방식의 결합구조로서, 결합력이 약하고, 특히, 연속·반복되는 사용으로 결합력이 결여되어 뚜껑에 의한 밀폐·차폐력이 저하되므로서, 뚜껑에 의한 내용물의 밀폐·차폐기능이 상실되는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내용물이 담겨진 용기의 개폐를 위해 결합되는 뚜껑을 회전방식에 의해 간편·용이하게 개폐되도록 하며, 내용물의 토출시 뚜껑이 전혀 분리, 이탈되지 않고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원할한 내용물의 토출이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내용물 토출을 위한 뚜껑 개방시 외부로부터 먼지나 각종 이물질이 용기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므로서, 안전하고 위생적이며 밀폐 및 차폐력이 우수하고, 사용에 따른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용기의 뚜껑 개폐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내부에 내용물이 담겨진 몸체의 상부에 입구가 형성되고, 몸체 내부를 차폐하기 위해 입구에 뚜껑이 결합되는 용기에 있어서, 몸체는 상부에 입구가 일체로 형성되되, 입구는 외주면에 숫나사부가 형성된 결합부와, 외주면과 상면 소정 위치에 스토퍼와 보조 스토퍼가 형성된 작동부가 단차지게 형성되고, 상면 중앙에는 고정봉이 소정 높이를 갖도록 돌출되며, 고정봉 양측방에는 유입공이 관통되게 이루어지고, 뚜껑은 하부가 개방되고 상면에는 토출공이 관통된 내·외부캡 및 중간캡으로 이루어지되, 외부캡의 내주면 하단부에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외부캡과 중간캡 사이에는 보조 걸림편이 형성된 특징을 갖는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서 고정봉의 상단부에는 개폐돌기가 형성된 특징을 갖는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용기는 내용물이 담겨진 몸체(2)의 상부에는 외주면에 숫나사부(11)가 형성된 결합부(12)와, 외주면과 상면 소정 위치에 스토퍼(13)와 보조 스토퍼(14)가 형성된 작동부(15)가 단차지게 형성되는 입구(10)가 형성되고, 뚜껑(20)은 하부가 개방되고 상면에는 토출공(21)이 관통된 내·외부캡(22, 23) 및 중간캡(24)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몸체(2)의 상면 중앙에는 고정봉(16)이 소정 높이를 갖도록 돌출되며, 고정봉(16) 양측방에는 유입공(17)이 관통되게 이루어지며, 뚜껑(20)의 외부캡(23) 내주면 하단부에는 걸림턱(25)이 형성되고, 외부캡(23)과 중간캡(24) 사이에는 보조 걸림편(26)이 형성되게 이루어진다.
이때, 고정봉(16)의 상단부에는 개폐돌기(18)가 형성되어 개폐시 뚜껑(20)에 구성된 토출공(21)을 개폐하게 되는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용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용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로서, 내부에 소정크기의 공간이 형성되어 내용물이 담겨진 몸체(2)의 상부에 입구(10)가 형성되고, 입구(10)에는 뚜껑(20)이 결합되며, 뚜껑(20)은 입구(10)에 결합된 상태로 분리되지 않고 회전되면서, 토출공(21)이 개폐되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뚜껑(20)이 입구(10)에 결합됨에 있어, 입구(10)의 작동부(15)에는 외부캡(23)이 끼워져 결합되고, 결합부(12)에는 중간캡(24)이 나사방식에 의해 결합되며, 내부캡(22)은 외주면이 결합부(12)의 내주면에 밀착되게 결합되는 것이다.
이때, 입구(10)에 뚜껑(20)이 결합되는 과정에서, 고정봉(16)의 상단부에 형성된 개폐돌기(18)는 토출공(21)에 삽입된다.
입구(10)에 결합된 뚜껑(20)은 결합부(12)에 형성된 숫나사부(11)와 중간캡(24)에 형성된 암나사부(11')에 의해 나사방식으로 결합되어 있으므로, 회전되는 과정에서, 나사산 피치에 해당하는 만큼 승,하강 이동되게 이루어진다.
뚜껑(20)이 회전되는 과정에서, 작동부(15)에 형성된 스토퍼(13)와 외부캡(23) 내주면 하단부에 형성된 걸림턱(25)이 맞대어지게 되어, 상호간에 회전범위를 제한하게 되며, 또한, 작동부(15)의 상면 소정 위치에 형성된 보조 스토퍼(14)는 외부캡(23)과 중간캡(24) 사이에 형성된 보조 걸림편(26)과 회전시 상호간에 간섭되도록 맞대어지게 된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용기의 뚜껑 개폐구조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확대 단면도로서, 몸체(2)의 입구(10)에 뚜껑(20)이 결합된 상태에서, 뚜껑(20)을 회전시켜 승,하강 이동되도록하여 개폐돌기(18)에 의해 토출공(21)이 개방 또는, 폐쇄되면서 내용물이 토출되거나 차폐된 상태를 이루게 되는 것이다
몸체(2)의 입구(10)에 뚜껑(20)이 결합된 상태에서, 하강 이동되게 회전되어 개폐돌기(18)가 토출공(21)에 삽입되어 내용물이 토출되지 않게 차폐된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고, 뚜껑(20)을 상승 이동되게 회전시킴에 따라, 토출공(21)으로부터 개폐돌기(18)가 이탈되면서 내용물이 유입공(17)을 통하여 내부캡(22)과 고정봉(16)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된 후, 토출공(21)을 통하여 토출되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용기의 뚜껑 개폐구조의 실시예에 대한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량의 내용물을 입구(10)가 형성된 몸체(2)에 담고, 입구(10)에는 뚜껑(20)을 결합하여 내부를 차폐시킨 상태에서, 사용자가 내부에 담겨진 내용물을 사용하려면, 먼저, 입구(10)에 결합된 뚜껑(20)을 일측방향으로 돌려 회전시키게 되면, 중간캡(24)에 형성된 암나사부(11')와 결합부(12) 외주면에 형성된 숫나사부(11)에 의한 피치에 해당하는 만큼 뚜껑(20)이 상승 이동되고, 뚜껑(20)이 회전 피치만큼 상승이동됨에 따라, 개폐돌기(18)로부터 토출공(21)이 분리되면서 개방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상태에서, 몸체(2) 일부위를 눌러 가압하거나 거꾸로 하여 입구(10)가 하방을 향하도록 하면, 내부에 담겨진 내용물이 유입공(17)을 통하여 내부캡(22)과 고정봉(16) 사이의 공간으로 공급된 후, 개방된 상태의 토출공(21)을 통하여 외부로 토출되는 것이다.
따라서, 내용물을 토출시킴에 있어, 뚜껑(20)을 입구(10)로부터 완전 분리하여 이탈시키지 않고서도, 일방향으로 소정 범위만큼 회전시켜 토출공(21)을 개방되도록 하므로서, 신속하고 간편·용이하게 내용물을 토출시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하여, 내용물을 토출시켜 사용한 후, 몸체(2)에 담겨진 내용물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고, 외부로부터 먼지나 이물질 등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려면, 토출공(21)을 폐쇄해야 되는 바, 이를 위해서는 뚜껑(20)을 반대방향으로 돌려 회전시키게 되면, 뚜껑(20)이 회전되면서 회전에 따른 피치 거리만큼 하강 이동되고, 입구(10)에 형성된 개폐돌기(18)가 토출공(21)에 끼워지면서 폐쇄된다.
본 고안의 뚜껑(20)이 회전되면서 상승 또는, 하강이동되는 과정에서, 입구(10)에 형성된 스토퍼(13)와 뚜껑(20)에 형성된 걸림턱(25)에 의해 설정된 범위내로 회전이 제한되며, 또한, 입구(10)의 작동부(15) 상면에 형성된 보조 스토퍼(14)와 뚜껑(20)의 보조 걸림편(26)에 의해 회전범위가 제한되므로서, 뚜껑(20)의 과다한 회전으로 인해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용기의 뚜껑(20)을 분리하여 이탈시키지 않고서도, 내용물을 토출하기 위한 뚜껑(20)의 개폐를 간편·용이하게 이룰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용기의 뚜껑 개폐구조를 이용함에 따라, 내용물이 담겨진 용기의 개폐를 위해 결합되는 뚜껑을 회전방식에 의해 간편·용이하게 개폐되고, 내용물의 토출시 뚜껑이 전혀 분리, 이탈되지 않고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내용물의 토출이 원할하게 이루어지므로서, 뚜껑이 분실될 우려가 전혀없으며, 개폐가 간편·용이하고 효율적이며, 용기 사용에 따른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뚜껑이 결합된 상태에서, 내용물 토출을 위한 개방이 이루어지므로, 외부로부터 먼지나 각종 이물질이 용기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어 위생적이고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용기의 취급 및 보관과 휴대·사용이 용이하고 경제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도 1(a), 1(b)는 종래의 용기 뚜껑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및 측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용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용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용기의 뚜껑 개폐구조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몸체 10:입구
11:숫나사부 11':암나사부
12:결합부 13:스토퍼
14:보조 스토퍼 15:작동부
16:고정봉 17:유입공
18:개폐돌기 20:뚜껑
22:내부캡 23:외부캡
24:중간캡 25:걸림턱
26:보조 걸림턱

Claims (3)

  1. 내부에 내용물이 담겨진 몸체(2)의 상부에 입구(10)가 형성되고, 몸체(2) 내부를 차폐하기 위해 입구(10)에 뚜껑(20)이 결합되는 용기에 있어서,
    몸체(2)는 상부에 입구(10)가 일체로 형성되되, 입구(10)는 외주면에 숫나사부(11)가 형성된 결합부(12)와, 외주면과 상면 소정 위치에 스토퍼(13)와 보조 스토퍼(14)가 형성된 작동부(15)가 단차지게 형성되고, 상면 중앙에는 고정봉(16)이 소정 높이를 갖도록 돌출되며, 고정봉(16) 양측방에는 유입공(17)이 관통되게 이루어지며,
    뚜껑(20)은 하부가 개방되고 상면에는 토출공(21)이 관통된 내·외부캡(22, 23) 및 중간캡(24)으로 이루어지되, 외부캡(23)의 내주면 하단부에는 걸림턱(2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뚜껑 개폐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고정봉(16)의 상단부에는 개폐돌기(18)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뚜껑 개폐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외부캡(23)과 중간캡(24) 사이에는 보조 걸림편(26)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뚜껑 개폐구조.
KR20-2005-0011925U 2005-04-28 2005-04-28 용기의 뚜껑 개폐구조 KR2003914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1925U KR200391436Y1 (ko) 2005-04-28 2005-04-28 용기의 뚜껑 개폐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1925U KR200391436Y1 (ko) 2005-04-28 2005-04-28 용기의 뚜껑 개폐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1436Y1 true KR200391436Y1 (ko) 2005-08-04

Family

ID=43692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1925U KR200391436Y1 (ko) 2005-04-28 2005-04-28 용기의 뚜껑 개폐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1436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5368Y1 (ko) 2009-10-29 2011-09-01 주식회사 씨에라 엠 화장품 용기용 숄더
KR200456316Y1 (ko) 2009-12-08 2011-10-26 (주)아모레퍼시픽 가압 유동식 개폐구조를 갖는 립글로스 용기
KR200478362Y1 (ko) * 2014-06-16 2015-09-22 임형욱 포장용기 뚜껑
KR20160053170A (ko) * 2014-10-31 2016-05-13 (주)소망유리 밀폐용기
KR101686190B1 (ko) 2016-07-11 2016-12-20 (주)코비젼 화장품 용기
KR20180010411A (ko) * 2016-07-21 2018-01-31 (주)연우 오버캡 폐쇄 인지 구조가 구비된 용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5368Y1 (ko) 2009-10-29 2011-09-01 주식회사 씨에라 엠 화장품 용기용 숄더
KR200456316Y1 (ko) 2009-12-08 2011-10-26 (주)아모레퍼시픽 가압 유동식 개폐구조를 갖는 립글로스 용기
KR200478362Y1 (ko) * 2014-06-16 2015-09-22 임형욱 포장용기 뚜껑
KR20160053170A (ko) * 2014-10-31 2016-05-13 (주)소망유리 밀폐용기
KR101702654B1 (ko) 2014-10-31 2017-02-06 (주)소망유리 밀폐용기
KR101686190B1 (ko) 2016-07-11 2016-12-20 (주)코비젼 화장품 용기
KR20180010411A (ko) * 2016-07-21 2018-01-31 (주)연우 오버캡 폐쇄 인지 구조가 구비된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91436Y1 (ko) 용기의 뚜껑 개폐구조
JP5068607B2 (ja) 飲料用容器
KR200461241Y1 (ko) 마개 및 그 마개를 구비한 용기
JP2014094044A (ja) 飲料抽出用容器
KR101213019B1 (ko) 립글로즈 용기
KR200444902Y1 (ko) 배출부 인출식 튜브형 용기
KR200462502Y1 (ko) 화장품용기
CN102687971B (zh) 一种盖子
KR20130137331A (ko) 마사지 기능이 구비된 화장품용기
KR101134236B1 (ko) 용기
KR102481752B1 (ko) 내용물 용기
KR101260230B1 (ko) 원터치캡이 구비된 튜브용기
KR200389430Y1 (ko) 보조커버가 구비된 화장품용 뚜껑
KR200432654Y1 (ko) 튜브용기의 실링을 쉽게 제거할 수 있는 튜브용기뚜껑
KR20150000028U (ko) 오일캡슐용 화장품 용기
KR200467289Y1 (ko) 용기캡
KR200167208Y1 (ko) 토출용 마개
KR101056644B1 (ko) 믹싱용기
KR100732866B1 (ko) 유체 저장용기용 마개
KR200427775Y1 (ko) 절취 마개를 갖는 용기 뚜껑
KR200383177Y1 (ko) 절취 마개를 갖는 용기 뚜껑
KR100526153B1 (ko) 액체 용기용 마개
KR200412108Y1 (ko) 포장튜브의 캡 구조
KR200228291Y1 (ko) 용기 뚜껑
KR102387917B1 (ko) 회전 개폐식 밀폐 구조를 갖는 화장용 어플리케이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