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2654B1 - 밀폐용기 - Google Patents

밀폐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2654B1
KR101702654B1 KR1020140150138A KR20140150138A KR101702654B1 KR 101702654 B1 KR101702654 B1 KR 101702654B1 KR 1020140150138 A KR1020140150138 A KR 1020140150138A KR 20140150138 A KR20140150138 A KR 20140150138A KR 101702654 B1 KR101702654 B1 KR 1017026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outer cap
inner cap
rotates
rotation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0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53170A (ko
Inventor
송민정
Original Assignee
(주)소망유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소망유리 filed Critical (주)소망유리
Priority to KR10201401501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2654B1/ko
Publication of KR201600531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31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26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26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8Arrangements of closures with protective outer cap-like covers or of two or more co-operating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45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provided with decoration, information or contents indicating devices, lab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3/00Decoration means, markings, information elements, contents indic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0003Two or more clos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밀폐용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는 내부에 물품을 수납하고, 개구부가 형성된 일면으로부터 개구부를 중심으로 관 형상의 목부(11)가 연장 형성된 용기본체(10), 일면이 폐쇄된 중공관 형상으로 목부(11)에 나사결합되는 커버부(21), 및 커버부(21)의 외주연을 따라 홈과 돌기(24)가 반복 형성된 요철부(23)를 포함하고, 커버부(21)가 나사결합되는 잠금방향을 따라 제1 회전각(α, 도 3 내지 도 4 참조)까지 회전하다가 고정되는 내캡(20), 상면이 커버부(21)의 상부에 배치되고, 측면이 상면의 테두리로부터 용기본체(10)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내부에 내캡(20)이 수용 결합되고, 제1 회전각(α, 도 3 내지 도 4 참조)까지 내캡(20)과 함께 회전하되, 제1 회전각(α, 도 3 내지 도 4 참조)에서부터 잠금방향으로 제2 회전각(β, 도 4 참조)까지 내캡(20)에 대해서 회전하는 외캡(30), 및 외캡(30)의 측면으로부터 요철부(23)의 홈에 삽입되도록 돌출되어, 제1 회전각(α, 도 3 내지 도 4 참조)까지 내캡(20)과 외캡(30)을 함께 회전시키되, 외캡(30)이 제2 회전각(β, 도 4 참조)까지 회전할 때에는 요철부(23)의 돌기(24)를 넘어가면서 제1 소리를 발생시키는 날개(4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밀폐용기{CONTAINER}
본 발명은 밀폐용기에 관한 것이다.
물품을 수납하기 위해서 용기가 사용된다. 특히, 수납되는 물품이 액체인 경우에는 액상의 물품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밀폐가 잘 되는 밀폐용기가 이용된다. 일반적으로, 액상의 물품을 보관하기 위한 밀폐용기로서, 병이 사용되는데, 이러한 병은 바닥이 막힌 통 모양의 병본체, 병본체로부터 돌출되어 병입구를 형성하는 병목, 병입구를 개폐하는 병마개 등으로 이루어진다. 액상의 물품을 보관하는 병은 병마개가 반복적으로 병입구를 개폐할 수 있어야 하고, 액상의 물품이 누출되지 않도록 기밀이 우수해야 한다. 따라서, 병은 병마개와 병목을 결착하는 결합수단을 구비한다.
하기 선행기술물헌의 실용신안문헌에 개시된 바와 같이, 종래 병의 결합수단은 병목과 병마개가 나사결합되도록, 병목의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와 병마개의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로 구성된다. 따라서, 병마개를 나사결합되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병목에 씌우면, 병입구가 폐쇄되어, 액상의 물품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는다. 또한, 병마개의 회전방향을 달리하여, 병입구를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다.
다만, 종래 병의 결합수단은 병마개를 병목에 결합하기 위해서 병마개를 수차례 회전시켜야 하므로, 병마개가 병목에 제대로 결합되는지 확인하기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하나의 디자인이 분리되어 병본체와 병마개에 각각 배치되는 경우에, 병마개가 완전히 나사결합된 상태에서만 하나로 정렬되므로, 디자인의 활용이 제한된다. 왜냐하면, 물품을 수용한 병은 병마개가 완전히 나사결합되어, 병본체를 완전히 밀폐시킨 상태로 보관되므로, 병마개가 나사결합되는 반대방향 즉, 풀림방향으로 회전할 때에 분리된 디자인이 하나로 정렬될 수는 없다.
따라서, 종래 밀폐용기에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상황이다.
KR 20-0206598 Y1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측면은 용기본체의 목부에 나사결합되는 내캡에 요철부가 형성되고, 외캡이 내캡에 대해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외캡으로부터 돌출된 날개가 요철부의 홈에 삽입됨으로써, 날개가 요철부의 돌기를 넘어갈 때에 발생하는 소리에 의해서 캡이 제대로 잠기는지 확인할 수 있는 밀폐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내캡이 용기본체를 밀폐하고, 외캡이 내캡에 대하여 풀림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용기본체가 밀폐된 상태에서 캡을 회전시켜 디자인을 통일된 형태로 정렬시킬 수 있는 밀폐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는 내부에 물품을 수납하고, 개구부가 형성된 일면으로부터 상기 개구부를 중심으로 관 형상의 목부가 연장 형성된 용기본체, 일면이 폐쇄된 중공관 형상으로 상기 목부에 나사결합되는 커버부, 및 상기 커버부의 외주연을 따라 홈과 돌기가 반복 형성된 요철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가 나사결합되는 잠금방향을 따라 제1 회전각까지 회전하다가 고정되는 내캡, 상면이 상기 커버부의 상부에 배치되고, 측면이 상기 상면의 테두리로부터 상기 용기본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내부에 상기 내캡이 수용 결합되고, 상기 제1 회전각까지 상기 내캡과 함께 회전하되, 상기 제1 회전각에서부터 상기 잠금방향으로 제2 회전각까지 상기 내캡에 대해서 회전하는 외캡, 및 상기 외캡의 측면으로부터 상기 요철부의 홈에 삽입되도록 돌출되어, 상기 제1 회전각까지 상기 내캡과 상기 외캡을 함께 회전시키되, 상기 외캡이 상기 제2 회전각까지 회전할 때에는 상기 요철부의 돌기를 넘어가면서 제1 소리를 발생시키는 날개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에 있어서, 상기 내캡은 상기 제1 회전각까지 회전하고 상기 용기본체와의 마찰력에 의해 고정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에 있어서, 상기 내캡은 내부에 상기 커버부가 배치된 중공의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외캡의 내부에 삽입되어, 외주연이 상기 외캡의 내주면에 결착되는 결착부, 및 상기 커버부를 상기 결착부에 연결하여 고정하는 연결체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에 있어서, 상기 결착부의 외주연으로부터 상기 외캡의 내주면 방향으로 돌출된 결착턱, 및 상기 외캡이 상기 내캡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외캡의 내주면으로부터 함몰되어, 상기 결착턱이 삽입되는 결착홈을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에 있어서, 상기 결착부의 외주연으로부터 상기 외캡의 내주면 방향으로 돌출된 스토퍼, 및 내부에 상기 스토퍼가 배치되도록 상기 외캡의 내주면으로부터 함몰되되, 상기 외캡이 상기 내캡에 대해서 회전하는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 가이드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외캡이 상기 잠금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가이드홈의 일단에 접촉되는 상기 스토퍼가 상기 제 2회전각에서 상기 가이드홈의 타단에 걸려서, 상기 외캡과 상기 내캡이 함께 회전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된 걸림돌기, 및 상기 걸림돌기가 억지끼움되도록 상기 연결체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내캡을 고정시키는 걸림턱을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걸림턱에 억지끼움된 상태에서, 상기 외캡이 상기 잠금방향과 반대되는 풀림방향으로 회전하는 때에, 상기 스토퍼가 상기 가이드홈의 일단에 걸릴 때까지, 상기 외캡은 상기 내캡에 대해서 회전하고, 상기 외캡이 상기 풀림방향으로 상기 내캡에 대해서 회전할 때에, 상기 날개가 상기 요철부의 돌기를 넘어가면서 제2 소리를 발생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에 있어서, 상기 제1 소리와 상기 제2 소리가 동일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에 있어서, 상기 외캡이 상기 잠금방향으로 상기 내캡에 대해서 회전할 때에, 상기 날개가 맞닿는 상기 요철부의 돌기의 일면과, 상기 외캡이 상기 풀림방향으로 상기 내캡에 대해서 회전할 때에, 상기 날개가 맞닿는 상기 요철부의 돌기의 타면이 서로 다른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소리와 상기 제2 소리가 서로 다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에 있어서, 하나의 디자인이 상기 외캡과 상기 용기본체에 각각 분리되어 배치되고, 상기 외캡이 상기 풀림방향으로 상기 내캡에 대해서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할 때에, 상기 디자인이 하나로 정렬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용기본체의 목부에 나사결합되는 내캡에 요철부가 형성되고, 외캡이 내캡에 대해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외캡으로부터 돌출된 날개가 요철부의 홈에 삽입됨으로써, 외캡이 내캡에 대해서 회전하는 동안에 날개가 요철부의 돌기를 넘어가면서 소리를 발생시키므로, 그 소리에 의해서 캡이 제대로 잠기는지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내캡이 용기본체를 밀폐하고, 외캡이 내캡에 대하여 풀림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외캡과 용기본체에 각각 분리되어 배치된 하나의 디자인이 외캡의 회전에 따라 하나로 정렬되므로, 용기본체가 밀폐된 상태에서 캡을 회전시켜 디자인을 통일된 형태로 정렬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가 밀폐되는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2의 A-A'라인에 따른 횡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B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가 밀폐되는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가 밀폐되는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는 내부에 물품을 수납하고, 개구부가 형성된 일면으로부터 개구부를 중심으로 관 형상의 목부(11)가 연장 형성된 용기본체(10), 일면이 폐쇄된 중공관 형상으로 목부(11)에 나사결합되는 커버부(21), 및 커버부(21)의 외주연을 따라 홈과 돌기(24)가 반복 형성된 요철부(23)를 포함하고, 커버부(21)가 나사결합되는 잠금방향을 따라 제1 회전각(α, 도 3 내지 도 4 참조)까지 회전하다가 고정되는 내캡(20), 상면이 커버부(21)의 상부에 배치되고, 측면이 상면의 테두리로부터 용기본체(10)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내부에 내캡(20)이 수용 결합되고, 제1 회전각(α, 도 3 내지 도 4 참조)까지 내캡(20)과 함께 회전하되, 제1 회전각(α, 도 3 내지 도 4 참조)에서부터 잠금방향으로 제2 회전각(β, 도 4 참조)까지 내캡(20)에 대해서 회전하는 외캡(30), 및 외캡(30)의 측면으로부터 요철부(23)의 홈에 삽입되도록 돌출되어, 제1 회전각(α, 도 3 내지 도 4 참조)까지 내캡(20)과 외캡(30)을 함께 회전시키되, 외캡(30)이 제2 회전각(β, 도 4 참조)까지 회전할 때에는 요철부(23)의 돌기(24)를 넘어가면서 제1 소리를 발생시키는 날개(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밀폐용기는 물품을 수납하여 보관하는 용기로서, 소리에 의해 밀폐가 제대로 되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 용기본체(10), 내캡(20), 외캡(30), 및 날개(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용기는 물품을 수납하는 기구의 총칭으로서, 병, 캔, 통이나 상자를 모두 포함하므로,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밀폐용기를 병으로 가정하여 설명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용기본체(10)는 내부에 물품을 수납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용기본체(10)에는 수납된 물품을 외부로 토출할 수 있도록, 목부(11)가 형성된다. 여기서, 목부(11)는 용기본체(10)의 일면에 형성된 개구부와 연통되도록 관 형상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즉, 목부(11)는 중공관 형상으로서, 내부의 중공이 용기본체(10)의 개구부와 소통되도록, 개구부를 중심으로 연장되는 것이다. 이러한 용기본체(10)의 개구부는 캡에 의해서 개폐되는데, 캡은 내캡(20)과 외캡(30)으로 이루어진다.
내캡(20)은 목부(11)와 나사결합되어 용기본체(10)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마개로서, 커버부(21), 및 요철부(23)를 포함한다.
여기서, 커버부(21)는 일면이 폐쇄된 중공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용기본체(10)의 목부(11)가 삽입 배치된다. 이때, 커버부(21)와 목부(11)가 나사결합되므로, 커버부(21)는 나사결합되어 잠기거나 이와 반대로 풀릴 때에, 목부(11)에 대해서 회전한다. 한편, 커버부(21)는 일면이 폐쇄되어, 목부(11)를 커버(cover)한다. 여기서, 커버부(21)의 일면은 목부(11)의 상부 즉, 용기본체(10)로부터 연장된 목부(11)의 말단에 밀착되는 면을 의미한다. 따라서, 커버부(21)가 목부(11)에 나사결합되어 잠길 때에, 커버부(21)의 내주면은 목부(11)를 감싸고, 커버부(21)의 일면은 목부(11)의 상부에 밀착되므로, 용기본체(10)의 개구부는 내캡(20)에 의해서 밀폐된다. 이와 반대로, 커버부(21)가 풀릴 때에는, 커버부(21)가 목부(11)로부터 이탈되므로, 용기본체(10)의 개구부는 개방된다.
한편, 요철부(23)는 커버부(21)에 요철(凹凸)이 형성된 부분이다. 구체적으로, 요철부(23)는 커버부(21)의 외주면을 따라 홈과 돌기(24)가 반복 형성되어, 톱니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요철부(23)는 외캡(30)이 회전할 때에 날개(40)와 연동하여, 내캡(20)을 회전시키거나 소리를 발생시키는 것으로서, 자세한 사항은 후술한다.
외캡(30)은 내캡(20)을 감싸는 마개로서,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회전력을 가해 회전시키는 부분이다. 이러한 외캡(30)은 상면과 측면으로 이루어지는데, 상면은 커버부(21)의 상부 즉, 커버부(21)의 일면보다 상측에 배치되도록 형성된 외캡(30)의 윗면이고, 측면은 상면의 테두리로부터 용기본체(10)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외캡(30)의 옆면이다. 따라서, 외캡(30)의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므로, 내캡(20)은 외캡(30)의 하부로 삽입되어, 외캡(30)의 내부에 수용 결합된다. 여기서, 외캡(30)의 하부는 외캡(30)의 상면이 형성된 부분의 반대부분을 의미한다.
한편, 사용자는 외캡(30)을 회전시켜서, 용기본체(10)의 개구부를 개폐하므로, 외캡(30)에 회전력이 가해지면, 외캡(30)과 내캡(20)은 함께 회전한다. 다만, 내캡(20)은 잠금방향을 따라 제1 회전각(α, 도 3 내지 도 4 참조)까지 회전하다가 일차적으로 고정된다. 여기서, 잠금방향은 커버부(21)가 나사결합되어 잠길 때의 회전방향을 의미한다. 이때, 내캡(20)은 제1 회전각(α, 도 3 내지 도 4 참조)까지 회전하고, 용기본체(10)와의 마찰력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내캡(20)은 잠금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목부(11)가 연장된 용기본체(10)의 일면과 가까워지므로, 내캡(20)이 직간접적으로 용기본체(10)에 접촉하여 고정된다. 여기서, 내캡(20)이 용기본체(10)에 직간접으로 접촉된다고 함은 내캡(20)을 구성하는 부분이 직접 용기본체(10)에 접촉되거나, 내캡(20)에 결합된 부분이 용기본체(10)에 접촉되는 것을 의미한다. 즉, 내캡(20)을 구성하는 커버부(21), 후술할 결착부(25)나 연결체(27)가 용기본체(10)에 직접 접촉하거나, 후술할 걸림턱(80)과 같이 연결체(27)로부터 돌출 형성된 부분이 용기본체(10)에 접촉되어 내캡(20)이 간접적으로 접촉되는 것이다. 이러한 부분들이 용기본체(10)에 접촉하면, 마찰력이 발생하므로, 내캡(20)은 고정된다. 따라서, 외캡(30)과 내캡(20)은 제1 회전각(α, 도 3 내지 도 4 참조)까지 함께 회전하다가, 제1 회전각(α, 도 3 내지 도 4 참조)이후부터는, 내캡(20)이 마찰력에 의해서 고정되고, 외캡(30)만 회전한다. 구체적으로, 외캡(30)은 제1 회전각(α, 도 3 내지 도 4 참조)에서부터 잠금방향으로 제2 회전각(β, 도 4 참조)까지 내캡(20)에 대해서 회전한다. 즉, 제1 회전각(α, 도 3 내지 도 4 참조)에서부터 제2 회전각(β, 도 4 참조)까지, 외캡(30)은 내캡(20)과 분리되어 단독으로 회전하는 것이다.
날개(40)는 외캡(30)이 회전할 때에, 내캡(20)을 함께 회전시키거나, 소리를 발생시키는 부분으로서, 외캡(30)의 측면으로부터 외캡(30)의 내부를 향하여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때, 날개(40)는 요철부(23)의 홈에 삽입되어, 인접하는 2개의 돌기(24) 사이에 배치된다. 따라서, 외캡(30)이 제1 회전각(α, 도 3 내지 도 4 참조)까지 회전할 때에, 외캡(30)에서 돌출된 날개(40)는 요철부(23)의 돌기(24)에 접촉 고정되므로, 외캡(30)의 회전력을 내캡(20)에 전달한다. 이렇게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해, 외캡(30)과 내캡(20)은 목부(11)에 대해서 함께 회전한다. 다만, 제1 회전각(α, 도 3 내지 도 4 참조)에서 내캡(20)이 용기본체(11)와의 마찰력에 의해 일차적으로 고정되고, 외캡(30)이 제2 회전각(β, 도 4 참조)까지 내캡(20)에 대해서 단독으로 회전하면, 날개(40)는 요철부(23)의 돌기(24)를 순차적으로 넘어가면서 제1 소리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날개(40)는 요철부(23)의 홈에 삽입되되, 내캡(20)이 고정될 때에는 요철부(23)의 돌기(24)를 쉽게 넘을 수 있도록, 요철부(23)의 돌기(24)와 접촉되는 면이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진 빗면일 수 있다. 또한, 날개(40)는 유연하게 휘어지는 재료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날개(40)는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는데, 2개로 구성된 한쌍의 날개(40)가 외캡(30)의 회전축을 지나는 동축(同軸)상에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되어, 복수의 쌍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만, 복수 개의 날개(40)가 반드시 2개씩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외캡(30)의 회전축에 대해서 소정의 각도로 이루며 배치될 수도 있다. 한편, 날개(40)가 요철부(23)의 돌기(24)를 넘을 때에 발생하는 제1 소리는 내캡(20)이 일차적으로 고정되어, 용기본체(10)의 개구부가 밀폐되는 단계에 이르렀음을 알리는 역할을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는 내캡(20)이 외캡(30)의 내주면에 결착되도록, 내캡(20)은 결착부(25) 및 연결체(2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결착부(25)는 중공의 원통형 또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외주연이 외캡(30)의 내주면에 결착되도록, 외캡(30)의 내부에 삽입된다. 따라서, 외캡(30)이 내캡(20)에 대해서 회전하는 경우에는, 외캡(30)의 내주면이 결착부(25)의 외주연에 접하면서 회전한다. 한편, 결착부(25)의 내부 즉, 중공에는 커버부(21)가 배치되므로, 연결체(27)가 커버부(21)와 결착부(25)를 연결하여, 커버부(21)를 고정한다. 구체적으로, 연결체(27)는 커버부(21)의 외주연과 결착부(25)의 내주연 사이의 공간을 완전히 폐쇄하는 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연결체(27)가 반드시 이러한 판 형태로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막대 형상(도시되지 않음)이나 격자 형상(도시되지 않음)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는 내캡(20)이 용기본체(10)에 지지되도록, 용기본체(10)는 지지부(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부(13)는 용기본체(10)의 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단차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지지부는 결착부(25)의 하부에 삽입되어, 결착부(25)의 내주연에 밀착되므로, 내캡(20)은 지지부(13)에 의해 고정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는 내캡(20)과 외캡(30)이 분리되지 않도록, 결착턱(50) 및 결착홈(5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결착턱(50)은 결착부(25)의 외주연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때, 외캡(30)의 내주면이 결착부(25)의 외주연을 감싸므로, 결착턱(50)은 외캡(30)의 내주면 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이다.
결착홈(55)은 결착턱(50)이 삽입되도록, 외캡(30)의 내측면으로부터 함몰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결착홈(55)에 결착턱(50)이 삽입됨으로써, 외캡(30)은 내캡(2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내캡(20)에 결합된다. 이때, 결착홈(55)은 외캡(30)이 내캡(20)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도록 소정의 길이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외캡(30)이 내캡(20)에 대해서 회전할 때에, 외캡(30)이 결착턱(50)을 따라서 슬라이딩되도록, 결착홈(55)은 슬롯(slot) 형태로 형성된다. 즉, 외캡(30)의 회전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를 갖는 장홈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는 내캡(20)에 대해서 단독으로 회전하는 외캡(30)이 내캡(20)과 함께 회전하도록, 스토퍼(60) 및 가이드홈(6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60)는 결착부(25)의 외주연으로부터 결착부(25)를 감싸는 외캡(30)의 내주면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가이드홈(65)은 내부에 스토퍼(60)가 배치되도록 외캡(30)의 내주면으로부터 함몰되되, 외캡(30)이 내캡(20)에 대해서 회전하는 방향으로 소정이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가이드홈(65)은 외캡(30)에 형성되고, 스토퍼(60)는 내캡(20)의 결착부(25)에 배치되므로, 외캡(30)이 내캡(20)에 대해서 단독으로 회전할 때에, 외캡(30)의 회전방향에 따라 가이드홈(65)의 일단(65a) 또는 타단(65b)이 스토퍼(60)에 걸린다. 이때, 외캡(30)을 계속해서 회전시키면, 가이드홈(65)에 걸린 스토퍼(60)에 의해서, 외캡(30)의 회전력이 내캡(20)에 전달되므로, 외캡(30)과 내캡(20)이 함께 회전한다. 이러한 가이드홈(65)과 스토퍼(60)는 외캡(30)이 잠금방향 또는 그 반대인 풀림방향으로 회전할 때에, 외캡(30)의 회전력을 내캡(20)에 전달하는데, 자세한 사항은 후술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는 내캡(20)이 용기본체(10)의 개구부를 완전히 밀폐하고 용기본체(10)에 고정되도록, 걸림돌기(70) 및 걸림턱(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걸림돌기(70)는 용기본체(10)의 일면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때, 걸림돌기(70)는 목부(11)에 연결되어, 용기본체(10)의 일면과 목부(11)의 외주면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걸림돌기(70)는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걸림턱(80)은 걸림돌기(70)가 억지끼움되도록, 연결체(27)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걸림턱(80)은 2개의 턱으로 형성되는데, 그 중 하나의 턱은 내캡(20)이 외캡(30)과 함께 제2 회전각(β, 도 4 참조)으로부터 잠금방향으로 회전할 때에, 걸림돌기(70)가 타고 넘어갈 수 있도록, 걸림돌기(70)와 접촉하는 일면이 빗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반면, 다른 하나의 턱은 걸림돌기(70)가 넘어갈 수 없도록, 걸림돌기(70)와 접촉하는 면이 연결체(27)에 대하여 수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내캡(20)과 외캡(30)이 잠금방향으로 회전할 때에, 걸림돌기(70)가 걸림턱(80)을 구성하는 2개의 턱 사이에 억지끼움되어, 내캡(20)이 고정되므로, 내캡(20)과 외캡(30)은 더 이상 잠금방향으로 회전하지 않는다. 다만, 내캡(20)에 풀림방향으로 큰 회전력이 전달되면, 걸림돌기(70)가 걸림턱(80)에서 빠져 나오므로, 내캡(20)은 풀림방향으로 회전한다. 한편, 걸림돌기(70)가 복수 개인 경우에, 걸림턱(80)도 이에 대응하여 복수 개가 형성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가 작동되는 방식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캡(30)에 잠금방향으로 회전력을 가하면, 날개(40)가 요철부(23)의 홈에 삽입되므로, 외캡(30)과 내캡(20)은 함께 잠금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내캡(20)의 커버부(21)가 목부(11, 도 1 참조)에 나사결합되면서, 내캡(20)은 용기본체(10)의 일면에 점점 가까워진다. 이렇게, 외캡(30)과 내캡(20)은 제1 회전각(α)까지 함께 회전하지만, 내캡(20)은 제1 회전각(α)에서 용기본체(10)와의 마찰력에 의해서 일차적으로 고정된다. 여기서, 제1 회전각(α)은 회전축(l)을 중심으로 기준선(O)에서부터 잠금방향으로 회전하여, 내캡(20)이 일차적으로 고정될 때의 각도를 의미한다. 한편, 내캡(20)이 목부(11, 도 1 참조)에 나사결합되기 전의 스토퍼(60)는 가이드홈(65)의 일단(65a)에 접촉되어 있다. 따라서, 스토퍼(60)는 내캡(20)에 배치되고, 가이드홈(65)은 외캡(30)에 형성되므로, 외캡(30)과 내캡(20)이 제1 회전각(α)까지 함께 회전하는 동안에도, 스토퍼(60)는 가이드홈(65)의 일단(65a)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회전각(α)에서부터 잠금방향을 따라 제2 회전각(β)까지 회전하는 동안에는, 외캡(30)은 내캡(20)에 대하여 단독으로 회전한다. 이때, 날개(40)는 요철부(23)의 돌기(24)를 넘어가면서, 제1 소리를 발생시킨다. 한편, 내캡(20)이 제1 회전각(α)에서 고정되므로, 내캡(20)에 형성된 스토퍼(60)도 고정된다. 따라서, 외캡(30)이 단독으로 회전하는 동안에, 스토퍼(60)에 접촉되었던 가이드홈(65)의 일단(65a)은 스토퍼(60)에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렇게, 외캡(30)이 단독으로 회전하다가, 제2 회전각(β)에서 가이드홈(65)의 타단(65b)이 스토퍼(60)에 걸린다. 따라서, 제2 회전각(β)은 회전축(l)을 중심으로 기준선(O)에서부터 잠금방향으로 회전하여, 가이드홈(65)의 타단(65b)에 스토퍼(60)가 걸릴 때의 각도를 의미한다. 한편, 외캡(30)이 제2 회전각(β)을 넘어서 계속 회전하면, 가이드홈(65)의 타단(65b)이 스토퍼(60)에 걸리므로, 외캡(30)의 회전력이 내캡(20)에 전달되어, 외캡(30)과 내캡(20)이 함께 회전한다. 이때, 내캡(20)의 연결체(27)에 형성된 걸림턱(80)은 걸림돌기(70)를 향해서 이동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캡(30)과 내캡(20)이 함께 회전하여 걸림돌기(70)가 걸림턱(80)에 억지끼움되면, 내캡(20)은 용기본체(10)의 개구부를 완전히 밀폐하고, 용기본체(10)에 고정된다. 한편, 걸림돌기(70)가 걸림턱(80)에 억지끼움된 상태에서, 외캡(30)이 풀림방향으로 회전하면, 내캡(20)은 걸림돌기(70)와 걸림턱(80)에 의해 고정되므로, 외캡(30)이 내캡(20)에 대해서 단독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날개(40)가 요철부(23)의 돌기(24)를 넘어가므로, 제2 소리가 발생한다. 이러한 제2 소리는 외캡(30)이 단독으로 회전하여, 가이드홈(65)의 일단(65a)에 스토퍼(60)가 걸릴 때까지 발생한다. 왜냐하면, 외캡(30)이 단독으로 회전함에 따라서, 가이드홈(65)의 일단(65a)은 고정된 스토퍼(60) 방향으로 이동하고, 가이드홈(65)의 일단(65a)이 스토퍼(60)에 걸리면, 외캡(30)의 회전력이 내캡(20)에 전달되어, 외캡(30)과 내캡(20)이 함께 회전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외캡(30)이 잠금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서, 밀폐가 시작될 때에는 제1 소리가 발생하고, 밀폐가 완료된 상태에서 외캡(30)이 풀림방향으로 회전하면, 제2 소리가 발생한다. 이러한 제1 소리와 제2 소리를 통해서, 사용자는 캡이 제대로 잠겼는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도 6은 도 2의 A-A'라인에 따른 횡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B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는 외캡(30)이 내캡(20)에 대해서 회전하는 방향에 따라, 날개(40)가 요철부(23)의 돌기(24)의 일면(24a) 또는 타면(24b)에 맞닿는다. 구체적으로, 외캡(30)이 잠금방향(도 6에서의 시계방향)으로 내캡(20)에 대해서 회전할 때에는, 날개(40)가 요철부(23)의 돌기(24)의 일면(24a)에 맞닿고, 이에 의해서 제1 소리가 발생한다. 반면, 외캡(30)이 풀림방향(도 6에서의 반시계방향)으로 내캡(20)에 대해서 회전할 때에는, 날개(40)가 요철부(23)의 돌기(24)의 타면(24b)에 맞닿아서, 제2 소리가 발생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밀폐용기는 제1 소리와 제2 소리가 서로 동일할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철부(23)의 돌기(24)의 일면(24a)과 타면(24b)이 각각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 경우에는, 제1 소리와 제2 소리가 동일하다. 반면,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철부(23)의 돌기(24)의 일면(24a)과 타면(24b)이 서로 다른 형상으로 형성된 경우에는, 날개(40)가 맞닿는 면적과 시간의 차이로 인해서, 제1 소리와 제2 소리가 달라진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가 밀폐되는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는 외캡(30)과 용기본체(10)에 하나의 디자인(90)이 각각 분리되어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나의 디자인(90)을 구성하는 디자인(90)의 어느 한 부분(90a)은 외캡(30)에 배치되고, 그 디자인(90)의 다른 부분(90b)은 용기본체(10)에 배치된다. 이러한 디자인(90)은 외캡(30)이 풀림방향으로 내캡(20)에 대해서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한 때에, 하나로 정렬되어 통일된 이미지를 구현한다. 예를 들어, 하나의 디자인(90)은 병의 2차원 이미지이고, 병목의 일부분의 디자인은은 외캡(30)에 배치되며, 병목의 다른 부분과 병본체의 디자인은 용기본체(10)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걸림돌기(70)가 걸림턱(80)에 억지끼움된 상태에서, 외캡(30)이 풀림방향으로 내캡(20)에 대해서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하면, 병의 2차원 이미지는 하나로 정렬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밀폐용기는 내캡(20)이 용기본체(10)의 개구부를 밀폐한 상태에서, 외캡(30)을 회전시켜, 디자인(90)을 하나의 통일된 형태로 정렬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한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 용기본체 11: 목부
13: 지지부 20: 내캡
21: 커버부 23: 요철부
24: 돌기 25: 결착부
27: 연결체 30: 외캡
40 날개 50: 결착턱
55: 결착홈 60: 스토퍼
65: 가이드홈 70: 걸림돌기
80: 걸림턱 90: 디자인

Claims (10)

  1. 내부에 물품을 수납하고, 개구부가 형성된 일면으로부터 상기 개구부를 중심으로 관 형상의 목부가 연장 형성된 용기본체;
    일면이 폐쇄된 중공관 형상으로 상기 목부에 나사결합되는 커버부, 및 상기 커버부의 외주연을 따라 홈과 돌기가 반복 형성된 요철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가 나사결합되는 잠금방향을 따라 제1 회전각까지 회전하다가 고정되는 내캡;
    상면이 상기 커버부의 상부에 배치되고, 측면이 상기 상면의 테두리로부터 상기 용기본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내부에 상기 내캡이 수용 결합되고, 상기 제1 회전각까지 상기 내캡과 함께 회전하되, 상기 제1 회전각에서부터 상기 잠금방향으로 제2 회전각까지 상기 내캡에 대해서 회전하는 외캡; 및
    상기 외캡의 측면으로부터 상기 요철부의 홈에 삽입되도록 돌출되어, 상기 제1 회전각까지 상기 내캡과 상기 외캡을 함께 회전시키되, 상기 외캡이 상기 제2 회전각까지 회전할 때에는 상기 요철부의 돌기를 넘어가면서 제1 소리를 발생시키는 날개;
    를 포함하는 밀폐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캡은 상기 제1 회전각까지 회전하고 상기 용기본체와의 마찰력에 의해 고정되는 밀폐용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캡은
    내부에 상기 커버부가 배치된 중공의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외캡의 내부에 삽입되어, 외주연이 상기 외캡의 내주면에 결착되는 결착부; 및
    상기 커버부를 상기 결착부에 연결하여 고정하는 연결체;
    를 더 포함하는 밀폐용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결착부의 외주연으로부터 상기 외캡의 내주면 방향으로 돌출된 결착턱; 및
    상기 외캡이 상기 내캡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외캡의 내주면으로부터 함몰되어, 상기 결착턱이 삽입되는 결착홈;
    을 더 포함하는 밀폐용기.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결착부의 외주연으로부터 상기 외캡의 내주면 방향으로 돌출된 스토퍼; 및
    내부에 상기 스토퍼가 배치되도록 상기 외캡의 내주면으로부터 함몰되되, 상기 외캡이 상기 내캡에 대해서 회전하는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 가이드홈;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외캡이 상기 잠금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가이드홈의 일단에 접촉되는 상기 스토퍼가 상기 제 2회전각에서 상기 가이드홈의 타단에 걸려서, 상기 외캡과 상기 내캡이 함께 회전하는 밀폐용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된 걸림돌기; 및
    상기 걸림돌기가 억지끼움되도록 상기 연결체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내캡을 고정시키는 걸림턱;
    을 더 포함하는 밀폐용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걸림턱에 억지끼움된 상태에서, 상기 외캡이 상기 잠금방향과 반대되는 풀림방향으로 회전하는 때에, 상기 스토퍼가 상기 가이드홈의 일단에 걸릴 때까지, 상기 외캡은 상기 내캡에 대해서 회전하고,
    상기 외캡이 상기 풀림방향으로 상기 내캡에 대해서 회전할 때에, 상기 날개가 상기 요철부의 돌기를 넘어가면서 제2 소리를 발생시키는 밀폐용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 소리와 상기 제2 소리가 동일한 밀폐용기.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외캡이 상기 잠금방향으로 상기 내캡에 대해서 회전할 때에, 상기 날개가 맞닿는 상기 요철부의 돌기의 일면과, 상기 외캡이 상기 풀림방향으로 상기 내캡에 대해서 회전할 때에, 상기 날개가 맞닿는 상기 요철부의 돌기의 타면이 서로 다른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소리와 상기 제2 소리가 서로 다른 밀폐용기.
  10. 청구항 7에 있어서,
    하나의 디자인이 상기 외캡과 상기 용기본체에 각각 분리되어 배치되고, 상기 외캡이 상기 풀림방향으로 상기 내캡에 대해서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할 때에, 상기 디자인이 하나로 정렬되는 밀폐용기.
KR1020140150138A 2014-10-31 2014-10-31 밀폐용기 KR1017026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0138A KR101702654B1 (ko) 2014-10-31 2014-10-31 밀폐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0138A KR101702654B1 (ko) 2014-10-31 2014-10-31 밀폐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3170A KR20160053170A (ko) 2016-05-13
KR101702654B1 true KR101702654B1 (ko) 2017-02-06

Family

ID=56023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0138A KR101702654B1 (ko) 2014-10-31 2014-10-31 밀폐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26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0028B1 (ko) * 2021-08-03 2023-02-16 주식회사 브이에스엘 회전구이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1436Y1 (ko) 2005-04-28 2005-08-04 박창수 용기의 뚜껑 개폐구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6598Y1 (ko) 2000-07-13 2000-12-01 주식회사코메드 이중캡 구조의 배지용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1436Y1 (ko) 2005-04-28 2005-08-04 박창수 용기의 뚜껑 개폐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3170A (ko) 2016-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60578B2 (en) Child resistant lid and packaging
KR101390289B1 (ko) 공기밀폐 기능을 갖는 화장품 케이스
ES2550582T3 (es) Envase para producto cosmético
CN109398927A (zh) 盖单元以及饮料用容器
JP2013075672A (ja) レフィール容器及び二重容器
KR101702654B1 (ko) 밀폐용기
US20140263317A1 (en) Bottle Cap Replacement
US9474350B2 (en) Retractable cosmetic pencil
US6409403B1 (en) Glue stick
KR20150047200A (ko) 회전 개폐형 튜브용기
JP2018522670A (ja) コンパクト容器
JP2011251739A (ja) 中栓付き容器
KR101491386B1 (ko) 용기용 캡의 구조
JP6173892B2 (ja) 二重容器
KR101590402B1 (ko) 회전개폐형 화장품 용기
TWI403436B (zh) Close the container of the container
KR20210000817U (ko) 스포이드 형 화장품 용기
KR20160088073A (ko) 개폐성과 기밀성이 향상된 화장품 용기
CN210192258U (zh) 一种儿童锁盒子
JP3928996B2 (ja) 詰め替え型容器
WO2018174171A1 (ja) 薬液供給器具
KR101433902B1 (ko) 개폐가 용이한 밀폐용기
KR200487723Y1 (ko) 간편한 착탈방식을 갖는 용기
KR101945415B1 (ko) 화장품 용기
WO2018025635A1 (ja) カバー付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