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0028B1 - 회전구이기 - Google Patents

회전구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0028B1
KR102500028B1 KR1020210101801A KR20210101801A KR102500028B1 KR 102500028 B1 KR102500028 B1 KR 102500028B1 KR 1020210101801 A KR1020210101801 A KR 1020210101801A KR 20210101801 A KR20210101801 A KR 20210101801A KR 102500028 B1 KR102500028 B1 KR 1025000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roasting
rotating
grilling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18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20134A (ko
Inventor
안영순
남미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브이에스엘
남미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브이에스엘, 남미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브이에스엘
Priority to KR10202101018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0028B1/ko
Publication of KR202300201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01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00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00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 A47J37/047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with rotating drums or bask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45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motor-driven food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9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ood processing or handling, e.g. food conservation
    • Y02A40/924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ood processing or handling, e.g. food conservation using renewable energies
    • Y02A40/928Cooking stoves using biom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향되는 양 측벽(12,13)을 포함하는 설치부(11)가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설치부(11)의 양 측벽(12,13)에 U형상, 다각형 또는 원형의 회전지지부(14)이 형성된 본체프레임(10); 통 또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양단부에는 제1회전돌기(34)가 돌출된 제1구이틀(30)과, 이 제1구이틀(30)과 정합되는 통 또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양단부에는 제2회전돌기(44)가 상기 제1회전돌기(34)와 정합 또는 대향배치되도록 돌출된 제2구이틀(40)로 2분할되며, 상기 제1구이틀(30)의 제1회전돌기(34)와 제2구이틀(40)의 제2회전돌기(44)가 상기 본체프레임(10)의 회전지지부(14)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는 회전축(21)을 형성하는 구이틀(20); 및 상기 구이틀(20)의 회전축(21)에 연결되어 구이틀(20)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구이기이다.

Description

회전구이기{A rotating type roaster}
본 발명은 회전구이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이물이 타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이지 않아도 되므로 편리하고 2분할된 구이틀이 별도의 경첩이나 록킹장치 없이 내부에 구이물이 채워진 상태로 함께 원활하게 회전되면서도 상호 완전히 분리됨에 따라 세척이 용이하고 부피가 줄어 보관이 용이하며 제작이 간편하고 비용이 절감되며, 2분할된 구이틀에 모터가 직결되어 동력손실 및 부품수가 줄고 부품의 유지보수와 교체가 요구되지 않아서 비용이 더욱 절감되어 가격경쟁력이 우수한 회전구이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육류나 생선류 등의 구이물은 석쇠에 올려서 직화로 구우면 풍미가 더해지므로 직화구이가 많이 선호되고 있다. 이와 같은 직화구이는 보통 부탄가스, 장작, 숯, 연탄 등의 열원의 상측에 석쇠가 놓여지고, 석쇠에 구이물을 올려서 굽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직화구이는 구이물이 직화열에 의해 쉽게 타는 경향이 있어, 구이물이 타지 않도록 적절한 시기에 뒤집어 주어야 하고, 다 익은 구이물은 타지 않도록 석쇠 밖으로 빼내야 하는 등 구이물을 굽는 동안 세심하게 주의를 기울여야 하므로 여유로운 식사를 즐길 수 없게 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석쇠의 상면에 구이물을 많이 올려놓고 구울 경우 석쇠의 표면에 구이물이 눌어붙어 지저분하게 되므로 석쇠를 자주 교체해 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원통형의 구이통을 회전시키는 형태의 회전구이기가 제안되었다. 이와 같은 회전구이기는 원통형의 구이통이 한 쌍의 반원통체로 2분할되고 각각의 일단부가 경첩에 의해 상호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부에는 상호 고정되는 록킹장치가 구비된다. 또한 구이통의 단부에 구비된 회전축은 구동모터의 모터축과 벨트와 풀리 또는 체인과 스프로켓에 의해 구동접속된다.
그런데 종래 원통형 회전구이기는 한 쌍의 반원통체가 경첩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므로, 사용한 후 각 반원통체의 내측면을 세척하기 위해서는 한 쌍의 반원통체를 회전시킨 상태로 세척을 해야 하기 때문에 세척이 쉽지 않은데 특히, 경첩부위는 틈새가 좁아서 세척이 더욱 쉽지 않은 문제가 있다. 또한 한 쌍의 반원통체가 분리되지 않으므로 원통형으로 보관해야 하기 때문에, 부피가 커서 공간을 많이 차지하므로 보관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한편, 경첩과 록킹장치를 각각의 반원통체에 장착해야 하므로 부품수가 증가되어 비용이 증가되고 제작이 번거로우며 제작공정이 추가되어 생산성이 저하되며 이로 인해 가격경쟁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종래 원통형 회전구이기는 구이통의 회전축을 모터축과 벨트와 풀리 또는 체인과 스프로켓에 의해 구동접속시킴에 따라 부품수가 증가되어 비용이 증가되며, 부품수 증가로 인해 회전구이기의 사이즈가 커져서 보관이 불편하고, 동력이 손실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벨트와 체인에 구이시 발생되는 기름이 묻어서 벨트가 손상되거나 체인이 녹스는 등으로 인해 유지보수나 교체비용이 추가적으로 요구되는 문제가 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8957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경첩과 록킹장치 없이 2분할된 구이틀을 내부에 내용물이 채워진 상태로 상호 이탈되지 않고 함께 원활하게 회전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주의를 기울이지 않고도 구이물을 용이하게 구울 수 있으면서도 2분할된 구이틀이 완전히 분리됨에 따라 세척이 용이하고 부피가 줄어 보관도 용이하며 경첩과 록킹장치를 장착시킬 필요가 없어 부품수 절감에 따른 비용이 절감되고 제작공정이 간소화되어 생산성이 향상되며, 2분할된 구이틀에 모터축이 직결되어 구조가 간단하고 부품수가 줄고 부품의 유지보수와 교체가 요구되지 않아서 비용이 절감되며 사이즈가 줄어 보관이 용이하며 동력손실이 줄어 에너지비용이 절감되어, 이로 인해 가격경쟁력이 향상된 회전구이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대향되는 양 측벽(12,13)을 포함하는 설치부(11)가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설치부(11)의 양 측벽(12,13)에 U형상, 다각형 또는 원형의 회전지지부(14)이 형성된 본체프레임(10); 통 또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양단부에는 제1회전돌기(34)가 돌출된 제1구이틀(30)과, 이 제1구이틀(30)과 정합되는 통 또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양단부에는 제2회전돌기(44)가 상기 제1회전돌기(34)와 정합 또는 대향배치되도록 돌출된 제2구이틀(40)로 2분할되며, 상기 제1구이틀(30)의 제1회전돌기(34)와 제2구이틀(40)의 제2회전돌기(44)가 상기 본체프레임(10)의 회전지지부(14)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는 회전축(21)을 형성하는 구이틀(20); 및 상기 구이틀(20)의 회전축(21)에 연결되어 구이틀(20)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구이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구이틀(20)의 회전축(21)의 외주면에는 상기 본체프레임(10)의 회전지지부(14)의 내측단(14a)이 삽입되는 가이드홈(35,45)이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구이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구이틀(30)의 양단부에는 걸림돌기(38) 또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제2구이틀(40)의 양단부에는 제1구이틀(30)의 걸림돌기(38) 또는 걸림턱이 걸려지는 걸림턱(46) 또는 걸림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구이기가 제공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구이틀(20)이 제1 및 제2구이틀(30,40)로 2분할되고 구이틀(20)의 회전축(21)이 제1구이틀(30)의 제1회전돌기(34)와 제2구이틀(40)의 제2회전돌기(44)로 이루어져서 본체프레임(10)의 회전지지부(14)에 끼워지므로, 제1구이틀(30)이 제2구이틀(40)과 경첩 및 록킹장치가 없이도 내부에 구이물이 채워진 상태로 상호 이탈되지 않고 함께 회전되면서 구이물이 구워진다. 이에 따라, 제1구이틀(30)이 제2구이틀(40)에 경첩과 록킹장치를 장착할 필요가 없어 부품수가 줄기 때문에 비용이 절감되고, 제작공정이 간소화되어 생산성이 향상되므로 가격경쟁력이 향상된다. 또한 종래와 같이 한 쌍의 반원통체가 경첩에 의해 결합되어 상호 분리되지 않아서 원통형으로 보관해야 하기 때문에 부피가 크지만, 본 발명은 제1구이틀(30)이 제2구이틀(40)과 완전히 분리된 상태이므로, 분리시켜 보관할 수 있어 부피가 줄기 때문에 보관이 용이하고, 분리하여 세척할 수 있어 세척이 용이한데 특히, 경첩부위의 좁은 틈새를 세척할 필요가 없어 세척이 더욱 용이하다.
그리고 상기 구이틀(20)의 회전축(21)의 외주면에 본체프레임(10)의 회전지지부(14)의 내측단(14a)이 삽입되는 가이드홈(35,45)이 형성되므로, 구이틀(20)이 회전되면서 발생되는 진동 등에 의해 회전축(21) 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이 방지되어 모터축(51)이 회전축(21)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기 때문에 구이틀(20)이 보다 안정적이 원활하게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제1구이틀(30)의 양단부에는 걸림돌기(38) 또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제2구이틀(40)의 양단부에는 제1구이틀(30)의 걸림돌기(38) 또는 걸림턱이 걸려지는 걸림턱(46) 또는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제2구이틀(40)이 제1구이틀(30)에서 회전축(21) 방향으로 어긋나는 것이 방지된다. 이에 따라, 구이틀(20)이 회전되더라도 제1구이틀(30)과 제2구이틀(40)이 어긋나면서 구이물이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구이기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상기 실시예의 구이틀의 분해사시도
도 3은 상기 실시예의 구동모터가 장착된 상태의 측단면도
도 4는 상기 실시예의 구이틀의 회전을 보인 측면도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구이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구이기는 본체프레임(10), 구이틀(20) 및 구동모터(5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프레임(10)은 일측에 상기 구이틀(20)이 설치되는 설치부(11)가 형성된다. 설치부(11)는 서로 이격된 대향되는 양 측벽(12,13)을 포함하는 형태로 이루어지는데, 도 1과 같이 직사각형의 공간으로 이루어진 것을 예시하였고 적어도 상면이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설치부(11)의 대향되는 각 측벽(12,13)에 각각 회전지지부(14)이 형성된다. 이 회전지지부(14)은 U형상, 다각형 또는 원형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도 2와 같이 U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예시하였다. 이때, U형상은 내측이 원호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1과 같이 본체프레임(10)의 측벽(12,13)에는 회전지지부(14)의 양측에 상단에서 하향 연장된 한 쌍의 절개홈(15,16)이 형성된다. 이 절개홈(15)은 상기 구동모터(50)를 장착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본체프레임(10)에는 상기 구이틀(20)에 수용된 구이물을 굽는 도시안된 열원이 구비될 수 있는데, 도 1과 같이 열원으로 숯이 수용되는 숯통(17)이 구비된 것을 예시하였다. 그리고 한편, 도시하진 않았지만 본체프레임(10)의 상면을 커버하는 커버프레임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이틀(20)은 내부에 구이물이 수용되며 본체프레임(10)의 설치부(1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구이물을 굽는 것으로, 제1 및 제2구이틀(30,40)이 2분할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때, 제1 및 제2구이틀(30,40)은 서로 정합되는 통 또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도 2와 같이 통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예시하였다. 여기서, 통은 단면이 원형인 원통, 타원형인 통, 다각형인 통이 축방향으로 2분할된 형태를 의미한다.
도 2와 같이, 제1 및 제2구이틀(30,40)은 각각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측판(31,32,41,42)과, 이 측판(31,32,41,42)을 연결하는 연결부(33,43)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연결부(33,43)는 타공판도 가능하지만, 측판(31,32,41,42)의 가장자리를 연결하되 서로 이격 배치된 와이어로 이루어져서 구이물에 열이 좀 더 용이하게 접촉되도록 하여 직화의 맛을 더욱 살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1 및 제2구이틀(30,40)의 측판(31,32,41,42)은 서로 정합되면 원형, 타원형, 다각형 등의 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런데 측판(31,32,41,42)이 원형의 경우 원통형상의 구이틀이 회전되면 구이물이 내부에서 미끄러짐에 따라 열전달이 저하되어 구이물을 골고루 익힐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구이틀 내부에서 구이물의 접촉면적이 상대적으로 작아 많은 양의 구이물을 신속하게 익힐 수 없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제1 및 제2구이틀(30,40)의 측판(31,32,41,42)은 서로 정합되면 다각형을 이루어서 구이틀(20)이 다각통체 형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 1 및 도 4와 같이 제1 및 제2구이틀(30,40)의 측판(31,32,41,42)은 서로 정합되면 6각형을 이루는 것을 예시하였다. 이에 따라, 구이틀(20)은 6각 통체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예시하였다.
한편, 도 1과 같이 구이틀(20)의 양단부에는 상기 본체프레임(10)의 회전지지부(14)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는 회전축(21)이 돌출되는데, 도 2와 같이 상기 회전축(21)은 제1 및 제2구이틀(30,40)의 양단부에서 각각 돌출되어 정합 또는 대향배치된 제1 및 제2회전돌기(34,44)로 이루어진다.
도 4와 같이, 제1 및 제2구이틀(30,40)이 개방부가 측방을 향하도록 회전될 때, 제1 및 제2회전돌기(34,44)가 본체프레임(10)의 회전지지부(14)의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제1 및 제2구이틀(30,40)이 벌어지는 것이 방지되어 구이물이 구이통(20)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바람직하게는, 도 1 및 도 4와 같이, 제1구이틀(30)의 제1회전돌기(34) 및 제2구이틀(40)의 제2회전돌기(44)는 단면 반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회전축(21)은 원형단관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예시하였다. 도 4와 같이, 구이틀(20)의 회전축(21)이 본체프레임(10)의 회전지지부(14)의 원호형상의 내주면과 대응되는 외경을 갖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구이틀(20)이 회전될 때 제1 및 제2회전돌기(34,44)가 본체프레임(10)의 회전지지부(14)의 내주면에 항상 밀착되므로, 제1 및 제2구이틀(30,40)이 벌어지는 것이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상기 구동모터(50)는 상기와 같이 본체프레임(10)의 설치부(1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구이틀(20)을 회전축(21)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것으로, 모터축(51)이 구이틀(20)의 회전축(21)에 연결된다. 이때, 구동모터(50)의 모터축(51)이 구이틀(20)의 회전축(21)에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1과 같이, 상기 구이틀(20)의 회전축(21)의 선단 또는 구동모터(50)의 모터축(51)의 선단에 축연결공(37)이 형성되고, 구동모터(50)의 모터축(51), 구이틀(20)의 회전축(21) 또는 상기 회전축(21)의 선단에서 돌출된 결합돌기가 상기 축연결공(37)에 맞물려서 함께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풀리와 벨트 또는 체인과 스프로켓과 같은 부품없이 구동모터(50)의 모터축(51)이 구이틀(20)의 회전축(21)에 직결되므로, 부품수가 줄어 비용이 절감되고 사이즈가 줄어 보관이 용이하며 구이시 발생되는 기름 등에 의해 벨트나 체인이 손상되어 유지보수나 교체가 요구되지 않아서 추가비용이 들지 않으며, 전체적인 사이즈가 줄어 콤팩트해지므로 보관이 용이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1과 같이 구이틀(20)의 회전축(21)에 6각형의 축연결공(37)이 형성되고, 구동모터(50)의 모터축(51)이 단면 6각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예시하였다. 이때, 제1회전돌기(34) 또는 제2회전돌기(44)의 선단에는 축연결공(37)이 형성된 회전결합판(36)이 구비된 형태일 수 있는데, 도 2와 같이, 제1구이틀(30)의 제1회전돌기(34)의 선단에 회전결합판(36)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구이틀(30)이 상면이 개방되도록 제1회전돌기(34)를 본체프레임(10)의 회전지지부(14)에 삽입하고 구동모터(50)의 모터축(51)을 제1구이틀(30)의 회전결합판(36)의 축연결공(37)에 끼운상태에서 제1구이틀(30) 내부에 음식물을 채우고 제2구이틀(40)로 제1구이틀(30)의 개방된 상면을 막기만 하면 구동모터(50)의 구동에 의해 제1 및 제2구이틀(30,40)이 정합된 상태로 회전되면서 음식물이 구워지므로, 사용자가 제1 및 제2구이틀(30,40)에 음식물을 채운상태로 들고 이동시켜 구동모터(50)의 모터축(51)에 연결할 필요가 없어 힘이 들지 않고 음식물에서 육즙과 같은 배출물이 배출되지 않아서 주변이 더러워지는 것이 방지되고 이로 인해 청소가 용이하다. 그리고 음식물이 다 구워지면, 제1구이틀(30)을 구동모터(50)의 모터축(51)에서 분리킬 필요없이 제2구이틀(40)만 제1구이틀(30)에서 분리해내면 음식물을 반출할 수 있어 편리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구이기는 구이틀(20)의 회전축(21)의 외주면에 본체프레임(10)의 회전지지부(14)의 내측단(14a)이 삽입되도록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가이드홈(35,45)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즉, 가이드홈(35,45)은 제1회전돌기(34)의 제1가이드홈(35) 및 제2회전돌기(44)의 제2가이드홈(45)이 회전축(21)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때, 본체프레임(10)의 회전지지부(14)의 내측단(14a)은 회전지지부(14)의 내주면이거나 또는 내주면에서 내향돌출된 돌기 형태일 수 있는데, 도 3과 같이 본체프레임(10)의 측벽(12,13) 자체가 판상으로 이루어져서 회전지지부(14)의 내주면 자체인 것을 예시하였다.
이와 같이, 본체프레임(10)의 회전지지부(14)에 끼워진 구이틀(20)의 회전축(21)에 상기 회전지지부(14)의 내측단(14a)이 삽입되는 가이드홈(35,45)이 형성되므로, 구이틀(20)이 회전축(21)을 중심으로 회전됨에 따라 진동에 의해 회전축(21) 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이 방지되기 때문에, 구동모터(50)의 모터축(51)이 구이틀(20)의 회전축(21)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구이기는 제1구이틀(30)과 제2구이틀(40)이 회전축(21) 방향으로 서로 어긋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2와 같이, 제1구이틀(30)의 측판(31,32)에는 걸림돌기(38) 또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제2구이틀(40)의 측판(41,42)에는 제1구이틀(30)의 걸림돌기(38) 또는 걸림턱이 걸려지는 걸림턱(46) 또는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제2구이틀(40)이 제1구이틀(30)에서 회전축(21) 방향으로 어긋나는 것이 방지된다. 이에 따라, 구이틀(20)이 회전되더라도 제1구이틀(30)과 제2구이틀(40)이 어긋나면서 구이물이 구이틀(20)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때, 도 2와 같이 상기 걸림턱(46)은 걸림홈 형태로 이루어져서, 제1구이틀(30)과 제2구이틀(40)이 회전축(21)의 폭방향으로 어긋나는 것까지 방지할 수 있으므로, 상기의 효과가 더욱 증대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구이기는 도 1 및 도 3과 같이, 제1구이틀(30)이 제2구이틀(40)과 정합되어 다각통체의 구이틀(20)이 형성된 상태로 회전축(21)이 본체프레임(10)의 회전지지부(14)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며, 구동모터(50)의 모터축(51)이 구이틀(20)의 회전축(21)의 축연결공(37)에 결합된다. 이때, 제1구이틀(30)과 제2구이틀(40)이 결합된 상태의 구이틀(20) 내부에는 구이물이 채워진다.
그리고 구동모터(50)는 본체프레임(10)이 올려지는 테이블 등에 놓여질 수도 있지만, 도 1 및 도 3과 같이 모터지지대(60)에 거치될 수 있다. 모터지지대(60)는 구동모터(50)가 장착되는 지지대본체(61)와, 이 지지대본체(61)에 장착되어 구동모터(50)를 은폐시키는 커버프레임(62)으로 이루어진 것을 예시하였다. 이때, 커버프레임(62)에는 본체프레임(10)의 절개홈(15,16)에 끼워져서 측벽(12,13)의 상단에 착탈가능하게 걸려지는 행거(63)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동모터(50)를 모터지지대(60)를 이용하여 본체프레임(10)에 착탈시킬 수 있으므로, 단일제품의 부피가 줄어 보관이 용이하고 거치시키는 테이블 등의 사이즈가 작아도 보다 안전하게 거치시킬 수 있어 사용편의성이 향상된다.
도 4와 같이, 제1구이틀(30)과 제2구이틀(40)이 단일의 구이틀(20)을 이룬 상태로 회전축(21)을 중심으로 회전될 때, 제1구이틀(30)의 제1회전돌기(34)와 제2구이틀(40)의 제2회전돌기(40)가 본체프레임(10)의 회전지지부(14)의 내부에 끼워진 상태로 회전되므로, 제1구이틀(30)과 제2구이틀(40)이 별도의 록킹장치가 없이도 상호 이탈되지 않고 원활하게 회전된다. 이에 따라, 제1구이틀(30)이 제2구이틀(40)에 경첩과 록킹장치를 장착할 필요가 없어 부품수가 줄기 때문에 비용이 절감되고, 제작공정이 간소화되어 생산성이 향상되므로 가격경쟁력이 향상된다. 또한 종래와 같이 한 쌍의 반원통체가 경첩에 의해 결합되어 상호 분리되지 않아서 원통형으로 보관해야 하기 때문에 부피가 크지만, 본 발명은 제1구이틀(30)이 제2구이틀(40)과 완전히 분리된 상태이므로, 분리시켜 보관할 수 있어 부피가 줄기 때문에 보관이 용이하고, 분리하여 세척할 수 있어 세척이 용이한데 특히, 경첩부위의 좁은 틈새를 세척할 필요가 없어 세척이 더욱 용이하다.
그리고 구이틀(20)이 회전되면서 내부의 구이물이 구워지므로, 종래 고정된 석쇠위에 올려저서 위치가 고정된 구이물이 지속적으로 열과 접촉되면서 타게 되는 것에 비해, 구이물이 계속 움직이면서 열과 단속적으로 접촉되기 때문에 구이물이 타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구이물이 타는지 여부를 계속 관찰할 필요가 없어서 여유롭고 편안하게 식사를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 : 본체프레임 11 : 설치부
14 : 회전지지부 20 : 구이틀
21 : 회전축 30 : 제1구이틀
34 : 제1회전돌기 38 : 걸림돌기
40 : 제2구이틀 44 : 제2회전돌기
46 : 걸림턱 50 : 구동모터
51 : 모터축 60 : 모터지지대

Claims (3)

  1. 대향되는 양 측벽(12,13)을 포함하는 설치부(11)가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설치부(11)의 양 측벽(12,13)에 U형상, 다각형 또는 원형의 회전지지부(14)가 형성된 본체프레임(10);
    통 또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양단부에는 제1회전돌기(34)가 돌출된 제1구이틀(30)과, 이 제1구이틀(30)과 정합되는 통 또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양단부에는 제2회전돌기(44)가 상기 제1회전돌기(34)와 정합 또는 대향배치되도록 돌출된 제2구이틀(40)로 2분할되며, 상기 제1구이틀(30)의 제1회전돌기(34)와 제2구이틀(40)의 제2회전돌기(44)가 상기 본체프레임(10)의 회전지지부(14)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는 회전축(21)을 형성하는 구이틀(20); 및
    상기 구이틀(20)의 회전축(21)에 연결되어 구이틀(20)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50);를 포함하여 상기 구이틀(20)의 제1 및 제2구이틀(30,40)이 서로 정합된 상태로 본체프레임(10)에서 서로 분리되지 않고 회전되며,
    상기 구이틀(20) 중 제1구이틀(30)의 제1회전돌기(34)의 선단에는 구동모터(50)의 모터축(51)이 결합되는 축연결공(37)을 갖는 회전결합판(36)이 구비되어, 제1구이틀(30)이 상면이 개방되도록 본체프레임(10) 및 모터축(51)에 연결된 상태로 제2구이틀(40)이 제1구이틀(30)의 상면을 개폐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구이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이틀(20)의 회전축(21)의 외주면에는 상기 본체프레임(10)의 회전지지부(14)의 내측단(14a)이 삽입되는 가이드홈(35,45)이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구이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이틀(30)의 양단부에는 걸림돌기(38) 또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제2구이틀(40)의 양단부에는 제1구이틀(30)의 걸림돌기(38) 또는 걸림턱이 걸려지는 걸림턱(46) 또는 걸림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구이기.
KR1020210101801A 2021-08-03 2021-08-03 회전구이기 KR1025000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1801A KR102500028B1 (ko) 2021-08-03 2021-08-03 회전구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1801A KR102500028B1 (ko) 2021-08-03 2021-08-03 회전구이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0134A KR20230020134A (ko) 2023-02-10
KR102500028B1 true KR102500028B1 (ko) 2023-02-16

Family

ID=85223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1801A KR102500028B1 (ko) 2021-08-03 2021-08-03 회전구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002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1168Y1 (ko) * 2002-04-12 2002-07-13 태양러버머신엔지니어링 주식회사 고기 구이기
KR102206138B1 (ko) * 2020-03-13 2021-01-22 주식회사 쿡메이트 회전형 구이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99651A (ja) * 1998-04-27 1999-11-02 Haruo Yuki 食材を焼き上げるための装置と食材を入れる焼きかご
KR200478957Y1 (ko) 2014-07-23 2015-12-04 안요성 회전식 구이기
KR101702654B1 (ko) * 2014-10-31 2017-02-06 (주)소망유리 밀폐용기
KR20180002648U (ko) * 2018-03-23 2018-09-05 김민상 육각 구이통 회전 구이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1168Y1 (ko) * 2002-04-12 2002-07-13 태양러버머신엔지니어링 주식회사 고기 구이기
KR102206138B1 (ko) * 2020-03-13 2021-01-22 주식회사 쿡메이트 회전형 구이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0134A (ko) 2023-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6834B1 (ko) 열전달이 용이한 회전식 구이기
KR200478957Y1 (ko) 회전식 구이기
KR102500028B1 (ko) 회전구이기
KR101136198B1 (ko) 고기 구이용 가마
KR200434678Y1 (ko) 회전식 꼬치구이기계
KR100843323B1 (ko) 회전식 바베큐 장치
KR20150080758A (ko) 보온유지가 되어 구이용 음식물이 빠르고 균일하게 익힘이 가능한 숯불구이기
KR200166301Y1 (ko) 회전식꼬치구이장치
KR102591752B1 (ko) 회전구이기
KR102488649B1 (ko) 회전구이기
KR200166365Y1 (ko) 꼬지바베큐 자동구이기
KR20140140998A (ko) 바비큐 겸용 숯불구이기
KR200244890Y1 (ko) 양념육류 구이기
KR200321537Y1 (ko) 석쇠
KR102465742B1 (ko) 회전식 육류 구이장치
KR20120007809U (ko) 회전 구이기
KR20160003168U (ko) 누드 군밤 제조장치
US20060260474A1 (en) Kabob pan
KR100610271B1 (ko) 회전식 숯불 구이기
KR200318943Y1 (ko) 육류구이장치
KR200169901Y1 (ko) 꼬치회전구이장치
KR100513155B1 (ko) 육류구이장치
KR200273836Y1 (ko) 숯불 바베큐장치
KR200439130Y1 (ko) 바베큐 구이기용 석쇠
KR200342613Y1 (ko) 고기구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