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7809U - 회전 구이기 - Google Patents

회전 구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7809U
KR20120007809U KR2020110003867U KR20110003867U KR20120007809U KR 20120007809 U KR20120007809 U KR 20120007809U KR 2020110003867 U KR2020110003867 U KR 2020110003867U KR 20110003867 U KR20110003867 U KR 20110003867U KR 20120007809 U KR20120007809 U KR 2012000780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rod
fixed
food
roa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38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창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로팬저머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로팬저머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로팬저머니
Priority to KR20201100038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7809U/ko
Publication of KR2012000780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780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 A47J37/041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with food support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23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 A47J37/0664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45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motor-driven food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일측 브래킷(10) 및 타측 브래킷(30) 그리고 전측면(50) 및 후측면(60)을 비롯한 바닥면(70)과 함께 커버(80)로서 폐쇄된 상태로 발열체(40)의 열을 전량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조리물(J)의 구이공간이 마련되어 열효율의 극대화를 도모할 수 있고, 특히 최소화된 구성으로 조리물(J)을 신속 간단하게 구울 수 있게 되어 생산성은 물론이거니와 주방의 어디서든 극히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회전 구이기{MACHINE FOR ROASTING MEAT USING THE ROTATION}
본 고안은 회전 구이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간단 구성으로 열효율을 높이면서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회전 구이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회전 회전 구이기는 육류 생선 등을 열원에 직접 닿지 않도록 공중에 띄운 상태에서 회전시키면서 익히거나 굽는 일종의 로스터(Roster)라 할 수 있으며, 이미 다종다양한 제품들이 출시 및 공지되어 있다.
도 1a는 제 1 선출원(20-1996-000958)에 따른 꼬치 구이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1b는 제 1 선출원에 따른 꼬치 구이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a 및 도 1b에는 개구부(11)를 갖는 장방형의 몸체(1) 내부에는 길이 방향으로 다수의 세라믹히터(2)가 배열 설치되고, 그 하부에는 일측에 배출공(31a)을 갖는 유도홈(31)이 형성된 반사판(3)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반사판(3)의 하부에는 배출공(31a)에 대향하는 상기 몸체(1)측부에 소정 형상의 용기(4)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가열부를 이루고, 상기 몸체(1)의 길이 방향 측부에 판체로 된 지지벽(6)이 이격 설치되어 그 사이에 모터(M) 동력을 받은 공전 로울러(M1)가 침착된 채로 자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몸체(1) 측벽과 상기 지지벽(6)의 상부에 상호 대향하는 형상으로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삽입홈(61)이 형성되되, 상기 양측 삽입홈(61) 각각에 대응하여 자전 지지되도록 놓이고 상기 몸체(1) 내측 방향의 상기 지지봉(71) 단부에 소정 크기의 육류를 포함한 음식물을 꽂도록 형성된 꼬챙이(8)와, 상기 양측 삽입홈(61) 사이의 상기 지지봉(71) 상에 외면이 너얼링 처리되어 상기 공전 로울러(M1)에 감착되는 벨트(V)에 접촉되는 마찰부(72)가 구비된 자전 로울러(7)를 포함하여 구성된 제 1 선출원에 따른 꼬치 구이기가 개시되어 있다. 제 1 선출원에 따른 꼬치 구이기는 꼬챙이(8)에 끼워진 고기를 공중에 부상시킨 상태에서 회전시키면서 구울 수 있다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할 수 있으나, 구성이 복잡하여 각 가정의 주방에서 간단히 사용하기는 어려운 단점이 있다. 도 2a는 제 2 선출원(20-1997-000500)에 따른 꼬치 구이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b는 제 2 선출원에 따른 꼬치 구이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a 및 도 2b에는 상면이 개방되어 있는 공간부(2)를 내측으로 가지고 상측 단부에는 종방향으로 다수의 홈(8)이 형성되어 있는 프레임(1)과, 상기 공간부(2)의 내부 일측으로 설치되어 있는 가열수단(3)과, 꼬치봉(11) 및 기어(14)로 구성되어 프레임(1)의 홈(8)에 얹혀져 있는 다수의 꼬치(9)와, 상기 프레임(1)의 일단에서 횡으로 설치되어 모터에 의해 동작되며 상기 다수의 꼬치(9)를 회전시켜 주는 구동수단과, 상기 프레임(1)의 하단에 기름이나 물기 등을 수납토록 설치된 기름받이(1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제 2 선출원에 따른 꼬치 구이기가 개시되어 있다. 이때, 상기 구동수단은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벨트(5)가 프레임(1)의 일측에 횡으로 설치되어 있고, 상기 꼬치(9)의 기어(14)가 벨트(5)의 윗면에 접촉되어 회전되도록 기술되어 있다. 제 2 선출원에 따른 꼬치 구이기는 꼬치(9)에 끼워진 고기를 공중에 부상시킨 상태에서 회전시키면서 구울 수 있다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할 수 있으나, 더불어 가열수단(3)이 꼬치(9)의 직하방향으로 설치되지 않고 그 측면에 위치하여 기름의 낙하시 불꽃이나 연기 등을 유발시키지 않는다는 측면에서 이롭다 할 수 있으나, 제 1 선출원에 따른 꼬치 구이기에서와 만찬가지로 구성이 복잡하여 각 가정에서 간단히 사용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을 여전히 안고 있다. 도 3a는 제 3 선출원(20-1997-6896)에 따른 꼬치 구이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3b는 제 3 선출원에 따른 꼬치 구이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상부측으로 개구부를 갖는 통체로 형성되어 테이블(100)의 중앙부에 설치되고 외측면에 단열재(11)가 부착된 구이기본체(1)와, 손잡이(2A)를 가지며 음식물이 꿰어지는 꼬치봉(2)과, 상기 꼬치봉(2)의 일측단부가 끼워지는 삽입공(3A)을 가지면서 구이기본체(1)의 개구부 일측면을 따라 간격을 두고 수개 설치되는 회전롤러(3)와, 상기 회전롤러(3)와 대응되게 구이기본체(1)의 개구부 타측면을 따라 형성되어 꼬치봉(2)의 타측단부가 끼워지는 요홈(4)과, 상기 회전롤러(3)의 삽입공(3A) 및 요홈(4)에 끼워져 장착된 꼬치봉(2) 사이의 구이기본체(1) 개구부에 걸어 설치되고 내부에 수용된 숯불의 열기가 양측부의 꼬치봉(2) 측으로 전달되도록 양측면부를 다공형태로 형성한 숯불통(5)과, 상기 구이기본체(1)의 일측부에 설치되어 동력을 발생하고 사용자의 스위치(6A) 조작에 따라 온/오프 작동되는 모터(6)와, 상기 모터(6)의 구동력을 스프로킷(7A)(7C)(7D)(7F) 및 체인(7B)(7E)에 의한 전동으로 각각의 꼬치봉(2) 측으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7)와, 상기 숯불통(5) 위에 걸어 설치되고 중간부의 꼬치 기름 유출공(8C)을 중심으로 이의 양측을 경사면(8B)으로 형성한 꼬치쟁반(8)과, 상기 구이기본체(1)의 하부측에 설치되는 기름받이(9)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제 3 선출원에 따른 꼬치 구이기가 개시되어 있다. 제 3 선출원에 따른 꼬치 구이기 역시 제 1 선출원 및 제 2 선출원과 마찬가지로 구조가 복잡하여 가 가정에서 사용하기가 어려운 단점을 안고 있다. 도 4a는 제 4 선출원(20-2000-28406)에 따른 다용도 구이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b는 제 4 선출원에 따른 다용도 구이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4c는 제 4 선출원에 따른 다용도 구이기에 적용된 구동부를 나타내는 측면 개념도이고, 도 4d는 제 4 선출원에 따른 다용도 구이기에 적용된 구동부를 나타내는 정면 개념도이다. 도 4a 내지 도 4d에는 지지홀(150)이 대칭 형성되는 테이블(110)에 수납토록 상측이 개방되는 챔버(120)가 형성되어 그 저부에 기름받이(130)가 수납되고, 상기 챔버(120)의 상단에 가이드홀(140)이 대칭 형성되는 구이본체(100)와, 상기 챔버(120)에 수납토록 되면서 열원이 장착되는 가열통(210)을 갖는 가열부(200)와, 상기 가이드홀(140)에 양측이 지지토록 중앙부 양단이 돌출되어 그 일측에 손잡이(310)가 고정되고, 상기 손잡이(310)의 일측에 스프라켓휠(320)이 고정되는 꼬치봉(300)과, 상기 스프라켓휠(320)이 치합토록 챔버(120)의 외측면 양측에 다수의 로울러(440)및 이송기어(420)에 의해 회전토록 체인(410)이 연결되고, 상기 이송기어(420)의 일측에 모터(430)가 연결되는 봉회전부(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제 4 선출원에 따른 다용도 구이기가 개시되어 있다. 제 4 선출원에 따른 다용도 구이기 역시 구성이 복잡하고 열효율을 극대화시키지 못하며 각 가정에서 간단히 사용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을 여전히 안고 있다. 도 5a는 제 5 선출원(20-1999-4985)에 따른 꼬치 구이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a는 단부(121)가 형성된 구이기 장착부(12)를 포함하는 테이블(1)과, 상기 구이기 장착부(12)에 삽입되어 상측판(21)이 테이블(1)의 상면과 동일 평면상에 장착되며 전방상측판(211)과 전면판(22)에는 꼬치봉(4)이 내부로 함몰되는 봉 삽탈공(23)이 형성되고 그 하측에는 꼬치봉(4)의 손잡이(41)를 승강시킬 수 있도록 승강축이 포함되는 승강부(3)가 장착되며 상기 상측판(21)의 내측 주연부에는 커버(6)가 장착될 수 있도록 단부(212)가 형성된 구이기 본체(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제 5 선출원에 따른 꼬치 구이기를 개시하고 있다. 제 5 선출원에 따른 꼬치 구이기는 제 3 선출원의 출원인과 동일 출원인이 출원한 것으로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선출원 내지 제 3 선출원과 마찬가지로 그 한쪽 방향에서만 꼬치봉(4)의 손잡이(41)를 들어 올릴 수밖에 없도록 설계되어 그 맞은편에서의 구이조작을 자유롭게 할 수 없는 문제점을 여전히 안고 있다. 도 5b 및 도 5c는 제 5 선출원에 따른 꼬치 구이기에 적용된 승강부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요부 확대도이다. 도 5b 및 도 5c는 상측에 꼬치봉(4)을 지지하는 승강편(311a)이 구비되며 일측에 연결축(313)이 구비된 승강축(311), 이 승강축(311)을 전면판(22)에 고정하는 제 1브라켓(312)으로 이루어진 이동부(31)와; 상기 이동부(31)의 하측에 장착되며, 일측이 회동축(323)을 통해 전면판(22)에 고정된 회전판(321), 이 회전판(321)의 타측에 고정되어 상단이 상기 연결축(313)과 연결된 승강링크(322), 상기 회전판(321)의 상측에 고정되며 승강조작부(33)와 연결되는 좌우이동대(324)로 이루어진 링크부(32)와; 상기 링크부(32)의 일측에 위치되며, 하부에는 좌우이동대(324)와 연결된 하측벤딩부(331a)가, 상측에는 외부로 돌출된 상측벤딩부(331b)가 형성되어 있는 조작축(331), 이 조작축(331)을 전면판(22)에 고정하는 제 2브라켓(332)으로 이루어진 승강조작부(33)와; 상기 제 1브라켓(312)의 일측에 장착되어 승강축(311)의 상승높이를 단속하는 상부단턱(341), 상기 하측벤딩부(331a)의 하측을 받쳐주는 하부단턱(342)으로 이루어진 단속부(3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제 5 선출원에 따른 꼬치 구이기에 적용된 승강부(3)의 실시예를 개시하고 있다. 도 5b 및 도 5c에 도시된 제 5 선출원에 따른 꼬치 구이기에 적용된 승강부(3)는 손잡이(331c)를 회전식으로 돌려 제 2브라켓(332)에 지지되면서 하부단턱(342)에 받쳐진 조작축(331)이 회전되도록 하여 좌우이동대(324)로 하여금 회전판(321)을 끌어당길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승강링크(322)가 승강축(311)과 함께 더불어 상승하여 승강편(311a)에 안착된 꼬치봉(4)이 봉 삽탈공(23)을 경유하여 상승될 수 있도록 복잡하게 설계되므로 인하여, 생산성이 크게 떨어지는 단점이 있고 손잡이(331c)의 회전이 또한 불편한 문제점이 있으며 회전판(321)의 회전에 의한 승강이 부드럽지 않아 꼬치봉(4) 조작시의 어려움이 상존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도 5d 및 도 5e는 제 5 선출원에 따른 꼬치 구이기에 적용된 승강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요부 확대도이다. 도 5d 및 도 5e에는 상측에 꼬치봉(4)을 지지하는 승강편(711)이 장착되며 하부에는 누룸판(712)이 형성되어 있는 승강축(71)과, 상기 누룸판(712)이 내부에 장착되어 있으며 누룸판(712)의 하측에는 스프링(721)이 장착되어 있는 하우징(72)과, 상기 승강축(71)의 일측에는 상단이 외부로 돌출되며 전방상측판(211)의 홀(213)의 테두리에 걸려지도록 외경에 걸림홈부(731)가 형성되어 있는 조작축(7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제 5 선출원에 따른 꼬치 구이기에 적용된 승강부(3)의 다른 실시예를 개시하고 있다. 도 5d 및 도 5e에 도시된 제 5 선출원에 따른 꼬치 구이기에 적용된 승강부(3)는 조작축(23)을 눌러 걸림홈부(731)가 홀(213)의 테두리에 걸쳐지도록 하여 스프링(721)의 압출압력을 이겨내면서 꼬치봉(4)이 하강된 상태(구이상태)를 유지토록 하는 반면, 조작축(73)을 움직여 걸림홈부(731)가 홀(213)로부터 벗어나도록 하여 스프링(721)의 압출압력으로 승강축(71)을 비롯한 승강편(711)이 상승되도록 하여 꼬치봉(4)을 탈거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는데, 이러할 경우 스프링(721)의 상승 압출압력이 꼬치봉(4)을 직접 상승시키도록 설계됨으로 인하여 사용자가 실수로 조작축(73)을 건드려 홀(213)의 테두리로부터 조작축(73)의 걸림홈부(731)가 벗어날 경우 스프링(721)의 상승 압출압력에 의해 승강축(71)이 순간적으로 상측방향으로 튀어 올라 꼬치봉(4)을 위로 탄성적으로 밀쳐내므로 인하여 고열의 기름이 갑자기 비산되어 각종 화상의 위험을 초래하는 문제점을 발생하였고, 그 조작상의 불편함으로 인하여 실용화가 어려운 단점을 노정시켰다. 도 5f는 제 5 선출원에 따른 꼬치 구이기에 적용된 승강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요부 확대도이다. 도 5f에는 상측에 꼬치봉(4)을 지지하는 승강편(811)이 장착되어 있는 승강축(81)과, 이 승강축(81)의 하부에 장착되며 전원과 연결되어 별도의 스위치(82)에 의해 동작되는 솔레노이드 밸브(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제 5 선출원에 따른 꼬치 구이기에 적용된 승강부(3)의 또 다른 실시예를 개시하고 있다. 도 5g는 제 5 선출원에 따른 꼬치 구이기에 적용된 승강부의 거듭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요부 확대도이다. 도 5g에는 상측에 꼬치봉(4)을 지지하는 승강편(911)이 장착되어 있는 승강축(91)과, 이 승강축(91)의 하부에 장착되며 별도의 스위치에 의해 동작되는 실린더(9)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제 5 선출원에 따른 꼬치 구이기에 적용된 승강부(3)의 거듭 다른 실시예를 개시하고 있다. 도 5f 및 도 5g에 도시된 제 5 선출원에 따른 꼬치 구이기에 적용된 승강부(3)는 조작이 간단하나 고가의 솔레노이드 밸브(8) 또는 실린더(9)를 구비한 구조로 이루어져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없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일측 브래킷 및 타측 브래킷 그리고 전측면 및 후측면을 비롯한 바닥면과 함께 커버로서 폐쇄된 상태로 발열체의 열을 전량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조리물의 구이공간이 마련되어 열효율의 극대화를 도모할 수 있는 회전 구이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최소화된 구성으로 조리물을 신속 간단하게 구울 수 있도록 제시되어 생산성은 물론이거니와 주방의 어디서든 극히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회전 구이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타측 브래킷이 회전봉을 받아들이면서 지지할 수 있도록 상부 개방형 홈을 구비하여 회전체의 회전봉을 손잡이처럼 파지함과 동시에 간단하게 올려놓으면서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조리물의 구이를 더욱 편리하게 실행할 수 있는 회전 구이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부 개방형 홈의 하부에 마련되어 회전봉을 받쳐주는 원호형 와이어를 더 포함하여 가능한 한 회전봉과의 접촉면적 및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여 회전부하를 상대적으로 줄여 모터에 가해질 수 있는 부하를 극소화시킬 수 있는 회전 구이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회동판이 서로 마주할 경우 구이공간을 밀폐시킬 수 있어 발열체의 열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고, 특히 상부 개방형 홈으로 기름이 비산되는 현상을 회동판으로 미연에 차단토록 할 수 있는 회전 구이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모터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핀을 지지하는 일측 브래킷과,
상기 회전핀에 조립되는 회전축을 일측에 지니면서 타측에 회전봉을 구비하여 조리물과 함께 회전되는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의 회전봉을 지지하는 타측 브래킷과,
조리물을 향해 발열하는 발열체를 보호할 수 있도록 상기 일측 브래킷 및 타측 브래킷 사이에 각각 세워진 전측면 및 후측면과,
상기 발열체의 하부에 마련된 바닥면과,
상기 회전체 위를 커버링하여 구이공간이 마련되도록 상기 전측면 및 후측면의 상부에 씌워진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모터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핀을 지지하는 일측 브래킷과,
상기 회전핀에 조립되는 회전축을 일측에 지니면서 타측에 회전봉을 구비하여 조리물과 함께 회전되는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의 회전봉을 지지하는 타측 브래킷과,
조리물을 향해 발열하는 발열체를 보호할 수 있도록 상기 일측 브래킷 및 타측 브래킷 사이에 각각 세워진 전측면 및 후측면과,
상기 발열체의 하부에 마련된 바닥면과,
상기 회전봉을 받아들이면서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타측 브래킷에 형성된 상부 개방형 홈과,
상기 상부 개방형 홈의 하부 양측의 상기 타측 브래킷에 각각 형성된 2개 1조의 힌지축과,
상기 2개 1조의 힌지축에 각각 끼워지는 힌지구멍을 구비하면서 상기 회전봉을 받아들이도록 반원호형 홈이 서로 마주보게 형성된 2개 1조의 회동판과,
상기 2개 1조의 회동판이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탄성적으로 멀어지도록 끌어당기는 반면 상기 회전봉이 상기 반원호형 홈에 끼워질 경우 그 하중에 의해 상기 2개 1조의 회동판으로 하여금 서로 마주하도록 상기 상부 개방형 홈의 상부 양측의 상기 타측 브래킷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2개 1조의 회동판의 상부를 끌어당기는 2개 1조의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다음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일측 브래킷 및 타측 브래킷 그리고 전측면 및 후측면을 비롯한 바닥면과 함께 커버로서 폐쇄된 상태로 발열체의 열을 전량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조리물의 구이공간이 마련되어 열효율의 극대화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최소화된 구성으로 조리물을 신속 간단하게 구울 수 있게 되어 생산성은 물론이거니와 주방의 어디서든 극히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에 따라 타측 브래킷이 회전봉을 받아들이면서 지지할 수 있도록 상부 개방형 홈을 구비하여 회전체의 회전봉을 손잡이처럼 파지함과 동시에 간단하게 올려놓으면서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조리물의 구이를 더욱 편리하게 실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상부 개방형 홈의 하부에 마련되어 회전봉을 받쳐주는 원호형 와이어를 더 포함하여 가능한 한 회전봉과의 접촉면적 및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회전부하를 상대적으로 줄여 모터에 가해질 수 있는 부하를 극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에 따라 원호형 와이어가 끼워지도록 회전봉의 외주연에 슬라이딩 홈을 구비시켜 회전체가 회전할 때 회전축이 회전핀으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에 따라 구이핀이 원통봉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됨으로써 조리물을 꼬치구이로서 구울 수 있게 되어 특히 육류나 생선의 구이를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에 따라 구이핀이 원통봉에 끼워진 상태에서 탄성 와이어가 절개라인에 끼워져 소직경 라인에 합치됨으로써 조리도중 구이핀의 이탈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나아가 탄성 와이어를 절개라인을 따라 옆으로 밀어내어 구이핀을 원통봉으로부터 빼낸 상태에서 구워진 조리물을 간단히 분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일측 개방형 철망통 속에 조리물을 넣고 철망덮개로 씌워 회전축을 회전핀에 조립시키면서 회전봉을 상부 개방형 홈에 올려놓아 모터의 회전으로 회전체가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작은 조각의 조리물이든 큰 조각의 조리물이든 보다 용이하게 구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다공성 통, 즉 개구부를 통해 다공성 바디 속에 조리물을 넣고 다공성 캡으로 개구부를 씌워 회전축을 회전핀에 조립시키면서 회전봉을 상부 개방형 홈에 올려놓아 모터의 회전으로 회전체가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작은 조각의 조리물이든 큰 조각의 조리물이든 보다 용이하게 구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회전체의 회전축을 회전핀에 조립시킨 상태에서 회전봉을 상부 개방형 홈을 경유하여 회동판의 반원호형 홈에 끼울 경우 회전체 자체의 무게에 의해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판이 스프링의 탄성을 이겨내고 서로 마주하게 되고, 다시 조리물을 다 구운 후 회전봉을 들어올리면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회동판이 힌지축을 중심으로 서로 멀어지게 되어, 회전체의 착탈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회동판이 서로 마주할 경우 구이공간을 더욱 밀폐시킬 수 있어 발열체의 열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되고, 특히 상부 개방형 홈으로 기름이 비산되는 현상을 회동판으로 미연에 차단토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간단한 구성이면서도 열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고, 특히 주방의 어느 공간에서도 극히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는 제 1 선출원(20-1996-958)에 따른 꼬치 구이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1b는 제 1 선출원에 따른 꼬치 구이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a는 제 2 선출원(20-1997-500)에 따른 꼬치 구이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b는 제 2 선출원에 따른 꼬치 구이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a는 제 3 선출원(20-1997-6896)에 따른 꼬치 구이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3b는 제 3 선출원에 따른 꼬치 구이기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4a는 제 4 선출원(20-2000-28406)에 따른 다용도 구이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b는 제 4 선출원에 따른 다용도 구이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4c는 제 4 선출원에 따른 다용도 구이기에 적용된 구동부를 나타내는 측면 개념도.
도 4d는 제 4 선출원에 따른 다용도 구이기에 적용된 구동부를 나타내는 정면 개념도.
도 5a는 제 5 선출원(20-1999-4985)에 따른 꼬치 구이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b 및 도 5c는 제 5 선출원에 따른 꼬치 구이기에 적용된 승강부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요부 확대도.
도 5d 및 도 5e는 제 5 선출원에 따른 꼬치 구이기에 적용된 승강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요부 확대도.
도 5f는 제 5 선출원에 따른 꼬치 구이기에 적용된 승강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요부 확대도.
도 5g는 제 5 선출원에 따른 꼬치 구이기에 적용된 승강부의 거듭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요부 확대도.
도 6a는 본 고안에 따른 회전 구이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b는 본 고안에 따른 회전 구이기를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7a 및 도 7b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회전 구이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7c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회전 구이기에 적용된 회전체를 나타내는 요부확대 분해사시도.
도 8a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회전 구이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8b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회전 구이기에 적용된 회전체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9a는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회전 구이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9b는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회전 구이기에 적용된 회전체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10a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 구이기의 회동판이 벌려진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0b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 구이기의 회동판이 좁혀진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본 고안에 따른 회전 구이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하기로 하고, 그 실시예로는 다수 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고안의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을 더욱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도 6a는 본 고안에 따른 회전 구이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b는 본 고안에 따른 회전 구이기를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회전 구이기는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M)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핀(1)을 지지하는 일측 브래킷(10)과, 회전핀(1)에 조립되는 회전축(21)을 일측에 지니면서 타측에 회전봉(22)을 구비하여 조리물(J)과 함께 회전되는 회전체(20)와, 회전체(20)의 회전봉(22)을 지지하는 타측 브래킷(30)과, 조리물(J)을 향해 발열하는 발열체(40)를 보호할 수 있도록 일측 브래킷(10) 및 타측 브래킷(30) 사이에 각각 세워진 전측면(50) 및 후측면(60)과, 발열체(40)의 하부에 마련된 바닥면(70)과, 회전체(20) 위를 커버링하여 구이공간이 마련되도록 전측면(50) 및 후측면(60)의 상부에 씌워진 커버(80)를 핵심 구성으로 포함한다.
일측 브래킷(10) 및 타측 브래킷(30) 그리고 전측면(50) 및 후측면(60)을 비롯한 바닥면(70)과 함께 커버(80)로서 폐쇄된 상태[커버(80)와 일측 브래킷(10), 타측 브래킷(30), 전측면(50) 및 후측면(60) 사이에는 미세한 틈새가 유지됨은 물론임]로 발열체(40)의 열을 전량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조리물(J)의 구이공간이 마련되어 열효율의 극대화를 도모할 수 있고, 특히 최소화된 구성으로 조리물(J)을 신속 간단하게 구울 수 있게 되어 생산성은 물론이거니와 주방의 어디서든 극히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7a 및 도 7b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회전 구이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7c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회전 구이기에 적용된 회전체를 나타내는 요부확대 분해사시도이다.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측 브래킷(30)은 회전봉(22)을 받아들이면서 지지할 수 있도록 상부 개방형 홈(31)을 구비하여 회전체(20)의 회전봉(22)을 손잡이처럼 파지함과 동시에 간단하게 올려놓으면서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조리물(J)의 구이를 더욱 편리하게 실행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개방형 홈(31)의 하부에 마련되어 회전봉(22)을 받쳐주는 원호형 와이어(32)를 더 포함하여 가능한 한 회전봉(22)과의 접촉면적 및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회전부하를 상대적으로 줄여 모터(M)에 가해질 수 있는 부하를 극소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수명 연장).
바람직하게, 회전봉(22)은 원호형 와이어(32)가 끼워지도록 외주연에 슬라이딩 홈(22a)을 구비하여 회전체(20)가 회전할 때 회전축(21)이 회전핀(1)으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토록 한다.
그리고, 전측면(50)의 하부에 뚫려진 입구(51)를 통하여 바닥면(70)에 슬라이딩 출입되는 기름받이(52)를 구비시켜 조리물(J)로부터 낙하되는 기름을 용이하게 포집할 수 있도록 한다.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라 회전체(20)는 도 7a 내지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21)에 고정된 일측 매개판(23a)과, 일측 매개판(23a)에 고정된 원통봉(23b)과, 회전봉(22)에 고정된 타측 매개판(23d)과, 타측 매개판(23d)에 고정되어 조리물(J)을 끼운 상태로 원통봉(23b)에 삽입되는 구이핀(23e)을 포함한다.
구이핀(23e)이 원통봉(23b)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됨으로써 조리물(J)을 꼬치구이로서 구울 수 있게 되어 특히 육류나 생선의 구이를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라 원통봉(23b)은 중간에 수직방향으로 절개된 절개라인(23c)을 구비하고, 구이핀(23e)은 원통봉(23b)에 삽입되어 절개라인(23c)에 일치되는 부분에 소직경 라인(23f)을 구비하며, 일측 매개판(23a)에 고정되면서 절개라인(23c)을 통해 소직경 라인(23f)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 와이어(23g)를 포함한다.
구이핀(23e)이 원통봉(23b)에 끼워진 상태에서 탄성 와이어(23g)가 절개라인(23c)에 끼워져 소직경 라인(23f)에 합치됨으로써 조리도중 구이핀(23e)의 이탈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나아가 탄성 와이어(23g)를 절개라인(23c)을 따라 옆으로 밀어내어 구이핀(23e)을 원통봉(23b)으로부터 빼낸 상태에서 구워진 조리물(J)을 간단히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 회전체(20)는 도 7a 내지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봉(23b), 구이핀(23e) 및 탄성 와이어(23g)를 일측 매개판(23a) 및 타측 매개판(23d) 사이에 쌍을 이루어 구비할 수 있다.
도 8a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회전 구이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8b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회전 구이기에 적용된 회전체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회전체(20)는 회전축(21) 및 회전봉(22) 사이에 고정됨과 동시에 조리물(J)을 수용하여 철망덮개(24a)로 씌워지는 일측 개방형 철망통(24b)을 포함한다.
일측 개방형 철망통(24b) 속에 조리물(J)을 넣고 철망덮개(24a)로 씌워 회전축(21)을 회전핀(1)에 조립시키면서 회전봉(22)을 상부 개방형 홈(31)에 올려놓아 모터(M)의 회전으로 회전체(20)가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작은 조각의 조리물(J)이든 큰 조각의 조리물(J)이든 보다 용이하게 구울 수 있어 바람직하게 된다.
도 9a는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회전 구이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9b는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회전 구이기에 적용된 회전체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회전체(20)는 회전축(21) 및 회전봉(22) 사이에 고정됨과 동시에 조리물(J)을 수용하는 다공성 통(25a)을 포함하고, 이 다공성 통(25a)은 회전축(21)에 고정되는 다공성 캡(25b)과, 다공성 캡(25b)에 씌워지는 개구부(25d)를 지니면서 회전봉(22)에 고정되는 다공성 바디(25c)를 포함한다.
조리물(J)을 다공성 통(25a), 즉 개구부(25d)를 통해 다공성 바디(25c) 속에 넣고 다공성 캡(25b)으로 개구부(25d)를 씌워 회전축(21)을 회전핀(1)에 조립시키면서 회전봉(22)을 상부 개방형 홈(31)에 올려놓아 모터(M)의 회전으로 회전체(20)가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작은 조각의 조리물(J)이든 큰 조각의 조리물(J)이든 보다 용이하게 구울 수 있어 바람직하게 된다.
도 10a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 구이기의 회동판이 벌려진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10b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 구이기의 회동판이 좁혀진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회전 구이기는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개방형 홈(31)의 하부 양측의 타측 브래킷(30)에 각각 형성된 2개 1조의 힌지축(91)과, 2개 1조의 힌지축(91)에 각각 끼워지는 힌지구멍(93)을 구비하면서 회전봉(22)을 받아들이도록 반원호형 홈(94)이 서로 마주보게 형성된 2개 1조의 회동판(92)과, 2개 1조의 회동판(92)이 힌지축(91)을 중심으로 탄성적으로 멀어지도록 끌어당기는 반면 회전봉(22)이 반원호형 홈(94)에 끼워질 경우 그 하중에 의해 상기 2개 1조의 회동판(92)으로 하여금 서로 마주하도록 상부 개방형 홈(31)의 상부 양측의 타측 브래킷(30)에 각각 고정되어 2개 1조의 회동판(92)의 상부를 끌어당기는 2개 1조의 스프링(95)을 포함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회전체(20)의 회전축(21)을 회전핀(1)에 조립시킨 상태에서 회전봉(22)을 상부 개방형 홈(31)을 경유하여 회동판(92)의 반원호형 홈(94)에 끼울 경우 회전체(20) 자체의 무게에 의해 힌지축(91)을 중심으로 회동판(92)이 스프링(95)의 탄성을 이겨내고 서로 마주하게 되고, 다시 조리물(J)을 다 구운 후 회전봉(22)을 들어올리면 스프링(95)의 탄성에 의해 회동판(92)이 힌지축(91)을 중심으로 서로 멀어지게 되어, 회전체(20)의 착탈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게 된다.
이때, 회동판(92)이 서로 마주할 경우 구이공간을 더욱 밀폐시킬 수 있어 발열체(40)의 열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되고, 특히 상부 개방형 홈(31)으로 기름이 비산되는 현상을 회동판(92)으로 미연에 차단토록 할 수 있어 바람직하며, 이때 회동판(92)은 일측 브래킷(10)보다 높이를 조금 낮게 하여 그 사이로 열류가 미세하게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회전 구이기는 간단한 구성이면서도 열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고, 특히 주방의 어느 공간에서도 극히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조리물을 간단 용이하게 구울 수 있도록 하는 산업분야에 이용될 수 있다.
M : 모터 P1 : 회전핀
10 : 일측 브래킷 20 : 회전체
21 : 회전축 22 : 회전봉
22a : 슬라이딩 홈 23a : 일측 매개판
23b : 원통봉 23c : 절개라인
23d : 타측 매개판 23e : 구이핀
23f : 소직경 라인 23g : 탄성 와이어
24a : 철망덮개 24b : 일측 개방형 철망통
25a : 다공성 통 25b : 다공성 캡
25c : 다공성 바디 25d : 개구부
J : 조리물 30 : 타측 브래킷
31 : 상부 개방형 홈 32 : 원호형 와이어
40 : 발열체 50 : 전측면
51 : 입구 52 : 기름받이
60 : 후측면 70 : 바닥면
80 : 커버 91 : 힌지축
92 : 회동판 93 : 힌지구멍
94 : 반원호형 홈 95 : 스프링

Claims (22)

  1. 모터(M)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핀(1)을 지지하는 일측 브래킷(10)과,
    상기 회전핀(1)에 조립되는 회전축(21)을 일측에 지니면서 타측에 회전봉(22)을 구비하여 조리물(J)과 함께 회전되는 회전체(20)와,
    상기 회전체(20)의 회전봉(22)을 지지하는 타측 브래킷(30)과,
    조리물(J)을 향해 발열하는 발열체(40)를 보호할 수 있도록 상기 일측 브래킷(10) 및 타측 브래킷(30) 사이에 각각 세워진 전측면(50) 및 후측면(60)과,
    상기 발열체(40)의 하부에 마련된 바닥면(70)과,
    상기 회전체(20) 위를 커버링하여 구이공간이 마련되도록 상기 전측면(50) 및 후측면(60)의 상부에 씌워진 커버(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구이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측 브래킷(30)은 상기 회전봉(22)을 받아들이면서 지지할 수 있도록 상부 개방형 홈(31)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구이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개방형 홈(31)의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회전봉(22)을 받쳐주는 원호형 와이어(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구이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봉(22)은 상기 원호형 와이어(32)가 끼워지도록 외주연에 슬라이딩 홈(22a)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구이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측면(50)의 하부에 뚫려진 입구(51)를 통하여 상기 바닥면(70)에 슬라이딩 출입되는 기름받이(5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구이기.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20)는
    상기 회전축(21)에 고정된 일측 매개판(23a)과,
    상기 일측 매개판(23a)에 고정된 원통봉(23b)과,
    상기 회전봉(22)에 고정된 타측 매개판(23d)과,
    상기 타측 매개판(23d)에 고정되어 조리물(J)을 끼운 상태로 상기 원통봉(23b)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는 구이핀(23e)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구이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봉(23b)은 중간에 수직방향으로 절개된 절개라인(23c)을 구비하고,
    상기 구이핀(23e)은 상기 원통봉(23b)에 삽입되어 상기 절개라인(23c)에 일치되는 부분에 소직경 라인(23f)을 구비하고,
    상기 일측 매개판(23a)에 고정되면서 상기 절개라인(23c)을 통해 상기 소직경 라인(23f)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 와이어(23g)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구이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20)는 상기 원통봉(23b), 구이핀(23e) 및 탄성 와이어(23g)를 상기 일측 매개판(23a) 및 타측 매개판(23d) 사이에 쌍을 이루어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구이기.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20)는 상기 회전축(21) 및 회전봉(22) 사이에 고정됨과 동시에 조리물(J)을 수용하여 철망덮개(24a)로 씌워지는 일측 개방형 철망통(24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구이기.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20)는 상기 회전축(21) 및 회전봉(22) 사이에 고정됨과 동시에 조리물(J)을 수용하는 다공성 통(25a)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구이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통(25a)은
    상기 회전축(21)에 고정되는 다공성 캡(25b)과,
    상기 다공성 캡(25b)에 씌워지는 개구부(25d)를 지니면서 상기 회전봉(22)에 고정되는 다공성 바디(25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구이기.
  12. 제 2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개방형 홈(31)의 하부 양측의 상기 타측 브래킷(30)에 각각 형성된 2개 1조의 힌지축(91)과,
    상기 2개 1조의 힌지축(91)에 각각 끼워지는 힌지구멍(93)을 구비하면서 상기 회전봉(22)을 받아들이도록 반원호형 홈(94)이 서로 마주보게 형성된 2개 1조의 회동판(92)과,
    상기 2개 1조의 회동판(92)이 상기 힌지축(91)을 중심으로 탄성적으로 멀어지도록 끌어당기는 반면 상기 회전봉(22)이 상기 반원호형 홈(94)에 끼워질 경우 그 하중에 의해 상기 2개 1조의 회동판(92)으로 하여금 서로 마주하도록 상기 상부 개방형 홈(31)의 상부 양측의 상기 타측 브래킷(30)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2개 1조의 회동판(92)의 상부를 끌어당기는 2개 1조의 스프링(9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구이기.
  13. 모터(M)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핀(1)을 지지하는 일측 브래킷(10)과,
    상기 회전핀(1)에 조립되는 회전축(21)을 일측에 지니면서 타측에 회전봉(22)을 구비하여 조리물(J)과 함께 회전되는 회전체(20)와,
    상기 회전체(20)의 회전봉(22)을 지지하는 타측 브래킷(30)과,
    조리물(J)을 향해 발열하는 발열체(40)를 보호할 수 있도록 상기 일측 브래킷(10) 및 타측 브래킷(30) 사이에 각각 세워진 전측면(50) 및 후측면(60)과,
    상기 발열체(40)의 하부에 마련된 바닥면(70)과,
    상기 회전봉(22)을 받아들이면서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타측 브래킷(30)에 형성된 상부 개방형 홈(31)과,
    상기 상부 개방형 홈(31)의 하부 양측의 상기 타측 브래킷(30)에 각각 형성된 2개 1조의 힌지축(91)과,
    상기 2개 1조의 힌지축(91)에 각각 끼워지는 힌지구멍(93)을 구비하면서 상기 회전봉(22)을 받아들이도록 반원호형 홈(94)이 서로 마주보게 형성된 2개 1조의 회동판(92)과,
    상기 2개 1조의 회동판(92)이 상기 힌지축(91)을 중심으로 탄성적으로 멀어지도록 끌어당기는 반면 상기 회전봉(22)이 상기 반원호형 홈(94)에 끼워질 경우 그 하중에 의해 상기 2개 1조의 회동판(92)으로 하여금 서로 마주하도록 상기 상부 개방형 홈(31)의 상부 양측의 상기 타측 브래킷(30)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2개 1조의 회동판(92)의 상부를 끌어당기는 2개 1조의 스프링(9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구이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개방형 홈(31)의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회전봉(22)을 받쳐주는 원호형 와이어(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구이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봉(22)은 상기 원호형 와이어(32)가 끼워지도록 외주연에 슬라이딩 홈(22a)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구이기.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측면(50)의 하부에 뚫려진 입구(51)를 통하여 상기 바닥면(70)에 슬라이딩 출입되는 기름받이(5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구이기.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20)는
    상기 회전축(21)에 고정된 일측 매개판(23a)과,
    상기 일측 매개판(23a)에 고정된 원통봉(23b)과,
    상기 회전봉(22)에 고정된 타측 매개판(23d)과,
    상기 타측 매개판(23d)에 고정되어 조리물(J)을 끼운 상태로 상기 원통봉(23b)에 삽입되는 구이핀(23e)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구이기.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봉(23b)은 중간에 수직방향으로 절개된 절개라인(23c)을 구비하고,
    상기 구이핀(23e)은 상기 원통봉(23b)에 삽입되어 상기 절개라인(23c)에 일치되는 부분에 소직경 라인(23f)을 구비하고,
    상기 일측 매개판(23a)에 고정되면서 상기 절개라인(23c)을 통해 상기 소직경 라인(23f)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 와이어(23g)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구이기.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20)는 상기 원통봉(23b), 구이핀(23e) 및 탄성 와이어(23g)를 상기 일측 매개판(23a) 및 타측 매개판(23d) 사이에 쌍을 이루어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구이기.
  20.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20)는 상기 회전축(21) 및 회전봉(22) 사이에 고정됨과 동시에 조리물(J)을 수용하여 철망덮개(24a)로 씌워지는 일측 개방형 철망통(24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구이기.
  21.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20)는 상기 회전축(21) 및 회전봉(22) 사이에 고정됨과 동시에 조리물(J)을 수용하는 다공성 통(25a)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구이기.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통(25a)은
    상기 회전축(21)에 고정되는 다공성 캡(25b)과,
    상기 다공성 캡(25b)에 씌워지는 개구부(25d)를 지니면서 상기 회전봉(22)에 고정되는 다공성 바디(25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구이기.
KR2020110003867U 2011-05-04 2011-05-04 회전 구이기 KR2012000780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3867U KR20120007809U (ko) 2011-05-04 2011-05-04 회전 구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3867U KR20120007809U (ko) 2011-05-04 2011-05-04 회전 구이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7809U true KR20120007809U (ko) 2012-11-14

Family

ID=47511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3867U KR20120007809U (ko) 2011-05-04 2011-05-04 회전 구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7809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4678B1 (ko) * 2013-06-05 2014-12-04 주식회사 오토그릴 캠핑용 구이 장치
WO2014196749A1 (ko) * 2013-06-05 2014-12-11 주식회사 오토그릴 캠핑용 구이 장치 및 구이장치용 프레임 유닛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4678B1 (ko) * 2013-06-05 2014-12-04 주식회사 오토그릴 캠핑용 구이 장치
WO2014196749A1 (ko) * 2013-06-05 2014-12-11 주식회사 오토그릴 캠핑용 구이 장치 및 구이장치용 프레임 유닛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735952B2 (ja) バーベキュー用器具
KR101286834B1 (ko) 열전달이 용이한 회전식 구이기
AU2014229446B2 (en) Cooking assembly
US20120097046A1 (en) Kabob cooker and grill
KR20120103012A (ko) 자동으로 작동되는 꼬치구이기
JP2015092969A (ja) バーベキューグリルボックス
US6213004B1 (en) Portable broiling device
KR100683508B1 (ko) 자유착석 가능한 양방향 회전 구이기
KR20120007809U (ko) 회전 구이기
KR20100090673A (ko) 야외 구이기용 꽂이 회전장치
KR200169888Y1 (ko) 회전식 고기구이기
KR20080054925A (ko) 회전식 바베큐 장치
KR100610271B1 (ko) 회전식 숯불 구이기
KR100586732B1 (ko) 구이기
KR101693435B1 (ko) 회전식 숯불 로스터
KR100945114B1 (ko) 조립 분리형 이동식 회전 황토 가마 구이기
KR102196843B1 (ko) 측면 열원을 가지는 구이장치
KR19980073219A (ko) 식탁설치용 바베큐 구이기
KR200342613Y1 (ko) 고기구이장치
KR100720150B1 (ko) 꼬치 구이기
KR102500028B1 (ko) 회전구이기
KR20030066053A (ko) 숯불 바베큐장치
KR102411435B1 (ko) 구이기
KR102465742B1 (ko) 회전식 육류 구이장치
KR200273836Y1 (ko) 숯불 바베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