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6732B1 - 구이기 - Google Patents

구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6732B1
KR100586732B1 KR1020040036583A KR20040036583A KR100586732B1 KR 100586732 B1 KR100586732 B1 KR 100586732B1 KR 1020040036583 A KR1020040036583 A KR 1020040036583A KR 20040036583 A KR20040036583 A KR 20040036583A KR 100586732 B1 KR100586732 B1 KR 1005867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sting
roaster
roasted
frame
ha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65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10559A (ko
Inventor
이주호
Original Assignee
이주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주호 filed Critical 이주호
Priority to KR10200400365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6732B1/ko
Publication of KR200501105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05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67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67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6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s in general; Cleaning or heating of screens
    • B07B1/48Stretching devices for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2Drive mechanisms, regulating or controlling devices, or balanc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14Details or accessories
    • B07B13/16Feed or discharge arrangements

Landscapes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육류나 어류등 구이물이 수용된 구이틀을 장착하면 구이물을 주기적으로 뒤집으면서 구워주는 과정을 자동으로 수행하기 때문에 구이능률이 대폭 향상됨은 물론 경험이나 솜씨등이 없어도 누구나 최적의 상태로 맛있게 구워진 구이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구이기에 대한 것이다.
숯불등이 수용되는 화덕을 갖춘 기체의 상면에 부설되는 기대의 상면 후측에 소정 높이로 가설된 기틀에 설치되는 구동기와, 상기 구동기에 의해 수직으로 승강되게 상기 기틀에 설치되는 승강기와, 상기 승강기에 장착되어 화덕의 직상부에서 승강되게 하며 구이물을 수용하는 구이틀과, 상기 승강기가 상승될 때 구이틀을 180°회전시켜 주어 상기 구이틀내에 수용된 구이물의 구워진 면과 구을 면이 전환되게 하는 전환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숯불구이기, 구이기.

Description

구이기{roaster}
도 1은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구이기를 기체에 결합한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동 구이기의 정면도
도 3은 동 하나의 구이기를 발췌한 정면도
도 4는 동 하나의 구이기의 사시도
도 5는 동 구이기의 작동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6은 동 구이기의 평면도
도 7은 동 구이기 중 전환기를 발췌하여 보인 측면도
도 8은 동 전환기의 작동상태의 일부를 발췌하여 보인 정면도
도 9a는 동 구이기중 구이틀의 행거를 발췌하여 분리한 사시도
도 9b,c는 동 행거에 구이틀을 장착하는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도 10a는 동 구이기중 구이틀을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
도 10b는 동 구이틀의 일부분을 확대한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 구이기의 케이스가 씌워진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기대 11 ; 기틀
12 ; 콘트롤부 13 ;상면
20 ; 구동기 21 ; 모터
22 : 나선축 23 ; 전동기구
24 ; 안내로드 30 ; 승강기
31 ; 승강대 32 ; 지지대
34 ; 행거 35 ; 파지부재
311 ; 나선축공 312 ; 안내공
341 ; 기판 342 ; 양측판
343 ; 지지편 351 ; 탄성편
40 ; 구이틀 41 ; 본체
42 ; 덮개 43,43' ; 기름유출공
411,421 ; 통공 50 ; 전환기
51 ; 전환모터 52 ; 레버
53 ; 로드 54 ; 래크
55 ; 피니언 541 ; 기어치
60 ; 기체 61 ; 화덕
본 발명은 구이기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닭이나 소, 돼지고기등의 육류는 물론 어류등을 자동으로 맛있게 구워 주는 구이기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육류나 어류등을 숯불이나 장작불로 직접 굽는 방식으로 조리를 하면 기름기가 적절히 제거되어 맛이 담백할 뿐만 아니라 숯이나 장작에서 발생되는 연기에 의한 훈제의 효과도 얻게 되는데, 이러한 구이를 일반 가정에서는 조리하는 것이 쉽지 않기 때문에 숯불이나 장작불로 조리할 수 있는 구이기구를 갖춘 바베큐전문점과 같은 업소를 주로 이용하였다.
따라서, 바베큐전문점과 같은 업소에서는 즉석에서 주문을 받아 구운 요리를 제공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숯이나 장작을 태우기 위한 화덕의 상방에 육류등을 꽂는 꽂이대를 회전되게 설치하여 굽는 구이기구나 석쇠를 널리 사용하였다.
그러나, 전자의 구이기구는 꽂이대마다 육류를 일렬로 꽂아서 조리를 하도록 된 것이므로 꽂고 빼내는 것이 매우 번거롭고 불편하였음은 물론 꽂혀있는 위치나 꽂은 시차등에 따라 구워지는 상태가 다르게 되어 고르게 굽는 것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으며, 또 후자의 석쇠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뜨거운 불가에서 인위적으로 구워야되기 때문에 열기와 매연등에 노출되어 건강을 해치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상기의 방법들은 굽는 과정에서 방출되는 기름이 불에 직접 떨어져 연소되기 때문에 인체에 유해한 연기나 그을음등이 많이 발생됨은 물론 이들에 의해 실내외가 오염되는 문제점들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들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육질과 고유의 맛이 변하지 않으면서도 최적의 상태로 고르게 구워진 구이를 보다 신속하게 제공할 수 있는 구이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으로는, 인체에 유해하며 실내외를 오염시키는 연기나 그을음의 발생을 최소화 시켜주는 구이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들은, 육류등의 구이물이 수용된 구이틀을 장착시켜 주면 자동제어시스템의 제어에 의해 구이물의 종류나 두께는 물론 숯불의 온도등을 감안하여 미리 입력된 시간 및 순차등에 따라 구이틀을 뒤집어 주면서 자동으로 구이를 수행함은 물론 굽는 과정에서 구이물에서 방출되는 기름이 불에 직접 떨어지지 않게 하는 구이기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이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 구이기는 기대(10)와, 상기 기대의 상면 후측에 직립 설치된 기틀(11)에 부설되는 구동기(20)와, 상기 구동기에 의해 수직으로 승강되게 기틀에 설치되는 승강기(30)와, 상기 승강기에 장착되며 구이물(a)을 수용하는 구이틀(40)과, 상기 구이틀이 상승 또는 하강될 때 구이틀이 180° 회전되게 하여 구이틀내에 수용된 상기 구이물의 구워진 면과 구을 면을 전환시켜 주는 전환기(50)를 구비하여 된다.
기대(10)는 상부에 숯불등이 수용되는 화덕(61)을 갖춘 기체(60)의 상면에 얹혀지게 장방형으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전면에는 콘트롤부(12)가 부설되며, 상기 콘트롤부와 기틀(11)이 가설된 후측과의 사이는 공간으로 된다.
이렇게 하는 것은, 기체(60)로부터 구이기를 들어내지 않고 화덕(61)에 숯불 을 넣고 꺼낼 수 있게 하거나 또는 청소하는 것이 용이토록 함은 물론 구이틀(40)이 숯불의 직상부에서 승강되게 하기 위한 것이다.
구동기(20)는 기틀(11)의 상판(111)후측에 착설되는 모터(21)와, 상기 상판의 중앙부와 기대(10)의 상면 후측사이에 수직으로 축착되는 나선축(22)과, 상기 모터의 구동력을 나선축에 전달하는 전동기구(23)로 이루어진다.
전동기구(23)로는 모터(21)의 축과 나선축(22)에 각각 축착되는 풀리(231)와 이들 풀리를 연결하는 타이밍벨트(232) 또는 상기 모터의 축과 나선축의 상단에 각각 착설되어 서로 치합되는 기어가 사용되며, 나선축(22)의 전후측에는 기대(10)의 후측 상면(13)과 기틀(11)의 상판(111)사이를 가로지르게 안내로드(24)가 수직으로 착설된다.
승강기(30)는, 중앙에는 나선축(22)이 나사결합되어 관통하는 나선축공(311)이 형성되고 전후측에는 안내로드(24)가 각각 관통하는 안내공(312)이 형성된 승강대(31)와, 상기 승강대와 직교되게 그 전면에 상단이 착설되는 소정길이의 지지대(32)와, 상기 지지대와 직교되게 그 하단부의 전면에 후단부가 축 결합된 주축(33)과, 상기 주축의 선단에 축착되는 구이틀(40)의 행거(34)로 이루어 진다.
따라서, 모터(21)의 정구동으로 나선축(22)이 정회전되면, 상기 나선축은 나선축공(311)을 나사결합되어 관통하고 안내공(312)에는 안내로드(24)가 관통하고 있기 때문에 승강대(31)는 수직으로 상승하게 되며, 반대로 상기 모터가 역구동되면 나선축이 역회전되므로 승강대는 수직으로 하강하게 된다.
행거(34)는, 중앙이 주축(33)의 선단에 축착 고정되는 기판(341)의 양단에 양측판(342)이 서로 평행하게 전방으로 연장된 "ㄷ"자 형으로 된다.
양측판(342)들 사이의 간격(t)은 구이틀(40)의 전후 폭(t')에 비례토록 하며, 연장되는 길이(1)는 상기 구이틀의 좌우 길이(1')의 대략 2분의1 정도가 되게 하고, 상기 양측판과 기판(341)의 상하단에는 지지편(343)이 서로 마주하도록 내측을 향해 소정폭으로 수평 절곡된다.
상하 지지편(343)들 사이의 높이(h)는 구이틀(40)의 높이(h')보다 크게 되며, 이들 높이의 차이를 감안하여 양측판(342)에는 강판을 "ㄷ"자형으로 형성하여 상하 탄성편(351)이 서로 마주하게 연장된 파지부재(35)가 장착된다.
그리고, 상하 탄성편(351)의 중간부분은 서로 근접하게 절곡함으로써 상기 상하 탄성편의 사이로 구이틀(40)의 전후측 상하면이 삽입되면, 그 높이(h')에 비례하여 상기 절곡된 중간부분의 사이가 벌어지기 때문에 복원력이 작용되어 구이틀을 안정되게 파지하게 된다.
이렇게 하는 것은, 구이틀(40)을 상하의 높이(h')는 내부에 수용되는 구이물(a)의 두께등에 따라 각기 다른 여러 규격으로 제작되는 반면에 전후의 폭(t')과 좌우의 길이(ㅣ')는 동일하게 제작되어도 모두 행거(34)에 안착되게 함으로써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구이틀(40)은 장방체로 되는 것으로서, 바닥면에는 다수의 통공(411)이 형성되고 상면은 개방된 본체(41)와, 상기 본체의 개방된 상면을 덮어주게 힌지(412)로 축착되며 상면에는 다수의 통공(421)이 형성된 덮개(42)와, 상기 본체의 바닥면과 덮개의 상면 전후측부에 각각 2-3개 정도로 형성되는 기름의 유출공(43)(43')과, 상기 덮개가 임의로 열리지 않게 걸어주는 걸쇠(44)를 구비하여 된다.
통공(411)(421)들의 내주연은 도 10b에서와 같이 내측으로 만곡 돌출되게 하여 구이틀(40)내에 수용된 구이물(a)이 유동되지 않도록 잡아주는 역활을 하도록 함은 물론 굽는 과정에서 유출되어 주변으로 흘러내리는 기름이 상기 통공들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지 않고 유출공(43)(43')을 통해서 유출되게 안내하는 작용도 한다.
이렇게 하는 것은, 기름이 각 통공(411)(421)들을 통해 화덕(61)내의 숯불에 직접 떨어지면 연소되면서 연기와 그을음등이 많이 발생되기 때문에 이러한 현상을 최대한 억제하기 위한 것이며, 이를 위해 기름은 유출공(43)(43')을 통해 숯불이 아닌 상기 화덕의 전후측 가장자리로 낙하되어 별도로 수거되게 한다.
전환기(50)는 기틀(11)의 일측 위치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전환모터(51)와, 상기 모터축의 단부에 축착 고정되어 정역회동되는 레버(52)와, 상기 레버에 의해 수평으로 전후진되는 로드(53)와, 상기 로드의 선단에 직교되게 착설되며 승강대(31)를 향하는 수직면에는 기어치(541)가 형성된 래크(54)와, 상기 래크가 전진되면 기어치와 치합되어 회전되게 승강기(30)의 주축(22)에 축착된 피니언(55)으로 구성된다.
레버(52)는 상단이 모터축에 축착되어 그 회전방향에 따라 정역회동되는 것으로서, 하단에 형성된 장홈에는 로드(53)의 후단부가 핀(56)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상기 레버가 정회동 또는 역회동됨에 따라 로드는 전진 또는 후진하게 된다.
래크(54)가 전후진되는 정도는 레버(52)에 의해 수평으로 전진 또는 후진되 는 가압편(도시하지 않음)이 전후측에 부설된 스위치(57)(57')를 선택적으로 터치함으로써 제어되는 것으로서, 기어치(541)에 피니언(55)이 치합되는 위치까지 상기 래크가 전진되면 가압편이 스위치(57)를 터치하므로 전환모터(51)의 정구동이 정지되고 가압편이 후진되어 스위치(57')를 터치하면 전환모터의 역구동이 정지되므로 이루어 진다.
래크(54)가 전진된 상태에서 승강대(31)가 상승되게 하는 경우에는 도 8에서와 같이 피니언(55)은 기어치(541)의 하단으로부터 치합되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반대로 상기 래크가 전진된 상태에서 승강대가 하강되게 하는 경우에는 피니언은 기어치의 상단으로부터 치합되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하게 된다.
이와 같이 승강대(31)가 상승 또는 하강될 때 피니언(55)이 래크(54)에 치합되어 회전되게 하는 것은, 구이틀(40)의 숯불과 마주하는 면을 전환시켜 줌으로써 상기 구이틀내에 수용되어 있는 구이물(a)의 구워진 면과 구워지지 않은 면을 바꿔서 구워지지 않은 면이 숯불을 향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승강대(31)가 상승 또는 하강될 때 구이틀(40)를 180°로 회전시켜 주면 되는데, 이는 래크(54)에 형성된 기어치(541)의 전체 폭이 피니언(55)의 원주의 2분의1 이 되게 하여 상기 피니언이 기어치에 치합되어 통과할 때 반회전만 되게 함으로써 이루어 진다.
물론, 구이틀(40)을 180°로만 회전시켜 주는 것은 상기와 같은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피니언(55)이 반회전되면 구동기(20)를 정지시켜 승강대(30)의 상승 또는 하강이 중단되게 하고 래크(54)를 후진시켜 상기 피니언과 격리되게 한 다음 승강대(31)를 계속 상승 또는 하강시켜 주면된다.
한편, 기틀(11)의 일측방의 상하측부에는 승강대(31)에 측방으로 연장되게 착설된 누름편(36)에 의해 각각 터치되는 상하의 자동제어 스위치군(70)(80)이 부설되어 있는데, 이들 스위치군은 구이기의 모든 작동을 자동으로는 물론 수동으로도 제어할 수 있게 콘트롤부(12)에 장착된 일반적인 자동제어시스템(도시하지 않음)과 연결된다.
상부의 스위치군(70)에는, 상측으로부터 승강대(31)가 상사점에 도달하면 터치되는 상승 감지스위치(71)와 상기 승강대가 승강되는 횟수를 감지하는 계수스위치(72)와 상기 승강대가 상승되는 과정에서 터치되면 전환기(50)가 역동작되어 래크(54)를 후진시켜 주게 하는 상부 전환스위치(73)가 차례로 구비되어 있다.
하부의 스위치군(80)에는, 상측으로부터 승강대(31)가 상승되는 과정에서 터치하면 전환기(50)가 정동작되어 래크(54)를 전진시켜 주게 하는 하부전환스위치(82)와 상기 승강대가 하강되는 위치를 다단으로 제어되게 하는 복수개의 하강 감지스위치(81)가 차례로 구비되어 있다.
복수개의 하강 감지스위치(81)를 다단으로 설치하는 것은, 구이물(a)의 종류나 그 두께 또는 숯불의 온도등에 따라 구이틀(40)이 하강되는 정도를 제어함으로써 수용된 구이물이 최적의 상태로 구워지게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승 감지스위치(71) 및 하강 감지스위치(81)들 중 제일 하단측 감지스위치의 각 후방측 동일한 위치 또는 조금더 상측이나 하측에는 구이기의 작동을 수동으로 조작할 때 승강대(31)가 상사점에 도달하면 터치되는 수동상승 감지스 위치(71')와 하사점에 도달하면 터치되는 수동하강 감지스위치(81')가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구이기를 사용할 때에는, 먼저 구이틀(40)의 덮개(42)를 열고 본체(41)의 바닥면에 구이물(a)을 고르게 펼쳐준 다음 상기 덮개를 덮고 걸쇠(44)를 걸어준다.
이렇게 하면, 구이틀(40)내에 수용된 구이물(a)은 각 통공(411)(421)들의 내측으로 돌출된 내주연부에 의해 상하면이 적절히 눌려지는 상태가 되므로, 상기 구이틀을 세워도 한쪽으로 몰리지 않게 된다.
이후, 구이틀(40)을 승강기(30)의 행거(34)에 장착시켜 주면되는데, 이때 상기 구이틀을 용이하게 장착하거나 또는 구이가 완료된 다음 용이하게 분리하기 위해서 상기 행거는 상사점에 수평상태로 있게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구이틀(40)을 장착하면 행거(34)에 수평으로 장착되는 것이며, 다음에는 콘트롤부(12)의 자동제어 전원스위치(121)를 "온"시켜 주면 자동제어시스템의 제어로 구이가 자동으로 진행된다.
즉, 구동기(20)의 모터(21)가 정구동되면 그 회전력이 전동기구(23)에 의해 나선축(22)으로 전달되어 이 나선축을 정회전시켜 주므로 승강기(30)의 승강대(31)가 하강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계수스위치(72)에 의해 상기 승강대가 1회 하강됨이 감지되고 이후 전환스위치(73)는 터치되어도 하강시에는 동작하지 않게 된다.
승강대(31)가 계속하여 하강되어 전환스위치(82)가 터치되어도 이 스위치 역시 하강시에는 동작하지 않게 되며, 이후 다단으로 설치된 제어스위치(81)를 차례 로 터치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제어스위치중 어느 하나의 스위치가 하강위치제어로 선택되어 있는 경우에는 선택된 스위치가 터치되면 자동제어시스템의 제어로 모터(21)의 정구동이 정지되어 상기 승강대의 하강이 정지된다.
이렇게 되면, 행거(34)에 수평으로 장착되어 있는 구이틀(40)의 하면이 도에서와 같이 화덕(61)에 담겨진 숯불의 직상부에서 근접하게 되어 상기 구이틀에 수용되어 있는 구이물(a)의 숯불과 대응하는 면의 구이가 진행된다.
굽는 시간과 횟수는 구이물(a)의 종류나 두께 또는 숯불의 온도등에 따라 자동제어시스템에 미리 입력되어 있는 데이터에 의해 자동으로 제어되는 것으로서, 시간이 되면 모터(21)가 역구동되므로 나선축(22)이 역회전되어 승강대(31)가 상승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누름편(36)이 하부 전환스위치(72)를 터치하게 되면, 이번에는 제어시스템의 제어로 전환기(50)의 전환모터(51)가 정구동되기 때문에 도 7에서와 같이 레버(52)가 정회동되어 로드(53)와 함께 래크(54)를 전진시켜 준다.
이때 래크(54)는 승강대(31)와 함께 상승되는 피니언(55)이 기어치(541)의 하단측에 도달하기 전에 전진이 완료되며, 이에 따라 상기 피니언은 상승되면서 기어치의 하단으로부터 치합되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통과하게 된다.
이러한 작동으로 피니언(55)이 기어치(541)을 통과하게 되면 행거(34)는 180°회전되기 때문에 구이틀(40)의 상하면이 서로 바뀌게 되어 구이물(a)의 구워진 면은 상향되고 구워지지 않은 면은 하향되며, 이후에도 계속 상승되는 승강대(31)에 의해 누름편(36)이 상부의 전환스위치(73)를 터치하게 되면 전환모터(51)가 역 구동되기 때문에 래크(54)는 원위치로 후진된다.
계속 상승되는 승강대(31)에 의해 계수스위치(72)가 터치되면 구이틀(40)의 상승 횟수가 감지되고, 상사점에 도달하여 감지스위치(71)가 터치되면 모터(21)의 역구동이 정지되어 상기 승강대의 상승이 정지되는데, 이때 구이물(a)은 어느 한면만 구어진 상태이거나 또는 양면이 모두 1회씩 구워진 상태이지만 그 구워진 상태가 초벌 구이 정도인 경우에는 상기 모터가 역구동되어 나선축(22)이 역회전 된다.
이렇게 되면, 상사점에 도달하는 과정에서 상하면이 서로 바뀐 구이틀(40)은 누름편(36)이 복수의 하강 감지스위치(81)들 중 선택된 스위치를 터치할 때 까지 다시 하강된 후 정지되어 구이물(a)의 바뀐 구워지지 않은 면의 구이가 진행된다.
이러한 작동에 의해 구이물(a)은 그 양면부가 모두 구워지게 되는 것이며, 정해진 시간이 되면 모터(21)가 다시 역구동되어 승강대(31)가 상사점으로 상승하게 되는데, 이때 구이가 완료된 상태이면 전환스위치(82)(73)들이 터치되어도 전환기(50)는 작동하지 않게 되어 래크(54)가 전진하지 않지만 구워진 상태가 초벌 구이 정도이거나 또는 자동제어시스템에 입력된 구이횟수가 모두 이행된 것이 아니라 1차적인 구이만 진행된 것인 경우에는 모든 횟수가 완료 될 때까지 모든 작동이 1차적인 구이때와 같은 절차로 반복하여 진행된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구이가 완료되면 콘트롤부(12)에 부설된 표시등이 점멸되거나 또는 버저가 울려 알려주게 되는 것이며, 이후 구이틀(40)을 행거(34)로부터 분리시킨 다음 걸쇠(44)를 풀고 덮개(42)를 열어 구워진 구이물(a)을 꺼내고 새로운 구이물을 넣어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구이를 수행하면 되는 것이다.
한편, 구이를 수동으로 진행할 때에는 콘트롤부(12)에 부설된 수동조작스위치 와 수동위치정지스위치(131)(132)를 수동으로 조작하면 되는 것이며, 또 상기 콘트롤부에는 타이머(122)와 카운터(123)가 부설되어 있기 때문에 구이시간 및 구이횟수의 수동조절도 가능함은 물론 승강방향조작스위치(124)와 재작동스위치(125)가 설치되어 있어 필요에 따라 승강대(31)의 승강방향이나 구이작동을 정지 또는 재작동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최적의 구이를 위해 굽는 시간과 구이물(a)의 양면을 번갈아 구워주는 횟수등은 자동제어시스템에 미리 입력시켜 줌으로써 자동으로 진행되는 것임은 상술한 바와 같으며, 숯의 연소로 발생되는 재는 화덕(61)의 하측에 기체(60)의 전면으로 여닫게 서랍식으로 설치된 재받이(62)에 수용되게 함으로써 수시로 제거하면 된다.
구이가 완료되어 구이틀(40)에서 꺼낸 구이물(a)은 기체(60)의 상면 양측에 있는 소스통(63)(63')에 담겨있는 서로 다른 소스를 선택적으로 발라서 손님에게 제공하면 되는 것이며, 필요에 따라서는 구이물을 상기 기체의 하부 일측에 부설되어 있는 오븐(64)에서 1차적으로 익힌 것을 상기 구이틀에 넣어 구워도 된다.
또, 구이가 완료된 구이물은 오븐(64)의 타측에 부설되어 있는 보온실(65)에 넣어 일시적으로 보관하여도 되며, 구이를 손님에게 제공할 때에는 기체(60)의 상면에 있는 가스렌지(66)로 데운 돌판접시에 담아 제공하여도 된다.
그리고, 구이기는 기체(60)의 크기에 따라 1대 이상의 복수로 설치할 수도 있는 것이며, 이러한 경우에는 각 구이틀(40)이 동시에 승강되게 하는 것 보다는 구이기 별로 시차를 두고 순차적으로 승강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구이기는 숯불의 직상부에서 승강되게 전방으로 노출되는 구이틀(40)과 행거(34)를 제외한 다른 부분은 단열판재로 된 케이스(14)를 씌워 숯불의 열로부터 격리시켜 주며, 이러한 경우 상기 케이스의 전면판에는 주축(33)이 관통하여 승강하게 되는 안내구(141)를 승강대(31)가 상사점까지 상승되는 거리를 감안하여 길게 형성하는 반면에 상기 승강대가 상승되었을 때에는 안내구를 닫아 줌으로써 숯불의 열이 안내구를 통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최대한 차단하는 한쌍의 차단판(15)이 좌우로 회동 개폐되게 설치된다.
이렇게 하면, 주축(33)이 하강될 때 차단판(15)은 주축에 밀려서 양측으로 벌어지므로 상기 주축이 안내구(141)를 따라 순조롭게 하강하게 되는 것이며, 상기주축이 하강되어 있을 때에는 차단판들은 주축에 의해 받쳐져서 벌어진 상태로 있다가 주축이 완전히 상승되어 차단판을 양측으로 밀어주지 않게 되면 자체 중량과 상단에 걸어준 코일스프링(16)의 수축력에 의해 서로 겹쳐지게 회동되어 상기 안내 구를 닫아주기 때문에 숯불의 열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차단된다.
그러나, 주축(33)이 하강되어 있을 때에는 차단판(15)이 양측으로 벌어져 있어 안내구(141)는 열려 있게 되지만, 이때는 하강되어 있는 구이틀(40)에 의해 숯불의 열이 상기 안내구로 유입되는 것이 최대한 차단된다.
그리고, 차단판(15)이 그대로 노출되어 미관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케이스(14)의 전면에는 안내구(114)와 동일한 안내구가 형성된 커버를 착설한다.
한편,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구이기를 기체(60)의 상부에 얹어주는 상태로 결합하게 한 것을 그 예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구이기를 화덕을 갖춘 기체와 일체로 제작하여도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 구이기는, 구이물을 구이틀에 넣어 승강기에 장착시켜 주기만 하면 구이물을 뒤집으면서 번갈아 구워주는 과정이 자동으로 수행되기 때문에 인력과 시간의 낭비가 크게 감소됨과 동시에 구이능률이 대폭 향상됨은 물론 뜨거운 열기에 접하는 시간이 최소화되어 조리자의 건강을 해치는 요인이 해소되는 등의 장점도 있다.
특히, 조리자의 경험이나 솜씨등에 의해 구이가 수행되는 것이 아니라 자동적으로 구이가 수행되는 것이므로 누구나 최적의 상태로 구워진 구이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특징이 있으며, 이에 따라 업소에서는 손님에게 항상 최상의 맛을 갖는 구이를 제공할 수 있게 되어 매출 증대에도 크게 기여하게 되는 등의 효과도 얻게된다.

Claims (6)

  1. 삭제
  2. 숯불등이 수용되는 화덕을 갖춘 기체의 상면에 부설되는 기대의 상면 후측에 직립되게 설치된 기틀에 장착되는 구동기와, 상기 구동기에 의해 수직으로 승강되게 상기 기틀에 설치되는 승강기와, 상기 승강기에 착설되어 화덕의 직상부에서 승강하게 되며, 구이물을 수용하는 구이틀과, 상기 승강기가 상승될 때 구이틀을 180°회전시켜 주어 상기 구이틀내에 수용된 구이물의 구워진 면과 구을 면이 전환되게 하는 전환기를 구비하여 되는 구이기에 있어서,
    상기 기대는, 콘트롤부가 부설된 전면과 기틀이 부설된 후측과의 사이는 공간으로 되는 장방형으로 되며;
    상기 구동기는. 기틀의 상판후측에 착설되는 모터와, 상기 상판의 중앙부와 기대의 상면 후측사이에 수직으로 축착되는 나선축과, 상기 모터의 구동력을 나선축에 전달하는 전동수단과, 상기 나선축의 전후측에 수직으로 평행하게 부설되는 안내로드로 구성되고;
    상기 승강기는, 중앙에는 상기 나선축이 나사결합되어 관통하는 나선축공이 형성되고 전후측에는 상기 안내로드가 각각 관통하게 안내공이 형성된 승강대와, 상기 승강대와 직교되게 그 전면에 상단이 착설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와 직교되게 그 하단부의 전면에 축 결합된 주축의 선단에 축착되는 상기 구이틀의 행거로 구성되며;
    상기 구이틀은 장방체로 되며, 바닥면에는 다수의 통공이 각각 형성되고 상면은 개방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개방된 상면을 덮어주게 힌지로 축착되며 상면에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덮개와, 상기 본체의 바닥면과 덮개의 상면 전후측부에 각각 형성된 기름 유출공을 구비하여 되고;
    상기 전환기는 기틀의 일측방에 설치되며, 전환모터와, 상기 전환모터에 의해 정역회동되는 레버와, 상기 레버에 의해 수평으로 전후진되는 로드와, 상기 로드의 선단에 직교되게 착설되며 상기 승강대를 향하는 수직면에는 기어치가 형성된 래크와, 상기 래크가 전진되면 기어치에 치합되어 기어치를 통과하는 동안 180°회전되어 상기 행거에 장착된 구이틀의 상하면을 전환시켜 주게 주축에 축착된 피니언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행거는 중앙이 상기 주축의 선단에 축착 고정되는 기판의 양단에 양측판이 서로 평행하게 전방으로 연장된 "ㄷ"자 형으로 되며, 상기 기판과 양측판의 상하단에는 구이틀의 지지편이 내측으로 수평 연장하여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기.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행거는 중앙이 상기 주축의 선단에 축착 고정되는 기판의 양단에 양측판이 서로 평행하게 전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기판과 양측판의 상하단에는 구이틀의 지지편이 내측으로 수평 연장하여 되는 것으로서, 상기 양측편에는 상하 탄성편의 중간부분이 서로 마주하게 절곡된 "ㄷ"자형의 파지부재를 장착하여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기.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구이틀에 형성된 통공들의 내주연은 내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기체의 바닥면과 덮개의 상면 각 양단부측에는 수개의 기름 유출공을 형성하여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기.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기어치는, 상기 피니언의 원주의 2분의 1의 길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기.
KR1020040036583A 2004-05-18 2004-05-18 구이기 KR1005867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6583A KR100586732B1 (ko) 2004-05-18 2004-05-18 구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6583A KR100586732B1 (ko) 2004-05-18 2004-05-18 구이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0559A KR20050110559A (ko) 2005-11-23
KR100586732B1 true KR100586732B1 (ko) 2006-06-08

Family

ID=37286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6583A KR100586732B1 (ko) 2004-05-18 2004-05-18 구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673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9477B1 (ko) * 2005-11-02 2007-05-18 김주년 회전식 장어 구이장치
KR100862051B1 (ko) 2007-07-12 2008-10-09 강영순 구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5245Y1 (ko) * 2009-03-20 2009-07-13 이기동 석쇠형 수동 휴대가스레인지
KR100975096B1 (ko) * 2009-03-30 2010-08-11 최광호 이동식 구이 장치
KR100958366B1 (ko) * 2009-03-30 2010-05-17 최광호 회전식 바베큐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9477B1 (ko) * 2005-11-02 2007-05-18 김주년 회전식 장어 구이장치
KR100862051B1 (ko) 2007-07-12 2008-10-09 강영순 구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0559A (ko) 2005-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39948B2 (en) Simplified device to quickly cook food
DK2203098T3 (en) Automatic cooking oven for cooking of the variable portions
EP1885188B1 (en) Automatic broiler for variable batch cooking
MX2007006407A (es) Aparato de coccion.
KR200478957Y1 (ko) 회전식 구이기
US20120097046A1 (en) Kabob cooker and grill
US8365717B1 (en) Barbecue accessory and method of use
KR100586732B1 (ko) 구이기
KR100949476B1 (ko) 숯불구이기
RU194763U1 (ru) Многофункциона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пищевых продуктов
JP2016016041A (ja) 加熱調理器
JPH09508562A (ja) 携帯バーベキュー用器具
US20190120502A1 (en) Articulated device for grilling food in an oven
KR100205120B1 (ko) 식탁설치용 바베큐 구이기
KR20190139560A (ko) 기름에 의한 위험요소 방지와 이물질이 묻지 않도록 구워지는 꼬치구이기
KR200203830Y1 (ko) 전기오븐
RU2727785C1 (ru) Многофункциона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пищевых продуктов "мультимангал"
TWI551195B (zh) Heating the conditioner
KR101449555B1 (ko) 측면 폐쇄형 꼬치 구이기
KR100610271B1 (ko) 회전식 숯불 구이기
CA2370871A1 (en) Robogrill
KR200448049Y1 (ko) 구이용 전열조리장치
KR200447619Y1 (ko) 조리기구
CN215272123U (zh) 一种便于清洁的烤肉机
KR200430609Y1 (ko) 수직 양면 숯불구이용 숯통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9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