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6843B1 - 측면 열원을 가지는 구이장치 - Google Patents
측면 열원을 가지는 구이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96843B1 KR102196843B1 KR1020190004463A KR20190004463A KR102196843B1 KR 102196843 B1 KR102196843 B1 KR 102196843B1 KR 1020190004463 A KR1020190004463 A KR 1020190004463A KR 20190004463 A KR20190004463 A KR 20190004463A KR 102196843 B1 KR102196843 B1 KR 10219684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eat source
- heat
- inner space
- housing
- roast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18—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vertical fire box
- A47J37/0722—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vertical fire box with electric heating element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 A47J37/042—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with food supports arranged on wheels or spid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45—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motor-driven food support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 H05B3/42—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non-flexi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측면열원을 구비한 구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외관을 하우징(10)이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는 내부공간(12)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공간(12)은 상부개구(14)를 통해 외부로 개방된다. 상기 하우징(10)의 양측면에는 상기 내부공간(12)과 연통되게 외부에서 제1열원통(30)이 장착되는 측면통공(22)이 형성된다. 상기 제1열원통(30)은 통받침대(26)에 안착된 상태로 소정 각도 회전되어 상기 측면통공(22)에 장착되고 분리된다. 상기 내부공간(12)에는 구이대상물이 위치되는데, 공자전석쇠(60'), 평판석쇠(60), 구이바아(20) 등이 사용된다. 상기 공자전석쇠(60')는 상기 내부공간(12) 내에서 자전과 공전을 하면서 구이대상물이 구어질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구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이대상물의 측면에서 열을 가해서 구이요리를 수행하는 측면 열원을 가지는 구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육류나 생선을 구울 때에는 구이대상물의 하부에 열원을 두고 열을 구이대상물에 가해서 구이를 수행한다. 하지만, 구이대상물에서 나오는 기름, 양념, 육즙 등이 중력에 의해 낙하하여 열원에 떨어지게 되면, 기름, 양념, 육즙 등이 열원에 의해 타면서 연기와 유해한 성분을 발생시킨다. 이와 같은 유해한 성분이 구이대상물로 전달되면 이를 구이물과 함께 사용자가 섭취할 수 있어서 사용자의 건강에 좋지 않은 영향을 줄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구이대상물의 상부에 열원을 두고 구이대상물에 열을 가해서 구이대상물에서 나오는 기름, 양념, 육즙 등이 열원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였다. 하지만 상부열원에서 나오는 열이 구이대상물이 얹어지는 석쇠가 설치되는 구이장치의 베이스 부분 등에 열을 가해서 구이장치가 열에 의해 손상될 수도 있다.
또한, 구이대상물을 섭취하기 위해 사용자가 구이대상물을 꺼내는 과정에서 상부열원의 열이 사용자의 손으로도 전달되는 문제점도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사용자들이 사용하는 젓가락 외에 별도의 긴 젓가락을 사용해야 하는 등의 불편한 점이 있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구이장치는 하나의 열원만을 가지고 있어서, 열원이 가지고 있는 장점과 단점을 그대로 감수하고 사용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불편한 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구이대상물의 양측면에서 열을 가해 구이요리를 수행하는 구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이를 위한 열원을 선택하거나 다른 종류의 열원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구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구이를 위한 열원의 취급이 용이한 구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구이대상물이 자전하면서 공전하여 가열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구이대상물이 승,하강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부공간이 상부개구를 통해 상부로 개방되고 양측면에 측면통공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측면통공에 회전동작에 의해 장착되고 분리되는 것으로, 측면통공에 장착되었을 때 입구가 소정의 경사를 가지도록 위치되어 상기 내부공간의 중앙상부 쪽을 향해 입구가 개방되고 내부에 열원이 위치되는 제1열원통과, 상기 상부개구의 가장자리를 둘러서 형성된 단턱 중에 상기 측면통공이 형성된 면에 해당되는 단턱에 있는 제2열원슬롯을 통해 상기 내부공간에 착탈되게 설치되어 대응되는 측면통공에 설치된 상기 제1열원통과 선택적으로 사용되는 제2열원과, 상기 내부공간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에 형성된 기름받이통공을 통해 외부로 인출될 수 있으며 구이대상물에서 발생하는 기름을 수납하는 기름받이를 포함하고, 상기 제1열원통은 직육면체 형상으로 일면으로 개방된 입구가 있고 내부에 열원이 위치되는 제1내부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측면통공에 장착되었을 때 중력반대방향의 상면을 제외한 면들에 개공이 형성되며, 상기 개공은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는 측면열원을 구비한다.
상기 내부공간이나 상기 상부개구에는 구이대상물이 위치되는 석쇠나 구이바아가 선택적으로 설치된다.
상기 석쇠중 공자전석쇠는 상기 내부공간에 설치되어 자전과 공전한다.
상기 상부개구의 내측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단턱이 형성되는데, 상기 단턱에는 구이가 완성된 구이대상물이 놓여지는 구이물트레이가 더 설치된다.
삭제
상기 제1열원통을 지지하여 회전되는 통받침대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된 연결링크에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게 설치되는데, 상기 통받침대는 제1열원통의 양측 측면에 위치되고 상기 연결링크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단부바아와 상기 단부바아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제1열원통의 서로 직교하는 외면에 밀착되는 연결바아로 구성된다.
삭제
상기 제2열원은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된 히터봉과, 상기 케이스의 내면에 설치되어 히터봉에서 나온 복사열을 반사하는 반사판을 포함한다.
상기 히터봉은 세라믹히터, 탄소섬유히터, 석영관히터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사용되고 상기 케이스와 반사판의 사이에는 단열재가 설치된다.
본 발명에 의한 측면 열원을 이용한 구이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숯불이 들어 있는 상태의 제1열원통이 회전되면서 하우징에 착탈되도록 하였다. 이때 제1열원통의 입구가 하우징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하우징의 내부공간 중앙상부를 향하게 되어 구이대상물로 적절하게 열을 전달할 수 있게 되고, 제1열원통이 하우징에서 분리된 상태에서는 제1열원통의 입구가 중력반대방향을 향하도록 개방되어 숯불의 교체 및 추가가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즉, 구이가 이루어지는 구이대상물을 그대로 둔 상태에서 숯불을 교체하거나 추가할 수 있고 제1열원통이 하우징에서 분리된 상태에서는 중력반대방향으로 입구가 향하게 되어 숯불을 넣고 빼는 것이 용이하다.
본 발명에서는 구이대상물의 양측면에서 열을 가하도록 되어 구이대상물에서 나오는 기름 등이 열원으로 전달되지 않게 되어 열원에서 연기 등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숯불을 사용하는 제1열원통 대신해서 제2열원을 하우징의 제2열원슬롯에 삽입하여 하우징의 내부공간 양측면에서 구이대상물을 향해 열을 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또는 구이장치가 사용되는 장소에 따라 열원을 달리하여 선택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높아지는 효과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하우징의 일측에는 제1열원통에 숯불을 넣어서 사용하고 하우징의 타측에는 제2열원을 삽입하여 제2열원에서 나오는 열을 사용하여 구이대상물을 구울 수 있다. 즉, 2가지 종류의 열원을 동시에 사용하여 구이요리를 수행할 수 있게 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서는 구이대상물이 장착되는 석쇠가 자전하면서 공전도 동시에 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구이대상물이 보다 골고루 잘 익게 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서는 구이대상물이 장착되는 석쇠가 승강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열원의 영향권을 완전히 벗어난 위치에서 구이대상물을 취급할 수 있게 되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열원에서 나오는 열을 간접적으로 받아서 이미 구이가 완성된 음식물을 소정의 온도로 보관할 수 있는 구이물트레이가 있으므로, 항상 일정 온도 이상으로 구이물을 유지하면서 섭취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측면 열원을 이용한 구이장치의 바람직한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에서 제1열원이 사용되는 것을 보이는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에서 제1열원을 사용하는 것을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례에서 제2열원만을 사용하는 것을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례에서 사용되는 제2열원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례에서 제1열원과 제2열원을 동시에 사용하는 것과 평판형 석쇠를 사용하는 것을 보인 사용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실시례에서 승강회전판의 승강을 위한 구성을 보인 개략사시도.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실시례에서 공자전석쇠의 공전과 자전을 위한 구성을 보인 개략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에서 제1열원이 사용되는 것을 보이는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에서 제1열원을 사용하는 것을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례에서 제2열원만을 사용하는 것을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례에서 사용되는 제2열원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례에서 제1열원과 제2열원을 동시에 사용하는 것과 평판형 석쇠를 사용하는 것을 보인 사용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실시례에서 승강회전판의 승강을 위한 구성을 보인 개략사시도.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실시례에서 공자전석쇠의 공전과 자전을 위한 구성을 보인 개략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에서 도 7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하우징(10)이 본 발명 실시례의 외관을 구성한다. 상기 하우징(10)은 본 실시례에서는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된다. 상기 하우징(10)은 난연성재질로 만들어지는데, 예를 들면 철판과 같은 금속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는 내부공간(12)이 형성된다. 상기 내부공간(12)은 구이가 이루어지는 공간이다. 상기 하우징(10)의 내면이나 외면에는 열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단열재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내부공간(12)은 상기 하우징(10)의 상부로 개방되어 있다. 상기 내부공간(12)이 개방된 부분을 상부개구(14)라 한다. 상기 상부개구(14)는 본 실시례에서는 직사각형상으로 된다. 상기 상부개구(14)는 상기 내부공간(12)의 입구가 된다.
상기 상부개구(14)의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단턱(1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단턱(16)은 상기 하우징(10)의 상단 가장자리보다 상대적으로 조금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턱(16)에는 평판 형상의 석쇠(60)(도 7참고)의 가장자리가 안착될 수 있다.
상기 단턱(16)에는 제2열원슬롯(18)이 형성된다. 상기 제2열원슬롯(18)은 상기 단턱(16)중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서로 마주보는 두 변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상기 제2열원슬롯(18)을 통해서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2열원(50)이 내부공간(12)으로 삽입되어 설치된다. 상기 제2열원슬롯(18)은 상기 내부공간(12)의 양측 내면쪽과 연통된다.
상기 제2열원슬롯(18)이 형성된 단턱(16)을 제외한 나머지 서로 마주보는 단턱(16) 부분에 양단부가 위치되게 구이바아(20)가 설치된다. 상기 구이바아(20)는 상기 단턱(16)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구이바아(20)가 구이대상물을 관통하여 구이대상물을 상기 내부공간(12)의 내외부로 회전되게 지지한다. 상기 구이바아(20)의 일단부에는 구동기어(22)가 있어서 상기 하우징(10)의 일측 내부에 있는 구동기구에 의해 회전된다. 상기 구동기어(22)가 회전됨에 의해 상기 구이바아(20)가 회전된다. 상기 구동기어(22)가 있는 단턱(16)의 하부에 해당되는 내부공간(12)은 별도로 구획되고 그 내부에는 상기 구동기어(22)의 회전력을 만들어내는 구조가 있다. 상기 구동기어(22)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은 사용자가 직접 제공할 수도 있고, 모터와 같은 구동원에 의해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모터의 구동력이 기어열, 링크 또는 체인 등에 의해 상기 구동기어(22)로 전달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구이바아(20)가 하나만 있으나, 상기 구이바아(20)는 다수개가 나란히 배치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2열원슬롯(18)이 형성된 쪽의 하우징(10) 외측면으로 개방되게 측면통공(24)이 형성된다. 상기 측면통공(24)의 위치는 상기 하우징(10)의 외면중 상대적으로 면적이 넓은 외면에 형성된다. 상기 측면통공(24)은 상기 하우징(10)의 서로 대향되는 양측의 외측면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측면통공(24)을 통해 외부와 상기 내부공간(12)이 연통될 수 있는데, 상기 측면통공(24)에 아래에서 설명될 제1열원통(30)이 장착됨에 의해 제1열원통(30)의 내부와 상기 내부공간(12)이 연통된다. 따라서, 상기 제1열원통(30)에 있는 열원, 예를 들면 숯불의 열이 상기 내부공간(12)으로 전달된다.
상기 측면통공(24)의 양측 단부에 해당되는 상기 하우징(10)에는 연결링크(25)가 설치되고, 상기 연결링크(25)에 통받침대(26)가 회전축(28)을 통해 회전되게 설치된다. 상기 통받침대(26)는 상기 회전축(28)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 회전이 가능하다. 상기 통받침대(26)는 2개의 단부바아(27)가 연결바아(27')에 의해 연결되어 구성된다. 상기 2개의 단부바아(27)는 상기 연결링크(25)에 각각 회전축(28)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연결바아(27')는 상기 단부바아(27)를 서로 연결하는 것으로 아래에서 설명될 제1열원통(30)을 지지한다. 상기 단부바아(27)는 'ㄱ'자 형상으로 되고, 본 실시례에서는 총 4개의 연결바아(27')가 상기 단부바아(27)를 연결한다. 상기 단부바아(27)의 일측 변에 2개의 연결바아(27')가 각각 연결되고, 상기 일측변에 직교하는 타측 변에 2개의 연결바아(27')가 각각 연결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제1열원통(30)의 양측 외면은 상기 단부바아(27)에 밀착되고 상면을 제외한 서로 직교하는 2개의 면에는 연결바아(27')가 각각 밀착될 수 있다.
제1열원통(30)은 예를 들면 숯불이 담겨지는 것이다. 상기 제1열원통(30)에는 반드시 숯불이 담겨야 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열원이 담겨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뜨겁게 가열된 돌들이 담겨질 수도 있고, 착화탄과 같은 것이 담겨질 수도 있다. 즉 구이대상물을 구울 수 있는 열원이 담겨지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열원통(30)은 대략 직육면체 형상인데, 내부에 제1내부공간(32)이 형성된다. 상기 제1내부공간(32)은 일측면으로 개방된다. 상기 제1열원통(30)을 구성하는 육면중 개방된 1면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들에는 개공(3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공(34)은 상기 제1내부공간(32)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열원통(30)이 상기 측면통공(24)에 장착되었을 때 상면이 되는 외면에는 개공(34)이 형성되지 않는다. 이는 제1열원을 사용시에 사용자에게 열의 영향이 직접 미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개공(34)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거의 해당 외면 전체에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10)의 내부공간(12) 하단 양측에는 통안착단(36)이 상기 측면통공(24)과 마주보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통안착단(36)에 상기 제1열원통(30)의 일면 가장자리가 안착된다. 상기 제1열원통(30)은 그 입구가 상기 내부공간(12)을 향하도록 상기 측면통공(24)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입구가 소정의 경사를 가지게 된다. 즉, 상기 내부공간(12)의 중앙 상부 쪽을 입구가 향하도록 하는 구조이다. 이와 같이 함에 의해 상기 상부개구(14) 쪽에 있는 구이대상물로도 열을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측면통공(24)이 형성되지 않은 상기 하우징(10)의 외면중 하나에는 기름받이통공(38)이 형성된다. 상기 기름받이통공(38)을 통해서는 상기 내부공간(12)의 내외부로 아래에서 설명될 기름받이(40)가 입출된다. 상기 기름받이통공(38)에서 시작해서 반대쪽의 하우징(10) 내면까지 레일(39) 한쌍이 설치된다. 상기 레일(39)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기름받이(40)의 양측 단이 지지되어 안내된다.
기름받이(40)는 소정의 판형상인 바닥판(41)의 가장자리를 둘러서 측벽(43)이 소정 높이만큼 형성되어 기름수납공간(45)이 만들어진다. 상기 기름수납공간(45)은 상부로 개방되어 있어서, 상기 내부공간(12)의 하부에 위치되어 내부공간(12)에서 발생되는 기름 등의 이물질이 상기 기름수납공간(45)에 낙하되어 모아지게 된다. 상기 기름받이(40)의 적어도 일측 측벽(43)에는 손잡이(47)가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양측의 측벽(43)에 손잡이(47)가 있어서 사용자가 양손으로 잡고 취급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2열원슬롯(18)을 통해서 상기 내부공간(12)에 위치되게 제2열원(50)이 설치된다. 상기 제2열원(50)은 외관을 케이스(52)가 형성한다. 상기 케이스(52)는 난열성 재질로 만들어지는데, 대략 납작한 육면체 형상이고, 일측이 개방되게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52)의 내부에는 히터(54)가 설치된다. 상기 히터(54)로는 세라믹히터, 탄소섬유히터, 석영관히터 등 다양한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다양한 히터봉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제2열원(50)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히터(54)는 봉형상이고, 상기 케이스(52)의 내부에 다수개가 나란히 배치된다.
상기 히터(54)가 설치되어 있는 상기 케이스(52)의 내면에는 반사판(56)이 설치되어 상기 히터(54)의 열이 반사되어 내부공간(12)으로 들어가도록 한다. 상기 반사판(56)과 상기 케이스(52)의 사이에는 단열재(58)가 위치되어 히터(54)에서 발생된 열이 외부로 전달되지 못하도록 한다. 도면부호 59는 손잡이이다.
한편,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단턱(16) 상에는 별도의 구이물트레이가 위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열원슬롯(18)에 해당되는 위치 상에 구이물트레이를 안착시켜 다 구워진 구이물의 온도를 내부공간(12)에서 전달되는 열로 유지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구이물트레이는 평면도로 볼 때, 상기 단턱(16)의 폭만큼의 폭을 가지고 상기 측면통공(24)의 폭만큼의 길이를 가지는 직사각형으로 된다.
도 8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위에서 설명된 실시례의 구성과 같은 것은 같은 도면부호를 부여하면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고,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다른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한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하우징(10)에 위의 실시례의 구동기구 대신에 구동부(70)를 두어, 상기 내부공간(12)에서 공자전석쇠(60')를 승강시킬 수 있으면서 공전 및 자전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공자전석쇠(60')는 양측에 있는 승강회전판(62)에 양단이 지지된 상태로 승강될 수 있다. 상기 공자전석쇠(60')가 승강됨에 의해 사용자는 내부공간(12)의 내부로 손을 넣지 않고 구이대상물을 취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공자전석쇠(60')는 상기 내부공간(12) 내에서 소정의 원궤적을 그리면서 공전을 함과 동시에 자전도 한다. 상기 공자전석쇠(60')의 공전과 자전을 위해서 상기 구동부(70)내에 아래에서 설명될 회전구동부(80)가 설치된다.
상기 승강회전판(62)은 회전중심축(64)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상기 회전중심축(64)의 양단에 승강회전판(62)이 설치된다. 상기 회전중심축(64)은 구동부(70) 내에 설치된 승강구동을 위한 구성에 의해 승강되어 최종적으로 상기 공자전석쇠(60')의 승강을 만들어낸다.
상기 구동부(70) 내에는 승강구동모터(71)가 설치된다. 상기 승강구동모터(71)의 출력축에는 피니언기어(72)가 설치된다. 참고로 상기 승강구동모터(71)의 출력축에는 별도의 감속기가 설치되고 상기 감속기를 통해 피니언기어(72)로 회전력이 전달될 수도 있다. 상기 구동부(70)의 내부에는 승강가이드(74)가 있고, 상기 승강가이드(74)에 의해 안내되어 승강되도록 승강랙기어(76)가 있다. 상기 승강가이드(74)는 상기 승강랙기어(76)의 이동을 안내한다. 도면에서는 상기 승강가이드(74)가 승강랙기어(76)의 일단부만을 안내하는데, 상기 승강랙기어(76)의 여러 부분을 승강가이드(74)들이 안내할 수 있다.
상기 승강랙기어(76)의 랙기어부에 상기 피니언기어(72)가 맞물려서 승강랙기어(76)를 승강시킨다. 이와 같은 동작에 의해 상기 승강랙기어(76)가 승강하면서 상기 회전중심축(64)를 승강시킨다. 이와 같은 구성은 상기 회전중심축(64)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는 것이 좋다. 하지만,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승강회전판(62)의 회전을 위한 회전구동부(80)가 있어 일측 승강랙기어(76)가 회전구동부(80)를 승강시키도록 회전구동부(80)를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이는 상기 회전구동부(80)에 상기 회전중심축(64)의 일단부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기 때문이다.
상기 회전구동부(80)는 상기 구동부(70)중 일측의 내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승강구동모터(71)에 의해 상기 구동부(70)내에서 승강된다. 상기 회전구동부(80)는 상기 승강회전판(62)의 회전, 즉 상기 공자전석쇠(60')의 공전과 상기 공자전석쇠(60')의 회전, 즉 자전을 만들어내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상기 회전구동부(80)에는 상기 회전중심축(64)과 커플링(82')에 의해 결합되는 공전구동축(82)이 있다. 상기 공전구동축(82)의 회전을 위해 공전모터(84)가 있다. 상기 공전모터(84)의 회전력을 구동기어(85)와 공전연동기어(86)를 통해 상기 공전구동축(82)이 전달받는다. 상기 구동기어(85)는 상기 공전모터(84)의 출력축에 설치되고 상기 공전연동기어(86)는 상기 공전구동축(82)에 설치된다. 하지만, 상기 공전모터(84)의 구동력을 상기 공전구동축(82)이 전달받는 구조에는 다양한 것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체인과 스프라켓을 사용하는 것이 있다.
한편, 상기 공자전석쇠(60')의 자전을 위해서 자전모터(88)가 상기 회전구동부(80)에 있다. 상기 자전모터(88)의 출력축에는 구동기어(89)가 있고, 상기 공전구동축(82)에는 자전연동기어(90)가 있다. 상기 자전연동기어(90)는 상기 공전구동축(82)에 대해 상대회전가능하다. 상기 공전구동축(82)은 상기 자전연동기어(90)와 동심이지만 회전을 별개로 한다. 즉, 상기 공전모터(84)의 구동력은 상기 공전구동축(82)을 통해 회전중심축(64)으로 전달되고 상기 자전모터(88)의 구동력은 상기 자전연동기어(90)를 통해 자전커플링(98)으로 전달된다.
상기 자전연동기어(90)에는 자전구동기어(92)가 일체로 있다. 상기 자전구동기어(92)는 상기 자전연동기어(90)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승강회전판(62)에 인접하게 된다. 상기 자전구동기어(92)에 맞물리게 상기 승강회전판(62)에는 연결기어(94)들이 있고, 상기 연결기어(94)들에 맞물려서는 자전종동기어(96)들이 상기 승강회전판(62)의 가장자리를 둘러서 설치된다. 상기 자전종동기어(96)의 회전중심에는 자전커플링(98)들이 있어서 상기 공자전석쇠(60')의 양단에 있는 회전축이 결합되어 동력을 공자전석쇠(60')로 전달한다. 참고로 상기 자전모터(88)의 구동력을자전구동기어(92)로 전달하는 것도 체인과 스프라켓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자전구동기어(92)의 회전력을 자전커플링(98)으로 전달하는 것도 하나의 체인과 다수개의 스프라켓을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측면열원을 구비한 구이장치가 사용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구이대상물의 양측면에서 열을 가하여 구이요리를 하는 것이고, 다양한 종류의 열원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숯불을 사용하거나, 히터를 사용하거나 숯불과 히터를 동시에 사용하는 등 다양한 열원을 사용할 수 있다.
먼저, 숯불을 사용하는 것을 도 3과 4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1열원통(30)을 도 4의 실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입구가 중력반대방향을 향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제1내부공간(32)에 숯불을 넣는다. 숯불이 넣어진 제1열원통(30)을 상기 통받침대(26)를 잡고 회전시킨다. 즉, 우측에 있는 제1열원통(30)은 상기 회전축(28)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좌측에 있는 제1열원통(30)은 상기 회전축(28)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여기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열원통(30)이 상기 통받침대(26)와 함께 소정 각도 회전되어 하우징(10)의 측면통공(24)에 장착되고 분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열원통(30)의 동작은 상기 제1내부공간(32)에 열원을 넣는 작업을 쉽게 할 수 있고, 요리 중간에 열원을 보충하는 작업도 간단하게 할 수 있게 한다. 즉, 상기 내부공간(12)에 있는 구이대상물을 그대로 둔 상태로 열원을 보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하우징(10)에서 상기 제1열원통(30)이 회전되어 분리되면 제1내부공간(32)의 입구가 중력반대방향으로 개방되어 타고 있는 숯불을 부삽 등으로 가져다가 제1내부공간(32)에 넣는 것도 상대적으로 쉽게 된다.
상기 제1열원통(30)이 회전되어 도 4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측면통공(24)에 장착되면 상기 제1열원통(30)의 입구가 비스듬하게 위치되어 상기 내부공간(12)의 중앙 상부를 향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함에 의해 상기 내부공간(12)에 있는 구이대상물이나 상기 구이바아(20)에 끼워져 있는 구이대상물 또는 상기 평판석쇠(60)에 안착되어 있는 구이대상물을 구울 수 있다. 다 구워진 구이대상물은 상기 구이물트레이에 놓고 먹을 수 있다.
구이대상물이 상기 내부공간(12)에 위치되는 방식은 다양하게 될 수 있다. 즉, 상기 구이바아(20)에 끼워지거나 걸어진 상태로 구이요리가 될 수도 있고, 도 8 등에 도시된 실시례에서 설명된 공자전석쇠(60')에 위치하여 자전, 공전을 수행하면서 구이요리가 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평판석쇠(60)에 구이대상물이 얹어진 상태에서 구이요리가 될 수도 있다.
상기 공자전석쇠(60')를 사용하는 경우는 상기 승강회전판(62)의 회전에 의해 소정의 원궤적을 그리면서 공전을 하여 양측에 있는 제1열원통(30)의 열원으로부터 구이대상물이 주기적으로 열을 받을 수 있다. 상기 공자전석쇠(60')는 또한 자전도 하는데 열원에 인접한 상태에서 상기 공자전석쇠(60')가 자전하면 하나의 구이대상물이 골고루 열을 전달받아 구워질 수 있다.
구이가 완성되면 상기 공자전석쇠(60')는 상기 구동부(70)의 구동에 의해 상승할 수 있다. 즉, 상기 승강구동모터(71)가 구동하여 피니언기어(72)를 동작시키면 상기 피니언기어(72)가 맞물려 있는 승강랙기어(76)를 구동시켜 승강랙기어(76)가 상승함에 의해 상기 승강회전판(62)과 상기 회전구동부(80)가 상승하여 상기 공자전석쇠(60')중 최상단에 있는 것은 상기 상부개구(14)에 인접하게 위치되어 사용자가 쉽게 공자전석쇠(60')에 있는 구이대상물을 취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1열원통(30)을 사용하는 대신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열원(50)을 상기 내부공간(12)의 양측 내면에 위치시킬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제1열원통(30)은 상기 하우징(10)의 측면통공(24)에서 빼내어 별도로 보관할 수 있다. 도 5에서는 편의상 상기 제1열원통(30)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통받침대(26)도 상기 연결링크(25)에서 분리가능하게 만들어서 별도로 보관할 수 있다.
상기 제2열원(50)을 사용하게 되면, 숯불을 사용하는 것과는 달리 세라믹히터 등을 사용하므로 연기가 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실외에서는 제1열원통(30)에 숯불 등을 넣어서 사용할 수 있고 실내에서는 제2열원(50)을 사용하여 구이를 할 수 있다. 물론,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서 열원을 달리하여 구이를 할 수 있다. 참고로 도 6에서는 상기 제2열원(50)에 있는 히터봉(54)의 위치가 상하방향으로 일직선상에 위치하여 있으나, 경사지게 배치될 수도 있다. 즉, 하부의 것이 더 전방에 위치하고 상부의 것이 상대적으로 후퇴된 위치에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는 반사판(56)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이와 같이 하여 제1열원통(30)의 입구가 경사지게 위치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낼 수 있다.
도 7에는 일측에는 제1열원통(30)을 사용하고 타측에는 제2열원(50)을 사용하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는 제2열원(50)의 히터를 사용하여 신속하게 구이를 진행하면서도 제1열원통(30)에 숯불을 넣어서 숯불 향이 구이대상물에 베도록 하는 것이다.
구이요리가 끝나고 나면 상기 기름받이통공(38)을 통해 기름받이(40)를 빼내어 기름수납공간(45)에 있는 기름을 버리면 된다. 상기 기름받이(40)는 양측에 있는 손잡이(47)를 사용하여 쉽게 취급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제2열원(50)이 채용될 수 있도록 제2열원슬롯(18)이 형성되어 있으나, 상기 제2열원(50)이 채용되지 않은 실시례도 있을 수 있다. 즉, 도시된 실시례에서 상기 제2열원(50) 및 이와 관련된 구성이 삭제되어도 제1열원통(30)의 용이한 취급을 통한 열원의 공급이 용이하고 구이대상물에서 나오는 이물질이 열원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점 등 많은 이점이 있다.
10: 하우징 12: 내부공간
14: 상부개구 16: 단턱
18: 제2열원슬롯 20: 구이바아
22: 구동기어 24: 측면통공
25: 연결링크 26: 통받침대
27: 단부바아 27': 연결바아
28: 회전축 30: 제1열원통
32: 제1내부공간 34: 개공
36: 통안착단 38: 기름받이통공
39: 레일 40: 기름받이
41: 바닥판 43: 측벽
45: 기름수납공간 47: 손잡이
50: 제2열원 52: 케이스
54: 히터봉 56: 반사판
58: 단열재 60: 평판석쇠
60': 공자전석쇠 62: 승강회전판
64: 회전중심축 70: 구동부
71: 승강구동모터 72: 피니언기어
74: 승강가이드 76: 승강랙기어
80: 회전구동부 82: 공전구동축
82': 커플링 84: 공전모터
85: 구동기어 86: 공전연동기어
88: 자전모터 89: 구동기어
90: 자전연동기어 92: 자전구동기어
94: 연결기어 96: 자전종동기어
98: 자전커플링
14: 상부개구 16: 단턱
18: 제2열원슬롯 20: 구이바아
22: 구동기어 24: 측면통공
25: 연결링크 26: 통받침대
27: 단부바아 27': 연결바아
28: 회전축 30: 제1열원통
32: 제1내부공간 34: 개공
36: 통안착단 38: 기름받이통공
39: 레일 40: 기름받이
41: 바닥판 43: 측벽
45: 기름수납공간 47: 손잡이
50: 제2열원 52: 케이스
54: 히터봉 56: 반사판
58: 단열재 60: 평판석쇠
60': 공자전석쇠 62: 승강회전판
64: 회전중심축 70: 구동부
71: 승강구동모터 72: 피니언기어
74: 승강가이드 76: 승강랙기어
80: 회전구동부 82: 공전구동축
82': 커플링 84: 공전모터
85: 구동기어 86: 공전연동기어
88: 자전모터 89: 구동기어
90: 자전연동기어 92: 자전구동기어
94: 연결기어 96: 자전종동기어
98: 자전커플링
Claims (9)
- 내부공간이 상부개구를 통해 상부로 개방되고 양측면에 측면통공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측면통공에 회전동작에 의해 장착되고 분리되는 것으로, 측면통공에 장착되었을 때 입구가 소정의 경사를 가지도록 위치되어 상기 내부공간의 중앙상부 쪽을 향해 입구가 개방되고 내부에 열원이 위치되는 제1열원통과,
상기 상부개구의 가장자리를 둘러서 형성된 단턱 중에 상기 측면통공이 형성된 면에 해당되는 단턱에 있는 제2열원슬롯을 통해 상기 내부공간에 착탈되게 설치되어 대응되는 측면통공에 설치된 상기 제1열원통과 선택적으로 사용되는 제2열원과,
상기 내부공간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에 형성된 기름받이통공을 통해 외부로 인출될 수 있으며 구이대상물에서 발생하는 기름을 수납하는 기름받이를 포함하고,
상기 제1열원통은 직육면체 형상으로 일면으로 개방된 입구가 있고 내부에 열원이 위치되는 제1내부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측면통공에 장착되었을 때 중력반대방향의 상면을 제외한 면들에 개공이 형성되며, 상기 개공은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는 측면열원을 구비한 구이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공간이나 상기 상부개구에는 구이대상물이 위치되는 석쇠나 구이바아가 선택적으로 설치되는 측면열원을 구비한 구이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석쇠중 공자전석쇠는 상기 내부공간에 설치되어 자전과 공전하는 측면열원을 구비한 구이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개구의 내측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단턱이 형성되는데, 상기 단턱에는 구이가 완성된 구이대상물이 놓여지는 구이물트레이가 더 설치되는 측면열원을 구비한 구이장치.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열원통을 지지하여 회전되는 통받침대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된 연결링크에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게 설치되는데, 상기 통받침대는 제1열원통의 양측 측면에 위치되고 상기 연결링크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단부바아와 상기 단부바아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제1열원통의 서로 직교하는 외면에 밀착되는 연결바아로 구성되는 측면열원을 구비한 구이장치.
- 삭제
- 제 1 항 내지 제 4 항, 제 6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열원은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된 히터봉과, 상기 케이스의 내면에 설치되어 히터봉에서 나온 복사열을 반사하는 반사판을 포함하는 측면열원을 구비한 구이장치.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봉은 세라믹히터, 탄소섬유히터, 석영관히터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사용되고 상기 케이스와 반사판의 사이에는 단열재가 설치되는 측면열원을 구비한 구이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04463A KR102196843B1 (ko) | 2019-01-14 | 2019-01-14 | 측면 열원을 가지는 구이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04463A KR102196843B1 (ko) | 2019-01-14 | 2019-01-14 | 측면 열원을 가지는 구이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88006A KR20200088006A (ko) | 2020-07-22 |
KR102196843B1 true KR102196843B1 (ko) | 2020-12-30 |
Family
ID=71893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04463A KR102196843B1 (ko) | 2019-01-14 | 2019-01-14 | 측면 열원을 가지는 구이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96843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85630Y1 (ko) * | 2000-01-15 | 2000-06-15 | 양미숙 | 숯불구이기 |
KR100308324B1 (ko) * | 1999-06-22 | 2001-09-24 | 명노은 | 양측면 가열식 고기구이기 |
JP2003130367A (ja) | 2001-10-19 | 2003-05-08 | Matsushita Kotobuki Electronics Industries Ltd | 加熱調理機 |
KR100459268B1 (ko) * | 2002-02-04 | 2004-12-04 | 박운수 | 숯불 바베큐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42492Y1 (ko) | 2001-05-29 | 2001-10-17 | 방정혁 | 할로겐램프가 설치된 구이기 |
KR200430609Y1 (ko) | 2006-07-03 | 2006-11-10 | 주식회사 제이엠씨 | 수직 양면 숯불구이용 숯통 구조 |
-
2019
- 2019-01-14 KR KR1020190004463A patent/KR10219684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08324B1 (ko) * | 1999-06-22 | 2001-09-24 | 명노은 | 양측면 가열식 고기구이기 |
KR200185630Y1 (ko) * | 2000-01-15 | 2000-06-15 | 양미숙 | 숯불구이기 |
JP2003130367A (ja) | 2001-10-19 | 2003-05-08 | Matsushita Kotobuki Electronics Industries Ltd | 加熱調理機 |
KR100459268B1 (ko) * | 2002-02-04 | 2004-12-04 | 박운수 | 숯불 바베큐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88006A (ko) | 2020-07-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2845528B1 (en) | Multipurpose cooking appliance | |
KR101286834B1 (ko) | 열전달이 용이한 회전식 구이기 | |
US20120097046A1 (en) | Kabob cooker and grill | |
CN105747893A (zh) | 一种炭烧烤装置 | |
KR101179394B1 (ko) | 석쇠판이 좌우이동 및 회전하는 고기 구이용 가마 | |
KR101721805B1 (ko) | 바베큐 요리가 가능한 구이 화덕 | |
US9833108B2 (en) | Barbecue grill with rotating fire receptacle | |
KR100853566B1 (ko) | 회전식 구이 장치 | |
KR102196843B1 (ko) | 측면 열원을 가지는 구이장치 | |
KR100881211B1 (ko) | 고기 구이기 | |
KR200169888Y1 (ko) | 회전식 고기구이기 | |
KR101298093B1 (ko) | 바베큐장치 | |
KR101055065B1 (ko) | 간접 가열 방식의 휴대용 바비큐 기기 | |
KR100508793B1 (ko) | 다단 회전식 바베큐장치 | |
KR102335948B1 (ko) | 초벌구이장치 | |
KR100835267B1 (ko) | 수평 및 수직회전이 동시 가능한 바비큐장치 | |
KR200478779Y1 (ko) | 구이용 회전기구 | |
KR101671629B1 (ko) | 수직 직립형 석쇠 구이 방식의 가열조리기구 | |
KR20080003993U (ko) | 회전가열식 숯불구이기 | |
EP2608706A1 (en) | Equipment for cooking barbecue food | |
KR100883608B1 (ko) | 고기구이 장치 | |
KR200394232Y1 (ko) | 바비큐 구이장치 | |
KR100543410B1 (ko) | 회전식 바비큐장치 | |
KR20120007809U (ko) | 회전 구이기 | |
KR200370324Y1 (ko) | 다단 회전식 바베큐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