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4232Y1 - 바비큐 구이장치 - Google Patents

바비큐 구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4232Y1
KR200394232Y1 KR20-2005-0016702U KR20050016702U KR200394232Y1 KR 200394232 Y1 KR200394232 Y1 KR 200394232Y1 KR 20050016702 U KR20050016702 U KR 20050016702U KR 200394232 Y1 KR200394232 Y1 KR 2003942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clined plate
main body
roasting
barbecue
rota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67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인식
Original Assignee
배인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인식 filed Critical 배인식
Priority to KR20-2005-00167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423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42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423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45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motor-driven food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 A47J37/042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with food supports arranged on wheels or spid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바비큐 구이장치에 관한 것으로, 내측에 공간부를 갖는 본체; 상기 본체 일측에 구비되어 회전력을 발생 및 전달하는 구동수단; 상기 본체 내측에 설치되어 가열수단으로부터 1차 가열된 열을 방사하고, 구이 대상물로부터 낙하된 액체성분을 받아내는 복수의 경사판; 상기 경사판의 상부에 구비되어 구이 대상물을 고정 및 회전시키는 회전부재; 및 상기 경사판의 하부에 구비되어 열을 발생시키는 가열수단이 포함되어 육류를 포함하는 각종 구이 대상물을 대류 및 복사열로 가열하여 굽는 바비큐 구이장치이다.

Description

바비큐 구이장치{Barbecue Roaster}
본 고안은 바비큐 구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육류를 포함하는 각종 구이 대상물을 대류 및 복사열로 가열하여 굽는 바비큐 구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바비큐(Barbecue)는 각종 재료를 꼬챙이에 꿰거나 석쇠에 놓고 불에 직접 구워서 원하는 소스를 발라 먹는 야외요리의 하나이다. 이러한 바비큐 요리의 재료는 각종 수조육류, 어패류, 감자, 옥수수 등 채소류가 넓은 범위로 쓰이고, 소스도 다양하게 사용된다. 굽는 방법도 꼬챙이에 꿰어 굽는 법, 석쇠에 얹어 굽는 법, 알루미늄박에 싸서 굽는 법 등, 특별히 정해진 방법이 없기 때문에 재료와 취향에 따라 자유롭게 적당한 방법을 택할 수 있다. 연료는 가스나 전기 등을 이용하고, 특히 목질로서 장작이나 숯을 많이 사용하며, 벽돌이나 돌로 즉석에서 화덕을 만들어 사용할 수도 있다.
종래 이러한 바비큐 구이장치는 구이 대상물이 가열되면서 생성되는 액체성분, 특히 육류를 포함하는 고기 등으로부터 생성되는 유지(油脂)가 열원에 떨어져 타면서 불꽃을 일으키거나 연소 연기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복수의 경사판을 지그재그로 결합하여 구이 대상물로부터 생성되는 액체성분이 열원으로 직접 낙하되지 않도록 하고, 낙하된 액체성분을 집유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구조를 갖는 바비큐 구이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 목적이다.
또한, 열원의 부분적인 대류열과, 열원에 의해 가열된 경사판의 방사열로 구이 대상물을 구울 수 있도록 하고, 또, 바비큐 구이장치로부터 구이 대상물을 매달거나 분리시킬 때에 열원으로부터 열을 차폐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갖는 바비큐 구이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 다른 목적이다.
본 고안에 따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내측에 공간부를 갖는 본체;
상기 본체 일측에 구비되어 회전력을 발생 및 전달하는 구동수단;
상기 본체 내측에 설치되어 가열수단으로부터 1차 가열된 열을 방사하고, 구이 대상물로부터 낙하된 액체성분을 받아내는 복수의 경사판;
상기 경사판의 상부에 구비되어 구이 대상물을 고정 및 회전시키는 회전부재; 및
상기 경사판의 하부에 구비되어 열을 발생시키는 가열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바비큐 구이장치를 제공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본 고안은,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수단이 포함된 바비큐 구이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의 구동에 의하여 회전되는 다각의 회전부재;
상기 회전부재의 외주연에 삽입 고정되어 서로 대향하는 내측면에 구이 대상물을 고정할 수 있는 복수의 고정구가 구비된 한 쌍의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를 회전부재에 고정시키는 고정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바비큐 구이장치를 제공한 것이 특징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로서 바비큐 구이장치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바비큐 구이장치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결합 사시도이다.
먼저, 본 고안은 열원의 대류열과 경사판의 방사열을 이용하여 경사판의 상부에 위치한 회전부재에 고정되어 회전되는 구이 대상물을 가열하여 굽는 구이장치로서, 구이 대상물로부터 생성된 액체성분이 열원으로 낙하되지 않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본체(10)는 내부에 공간부를 갖는 케이스 형태로서, 전면과 상단 사이는 개방상태로 덮개(12)가 구비되어 있고, 하부는 프레임(14)이 결합되어 있다. 본체(10)의 일측면에는 구동수단(20)이 구비되어 있다. 구동수단(20)은 회전력을 발생하는 모터(22)와,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풀리(23, 24)와, 풀리에 감겨진 벨트(또는 체인)(25, 26) 등이 포함된다. 구동수단(20)에는 이물질이나 물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커버(27) 등이 씌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10)의 프레임(14) 하단에는 본체(10)를 이송시킬 수 있도록 이동 롤러(15)가 구비되어 있고, 측면에는 손잡이(18)가 장착되어 있다.
경사판(30, 32)은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된 것으로, 가열수단(60)으로부터 1차 가열된 복사열을 방사하고, 구이 대상물(m)로부터 낙하된 액체성분을 받아낼 수 있도록 본체(10)의 내측벽으로부터 중앙으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다. 경사판(30, 32)은 본체(10)의 배면 내측으로부터 중앙으로 경사지게 설치된 제1 경사판(30)과, 본체(10)의 전면 내측으로부터 중앙으로 경사지게 설치된 제2 경사판(32)으로 나누어진다. 제1 경사판(30) 아래에 제2 경사판(32)이 지그재그로 설치되고, 제1 경사판(30)의 종단이 제2 경사판(32)의 중앙 부위까지 연장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제2 경사판(32)의 종단에는 가로로 절곡된 배출홈(33)이 형성되어 제1 경사판(30)으로부터 낙하되는 액체성분과 제2 경사판(32)에서 흘러내리는 액체성분을 집유하여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것이다.
더욱이 상기 배출홈(33)에는 배출구(53)가 연결되고, 배출구(53)는 본체(10)의 외부로 연결된다. 즉 본체(10)의 측면에 배출구(53)가 장착되고, 배출구(53)에는 배출홈(33)이 연결되도록 한 것이다. 배출홈(33)으로부터 집유된 액체성분이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제2 경사판(32)이 배출구(33)를 향하여 경사각을 갖도록 하거나 배출홈(33)이 경사지게 하는 것도 좋다.
그리고 회전부재(40, 45)는 상기 제1 경사판(30) 및 제2 경사판(32)의 상부에 각각 설치되어 구이 대상물(m)을 고정 및 회전시키는 것으로, 회전부재(40, 45)는 다각형으로 일단은 구동수단(20)의 풀리(23, 24)에 각각 결합되고, 타단은 베어링(41, 47)이 구비되어 본체(10) 측면 내측에 고정된 지지부재(16, 17)에 지지되며, 구이 대상물(m)을 고정시키는 고정부재(42, 46)가 복수로 결합되어 있다. 상기 베어링(41, 47)은 회전부재(40, 45)의 회전을 지지함과 동시에 지지부재(16, 17) 위에 각각 지지되는 것이다.
고정부재(42, 46)는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복수의 지지바를 갖는 바퀴 형상이고, 내측에는 다각의 통공, 바람직하게는 사각의 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내측의 통공에는 고정관(44)이 구비되어 회전부재(40, 45)의 외주연에 고정된다. 그리고 고정부재(42, 46)의 내측과 외측의 표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복수의 고정구(43)가 형성되어 구이 대상물(m)을 꿰거나 지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고정부재(42, 46)는 한 쌍으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대향하는 고정부재(42, 46) 사이에 구이 대상물(m)을 고정시킨다.
가열수단(60)은 상기 경사판(30, 32)의 하부에 구비되어 열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가열수단(60)은 장작이나 숯(69)을 수용하는 화로(68)가 구비되어 있다. 화로(68)의 저면에는 열원에 공급되는 산소의 유통과 연소재의 배출을 위한 복수의 통공(6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화로(68)의 상부에는 화로(68)로부터 가해지는 열을 차단시키기 위한 불막이판(70)이 구비되어 있다. 즉 불막이판(70)은 화로(68)의 상단을 개폐할 수 있는 뚜껑의 역할을 하는 것이다. 불막이판(70)은 본체(10)의 중앙부의 내측 양단에 구비된 제1 가이드레일(72)을 따라 본체(10)의 전면으로부터 출입이 이루어지고, 불막이판(70)의 전면에는 용이한 개폐를 위한 손잡이(71)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 좋다.
제2 가이드 레일(74)은 화로(68)를 본체(10) 내측으로 투입 또는 배출시키고 지지하는 것으로, 본체(10) 중앙 하부 내측 양단에 구비된 것이다. 화로(68)의 하단에는 제1 단턱(62) 및 제2 단턱(63)이 구비되어 있다. 제1 단턱(62)은 제2 가이드레일(74)을 따라 화로(68)의 지지 및 출입이 이루어지도록 외측으로 형성되고, 제2 단턱(63)은 화로(68)의 내측으로부터 재받침(65)의 슬라이딩 턱(67)이 재치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제1 단턱(62)은 제2 가이드레일(74)에 재치되고, 제2 단턱(63)에는 재받침(65)이 재치되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화로(68)의 하부에는 재받침(65)이 구비되어 화로(68)로부터 연소되어 낙하되는 재를 채집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재받침(65)의 측면에는 복수의 통공(66)이 형성되어 있어 화로(68)의 통공(61)을 통하여 공기를 공급하거나 채집된 재의 양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바비큐 구이장치의 구성요소로서, 본체(10)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여 표시하기 위한 온도감지수단(50)이 구비되어 있다. 온도감지수단(50)은 본체(10)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여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온도센서(51)와, 온도센서(51)의 감지신호를 가시적으로 표시하는 온도계(52)가 포함된다.
본체(10) 외측에는 본체(10)를 이동시키기 위한 복수의 손잡이(18)가 측면에 각각 구비되어 있고, 본체(10) 하부에 구비된 프레임(14)의 하단에는 복수의 이동 롤러(15)가 설치되어 있어 본체(10)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체(10)의 상단에는 덮개(12)가 결합되어 있어 본체(10) 내부를 보온시켜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고, 덮개(12)는 본체(10) 내부를 감시할 수 있는 투명재질의 창이 구비되어 있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구동수단(20)에 인가되는 구동전원을 온 또는 오프시키기 위한 작동스위치(55)가 본체(10)의 일측에 장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바비큐 구이장치는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우선, 본체(10) 내에 가로로 설치된 회전부재(40, 45)를 본체(10) 내측까지 연결된 구동수단(20)으로부터 분리한 후에 회전부재(40, 45)에 고정된 복수의 고정부재(42, 46)의 고정구(43)에 구이 대상물(m)을 끼우거나 꽂은 후에 고정시킨다. 그리고 회전부재(40, 45)의 일단을 구동수단(20)에 고정시키고, 타단의 베어링(41, 47)을 본체(10) 내측의 지지부재(16, 17) 위에 올려놓는다. 이와 같이 하나 이상의 고정부재(42, 46)를 갖는 복수의 회전부재(40, 45)에 각각 구이 대상물(m)을 고정한 다음, 작동스위치(55)를 온시켜 모터(22)를 기동시킨다. 모터(22)의 회전력은 동력전달수단으로서 벨트(25, 26)를 통해 각 회전부재(40, 45)를 회전시키기 위한 풀리(23, 24)를 통해 전달된다. 풀리(23, 24)에 연결된 회전축에 회전부재(40, 45)가 연결되어 있어 회전부재(40, 45)를 각각 회전시키게 된다.
한편, 본체(10)의 배면 하부에 구비된 제2 가이드 레일(74)을 통하여 열원으로서 숯(69) 등이 수용된 화로(68)를 삽입한다. 이때 화로(68)의 하부에는 재받침(65)이 삽입된다. 재받침(65)은 화로(68)의 하단에 형성된 통공(61)을 통하여 숯(69)이 연소된 후에 남는 재를 받아낸다. 그리고 회전부재(40, 45)에 결합된 각 고정부재(42, 46)에 고정된 구이 대상물(m)을 분리하거나 익은 정도를 확인하는 과정에서 뜨거운 열이 사용자에게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화로(68)의 상부에 불막이판(70)을 삽입한다. 불막이판(70)은 화로(68)의 열이 본체(10) 내부로 가해지는 것을 막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화로(68)로부터 가해지는 열이 제1 및 제2 경사판(30, 32)에 1차적으로 가해져 제1 및 제2 경사판(30, 32)이 데워지고, 제1 및 제2 경사판(30, 32)은 복사열을 방사하여 구이 대상물(m)을 가열한다. 이때, 제1 및 제2 경사판(30, 32) 사이의 통로를 통하여 화로(68)의 열이 구이 대상물(m)로 직접 전달되기도 한다.
고정부재(42, 46)에 고정되어 회전되는 구이 대상물(m)은 가해지는 열에 의하여 가열되는 과정에서 유지(油脂) 등의 이물질이 생성되어 낙하된다. 낙하되는 이물질은 경사판(30, 32)에 각각 채집된다. 제1 경사판(30)으로 낙하된 유지 등의 이물질은 제2 경사판(32)으로 흘러내리고, 제2 경사판(32)에 흘러내린 이물질은 제2 경사판(32)에 형성된 배출홈(33)을 따라 본체(10) 외부로 연결된 배출구(53)로 배출된다. 따라서 구이 대상물(m)이 가열되면서 생성되는 유지 등의 이물질이 직접 화로(68)의 열원으로 낙하되지 않아 화로(68)에서 불꽃이 발생하거나 연기가 발생되는 문제를 방지하였다.
본 고안에 따르면, 야외에서 또는 바비큐 요리를 전문으로 하는 음식점 등에서 사용되는 것으로서, 구이 대상물을 간편하고 편리하게 구울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고안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비큐 구이장치는 본체 내에 설치된 복수의 경사판에 열원으로부터 1차적으로 가열되도록 하고, 경사판의 복사열에 의하여 경사판의 상부에 설치된 회전부재의 고정부재에 고정된 구이 대상물이 가열되도록 함으로서, 구이 대상물이 열원에 의하여 직접 가열되지 않도록 하여 구이 대상물이 과도하게 타는 것을 방지한 효과를 갖는 것이다.
더욱이 본 고안은 구이 대상물로부터 생성된 유지 등의 이물질이 경사판에 흘러내리도록 하고, 경사판에 형성된 배출홈에 걸러지도록 하며, 본체 외부로 구비된 배출구로 배출되도록 하여 열원으로 이물질이 낙하되지 않도록 하여 열원에서 불꽃이 발생하거나 그을음 또는 연소 연기가 과도하게 발생하지 않도록 함으로서, 구이 대상물을 보다 안전하게 구울 수 있도록 하고, 환경 친화적인 바비큐 구이를 도모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불막이판으로 화로의 상부를 개폐시켜 화로의 열원이 본체 내부로 가해지는 것을 차단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본체 내부로부터 구이 대상물을 고정시키거나 분리시킬 때에 사용의 편의를 도모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로서, 바비큐 구이장치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바비큐 구이장치의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결합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바비큐 구이장치의 배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바비큐 구이장치의 배면을 나타내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회전부재 및 고정부재의 결합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바비큐 구이장치의 측면을 나타낸 단면도로, 화로의 결합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바비큐 구이장치의 측면을 나타낸 단면도로, 재받침의 결합을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바비큐 구이장치의 측면을 나타낸 단면도로, 작동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본체 12: 덮개
14: 프레임 15: 이동 롤러
16, 17: 지지부재 18, 64, 71: 손잡이
20: 구동수단 22: 모터
23, 24: 풀리 25, 26: 벨트
27: 커버 30, 32: 경사판
40, 45: 회전부재 41, 47: 링
42, 46: 고정부재 43: 고정구
50: 온도감지수단 51: 온도센서
52: 온도계 53: 배출구
55: 작동스위치 60: 가열수단
61, 66: 통공 69: 숯
70: 불막이판 72, 74: 가이드 레일

Claims (5)

  1. 내측에 공간부를 갖는 본체;
    상기 본체 일측에 구비되어 회전력을 발생 및 전달하는 구동수단;
    상기 본체 내측에 설치되어 가열수단으로부터 1차 가열된 열을 방사하고, 구이 대상물로부터 낙하된 액체성분을 받아내는 복수의 경사판;
    상기 경사판의 상부에 구비되어 구이 대상물을 고정 및 회전시키는 회전부재; 및
    상기 경사판의 하부에 구비되어 열을 발생시키는 가열수단;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비큐 구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판은
    본체 내측 벽면으로부터 중앙 위치까지 연장되어 설치되는 것으로, 제1 및 제2 경사판으로 나누어지고, 제1 경사판의 종단이 제2 경사판의 중앙 부위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며, 제2 경사판에는 제1 경사판으로부터 낙하되거나 제2 경사판에서 흘러내린 액체성분을 집유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홈이 형성되고, 배출홈의 일단에는 배출구가 외부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비큐 구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는 다각형으로 일단은 구동수단에 결합되고, 타단은 베어링이 구비되어 본체 내측에 고정된 지지부재에 지지되며, 구이 대상물을 고정시키는 고정부재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비큐 구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로의 상부에 위치하여 화로의 열을 차단시키는 불막이판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비큐 구이장치.
  5.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수단이 포함된 바비큐 구이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의 구동에 의하여 회전되는 다각의 회전부재;
    상기 회전부재의 외주연에 삽입 고정되어 서로 대향하는 내측면에 구이 대상물을 고정할 수 있는 복수의 고정구가 구비된 한 쌍의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를 회전부재에 고정되는 고정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비큐 구이장치.
KR20-2005-0016702U 2005-06-10 2005-06-10 바비큐 구이장치 KR2003942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6702U KR200394232Y1 (ko) 2005-06-10 2005-06-10 바비큐 구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6702U KR200394232Y1 (ko) 2005-06-10 2005-06-10 바비큐 구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4232Y1 true KR200394232Y1 (ko) 2005-09-01

Family

ID=43695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6702U KR200394232Y1 (ko) 2005-06-10 2005-06-10 바비큐 구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423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6587B1 (ko) 2007-07-23 2009-09-11 김홍영 매연발생이 없는 바비큐 구이장치
KR102134415B1 (ko) * 2020-04-08 2020-07-16 한형덕 구이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6587B1 (ko) 2007-07-23 2009-09-11 김홍영 매연발생이 없는 바비큐 구이장치
KR102134415B1 (ko) * 2020-04-08 2020-07-16 한형덕 구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473790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aking foods in a barbeque grill
KR20130027730A (ko) 열전달이 용이한 회전식 구이기
WO2010053538A1 (en) Kabob cooker and grill
KR101321528B1 (ko) 고기 구이장치
KR20150055359A (ko) 회전식 구이물 구이기
KR100828035B1 (ko) 균질조리 바베큐 장치 및 방법
US6213004B1 (en) Portable broiling device
KR20160095553A (ko) 휴대용 바베큐 구이기
US9833108B2 (en) Barbecue grill with rotating fire receptacle
KR200394232Y1 (ko) 바비큐 구이장치
KR100601783B1 (ko) 상부회전식 구이장치
KR100644844B1 (ko) 회전식 바비큐 장치
KR20130112440A (ko) 바베큐 구이장치
KR100916587B1 (ko) 매연발생이 없는 바비큐 구이장치
KR20200024634A (ko) 복사열을 이용한 회전식 구이기
KR102345327B1 (ko) 야외용 고기 굽는 장치
JP2005013341A (ja) ロースタ
KR19980073219A (ko) 식탁설치용 바베큐 구이기
KR102196843B1 (ko) 측면 열원을 가지는 구이장치
KR102027580B1 (ko) 회전식 구이장치
KR100821927B1 (ko) 바비큐 구이기용 쇠꼬치 공자전 장치
KR20080003993U (ko) 회전가열식 숯불구이기
KR200438565Y1 (ko) 열분산 기능을 가진 바비큐 장치용 기름받이
KR100549808B1 (ko) 전동식 구이판
KR200423312Y1 (ko) 회전식 바비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50610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823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50613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824

Year of fee payment: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824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0907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