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9901Y1 - 꼬치회전구이장치 - Google Patents

꼬치회전구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9901Y1
KR200169901Y1 KR2019990018819U KR19990018819U KR200169901Y1 KR 200169901 Y1 KR200169901 Y1 KR 200169901Y1 KR 2019990018819 U KR2019990018819 U KR 2019990018819U KR 19990018819 U KR19990018819 U KR 19990018819U KR 200169901 Y1 KR200169901 Y1 KR 2001699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ewer
cooking
charcoal
chamber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88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염영환
Original Assignee
염영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염영환 filed Critical 염영환
Priority to KR20199900188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990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99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990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 A47J37/041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with food support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꼬치를 회전시키면서 조리하는 구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의 꼬치회전 구이장치는 양쪽 숯불통 사이에서 오직 한 개의 꼬치봉만을 조리하는 것이므로 숯불 소비가 많아 경제적이지 못하였고, 꼬치들을 익히려면 매번 꼬치봉의 끝단을 회전되는 롤러의 삽입공에 정확히 맞춰 끼워야만 되기 때문에 주로 사용되는 음식점에서 음주자는 물론 정상인들도 사용하기가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양쪽 내벽에 원형 절개구(105)와 그 바깥쪽에 챔버(103)가 형성된 조리실(100); 일측벽이 금속망(114)으로 이루어진 숯불통(112); 외주면에 꼬치봉 삽입용 홈(125)이 다수 형성되고 구동수단(140)의 동력을 받아 회전하는 원판(124)과; 상기 챔버(103)내에 손잡이(134)가 위치되도록 양쪽 원판(124)의 홈(125)에 끼워져 걸쳐진 후 원판(124)을 따라 회전하는 꼬치봉(132)으로 구성된 것으로서, 꼬치봉(132)을 양쪽 원판(124)의 홈(125)에 끼우거나 빼내기가 용이한 것이며, 원판의 홈(125)에 끼워진 꼬치봉(132)들이 차례로 양쪽 숯불통(112)에 근접되었다가 멀어지는 동작을 반복하면서 숯불의 열기가 효율적으로 가해지므로 숯불 소모에 비해 조리량이 많고 조리된 육질의 맛이 월등히 뛰어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꼬치회전구이장치{A rotational device of cooking a meat}
본 고안은 꼬치회전구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양쪽 회전원판의 외주면에 방사형으로 형성한 다수의 홈에 여러개의 꼬치봉을 함께 손쉽게 꽂을 수 있으면서도 회전원판의 홈에 끼워진 여러개의 꼬치봉들이 양쪽의 숯불통을 향해 순차적으로 근접되었다가 멀어지는 동작을 반복하게 하므로서 숯불의 경제적인 사용과 조리된 육질의 맛이 월등히 뛰어난 꼬치회전구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기구이 요리는 고기의 겉과 속을 골고루 익혀야 하고 또한 기름끼를 적당히 내재시켜 부드러우면서도 고소한 맛을 내는 데에 중점을 두고 있다. 따라서, 고기구이의 요리로는 상기한 관점으로부터 발달되어 돌판구이, 숯불구이, 바베큐요리 및 꼬치구이 등이 있는 데, 이들 각각은 특이한 맛을 내기 때문에 조리자의 취향에 따라 선택된다.
도1은 선행기술로 공개실용신안 제97-2627호로 개시된‘테이블에 설치된 꼬치구이기’의 분리사시도이고, 도2는 도1의 회전구동수단을 설명하기위한 배면구성도이며, 이를 공개공보에 실린 청구범위를 중심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테이블(1)중앙에 설치되는 구이기(2)의 몸체(3)는 상부에서 개구되고, 배면 상단에 회전롤러(4)(4')(4')와 일체로 된 체인기어(5)(5')(5')는, 몸체(3)의 배면으로부터 일측부에 감속기어(6)와 이 동축선상에 또한 구동기어(7) 및 체인(9)으로 연결된다.
상기 감속기어(6)와 동축에 설치된 구동기어(7)는 테이블(1)의 저부 일측에 부착되어 있는 모터(8)의 축기어(8')와 체인(9')으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3)의 배면 상단에 내향돌출되어 있는 회전롤러(4)(4') (4')사이에 뚜껑(15)을 갖는 숯불통(11)(11')(11')이 걸쳐지고, 일측 숯불통(11')상부에는 유출공(12')이 천공된 쟁반(12)이 위치하며, 회전롤러(4)(4')(4')의 삽입공(4a)에는 꼬치봉(10)(10')(10') 의 끝단이 끼워지고 타측 꼬치봉의 손잡이(10a)는 몸체(3)의 전면 상단에 형성된 요홈(3')에 걸쳐지도록 하고 있다.
또한 구이기 몸체(3)의 전면 하단에 가이드홈(13)이 형성되어 기름받이(14)가 내장되며 구이기(2)의 몸체(3)의 측면과 저면에는 불에 타지 않는 단열재(미부호)로 싸여져 있다.
상기한 선행기술에 따르면 꼬치봉은 회전롤러의 도움으로 회전하면서 고기를 골고루 익혀 조리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첫째로 꼬치봉이 끼워진 부분에 숯불통을 노출시켜 따로 준비하여 배치시켜야 했기 때문에 숯불통의 열기가 직접 조리자 및 시식자에게 전달되어 편안한 조리를 할 수 없고, 둘째로 상기 숯불통사이로 오직 하나의 꼬치봉을 위치시킬 수 밖에 없으므로 숯불의 소비가 너무 커 경제적으로 사용할 수 없다.
그리고, 셋째로 이러한 꼬치구이기는 주로 술 손님을 많이 받는 음식점에 설치되어 사용되는데, 손님들이 계속 회전하는 회전롤러의 삽입공에서 고기가 익은 꼬치봉을 빼내고 새 꼬치봉을 끼우고자 할 때 회전중인 회전롤러의 삽입공으로 꼬치봉의 끝단을 끼우기란 여간 힘든일이 아닐 수가 없으며, 특히 술을 몇잔 걸쳐서 취기가 오른 사람들은 더 더욱 끼우기가 힘들어서 사용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숯불통의 화력이 외부 사용자보다 꼬치봉의 고기에만 효율적으로 미칠 수 있어 숯불의 경제적인 사용을 추구하고, 꼬치봉을 회전원판에 끼우거나 빼내기가 용이하여 사용상의 편리함을 주면서도 다수의 꼬치봉을 순차적으로 숯불에 근접시켰다가 점차 멀어지게 하는 동작을 반복토록 하므로서 조리된 육질의 맛을 월등히 뛰어나게 하는 꼬치회전구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테이블중앙에 조리를 위한 공간이 마련되어 있는 조리실에 숯불통을 소정간격으로 놓고 이 숯불통 사이에서 꼬치를 회전시켜 조리하는 꼬이구이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양쪽 내벽에 원형 절개구와 그 바깥쪽에 챔버가 형성된 조리실; 일측벽이 금속망으로 이루어진 숯불통; 외주면에 꼬치봉 삽입용 홈이 다수 형성되고 구동수단의 동력을 받아 회전하는 원판과; 상기 챔버내에 손잡이가 위치되도록 양쪽 원판의 홈에 끼워져 걸쳐진 후 원판을 따라 회전하는 꼬치봉으로 꼬치회전구이장치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꼬치봉들이 끼워지는 회전원판은 조리실 상부에 위치되는 반면 그 양쪽의 숯불통은 회전원판의 양쪽 하단부에 위치되어 조리실 깊숙히 위치되므로 숯불통의 화력이 외부 사용자보다 꼬치봉의 고기에만 효율적으로 가해질 수 있다.
그리고, 또한 꼬치봉을 끼울 때는 꼬치봉 양단을 양쪽 회전원판의 홈에 직접 끼울 수도 있지만 꼬치봉을 회전원판 상면에 올려 놓고 잠시 기다리기만 하면 회전되어 오는 외주면의 홈에 저절로 끼워지므로 꼬치봉을 끼우기가 용이하고, 빼낼 때는 꼬치봉을 위로 들어 올리기만하면 되므로 사용이 손쉬운 것이며, 다수의 꼬치봉이 회전원판에 의해 순차적으로 숯불에 근접되었다가 점차 멀어지는 동작을 반복하면서 열을 받아 조리된 육질의 맛이 월등히 뛰어나므로 상기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가 있다.
도1은 종래의 선행기술인 '테이블에 설치된 꼬치 구이기’의 분리사시도,
도2는 도1의 회전구동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배면구성도,
도3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꼬치회전구이장치를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4는 도3에 도시된 꼬치회전구이장치의 종단면도,
도5는 도3에 도시된 꼬치회전구이장치의 횡단면도,
도6은 도3의 꼬치회전구이장치에 적용되는 자전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조리실 101 : 플랜지
103 : 챔버 107 : 베어링
109 : 블록 110 : 숯불저장수단
112 : 숯불통 113 : 지지간
114 : 금속망 120 : 회전수단
124 : 원판 125 : 홈
130 : 꼬치조리수단 132 : 꼬치봉
134 : 손잡이 140 : 구동수단
142 : 전동기 144 : 종동스프로킷
145 : 구동스프로킷 150 : 횡간
152 : 조리접시 152 : 조리면
156 : 걸이편
이하, 본 고안의 기술구성 및 작용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첨부한 별첨의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3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꼬치회전구이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로서, 조리를 위한 공간이 마련된 조리실(100)은 도시하지 않은 테이블 중앙에 위치하게 된다.
이 조리실(100)에 숯불이 놓여지고 이 숯불의 열기가 잘 받는 곳에 꼬치가 놓여지며 이 꼬치가 숯불의 열을 골고루 받을 수 있도록하는 수단이 마련되어 있으므로, 본 실시예의 꼬치회전구이장치는 숯불저장수단(110), 회전수단(120), 꼬치조리수단(130) 그리고 구동수단(140)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회전수단(120)은 조리실(100)의 상단부에서 상기 숯불저장수단(110)의 숯불통(112) 사이로 설치된다. 즉, 이 회전수단(120)은 먼저 회전축(122)을 형성하고, 이 회전축(122)의 양단에 원판(124)을 각각 설치하여 회전축(122)과 원판(124)이 함께 회전 가능하게 하며, 이 원판(124)의 외주면에는 다수개의 꼬치조리수단(130)을 한 개씩 꽂을 수 있는 홈(125)이 방사형으로 여러개 형성된다.
상기 숯불저장수단(110)은, 조리실(100)의 양측에 숯불통(112)이 각각 놓여 지고 이 숯불통(112)은 지지간(113)으로 받쳐지고 있다.
상기 숯불통(112)은 숯불을 담기위해 상면이 개방된 상자 형태이나 일측벽은 꼬치를 향하여 열이 최대한 가해질 수 있도록 금속망(114)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간(113)은 조리실(100)의 아랫쪽에 횡방향으로 가로질러 있어서 올려지는 숯불통(112)은 조리실(100)의 내부에 위치된다.
상기 꼬치조리수단(130)은, 한쪽끝이 뽀족하여 조리물인 꼬치를 쉽게 꽂을 수 있는 꼬치봉(132)을 상기 회전축(122)의 양단에 있는 원판(124)을 가로지를 수 있는 길이로 형성하고, 이 꼬치봉(132)의 다른 쪽 끝에 손잡이(134)를 형성한다.
상기 구동수단(140)은, 상기 꼬치조리수단(130)이 고정된 회전수단(120)을 회전시키는 것으로, 물론 간편한 구조에 따라서 수동으로 상기 회전축(122)을 회전시킬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회전축(122)의 한쪽을 축연결로 전동기(142)와 연결하여 구동력을 간접전동으로 전달한다.
즉, 상기 전동기(142)는 조리실의 한쪽에 장착되어 있는 데에 반해 상기 회전축(122)은 조리실 중앙에 놓여져 있으므로, 상기 회전축(122)에 종동스프로킷(144)을 연결하고, 상기 전동기(142)의 회전축에 구동스프로킷(145)을 장착하여 도시하지 않은 체인으로 연결한다.
한편, 조리실(100)의 몸체 주위로 플랜지(10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수단(120)이 위치하는 중간부위의 전후부분에 상측으로 절개되어 개방되어 있고 그 외부로 박스형태의 챔버(103)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챔버(103)가 형성된 조리실 벽은 상기 회전수단(120)이 회전하는 방향으로 원형의 절개구(105)를 형성하고 이 절개구(105)의 중심방향으로 챔버(103)의 내벽에 상기 회전수단(120)의 회전축(122)을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107)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상기 회전수단(120)은 상기 베어링(107)에 회전축(122)을 지지하며 조리실(100)을 가로질러 설치되고, 이 회전수단(120)의 원판(124) 외주면에 방사형으로 형성된 홈(125)으로 꼬치조리수단(130)이 끼워진다.
이 꼬치조리수단(130)은 상기 회전수단(120)이 회전함에 따라 일정한 반경으로 함께 회전하는 데, 그 회전반경은 상기 절개구(105)와 같으므로 이 절개구(105)의 안쪽에 걸쳐진 상태에서 꼬치조리수단(130)이 회전하기 때문에 회전 중에 낙하하지 않는다.
그런데, 상기 꼬치조리수단(130)은 상기 회전수단(120)을 따라 회전하면서 양방향에 배치된 숯불통(112)으로부터 발산되는 열기를 받게 되는 데, 이때 꼬치조리수단(130)이 상기한 동작중에 스스로 회전을 하게 되면 꼬치의 구석 구석에 열기가 미처 더욱 맛있는 조리를 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상기한 자전수단을 마련하기 위하여 상기 챔버(103)의 좌우 내측벽에 마찰면을 갖는 블록(107)을 장착하여 상기 꼬치조리수단(130)의 손잡이(134)가 접촉할 때마다 그 마찰력에 의해 꼬치봉(132)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런데, 상기한 작용은 꼬치조리수단(130)이 회전수단(120)의 원판(124)에 형성된 홈(125)에 끼워진 상태에서 밖으로 이탈하지 않고 순조롭게 챔버(103)내로 진입하여야 하는 데, 이는 가이드편(147)에 의하여 가능해진다.
이 가이드편(147)은 챔버(103)의 외측벽 상단에 꼬치조리수단(130)이 회전하는 반경으로 둥글게 와이어를 절곡시켜 용접 등의 수단으로 고정시킨 것이다. 따라서, 꼬치조리수단(130)의 손잡이(134)는 이 가이드편(147)의 내측면을 따라 챔버(103)내로 진입하게 된다.
한편, 조리실(100)의 상측에 양측으로부터 일정한 거리에 각각 두 개의 횡간(150)이 가로질러 장착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는 데, 이것은 조리접시(151)를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 조리접시(151)는 조리가 다 된 꼬치를 모아두는 것으로 일측은 상기 횡간(150) 사이에 끼워져 걸리도록 절곡되어 있고, 다른 쪽은 플랜지(101)위에 걸쳐지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꼬치가 놓여지는 조리면(152)의 오목한 중앙에는 다수의 구멍(153)을 뚫어 꼬치로부터 나오는 기름이 잘 빠지도록 하고 있으며, 이 조리면(152)의 한쪽에는 상단 홈에 꼬치봉(132)을 끼워 꼬치를 훑어 낼 수 있는 걸이편(156)이 고정되어 있어 꼬치조리수단(130)의 꼬치봉(132)으로부터 꼬치를 쉽게 빼낼 수 있게 한다.
도면에서 설명하지않은 (170)은 조리실(100)의 하부에서 출입 가능하게 설치된 물받이를 칭하고, (171)은 원판(124)을 따라 회전되는 조리물에 닿지 않도록 숯불통(112)의 위치를 제어하는 스토퍼를 칭한다.
도4는 도3에 도시된 꼬치회전구이장치의 종단면도로, 조리실(100)내에서 회전수단(120)과 꼬치조리수단(130) 그리고 구동수단(140)의 관계를 잘보여주고 있다. 조리실(100)의 좌우측에 각각 챔버(103)가 형성되어 있고 그 중 하나의 챔버(103)에 구동수단(140)이 연결된다. 그리고, 이 챔버(103)에 회전축(122)의 양단을 축방향으로 고정하여 회전수단(120)이 장착되어 있으며, 이 회전수단(120)의 원판(124)에 꼬치조리수단(130)이 배치되어 있다.
물론,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이 회전수단(120)의 양측으로 숯불통이 각각 놓여져 꼬치조리수단(130)의 꼬치봉(132)에 끼워진 꼬치에 열기를 작용한다.
또한, 상기 챔버(103)의 위로 고정된 가이드편(147)은 꼬치조리수단(130)의 손잡이(134)가 외부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면서 안전하게 다시 챔버(103)로 진입되게 하는 것을 도와 준다.
그리고, 상기 회전수단(120)의 회전축(122)은 구동수단(140)의 종동스프로킷 (144)과 축연결되어 있고, 이 종동스프로킷(144)은 구동스프로킷(145)과 체인 등의 간접전동방식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꼬치조리수단(130)밑으로 조리실(100)의 바닥에 물받이(170)가 배치되어 있어 조리중에 발생된 기름이나 숯불재 등의 부산물을 물속으로 포집하여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게 하며, 증발되는 수분이 조리되는 꼬치에 가해져서 육질을 부드럽게 하여준다.
도5는 도3에 도시된 꼬치회전구이장치의 횡단면도로, 도4에서 도시된 방향으로부터 직각되는 방향으로 도시하여 숯불저장수단(110)의 각 숯불통(112)과 회전수단(130), 그리고 조리접시(151)의 배치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조리실(100)에서 상기 회전수단(130)이 장착된 중앙의 내벽에 절개구(105)를 형성하고 이 절개구(105)의 내측을 따라 원판(124)의 홈에 끼워진 꼬치조리수단의 꼬치봉(132)이 회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조리실(100)에서 회전수단(130)의 양측으로 아랫쪽에는 숯불통(112)이 지지간(113)위에 지지되어 배치되고 그 윗쪽에는 조리접시(151)가 횡간(150)과 플랜지(101)에 지지되어 배치된다.
도 6 은 도 3 에 도시된 꼬치회전구이장치에 적용되는 자전수단을 설명하기위한 도면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꼬치조리 수단(130)은 회전수단(120)을 따라 공전하면서 각각 원판(124)의 홈(125)에 끼워져 자전한다. 이때 자전수단은 꼬치조리 수단(130)이 회전 하면서 챔버(103)내에서 손잡이(134)를 블록(109)과 접촉시켜 그때의 마찰로 손잡이(134)를 자전시킨다.
따라서, 꼬치조리수단(130)의 꼬치는 회전수단(120)에의해 회전하면서 양측의 숯불통에서 발생되는 열기로 조리되고 스스로 자전하면서 열기를 받는 부분을 바꾸어 골고루 익을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상술한 본 고안의 꼬치회전구이장치에 의하면, 조리실의 양측 각각에 숯불을 재치시키고 그 사이에 조리물인 꼬치를 회전중심의 방사방향으로 위치시키고 공전과 더불어 자전을 할 수 있도록 하며 그 양측으로 조리접시를 배치시킴으로써 첫째, 숯불통이 조리자 등에 직접적으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편안한 조리를 할 수 있고, 둘째로, 양쪽 숯불통에 여러개의 꼬치조리를 동시에 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이며, 셋째로, 조리중에 계속 회전하는 원판에 꼬치가 꽂아진 꼬치조리수단을 단순히 올려놓으면 회전에 따라 각각의 홈에 끼워져 배치되기 때문에 그 사용이 편리하는 등의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서술된 것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불과한 것이기 때문에, 이를 바탕으로 본 고안을 한정적으로 해석해서는 안될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사상 및 범위 내에 존재하는 변형예 및 균등한 실시예는 모두 본 고안의 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2)

  1. 조리실 내부의 숯불통 열기에 의해 회전되는 꼬치의 조리물을 조리하는 꼬치구이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양쪽 내벽에는 원형 절개구(105)가 형성되고 그 바깥쪽에는 상면에 가이드편(147)이 돌출되어 있는 챔버(103)가 구비된 조리실(100);
    상기 조리실(100) 내부의 지지간(113)위에 이동 가능하게 얹혀지면서 숯불통(112)의 일측벽이 금속망(114)으로 이루어진 숯불저장수단(110)과;
    양쪽 내벽의 원형 절개구(105) 중심에 위치되는 회전축(122)의 양단에 설치되면서 외주면에 꼬치봉 삽입용 홈(125)이 다수 형성되고 구동수단(140)의 동력을 받아 회전하는 원판(124)과;
    상기 챔버(103)내에 손잡이(134)가 위치되면서 양쪽 원판(124)의 홈(125)에 끼워진 후 원판(124)을 따라 회전하는 꼬치봉(132)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꼬치회전구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판(124)의 홈(125)에 끼워진 꼬치봉(132)의 손잡이(134)가 회전되는 챔버(103) 내에 상기 손잡이(134)와 접촉 가능한 블록(109)을 설치하여 블록(109)에 접촉될 때마다 꼬치봉(132)의 자전과 공전이 이루어 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꼬치회전구이장치.
KR2019990018819U 1999-06-24 1999-09-06 꼬치회전구이장치 KR2001699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8819U KR200169901Y1 (ko) 1999-06-24 1999-09-06 꼬치회전구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9990011325 1999-06-24
KR2019990011325 1999-06-24
KR2019990018819U KR200169901Y1 (ko) 1999-06-24 1999-09-06 꼬치회전구이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8702A Division KR100387391B1 (ko) 2000-11-18 2000-11-18 꼬치 회전 구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9901Y1 true KR200169901Y1 (ko) 2000-02-15

Family

ID=26634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8819U KR200169901Y1 (ko) 1999-06-24 1999-09-06 꼬치회전구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9901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7391B1 (ko) * 2000-11-18 2003-06-19 염영환 꼬치 회전 구이장치
KR100720150B1 (ko) 2006-09-28 2007-05-18 주식회사 로테이트 코리아 꼬치 구이기
KR100793817B1 (ko) 2007-08-03 2008-01-11 조정환 회전구이기
KR102225218B1 (ko) * 2020-09-09 2021-03-09 이해용 꼬치 구이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7391B1 (ko) * 2000-11-18 2003-06-19 염영환 꼬치 회전 구이장치
KR100720150B1 (ko) 2006-09-28 2007-05-18 주식회사 로테이트 코리아 꼬치 구이기
KR100793817B1 (ko) 2007-08-03 2008-01-11 조정환 회전구이기
KR102225218B1 (ko) * 2020-09-09 2021-03-09 이해용 꼬치 구이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58493A (en) Cooking device
EP0707452B1 (en) Barbecue
US4372199A (en) Rotary skewer cooker
US20140245897A1 (en) Rotisserie convection oven with rotatable cooking drum and method of use
KR100387391B1 (ko) 꼬치 회전 구이장치
US20050268794A1 (en) Spool rotisserie system
US6272975B1 (en) Rotisserie cooking apparatus
US20070101869A1 (en) Portable rotisserie oven having a removable food holding device with an external handle
KR200169901Y1 (ko) 꼬치회전구이장치
KR100586746B1 (ko) 탈부착이 용이한 꼬챙이를 갖는 스탠드형 구이장치
KR200166365Y1 (ko) 꼬지바베큐 자동구이기
KR100205120B1 (ko) 식탁설치용 바베큐 구이기
KR102410674B1 (ko) 회전고기구이장치
KR200386648Y1 (ko) 산적 및 고기 구이 장치
KR100862311B1 (ko) 바비큐 장치
US4165684A (en) Defrost and cooking apparatus
KR200290905Y1 (ko) 로스터 불판 회전 구조
KR200342613Y1 (ko) 고기구이장치
KR102488649B1 (ko) 회전구이기
KR200297022Y1 (ko) 전기 바베큐 구이기용 꽂이봉의 꼬치막대 끼움구조
CN220529829U (zh) 一种电炭无烟烧烤箱
KR200214858Y1 (ko) 전기구이기
KR20120007809U (ko) 회전 구이기
KR200166422Y1 (ko) 회전식 바베큐 조리장치
KR940007034Y1 (ko) 회전식 통닭구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1120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