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0674B1 - 회전고기구이장치 - Google Patents

회전고기구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0674B1
KR102410674B1 KR1020210028579A KR20210028579A KR102410674B1 KR 102410674 B1 KR102410674 B1 KR 102410674B1 KR 1020210028579 A KR1020210028579 A KR 1020210028579A KR 20210028579 A KR20210028579 A KR 20210028579A KR 102410674 B1 KR102410674 B1 KR 1024106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skewer
fixed
mea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85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조
Original Assignee
이동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조 filed Critical 이동조
Priority to KR10202100285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06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06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06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 A47J37/042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with food supports arranged on wheels or spid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45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motor-driven food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기의 전체 면적에 걸쳐 고르게 구워 고품질의 풍미를 구현할 수 있도록;
내부에 상부가 개구된 가열공간이 형성된 구이본체와; 상기 구이본체의 가열공간에 구비되며 열을 방출하도록 된 열원수단과; 전원공급부의 전원을 제어하여 공급하도록 된 제어수단의 제어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력을 형성하도록 된 동력발생수단과; 길이를 가지면 식품을 고정하도록 된 꼬치부재를 탈부착하며 상기 동력발생수단을 통해 발생된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꼬치부재를 회전운동시키도록 된 회전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회전고기구이장치에 있어서; 상기 열원수단은, 상기 구이본체의 가열공간에서 바닥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면서 상기 회전수단의 공전회전방향의 중심에 배치되어 상기 꼬치수부재의 길이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면서 열을 방출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회전수단은, 상기 열원수단을 중심으로 상기 꼬치부재를 공전운동과 자전운동을 동시에 수행하도록 되는 회전고기구이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회전고기구이장치{Rotating roast meat device}
본 발명은, 고기를 가열하여 조리할 때, 고기를 열을 중심으로 공전운동 및 자전운동시키어 고르게 굽도록 되어 고품질의 풍미를 구현할 수 있도록 된 회전고기구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특히 테이블에 일체로 구비되어 사용되도록 되어 사용성이 향상된 회전고기구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는, 고기가 가열되는 가열공간에서의 잠열효율을 향상시켜 고기에 대한 가열품질 및 열사용성이 향상된 회전고기구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닭이나 돼지 등의 육류, 물고기나 조개 등의 어패류, 버섯이나 과일 등의 농수산물 등을 포함하는 식품을 가열요리하는 방식에는, 숯불 등에 직접 접촉시켜 구워내는 직화구이 방식과 폐쇄된 공간에서 숯불 등의 뜨거운 열기에 의해 구워내는 훈제 등과 같은 간접구이 방식이 있다.
아울러, 동력을 통해 공회전하는 꼬치에 식품을 끼워 고정한 상태에서 식품을 회전시키면서 고르게 가열조리하는 꼬치구이방식이 있다.
상기에서 직화구이는, 육류 표면에 그을음이 발생하고 조금만 부주의하여도 까맣게 타는 부위가 발생하여 맛을 떨어뜨릴 뿐 아니라 탄 육류를 많이 섭취할 경우 암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에서 꼬치구이는, 길이를 가지는 꼬치대에 육류나 채소 등 각종 재료를 꿰어 구워먹는 요리로서, 세계적으로 인기가 많은 식재료 조리 방식으로서, 불을 직접 고기에 접하도록 하여 조리하는 방식의 특성 상, 꼬치를 빨리 뒤집지 않으면 식재료의 일부가 타거나 익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에 따라, 근자에는 꼬치구이이 대한 조리의 편의성 및 조리 완성도를 향상하기 위하여 다양한 꼬치구이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 중 하나로,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00-0068702호(명칭: 꼬치 회전 구이장치/2000.11.18.)가 있으며,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테이블중앙에 조리를 위한 공간이 마련되어 있는 조리실에 숯불통을 소정간격으로 놓고 이 숯불통 사이에서 꼬치를 회전시켜 조리하는 꼬이구이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양쪽 내벽에 원형 절개구와 그 바깥쪽에 챔버가 형성된 조리실; 일측벽이 금속망으로 이루어진 숯불통; 외주면에 꼬치봉 삽입용 홈이 다수 형성되고 구동수단의 동력을 받아 회전하는 원판과; 상기 챔버내에 손잡이가 위치되도록 양쪽 원판의 홈에 끼워져 걸쳐진 후 원판을 따라 회전하는 꼬치봉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03-0037334호(명칭: 회전식 구이기의 꼬치 회전 장치/2003.11.29.)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모터와; 상기 모터의 구동축에 일단이 커플링 결합되는 주축과 상기 주축에 일정한 간격으로 축고정되는 하나 이상의 구동 기어와 상기 주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브라켓으로 구비되는 동력 전달부와: 상기 주축과는 직교하는 방향으로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보조축과, 상기 보조축의 일단에 축고정되어 상기 구동 기어와 기어결합하는 연동 기어와, 상기 보조축의 타단에 일체로 구비되면서 판면에는 꼬치의 꽂이봉끝단이 끼워지도록 끼움홀을 형성한 회전판과, 상기 보조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 수단으로 구비되는 꼬치 회전부; 상기 연동 기어의 회전에 따라 지정된 위치가 검출될 때 일정 시간 상기 꼬치 회전부를 일시적으로 정지하도록 구동하는 구동 제어부로 이루어지는 회전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8-0065311호(명칭: 회전식 꼬치 구이장치/2018.06.07.)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식재료가 끼워진 꼬치를 회전시키며 조리하는 꼬치 구이부; 및 상기 꼬치 구이부에 조리를 위한 열을 제공하는 버너부;를 포함하고, 상기 꼬치 구이부는 서로 연결된 기어에 의하여 복수개의 꼬치가 회전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꼬치 구이부는 꼬치가 조리되는 사각형의 공간을 제공하는 전면 패널, 후면 패널, 좌측면 패널 및 우측면패널과, 상기 전면 패널 및 후면 패널에 형성되고 복수개의 꼬치가 삽입될 수 있는 꼬치 삽입홀과, 상기 후면패널의 내측에 결합되고 서로 맞물려 있는 복수개의 기어와, 상기 복수개의 기어를 상기 후면 패널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하는 기어 연결부와, 상기 기어 연결부 중 하나와 모터 회전축이 결합된 모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모터 회전축이 결합된 구동 기어가 회전하면 상기 구동기어에 맞물린 종동기어가 함께 회전하면서 복수개의 꼬치를 회전시키는 구이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이장치들은, 고기가 고정된 고치봉들이 자전운동을 하면서 가열원과의 대면하는 부위들이 지속적으로 가변되면서 굽도록 되어 있어, 고기의 전체 면적에 대하여 고른 가열조리를 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20-0014056호(명칭: 회전식 꼬치 구이 장치/2020.02.06.)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하부면에는 구동 기어와 치합되어 회전력을 전달 받을 수 있도록 하는 피동 기어가 형성되고, 상부면에는 꼬치대의 하단이 끼움 결합되는 결합 홈이 형성된 고정구가 돌출 형성되되, 고정구와 상기 피동 기어가 연결되도록 하여 일 방향으로 회전 구동되며, 고정구의 설치면을 포함한 내측 일 영역은 함몰된 형상으로 구비되도록 하여 구이물의 조리 과정 중 발생된 기름이 수집되는 조리부; 상부면 및 하부면이 개방된 형상으로 마련되되, 조리부의 외주를 따라 형성된 안착 홈에 하부면이 안착됨에 따라 구이물의 조리 공간을 한정하여 열원 전달 수단에 의한 열 손실을 방지하도록 하는 하우징부; 및 하우징부의 개방된 상부면을 덮는 형태로 설치되고, 내측에는 하나이상의 배출공이 마련됨으로써 조리 과정 중 발생한 연기를 배출하게 하는 덮개부;를 포함하고, 본체부 및 조리부의 중심 영역에는, 열원 전달수단의 출입구가 중공의 형상으로 마련된 구이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즉, 고기가 고정된 고치봉들이 공정운동을 하면서 가열원과의 대면하는 부위들이 지속적으로 가변되면서 굽도록 되어 있어, 고기의 전체 면적에 대하여 고른 가열조리를 하도록 되어 있다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00-0068702호(2000.11.18.)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03-0037334호(2003.11.29.)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8-0065311호(2018.06.07.)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20-0014056호(2020.02.06.)
그러나, 상기와 같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고기구이장치들은, 고정된 고기들을 가열원에 대하여 자전 또는 공전하도록 하여 굽도록 된 것으로, 자전운동과 공전운동을 동시에 수행하여 고기를 굽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고기구이품질을 더욱 향상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어 있었다.
또한, 식당 등에서 테이블과 일체로 사용하기 힘들어 사용성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게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고기를 가열하여 조리할 때, 고기를 열을 중심으로 공전운동 및 자전운동시키어 고르게 굽도록 되어 고품질의 풍미를 구현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 특히, 식당 등에서 테이블에 일체로 구비되어 사용되도록 되어 사용성이 향상된 회전고기구이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기가 가열되는 가열공간에서의 잠열효율을 향상시켜 고기에 대한 가열품질 및 열사용성이 향상된 회전고기구이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설계상 구조적으로 간단하게 단일의 동력원을 통해 고기의 공전운동 및 자전운동을 수행하도록 되어 경제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된 회전고기구이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회전고기구이장치는, 내부에 상부가 개구된 가열공간이 형성된 구이본체와; 상기 구이본체의 가열공간에 구비되며 열을 방출하도록 된 열원수단과; 전원공급부의 전원을 제어하여 공급하도록 된 제어수단의 제어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력을 형성하도록 된 동력발생수단과; 길이를 가지면 식품을 고정하도록 된 꼬치부재를 탈부착하며 상기 동력발생수단을 통해 발생된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꼬치부재를 회전운동시키도록 된 회전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회전고기구이장치에 있어서; 상기 열원수단은, 상기 구이본체의 가열공간에서 바닥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면서 상기 회전수단의 공전회전방향의 중심에 배치되어 상기 꼬치부재의 길이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면서 열을 방출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회전수단은, 상기 열원수단을 중심으로 상기 꼬치부재를 공전운동과 자전운동을 동시에 수행하도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수단은, 회전중심의 중앙에 상기 열원수단이 배치되며 중앙을 중심으로 외측방향으로 간격을 가지는 위치에 상기 꼬치부재가 탈부착되는 회전부재와; 상기 동력발생수단을 통해 발생된 회전력을 상기 회전부재로 전달하여 상기 회전부재를 회전운동시키도록 된 동력전달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에 공회전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꼬치부재의 일단이 결속되고 외주면에 기어치들이 형성된 자전몸체와; 상기 회전부재의 중앙을 중심으로 하며 상기 자전몸체의 공전운동궤도의 외측에서 상기 자전몸체와 기어결합하는 기어치들이 형성하는 링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열원수단과 상기 회전수단은, 상기 가열공간의 내부에 수용배치되도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열공간에는, 내부와 외부가 공간적으로 연결되며 내부에 기능성물질이 구용되는 보조통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회전고기구이장치는, 열원수단에서 방출되는 열을 통해 고기를 가열하여 조리할 때, 회전수단에 의하여 꼬치부재에 고정된 고기들이 열원수단을 중심으로 공전운동 및 자전운동을 하면서 가열됨에 따라, 전체 면적에 걸쳐 고르게 구워져, 조리품질이 향상되는 효과를 가진다.
아울러, 사용자가 별도로 고기를 뒤집는 등의 작업을 하지 않고도 안정적으로 구울 수 있어 간편하게 조리할 수 있음에 따라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가진다.
이와 더불어, 설계상 구조적으로 간단하게 단일의 동력원을 통해 고기의 공전운동 및 자전운동을 수행하도록 되어 경제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그리고, 특히, 구이본체가 식당 등에서 테이블에 일체로 구비될 수 있어, 사용되도록 되어 사용성이 향상됨은 물론, 고기가 가열되는 가열공간에서의 잠열효율이 향상됨에 따라 고기에 대한 가열품질 및 열사용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회전고기구이장치를 보인 개략 사시 예시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실시 예에 의한 회전고기구이장치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7은, 본 실시 예에 의한 회전고기구이장치를 구성하는 구이본체에 대하여 보조판재의 분리상태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8은, 본 실시 예에 의한 회전고기구이장치의 작용상태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9는, 본 실시 예에 의한 회전고기구이장치를 구성하는 구이본체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10은, 본 실시 예에 의한 회전고기구이장치를 구성하는 고정체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11은, 본 실시 예에 의한 회전고기구이장치를 구성하는 회전체를 보인 개략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회전고기구이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회전고기구이장치(1)를 보인 도면으로, 본 실시 예에 의한 회전고기구이장치(1)는, 내부에 상부가 개구된 가열공간이 형성된 구이본체(10)와; 상기 구이본체(10)의 가열공간에 구비되며 열을 방출하도록 된 열원수단(2)과; 전원공급부(5)의 전원을 제어하여 공급하도록 된 제어수단(4)의 제어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력을 형성하도록 된 동력발생수단(6)과; 길이를 가지면 식품을 고정하도록 된 꼬치부재(3)를 탈부착하며 상기 동력발생수단(6)을 통해 발생된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꼬치부재(3)를 회전운동시키도록 된 회전수단(7);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조리하고자 하는 고기를 상기 꼬치부재(3)에 뀌어 고정하고, 상기 회전수단(7)에 상기 꼬치부재(3)를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동력발생수단(6)을 상기 제어수단(4)의 제어를 통해 구동시키면, 상기 동력발생수단(6)에서 회전력이 발생하게 되며, 발생된 회전력을 통해 상기 회전수단(7)이 상기 꼬치부재(3)를 회전운동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꼬치부재(3)에 고정된 고기들이 회전운동하면서 상기 열원수단(2)을 통해 방출되는 열에 의해 조리된다.
상기에서 구이본체(10)의 상단 테두리부위에는, 식당 등의 테이블에 결속되어 고정되는 플랜지편이 구비되어 상기 테이블에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구이본체의 내부공간을 분리 구획하는 격벽을 통해 상기 열원수단(2)이 구비되어 가열되는 상기 가열공간과 각종 구성(전원공급부, 제어수단, 동력발생수단 등)이 배치되는 시설공간을 각각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 격벽을 통해 상기 구이본체(10)의 내부공간이 고온 상태를 형성하게 되는 상기 가열공간과 비교적 저온상태를 형성하여야 하는 상기 시설공간으로 각각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구이본체(10)의 내부에서 상기 가열공간과 상기 시설공간이 공간적으로 차단되어, 열교환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되어, 열교환이 차단됨에 따라, 구조적 안정성 및 안전성이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회전고기구이장치(1)에서, 상기 열원수단(2)은, 상기 제어수단(4)의 제어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발열하도록 된 전열봉(21)과; 상기 전열봉(21)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부에서 낙하하는 기름이 상기 전열봉(21)으로 침착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전열봉(21)에서 방출되는 열이 통과하도록 된 다수의 방열공들이 형성된 차단프레임(22);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조작되는 상기 제어수단(4)의 제어된 전원을 전달받아 상기 전열봉(21)에서 발열하여 열을 상기 방출하게 된다.
이때, 상기 꼬치부재(3)에 고정되어 상기 전열봉(21)을 중심으로 회전운동하도록 된 고기들에서 배출되는 기름이 상기 차단프레임(22)에 의해 상기 전열봉(21)으로 직접적으로 낙하되면서 침착되는 것을 방지하게 될 수 있다.
상기에서 꼬치부재(3)는, 길이를 가지며 간격을 가지면서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꼬치봉(31)들과; 상기 꼬치봉(31)들의 일단부들을 연결하며 외측방향으로 길이를 기면서 연장형성된 손잡이봉(32);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봉(32)을 손으로 잡고 상기 꼬치봉(32)들에 고기를 뀌어 고정하게 될 수 있다.
상기에서 꼬치부재(3)는, 종래 공지된 기술들의 구조 및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합하게 적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동력발생수단(6)은, 상기 제어수단(4)을 통해 제어된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력을 형성하도록 된 '전기모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종래 공지된 기술들의 구조 및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합하게 적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회전고기구이장치(1)에서, 상기 구이본체(10)에서 상기 시설공간이 점유되는 일 부위에는, 상기 시설공간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풍기(11)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배풍기(11)를 통해 상기 시설공간의 고온의 열을 외부로 배출하고 외부의 저온의 공기가 공급되도록 되어, 내외부의 열적순환을 구현함으로써, 상기 시설공간이 고온상태로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게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시설공간에 시설되는 상기 제어수단(전자장치)(4)와 상기 전원공급부(전원플러그/접속단자/안정기 등)(5) 및 조작기(전원스위치/디스플레이/감지센서 등) 및 상기 동력발생수단(전기모터)(6)에 대하여 과도한 고온환경을 형성하지 않도록 되어, 열에 의한 손상을 방지함으로서, 구조적 안전성을 확보하도록 됨에 따라, 사용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될 수 있다.
상기에서 배풍기(11)는, 종래 공지된 기술들의 구조 및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합하게 적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회전고기구이장치(1)에서, 상기 열원수단(2)은, 상기 회전수단(7)의 회전중심에 배치되되 상기 꼬치부재(3)에 고정된 상기 꼬치봉(31)들의 길이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면서 열을 방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회전수단(7)에 고정되는 상기 꼬치봉(31)들이 상기 열원수단(2)의 길이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도록 배치됨에 따라, 상기 열원수단(2)에서 방출되는 열이 상기 꼬치봉(31)에 고정된 고기들에 열을 전달하여 각각의 고지들을 안정적으로 가열조리하게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수단(7)이 상기 열원수단(2)을 중심으로 상기 꼬치부재(3)를 회전운동시키게 될 수 있어, 상기 열원수단(2)에서 방출되는 열을 통해 고기를 가열하여 조리할 때, 상기 열원수단(2)을 중심으로 상기 고기들이 회전운동하게 됨에 따라, 고기들의 전체 면적에 걸쳐 고르게 구워짐에 따라, 조리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별도로 고기를 뒤집는 등의 작업을 하지 않고도 안정적으로 구울 수 있어 간편하게 조리할 수 있음에 따라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회전고기구이장치(1)에서, 상기 열원수단(2)은, 상기 구이본체(10)의 가열공간에서 바닥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면서 상기 회전수단(7)의 공전회전방향의 중심에 배치되어 상기 꼬치부재(3)의 길이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면서 열을 방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열원수단(2)과 상기 열원수단(2)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상기 꼬치부재(3)가 상기 가열공간에서 수평적으로 배치되면서 고기를 가열함과 동시에 상기 회전수단(7)에 의해 수평상 중심을 가지면서 회전운동을 수행하도록 되어, 상기 꼬치부재(3)에 고정된 고기들에서 가열조리되는 중에 기름이 배출되어 낙하될 때, 동일한 꼬치봉(31)에 고정되어 동시에 가열조리되는 타 고기들에 침착되지 않게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열조리되는 고기들에 대하여 오염된 기름의 침착이 발생하지 않음에 따라, 고기의 풍미에 대하여 고품질을 형성하게 될 수 있다.
상기에서 열원수단(2)은, 양단이 상기 구이본체(10)의 가열공간에서 수평적으로 간격을 가지면서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고정브라켓(12)들에 각각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브라켓(12)들이 상기 구이본체(10)의 바닥면에서 수작상 길이를 가지면서 각각 배치되면서 상기 열원수단(2)의 상기 전열봉(21)과 상기 차단프레임(22)을 각각 고정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가열공간상에서 상기 열원수단(2)이 안정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회전고기구이장치(1)에서, 상기 회전수단(7)은, 상기 열원수단(2)을 중심으로 상기 꼬치부재(3)를 공전운동과 자전운동을 동시에 수행하도록 될 수 있다.
즉, 상기 회전수단(7)을 통해 상기 열원수단(2)을 중심으로 상기 꼬치부재(3)를 수평상 중심을 가지면서 공전운동과 자전운동을 수행하도록 되어, 상기 꼬치부재(3)에 고정된 고기들의 전체 면적에 걸쳐 고르게 구워짐에 따라, 조리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 가열공간은, 상기 열원수단(2)을 중심으로 하부는 상부에 비하여 저온상태를 형성하게 된다.
즉, 고온의 열을 가지는 공기는 상부로 상승하게 되어, 상부가 하부보다 고온상태를 형성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꼬치봉(31)에 고정된 고기들이 상기 가열공간에서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면 고기들의 고르게 가열조리되지 않아 조리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꼬치봉(31)에 고정된 고기들에서 상기 열원수단(2)과 대면하는 부위가 타 부위보다 더 고온으로 가열됨에 따라, 전체면적에 걸쳐 고른 가열조리가 이루어지지 않게 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상기 회전수단(7)이 상기 꼬치봉(31)들을 상기 열원수단(2)을 중심으로 공전운동과 자전운동을 동시에 수행하도록 되어, 고기에 대하여 전체면적에 걸쳐 고르게 가열조리하게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회전고기구이장치(1)에서, 상기 열원수단(2)은, 상기 가열공간에서 수직상 중앙 하부에 위치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열원수단(2)과 상기 회전수단(7)이 상기 가열공간의 내부에 수용배치되되, 상기 가열공간에서 수직상 하부에 상기 열원수단(2)이 배치되어 열을 방출하도록 되어, 상기 가열공간의 전체면적에서 열이 고르게 유지하도록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가열공간의 전체면적에 걸쳐 고온상태를 형성하도록 되어, 상기 꼬치부재(3)에 고정된 고기들에 대한 가열을 더욱 안정적으로 수행하도록 될 수 있다.
상기에서 구이본체(10)의 상부에는, 상기 가열공간의 상부를 개폐하도록 된 상부덮개(13)가 착탈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상기 상부덮개(13)를 통해 상기 가열공간의 열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될 수 있다.
상기에서 구이본체(10)의 가열공간에서 상기 열원수단(2) 및 상기 회전수단(7)의 하부에는, 상기 회전수단(7)에 고정되어 회전하면서 가열조리되는 고기들에서 배출되어 자유낙하하는 기름들을 수용하여 저장하는 기름받이통(14)이 수납되어 기름을 안정적으로 수거하도록 될 수 있으며; 상기 구이본체(10)에는, 상기 기름받이통(14)을 외부에 대하여 수납시키도록 된 수납공(15)이 형성되어, 필요시 상기 수납공(15)을 통해 상기 기름받이통(14)을 외부로 분리하여 내부에 저장된 기름을 안정되게 처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열공간이 위치되는 상기 구이본체(10)의 내부 양측면들에는, 중앙방향으로 '판(板;plate)' 형상의 '판면'을 가지는 보조판재(16)들이 선택적으로 각각 탈부착될 수 있다.
즉, 고기의 조리작업시 상기 보조판재(16)들을 선택적으로 상기 가열공간의 내부 양측면들을 각각 가림하여 보호하여 상기 가열공간에서 가열조리되는 고기에서 방출되는 기름기 및 탄화공기들이 상기 보조판재(16)에 접착되어, 상기 구이본체(10)의 내측면에 점착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게 될 수 있다.
아울러, 고기의 조리작업이 완료된 후에는, 상기 보조판재(16)를 상기 구이본체(10)에서 분리한 후, 별도로 세척한 후, 재사용하도록 됨에 따라, 상기 구이본체(10)의 내측면의 청결성을 유지하도록 될 수 있어, 보건위생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회전고기구이장치(1)에서, 상기 회전수단(7)은, 회전중심의 중앙에 상기 열원수단(2)이 배치되며 중앙을 중심으로 외측방향으로 간격을 가지는 위치에 상기 꼬치부재(3)가 탈부착되는 회전부재(71)와; 상기 동력발생수단(6)을 통해 발생된 회전력을 상기 회전부재(71)로 전달하여 상기 회전부재(71)를 회전운동시키도록 된 동력전달부재와; 상기 회전부재(71)에 공회전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꼬치부재(3)의 일단이 결속되고 외주면에 기어치들이 형성된 자전몸체(72)와; 상기 회전부재(71)의 중앙을 중심으로 하며 상기 자전몸체(72)의 공전운동궤도의 외측에서 상기 자전몸체(72)와 기어결합하는 기어치들이 형성하는 링부재(73);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동력발생수단(6)을 통해 발생된 회전력을 상기 동력전달부재를 통해 전달받아 회전운동하도록 된 상기 회전부재(71)에 상기 꼬치부재(3)에 고정되어 상기 열원수단(2)을 중심으로 회전운동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꼬치부재(3)의 일단부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부재(71)와 동일 방향으로 회전운동하도록 된 상기 자전몸체(72)가 공전운동하면서 상기 링부재(73)와 기어운동하면서 자전회전운동을 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꼬치부재(3)가 자전운동하면서 꼬치부재(3)에 고정된 고기들이 상기 회전부재(71)에 의해 공전운동함과 동시에 상기 자전몸체(72)를 통해 자전운동하게 된다.
따라서, 고기들의 전체 면적에 걸쳐 고르게 구워짐에 따라, 조리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자전몸체(72)에서 상기 꼬치봉(31)의 단부가 끼움결속되는 면에는, 상기 꼬치봉(31)의 형상 및 구조에 따라, 단부가 단면상 '╋' 형상을 가지는 단일의 상기 꼬치봉(31)의 단부가 결속되는 '╋' 형상의 중앙결속홈(721)과, 한 쌍의 꼬치봉(31)들이 평행하게 배치되면서 연결형성되는 상기 꼬치부재(3)의 각각의 꼬치봉(31)들의 단부가 결속되도록 상기 중앙결속홈(721)의 양측부에 각각 형성되는 한 쌍의 외측결속홈(722)들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즉, 적용되는 상기 꼬치부재(3)의 구조 및 형상에 따라 맞춤되도록 상기 중앙결속홈(721) 및 상기 외측결속홈(722)들에 적합하게 각각 결속하여 고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용되는 각각의 상기 꼬치부재(3)들을 맞춤되게 결속 고정하도록 될 수 있어, 사용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회전고기구이장치(1)에서, 상기 회전부재(71)는, 상기 구이본체(10)의 상기 고정브라켓(12)들에 공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중앙에 상기 열원수단(2)이 관통배치되는 관통공이 각각 형성되며 외주면에 상기 꼬치부재(3)의 일부위가 끼움되는 고정체(711);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고정체(711)에 상기 꼬치부재(3)가 고정되어 상기 고정체(711)의 회전운동시 동일 방향으로 회전운동하게 될 수 있다.
상기에서 고정체(711)는, 상기 고정브라켓(12)에 공회전가능하게 축결합하는 '관(管;sleeve)' 형상의 가동축관(74)에 고정되며 외주면에 상기 꼬치부재(3)의 일부위가 끼움되면서 고정되는 끼움홈(761)이 형성되는 '판(板;plate)' 형상의 가동회전판(76)과; 상기 구이본체(10)에서 상기 가동회전판(76)과 수평적으로 간격을 가지면서 한 쌍의 상기 고정브라켓(12)들중에서 타 고정브라켓(12)에 공회전가능하게 축결합하는 '관(管;sleeve)' 형상의 종동축관(75)에 고정되며 상기 꼬치부재(3)의 종단이 관통되는 유통공들이 각각 형성되는 '판(板;plate)' 형상의 종동회전판(77)과; 상기 가동회전판(76)과 상기 종동회전판(77)을 연결하면서 결속고정하도록 된 연결봉(78);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회전부재(71)의 일단을 형성하는 상기 가동회전판(76)과 타단을 형성하는 종동회전판(77)이 상기 고정브라켓(12)에 각각 공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된 상기 가동축관(74)과 상기 종동축관(75)에 각각 고정되어 회전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열원수단(2)은 상기 가동축관(74) 및 상기 종동축관(75)의 내부를 각각 관통하면서 양단이 한 쌍의 상기 고정브라켓(12)들에 각각 고정설치되어, 상기 열원수단(2)을 중심으로 상기 회전부재(71)가 회전운동가능하게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회전고기구이장치(1)에서, 상기 회전부재(71)는, 상기 종동축관(75)에 결속되어 상기 고정체(711)의 회전운동시 동일방향으로 회전운동하며 상기 종동회전판(77)의 유통공들을 관통하면서 상기 꼬치봉(31)들의 종단들이 결속고정되는 상기 자전몸체들(72)이 공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되는 판(板;plate)' 형상의 회전체(7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고정체(711)의 회전운동시 상기 꼬치부재(3)가 동일방향으로 회전운동하게 되고, 이때, 상기 꼬치봉(31)들의 종단이 상기 자전몸체(72)에 결속된 상태에서 상기 종동회전판(77)이 결속된 상기 종동축관(75)이 회전운동하면서 상기 종동축관(75)에 결속된 상기 회전체(712)가 회전운동하게 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자전몸체(72)가 상기 종동축관(75)을 중심으로 공전운동하면서 상기 링부재(73)와 기어운동하여 상기 회전체(712)에서 자전운동하게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꼬치봉(31)들에 고정된 고기들이 상기 열원수단(2)을 중심으로 공전운동 및 자전운동을 동시에 수행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단일의 상기 동력발생수단(6)을 통해 형성되는 회전력에 의하여 고기의 공전운동 및 자전운동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되어, 설계 구조를 간단하게 형성할 수 있어 경제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회전고기구이장치(1)에서, 상기 가동축관(74)이 고정된 상기 고정브라켓(12)과 상기 가동회전판(76)의 사이에는, 상기 격벽이 배치되어, 상기 가열공간의 열이 무단으로 상기 시설공간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될 수 있다.
상기에서 격벽에는, 내부에 상기 가동회전판(76)의 상기 끼움홈(761)에 끼움고정된 상기 꼬치부재(3)의 회전반경을 내경으로 하여 상기 회전부재(71) 및 상기 꼬치부재(3)의 회전운동시 상기 꼬치부재(3)가 상기 끼움홈(761)에서 무단 분리되지 않도록 근접되는 내경을 가지며 상부에 투입개구가 형성되어 상기 꼬치부재(3)의 손잡이부위가 관통하면서 상기 회전부재(71)에 결속고정되는 고정작업을 수행하도록 되는 안내홈(17)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안내홈(17)의 내측부에서 상기 가동회전판(76)에 고정된 상기 꼬치부재(3)가 회전운동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꼬치부재(3)가 상기 안내홈(17)의 내측면에 근접된 상태로 회전운동하게 됨에 따라, 상기 꼬치부재(3)가 상기 열원수단(2)의 하부공간을 경유하면서 회전운동되는 중에 상기 안내홈(17)의 내측면에 지지되어 무단으로 분리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회전고기구이장치(1)에서, 상기 가열공간에는, 내부와 외부가 공간적으로 연결되며 내부에 기능성물질이 구용되는 보조통(8)이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보조통(8)에 수용되는 기능성물질을 통해 상기 가열공간에서 조리되는 고기에 유용한 효능을 부여하게 될 수 있다.
상기에서 보조통(8)은, 상부가 개구된 다공성 '통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에서 기능성물질으로, 산화되어 열과 원적외선을 방출하여 고기를 보조가열하도록 된 '숯' 및 방향성 향기입자를 방출하여 고기에 흡착하도록 되는 솔잎 등과 같은 방향성 '식물'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합하게 적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 예에 의한 회전고기구이장치(1)에서, 상기 동력전달부재는, 상기 동력발생수단(6)에서 발생된 회전력을 통해 회전운동하도록 된 회전축에 축결합된 가동기어(61)와; 상기 가동축관(74)에 축결합되며 상기 가동기어(61)와 기어결합되는 종동기어(6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회전축의 회전력을 상기 가동기어(61) 및 상기 종동기어(62)를 통해 상기 가동축관(74)을 회전운동시키어 상기 회전부재(71)를 회전운동시키게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가동축관(74)에 고정된 상기 가동회전판(76)이 동일방향으로 회전운동하게 되면서 상기 종동회전판(77)이 고정된 상기 종동축관(75)이 회전운동하여 상기 회전체(712)를 회전운동시켜 상기 자전몸체(72)를 동일 방향으로 공회전운동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자전몸체(72)가 공회전운동하면서 상기 링부재(73)와의 기어운동을 통해 자전운동을 수행하여, 상기 고정체(711)에 고정된 상기 꼬치부재(3)가 상기 열원수단(2)을 중심으로 하여 공전운동 및 자전운동을 동시에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단일의 상기 동력발생수단(6)을 통해 형성되는 회전력에 의하여 고기의 공전운동 및 자전운동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되어, 설계 구조를 간단하게 형성할 수 있어 경제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회전고기구이장치 10 : 구이본체
11 : 배풍기 12 : 고정브라켓
13 : 상부덮개 14 : 기름받이통
15 : 수납공 16 : 보조판재
17 : 안내홈 2 : 열원수단
21 : 전열봉 22 : 차단프레임
3 : 꼬치부재 31 : 꼬치봉
32 : 손잡이봉 4 : 제어수단
5 : 전원공급부 6 : 동력발전수단
61 : 가동기어 62 : 종동기어
7 : 회전수단 71 : 회전부재
711 : 고정체 712 : 회전체
72 : 자전몸체 721 : 중앙결속홈
722 : 외측결속홈 73 : 링부재
74 : 가동축관 75 : 종동축관
76 : 가동회전판 761 : 끼움홈
77 : 종동회전판 78 : 연결봉
8 : 보조통

Claims (4)

  1. 내부에 상부가 개구된 가열공간이 형성된 구이본체(10)와; 상기 구이본체(10)의 가열공간에서 바닥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면서 구비되며 열을 방출하도록 된 열원수단(2)과; 전원공급부(5)의 전원을 제어하여 공급하도록 된 제어수단(4)의 제어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력을 형성하도록 된 동력발생수단(6)과; 회전중심의 중앙에 상기 열원수단(2)이 배치되며 중앙을 중심으로 외측방향으로 간격을 가지는 위치에 꼬치부재(3)가 탈부착되는 회전부재(71)와, 상기 동력발생수단(6)을 통해 발생된 회전력을 상기 회전부재(71)로 전달하여 상기 회전부재(71)를 회전운동시키도록 된 동력전달부재와, 상기 회전부재(71)에 공회전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꼬치부재(3)의 일단이 결속되고 외주면에 기어치들이 형성된 자전몸체(72)와, 상기 회전부재(71)의 중앙을 중심으로 하며 상기 자전몸체(72)의 공전운동궤도의 외측에서 상기 자전몸체(72)와 기어결합하는 기어치들이 형성하는 링부재(73)을 구비하는 회전수단(7);을 포함하는 회전고기구이장치(1)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71)는,
    상기 구이본체(10)의 고정브라켓(12)들에 공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중앙에 상기 열원수단(2)이 관통배치되는 관통공이 각각 형성되며 외주면에 상기 꼬치부재(3)의 일부위가 끼움되는 고정체(711);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체(711)는,
    상기 고정브라켓(12)에 공회전가능하게 축결합하는 '관(管;sleeve)' 형상의 가동축관(74)에 고정되며 외주면에 상기 꼬치부재(3)의 일부위가 끼움되면서 고정되는 끼움홈(761)이 형성되는 '판(板;plate)' 형상의 가동회전판(76)과, 상기 구이본체(10)에서 상기 가동회전판(76)과 수평적으로 간격을 가지면서 한 쌍의 상기 고정브라켓(12)들 중에서 타 고정브라켓(12)에 공회전가능하게 축결합하는 '관(管;sleeve)' 형상의 종동축관(75)에 고정되며 상기 꼬치부재(3)의 종단이 관통되는 유통공들이 각각 형성되는 '판(板;plate)' 형상의 종동회전판(77)과, 상기 가동회전판(76)과 상기 종동회전판(77)을 연결하면서 결속고정하도록 된 연결봉(78)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부재(71)는,
    상기 종동축관(75)에 결속되어 상기 고정체(711)의 회전운동시 동일방향으로 회전운동하며 상기 종동회전판(77)의 유통공들을 관통하면서 꼬치봉(31)들의 종단들이 결속고정되는 상기 자전몸체들(72)이 공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되는 판(板;plate)' 형상의 회전체(712);를 포함하고;
    상기 가동축관(74)이 고정된 상기 고정브라켓(12)과 상기 가동회전판(76)의 사이에는,
    상기 가열공간의 열이 무단으로 시설공간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된 격벽이 배치되되;
    상기 격벽에는,
    내부에 상기 가동회전판(76)의 상기 끼움홈(761)에 끼움고정된 상기 꼬치부재(3)의 회전반경을 내경으로 하여 상기 회전부재(71) 및 상기 꼬치부재(3)의 회전운동시 상기 꼬치부재(3)가 상기 끼움홈(761)에서 무단 분리되지 않도록 근접되는 내경을 가지며 상부에 투입개구가 형성되어 상기 꼬치부재(3)의 손잡이부위가 관통하면서 상기 회전부재(71)에 결속고정되는 고정작업을 수행하도록 되는 안내홈(17)이 형성되고;
    상기 가열공간이 위치되는 상기 구이본체(10)의 내부 양측면들에는,
    중앙방향으로 '판(板;plate)' 형상의 '판면'을 가지는 보조판재(16)들이 각각 탈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고기구이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210028579A 2021-03-04 2021-03-04 회전고기구이장치 KR1024106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8579A KR102410674B1 (ko) 2021-03-04 2021-03-04 회전고기구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8579A KR102410674B1 (ko) 2021-03-04 2021-03-04 회전고기구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0674B1 true KR102410674B1 (ko) 2022-06-16

Family

ID=82217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8579A KR102410674B1 (ko) 2021-03-04 2021-03-04 회전고기구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0674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2889U (ko) * 1999-04-30 1999-07-05 박용욱 육류구이용탁자
KR200179520Y1 (ko) * 1999-11-24 2000-04-15 김준행 통닭 숯불구이기
KR20000054236A (ko) * 2000-05-29 2000-09-05 이원식 회전식 숯불 고기구이장치
KR20000068702A (ko) 1997-08-04 2000-11-25 키시모토 요시노리 반도체 디바이스 제조 프로세스용 또는 액정 디바이스 제조 프로세스용 세정제
JP2002306052A (ja) * 2001-04-16 2002-10-22 Mitsuru Okamura 銅製たこ焼きプレート及び自動回転たこ焼き機
KR20110001024A (ko) * 2009-06-29 2011-01-06 이병춘 통닭구이기
KR20180065311A (ko) 2016-12-07 2018-06-18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열관리 시스템
KR20200014056A (ko) 2018-07-31 2020-02-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8702A (ko) 1997-08-04 2000-11-25 키시모토 요시노리 반도체 디바이스 제조 프로세스용 또는 액정 디바이스 제조 프로세스용 세정제
KR19990022889U (ko) * 1999-04-30 1999-07-05 박용욱 육류구이용탁자
KR200179520Y1 (ko) * 1999-11-24 2000-04-15 김준행 통닭 숯불구이기
KR20000054236A (ko) * 2000-05-29 2000-09-05 이원식 회전식 숯불 고기구이장치
JP2002306052A (ja) * 2001-04-16 2002-10-22 Mitsuru Okamura 銅製たこ焼きプレート及び自動回転たこ焼き機
KR20110001024A (ko) * 2009-06-29 2011-01-06 이병춘 통닭구이기
KR20180065311A (ko) 2016-12-07 2018-06-18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열관리 시스템
KR20200014056A (ko) 2018-07-31 2020-02-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097046A1 (en) Kabob cooker and grill
KR101541644B1 (ko) 회전식 바비큐 구이장치
KR20120100050A (ko) 회전식 구이기
KR100601783B1 (ko) 상부회전식 구이장치
KR100914173B1 (ko) 회전 구이기
KR20080076487A (ko) 꽂이구의 자전 및 공전이 이루어지게 한 회전식 꼬치구이기
KR19990004099U (ko) 숯불 바베큐 구이장치
KR20140003929A (ko) 회전식 구이기
KR102410674B1 (ko) 회전고기구이장치
KR100719475B1 (ko) 회전식 숯불 구이장치
KR20070047541A (ko) 회전식 숯불 구이장치용 고기 거치대
KR100950534B1 (ko) 초소형바베큐장치 및 쇠꼬치구동방법
KR100644844B1 (ko) 회전식 바비큐 장치
KR100387391B1 (ko) 꼬치 회전 구이장치
KR200435466Y1 (ko) 바비큐용 고기 구이기
KR101325598B1 (ko) 다목적 회전식 구이기
KR102410672B1 (ko) 회전고기구이시스템
KR102666784B1 (ko) 회전식 고기구이장치
KR101689089B1 (ko) 가마형 구이장치
KR200254143Y1 (ko) 다중 회전식 육류구이기
KR200432413Y1 (ko) 참숯 바비큐 오븐
KR101430885B1 (ko) 회전식 바비큐 구이장치
KR100862311B1 (ko) 바비큐 장치
KR20230102848A (ko) 회전식 고기구이장치
KR200460459Y1 (ko) 가마솥 회전구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