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2311B1 - 바비큐 장치 - Google Patents

바비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2311B1
KR100862311B1 KR1020060109492A KR20060109492A KR100862311B1 KR 100862311 B1 KR100862311 B1 KR 100862311B1 KR 1020060109492 A KR1020060109492 A KR 1020060109492A KR 20060109492 A KR20060109492 A KR 20060109492A KR 100862311 B1 KR100862311 B1 KR 1008623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sting
basket
cooking
case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9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41419A (ko
Inventor
윤덕명
Original Assignee
윤덕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덕명 filed Critical 윤덕명
Priority to KR10200601094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2311B1/ko
Publication of KR200800414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14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23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2311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 A47J37/042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with food supports arranged on wheels or spid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 A47J37/047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with rotating drums or bask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04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horizontal fire box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스의 내부 상하부에 각각 초벌구이와 재벌구이를 위한 제1구이부와 제2구이부가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바비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외부 형상을 형성하는 케이스(100)와; 상기 케이스(100)의 내측 상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요리재료를 수납하여 초벌구이하는 제1구이부(200)와; 상기 제1구이부(200)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요리재료를 재벌구이하는 제2구이부(300)와; 상기 케이스(100)의 내측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를 가열하는 열원(400)과;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구이부(200)와 제2구이부(300)를 회전시키는 구동기구(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 편의성과 조리효율 및 조리품질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바비큐, 구이, 초벌, 재벌, 냉각

Description

바비큐 장치 { Apparatus for barbecue }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바비큐 장치의 외형을 보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바비큐 장치의 내부구조를 보인 종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바비큐 장치의 내부구조를 보인 측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바비큐 장치의 요부구성인 제1구이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바비큐 장치의 요부구성인 제2구이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바비큐 장치의 작동을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케이스 110. 내측플레이트
120. 베리어 130. 석면
140. 조리실 142. 가이드레일
144. 집유판 150. 급수구
160. 기계실 170. 배수구
180,180'. 냉각부 182. 파이프
184. 외측플레이트 186. 제1플레이트
188. 제2플레이트 200. 제1구이부
220. 제1회전판 222. 제1고정돌기
240. 제1회전축 242. 제1풀리
260. 제1바스켓 262. 제1바스켓본체
264. 바스켓뚜껑 264a. 개폐핸들
266. 제1고정고리 300. 제2구이부
320. 제2회전판 322. 제2고정돌기
340. 제2회전축 342. 제2풀리
360. 제2바스켓 362. 제2바스켓본체
364. 바스켓그릴 366. 제2고정고리
400. 열원 420. 인출핸들
500. 구동기구 520. 전동모터
522. 모터풀리 540. 제1전달부재
560. 제2전달부재
본 발명은 바비큐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케이스의 내부 상하부에 각각 초벌구이와 재벌구이를 위한 제1구이부와 제2구이부가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바비큐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바비큐는 육류를 비롯한 다양한 요리재료를 꼬챙이에 꿰거나 석쇠에 올려놓고 불에 구워서 먹는 요리로, 식생활의 서구화 및 다양화로 인해 근래에 들어 대중화 되고 있으며, 굽는 방법과 재료 등에 의한 다양한 조리방법을 통해 소비자들에게 많은 호응을 얻고 있다.
일반적으로 바비큐 요리를 위해서는 가장 단순하게는 요리재료를 꼬챙이에 꿰거나 석쇠에 올려 숯불 또는 가스버너 등에 가열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와 같은 방법은 조리하는 사람의 힘이 많이 들 뿐만 아니라, 요리재료를 고르게 익히는 것이 다소 어려우며, 많은 양의 조리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공고실용신안 제20-0166422호에는 조리물을 태우지 않고 고르게 익힐 수 있으며, 일회에 많은 양을 익힐 수 있도록 하는 바비큐 조리장치가 개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6-0097414호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39787호 및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272443호에는 전동모터에의 회전에 의해 조리물을 회전시켜 고르게 익히며 일회에 많은 양을 익힐 수 있도록 하는 바비큐 장치들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바비큐 장치들은 동일한 위치에서 지속적으로 요리재료가 구워지게 됨으로써 비교적 장시간 실시되는 바비큐 요리의 특성상 겉이 마르거나 타는 등 조리품질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바비큐 요리 중에 고기에서 떨어지는 기름에 의해 요리재료가 타거나 연기가 발생하는 등 조리상의 불편 및 감성불만을 야기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고온으로 가열되는 바비큐 장치의 사용 중 사용자가 화상을 입는 등 안전상의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케이스의 내부 상하,부에 각각 초벌구이와 재벌구이를 위한 제1구이부와 제2구이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바비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1구이부에 요리재료를 고르게 익혀 초벌구이하는 제1바스켓이 장착되고, 제2구이부에 요리재료의 표면을 익혀 재벌구이하는 제2바스켓이 구비되는 바비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열원인 숯불의 보충 및 가열위치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열원을 슬라이딩 인출/입 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바비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케이스의 내측에 바비큐 장치의 냉각을 위한 냉각부가 더 구비되는 바비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바비큐 장치는, 외부 형상을 형성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측 상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요리재료를 수납하여 초벌구이하는 제1구이부와; 상기 제1구이부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요리재료를 재벌구이하는 제2구이부와; 상기 케이스의 내측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의 내부를 가열하는 열원과; 상기 케이스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구이부와 제2구이부를 회전시키는 구동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구이부는, 원판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의 내부 양측면에 각각 구비되는 제1회전판과; 상기 양측의 제1회전판 중앙을 관통하여 제1회전판의 사이를 수직하게 연결하는 제1회전축과; 상기 제1회전판의 외측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구비되며,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고정돌기와; 상기 제1고정돌기와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제1회전판의 사이를 가로지르도록 장착되며, 요리재료가 밀폐 수납되는 제1바스켓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바스켓은, 상면이 개구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바스켓본체와; 상기 제1바스켓본체의 상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제1바스켓본체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바스켓뚜껑과; 상기 제1바스켓본체의 양측에 고리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고정돌기와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제1고정고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2구이부는, 원판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구이부의 하부에 대응하는 상기 케이스의 내부 양측면에 각각 구비되는 제2회전판과; 상기 양측의 제2회전판 중앙을 관통하여 제2회전판의 사이를 수직하게 연결하는 제2회전축과; 상기 제2회전판의 외측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구비되며,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2고정돌기와; 상기 제2고정돌기와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제2회전판의 사이를 가로지르도록 장착되며, 요리재료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수납되는 제2바스켓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2바스켓은, 상면과 하면이 개구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바 스켓본체와; 상기 제2바스켓본체의 하면을 형성하며, 격자형상으로 형성되는 바스켓그릴과; 상기 제2바스켓본체의 양측에 고리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고정돌기와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제2고정고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는 상기 열원이 슬라이딩 인출/입 가능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레일이 구비된다.
상기 구동기구는, 전기에 의해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는 전동모터와; 상기 전동모터와 상기 제2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전동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제2회전축으로 전달하는 제2전달부재와; 상기 제1회전축과 제2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제2회전축의 회전력을 상기 제1회전축으로 전달하는 제1전달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물에 의해 상기 케이스의 외측을 냉각하는 냉각부가 더 구비된다.
상기 냉각부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물을 수용하는 파이프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파이프는 사행상으로 다수회 반복적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상기 냉각부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물을 수용하도록 하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이격되어 형성되는 냉각플레이트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의 내측 하부에는 요리재료에 떨어지는 기름을 모으기 위해 양측에서 중앙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 집유판이 더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바비큐 장치에 의하면, 사용 편의성과 조리품질이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바비큐 장치의 바람 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바비큐 장치의 외형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바비큐 장치의 내부구조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바비큐 장치의 외형은 케이스(100)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100)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의 박스모양으로 형성되며, 스테인레스 또는 코팅강판 등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케이스(100)는 내부에서 바비큐 요리를 할 수 있도록 내부가 비어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100)의 내측은 베리어(120)에 의해 좌측과 우측으로 구획되어, 상기 베리어(120)에 의해 구획된 좌측에는 요리재료를 가열 조리하기 위한 조리실(140)이 형성되고, 상기 베리어(120)에 의해 구획된 우측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제1구이부(200)와 제2구이부(300)의 작동을 위한 구성 및 이를 조절하기 위한 전장부품들이 구비되는 기계실(160)이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100)의 전면,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조리실(140)의 전면은 바비큐 요리를 위한 요리재료 및 아래에서 설명할 제1바스켓(260)과 제2바스켓(360) 등이 출입될 수 있도록 개구되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케이스(100)의 내측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요리재료를 초벌구이하는 제1구이부(200)와 재벌구이하는 제2구이부(300)가 구비된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케이스(100)의 내측 상부에는 제1구이부(200)가 구비된다. 상기 제1구이부(200)는 요리재료를 초벌구이하여 요리재료의 기름을 빼는 한편 요리재료 전체를 고르게 익히기 위한 것으로 제1회전판(220)과 제1회전축(240), 제1고정돌기(222) 및 제1바스켓(2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회전판(220)은 상기 케이스(100)의 내측 상부 좌우 양측면에 구비되는 것으로, 대략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할 구동기구(500)에 의해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100)의 내측 좌우에 구비된 제1회전판(220)은 제1회전축(240)에 의해 중앙이 관통되며, 상기 제1회전축(240)의 일측단은 상기 케이스(100)의 일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며, 다른 일측단은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를 좌우로 구획하는 베리어(120)를 관통하도록 장착된다.
상기 베리어(120)를 관통한 상기 제1회전축(240)의 일측단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구동기구(500)가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제1구이부(200) 전체가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제1회전판(220)이 서로 마주보는 내측면의 외측 둘레에는 다수의 제1고정돌기(222)가 형성된다. 상기 제1고정돌기(222)는 아래에서 설명할 제1바스켓(260)이 상기 제1회전판(220)을 가로지르도록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서로 마주보는 각각의 제1고정돌기(222)에 하나의 제1바스켓(260)이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제1회전판(220)의 사이에는 다수개의 제1바스켓(260)이 가로지르도록 장착된다.
상기 제1고정돌기(222)에 의해 상기 제1회전판(220)의 사이에 장착되는 제1바스켓(260)은 요리재료의 기름이 하방으로 낙하하지 않음과 동시에 상기 요리재료를 고르게 익힐 수 있도록 상기 요리재료를 완전하게 밀폐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 된다.
상기 제1구이부(200)의 하방에 대응하는 상기 케이스(100)의 내측 하부에는 제2구이부(300)가 구비된다. 상기 제2구이부(300)는 상기 제1구이부(200)에서 초벌구이된 요리재료를 보다 알맞게 익히기 위하여 다시 한번 굽기 위한 것으로 제2회전판(320)과 제2회전축(340), 제2고정돌기(322) 및 제2바스켓(3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2회전판(320)은 상기 제1회전판(220)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다만, 상기 제1회전판(220) 보다 하방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제2회전판(320)은 상기 제2회전축(340)에 의해서 중앙이 관통되며, 상기 제2회전축(340)은 제1회전축(240)과 마찬가지로 일단은 상기 케이스(100)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며, 다른 일단은 상기 베리어(120)를 관통하도록 장착된다.
상기 제2회전판(320)의 내측 둘레에는 상기 제1회전판(220)의 제1고정돌기(222)와 마찬가지로 다수개의 제2고정돌기(322)가 형성된다. 상기 제2고정돌기(322)는 아래에서 설명할 제2바스켓(360)의 고정을 위한 것으로, 상기 제1고정돌기(222)와 같이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서로 마주보는 각각의 제2고정돌기(322)에 하나의 제2바스켓(360)이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제2회전판(320)의 사이에는 다수개의 제2바스켓(360)이 가로지르도록 장착된다.
한편, 상기 제2고정돌기(322)에 의해 상기 제2회전판(320)의 사이에 장착되는 상기 제2바스켓(360)은 초벌구이된 요리재료를 조리완료하기 전에 다시 한번 구워 바비큐 요리를 완성하기 위한 것으로, 바비큐요리의 특징이 되는 요리재료의 표 면을 노릇노릇하게 구워주기 위해서 요리재료의 일부분이 노출되도록 수용 가능하게 형성된다.
상기 제2구이부(300)의 하방에는 열원(400)이 구비된다. 상기 열원(400)은 바비큐 요리를 위해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 즉 조리실(140)을 가열하는 것으로, 가스버너 또는 숯 등을 이용하여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을 것이며, 본 발명에서는 숯을 재료로 하는 열원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물론 숯을 재료로 사용하여 구성되는 열원(400)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가스버너 또는 세라믹히터 등 다양한 열원의 구성이 가능함을 밝혀둔다.
상기 열원(400)은 상면이 개구된 직육면체의 박스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는 상기 조리실(140)의 내부를 가열하기 위한 숯이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열원(400)은 상기 케이스(100)의 내측,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조리실(140)의 내측 가로방향 길이와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되며, 소정의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조리실의 내측을 가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박스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열원(400)의 하면 양측단은 상기 조리실(140)의 좌우 양측에 구비된 가이드레일(142)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가이드레일(142)은 상기 열원(400)을 하방에서 지지함은 물론 상기 열원(400)이 전후방으로 슬라이딩 인출/입 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조리실(140)의 양측면 후단에서 전단까지 연장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레일(142)을 통한 상기 열원(400)의 보다 원활한 인출/ 입을 위해 상기 가이드레일(142) 또는 이에 접하는 상기 열원(400)의 일측에는 구름부재가 더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열원(400)의 인출/입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상기 열원(400)의 일측에 인출핸들(420)이 구비되며, 상기 인출핸들(420)을 별도의 막내 또는 도구를 이용하여 당겨 상기 열원(400)을 인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 상기 열원(400)은 모터의 구동에 의해 자동으로 인출/입 가능하게 할 수도 있으며, 이때에는 상기 열원(400)과 가이드레일(142)이 렉과 피니언의 결합으로 구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열원(400)의 슬라이딩 인출/입으로 사용자는 상기 열원(400)의 재료로 사용되는 숯을 보다 용이하게 보충하거나 꺼낼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상기 열원(400)의 위치의 조절이 가능하게 되어 화력의 조절은 물론 원하는 위치에서 요리재료를 집중적으로 가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케이스(100)의 하부 즉, 상기 조리실(140)의 저면은 집유판(144)에 의해 구성된다. 상기 집유판은(144) 상기 요리재료로부터 떨어지는 기름 또는 이물질 등을 모으기 위한 것으로, 좌우 양측단에서 중앙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며, 중앙부는 하방으로 함몰되어 모아진 기름과 이물질을 용이하게 외부로 배출하거나 모을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기계실(160)의 내측에는 상기 제1구이부(200)와 제2구이부(300)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기구(500)가 구비된다. 상기 구동기구(500)는 전동모터(520)와 제1전달부재(540) 및 제2전달부재(560)로 구성되며, 상기 구동기구(500)의 작동에 의해 상기 제1구이부(200)와 제2구이부(300)가 회전 가능하게 된다.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바비큐 장치의 내부구조를 보인 측단면도로서, 도 2 와 도 3 을 참고로 하여 상기 구동기구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베리어(120)를 관통하여 상기 기계실(160)의 내측으로 돌출된 상기 제1회전축(240)과 제2회전축(340)의 단부에는 회전력의 전달을 용이하게 하도록 하기 위한 제1풀리(242)와 제2풀리(342)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1풀리(242)와 제2풀리(342)는 제1전달부재(540)에 의해 서로 연동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제1풀리(242)와 제2풀리(342)는 벨트형상으로 형성된 제1전달부재(540)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상기 제2풀리(342)의 회전시 상기 제1전달부재(540)에 의해 상기 제1풀리(242) 또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기계실(160)의 저면에는 상기 제1구이부(200)와 제2구이부(300)의 회전을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전동모터(520)가 구비된다. 상기 전동모터(520)는 상기 제2구이부(300)의 하방에 위치하게 되며, 상기 전동모터(520)의 회전축에는 모터풀리(522)가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모터풀리(522)와 제2풀리(342)는 벨트형상의 제2전달부재(560)에 의해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전동모터(520)의 작동에 따라 상기 모터풀리(522)는 회전하게 되며, 상기 모터풀리(522)의 회전력은 상기 제2전달부재(560)에 의해 상기 제2풀리(342)로 전달되어 상기 제2풀리(342)를 회전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전동모터(520)의 회전시 상기 제1회전축(240)과 제2 회전축(340)이 함께 회전하여 상기 제1구이부(200)와 제2구이부(300)가 회전 가능하게 되며, 이로 인해 상기 제1바스켓(260)과 제2바스켓(360)에 수용된 요리재료를 고르게 가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1전달부재(540)와 제2전달부재(560)는 벨트로 구성되지 않고 체인으로 구성되거나 기어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며, 이에 대응하여 상기 제1풀리(242)와 제2풀리(342) 및 모터풀리(522) 또한 기어 또는 스프라킷 형상으로 형성 가능함은 당연할 것이다.
상기 기계실(160)의 전면은 기계실커버(162)에 의해 차폐되며, 상기 기계실커버(162)의 일측에는 상기 전동모터(520)의 작동속도 및 시간 등을 조절하기 위한 컨트롤부(164)가 더 형성된다. 상기 컨트롤부(164)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디스플레이와 버튼의 조합으로 구성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및 버튼은 일반적인 것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케이스(100)의 내측에는 냉각부(180)가 형성된다. 상기 냉각부(180)는 바비큐 요리 중 열원에 의해 가열된 상기 케이스(100)의 표면 온도를 낮추어 주기 위한 것으로, 외부에서 공급되는 물을 이용하여 상기 케이스(100)를 냉각하는 수냉식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케이스(100)는 내측을 구성하는 내측플레이트(110)의 외측면에는 열의 전도를 방지하는 석면(130)이 구비되고, 상기 석면(130)의 외측에 상기 냉각부(180)가 구비되어 외부로 전달되는 열의 차단은 물론 상기 케이스(100)의 외측면을 냉각하여 사용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냉각부(180)는 상기 케이스(100)의 상면과 좌우 양 측면 그리고, 후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며, 상기 케이스의 상면에는 외부로부터 공급받아 상기 냉각부를 채우기 위한 급수구(150)가 형성된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케이스(100)의 하면 또는 하부 일측에는 상기 냉각부(180)에 수용중인 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구(170)가 형성된다.
상세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급수구(150)와 배수구(170)는 선택적인 개방이 가능하도록 밸브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며, 별도의 배관이나 호스에 의해 연결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상기 냉각부(180)의 구성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을 것이며, 이를 도면을 통하여 살펴보면, 도 2 의 A 에 의하면, 상기 냉각부(180)는 파이프(182)에 의해 구성된다. 즉, 상기 냉각부(180)를 구성하는 파이프(182)는 상기 급수구(150)와 배수구(170)에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외부에서 공급되는 물을 수용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파이프(182)는 상기 케이스(100)의 상면과 좌우 양 측면 및 후면을 효과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도록 사행상(蛇行狀)으로 다수회 절곡 형성되고, 다수 회 절곡된 파이프(182)에 의해 상기 케이스(100)의 각면 전체를 고르게 냉각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냉각부(180)는 상기 파이프(182)가 외부로 드러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케이스(100)의 가장 외측면을 형성하는 외측플레이트(184)가 더 형성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2 의 B 에 의하면, 상기 냉각부(180')는 상기 석면(130)과 접하는 제1플레이트(186)와 상기 제1플레이트(186)의 외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는 제2플레이트(188)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제1플레이트(186)와 제2플레이트(188)는 서로 이격되어 공간을 형성하게 되며, 이 공간은 상기 급수구(150) 및 배수구(170)와 연통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급수구(150)를 통해 공급된 물은 상기 제1플레이트(186)와 제2플레이트(188)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채워지게 되며, 내부에 채워진 물에 의해 상기 케이스(100) 내측의 열을 차단하는 한편 상기 케이스(100)의 외측면을 냉각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냉각부(180)는 케이스(100)의 형상에 따라서 상기 케이스(100)의 전면부에도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며, 상기 바비큐 장치의 설치 상태에 따라 상기 케이스(100)의 어느 한 면 또는 일부 면에 형성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바비큐 장치의 요부구성인 제1구이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바비큐 장치의 요부구성인 제2구이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라 상기 제1구이부와 제2구이부 및 제1바스켓과 제2바스켓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구이부(2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좌우 양측 두개의 제1회전판(220)과, 상기 각각의 제1회전판(220) 중앙을 관통하여 연결되는 제1회전축(240)과, 상기 제1회전판(220)의 둘레에 구비되는 다수개의 제1고정 돌기(222) 및 제1바스켓(260)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회전판(220) 및 제1회전축(240)의 설명은 앞에서 충분히 설명되었으며, 상기 제1고정돌기(222)와 제1바스켓(260)에 관하여 살펴보면, 상기 제1고정돌기(222)는 상기 제1회전판(220)의 내측면 둘레에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1고정돌기(222)는 아래에서 설명할 제1바스켓(260)의 제1고정고리(266)가 선택적으로 걸림결합될 수 있도록 대응하는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며, 아래에서 설명할 제1고정고리(266)의 의도하지 않은 탈거를 방지하기 위하여 돌출된 단부가 외측으로 다소 돌출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상기 제1바스켓(260)은 요리재료를 초벌구이하기 위한 것으로, 요리재료를 완전하게 밀폐 수납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제1바스켓본체(262)와 바스켓뚜껑(264) 그리고 제1고정고리(266)로 구성된다.
상기 제1바스켓본체(262)는 대략 상면이 개구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요리재료가 안착, 수용될 수 있도록 소정의 깊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좌우 양측의 상기 제1회전판(220) 사이의 거리와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바스켓본체(262)의 상단에는 바스켓뚜껑(264)이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된다. 상기 바스켓뚜껑(264)은 상기 제1바스켓본체(262)의 개구된 상면을 차폐하는 것으로 상면이 라운드지도록 형성되며 개구된 하면은 상기 제1바스켓본체(262)의 개구된 상면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바스켓뚜껑(264)의 회동에 따라 상기 제1바스켓본체(262)의 개구된 상면을 선택적으로 차폐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바스켓뚜껑(264)으로 상기 제1바스켓본체(262)의 개구된 상면을 차폐하게 되면, 상기 제1바스켓본체(262)는 밀폐된 상태가 되어 외부 열원에 의한 직접적인 가열이 불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바스켓뚜껑(264)의 상면 대략 중앙부에는 상기 바스켓뚜껑(264)의 개폐를 용이하도록 하는 개폐핸들(264a)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제1바스켓본체(262)의 좌우 양측면에는 제1고정고리(266)가 형성된다. 상기 제1고정고리(266)는 상기 제1고정돌기(222)와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제1바스켓(260)이 장착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소정의 굵기를 가지는 와이어가 절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1고정돌기(222)에 걸림 결합 될 수 있도록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구이부(300)는 제2회전판(320)과 제2회전축(340), 제2고정돌기(322) 및 제2바스켓(360)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2회전판(320)과 제2회전축(340) 및 제2고정돌기(322)는 이미 앞에서 충분히 설명되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제2회전판(320) 및 제2회전축(340) 그리고 제2고정돌기(322)의 형상은 전술한 상기 제1회전판(220)과 제1회전축(240) 및 제1고정돌기(222)의 그것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자 한다.
다만, 상기 제2회전판(320)의 장착위치에 있어서, 상기 제2구이부(300)는 상기 제1구이부(200)의 하방에 위치하게 되므로, 상기 제2회전판(320)은 상기 제1회전판(220) 보다 하방에 해당하는 상기 케이스(100)의 내측면 즉, 상기 조리실(140) 의 하부 좌우 양측에 장착되며, 상기 제2회전축(340) 또한 이에 대응하는 위치에 장착된다.
한편, 상기 제2바스켓(360)은 상기 제1바스켓(260)에서 초벌구이된 요리재료를 다시 가열하여 재벌구이하기 위한 용기로서 제2바스켓본체(362)와 바스켓그릴(364) 및 제2고정고리(36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2바스켓본체(362)는 상기 제2바스켓(360)의 외형의 상당부분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면과 하면이 개구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바스켓본체(262)의 높이와 대응하는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바스켓본체(362)는 좌우 양측에 구비된 상기 제2회전판(320) 사이의 거리와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제2회전판(320) 사이에 고정 장착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2바스켓본체(362)에 의해 상기 제2바스켓(360)의 둘레면은 차폐될 수 있게 된다. 이는 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요리재료를 굽게 되는 제2구이부(300)의 특성상 수납된 요리재료의 전면부 일측만 과도하게 가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 제2바스켓(360)의 내측에 요리재료를 수납할 수 있도록 상기 제2바스켓본체(362)의 개구된 하면은 바스켓그릴(364)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바스켓그릴(364)은 상기 제2바스켓(360)에 수용된 요리재료를 상기 열원(400)으로 재벌구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일반적인 석쇠와 같이 격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바스켓(360)의 내부에 수용된 요리재료가 하방에 위치한 열원(400)으로부터 직 접 가열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2바스켓(360)은 실질적으로 상면과 하면이 개구되어 있는 형태가 되며, 상기 제2바스켓(360) 내부의 요리재료는 상부와 하부를 관통하는 열기에 의해 표면이 노릇노릇하게 구워질 수 있게 된다.
상기 제2바스켓본체(362)의 좌우 양측면에는 제2고정고리(366)가 구비된다. 상기 제2고정고리(366)는 상기 제2고정돌기(322)와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제2바스켓(360)이 상기 제2회전판(320)의 사이에 고정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제2고정돌기(322)와 걸림 결합될 수 있도록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바비큐 장치의 작동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바비큐 장치의 작동을 보인 사시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바비큐 요리를 위해서 작업자는 상기 제1바스켓(260)의 바스켓뚜껑(264)을 열고 준비한 요리재료를 상기 제1바스켓본체(262)의 내측에 넣은 후 상기 바스켓뚜껑(264)을 닫아 상기 제1바스켓(260)이 밀폐상태가 되도록 한다.
상기 제1바스켓(260)을 밀폐시킨 후 상기 제1바스켓(260) 좌우 양측의 제1고정고리(266)를 상기 제1회전판(220)의 제1고정돌기(222)에 각각 걸림 결합시켜 상기 제1바스켓(260)을 상기 제1회전판(220) 사이에 장착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상기 제1바스켓(260)에 요리재료를 넣어 상기 제1회전판(220)에 다수의 제1바스켓(260)이 장착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작업자는 열원(400)에 숯불을 넣게 되는데, 상기 열원에 숯불을 넣 기 위해서는 상기 열원(400)의 일측에 형성된 인출핸들(420)을 막대 또는 다른 도구로 당겨 상기 열원(400)이 전방으로 슬라이딩 인출되도록 한 다음 상기 열원(400)에 숯불을 넣게 된다.
물론 상기 열원(400)은 숯불 등의 보충이 필요없는 가스버너 또는 세라믹히터 등으로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며, 이 경우에는 바로 열원(400)을 가동시키는 작업을 실시하게 된다.
상기 열원(400)에 숯불을 보충한 다음 사용자는 다시 상기 열원(400)을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적절한 위치에 위치하도록 한다. 상기 열원(400)의 위치는 작업자가 원하는 가열정도나 가열부위 등에 따라서 조절 가능할 것이며 바람직하게는 요리재료에서 떨어지는 기름의 영향을 적게 받도록 최후방에 위치하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조리 중 일시적인 집중 가열이나 국부적인 가열이 필요할 경우에도 상기 열원(400)의 위치는 슬라이딩 조작될 수 있을 것이며, 숯을 더 보충하거나 꺼내기 위해서 상기 열원을 슬라이딩 인출/입 시키는 등의 작업이 더 실시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열원(400)의 가열과 동시에 사용자는 상기 컨트롤부(164)를 조작하여 상기 전동모터(520)의 동작을 입력하게 된다. 이때, 조리의 특성에 따라 원하는 시간과 속도를 입력할 수도 있으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전동모터(520)가 동작하게 된다.
상기 전동모터(520)의 동작하게 되면, 상기 전동모터(520)의 회전력은 상기 제2전달부재(560)에 의해 상기 제2회전축(340)이 회전하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제2구이부(300)가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회전축(340)의 회전시 상기 제2회전축(340)과 제1전달부재(540)에 의해 연결된 상기 제1회전축(240) 또한 연동하여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제1구이부(200)가 회전하게 된다.
상기 제1구이부(200)와 제2구이부(30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바스켓(260)과 제2바스켓(360)에 수용된 요리재료들이 가열되어 조리된다.
한편, 상기 열원(400)에 의해 상기 조리실(140)의 내측이 가열되면, 열원(400)에 의해 가열되는 뜨거운 열기가 대류에 의해 상기 조리실(140)의 상부에 모이게 되어 상부가 하부에 비해 온도가 높게 되며, 상기 조리실(140)의 하부에서는 상기 열원(400)에 의한 직접가열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여 상기 조리실(140) 상부의 제1구이부(200)에서는 초벌구이를 실시하게 된다. 즉, 요리재료를 상기 제1구이부(200)의 제1바스켓(260)에 넣게 되면, 요리재료의 기름이 빠지면서 가열된다. 이때, 요리재료는 밀폐된 상기 제1바스켓(260)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로 간접가열되어 전체가 고르게 익혀지게 된다.
초벌구이 과정에서 요리재료에 포함된 기름이 대부분 상기 제1바스켓(260)에 빠져 모이게 되며 일정시간동안 초벌구이를 한 후, 작업자는 초벌구이된 요리재료를 상기 제1바스켓(260)에서 꺼내어 상기 제2바스켓(360)에 넣고 재벌구이하게 된다.
초벌구이된 요리재료는 상기 제2바스켓(360)에 수용되어 상기 열원(400)에 의해 다시 가열되는데, 이때 상기 열원(400)의 열기는 상기 제2바스켓(360)의 개구된 상면과 상기 바스켓그릴(364)을 통과하면서 요리재료의 표면에 고르게 전달되어 요리재료의 표면을 노릇노릇하게 구워 바비큐요리를 완성하게 된다.
한편, 요리재료를 상기 제2바스켓(360)에 옮기고 난 후 작업자는 상기 제1바스켓(260)에 초벌구이를 위해 준비된 요리재료를 다시 상기 제1바스켓(260)에 넣게 되며, 이와 같은 작업은 지속적으로 반복되어 초벌구이와 재벌구이가 한대의 바비큐장치에서 동시에 실시된다.
상기 초벌구이 과정에서 기름이 대부분 제거된 요리재료라 할지라도 재벌구이 과정 중에서 기름이 빠질수도 있으며, 이때의 기름은 상기 바스켓그릴(364)을 통해 하방으로 떨어지게 되어 상기 집유판(144)에 모이게 된다.
상기 집유판(144)에는 요리재료의 기름을 비롯한 이물질들이 모이게 되며, 이와 같은 기름 및 이물질들은 별도의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거나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서 모이게 된다.
한편, 상기 제1바스켓(260)에 모여있는 기름은 사용 중 상기 제1바스켓(260)을 분리하여 수시로 비워주게 되며, 상기 제1바스켓(260)에 초벌구이를 위해 준비된 요리재료를 넣을 때 이전의 요리재료에서 나온 기름을 비워주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계속되는 바비큐 장치의 작동으로 상기 바비큐 장치의 외측 즉, 상기 케이스(100)의 온도가 과도하게 상승될 경우에는 상기 냉각부(180)로 물을 공급하 여 상기 케이스의 외측을 냉각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급수구(150)와 수도꼭지를 배관 또는 호스로 연결하여 상기 냉각부(180)로 차가운 물을 공급하게 되며, 상기 냉각부(180)로 공급된 물에 의해 상기 케이스(100)의 외측면이 냉각됨은 물론 내부의 열기가 외부로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하게 된다.
물론 상기 냉각부(180)에 물을 채우는 작업은 상기 바비큐 장치의 작동 전 후 어느 때에라도 무방할 것이나, 작업자의 안전을 위해 작동 전에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며, 비교적 적은 양의 바비큐 요리를 할 경우에는 상기 냉각부(180)에 물을 채우지 않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상기 냉각부(180)의 물이 상기 조리실(140)의 열에 의해 뜨거워져 더 이상 냉각기능 및 열 차단 기능을 수행하지 못할 때에는 상기 냉각부(180)의 물을 상기 배수구(170)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고 다시 차가운 물을 상기 급수구(150)로 배출하게 된다.
상기 냉각부(180)의 내부에서 뜨거워진 물은 배수구(170)를 통해 배출되어 다른 용도로 사용가능할 것이며, 특히 바비큐 장치의 사용 후 청소 등을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바비큐 요리가 완료되면 작업자는 상기 냉각부(180)의 물을 외부로 배수시키고, 상기 집유판(144)에 모인 기름과 이물질을 비워 재사용 가능한 상태로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바비큐 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상기 조리실의 내부공간을 구획하여 초벌구이할 수 있는 제1구이부와 재벌구이할 수 있는 제2구이부로 구성함으로써 동시에 많은 양의 바비큐 요리를 실시할 수 있게 됨으로써 조리성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초벌구이를 실시한 후에 재벌구이를 실시하게 됨으로써 바비큐 요리중 속은 익지 않고 겉만 익게 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되며, 전체적으로 고르게 익은 바비큐 요리를 할 수 있게 되어 조리 품질이 향상된다.
특히, 초벌구이시에는 밀폐된 제1바스켓을 사용하고, 재벌구이시에는 상하면이 개구된 제1바스켓을 사용함으로써 장시간 실시되는 바비큐 요리의 특성상 겉이 마르게 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호일을 사용하지 않고도 기름이 열원으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요리재료를 고르게 익힐 수 있게 됨으로써 조리 품질이 한층 더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둘째, 조리실의 내부를 가열하기 위해 조리실의 하부에 구비되는 열원이 슬라이딩 인출/입 가능하게 구성됨으로써 숯을 보충하거나 꺼내는 작업이 보다 용이해짐은 물론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게 됨으로써 작업성의 향상과 함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요리재료의 상태 또는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상기 열원의 위치를 조작하여 요리재료의 가열정도와 가열 위치를 조절하게 되어 요리재료를 굽는 정도를 보다 다양하게 할 수 있게 되어 조리품질을 다양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케이스의 내측에 열기의 차단 및 케이스의 외측면의 냉각을 위한 냉각부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바비큐 요리 도중에 작업자 또는 다른 사람이 부주의에 의해 상기 케이스와 접촉하여 화상을 입게 되는 것을 방지하게 됨으로써 안전성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각부의 내측에 수용되어 열기의 차단 및 냉각에 사용되어진 물은 청소 및 다른 용도로 사용가능하게 되어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도 있다.

Claims (21)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요리재료가 조리되는 하나의 조리실을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조리실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요리재료가 밀폐상태로 수납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간접가열에 의해 요리재료를 초벌구이하는 제1구이부;
    상기 제1구이부와 떨어진 상기 조리실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요리재료가 수납되는 공간의 적어도 하면 일부가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직접가열에 의해 요리재료를 재벌구이하는 제2구이부;
    상기 조리실 내측에 제공되며, 상기 제 2 구이부의 하방에서 상기 제1구이부와 제2구이부를 가열하는 열원;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제공되어, 상기 제1구이부와 제2구이부를 회전시키는 구동기구;가 포함되는 바비큐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이부는,
    상기 케이스의 내부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제1회전판과;
    상기 제1회전판의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하는 제1회전축과;
    상기 제1회전판의 내측면에 다수개 구비되는 제1고정돌기와;
    상기 제1고정돌기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며, 요리재료가 수납되는 제1바스켓;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비큐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바스켓은 일면이 개구된 통상으로 형성되며, 개구된 면은 바스켓뚜껑에 의해 선택적으로 차폐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비큐 장치.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구이부는,
    상기 케이스의 내부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제2회전판과;
    상기 제2회전판의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하는 제2회전축과;
    상기 제2회전판의 내측면에 다수개 구비되는 제2고정돌기와;
    상기 제2고정돌기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며, 요리재료가 수납되는 제2바스켓;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비큐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바스켓은 통상으로 형성되며, 하면의 적어도 일부는 그릴 형상으로 형성되는 바스켓그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비큐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열원은 숯을 사용하여 발열하며, 전후방으로 이동 가능한 용기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비큐 장치.
  18. 제 12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벽면에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물에 의해 케이스를 냉각시키는 냉각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비큐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부의 내측면은 단열을 위한 석면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비큐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부에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물이 이동되는 파이프가 포함되며, 상기 파이프는 상기 케이스의 전체면에 걸쳐 고르게 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비큐 장치.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부에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물이 수용될 수 있도록 공간을 형성하는 플레이트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비큐 장치.
KR1020060109492A 2006-11-07 2006-11-07 바비큐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8623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9492A KR100862311B1 (ko) 2006-11-07 2006-11-07 바비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9492A KR100862311B1 (ko) 2006-11-07 2006-11-07 바비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1419A KR20080041419A (ko) 2008-05-13
KR100862311B1 true KR100862311B1 (ko) 2008-10-13

Family

ID=39648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9492A Expired - Fee Related KR100862311B1 (ko) 2006-11-07 2006-11-07 바비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231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6207B1 (ko) 2009-06-29 2012-11-28 이병춘 통닭구이기
KR200492826Y1 (ko) * 2020-06-24 2020-12-16 진청쇄 간접 및 훈열 구이를 겸하는 무연 숯불 화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7014A (ko) * 2000-10-04 2002-04-13 한승택 만능 구이장치
KR200380713Y1 (ko) * 2004-11-04 2005-04-07 윤정모 닭 구이기
KR200401159Y1 (ko) * 2005-08-25 2005-11-15 조형연 고기 구이 장치
KR20060093023A (ko) * 2005-02-18 2006-08-23 주식회사 웰바스 냉각 시스템을 갖춘 바비큐 그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7014A (ko) * 2000-10-04 2002-04-13 한승택 만능 구이장치
KR200380713Y1 (ko) * 2004-11-04 2005-04-07 윤정모 닭 구이기
KR20060093023A (ko) * 2005-02-18 2006-08-23 주식회사 웰바스 냉각 시스템을 갖춘 바비큐 그릴
KR200401159Y1 (ko) * 2005-08-25 2005-11-15 조형연 고기 구이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6207B1 (ko) 2009-06-29 2012-11-28 이병춘 통닭구이기
KR200492826Y1 (ko) * 2020-06-24 2020-12-16 진청쇄 간접 및 훈열 구이를 겸하는 무연 숯불 화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1419A (ko) 2008-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62022A (en) Oven system
US20120097046A1 (en) Kabob cooker and grill
JP6258939B2 (ja) ドラム式調理器
US2763200A (en) Charcoal barbecue
ITMI982473A1 (it) Dispositivo di tipo elettrico ad uso domestico per la cottura diprodotti alimentari
US6041695A (en) BBQ oven
KR20120100050A (ko) 회전식 구이기
KR101394563B1 (ko) 휴대용 바비큐 구이 장치
WO2007056626A2 (en) Portable rotisserie oven having a removable food holding device with an external handle
KR100862311B1 (ko) 바비큐 장치
KR200485954Y1 (ko) 숯불구이조리장치 및 숯불구이조리장치용 숯통
KR101325598B1 (ko) 다목적 회전식 구이기
KR102113271B1 (ko) 구이 시간이 단축된 통돌이형 직화구이기
KR200169888Y1 (ko) 회전식 고기구이기
KR20130030850A (ko) 바베큐장치
KR101856684B1 (ko) 전기 구이기
KR101117486B1 (ko) 튀김기
JP2016168154A (ja) ドラム式調理器
KR102224413B1 (ko) 회전식 고기 구이기
KR100776306B1 (ko) 바베큐 장치
KR102666784B1 (ko) 회전식 고기구이장치
KR101073882B1 (ko) 훈제식 고기 구이기
KR101177993B1 (ko) 다용도 바베큐 기계
KR102410674B1 (ko) 회전고기구이장치
KR100644973B1 (ko) 이중도어를 갖는 구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110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7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1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71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10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10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9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3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1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2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0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21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6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00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7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