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3817B1 - 회전구이기 - Google Patents

회전구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3817B1
KR100793817B1 KR1020070078059A KR20070078059A KR100793817B1 KR 100793817 B1 KR100793817 B1 KR 100793817B1 KR 1020070078059 A KR1020070078059 A KR 1020070078059A KR 20070078059 A KR20070078059 A KR 20070078059A KR 100793817 B1 KR100793817 B1 KR 1007938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ewer
main body
plate
meat
rot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80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정환
Original Assignee
조정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정환 filed Critical 조정환
Priority to KR10200700780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38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38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38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 A47J37/042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with food supports arranged on wheels or spid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18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vertical fire box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45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motor-driven food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기를 구울 때 고기 전체부위가 가열수단에 의해 골고루 가열될 수 있도록 고기를 회전시키면서 구우도록 된 회전구이기에 관한 것으로서, 꼬챙이의 길이 일부가 탈,장착되도록 골뱅이 형상으로 된 걸림개구부가 다수 형성되고, 외측 중앙부에 회전축이 돌출 형성된 제1회전판과; 상기 제1회전판의 걸림개구부와 대응되게 동일 형상의 걸림개구부를 갖고, 외측 중앙부에 회전축이 돌출 형성된 제2회전판과; 상기 제1회전판과 제2회전판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제1회전판과 제2회전판에 삽입 결합되며 고기를 꽂도록 일자형태의 봉상으로 되어 있는 꼬챙이와; 상기 꼬챙이에 꽂힌 고기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수단과; 상기 제1회전판, 제2회전판, 구동모터, 가열수단을 내장하면서 상부 양측에는 고기구이 받침판이 거치되도록 지지대가 형성되고, 하부 중앙부에는 기름받이판이 설치되는 본체로 구성되는 회전구이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골뱅이 형상의 걸림개구부가 형성된 회전판을 사용하므로서 꼬챙이의 탈,장착이 용이하여 사용이 간편하고, 절대로 꼬챙이가 회전하는 동안 이탈되지 않아 기기파손이나 기름받이에 떨어져 고기를 훼손시키는 문제가 없으며, 또한 회전판과 회전판사이에 회전축을 설치하지 않음으로서 회전축위에 고기 기름, 양념 등이 묻을 염려가 없고 이에 따라 위생상 청결유지 및 구이기의 청소가 용이하며, 크기가 큰 고기 덩어리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여 용도의 폭을 넓히는 효과가 있다.
회전구이기, 고기, 골뱅이, 걸림개구부, 꼬챙이

Description

회전구이기{ROTARY ROSATER}
본 발명은 고기를 구울 때 고기 전체부위가 가열수단에 의해 골고루 가열될 수 있도록 고기를 회전시키면서 구우도록 된 회전구이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고기를 지지하는 꼬챙이의 장탈착이 용이하고 또 회전판으로부터 이탈될 염려가 없으며, 고기로부터 배출되는 기름이 회전축에 묻지 않도록 하여 위생적이고, 손쉽게 이용 가능한 회전구이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회전구이기는 회전축의 양단에 회전판을 설치하고 이 회전판 사이에 고기를 꽂은 꼬챙이를 삽입 결합시킨 다음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고기를 꽂은 꼬챙이가 회전판과 함께 회전되면서 가열수단에 의해 고기가 골고루 구워지게 한 것이 사용되어 오고 있다.
이러한 회전구이기는 대표적인 것으로, 한국 실용신안공개번호 제95-2944호와,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0317047호가 소개되어 있다.
이들 회전구이기는 도 1과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고기구이 꼬챙이(110)를 회전판(100)에 결합시킴에 있어, 일측 회전판(100)에 “
Figure 112007056693291-pat00001
”형상의 개구부(120) 를 형성하고, 꼬챙이(110)는 그 길이 일부의 단면두께를 다르게 한 단턱을 형성시킨 봉상의 것을 사용하여 두께가 얇은 부위를 회전판(100)에 형성된 개구부(120)의 상부로 집어 넣은 다음 앞으로 당겨서 두께가 두꺼운 부위가 개구부(120)의 오목부(걸림개구)에 걸려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회전구이기는 꼬챙이(110)를 회전판(100)의 개구부(120)를 통해 걸림개구에 결합시키는 과정이 복잡하여 사용상 어려움이 있었고, 걸림개구에 결합된 꼬챙이(110)는 외부의 가벼운 충격에도 전후로 쉽게 움직이기 때문에 회전판(100)이 회전할 때 꼬챙이(110)의 두께가 얇은 부위가 회전판(100)의 걸림개구로부터 벗어나 개구부(120) 위치에 오게 되어 회전판(100)으로부터 쉽게 이탈되어 기기파손이나 기름받이에 떨어져 고기를 훼손시키는 등의 제반 문제가 발생되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한 것으로 한국 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386648호의 고기구이 장치가 있다. 이 고기구이 장치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 회전판(100)에 형성된 걸림개구부 대신 볼프런져(130)를 설치하고, 꼬챙이(110)에 형성된 단턱을 없애고 일자형태의 것으로 단순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꼬챙이(110)의 제조가 보다 간단해지고, 꼬챙이(110)를 회전판(100)에 결합함에 있어서도 아주 손쉽게 탈,장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으며, 사용중에 꼬챙이(110)가 회전판(100)으로부터 절대로 이탈되지 않아 기기파손과 화재가 발생하는 등의 종래기기가 가지고 있던 문제를 해소하였다.
그런데, 이 장치는 종래기술이 가지고 있었던 문제를 해결한 유용한 고안이 기는 하나 볼프런져(130)를 회전판(100)에 부착하는 공정이 복잡하여 제조단가가 상승되는 문제가 새로이 발생되었고, 회전판(100)과 회전판이 회전축(140)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관계로 꼬챙이(110)에 꽂혀진 고기의 기름이 떨어져 회전축(140) 위에 부착되고, 꼬챙이(110)에 꽂혀진 고기가 클 경우 고기가 회전축(140)과 접촉되면서 회전축(140)에 고기기름 및 양념이 묻게 되거나 회전축(140)에 묻어 있던 기름이나 양념 등이 고기에 되묻게 되어 위생상 불결한 문제가 발생되었다.
뿐만 아니라, 사용하고 난 다음에 장치를 청소하는 과정에서도 회전축(140)이 장치의 내부 중앙부에 위치하는 구조상의 문제로 깨끗하게 청소할 수 없었고, 깨끗이 청소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이 요구되는 단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회전구이기가 갖는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꼬챙이를 회전판에 쉽게 탈,장착할 수 있으며, 회전판이 회전하는 동안에 회전판으로부터 꼬챙이가 절대로 이탈되지도 않고, 회전축에 기름이 떨어지거나 회전축에 묻은 기름 등 오물이 고기에 되묻지도 않도록 하면서, 단가는 더욱 낮출 수 있도록 한 회전구이기의 제공을 그 주된 해결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회전판의 걸림개구부를 골뱅이 형상으로 만곡지게 하고, 회전판과 회전판을 연결하는 회전축을 없앤 것을 주된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꼬챙이의 길이 일부가 탈,장착되도록 골뱅이 형상으로 된 걸림개구부가 다수 형성되고, 외측 중앙부에 회전축이 돌출 형성된 제1회전판과; 상기 제1회전판의 걸림개구부와 대응되게 동일 형상의 걸림개구부를 갖고, 외측 중앙부에 회전축이 돌출 형성된 제2회전판과; 상기 제1회전판과 제2회전판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제1회전판과 제2회전판에 삽입 결합되며 고기를 꽂도록 일자형태의 봉상으로 되어 있는 꼬챙이와; 상기 꼬챙이에 꽂힌 고기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수단과; 상기 제1회전판, 제2회전판, 구동모터, 가열수단을 내장하면서 상부 양측에는 고기구이 받침판이 거치되도록 지지대가 형성되고, 하부 중앙부에는 기름받이판이 설치되는 본체로 구성되는 회전구이기를 제공함에 그 특징이 있다.
이때, 상기 구동모터에는 구동축이 연결되고, 상기 구동축에는 종동축이 기름받이판이 배치되는 본체 중앙을 우회하여 연결되며, 상기 구동축과 종동축에는 각각 제1,2회전판의 회전축이 체인에 의해 연결된 것에도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지지대는 바닥면에 열기공이 다수 형성되고, 고기구이 받침판에 배출되는 기름이 묻지 않도록 일측부가 절개되어 있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지지대는 고기구이 받침판이 안착되는 양측 일부를 제외하고 그 길이방향으로 긴 대형절개부가 형성된 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꼬챙이는 고기를 보조적으로 꽂기 위한 보조꼬챙이와, 꼬챙이가 항상 수직으로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일자 형태의 무게추가 설치되어 있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꼬챙이의 끝단이 삽입 고정되도록 끼움공이 다수 형성되고, 외측 중앙부에 회전축이 돌출 형성된 제1회전판과; 꼬챙이의 손잡이 인근 부분이 삽입 결합되어 탈,장착되도록 골뱅이 형상으로 된 걸림개구부가 다수 형성되고, 외측 중앙부에 회전축이 돌출 형성된 제2회전판과; 상기 제1회전판과 제2회전판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제1회전판과 제2회전판에 삽입 결합되며 고기를 꽂도록 일자형태의 봉상으로 되어 있는 꼬챙이와; 상기 꼬챙이에 꽂힌 고기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수단과; 상기 제1회전판, 제2회전판, 구동모터, 가열수단을 내장하면서 상부 양측에는 고기구이 받침판이 거치되도록 지지대가 형성되고, 하부 중앙부에는 기름받이판이 설치되는 본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구이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골뱅이 형상의 걸림개구부가 형성된 회전판을 사용함으로써 꼬챙이의 탈,장착이 용이하여 사용이 간편하고, 꼬챙이가 회전하는 동안 절대로 이탈되지 않아 기기파손이나 기름받이에 떨어져 고기가 훼손되는 문제가 없으며, 또한 회전판과 회전판 사이에 회전축을 설치하지 않음으로써 회전축 위에 고기 기름, 양념 등이 묻을 염려가 없고 이에 따라 위생상 청결유지 및 구이기의 청소가 용이하고, 크기가 큰 고기 덩어리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여 용도의 폭을 넓히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종래 구이기의 꼬챙이를 앞으로 당겨 고정하는 형태나 볼플런저 형태에 비해 제조가 용이하고, 사용이 편리한 장점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 회전구이기의 정단면도이고, 도 5는 제1회전판의 사시도이며, 도 6은 제2회전판의 사시도이고, 도 7은 꼬챙이의 상세도이며, 도 8은 제2회전판에 꼬챙이가 결합된 상태를 회전부위에 따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 회전구이기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회전판(2,3)의 각 외측 중앙부에 회전축(22,32)이 돌출 형성되어 구이기 본체(1)의 양측면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2회전판(2,3)에는 그 테두리를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의 걸림개구부(21,31)가 골뱅이 형상으로 대응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골뱅이 형상의 걸림개구부(21,31)는 일종이 나선형 홈으로서 상기 제1,2회전판(2,3)이 회전하더라도 꼬챙이(5)가 상기 걸림개구부(21,31)로부터 절대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제1,2회전판(2,3)은 도 5,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혹은 8각형을 가질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형상에 불과할 뿐 이에 국한되지 않고 그 이외의 다각형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아울러, 상기 제1회전판(2)의 경우에는 도 5의 (c),(d)에서와 같이, 골뱅이 형상의 걸림개구부가 아닌 단순한 구멍 형태로 끼움공(21')을 형성한 구조일 수도 있다.
이는 경우에 따라 꼬챙이(5)의 회전동작시 이를 보다 안전하게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예컨대 꼬챙이(5)의 뾰족한 선단이 끼워진 상태로 항상 걸려 있는 구조여서 일부러 빼내지 않는 한 쉽게 이탈되지 않는 장점을 가지기 때문에 사용환경이나 구이 대상에 따라 필요한 경우 골뱅이 형상의 걸림개구부(21)를 갖는 제1회전판(2)과 병용하거나 택일하여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들 제1,2회전판(2,3)의 회전축(22,32)은 도 4,9에 나타난 바와 같이 구동축(4a) 및 종동축(4b)과 각각 체인(41)으로 연결되어 구동모터(4)의 작동에 의해 동일방향으로 동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이를 위해, 도 9에서와 같이 상기 종동축(4b)은 도 1에 도시된 기름받이판(6)과 겹치지 않도록 이를 우회하여 구동모터(4) 쪽으로 연장 배치되고, 그 단부는 구동축(4a)과 동력전달가능하게 연결되는데, 연결구조는 기어, 벨트, 체인 등 다양한 방식이 될 수 있다.
한편, 제1회전판(2)과 제2회전판(3) 사이에는 고기를 꽂을 수 있는 꼬챙이(5)가 설치되는데, 이 꼬챙이(5)는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끝단부가 고기를 관통할 수 있도록 날카롭게 형성되고 반대쪽에는 손잡이(52)가 형성되어 이용하기 편리하게 하였으며, 꼬챙이(5)가 향상 수직을 유지할 수 있도록 무게추(51)가 꼬챙이 일측에 일자형태로 부착되어 있고, 이 무게추(51)에 보조 꼬챙이(53)가 꼬챙이(5)와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꼬챙이(5)는 금속, 바람직하기로는 철 소재로 형성함이 좋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나무, 특히 대나무를 일정형태로 가공하여 사용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반드시 도시된 형상과 같이 할 필요는 없으며 무게추(51) 대신에 약간 돌출되게 돌부를 형성하여 꼬챙이(5)가 제1,2회전판(2,3)에 장착될 때 일정구간에서 걸려 스톱핑됨으로써 꼬챙이(5)의 길이방향으로의 유동을 제한하도록 하는 구조 정도만 갖추어도 무난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도 4에서와 같이, 본체(1)의 중앙 하부에는 상기 제1회전판(2)과 제2회전판(3)에 설치된 꼬챙이(5)의 고기로부터 떨어지는 기름이 기름가이드(6a)를 통해 안내된 후 수집되어 수거되도록 하는 기름받이판(6)이 설치되어 있고, 이 기름받이판(6)은 도 9에 도시된 삽입개구(6b)를 통해 본체(1)에 장착되며, 또한 도 9에서와 같이 제1회전판(2)과 제2회전판(3)에 설치된 꼬챙이(5)와 평행되는 본체(1)의 양측면부에는 가열수단(9)이 서로 대향되게 설치되어 꼬챙이(5)에 부착된 고기를 가열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본체(1)의 상부 양측면에는 고기구이 받침판(8)을 올려놓기 위한 지지대(7)가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지지대(7)의 양단부에는 고기구이 받침판(8)을 걸칠 수 있는 받침대고정부(7b)가 형성되는데, 이는 홈 형태일 수도 있고 돌기 형태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지지대(7)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가열수단(9)으로부터 방열된 열을 잘 전달받기 위해 다수의 열기공(구멍)(7c)이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고기구이 받침판(8)에 형성된 배유구(미도시)로부터 배출된 기름이 고기구이 받침판(8)에 묻지 않도록 본체(1) 하방으로 신속히 배출 유도하는 절개부(7a)가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지지대(7)는 이러한 형태에 국한되지 않고, 도 9에 별도로 분 리되어 도시된 형태와 같은 지지대(7')로도 제작할 수 있는데, 이러한 형태의 지지대(7')의 경우에는 열기공이 형성되던 부분을 아예 전부 절개시켜 대형절개부(7a')를 구성하고, 고기구이 받침판(8)이 전도(넘어지는 것)되지 않도록 일부에 걸림턱(7d)을 구성함으로써 본체(1)의 가열수단(9)으로부터 전도된 열을 더욱 더 잘 받을 수 있도록 하여 거치된 고기를 충분히 보열시킬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굽고자하는 고기를 꼬챙이(5)에 꽂은 다음 꼬챙이(5)의 길이 일부를 제1회전판(2)과 제2회전판(3)에 형성된 걸림개구부(21,31)에 밀어 넣기만 하면 꼬챙이(5)는 자체 중력에 의해 골뱅이 형상의 만곡면을 따라 밑바닥부에 안착되게 된다.
이때, 상기 꼬챙이(5)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제1회전판(2)에 먼저 끼운 후 제2회전판(3)에 연달아 끼워넣어 장착할 수도 있고, 그 반대일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동시에 끼워 넣을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꼬챙이(5)는 상기 제1,2회전판(2,3)이 멈춰 있는 상태에서 끼워 넣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경우에 따라 상기 제1,2회전판(2,3)이 회전하고 있는 상태에서도 끼워 넣을 수도 있다.
이는 본 발명 제1,2회전판(2,3)이 기존과 달리 꼬챙이(5)의 선단을 먼저 구멍에 끼워 넣은 다음 후단측을 거치하여 고정하는 형태가 아니라 그냥 걸림개구부(21,31)에 얹어 놓기만 해도 자중과 회전력에 의해 자동적으로 골뱅이 형상의 걸림개구부(21,31)에 구속되어 인위적으로 빼내지 않는 한 지속적인 구속력을 갖도록 고안된 독특한 형상에 기인한 것이다.
그 다음, 본체(1)에 설치된 스위치를 조작하여 가열수단(9)을 작동시키고, 연이어서 구동모터(4)의 스위치를 온(on)시켜 구동모터(4)를 작동시키면 구동모터(4)의 구동축(4a)과 체인(41)으로 연결된 제1회전판(2), 상기 구동축(4a)과 연결되어 동시 회전가능한 종동축(4b)과 체인(41)으로 연결된 제2회전판(3)이 동시에 회전하게 되어 여기에 설치된 꼬챙이(5)의 고기가 회전하면서 가열수단(9)에 의해 가열되면서 익혀지게 된다.
이때, 상기 제1,2회전판(2,3)의 골뱅이 형상을 갖는 걸림개구부(21,31)에 삽입 설치된 꼬챙이(5)는 회전하는 도중에 절대로 이탈되지 않는데 그 과정을 도 8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처음에 꼬챙이(5)를 걸림개구부(21,31)에 올려 놓으면 꼬챙이(5)는 중력에 의해 골뱅이 형상의 만곡면을 따라 하강하면서 골뱅이 형상의 걸림개구부(21,31) 바닥부에 안치되고 이때의 단면도가 1시 방향에 나타나 있다.
다음에 제1,2회전판(2,3)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골뱅이 형상의 위치가 바뀌게 되고, 골뱅이 형상의 위치변경에 따라 꼬챙이(5)는 자체 중력에 의해 골뱅이 형상의 만곡면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그렇게 하여, 상기 제1,2회전판(2,3)이 대략 5시 방향(5')에 도달하면 꼬챙이(5)는 골뱅이 형상의 꽁지부분에 이르게 되어 꽁지 부분의 굴곡면에 안착되고 결국 6시 방향(5") 즉, 하향점에 도달하여도 꼬챙이(5)는 골뱅이 형상의 꽁지부분 굴곡면에 안치되어 이탈되지 않으며, 대략 8,9시 방향(5'")에 이를 때까지 골뱅이 형 상의 꽁지부분에서 이탈되지 않는다.
이어, 비로서 10 혹은 11시 방향(5"")에 도달해서야 골뱅이 형상의 꽁지부분이 하향하게 되고, 이때 꼬챙이(5)는 골뱅이 형상의 꽁지부분으로부터 이탈되어 골뱅이 형상의 만곡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골뱅이 형상의 밑바닥부로 다시 복귀하게 된다.
이러한 일련의 연속동작에 의해 꼬챙이(5)는 제1,2회전판(2,3)으로부터 절대로 탈락되지 않는다.
아울러, 상기에서 설명한 것은 골뱅이 형상의 걸림개구부(21,31)가 5개 일 때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상기 걸림개구부(21,31)가 3개 혹은 4개 나아가 6개일 경우에는 시계를 이용한 방향 설명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제1,2회전판(2,3)의 회전에도 불구하고 꼬챙이(5)가 걸림개구부(21,31)로부터 결코 이탈되지 않는다는 결론은 동일하다.
뿐만 아니라, 상기 걸림개구부(21,31)의 골뱅이 형상이 시계방향으로 형성된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반시계방향으로도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나아가, 상기 제1회전판(2)에 형성된 걸림개구부(21)가 도 5의 (c),(d)와 같이 끼움공(21')일 경우에는 먼저 상기 끼움공(21')에 꼬챙이(5)의 선단을 끼워 넣은 후 상술한 바와 동일한 과정을 거쳐 고기를 구우면 된다.
또한, 이때 꼬챙이(5)에 설치된 무게추(51)에 의해 꼬챙이는 항상 수직을 유지하게 되어 고기의 전부분을 골고루 데우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하여, 고기가 익으면 구동모터(4)의 작동을 오프(off)하여 제1,2회전판(2,3)의 회전을 중지시킨 후 꼬챙이(5)를 걸림개구부(21,31)로부터 꺼내고, 고기는 꼬챙이(5)로부터 분리하여 본체(1) 상부에 설치된 고기구이 받침판(8)위에 올려놓고 먹으면 된다.
이때, 고기구이 받침판(8) 위에 얹혀진 고기는 가열수단(9)에 의해 발산되는 열에 의해 간접 가열되어 식지 않기 때문에 계속하여 뜨거운 고기 맛을 느끼게 해준다.
사용이 완료된 후에는 꼬챙이(5)와 기름받이판(6)을 수거하여 청소하면 된다.
도 1는 종래 기술중 하나인 공개실용신안공보 95-2944호로서, (a)는 정단면도, (b)는 고기꽂이봉의 발췌사시도, (c)는 측단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중 하나인 등록특허 공보 10-0317047호의 고기구이 회전체 및 고기구이 꼬챙이의 상세도(도면3);
도 3은 종래 기술중 하나로 실용신안등록 20-0386648의 회전판 및 꼬챙이의 결합상세도(도면6);
도 4는 본 발명 회전구이기의 정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제1회전판의 상세도;
도 6은 본 발명 제2회전판의 상세도;
도 7은 본 발명 꼬챙이의 상세도;
도 8은 본 발명 제2회전판에 꼬챙이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 회전구이기의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본체 2....제1회전판
3....제2회전판 4....구동모터
5....꼬챙이 21,31....걸림개구부
22,32....회전축

Claims (7)

  1. 상부 양측에는 고기구이 받침판(8)이 거치되도록 지지대(7)가 형성되고, 하부 중앙부에는 기름받이판(6)이 설치된 본체(1)와;
    상기 본체(1)의 일측 내벽에 축설되는 회전축(22)에 의해 고정되고, 외테두리에는 골뱅이 형상의 걸림개구부(21)가 다수 형성된 제1회전판(2)과;
    상기 본체(1)의 타측 내벽에 상기 회전축(22)과 별개로 축설되는 회전축(32)에 의해 고정되고, 외테두리에는 상기 걸림개구부(21)와 대응되는 형상의 걸림개구부(31)가 다수 형성된 제2회전판(3)과;
    상기 본체(1)의 하부 일측 내벽에 설치되는 구동모터(4)와;
    상기 구동모터(4)에 연결된 구동축(4a) 및 상기 기름받이판(6)이 설치된 본체(1) 중앙을 우회하여 설치되고 상기 구동축(4a)에 연결된 종동축(4b)과 상기 회전축(22,32)을 각각 연결하는 체인(41)과;
    상기 제1회전판(2)과 제2회전판(3)에 삽입 결합되며, 고기를 꽂도록 일자형태의 봉상으로 된 꼬챙이(5)와;
    상기 꼬챙이(5)에 꽂힌 고기를 가열하도록 상기 본체(1) 양측에 내장된 가열수단(9)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구이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7)는 바닥면에 열기공(7c)이 다수 형성되고, 고기구이 받침판(8)에서 배출되는 기름이 고기구이 받침판(8)의 하부에 묻지 않도록 일측부가 절개되어 절개부(7a)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구이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7)는 고기구이 받침판(8)이 안착되는 양측 일부를 제외하고 그 길이방향으로 긴 대형절개부(7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구이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꼬챙이(5)는 고기를 보조적으로 꽂기 위한 보조꼬챙이(53)와, 꼬챙이(5)가 항상 수직으로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일자 형태의 무게추(51)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회전구이기.
  6. 상부 양측에는 고기구이 받침판(8)이 거치되도록 지지대(7)가 형성되고, 하부 중앙부에는 기름받이판(6)이 설치된 본체(1)와;
    상기 본체(1)의 일측 내벽에 축설되는 회전축(22)에 의해 고정되고, 원주방향을 따라 끼움공(21')이 다수 형성된 제1회전판(2)과;
    상기 본체(1)의 타측 내벽에 상기 회전축(22)과 별개로 축설되는 회전축(32)에 의해 고정되고, 외테두리에는 골뱅이 형상의 걸림개구부(31)가 다수 형성된 제2회전판(3)과;
    상기 본체(1)의 하부 일측 내벽에 설치되는 구동모터(4)와;
    상기 구동모터(4)에 연결된 구동축(4a) 및 상기 기름받이판(6)이 설치된 본체(1) 중앙을 우회하여 설치되고 상기 구동축(4a)에 연결된 종동축(4b)과 상기 회전축(22,32)을 각각 연결하는 체인(41)과;
    상기 제1회전판(2)과 제2회전판(3)에 삽입 결합되며, 고기를 꽂도록 일자형태의 봉상으로 된 꼬챙이(5)와;
    상기 꼬챙이(5)에 꽂힌 고기를 가열하도록 상기 본체(1) 양측에 내장된 가열수단(9)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구이기.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꼬챙이(5)는 철(Fe) 소재 혹은 대나무를 가공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구이기.
KR1020070078059A 2007-08-03 2007-08-03 회전구이기 KR1007938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8059A KR100793817B1 (ko) 2007-08-03 2007-08-03 회전구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8059A KR100793817B1 (ko) 2007-08-03 2007-08-03 회전구이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3817B1 true KR100793817B1 (ko) 2008-01-11

Family

ID=39217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8059A KR100793817B1 (ko) 2007-08-03 2007-08-03 회전구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381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6363B1 (ko) 2016-12-12 2017-07-13 주식회사 파미고 회전식 숯불구이의 음식물 거취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5311Y1 (ko) 1997-04-04 1999-08-16 김선석 테이블에 설치된 회전 꼬치구이기
KR200169901Y1 (ko) 1999-06-24 2000-02-15 염영환 꼬치회전구이장치
KR100317047B1 (ko) 1999-03-09 2001-12-22 박광화 고기구이기
KR200359476Y1 (ko) 2004-05-28 2004-08-21 이병덕 고기구이기용 회전기구
KR200386648Y1 (ko) 2005-03-15 2005-06-17 조정환 산적 및 고기 구이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5311Y1 (ko) 1997-04-04 1999-08-16 김선석 테이블에 설치된 회전 꼬치구이기
KR100317047B1 (ko) 1999-03-09 2001-12-22 박광화 고기구이기
KR200169901Y1 (ko) 1999-06-24 2000-02-15 염영환 꼬치회전구이장치
KR200359476Y1 (ko) 2004-05-28 2004-08-21 이병덕 고기구이기용 회전기구
KR200386648Y1 (ko) 2005-03-15 2005-06-17 조정환 산적 및 고기 구이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6363B1 (ko) 2016-12-12 2017-07-13 주식회사 파미고 회전식 숯불구이의 음식물 거취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223713A1 (zh) 一种具有翻转功能的空气炸锅
US20160206149A1 (en) A cooking apparatus and accessories
JPH08511695A (ja) 自動カバブ回転器
US20120097046A1 (en) Kabob cooker and grill
JP2004267766A (ja) 回転オーブン
KR100793817B1 (ko) 회전구이기
US20070101869A1 (en) Portable rotisserie oven having a removable food holding device with an external handle
KR200169888Y1 (ko) 회전식 고기구이기
KR20090041512A (ko) 회전구이기
KR100387391B1 (ko) 꼬치 회전 구이장치
US8495952B2 (en) Skewered food removal device
KR20170136102A (ko) 전기 구이기
TWI508660B (zh) 自動燒烤機結構
KR200386648Y1 (ko) 산적 및 고기 구이 장치
KR200169901Y1 (ko) 꼬치회전구이장치
KR200424158Y1 (ko) 숯불구이기용 고기꽂이의 구조
KR100549808B1 (ko) 전동식 구이판
KR200207252Y1 (ko) 회전식 숯불구이용 로스터
KR101756363B1 (ko) 회전식 숯불구이의 음식물 거취장치
KR20060128636A (ko) 회전식 꼬치구이 장치
KR20090113133A (ko) 튀김장치용 찌꺼기제거장치
KR20160095553A (ko) 휴대용 바베큐 구이기
KR100603648B1 (ko) 직화겸용 회전 분리식 숯불 구이기
KR20120007809U (ko) 회전 구이기
KR970001499Y1 (ko) 회전구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2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