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3648B1 - 직화겸용 회전 분리식 숯불 구이기 - Google Patents

직화겸용 회전 분리식 숯불 구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3648B1
KR100603648B1 KR1020040026958A KR20040026958A KR100603648B1 KR 100603648 B1 KR100603648 B1 KR 100603648B1 KR 1020040026958 A KR1020040026958 A KR 1020040026958A KR 20040026958 A KR20040026958 A KR 20040026958A KR 100603648 B1 KR100603648 B1 KR 1006036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coal
roasting
plate
fire
ske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69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02163A (ko
Inventor
백경식
Original Assignee
(주) 천연푸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천연푸드 filed Critical (주) 천연푸드
Priority to KR10200400269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3648B1/ko
Publication of KR200501021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21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36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36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9/00Bookmarkers; Spot indicators; Devices for holding books open; Leaf tur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13/00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 B42F13/16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with claws or rings
    • B42F13/165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with claws or rings with flexible or resilient claws or rings

Landscapes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숯불통 본체의 이동성 및 꼬치봉의 삽탈성을 높이고, 숯불과의 직화를 가능하게 하며, 기존의 테이블에 탈부착이 가능하고, 테이블의 활용도를 향상시킨 직화겸용 회전 분리식 숯불 구이기에 관한 것으로, 함체(100)와 분리식 구이기 본체(200) 및 축열겸용 직화구이판(300)를 포함하고, 구이기 본체(200)는 함체(100)에 삽탈이 용이하고 동시에 운반 이동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축열겸용 직화구이판(300)은 사용위치에 따라 직화로 고기를 구을 수 있어 취식자가 원하는 방법으로 구이가 가능하다.
구이기, 꼬치, 숯불, 전동모터, 손잡이, 숯불통, 덮개판, 구이판

Description

직화겸용 회전 분리식 숯불 구이기{Charcoal fire roast combined a direct fire with a rotating and separating}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숯불 구이기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숯불 구이기의 조립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숯불 구이기의 동력 전달 상태도.
도 4a,4b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축열겸용 직화구이판의 다양한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22,23 : 숯불통
25 : 연결판
26 : 열손실 차단용 덮개
31,32 : 꼬치봉
40 : 전동모터
100 : 함체
102 : 구이기 본체 장착용 개구부
104 : 회전원판
200 : 구이기 본체
202 : 숯불통 수납실
204 : 숯불통 받이턱
206A,206B : 구이판 받이턱
210 : 분리벽
210a : 장공
212 : 손잡이 골
220 : 운반손잡이
300 : 축열겸용 직화구이판
310 ; 석판
320 : 열투입구 조절판
322 : 숯불열 직화구
400 : 함체 덮개판
본 발명은 꼬치식 구이와 일반적인 직화 불판의 구이가 가능토록 한 구이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숯불통 본체의 이동성 및 꼬치봉의 삽탈성을 높이고, 숯불과 의 직화를 가능하게 하며, 기존의 테이블에 탈부착이 가능하고, 테이블의 활용도를 향상시킨 직화겸용 회전 분리식 숯불 구이기에 관한 것이다.
꼬치봉에 각종 음식물을 꽂아 숯불에 구이하는 장치의 선행 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에 공개된 테이블에 설치된 '회전 꼬치 구이기(공개번호 실1997-26927호)'와 이를 동 고안자가 개선한 '테이블의 내부로 함몰 장착되는 꼬치구이기(공개번호 실2000-18787호)가 있다.
이들 선 공개된 구이기의 기술은 구이기 본체의 개구부측에 구비된 여러개의 숯불통에 숯을 담아놓고, 숯불통의 사이에 위치시킨 꼬치봉을 전동식으로 회전시켜가면서,구운 고기는 꼬치쟁반에 담아놓고 취식하게 되어 있다. 또한 꼬치봉의 삽탈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승강장치가 채택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를 가지고 있다.
꼬치봉의 삽탈 용이성을 높이기 위해 승강장치가 추가되어 제작비용을 상승시키고, 구이기본체의 이동이 어려워 구이기 본체의 내부를 항시 청결해두어야 하는 신경을 써야 한다.
또한 숯불이 담겨진 상태로 숯불통만이 운반되므로 재가날리거나 숯불의 작은 덩어리가 빠져나와 음식점에서는 안전상의 위험이 놓고 손님에게 불쾌감을 주게 된다. 또한 숯불통만을 운반하게 되므로 취급 부주의로 인한 위해가 클 수 밖에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승강장 치의 추가 없이도 꼬치봉의 삽탈성이 좋고, 선택적으로 구운 꼬치의 데움 기능과 숯불의 직화로 원적외선 불판 구이가 가능하고, 구이기본체 자체의 삽탈이 가능하여 종래와 같이 운반시 숯불의 운반에 따른 위험을 대폭 감소시킨 직화겸용 회전 분리식 숯불 구이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수단은,
수개의 숯불통(21,22,23)을 배열시켜 놓고, 이웃한 숯불통간에 위치시킨 꼬치봉(31,32)을 전동모터(40)로 회전시키면서 구이하는 장치에 있어서,
구이기 본체 장착용 개구부(102)를 갖고, 이 개구부(102)의 외벽에 상기 전동모터(40)가 장착되고, 상기 개구부(102)에 위치되어 상기 전동모터(40)의 구동력으로 회전되는 복수개의 꼬치봉 회전원판(104)을 갖고 통상의 테이블 저면에 장착되는 함체(100)와;
상기 함체(100)의 개구부(102)에 삽탈 가능하고, 상방으로 개방된 기름받이겸용 숯불통 수납실(202)을 갖고, 이 숯불통 수납실(202)의 대향 벽면의 중앙 하부측에 상기 숯불통(21,22,23)을 받이하도록 구비된 숯불통 받이턱(204)과, 숯불통 받이턱(204)의 상방 양측으로 숯불통 수납실 벽면에 구비된 구이판 받이턱(206A,206B)과, 숯불통 수납실(202)의 일측에 상기 꼬치봉(31,32)을 회전 지지하는 장공(210a)을 갖는 분리벽(210)과, 이 분리벽(210)을 포함하여 형성된 꼬치손잡이 골(212)을 갖는 구이기 본체(200); 및
상기 구이기 본체(200)의 구이판 받이턱(206A,206B)에 각기 올려지는 축열겸용 직화구이판(300)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 밖에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수단은 후술할 발명의 구성 설명에서 명확하게 나타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직화겸용 회전 분리식 숯불 구이기는 함체(100)와 분리식 구이기 본체(200)를 포함하고, 구이기 본체(200)는 함체(100)에 삽탈이 용이하고 동시에 운반 이동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구이기 본체(200)는 숯불을 외부에서 피워 담아 운반되어져 함체(100)에 집어넣어 사용하다가 숯불을 다 사용하고 나면 손으로 끄집어 내어 운반 이동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구이기 본체(200)는 구이가 필요없고 테이블만 사용하고자 할 경우 끄집어 낸 상태에서 함체 덮개판(400)을 함체(100)에 덮어서 테이블 전체를 평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함체(100)와 구이기 본체(20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함체(100)는,
금속판으로 제작된 것으로 통상의 테이블(80) 저면에 장착되기 위해 둘레에 플랜지(101)가 형성되어 있고, 이 플랜지(101)에 다수개의 관통된 구멍(101)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함체(100)는 구멍(101)에 통상의 나사를 통해 테이블(80)의 개구부(81)측 저면에 장착되게 되어 있다.
상기 함체(100)는 구이기 본체 장착용 개구부(102)를 갖고, 이 개구부(102)의 내벽에는 구이기 본체(200)의 삽입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결정판(105)과 스프링판(106)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개구부(102)의 외벽에 전동모터(40)가 장착되어 있다. 이때 스프링판(106)은 반드시 있어야 되는 요소는 아니며 구이기 본체(200)의 삽입시 탄력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전동모터(40)의 회전력은 도 3과 같이 구동체인(41)을 통해 종동체인(42)에 전달되고, 종동체인(42)에 맞물린 2개의 스프라켓 휠(43)이 회전되고, 스프라켓 휠(43)에 축결된 꼬치봉 회전원판(104)이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구이기 본체(200)는,
상방으로 개방된 기름받이겸용 숯불통 수납실(202)을 갖고, 이 숯불통 수납실(202)의 대향 벽면의 중앙 하부측에 복수개의 숯불통(21,22,23)을 받이하도록 대향되게 구비된 숯불통 받이턱(204)과, 숯불통 받이턱(204)의 상방 양측으로 숯불통 수납실 벽면에 대향되게 구비된 구이판 받이턱(206A,206B)과, 숯불통 수납실(202)의 일측에 상기 꼬치봉(31,32)을 회전 지지하는 상방으로 트임된 장공(210a)을 갖는 분리벽(210)과, 이 분리벽(210)과 구이기본체(200)의 외벽으로 감싸진 꼬치손잡이 골(212)을 갖고 있다.
상기 꼬치손잡이 골(212)은 구이기 본체(200)의 길이방향으로 길고 깊게 그리고 넓게는 5섯 손가락이 한번에 들어갈 수 있는 폭을 가지고 있어 꼬치봉(31)의 손잡이를 쉽게 잡고 꼬치봉(31)을 집었다뺏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즉, 꼬치봉(31)의 삽탈이 용이하다.
따라서 도 2와 같이 꼬치봉(31)의 예리한 말단(31a) 부분을 꼬치봉 회전원판(104)의 구멍에 집어넣고 목부(31b)를 분리벽(210)측 장공(210a)에 삽입시키면 손잡이(31c)가 도 2와 같이 꼬치봉 손잡이 골(210)내에 들어가고, 이 상태에서 손잡이(31c)를 잡아 올리면 꼬치봉(31)이 쉽게 빠지므로 종래와 같이 꼬치봉의 승강장치가 따로 필요없다.
이같이 본 발명은 함체(100)내에 놓여져 장착되는 구이기 본체(200)의 상면이 테이블(80)의 상면과 동일하므로 종래와 같이 고치봉(31)의 승강장치가 없이도 함체 덮개판(400)을 사용하여 테이블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상기 구이기 본체(200)의 상면에는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접동 가능한 한쌍의 운반손잡이(220)가 더 구비되어 있다. 이때 운반손잡이(220)는 바람직하게는 볼에 의해 스프링 탄지되어 90도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복수개의 숯불통(21,22,23)은 양단에 각기 연결판(25)을 매개로 서로 연결되어 일체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숯불통(21,22,23)들의 양쪽을 제외한 나머지 것에 열손실 차단용 덮개(26)가 힌지 결합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중앙의 숯불통(22)에 힌지 결합된 열손실 차단용 덮개(26)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열손실 차단용 덮개(26)는 숯불통(22)에서 상방으로 빠져나가는 숯불의 열풍을 측방으로 보내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숯불통(21,22,23)의 사이사이에 위치하는 꼬치봉(31,32)에 끼워진 꼬치 음식물의 구이시간을 단축하고 익힘을 좋게하는 이점을 갖게 된다.
이같이 상기 숯불통(21,22,23)은 구이기 본체(200)에 장착되게 되어 일체로 운반되므로 운반 이동중 숯불 또는 그 재가 빠져나가도 기름받이겸용 숯불용 수납실(202)에 모이게 되므로 화기 안전에 문제가 없고, 나아가 손님에게 불쾌감을 주는 일은 없다.
상기 구이기 본체(200)의 구이판 받이턱(206A,206B)에는 각기 축열겸용 직화구이판(300)이 올려지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구이기 본체(200)의 수납실(202)의 상방측 길이방향의 양쪽에 각기 축열겸용 직화구이판(300)이 위치하게 되어 있다.
상기 축열겸용 직화구이판(300)은, 세라믹, 황토 등의 원적외선을 발산하는 광물질이 단일 또는 혼합되어 소결된 석판(310)과, 상기 석판(310)을 받이함과 동시에 바닥 중앙에서 벗어난 일측에 관통된 숯불열 직화구(322)를 갖는 금속재의 열투입구 조절판(32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축열겸용 직화구이판(300)이 상기 구이기 본체(200)에 위치되면, 그의 하방에 숯불통(21 또는 23)이 위치되게 되어 있고, 이때 숯불통(21 또는 23)의 폭은 직화구이판(320)의 폭의 대략 1/2에 해당한다.
여기서 숯불열 직화구(322)는 열투입구 조절판(320)의 바닥 중앙에서 벗어난 일측에 형성되어 있어, 축열겸용 직화구이판(300)의 놓여지는 위치 선택에 따라 축열용 또는 직화구이용으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숯불열 직화구(322)는 열투입구 조절판(320)이 같는 폭의 3/4에 해당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즉, 도 4a와 같이 숯불열 직화구(322)가 숯불통(21,23)의 상방에 위치(숯불통 폭의 1/2에 해당하는 위치)하게 되면 숯불의 화력이 석판(310)에 바로 닿기 때 문에 직화구이가 가능하고, 도 4b와 같이 축열겸용 직화구이판(300)을 180도로 돌려 위치시키게 되면 숯불열 직화구(322)가 숯불통(21,23)의 상방을 회피하여 위치하게 되므로 숯불의 간접열로 석판(310)이 축열 기능만 수행하므로 항시 따뜻하게 꼬치 음식물을 데워서 섭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투입구 조절판(320)에는 꼬치봉(31,32)에 꽂아진 뜨거운 꼬치 음식물을 쉽게 빼낼 수 있도록 길이방향의 어느 한쪽 또는 양쪽에 꽂이바늘 안내홈(324)을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꼬치봉(31 또는 32)의 꽃이바늘(31a)을 꽂이바늘 안내홈(324)에 넣고 잡아당기면 꽃이바늘(31a)에 끼워진 꼬치 음식물이 쉽게 빠지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사용 방법 및 작용을 설명한다.
숯불을 피워 구이를 하고자 할 경우, 테이블(80)에 장착된 함체(100)로부터 구이기 본체(200)를 꺼낸다. 이때 구이기 본체(200)의 상면 양쪽에 구비된 운반손잡이(202)를 잡고 이동시킨다.
다음, 착화된 숯을 숯불통(21,22,23)에 채워넣고 열손실차단용 덮개(25)를 덮은 후 구이기 본체(200)를 손잡이(202)를 잡고 다시 테이블(80)로 이동하여 함체(100)의 개구부(102)로 집어넣는다. 이때 위치결정판(105)이 삽입 위치를 유도하여 구이기 본체(200)의 장착이 간단히 이루어진다.
이 상태에서 꼬치 음식물이 끼워져 준비된 꼬치봉(31,32)의 예리한 말단(31)을 꼬치봉 회전원판(104)에 연결시키고 목부(31b)를 분리벽(210)의 장공(210a)에 집어넣는다. 이렇게 되면 꼬치봉(31,32)은 각기 숯불통(21,22,23)의 사이사이에 위 치하게 된다.
다음, 전동모터(40)를 구동시키면 체인(41,42)의 동력전달에 의해 꼬치봉 회전원판(104)이 회전한다.
따라서 꼬치봉(31,32)에 꽂아진 꼬치 음식물은 숯불통(21,22,23)에서 나오는 화력에 의해 구이가 골고루 진행된다. 더욱이 중앙 숯불통(22)에서는 열손실차단용 덮개(26)가 숯열의 손실을 줄임과 동시에 측방으로 열풍을 흘려 보내어 효율적인 구이가 된다.
이때 꼬치 음식물에서 떨어지는 기름은 바로 구이기 본체(200)내 기름받이겸용 수납실(202)의 바닥에 떨어져 고이게 된다. 고인 기름은 후에 구이기 본체(200)를 통체로 함체(100)로부터 탈거시켜서 제거된다.
여기서 구은 꼬치는 축열겸용 착화구이판(300)의 석판(310)에 올려놓는다. 이때 숯불열 직화구(322)가 숯불통(21,23)의 상방에서 벗어나 있으면 축열 기능만 갖게 되어 구은 꼬치 음식물을 따뜻하게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축열겸용 착화구이판(300)을 180도 돌려놓게 되면 춧불열 직화구(302)가 숯불통(21,23)의 상방에 위치하여 석판(31)이 직접 숯불 화력을 받아 꼬치 음식물을 포함하여 다른 음식물의 직화구이가 가능하다.
다른 한편, 구이기 본체(200)의 사용이 필요없을 경우 운반손잡이(220)를 잡고 구이기본체(200)를 꺼낸 후 함체 덮개판(400)으로 개구부(102)를 덮으면 전체가 테이블(80)과 평탄하게 된다.
이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테이블 상부의 돌출부위가 없어져 테이블 다용도( 구이 및 식사용)의 사용이 가능하고, 꼬치봉(31)의 삽탈이 용이하여 종래와 같이 별도의 승강장치가 불필요하다.
또한 테이블로부터 숯불통(21,22,23)을 포함한 구이기 본체(200)의 탈거가 가능하여 테이블 내부의 위생 상태를 양호하게 할 수 있고, 종래와 같이 숯불통만을 이동 운반시키는 것에 반해 먼지 및 재의 발생이 줄어들어 고객의 불쾌감을 대폭 줄일 수 있다. 더욱이 숯불이 구이기 본체(200)와 함께 이동함에 따라 고객이 화기에 노출될 위험이 없어져 사용안전성이 높아진다.
또한 꼬치 음식물을 구울시 유출되는 기름이 구이기 본체(100)내에서 해결되므로 종래와 같이 별도의 기름받이대도 불필요하다.
또한 축열겸용 직화구이판(300)의 놓는 위치를 조절하면 직화 구이가 가능하여 고객의 구이 만족이 극대화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직화겸용 숯불 회전 분리식 구이기에 따르면, 구이기 본체의 착탈 분리로 인한 숯불 운반상의 안전성이 증대되고, 운반중 재나 숯불똥이 구이기 본체내로 떨어져 밖으로 나오지 않으므로 고객의 불쾌감을 줄일 수 있으며, 직화가 가능하여 고개의 요구나 구이할 음식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요 리방법을 사용할 수 있는 특장점을 갖는다.

Claims (7)

  1. 수개의 숯불통(21,22,23)을 배열시켜 놓고, 이웃한 숯불통간에 위치시킨 꼬치봉(31,32)을 전동모터(40)로 회전시키면서 구이하는 장치에 있어서,
    구이기 본체 장착용 개구부(102)를 갖고, 이 개구부(102)의 외벽에 상기 전동모터(40)가 장착되고, 상기 개구부(102)에 위치되어 상기 전동모터(40)의 구동력으로 회전되는 복수개의 꼬치봉 회전원판(104)을 갖고 통상의 테이블 저면에 장착되는 함체(100)와;
    상기 함체(100)의 개구부(102)에 삽탈 가능하고, 상방으로 개방된 기름받이겸용 숯불통 수납실(202)을 갖고, 이 숯불통 수납실(202)의 대향 벽면의 중앙 하부측에 상기 숯불통(21,22,23)을 받이하도록 구비된 숯불통 받이턱(204)과, 숯불통 받이턱(204)의 상방 양측으로 숯불통 수납실 벽면에 구비된 구이판 받이턱(206A,206B)과, 숯불통 수납실(202)의 일측에 상기 꼬치봉(31,32)을 회전 지지하는 장공(210a)을 갖는 분리벽(210)과, 이 분리벽(210)을 포함하여 형성된 꼬치손잡이 골(212)을 갖는 구이기 본체(200); 및
    상기 구이기 본체(200)의 구이판 받이턱(206A,206B)에 각기 올려지는 축열겸용 직화구이판(300)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화겸용 회전 분리식 숯불 구이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숯불통(21,22,23)은 양단에 각기 연결판(25)을 매개로 서로 연결되어 일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화겸용 회전 분리식 숯불 구이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축열겸용 직화구이판(300)은,
    세라믹, 황토 등의 원적외선을 발산하는 광물질이 단일 또는 혼합되어 소결된 석판(310)과, 상기 석판(310)을 받이함과 동시에 바닥 중앙에서 벗어난 일측에 관통된 숯불열 직화구(322)를 갖는 금속재의 열투입구 조절판(32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화겸용 회전 분리식 숯불 구이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이기 본체(200)의 상면에는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접동 가능한 한쌍의 운반손잡이(22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화겸용 회전 분리식 숯불 구이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이기 본체(200)를 함체(100)에서 들어낸 후 구이기 본체 장착용 개구부(102)를 덮는 함체 덮개판(400)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화겸용 회전 분리식 숯불 구이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숯불통(21,22,23)들의 양쪽을 제외한 나머지 것에 열손실 차단용 덮개(25)가 힌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화겸용 회전 분리식 숯불 구이기.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열투입구 조절판(320)에는 꼬치봉(31,32)에 꽂아진 뜨거운 꼬치 음식물을 쉽게 빼낼 수 있도록 길이방향의 어느 한쪽 또는 양쪽에 꽂이바늘 안내홈(324)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화겸용 회전 분리식 숯불 구이기.
KR1020040026958A 2004-04-20 2004-04-20 직화겸용 회전 분리식 숯불 구이기 KR1006036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6958A KR100603648B1 (ko) 2004-04-20 2004-04-20 직화겸용 회전 분리식 숯불 구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6958A KR100603648B1 (ko) 2004-04-20 2004-04-20 직화겸용 회전 분리식 숯불 구이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0844U Division KR200356365Y1 (ko) 2004-04-20 2004-04-20 직화겸용 회전 분리식 숯불 구이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2163A KR20050102163A (ko) 2005-10-25
KR100603648B1 true KR100603648B1 (ko) 2006-07-26

Family

ID=37280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6958A KR100603648B1 (ko) 2004-04-20 2004-04-20 직화겸용 회전 분리식 숯불 구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364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0731Y1 (ko) * 2013-10-30 2014-01-07 김인숙 구이용 불판
CN105286655B (zh) * 2015-11-27 2018-01-19 梁志强 一种多用烧烤炉
CN110604484A (zh) * 2019-10-24 2019-12-24 李庆宝 磁吸串式无烟自动烤串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2163A (ko) 2005-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42762A (en) Meat roaster
KR200478957Y1 (ko) 회전식 구이기
US20120097046A1 (en) Kabob cooker and grill
US20120199017A1 (en) Machine for Making Smores
US8505444B2 (en) Marshmallow roaster
KR100603648B1 (ko) 직화겸용 회전 분리식 숯불 구이기
WO2007056626A2 (en) Portable rotisserie oven having a removable food holding device with an external handle
KR200169888Y1 (ko) 회전식 고기구이기
KR100683508B1 (ko) 자유착석 가능한 양방향 회전 구이기
KR200356365Y1 (ko) 직화겸용 회전 분리식 숯불 구이기
US20080047440A1 (en) Shish kabob unit
KR100317047B1 (ko) 고기구이기
KR200155311Y1 (ko) 테이블에 설치된 회전 꼬치구이기
KR20100093642A (ko) 테이블 로스터
KR102224413B1 (ko) 회전식 고기 구이기
KR100205120B1 (ko) 식탁설치용 바베큐 구이기
KR100862311B1 (ko) 바비큐 장치
KR100586732B1 (ko) 구이기
KR200196640Y1 (ko) 회전식 고기구이기
KR200411289Y1 (ko) 바비큐 구이기
KR100945114B1 (ko) 조립 분리형 이동식 회전 황토 가마 구이기
KR102195635B1 (ko) 수직형 구이기
CN211066238U (zh) 烤箱式旋转烧烤炉
KR102410674B1 (ko) 회전고기구이장치
KR20030066053A (ko) 숯불 바베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