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5311Y1 - 테이블에 설치된 회전 꼬치구이기 - Google Patents

테이블에 설치된 회전 꼬치구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5311Y1
KR200155311Y1 KR2019970006896U KR19970006896U KR200155311Y1 KR 200155311 Y1 KR200155311 Y1 KR 200155311Y1 KR 2019970006896 U KR2019970006896 U KR 2019970006896U KR 19970006896 U KR19970006896 U KR 19970006896U KR 200155311 Y1 KR200155311 Y1 KR 2001553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ewer
charcoal
roasting base
bar
bas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68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6927U (ko
Inventor
김선석
Original Assignee
김선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9498546&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155311(Y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김선석 filed Critical 김선석
Priority to KR20199700068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5311Y1/ko
Publication of KR97002692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692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53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531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 A47J37/041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with food support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45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motor-driven food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1Barbecue tables, e.g. central grilling areas surrounded by an eating t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테이블 중앙에 꼬치구이기가 설치되고 상부가 개구된 구이기 몸체 배면 상단에 다수의 회전롤러를 갖는 체인기어가 유착되고 체인기어는 구동기어 축상에 고정된 감속기어와 체인으로 연결되며, 구동기어는 테이블 저면에 설치된 모터의 축기어와 체인으로 연결된 것으로서 구이기 몸체 상단 개구부에는 숯불통이 일정한 간격으로 걸쳐지고 이의 사이에 위치하여 회전롤러 삽입공에 끼워진 꼬치봉은 모터의 구동과 동시에 회전되는 체인기어와 회전롤러에 의하여 회전되므로 꼬치봉에 꿰어진 고기가 구워질 수 있도록한 구성으로써, 본 고안은 고기를 숯불 바베큐화 하므로서 빠른시간에 구울수 있으며 숯불의 열을 보열 시키게되므로 숯을 오래 사용하게되고 익는 과정에서 기름이빠져 느끼한 맛이 없고 육질의 맛이 월동하게 구워지도록 고안된 테이블에 설치된 꼬치구이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테이블에 설치된 회전 꼬치구이기
본 고안은 꼬치를 통상의 고기구이기와 같이 테이블에 앉아서 구워 먹을 수 있도록 한 테이블에 설치된 회전 꼬치구이기에 관한 것이다.
현재, 테이블에 앉아서 고기를 구워먹는 고기구이기는 일반화되어 있으나, 꼬치를 상기 고기구이기와 같이 테이블에 앉아서 즉석에서 구워먹을 수 있는 회전 꼬치구이기는 없는 실정에 있다. 상기 꼬치는 주지된 바와 같이 닭, 오리 또는 통상의 육류를 입안에 넣을 수 있는 작은 크기로 설어 꼬챙이에 꿰어서 불에 구워먹는 음식으로서, 음 식점 주인이 직접 꼬치를 구워 접시에 담은 상태로 내놓는 경우가 통상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꼬치는 시간이 지나면 식어 육질이 딱딱해져 그 본래의 맛을 잃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꼬치를 그 본래의 맛을 잃지 않고 지속시키면서 즐기기 위해서는 숯불 위에 얹어 놓고 수시로 바베큐와 같이 직접 뒤집어 가면서 즉석에서 바로 구워먹어야만 되는데, 이같이 하게 되면 꼬치에서 흐르는 기름이 숯불에 떨어져 순간 튀면서 연기와 함께 불꽃이 일어날 뿐만 아니라 튀는 기름에 의해서 화상의 위험을 초래하게 된다. 또한 꼬치의 맛을 잃지 않고 지속시키기 위해서는 수작업으로 계속해서 직접 바베큐식으로 뒤집어가면서 구워 먹어야만 되므로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꼬치를 고기구이기와 같이 테이블에 앉아서 구워 먹을 수 있도록 하되, 상기 꼬치의 기름이 숯불에 떨어지면서 발생되는 화상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수작업으로 계속해서 직접 꼬치를 바베큐식으로 뒤집어 굽지 않아도 꼬치 본래의 맛을 지속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부측으로 개구부를 갖는 통체로 형성되어 테이블의 중앙부에 설치되는 구이기본체와; 음식물이 꿰어지는 꼬치봉과; 상기 꼬치봉의 일측단부가 끼위지는 삽입공을 가지면서 구이기본체의 개구부 일측면을 따라 간격을 두고 수개 설치되는 회전롤러와; 상기 회전롤러와 대응되게 구이기본체의 개구부 타측면을 따라 형성되어 꼬치봉의 타측단부가 끼워지는 요홈과; 상기 회전롤러의 삽입홈 및 요홈에 끼워져 장착된 꼬치봉 사이의 구이기본체 개구부에 걸어 설치되고, 내부에 수용된 숯불의 열기가 양측부의 꼬치봉 측으로 전달되도록 양측면부를 다공형태로 형성한 숯불통과; 상기 구이기본체의 일측부에 설치되어 동력을 발생하고, 사용자의 스위치 조작에 따라 온/오프 작동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구동력을 체인전동으로 각각의 꼬치봉 측으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와; 상기 숯불통 위에 걸어 설치되고, 중간부의 꼬치 기름 유출공을 중심으로 이의 양측을 경사면으로 형성한 꼬치쟁반과; 상기 구이기본체의 하부측에 설치되는 기름받이 및 상기 기름받이가 출입되도록 구이기본체에 형성되는 출입구로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 테이블에 설치된 회전 꼬치구이기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동력전달부는 모터의 회전축에 설치되어 함께 회전하는 원동스프로킷과; 상기 구이기본체에 비교적 큰 직경으로 설치되어 상기 원동스프로킷의 회전력을 체인으로 전달받아 회전하는 종동스프로킷; 상기 종동스프로킷에 비교적 작은 직경으로 일체로 구비되어 종동스프로킷과 함께 회전되는 감속스프로킷과; 상기 회전롤러에 각각 일체로 구비되어 감속스프로킷의 회전력을 체인으로 전달받아 회전하는 구동스프로킷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이기본체에 외측면에 단열재를 부착시켜 구이 기본체 내부의 열이 외부로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은 본 고안이 테이블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분리사시도.
도 4은 본 고안의 회전롤러 확대사시도.
도 5a, 도 5b는 본 고안의 동력전달부 구성을 보인 것으로,
도 5b는 테이블에 설치된 본 고안의 정면도.
도 5a는 테이블에 설치된 본 고안의 배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구이기본체 1A : 플랜지
1B : 덮개 2 : 꼬치봉
2A : 손잡이 3 : 회전롤러
3A : 삽입공 4 : 요홈
5 : 숯불통 5A,8A : 걸이구
5B : 뚜껑 6 : 모터
7 : 동력전달부 7A : 원동스프로킷
7B,7E : 체인 7C : 종동스프로킷
7D : 감속스프로킷 7F : 구동스프로킷
8 : 꼬치쟁반 8B : 경사면
8C : 유출공 9 : 기름받이
10 : 출입구 1A : 단열재
100 : 테이블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을 테이블에 설치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분리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통상의 식당 테이블(100) 중앙부에 형성된 구멍의 크기로 구이기본체(1)가 형성된다. 상기 구이기본체(1)는 상부측으로 개구부를 갖는 함체 형상의 통체로서, 상부 외측면에는 상기 테이블(100)의 구멍 외곽에 걸림으로 고정 되도록 플랜지(1A)가 외향 돌출되게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구이기본체(1)와 함께 음식물, 즉 입안에서 넣을 수 있는 크기로 육절된 닭, 오리, 일반 육류 등이 꿰어지는 꼬치봉(2)이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꼬치봉(2)은 통상의 것과 같이 일자형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평행한 한 쌍의 꼬챙이에 원형봉 형태의 손잡이(2A)를 일체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구이기본체(1)의 개구부 일측면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회전롤러(3)가 간격을 두고 수개 설치되고, 상기 회전롤러(3)에는 상기 꼬치봉(2)의 꼬챙이가 끼워지는 삽입공(3A)이 형성되는 것으로, 외부의 힘에 의해서 롤링작용을 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함께 상기 구이기본체(1)의 개구부 타측면에는 상기 회전롤러(3)와 대응되게 수개의 요홈(4)이 형성되고, 상기 요홈(4)에는 원형봉 형태로 된 꼬치봉(2)의 손잡이(2A)가 상부측에서 하부측으로 끼워지는 식으로 위치된다. 또한 상기 회전롤러(3)의 삽입공(3A) 및 요홈(4)에 끼워져 장착된 꼬치봉(2) 사이의 각각에는 숯불통(5)이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숯불통(5)은 구이기본체(1)의 개구부에 걸어 고정할 수 있도록 상부측으로 트여진 개구부 상단 양측 외부로 돌출되게 걸이구(5A)가 형성되고, 내부에 수용되는 숯불의 열기가 양측부에 장착된 꼬치봉(2) 측으로 보다 원활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양측면부을 다공형태로 형성한다. 즉, 상기 숯불통(5)을 꼬치에서 떨어지는 기름과 접촉되지 않는 꼬치봉(2)의 측면부에 위치시켜 상기 기름에 의한 화상의 위험을 미연에 방지토록 하면서 고기가 꿰어지는 양측면부의 꼬치봉(2) 측으로 숯불의 열기가 원활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그리고 다구워진 꼬치를 담아 놓을 수 있도록 꼬치쟁반(8)이 구비되는데, 이때 상기 꼬치 쟁반(8)은 숯불통(5) 위에 올려 놓여질 수 있도록 양단부측에 숯불통(5)의 개구부에 걸어 고정되는 걸이구(8A)이 형성된다. 또한 꼬치가 올려 놓여지는 상기 꼬치 쟁반(8)의 면은 중간부로 하향 경사진 경사면(8B)으로 형성되고, 그 중간부에는 꼬치에서 흘러 나오는 기름이 상기 경사면(8B)을 타고 그 하부로 유출될 수 있도록 하는 수개의 유출공(8C)이 형성된다. 이와함께 상기 구이기본체(1)의 하부측에는 꼬치에서 떨어지는 기름을 별도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기름받이(9)가 설치되고, 상기 기름받이(9)는 구이기본체(1)의 하부측에 설치된 출입구(10)를 통해서 구이기본체(1) 내부로 넣고 빼낼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미설명 부호는 구이기본체(1)의 덮개(1B)이고, 는 숯불통 뚜껑으로서, 상기 숯불통 뚜껑(5B)을 숯불통(5)의 개구부에 씌워 덮게 되면 상기 숯불통(5) 내부의 열기를 양측부의 꼬치봉(2) 측으로 집중시켜서 꼬치를 보다 신속하게 구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변으로 열기가 확산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도 5a는 본 고안이 테이블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고, 도 5b는 본 고안이 테이블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배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구이기본체(1)에 설치된 회전롤러(3) 및 상기 회전롤러(3)에 대응되게 상기 구이기본체(1)에 설치된 요홈(4)에 각각 끼워져 장착된 꼬치봉(2)을 회전시키기 위해 동력을 발생하는 모터(6)가 설치된다. 상기 모터(6)는 구이기본체(1)의 일측부에 설치되고, 상기 구이기본체(1)의 상부측에 설치된 작동스위치(6A)의 조작에 의해서 온/오프된다. 또한 모터(6)와 함께 상기 모터(6)의 구동력을 꼬치봉(2) 측으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7)가 구비된 것으로, 이를 위해서 상기 모터(6)의 회전축에 원동스프로킷(7A)이 설치된다. 그리고 구이기본체(1)의 배면부에는 체인(7B) 전동에 의해서 상기 원동스프로킷(7A)과 함께 회전되는 비교적 큰 직경의 종동스프로킷(7C)이 축설되며, 상기 종동스프로킷(7C)에는 비교적 직경이 작은 감속스프로킷(7D)이 일체로 구비된다. 또, 상기 구이기본체(1)에 설치된 각각의 회전롤러(3)에는 구동스프로킷(7F)이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구동스프로킷(7F)은 체인(7E) 전동에 의해서 상기 감속스프로킷(7D)과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도 6은 본 고안은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꼬치를 구울 때, 구이기본체(1) 내부의 열기, 즉 숯불통(5) 내부에 수용된 숯불에서 발산하는 열기가 상기 구이기본체(1) 외부로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하기 위해 구이기본체(1)의 각 측면부 및 저면부에 단열재(1a)가 부착된다.
다음은 상기에서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사용상태 및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닭, 오리 등과 같은 고기를 꼬치봉(2)에 꿰어 놓은 후, 상기 꼬치봉(2)을 숯불통(5) 사이의 각 회전롤러(3) 및 요홈(4)에 끼워 장착한다. 이렇게 꼬치봉(2)을 장착시키게 되면, 다공형태로 형성된 숯불통(5)의 양측부를 통해 상기 숯불통(5)내부의 숯불 열기가 숯불통(5)의 양측에 장착된 꼬치봉(2) 측으로 전달되면서 상기 꼬치봉(2)에 꿰어진 고기가 익어하게 되는데, 이때 사용자가 작동스위치(6A)를 온 시키게 되면 모터(6)가 작동하면서 꼬치봉(2)을 바비큐 식으로 서서히 회전시키게 되는 것으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후술한 바와 같다. 즉, 사용자의 작동스위치(6A) 조작으로 모터(6)가 작동하게 되면, 상기 모터(6)의 회전축 상에 설치된 원동스프로킷(7A)이 회전하게 되고, 상기 원동스프로킷(7A)의 회전력은 체인(7B)을 통해 종동스프로킷(7C)으로 전달되어 상기 종동스프로킷(7C)이 회전하게 된다. 또한 종동스프로킷(7C)이 회전하게 되면, 상기 종동스프로킷(7C)과 일체로 구비된 감속스프로킷(7D)이 회전하게 되고, 상기 감속스프로킷(7D)의 회전력은 체인(7E)을 통해서 회전롤러(3)의 후방측에 각각 일체로 구비된 구동스프로킷(7F)으로 전달됨으로써 꼬치봉(2)이 끼워진 상기 회전롤러(3)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꼬치봉(2)을 회전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에서와 같이 바베큐 식으로 회전되면서 구워진 꼬치봉(2)의 고기는 일측 숯불통(5) 위에 걸어진 꼬치쟁반(8) 위에서 올려 놓여지는 것으로, 상기 꼬치쟁반(8) 위에 올려 놓여진 고기는 상기한 바와 같이 숯불통(5) 상에 위치되어 있어 시간이 흘러도 식지 않고 항상 구워진 그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숯불통(5)에 뚜껑(5B)을 닫게 되면, 숯불통(5) 내부의 열기는 외부로 빠져나감이 없이 다공형태로 된 양측부를 꼬치봉(2) 측으로 집중 전달되므로 상기 꼬치봉(2)에 꿰어진 고기를 보다 신속하게 구울 수 있게 되고, 꼬치봉(2)에 꿰어진 고기에서 흘러나오는 기름은 구이기본체(1) 하부측에 구비된 기름받이(9)로 낙하되어 모여지고, 상기 기름받이(9)은 상기 구이기본체(1)에 형성된 출입구(10)를 통해 빼낸 후 기름을 처리하고 다시 상기 출입구(10)를 통해서 구이기본체(1) 내부에 넣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숯불통이 고기가 꿰어지는 꼬치봉의 측방향에 위치되도록 하면서 내부의 숯불의 열기가 상기 꼬치봉 측으로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숯불통이 꼬치의 하부측에 위치되도록 한 기존의 방식에서 발생되는 순간 연기 및 불꽃 그리고 기름이 사방으로 튀어지게 됨에 따른 화상의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인해 꼬치를 통상의 고기구이기와 같이 테이블에 앉아서 구워 먹을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또한 상기 꼬치봉을 사람이 직접 일일이 뒤집어 가면서 굽지 않고 동력을 이용한 기계적인 작동에 의해서 바비큐 식으로 자동으로 구워지도록 함으로써 보다 편하게 꼬치를 구워 먹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다 구워진 고기는 숯불통 위에 얹혀지고 기름 유출공이 형성된 꼬치쟁반에 별도로 담아 먹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간이 경과된 후에는 꼬치 본래의 맛을 지속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Claims (1)

  1. 상부측으로 개구부를 갖는 통체로 형성되어 테이블(100)의 중앙부에 설치되고, 외측면에 단열재(11)가 부착된 구이기본체(1)와; 음식물이 꿰어지는 꼬치봉(2)과; 상기 꼬치봉(2)의 일측단부가 끼워지는 삽입공(3A)을 가지면서 구이기본체(1)의 개구부 일측면을 따라 간격을 두고 수개 설치되는 회전롤러(3)와; 상기 회전롤러(3)와 대응되게 구이기본체(1)의 개구부 타측면을 따라 형성되어 꼬치봉(2)의 타측단부가 끼워지는 요홈(4)과; 상기 회전롤러(3)의 삽입공(3A) 및 요홈(4)에 끼워져 장착된 꼬치봉(2) 사이의 구이기본체(1) 개구부에 걸어 설치되고, 내부에 수용된 숯불의 열기가 양측부의 꼬치봉(2) 측으로 전달되도록 양측면부를 다공형태로 형성한 숯불통(5)과; 상기 구이기본체(1)의 일측부에 설치되어 동력을 발생하고, 사용자의 스위치(6A) 조작에 따라 온/오프 작동되는 모터(6)와; 상기 모터(6)의 구동력을 스프로킷(7A)(7C)(7D)(7F)및 체인(7B)(7C)에 의한 전동으로 각각의 꼬치봉(2) 측으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7)와; 상기 숯불통(5) 위에 걸어 설치되고, 중간부의 꼬치 기름 유출공(8C)을 중심으로 이의 양측을 경사면(8B)으로 형성한 꼬치쟁반(8)과; 상기 구이기본체(1)의 하부측에 설치되는 기름받이(9) 및 상기 기름받이(9)가 출입 되도록 구이기본체(1)에 형성되는 출입구(10)로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 테이블에 설치된 꼬치구이기.
KR2019970006896U 1997-04-04 1997-04-04 테이블에 설치된 회전 꼬치구이기 KR2001553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6896U KR200155311Y1 (ko) 1997-04-04 1997-04-04 테이블에 설치된 회전 꼬치구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6896U KR200155311Y1 (ko) 1997-04-04 1997-04-04 테이블에 설치된 회전 꼬치구이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6927U KR970026927U (ko) 1997-07-24
KR200155311Y1 true KR200155311Y1 (ko) 1999-08-16

Family

ID=19498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6896U KR200155311Y1 (ko) 1997-04-04 1997-04-04 테이블에 설치된 회전 꼬치구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5311Y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5794A (ko) * 1999-11-08 2001-06-05 임태호 식탁용 바베큐 구이기
KR100793817B1 (ko) 2007-08-03 2008-01-11 조정환 회전구이기
KR100863801B1 (ko) 2007-06-07 2008-10-22 김가건 테이블 장착용 회전식 구이 장치 및 그 장치가 구성된테이블
KR101497606B1 (ko) * 2014-07-17 2015-03-03 한삼연 비어 치킨 구이기
KR200478355Y1 (ko) * 2015-08-11 2015-09-22 이헌균 자동 회전식 바베큐 장치
KR101671629B1 (ko) 2015-05-21 2016-11-01 박중진 수직 직립형 석쇠 구이 방식의 가열조리기구
KR200487096Y1 (ko) * 2018-06-01 2018-08-02 김천구 회전식 고기구이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8479B1 (ko) * 2017-09-15 2018-07-13 석춘호 전기 구이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5794A (ko) * 1999-11-08 2001-06-05 임태호 식탁용 바베큐 구이기
KR100863801B1 (ko) 2007-06-07 2008-10-22 김가건 테이블 장착용 회전식 구이 장치 및 그 장치가 구성된테이블
KR100793817B1 (ko) 2007-08-03 2008-01-11 조정환 회전구이기
KR101497606B1 (ko) * 2014-07-17 2015-03-03 한삼연 비어 치킨 구이기
KR101671629B1 (ko) 2015-05-21 2016-11-01 박중진 수직 직립형 석쇠 구이 방식의 가열조리기구
KR200478355Y1 (ko) * 2015-08-11 2015-09-22 이헌균 자동 회전식 바베큐 장치
WO2017026678A1 (ko) * 2015-08-11 2017-02-16 이헌균 자동 회전식 바베큐 장치
KR200487096Y1 (ko) * 2018-06-01 2018-08-02 김천구 회전식 고기구이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6927U (ko) 1997-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24849B2 (en) Rotisserie cooker
KR200478957Y1 (ko) 회전식 구이기
KR101199682B1 (ko) 자동으로 작동되는 꼬치구이기
US7325484B1 (en) Enclosed rotisserie with added convenience
KR200155311Y1 (ko) 테이블에 설치된 회전 꼬치구이기
KR101384297B1 (ko) 회전식 구이기
KR200394475Y1 (ko) 회전식 꼬치구이 장치
KR101910103B1 (ko) 회전형 구이장치
KR19980065251U (ko) 꼬치구이용 그릴
KR200281168Y1 (ko) 고기 구이기
KR101273347B1 (ko) 숯불구이장치
KR20060128636A (ko) 회전식 꼬치구이 장치
KR200217645Y1 (ko) 다용도 구이기
KR20050062179A (ko) 구이기
KR200386648Y1 (ko) 산적 및 고기 구이 장치
US20060260474A1 (en) Kabob pan
KR200342613Y1 (ko) 고기구이장치
KR200214875Y1 (ko) 육류 구이기
CN211066238U (zh) 烤箱式旋转烧烤炉
CN211066239U (zh) 烤箱式翻转烧烤炉
KR20080004520U (ko) 고른 구이가 가능한 회전식 꼬치구이기
KR20050088722A (ko) 육류구이기
KR20020069908A (ko) 로스터형 꼬치 구이기
KR200186579Y1 (ko) 숯불구이용 로스터
KR200353922Y1 (ko) 육류구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1999100001178; WITHDRAWAL OF TRIAL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10821

Effective date: 20021030

Free format text: WITHDRAWAL OF TRIAL FOR INVALIDATION REQUESTED 19990709

Effective date: 19990728

O032 Opposition [utility model]: request for opposition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O131 Decision on opposition [utility mode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1999100001952;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19990709

Effective date: 19990728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1999100001711;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10821

Effective date: 20021030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1999100001734;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10821

Effective date: 20021030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19990930

Effective date: 20000428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19991028

Effective date: 20000428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19990928

Effective date: 20000428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1999100001127;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10821

Effective date: 20021030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19990629

Effective date: 20000428

O072 Maintenance of registration after opposition [utility model]: final registration of opposition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X2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0300003562;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Free format text: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0200003319;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10821

Effective date: 20021030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00527

Effective date: 20001208

J221 Remand (intellectual property tribunal)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1130000002; REMAND (INTELLECTUAL PROPERTY TRIBUNAL) FOR INVALIDATION

Free format text: REMAND (INTELLECTUAL PROPERTY TRIBUNAL)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0100001091;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10821

Effective date: 20021030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00706

Effective date: 20010425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1130000002;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10115

Effective date: 20010612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10115

Effective date: 20010612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0200003418;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10821

Effective date: 20021030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00531

Effective date: 20001109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1100001565;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10821

Effective date: 20021030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10821

Effective date: 20021030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1100001565; WITHDRAWAL OF TRIAL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10821

Effective date: 20021030

Free format text: WITHDRAWAL OF TRIAL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10821

Effective date: 20021030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1200002924;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10821

Effective date: 20021030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10530

Effective date: 200204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31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