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3922Y1 - 육류구이기 - Google Patents

육류구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3922Y1
KR200353922Y1 KR20-2004-0008202U KR20040008202U KR200353922Y1 KR 200353922 Y1 KR200353922 Y1 KR 200353922Y1 KR 20040008202 U KR20040008202 U KR 20040008202U KR 200353922 Y1 KR200353922 Y1 KR 2003539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at
oil
grill
flame
vertical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82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구
Original Assignee
이영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구 filed Critical 이영구
Priority to KR20-2004-00082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392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39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392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 A47J37/043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with food support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94Broiling rac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45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motor-driven food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 A47J37/079Charcoal igni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구이를 수행하기 위해 구이판에 얹혀진 내용물에 불꽃이 골고루 전달될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내용물로 부터 떨어지는 기름이나 찌꺼기가 불꽃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하여 연기나 그을림이 발생되지 않은 상태에서 구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육류구이기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육류구이기를 형성함에 있어 테이블에 얹혀지는 외통의 내부 중앙 바닥면으로 부터 수직으로 세워지는 수직봉과; 상기 수직봉이 관통하도록 씌워져 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할수 있도록 상단면에 제1요입홈이 갖추어진 회전요소와; 상기 수직봉에 씌워져 회전요소의 제1요입홈에 끼움 결합되도록 하단에 제1결합요소와 상단면에 제2요입홈을 갖춘 제1관체를 갖추고, 상기 제1관체의 외주연에 기름기와 찌꺼기등을 받아줄수 있는 이물받이로 갖추어진 이물받이부재와; 상기 수직봉에 씌워져 제1관체의 제2요입홈에 끼움 결합되도록 하단에 제2결합요소를 갖는 제1관체를 갖추고, 상기 제2관체의 외주연에 육류를 올려 놓을수 있도록 판상 또는 창살의 형상을 갖는 그릴요소로 이루어지는 그릴부재로 갖추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육류구이기{The yuglyugu we are}
본 고안은 각종의 육류 또는 생선등을 구워줄때 사용되는 육류구이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구이를 수행하기 위해 구이판에 얹혀진 내용물에 불꽃이 골고루 전달될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내용물로 부터 떨어지는 기름이나 찌꺼기가 불꽃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하여 연기나 그을림이 발생되지 않은 상태에서 구이를 수행할수 있도록 한 육류구이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육류구이기는 삼겹살, 양념갈비, 생고기등과 같은 각종의 육류 또는 생선등을 구워주고자 할 경우 테이블 중앙에 형성된 요입부내에 숯불이나 가스버너등의 가열수단이 위치하도록 한 다음 상기 요입부 상단부에 얹혀지는 그릴에 구워주고자 하는 내용물을 올려주게 되면 가열수단으로 부터 올라오는 불꽃에 의해 내용물이 익혀지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육류구이기는 그릴이 가열수단의 직 상부에 그대로 얹혀지는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 그릴에 얹혀져 구이를 하는 도중 내용물에 뭍어있던 기름기 또는 양념 등의 찌꺼기가 가열수단으로 그대로 떨어지게 되어 있어 숯불을 사용할 경우에는 그름기에 의해 불꽃의 화력이 상대적으로 높아져 내용물이익기도전에 타게되는 단점이 있고, 상기와 같이 내용물이 완전히 익기도 전에 타게될 경우 먹지 못하고 버리게 되므로서, 음식쓰레기의 발생량을 높여 환경오염을 유발시키게 되었던 것이다.
또한, 찌꺼기가 떨어질 경우에는 상기의 찌꺼기가 타서 시커먼 연기가 발생되어 익힘을 수행하고 있는 내용물에 그을림이 발생되거나 연기가 심하게 일어나게 되는 등의 어려움이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삼겹살이나 양념갈비 등과 같은 각종의 육류 또는 생선등을 익혀주거나 구이를 할때 하부로 부터 올라오는 불꽃이 내용물에 직접적으로 가해지지 않도록 하여 내용물이 불꽃에 의해 쉽게 타는 일이 없는 상태에서 구이를 할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내용물이 얹혀진 그릴이 일정한 속도로 회전하여 가열수단의 불꽃을 골고루 전달받아 그릴위에 얹혀져있는 내용물이 골고루 익혀질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구이도중 내용물로 부터 떨어지는 기름기나 각종의 양념등과 같은 찌꺼기가 가열수단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하여 기름기가나 찌꺼기에 의해 불꽃의 화력이 일시적으로 높아지는 일이 없도록 함과 아울러, 그을림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그을림에 의한 음식맛이 변하지 않아 맛있는 음식물을 섭취할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내측에 차단요소를 갖추고, 상단측에 장공을 갖춘 덮개를 갖추며, 일측에 흡입휀을 갖추고 있는 외통과; 상기 차단요소의 내측에 숯이 담겨지는 가열부재및 상기 가열부재의 직 하부에 가스를 이용한 점화방식으로 인하여 숯에 불꽃을 점화시켜 줄수 있는 점화요소를 갖추고 있는 육류구이기를 형성함에 있어,
상기 외통의 내부 중앙 바닥면으로 부터 수직으로 세워지는 수직봉과;
상기 수직봉이 관통하도록 씌워져 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할수 있도록 상단면에 제1요입홈이 갖추어진 회전요소와;
상기 수직봉에 씌워져 회전요소의 제1요입홈에 끼움 결합되도록 하단에 제1 결합요소와 상단면에 제2요입홈을 갖춘 제1관체를 갖추고, 상기 제1관체의 외주연에 기름기와 찌꺼기등을 받아줄수 있는 이물받이로 갖추어진 이물받이부재와;
상기 수직봉에 씌워져 제1관체의 제2요입홈에 끼움 결합되도록 하단에 제2결합요소를 갖는 제1관체를 갖추고, 상기 제2관체의 외주연에 육류를 올려 놓을수 있도록 판상 또는 창살의 형상을 갖는 그릴요소로 이루어지는 그릴부재로 갖추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수직봉 내부에 하단부가 차단되는 중공부를 갖추고, 상단부에 중공부와 연통되도록 상,하 2열로 배열되는 각각의 기름유입공을 갖추고, 중공부의 하단부 일측에는 기름이 배출되는 기름배출관이 각각 갖추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이물받이와 그릴요소는 기름이 중앙으로 몰릴수 있도록 외주연에서 제1,2관체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이물받이와 그릴요소의 바닥면 상의 제1,2관체 외주연에 2열로 배열된 기름유입공과 각각 일치하여 기름이 빠져나갈수 있도록 하는 제1,2기름흐름공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이물받이는 제1관체를 중심으로 하여 일정한 간격을 갖는 방사상의 산과 골이 갖추어지고, 상기 산 지점에 불꽃이 통과할수 있도록 하는 불꽃분출공으로 갖추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판상의 그릴요소 사이에 창살이 갖추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인 육류구이기의 전체 구성을 보인 개략적인 단면도.
도 2 는 본 고안중 요부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부분확대 단면도.
도 3 은 도2의 A부 확대도.
도 4 는 본 고안중 걸림부재와 그릴부재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부분절개 분해사시도.
도 5 는 본 고안중 구동수단의 다른 실시예 구성을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
도 6 은 도5의 B-B선 평단면도.
도 7 은 도3중 C-C선 확대 단면도.
도 8 은 도3중 C-D선 확대 단면도.
도 9a, b는 본 고안중 그릴부재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10a,b는 본 고안의 육류구이기를 이용한 상태에서 용기를 올려놓은 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육류구이기 200:외통 250:수직봉
251:중공부 252,252a:기름유입공 300:가열부재
400:회전요소 410:모터 440:제1요입홈
500:이물받이부재 510:제1관체 511:제2요입홈
512:제1결합요소 520:이물받이 521:산
522:골 530:불꽃분출공 540:제1기름흐름공
600:그릴부재 610:제2관체 611:제2결합요소
620:그릴요소 620a:창살 630:제2기름흐름공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고안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인 육류구이기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육류구이기(100)는 상부가 개방되는 상태에서 테이블(10) 중앙에 갖추어진 개방구에 끼워지는 상태로 걸쳐지는 외통(200)과; 상기 외통의 내부 중앙에 내용물을 익혀주는 가열부재(30)및, 상기 가열부재의 중앙을 관통하는 상태로 수직으로 세워져 구동수단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요소(400) 그리고 상기 회전요소의 상단측에 결합시켜 회전요소와 함께 회전하면서 하부로 떨어지는 기름기와 찌꺼기를 받아주는 이물받이부재(500), 상기 이물받이부재의 직 상단측에 결합시켜 음식물이 얹혀지도록 하는 그릴부재(600)로 이루어진다.
상기 외통(200)은 상,하 2단으로 분리,결합되는 상,하측외통(210,210a)으로 갖추되, 상측외통(210)의 일측에 갖추어진 통공(211)측에 흡입휀(220)을 장착시켜 구이도중 발생되는 연기를 강제로 흡입시켜 연기가 상부로 올라가지 않은 상태에서 구이를 수행할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상측외통(210)의 내부 중간지점과 상단부에는 각각 차단요소(230)와 내주연에 다수개의 장공(241)을 갖춘 덮개(240)를 갖추어 가열부재(300)로 부터 발열되는 높은 온도의 열기가 상측외통(210)으로 전도되는 것을 차단시켜 인체의 일부분이 상측외통(210)에 접촉되더라도 화상등을 입지않은 상태에서 사용할수 있도록 하며, 상기 그릴부재(600)에 얹혀진 내용물이 가열되면서 발생되는 연기가 흡입휀(220)의 흡입력에 의해 상부로 올라가지 않고 덮개(240)의 내주연에 갖추어진 장공(241)을 통해 상측외통(210)의 내주연 하부로 빨려 들어갈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하측외통(210a)의 내부 중앙에 중공부(251)를 갖는 수직봉(250)을 갖춘다.
이때, 상기 수직봉(250)은 회전요소(400)가 씌워지도록 하여 안정되게 회전할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함과 아울러, 상기 이물받이부재(500)와 그릴부재(600)가 끼워지는 상태에서 회전요소(400)에 순차적으로 결합시켜 줄수 있도록 하는데, 상기 수직봉(250)의 상단측 외주연에 중공부(251)와 연통시켜 이물받이부재와 그릴부재에 고인 기름이 유입될수 있도록 하는 기름유입공(252,252a)을 갖추며, 하단부 일측에는 중공부(251)와 연통되어 중공부내에 유입된 기름이 유출될수 있는 기름배출관(260)을 갖추고 있으며, 상기 하측외통(210a)의 일측에는 기름배출관으로 부터 흘러 나오는 기름을 집수할수 있는 기름받이요소(270)를 갖춘다.
그리고, 상기 하측외통(210a)의 내측에는 가열부재(300)내에 수납된 숯에 불꽃을 점화시켜 줄수 있는 점화요소(280)를 갖추어 준다.
상기 점화요소(280)는 가열요소(300)내에 불꽃이 점화되지 않은 숯을 손님이 테이블에 앉기전에 미리 수납시켜 놓은 상태에서 손님이 테이블(10)에 앉았을 경우테이블의 일측에 장착되어 있는 점화스위치(도시되지 않음)를 이용하여 점화요소(280)에 불꽃을 점화시켜 주게되면 상기 점화요소의 점화불꽃이 가열요소(300)에 수납되어 있는 숯에 불꽃이 점화되면 점화스위치를 오프시켜 점화요소(280)의 불꽃을 소화시켜 주게되는 것이다.
도 2 는 본 고안중 요부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부분확대 단면도이고, 도 3 은 도2중 A부 확대도이며, 도 4 는 회전요소와 이불받이부재및 그릴부재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부분절개 분해사시도로서,
상기 회전요소(400)는 수직봉(250)의 외주연에 씌워지는 상태로 베어링(420)에 의해 원활히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시켜 주며, 상기 회전요소는 하단측에 구동수단이 연결되어 이의 구동에 의하여 회전요소가 회전될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구동수단은 회전요소(400)의 하단부 외주연에 모터(410)가 연결요소(430)에 의해 연결되도록 하여 타이머(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작동이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그릴부재(600)에 육류가 얹혀진 초기에는 구동되지 않고 있다가 설정된 일정시간이 되면 타이머의 작동에 의해 자동으로 모터의 전원을 구동및 차단시켜 회전요소(400)를 아주 느린속도로 회전이 이루어질수 있도록 한다.
상기 구동수단의 다른 실시예로서는 도 5 및 도 6 에 도시된 바와같이 회동요소(410)에 갖추어진 피동기어(710)와 맞물린 구동기어(720)의 구동축(730)에 태엽(740)이 갖추어지도록 하여 상기 태엽의 풀리는 힘에 의해 회동요소(400)가 회전할수 있도록 한다.
이때, 피동기어와 구동기어 사이에는 감속기어(750)를 갖추어 태엽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축의 구동력이 감속기어(750)를 거치면서 감속된 회전력이 피동기어(710)로 전달될수 있도록 하여 상기 피동기어가 결합된 회전요소(400)가 느른 속도로 회전할수 있도록 하며, 상기 구동축(730)에는 사용하지 않을 경우 또는 그릴요소의 회전을 일시적으로 정지시켜 주고자 할때 회전력을 정지시켜 줄수 있도록 하는 브레이크요소(760)를 갖추어 감겨진 태엽이 임의적으로 풀리지 않도록 한다.
상기 브레이크요소는 타이머(도시되지 않음)의 작동에 따라 구동축을 잡아줌과 풀어줌을 수행시켜 주게되는 것이다.
즉, 구동축(730)에 갖추어진 손잡이(770)를 일측 방향으로 돌려주면 태엽(740)이 구동축의 외주연에 감겨지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브레이크요소(760)가 구동축(730)을 긴밀히 잡아주고 있어 태엽의 풀리려는 힘이 가해지더라도 구동축이 회전하지 않은 상태에 있게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그릴요소를 회전시켜 주고자 할 경우 타이머의 작동에 의해 브레이크요소(760)가 구동축(730)으로 부터 이격되면 감겨진 태엽(740)의 원상복귀력에 의해 구동축이 회전하게 되는 것이며, 상기 구동축이 회전하게 되면 구동기어와 맞물려있는 감속기어(750)에 의해 감속된 동력이 피동기(710)를 회전시켜 회전요소(400)를 회전시켜 주게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태엽의 1회 사용 가능시간은 적어도 2 - 3시간 이상이 되도록 하여 사용상 불편함이 없도록 한다.
또한, 상기 회전요소(400)는 제1요입홈(440)을 갖추어 회전요소의 상단측에 얹혀지는 걸름부재(500)가 끼움 결합되도록 하여 회전요소(400)와 함께 걸름요소가 회전될수 있도록 하며, 상기 수직봉(250)과 회전요소(400) 사이에는 오링(450)을 갖추어 기름이 이들 사이의 틈새로 흘러내리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이물받이부재(500)는 수직봉(250)이 관통할수 있도록 한 상태에서 상단면에는 그릴부재가 끼움 결합될수 있는 제2요입홈(511)과, 하단부에는 회전요소에 갖추어진 제1요입홈(440)이 끼움 결합될수 있는 제1결합요소(512)를 갖춘 제1관체(510)를 갖추고, 상기 제1관체(510)의 외주연으로 부터 일체로 하는 원형판상의 이물받이(520)를 갖춘다.
이때, 상기 이물받이(520)는 도 7 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1관체(510)외 외주연을 기점으로 하여 외주연으로 갈수록 상향되게 경사각을 갖는 상태에서 방사상의 산(521)과 골(522)을 갖도록 형성시켜 그릴부재(600)로 부터 떨어지는 기름이 골(522) 부분에 모인 상태에서 경사각에 의해 제1관체(510)의 외주연 주변으로 모이도록 하며, 상기 산(521) 지점에는 미세한 크기의 불꽃분출공(530)을 갖추어 가열부재(300)내에 담겨진 숯으로 부터 분출되는 불꽃이 그릴부재(600)에 전도될수있도록 하는데, 상기 불꽃분출공(530)을 산(521) 지점에 형성함은 내용물로 부터 떨어지는 기름이 불꽃분출공을 통해 하부로 떨어지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기 위함과 아울러, 가열부재(300)로 부터 분출되는 불꽃이 산(521)과 골(522) 사이의 경사면을 따라 올라와 불꽃분출공(530)으로 원활히 통과할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도 4 와 도 8 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골(522)이 위치하는 제1관체(510)의 외주연에는 제1기름흐름공(540)을 갖추어 제1관체(510)의 외주연으로 모아지는 기름이 빠져나갈수 있도록 하는데, 이때 상기 제1기름흐름공(540)은 상기 수직봉(250)의 상단측 외주연에 2단으로 갖추어진 기름유입공중 하단측에 위치하고 있는 기름유입공(252a)과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하여 중공부(251)와 기름배출관(260)을 통해 기름받이요소(270)에 집수될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그릴부재(600)는 수직봉(250)이 관통할수 있도록 한 상태에서 하단부에 제1관체(510)의 제2요입홈(511)에 끼움 결합될수 있는 제2결합요소(611)를 갖춘 제2관체(610)를 갖추고, 상기 제2관체(610)의 외주연으로 부터 일체로 하여 내용물이 얹혀질수 있도록 하는 그릴요소(620)를 갖추며, 상기 그릴요소와 접하는 지점인 제2관체(610)의 외주연에는 제2기름흐름공(630)을 갖추어 그릴요소(620)에 고이는 기름이 배출될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그릴요소(620)는 제2관체를 기점으로 하여 외측으로 상향 경사지도록 형성시켜 그릴요소(620)에 고이는 기름이 중앙으로 흘러 내릴수 있도록 하고, 제2기름흐름공(630)은 기름유입공(252)와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하여 제2관체(610)의 외주연측으로 모이는 기름이 제2기름흐름공(630)과 연통된 기름유임공(252)을 통해 배출이 이루어질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그릴요소(620)는 본 고안에서와 같이 삼겹살 등과 같은 육류를 구일할때 사용할수 있도록 전체를 판상으로 형성할수도 있고, 도 9a 에 도시된 바와같이 등심이나 양념갈비 등과 같은 육류를 구이할때 사용할수 있도록 방사상의 창살(620a) 형상을 갖도록 할수 있으며, 도 9b 에 도시된 바와같이 판상의 그릴요소(620)중 일부분을 창살(620a) 형상을 갖추도록 할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창살이 겸비된 판상의 그릴요소(620)는 등심이나 양념갈비와 삼겹살을 동시에 사용 즉, 판상 부분에는 삼결살을 올려놓고, 창살(620a) 부분에는 등심이나 양념갈비를 올려 놓은 상태에서 구이를 수행할수도 있고, 또는 등심이나 양념갈비를 구이도중 양파, 마늘및 김치등의 여러 종류의 다른 부속물을 올려 놓은 상태에서 사용할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하는 본 고안은 가열부재(300)내에 숯이 담겨지도록 한 상태에서 이물받이부재(500)인 제1관체(510)가 수직봉(210)에 끼워지도록 하여 상기 제1관체(510)의 하단부에 갖추어진 제1결합요소(512)가 회전요소(400)의 상면에 갖추어진 제1요입홈(440)에 끼움 결합되도록 하고, 이어서 그릴부재(600)의 제2관체(610)가 수직봉(210)을 관통하도록 하여 제2결합요소(611)가 제1관체(510)의 상면에 갖추어진 제2요입홈(511)내에 끼움 결합되도록 하면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테이블(10)의 일측에 갖추어져 있는 점화스위치(도시되지 않음)을 이용하여 점화요소(280)에 불꽃을 점화시켜 주게되면, 상기 점화요소로 부터 분출되는 불꽃이 이의 상부에 위치하고 있는 가욜부재(300)내의 숯에 불꽃이 점화되면 점화요소(280)의 불꽃은 소화시켜 주더라도 숯에 점화된 불꽃은 지속적으로 연소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그릴부재(600)에 익혀주고자 하는 육류를 올려준 상태에서 테이블(10) 일측에 갖추어져 있는 타이머(도시되지 않음)를 작동시켜 주게되면 타이머의 설정에 따라 모터(410)가 작동되어 그릴부재(600)를 느린 속도로 회전및 멈춤을 수행하게된다.
즉, 그릴부재(600)에 육류가 올려진 초기에는 모터(410)가 작동하지 않아 그릴부재(600)가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고, 타이머의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모터(410)가 작동하여 이와 연결요소(430)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회전요소(400)를 회전시켜 주게된다.
상기와 같이 회전요소(400)에 의해 이물받이부재(500)와 그릴부재(600)가 함께 회전하면서 숯불로 부터 올라오는 불꽃의 열기가 이물받이부재(500)를 가열하게되고, 상기 이물받이부재에 가열된 열기는 다시 이의 상부에 위치하고 있는 그릴부재(600)를 가열시켜 숯불의 불꽃이 그릴부재(600)에 얹혀져 있는 육류를 직접적으로 전도되지 않고 간접적인 열기가 전도되도록 하여 육류의 내부가 익혀지기 전에 육류의 표면이 불꽃에 의해 타는 것을 사전에 예방한 상태에서 익혀주게된다.
이때, 숯불로 부터 올라오는 불꽃의 일부는 이불받이부재(500)의 이물받이(520)에 갖추어져 있는 다수개의 미세한 불꽃분출공(530)을 통해 그릴요소(600)로 전도되도록 하여 불꽃에 의한 그릴요소(600)의 가열온도를 높여 육류가 효율적으로 익혀질수 있게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로 그릴부재(600)에 직접적으로 접촉되어 있는 육류의 일면이 익혀지게 되면 사람이 직접 육류를 뒤집어 육류가 빠른 시간내에 효율적으로 익혀지도록 하면 되는 것이며, 모터(410)의 구동에 의해 그릴부재(600)가 일정한 속도로 회전과 정지를 반복적으로 진행시켜 주므로서, 가열부재(300)에 담겨진 숯의 불꽃이 전체적으로 일정하지 않더라도 그릴부재(600)에 얹혀진 육류가 골고루 익혀주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로 하여 육류가 익혀질때 상기 육류로 부터 기름기가 발생하게 되는데, 상기 그릴부재(600)의 그릴요소(620)가 판상으로 되어있을 경우 육류로 부터 발생된 기름은 상기 그릴요소(620)의 경사면을 따라 중앙으로 이동하여 제2관체(610)의 외주연에 형성되어 있는 제2기름흐름공(630)을 통해 이와 연통되어 있는 수직봉(210)의 기름유입공(252)을 거쳐 중공부(251)내로 흘러내리게 되고, 상기 중공부로 흘러내린 기름은 이의 하단부측에 연통되어 있는 기름배출관(260)을 거쳐 기름받이요소(270)에 고이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양념갈비 또는 등심등과 같은 육류를 구이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9a 또는 도 9b 와 같이 창살(620a)로 형성된 그릴요소(620)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 상기 창살(620a)에 얹혀져 있는 육류로 부터 빠져나오는 기름기와 양념등의 찌꺼기는 창살(620a)을 통해 하부로 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그릴부재(620)의 하부로 떨어지는 기름기나 찌꺼기는 이의 하부에 위치하고 있는 이물받이(520)로 떨어지므로서, 숯불로 떨어지는 일이 없어 상기 숯불로 떨어지는 기름에 의해 일시적으로 숯불의 불꽃이 높아지지 않으므로 육류가순간적으로 높아지는 불꽃에 의해 타는 일이 없는 상태에서 육류를 구워주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이물받이(520)로 떨어진 기름과 찌꺼기중 기름은 이의 경사면을 따라 중앙으로 이동하여 제1관체(510)의 외주연에 갖추어져 있는 제1기름흐름공(540)을 통해 이와 연통되어 있는 기름유입공(252a)를 거쳐 중공부(251)내로 빠져나가게 되는데, 이때 상기 이물받이(520)가 산(521)과 골(522)로 갖추어져 있어 찌꺼기는 산(521) 부분에 받쳐진 상태에 있게되고, 기름기는 골(522) 부분에 고인 상태에서 경사면을 따라 중앙으로 이동하게 되어있어 기름기의 흐름시 찌꺼기도 함께 흐르지 않게되어 찌꺼기에 의해 제1기름흐름공(540)이 막히는 일이 없어 이물받이(520)로 떨어진 기름이 원활히 배출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로 하여 육류를 구이하는 도중 발생되는 연기와 냄새는 외통(200)의 일측에 갖추어져 있는 흡입휀(220)의 흡입력에 의해 대기중으로 올라가지 않고 외통(200)의 상단측 내주연에 얹혀져 있는 덮개(240)의 내주연에 갖추어져 있는 다수개의 장공(241)을 통해 외통(200)의 내부로 빨려들어가 흡입휀(220)과 연결되어있는 연통을 통해 외부로 방출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육류의 구이가 완료되어 밥을 볶아 먹거나 찌게를 끓여주고자 할 경우에는 도 10a 에 도시된 바와같이 덮개(240)의 내주연에 용기(800)가 얹혀지도록 한 상태에서 이용할수도 있고, 도 10b 에 도시된 바와같이 특별히 제작된 용기(800)의 바닥면 중앙에 형성된 제3관체(810)에 수직봉(250)이 삽입되도록 결합시켜 준 상태에서 사용할수도 있는 것으로서, 밥을 볶아줄 경우에는 그릴부재(600)가 있는 상태에서 사용하면 숯불의 불꽃이 강하게 올라오지 않아 용기(700)의 바닥면에 밥이빠르게 눌러붙지 않아 타는 일이 없는 상태에서 먹을수 있는 것이고, 화력을 높여 주고자 할 경우에는 도 10b 에 도시된 바와같이 그릴부재(600)와 이물받이부재(500)를 제거시켜 준 상태에서 사용하면 찌게등을 효과적으로 끓여줄수 있게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육류 또는 생선등이 얹혀지는 그릴부재를 회전과 정지를 반복적으로 수행시켜 줄수 있도를 하여 숯으로 부터 올라오는 불꽃이 전체적으로 일정하지 않더라도 그릴부재에 얹혀진 육류를 골고루 익혀줄수 있게되는 것이고, 또한 상기 그릴부재에 하부에 육류로 부터 떨어지는 기름기와 양념등의 찌꺼기를 받아줄수 있는 이물받이부재를 갖추어 기름기나 찌꺼기가 숯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하여 숯에 떨어지는 기름기에 의하여 불꽃이 순간적으로 높아지는 일이 없도록 하여 육류가 순간적으로 타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육류를 뒤집어 주고 있는 손등과 같은 신체에 화상을 입지 않도록 한 상태에서 사용할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이물받이부재를 갖추어주므로서, 숯으로 부터 올라오는 불꽃이 그릴부재의 육류에 직접적으로 가해지지 않고, 상기 이물받이부재를 거치는 간접적인 열기가 육류를 익혀주도록 하여 육류가 타지 않은 상태에서 익혀줄수 있도록 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7)

  1. 내측에 차단요소를 갖추고, 상단측에 장공을 갖춘 덮개를 갖추며, 일측에 흡입휀을 갖추고 있는 외통과; 상기 차단요소의 내측에 숯이 담겨지는 가열부재및 상기 가열부재의 직 하부에 가스를 이용한 점화방식으로 인하여 숯에 불꽃을 점화시켜 줄수 있는 점화요소를 갖추고 있는 육류구이기를 형성함에 있어,
    상기 외통의 내부 중앙 바닥면으로 부터 수직으로 세워지는 수직봉과;
    상기 수직봉이 관통하도록 씌워져 모터를 이용한 구동수단의 구동에 의해 회전할수 있도록 상단면에 제1요입홈이 갖추어진 회전요소와;
    상기 수직봉에 씌워져 회전요소의 제1요입홈에 끼움 결합되도록 하단에 제1 결합요소와 상단면에 제2요입홈을 갖춘 제1관체를 갖추고, 상기 제1관체의 외주연에 기름기와 찌꺼기등을 받아줄수 있는 이물받이로 갖추어진 이물받이부재와;
    상기 수직봉에 씌워져 제1관체의 제2요입홈에 끼움 결합되도록 하단에 제2결합요소를 갖는 제1관체를 갖추고, 상기 제2관체의 외주연에 육류를 올려 놓을수 있도록 판상 또는 창살의 형상을 갖는 그릴요소로 이루어지는 그릴부재로 갖추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류구이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봉 내부에 하단부가 차단되는 중공부를 갖추고, 상단부에 중공부와 연통되도록 상,하 2열로 배열되는 각각의 기름유입공을 갖추고, 중공부의 하단부일측에는 기름이 배출되는 기름배출관이 각각 갖추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류구이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받이와 그릴요소는 기름이 중앙으로 몰릴수 있도록 외주연에서 제1,2관체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류구이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받이와 그릴요소의 바닥면 상의 제1,2관체 외주연에 2열로 배열된 기름유입공과 각각 일치하여 기름이 빠져나갈수 있도록 하는 제1,2기름흐름공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류구이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받이는 제1관체를 중심으로 하여 일정한 간격을 갖는 방사상의 산과 골이 갖추어지고, 상기 산 지점에 불꽃이 통과할수 있도록 하는 불꽃분출공으로 갖추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류구이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상의 그릴요소 사이에 창살이 갖추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류구이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태엽이 감겨진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에 갖추어지는 구동기어와 회전요소에 갖추어지는 피동기어가 감속기어에 맞물리도록 갖추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류구이기.
KR20-2004-0008202U 2004-03-24 2004-03-24 육류구이기 KR2003539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8202U KR200353922Y1 (ko) 2004-03-24 2004-03-24 육류구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8202U KR200353922Y1 (ko) 2004-03-24 2004-03-24 육류구이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4151A Division KR20050088722A (ko) 2004-03-02 2004-03-02 육류구이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3922Y1 true KR200353922Y1 (ko) 2004-06-22

Family

ID=49432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8202U KR200353922Y1 (ko) 2004-03-24 2004-03-24 육류구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392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4181B1 (ko) * 2013-04-15 2014-09-26 박정윤 자전 및 공전을 이용한 로스터
KR101450056B1 (ko) * 2013-04-05 2014-10-15 박정윤 불판회전을 위한 회전유닛이 구비된 로스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0056B1 (ko) * 2013-04-05 2014-10-15 박정윤 불판회전을 위한 회전유닛이 구비된 로스터
KR101444181B1 (ko) * 2013-04-15 2014-09-26 박정윤 자전 및 공전을 이용한 로스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010554B (zh) 食物烧烤装置
US7270122B2 (en) Portable cooking apparatus providing both direct and indirect heat cooking
CA2172586C (en) Roasting oven
US6178879B1 (en) Portable roaster
US5373778A (en) Roasting oven
WO1995020902A9 (en) Roasting oven
KR101315045B1 (ko) 무연 숯불구이 장치
EP1411771B1 (en) Roasting oven
KR101910103B1 (ko) 회전형 구이장치
US20060011192A1 (en) Multi-chambered convertible grilling device
KR200353922Y1 (ko) 육류구이기
KR100999432B1 (ko) 바베큐장치
KR20050088722A (ko) 육류구이기
KR102113271B1 (ko) 구이 시간이 단축된 통돌이형 직화구이기
KR101055065B1 (ko) 간접 가열 방식의 휴대용 바비큐 기기
KR200155311Y1 (ko) 테이블에 설치된 회전 꼬치구이기
KR20050062179A (ko) 구이기
KR101689089B1 (ko) 가마형 구이장치
KR100205120B1 (ko) 식탁설치용 바베큐 구이기
KR200365009Y1 (ko) 육류구이기의 이물받이
US20090308264A1 (en) Ultimate combo smoker
KR100549808B1 (ko) 전동식 구이판
KR101996013B1 (ko) 가스 점화유닛을 가지는 숯불 로스터
KR200345261Y1 (ko) 구이기
KR200365223Y1 (ko) 육류구이기의 구이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UA0107 Dual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40324

Patent event code: UA01011R07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40609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40325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609

Year of fee payment: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609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0805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