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6102A - 전기 구이기 - Google Patents

전기 구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6102A
KR20170136102A KR1020160067226A KR20160067226A KR20170136102A KR 20170136102 A KR20170136102 A KR 20170136102A KR 1020160067226 A KR1020160067226 A KR 1020160067226A KR 20160067226 A KR20160067226 A KR 20160067226A KR 20170136102 A KR20170136102 A KR 201701361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heating unit
pair
stopp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72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원갑
김택중
김두환
Original Assignee
서원갑
김두환
김택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원갑, 김두환, 김택중 filed Critical 서원갑
Priority to KR10201600672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36102A/ko
Publication of KR201701361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61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 A47J37/047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with rotating drums or bask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04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horizontal fire box
    • A47J37/0709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horizontal fire box with electric heating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45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motor-driven food 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히팅부 및 구이틀 그리고 구이틀이 회전되도록 결합시키는 장착부를 개량하여 구이틀을 간편하게 거치 또는 분리의 편리성을 제공하고 부품의 보관의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그 구조를 컴팩트하게 구성한 전기 구이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 구이기는 구이물을 수용시키는 구이틀과, 한 쌍의 지지틀과, 이 지지틀 상부에 회전되도록 장착되면서 전후방에 히터 및 안전망을 결합시킨 히팅부와, 상기 히팅부 하측에 위치하면서 상기 구이틀을 결합시켜 모터의 구동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지지틀에 장착되는 구동부 및 스톱퍼로 이루어지는 장착부와, 상기 구이틀 하부에 배치되는 구이판 및 기름받이 그리고 지지틀에 장착되는 전원스위치 및 타이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전기 구이기에 있어서, 상기 구이틀은 금속판재에 다수의 구멍을 천공하고 절곡형성하여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한 쌍의 본체와, 이 본체의 양측 중앙부분에 끼움홈을 갖는 날개부가 마련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장착부의 구동부 및 스톱퍼의 일측에는 상기 구이틀의 본체 양측에 형성된 날개부의 끼움홈이 결합되면서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경사면을 갖는 요철부가 각각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구이판 및 기름받이를 안치시키는 덮개판을 갖는 수납부의 양단이 지지틀에 장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기 구이기{Electric roaster}
본 발명은 하향식 히팅 및 구이틀를 회전시키는 전기 구이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히팅부 및 구이틀 그리고 구이틀이 회전되도록 결합시키는 장착부를 개량하여 구이틀을 간편하게 거치 또는 분리의 편리성을 제공하고 부품의 보관의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그 구조를 컴팩트하게 구성한 전기 구이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음식재료를 간접 또는 직접 가열방식으로 익히는 다양한 조리 및 요리 방법 중 특히 구워 섭취하는 육류의 경우 굽는 방식에 따라 각 재료의 특유한 맛과 미감을 살려서 제공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일반 가정은 물론 대중 음식점 등 다양한 장소에서 육류 구이물의 섭취가 가능하므로 매우 대중화되고 있다.
상기 육류와 같은 구이물은 통상적으로 가스를 이용한 화염이나 전기 또는 숯으로부터 발생하는 직접 또는 간접 열기를 이용하여 굽게 되는 것으로서, 이를 위하여 다양한 형태 및 구조와 작용을 갖는 구이기들이 제작 및 사용되며, 가정에서는 가스 구이기보다는 전기 구이기를 널리 이용하고 있다.
그리고 전기 구이기는 직접 가열방식과 간접가열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직접가열 방식을 선호하게 되고, 육류를 구울 때 발생하는 연소 연기의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히팅부를 상부에 배치하고 하는 구이판을 하부에 배치하는 구이기도 제안되고 있다.
예컨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1-0046965호(2001.06.15. 공개) ' 복사열판으로 구성된 구이장치' 및 등록특허 제10-0669998(2007.01.19. 공고) '세락믹 히터의 방사열을 이용한 구이기'와, 등록특허 제10-0915292호(2009.08.26. 공고) '개량 양방향 가열 조리기' 들이 제안되었다.
상기 구이기들은 모두 히팅부를 상부에 배치하고 구이판을 하부에 설치한 구성이며, 일부는 구이판을 승강시켜는 구성으로서, 구이시 육류로부머 나오는 기름의 연소를 방지할 수 는 있으나 과도한 열에너지를 사용하므로 매우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고, 고른 열전달이 어려워 단시간에 균일하게 익히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86834호(2013.07.17. 공고) '열전달이 용이한 회전식 구이기'는 열전달을 효율적으로 높이기 위하여 구이망을 회전시키는 방식이지만 구이망은 원통형상으로 대용량의 구이물을 수납하는 구성으로서 가정에서의 사용에 부적합한 구성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1-0046965호(2001.06.15. 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69998(2007.01.19.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15292호(2009.08.26.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86834호(2013.07.17. 공고)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히팅부와 구이틀 및 구이틀을 결합시키는 장착부 구조를 컴팩트하게 개량하고 용도에 따라 구이틀을 선택하여 간편하게 거치 또는 분리할 수 있으며 부품의 보관, 기름 수거 등 편리성을 제공하면서 최소한의 무연상태로 효율적으로 구이가 가능하도록 구성한 매우 경제적인 전기 구이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기 구이기는 구이물을 수용시키는 구이틀과, 한 쌍의 지지틀과, 이 지지틀 상부에 회전되도록 장착되면서 전후방에 히터 및 안전망을 결합시킨 히팅부와, 상기 히팅부 하측에 위치하면서 상기 구이틀을 결합시켜 모터의 구동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지지틀에 장착되는 구동부 및 스톱퍼로 이루어지는 장착부와, 상기 구이틀 하부에 배치되는 구이판 및 기름받이 그리고 지지틀에 장착되는 전원스위치 및 타이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전기 구이기에 있어서, 상기 구이틀은 금속판재에 다수의 구멍을 천공하고 절곡형성하여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한 쌍의 본체와, 이 본체의 양측 중앙부분에 끼움홈을 갖는 날개부가 마련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장착부의 구동부 및 스톱퍼의 일측에는 상기 구이틀의 본체 양측에 형성된 날개부의 끼움홈이 결합되면서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경사면을 갖는 요철부가 각각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구이판 및 기름받이를 안치시키는 덮개판을 갖는 수납부의 양단이 지지틀에 장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장착부의 스톱퍼는 전방에 요철부를 형성하고 후방으로 연장되는 슬라이더와, 이 슬라이더의 둘레면에 끼워져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과, 상기 슬라이더 및 스프링이 직선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전방으로 수용시키면서 지지틀에 끼워져 회전되는 몸체 및 이 몸체의 후방으로 중앙의 나사부가 끼워지면서 상기 슬라이더에 나사결합되는 손잡이로 이루어지고, 상기 손잡이를 몸체 외측으로 당겨내면 슬라이더가 따라서 직선 이동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히팅부는 직립상태 또는 수평상태에 따라 전원을 차단 또는 인가시키도록 온/오프 스위치가 지지틀 상부에 장착되고, 안전망의 외측으로는 히터의 열기를 구이틀 쪽으로 안내하도록 반사편이 절곡되며, 구이틀의 한 쌍의 본체는 대칭상태로 사용하거나 포개진 상태로 결합되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기 구이기에 따르면, 구이틀의 한 쌍의 본체 구성 및 이 구이틀의 탈부착하는 장착부의 개량과, 구이틀의 장착을 위한 히팅부의 회전 구조, 수납부 등의 결합 형태가 컴팩트한 구조이므로 사용의 편리성 및 제조 원가의 절감이 이루어지고, 안전망의 열기 반사편을 통해 열 효율을 증대시키며, 수납부를 이요하여 구이틀, 구이판 및 기름받이를 위생적으로 보관할 수 있은 매우 경제성을 갖는 유용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구이기를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구이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구이기의 구이틀 및 장착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구이기의 구이틀가 장착부에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구이기의 구이틀들의 사용 형태를 나타나낸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통상적인 구이물을 수용시키는 구이틀(2)과, 한 쌍의 지지틀(11, 11')과, 이 지지틀(11, 11') 상부에 회전되도록 장착되면서 전후방에 히터(31) 및 안전망(32)을 결합시킨 히팅부(3)와, 상기 히팅부(3) 하측에 위치하면서 상기 구이틀(2)을 결합시켜 모터(40)의 구동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지지틀(11, 11')에 장착되는 구동부(41) 및 스톱퍼(42)로 이루어지는 장착부(4)와, 상기 구이틀(2) 하부에 배치되는 보조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구이판(12) 및 기름받이(13) 그리고 지지틀(11)에 장착되는 전원스위치(14) 및 타이머(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기본 구성을 이용하게 된다.
본 발명의 핵심 기술은 구이틀(2)의 구성과, 이 구이틀(2)을 장착하거나 분리시키는 장착부(4)의 개량으로 용도에 적합한 구이틀(2)을 선택하여 편리하게 교체 가능하도록 하고, 사용의 안전성과 부품의 편리한 관리 및 열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개량한 것이다.
먼저, 이를 위하여, 구이틀(2)은 스테인레스 금속판재에 다수의 구멍을 천공하고 절곡형성하여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한 쌍의 본체(21, 21')와, 이 본체(21, 21')의 양측 중앙부분에 끼움홈(22)을 갖는 날개부(23)가 마련되도록 형성하게 된다. 즉 한 쌍의 본체(21, 21')는 도 6 (A) 및 (B) 에서와 같이 대칭상태로 포개어져 점선과 같이 수용공간을 형성하게 되고, 그 외형 형상에 따라 수공 공간이 크고 작게 형성되며, 도 6 (C)에서와 같이 한 쌍의 본체(21, 21') 중 어느 하나의 길이를 금속판재의 두께보다 3~4배 짧게 형성하고 길이방향 양측 테두리부(25)를 더 길게 연장하여 구이물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대칭상태가 아닌 포개진 상태로 결합시켜 수용공간을 가변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구이틀(2)을 결합시켜 고정상태를 유지하거나 해지할 수 있고 회전을 돕는 장착부(4)의 구동부(41) 및 스톱퍼(42)의 일측에는 구이틀(2)의 본체(21, 21') 양측에 형성된 날개부(23)의 끼움홈(22)이 결합되면서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경사면을 갖는 요철부(411, 421)가 각각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장착부(4)의 스톱퍼(42)는 도 4에서와 같이 전방에 요철부(421)를 형성하고 후방으로 연장되는 슬라이더(422)와, 이 슬라이더(422)의 둘레면에 끼워져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423)과, 상기 슬라이더(422) 및 스프링(423)이 직선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전방으로 수용시키면서 지지틀(11')에 끼워져 회전되는 몸체(424) 및 이 몸체(424)의 후방으로 중앙의 나사부(425')가 끼워지면서 상기 슬라이더(422)에 나사결합되는 손잡이(425)로 이루어지고, 상기 손잡이(425)를 몸체(424) 외측으로 당겨내면 슬라이더(422)가 따라서 직선 이동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히팅부(3)가 회전하여 도 1에서와 같이 직립상태가 되면 전원 공급이 차단되고 이때 구이틀(2)의 장착 및 분리가 이루어지고, 반대로 히팅부(3)가 회전하여 도 2 및 도3에서와 같이 수평상태가 되면 전원을 인가하도록 온/오프 스위치가 지지틀(11) 상부에 장착되고, 도 3의 확대부분에서와 같이 안전망(32)의 외측으로는 히터(31)의 열기를 구이틀(2) 쪽으로 안내하도록 반사편(321)이 절곡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구이판(12) 및 기름받이(13)를 안치시키는 덮개판(16)을 갖는 수납부(17)의 양단이 지지틀(11, 11')에 장착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수납부(17)의 공간에는 도 3에서와 같이 점선으로 표시되는 구이판(12), 기름받이(13) 및 구이틀(20 들을 수용하여 보관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에 대하여 살펴본다.
먼저, 도 2에서와 같이 덮개판(16)의 상부에 구이판(12)을 얹은 기름받이(13)를 위치시키고 히터부(3)을 도 1에서와 같이 수직상태로 회전시킨 후 구이물을 담은 구이틀(2)을 장착하게 된다.
상기 구이틀(2)의 장착은 도 5(A)에서와 같이 먼저 모터(40)의 회전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부(41)의 요철부(411)로 상기 구이틀(2)의 본체(21, 21')의 날개부(23)의 끼움홈(22)을 일치시킨 다음 구이틀(2)의 본체(21, 21') 반대편 날개부(23)의 끼움홈(22)을 스톱퍼(42)의 슬라이더(422)에 형성된 요철부(421)로 편리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손잡이(425)를 외측으로 당겨낸 상태에서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상기 구이틀(2)의 본체(21, 21') 반대편 날개부(23)의 끼움홈(22)이 스톱퍼(42)의 슬라이더(422)에 형성된 요철부(421)로 완전히 유입된 후에는 당기고 있던 손잡이(425)를 놓으면 스프링(423)의 복원력 작용으로 슬라이더(422)에 형성된 요철부(421)가 구이틀(2)의 본체(21, 21') 일측에 형성된 날개부(23)의 끼움홈(22)을 가압하면서 밀착하게 되고, 상기 밀착력은 구이틀(2)의 본체(21, 21') 타측에 형성된 날개부(23)의 끼움홈(22)이 구동부(41)의 요철부(411)에 가압된다.
상기 상태는 구이틀(2)의 본체(21, 21') 양측에 형성된 날개부(23)의 끼움홈(22)은 스프링(423)의 탄성력에 의해 스톱퍼(42)의 슬라이더(422)에 형성된 요철부(421) 및 구동부(41)의 요철부(411)에 밀착된 상태가 되고, 상기 요철부(411) 및 요철부(421)의 경사면에 의해 구이틀(2)의 본체(21, 21') 양측에 형성된 날개부(23)의 이탈이 방지되고, 반대로 스톱퍼(42)의 손잡이(425)를 당겨내면 스프링(423)의 가압 상태가 해지되면서 상호 이격되므로 구이틀(2)의 고정 상태의 해지로 이어져 간편하게 분리 교체할 수 있다.
상기 구이틀(2)은 도 6 (A) 및 (B) 에서와 같이 대칭상태로 포개어져 점선과 같이 수용공간을 형성하면서 장작부(4)에 본체(21, 21')의 날개부(23)이 결합되어 사용 되고, 그 외형 형상에 따라 수공 공간이 크것과 작은 것을 선태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도 6 (C)에서와 같이 한 쌍의 본체(21, 21')를 포개진 상태로 결합시켜 수용공간을 가변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이 더욱 편리하고, 길이방향 양측 테두리부(25)에 더 길게 연장함으로써 구이물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히팅부(3)는 지지틀(11) 상부에 장착된 온/오프 스위치(18)에 접촉된 상태로부터 해지되면서 회전하여 직립상태가 되면 전원 공급이 차단되고. 히팅부(3)가 수평상태로 회전하여 온/오프 스위치(18)에 접촉되면 전원이 인가되어 히터(31)로부터 열을 발생시키고 전원스위치(14)를 작동시키면 모터(40)가 구동하여 구동부(41)를 통해 구이틀(2)을 회전시키면 도 4에서 같이 구이틀(2)에 수용된 구이물이 히터(31)와 근접하는 반복 회전을 통해 열기를 효율적으로 전달받아 고르게 익으면서 육류의 경우 유출되는 기름이 하측에 있는 기름받이(13)로 수집되므로 연소 연기의 발생 역시 최소화가 이루어지고 위생적으로 조리가 가능하고 타이머(15)의 설정시간 동안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사용 후 구이판(12) 및 기름받이(13) 그리고 구이틀(2) 들은 덮개판(16)을 열어서 수납부(17)의 공간에 수용시키면 위생적으로 관리가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구이틀(2)의 구성 및 이 구이틀(2)의 탈부착하는 장착부(4)의 개량과, 구이틀(2)의 장착을 위한 히팅부(3)의 회전 구조, 수납부(17) 등의 결합 형태가 컴팩트한 구조이므로 보관 및 사용의 편리성을 가지며 제조 원가의 절감으로 매우 경제성을 갖는 유용한 발명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상기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실시 예를 적절히 변형 및 수정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으므로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하여야 할 것이다.
11, 11': 지지틀 12: 구이판
13: 기름받이 14: 전원스위치
15: 타이머 16: 덮개판
17: 수납부 18: 온/오프 스위치
2: 구이틀 21, 21': 본체
22: 끼움홈 23: 날개
24: 테두리부 3: 히팅부
31: 히터 32: 안전망
321: 반사편 4: 장착부
40: 모터 41: 구동부
42: 스톱퍼 411, 421: 요철부
422: 슬라이더 423: 스프링
424: 몸체 425: 손잡이
425': 나사부

Claims (4)

  1. 구이물을 수용시키는 구이틀(2)과, 한 쌍의 지지틀(11, 11')과, 이 지지틀(11, 11') 상부에 회전되도록 장착되면서 전후방에 히터(31) 및 안전망(32)을 결합시킨 히팅부(3)와, 상기 히팅부(3) 하측에 위치하면서 상기 구이틀(2)을 결합시켜 모터(40)의 구동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지지틀(11, 11')에 장착되는 구동부(41) 및 스톱퍼(42)로 이루어지는 장착부(4)와, 상기 구이틀(2) 하부에 배치되는 구이판(12) 및 기름받이(13) 그리고 지지틀(11)에 장착되는 전원스위치(14) 및 타이머(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전기 구이기에 있어서,
    상기 구이틀(2)은 금속판재에 다수의 구멍을 천공하고 절곡형성하여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한 쌍의 본체(21, 21')와, 이 본체(21, 21')의 양측 중앙부분에 끼움홈(22)을 갖는 날개부(23)가 마련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장착부(4)의 구동부(41) 및 스톱퍼(42)의 일측에는 상기 구이틀(2)의 본체(21, 21') 양측에 형성된 날개부(23)의 끼움홈(22)이 결합되면서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경사면을 갖는 요철부(411, 421)가 각각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구이판(12) 및 기름받이(13)를 안치시키는 덮개판(16)을 갖는 수납부(17)의 양단이 지지틀(11, 11')에 장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구이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4)의 스톱퍼(42)는 전방에 요철부(421)를 형성하고 후방으로 연장되는 슬라이더(422)와, 이 슬라이더(422)의 둘레면에 끼워져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423)과, 상기 슬라이더(422) 및 스프링(423)이 직선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전방으로 수용시키면서 지지틀(11')에 끼워져 회전되는 몸체(424) 및 이 몸체(424)의 후방으로 중앙의 나사부(425')가 끼워지면서 상기 슬라이더(422)에 나사결합되는 손잡이(425)로 이루어지고, 상기 손잡이(425)를 몸체(424) 외측으로 당겨내면 슬라이더(422)가 따라서 직선 이동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구이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부(3)는 회전하여 직립상태에서는 전원 공급이 차단되고 수평상태에서는 전원을 인가하도록 온/오프 스위치(18)가 지지틀(11) 상부에 장착되고, 히팅부(3)의 안전망(32) 외측으로는 히터(31)의 열기를 구이틀(2) 쪽으로 안내하는 반사각도로 절곡되는 반사편(321)을 마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구이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이틀(2)은 한 쌍의 본체(21, 21') 중 어느 하나의 본체(21') 길이를 금속판재의 두께보다 3~4배 짧게 형성하고 길이방향 양측 테두리부(24)를 더 길게 연장하여 구이물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대칭상태가 아닌 포개진 상태로 결합되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구이기.

KR1020160067226A 2016-05-31 2016-05-31 전기 구이기 KR201701361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7226A KR20170136102A (ko) 2016-05-31 2016-05-31 전기 구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7226A KR20170136102A (ko) 2016-05-31 2016-05-31 전기 구이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6102A true KR20170136102A (ko) 2017-12-11

Family

ID=60943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7226A KR20170136102A (ko) 2016-05-31 2016-05-31 전기 구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3610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93339A (zh) * 2019-11-12 2020-01-17 中山市鑫能电器制造有限公司 一种多功能烤串机
CN113951736A (zh) * 2021-12-03 2022-01-21 广东新宝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升降式电烤板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93339A (zh) * 2019-11-12 2020-01-17 中山市鑫能电器制造有限公司 一种多功能烤串机
CN113951736A (zh) * 2021-12-03 2022-01-21 广东新宝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升降式电烤板
CN113951736B (zh) * 2021-12-03 2024-02-27 广东新宝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升降式电烤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5240087B2 (en) Electric cooking apparatus having removable heating plates and method for using same
US9788690B2 (en) Cooking apparatus and accessories
US5181455A (en) Electric grilling appliance
EP0707452B1 (en) Barbecue
EP2238881A2 (en) Infrared heating cooker
US7823577B1 (en) Grill and grill carousel for use therewith
KR20170136102A (ko) 전기 구이기
US4633772A (en) Griddle mounted hot dog turner with lift off detachable drive unit
KR20120121497A (ko) 찜 구이용 조리기
KR20150003312U (ko) 휴대용 숯불 및 전기 바베큐 구이기
KR101902175B1 (ko) 전기식 회전 꼬치구이기
KR200485462Y1 (ko) 종이 호일을 이용하는 전기식 위생 불판
KR200461389Y1 (ko) 나무를 이용한 구이용 석쇠
KR200386648Y1 (ko) 산적 및 고기 구이 장치
KR200444391Y1 (ko) 꼬치구이 장치
WO2019025088A1 (en) PORTABLE ELECTRIC GRILL
KR20160079537A (ko) 제2가열부를 구비하는 회전식 음식물 구이장치
KR200318145Y1 (ko) 전골요리 겸용 돌 구이판
KR101750826B1 (ko) 다용도 조리장치
KR101519722B1 (ko) 휴대용 숯불구이 장치
KR200474910Y1 (ko) 회전 구이기
KR101953255B1 (ko) 유동 가능한 다수 개의 구이판과 발열기가 구비되는 구이장치
CN210697285U (zh) 一种易拆洗电加热烧烤炉
KR200437311Y1 (ko) 조개형상을 갖는 회전식 조개구이판
KR200240865Y1 (ko) 다목적 구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