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2175B1 - 전기식 회전 꼬치구이기 - Google Patents

전기식 회전 꼬치구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2175B1
KR101902175B1 KR1020160151138A KR20160151138A KR101902175B1 KR 101902175 B1 KR101902175 B1 KR 101902175B1 KR 1020160151138 A KR1020160151138 A KR 1020160151138A KR 20160151138 A KR20160151138 A KR 20160151138A KR 101902175 B1 KR101902175 B1 KR 1019021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ewer
electric heater
guide
rotation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1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53948A (ko
Inventor
장석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모닝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모닝아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모닝아트
Priority to KR10201601511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2175B1/ko
Publication of KR201800539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39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21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21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 A47J37/041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with food support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6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 F24C7/067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on ranges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식 회전 꼬치구이기에 관한 것으로, 본체의 상부에 전기히터를 구비하여 하부의 음식물을 가열하는 구조를 채택하여 본체를 슬림(slim)하게 제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음식물 가열시 연기 및 냄새 발생을 억제할 수 있고, 화력 조절시 꼬치대와의 거리 조정이 가능하도록 전기식 히터수단을 상하로 승강하고 전기식 히터수단의 출력을 조정할 수 있는 로터리 스위치를 이용해 소비전력을 함께 구비하여 피구이물의 상태에 따라 화력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고, 전기히터의 열원의 낭비를 최소화하기 위해 꼬치대의 하부에 타공이 형성된 반사판을 구비하여 열반사를 시킴은 물론, 꼬치대를 이용한 피구이물을 굽는 등의 요리를 수행하지 않는 경우에는 전골불판을 본체 상부에 올려놓고 사용할 수 있는 전기식 회전 꼬치구이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전기식 회전 꼬치구이기 { AN ELECTRIC ROTATING SKEWER }
본 발명은 전기식 회전 꼬치구이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육류나 채소와 같은 다양한 피구이물이 끼워진 복수의 꼬치대를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한 상태에서 자동으로 회전시키며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는 전기식 히터를 이용해 피구이물을 익혀 조리하는 개량된 형태의 전기식 회전 꼬치구이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식 회전 꼬치구이기는 육류나 채소와 같은 다양한 피구이물이 끼워진 복수의 꼬치대를 동시에 회전시켜 적정 온도로 구워준다.
이와 같은 전기식 회전 꼬치구이기에 관한 선행기술로 공개특허 제10-2011-0018509호(참고문헌 1), 등록특허 제10-1342307호(참고문헌 2) 등이 제안된 바 있다.
먼저 상기 참고문헌 1에는 톱니바퀴 형성부와 길이부를 구비한 꼬치대와; 측면이 폐쇄되고 상부가 개방된 박스형태로 되어, 마주보고 있는 상기 양쪽 측면 상단부에 다수의 오목부를 구비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측면을 따라 길게 뻗고, 그 가장자리를 따라 일렬로 형성된 다수의 홈을 구비한 회전유도 플레이트; 상기 회전유도 플레이트를 왕복이동하는 구동장치; 상기 하우징에 구비된 열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톱니바퀴 형성부가 상기 회전유도 플레이트의 홈에 맞물려, 상기 구동장치의 기동으로 상기 회전유도 플레이트를 왕복이동시켜 상기 톱니바퀴 형성부를 구비한 상기 꼬치대를 회전시키는, 회전식 꼬치구이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또한, 참고문헌 2에는 내부에 숯불과 같은 열원을 설치하는 본체 상부에 안착 설치하되, 상부 양측 길이 방향을 따라 꼬치대 안착홈과 상기 안착홈 외측에 전후 안내부를 형성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 상부 양측의 전후 안내부를 따라 양측 가이더가 전후 이동하도록 설치되는 작동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안착홈에 음식물을 꽂은 상태로 안착 설치하는 꼬치대로 구성하여; 상기 작동부재를 고정부재 일측에 설치되는 구동모터의 모터축 회전에 의해 전후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꼬치대 일측의 원형 톱니부가 작동부재 상부 양측의 가이더를 따라 형성된 톱니 걸림부에 걸려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교대로 전후 회전하면서 하부 열원에 의해 꼬치대의 음식물을 가열 조리하는 회전식 꼬치구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 일측에 설치되는 구동모터의 모터축에는 회전원반을 수평 회전 작동하도록 설치하고, 상기 회전원반의 회전 중심에서 편심된 위치와 상기 작동부재는 링크 양단을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로 연결 설치하여 상기 회전원반의 회전에 의한 링크 작동으로 작동부재를 직선으로 전후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꼬치구이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이상의 참고문헌들에 제안된 종래의 회전식 꼬치구이 장치들은 복수의 꼬치대를 동시에 회전시키며 꼬치대의 피구이물을 익힐 수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 회전식 꼬치구이 장치들은 주로 하우징 또는 본체 내부에 열원인 숯 등을 내장하게 됨에 따라 하부에서 피구이물을 가열하는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열원(熱源) 설치를 위한 공간확보를 위해서는 하우징 또는 본체의 사이즈가 지나치게 커지게 되어 음식점 등의 테이블에 설치시 많은 면적을 차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종래 회전식 꼬치구이 장치들은 주로 하우징 또는 본체 하부에 열원이 설치됨에 따라 피구이물에서 떨어지는 육즙 등이 숯 등의 열원에 직접 접촉되는 경우 연기 발생이 많아져 눈 통증 등의 불쾌감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종래 회전식 꼬치구이 장치들은 꼬치대를 회전시키면서 요리를 할 수 있고 다른 요리를 하는데에는 전혀 사용할 수 없어 그 기능이 극히 제한적이다.
참고문헌 1 : 등록실용신안 제20-0448756호 참고문헌 2 : 등록실용신안 제20-0450937호
따라서 이러한 종래 회전 꼬치구이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본체의 상부에 전기히터를 구비하여 하부의 음식물을 가열하는 구조를 채택하여 본체를 슬림(slim)하게 제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음식물 가열시 연기 및 냄새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전기식 회전 꼬치구이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화력 조절을 위해 꼬치대와의 거리 조정이 가능하도록 전기식 히터수단을 상하로 승강하고, 전기식 히터수단의 출력을 조정할 수 있는 로터리 스위치를 이용해 소비전력을 함께 구비하여 피구이물의 상태에 따라 화력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는 전기식 회전 꼬치구이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기히터의 열원의 낭비를 최소화하기 위해 꼬치대의 하부에 타공이 형성된 반사판을 구비하여 열반사를 시키도록 함과 동시에 꼬치대를 이용한 피구이물을 굽는 등의 요리를 수행하지 않는 경우에는 전골불판을 본체 상부에 올려놓고 사용할 수 있는 전기식 회전 꼬치구이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기술적 과제의 해결을 위해 본 발명은,
하부에 기름받이가 탈착가능하게 설치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일체로 고정되되 중앙에 직사각 형태의 조리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조리공간의 좌우 양측에 피구이물이 끼워진 꼬치대의 양측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홈이 설정된 간격을 유지하며 형성되는 지지벽부가 상향 돌출되는 상판과, 직사각틀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좌우 양측에 상기 꼬치대의 회전을 유도하기 위해 상기 꼬치대의 톱니바퀴부가 치합되는 톱니홈이 형성되어 상기 조리공간의 가장자리 상부에 전후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유도 프레임과, 상기 회전유도 프레임을 상기 조리공간의 상측에서 전후진시키는 전후진 동력발생수단과, 상기 상판의 상측에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조리공간 방향으로 고열을 방사하는 전기식 히터수단과, 상기 상판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전기식 히터수단을 상하로 승강시키는 승강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식 회전 꼬치구이기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상판은 상기 본체의 상부에 일체로 고정되어 마감하는 것으로, 중앙에 길이 방향으로 직사각 형태의 조리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조리공간의 좌우 양측에 꼬치대의 양측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홈이 설정된 간격을 유지하며 형성되는 지지벽부가 상향 돌출되며, 상기 조리공간의 하부에는 상기 전기식 히터수단의 고열을 상기 조리공간의 피구이물 방향으로 반사하는 반사부가 더 구비되며, 상기 반사부에는 복수의 기름배출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유도 프레임은 몸체의 중앙에 관통부가 형성되고 좌우 양측의 가이드부 표면에는 복수의 톱니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후측에는 상기 전후진 동력발생수단의 구동시 상기 회전유도 프레임을 전후진 시키기 위한 견인공이 형성되며, 상기 몸체의 가장자리를 따라 하향하는 보강부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상판의 지지벽부 전단과 후단에는 안내축의 양단이 좌우 양측 방향으로 노출되게 고정되어 상기 회전유도 프레임의 좌우 양측의 가이드부 하부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전후진 동력발생수단은 회전력을 발생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편심되게 결합되며 외주면이 상기 회전유도 프레임의 후측에 형성되는 견인공에 삽입되는 편심캠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전기식 히터수단은 상기 조리공간 방향으로 고열을 방사하기 위한 히터와, 상기 히터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히터가 방사하는 고열을 하부로 반사하는 반사갓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상판에 고정되며 측면에 높이조절공이 형성되는 원통 형상의 승강 가이드와, 상기 승강 가이드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상단에는 상기 전기식 히터수단이 고정되는 회전축과, 상기 승강 가이드의 높이조절공으로 노출되며 일단부는 상기 회전축에 고정되는 높이 조정간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높이조절공은 상기 승강 가이드의 측면에 상부 수평안내로와 하부 수평안내로가 수직안내로로 연결되는 '
Figure 112016110957240-pat00001
' 형상으로 관통 형성되며, 상기 상부 수평안내로와 하부 수평안내로의 단부 하단에는 상부 및 하부 걸침홈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판에는 상기 전기식 히터수단의 상측에 전골불판을 안착할 수 있는 고정틀이 더 구비되되, 상기 고정틀은 상기 상판에 지지되는 복수의 다리와, 상기 다리의 상부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전골불판의 테두리를 지지할 수 있는 수평지지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체의 상부에 전기식 히터수단을 구비하여 하부로 고열을 방사하여 피구이물을 가열함에 따라 본체를 슬림(slim)하게 제작할 수 있고, 상부 가열 방식으로 인해 음식물 가열시 연기 및 냄새 발생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전기식 히터수단과 꼬치대 사이의 거리를 승강수단으로 조정가능함과 동시에 전기식 히터수단의 발열량을 로터리 스위치로도 조절 가능해 피구이물의 종류 또는 상태에 따라 미세한 화력 조절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더해 본 발명은 전기식 히터수단의 열원의 낭비를 최소화하기 위해 꼬치대의 하부에 타공이 형성된 반사판을 구비하여 하부에서도 상측으로 열반사를 시킴에 따라 열효율 역시 높다.
또한 본 발명은 꼬치대를 이용해 피구이물의 구이 요리를 수행하지 않는 경우에는 떡볶이나 전골 등의 요리를 할 수 있는 전골불판을 본체 상부의 상판에 올려놓거나 다 익은 상태이나 일정한 온도 유지가 필요한 경우에는 전기식 히터수단(150)의 상측에 위치하는 지지틀(170)의 수평지지대(172)에 지지해 놓을 수 있어 다양한 요리를 만드는 데에도 폭넓게 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식 회전 꼬치구이기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식 회전 꼬치구이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식 회전 꼬치구이기를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식 회전 꼬치구이기의 평면도 및 히터수단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히터수단을 승강시키는 승강수단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식 회전 꼬치구이기의 주리용 불판의 다른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전기식 회전 꼬치구이기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상세히 설명한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식 회전 꼬치구이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에 의하면 본 발명의 전기식 회전 꼬치구이기(100)는 톱니바퀴부(11)가 지지대부(12)의 일측에 일체로 결합되는 꼬치대(10)를 회전시키면서 꼬치대(10)에 끼워진 피구이물을 익히기 위해, 하부에 기름받이(111)가 탈착가능하게 설치되는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의 상부에 일체로 고정되되 중앙에 직사각 형태의 조리공간(122)이 형성되고 상기 조리공간(122)의 좌우 양측에 꼬치대(10)의 양측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홈(124a)이 설정된 간격을 유지하며 형성되는 지지벽부(124)가 상향 돌출되는 상판(120)과, 직사각틀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좌우 양측에 상기 꼬치대(10)의 회전을 유도하기 위해 상기 꼬치대(10)의 톱니바퀴부(11)가 치합되는 톱니홈(132a)이 형성되어 상기 조리공간(122)의 가장자리 상부에 전후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유도 프레임(130)과, 상기 회전유도 프레임(130)을 상기 조리공간(122)의 상측에서 전후진시키는 전후진 동력발생수단(140)과, 상기 상판(120)의 상측에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조리공간(122) 방향으로 고열을 방사하는 전기식 히터수단(150)과, 상기 상판(120)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전기식 히터수단(150)을 상하로 승강시키는 승강수단(160)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판(120)에 하부가 고정되며 상기 전기식 히터수단(150)의 상측에 떡볶이, 전골 등의 부가요리를 할 수 있는 전골불판(20)을 안착할 수 있는 고정틀(170)이 더 구비된다.
이하, 본 발명의 각부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상기 본체(110)는 내부 중앙 하부에 기름받이(111)가 안착될 수 있는 공간부(112)가 형성되며, 상기 본체(110)의 벽면 일측에는 출입구(113)가 형성되어 기름받이(111)를 공간부(112)로 삽입하거나 인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름받이(111)는 꼬치대(10)에 끼워진 피구이물에서 떨어지는 육즙 또는 부산물 등을 용이하게 처리하기 위한 것으로, 측면에 손잡이(111a)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판(120)은 상기 본체(110)의 상부에 일체로 고정되어 마감하는 것으로, 중앙에 길이 방향으로 길게 직사각 형태의 조리공간(122)이 형성되고, 상기 조리공간(122)의 좌우 양측에 꼬치대(10)의 양측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홈(124a)이 설정된 간격을 유지하며 형성되는 지지벽부(124)가 상향 돌출된다.
이와 같은 지지벽부(124)의 지지홈(124a)에는 톱니바퀴부(11)가 지지대부(12)의 일측에 일체로 결합되는 꼬치대(10)가 지지된다. 즉 상기 지지대부(12)의 양측이 상기 지지벽부(124)의 지지홈(124a)에 지지되어 꼬치대(10)에 끼워진 피구이물은 조리공간(122)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상기 조리공간(122)의 하부에는 상기 전기식 히터수단(150)의 고열을 상기 조리공간(122)의 피구이물 방향으로 반사하는 반사부(125)가 더 구비되며, 상기 반사부(125)에는 복수의 기름배출공(125a)이 원형 또는 장공 등의 다양한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반사부(125)는 상판(120)의 가공시 프레스 가공을 통해 중앙부를 하부로 절곡하여 형성하거나 별도의 반사판을 상판(120)의 하부에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고정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반사부(125)는 전기식 히터수단(150)의 고열이 꼬치대(10) 사이를 통해 하부로 통과하는 경우 상향 반사하여 꼬치 구이시의 열효율을 높여주며, 꼬치대(10)에 끼워진 피구이물에서 떨어지는 육즙 등은 반사부(125)의 기름배출공(125a)을 통해 기름받이(111)로 안내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유도 프레임(130)은 직사각틀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좌우 양측에 상기 꼬치대(10)의 톱니바퀴부(11)가 치합되는 톱니홈(132a)이 형성되어 상기 조리공간(122)의 가장자리 상부에 전후진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때, 상기 회전유도 프레임(130)은 몸체(131)의 중앙에 관통부(133)가 형성되고 좌우 양측의 가이드부(132) 표면에는 복수의 톱니홈(132a)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몸체(131)의 후측에는 견인공(134)이 형성되며, 상기 몸체(131)의 가장자리를 따라 하향하는 보강부(135)가 돌출 형성되어 회전유도 프레임(130)의 휨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회전유도 프레임(130)은 전후방향 이동시 상판(120)에 직접 접촉되면 소음 등의 발생 우려가 높고 이물질로 인한 안정적인 전후진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기 상판(120)의 지지벽부(124) 전단과 후단에는 안내축(137)의 양단이 좌우 양측 방향으로 노출되게 고정되어 상기 회전유도 프레임(130)의 좌우 양측의 가이드부(132) 하부를 지지한다. 이에 따라 상기 회전유도 프레임(130)과 상판(120)의 상면이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게 되어 상기 회전유도 프레임(130)이 원활하게 전후진 가능함은 물론 직접적인 접촉으로 인한 소음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후진 동력발생수단(140)은 상기 회전유도 프레임(130)을 상기 조리공간(122)의 상측에서 전후진 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본체(110)의 공간부(112)에 내장 설치된다. 물론 상기 전후진 동력발생수단(140)은 상기 본체(110)의 외부 일측에 일체로 고정됨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전후진 동력발생수단(140)은 회전력을 발생하는 모터(141)와, 상기 모터(141)의 회전축(141a)에 편심되게 결합되며 외주면이 상기 회전유도 프레임(130)의 후측에 형성되는 견인공(134)에 삽입되는 편심캠(142)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견인공(134)은 상기 회전유도 프레임(130)의 몸체(131) 후측에 좌우 측방향으로 직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모터(141)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편심캠(142)이 상기 모터(141)의 회전축(141a)을 중심으로 편심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회전유도 프레임(130)을 전후진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모터(141)는 다양한 방식으로 회전속도를 조절할 수 있으나, 감속모터를 사용하여 일정하게 저속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전후진 동력발생수단(140)은 상판(120)의 일측에 구비되는 회전 버튼(145)을 작동시킴에 따라 작동된다. 물론 상기 전후진 동력발생수단(140)의 구동전원은 가정용 또는 밧데리 전원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기식 히터수단(150)은 피구이물을 익혀 조리하기 위해 상기 상판(120)의 상측에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조리공간(122) 방향으로 고열을 방사하기 위한 것으로, 히터(151)와, 상기 히터(151)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히터(151)가 방사하는 고열을 하부로 반사하는 반사갓(152)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히터(151)는 카본히터, 할로겐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히터를 채용할 수 있고, 상기 전기식 히터수단(150)의 구동전원은 가정용 전원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전기식 히터수단(150)은 상기 상판(120)의 일측에 구비되는 발열 조절노브(155)의 조작을 통해 발열량을 조절할 수 있다. 특히 전기식 히터수단(150)은 조리공간(122)을 향해 하향하도록 설치됨에 따라 히터(151)를 구동하여 피구이물이 익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연기 및 냄새 억제의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승강수단(160)은 상기 전기식 히터수단(150)을 상하로 승강시켜 상기 조리공간(122)의 상측으로 접근시키거나 멀어지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상판(120)에 고정되며 측면에 높이조절공(161)이 형성되는 원통 형상의 승강 가이드(162)와, 상기 승강 가이드(162)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상단에는 상기 전기식 히터수단(150)이 고정되는 회전축(163)과, 상기 승강 가이드(162)의 높이조절공(161)으로 노출되며 일단부는 상기 회전축(163)에 고정되는 높이 조정간(164)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높이조절공(161)은 상기 승강 가이드(162)의 측면에 상부 수평안내로(161a)와 하부 수평안내로(161b)가 수직안내로(161c)로 연결되는 '
Figure 112016110957240-pat00002
' 형상으로 관통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상기 높이 조정간(164)을 수평방향으로 틀어 상부 또는 하부 수평안내로(161a,161b)를 따라 수평으로 이동시키면 회전축(163)이 원통 형상의 승강 가이드(162) 내에서 회전하면서 회전축(163) 상단에 구비되는 전기식 히터수단(150)이 일측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후 높이 조정간(164)을 수직안내로(161c)를 따라 상측으로 들어올리거나 또는 하측으로 내리며 전기식 히터수단(150)의 높이를 조절한 후, 다시 높이 조정간(164)을 상부 또는 하부 수평안내로(161a,161b)의 단부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전기식 히터수단(150)이 원위치되며 원하는 높이로 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상부 수평안내로(161a)와 하부 수평안내로(161b)의 단부 하단에는 상부 및 하부 걸침홈(161d,161e)이 각각 형성되어 높이 조정간(164)을 지지하면 약간의 물리적 충격이 전기식 히터수단(150)에 가해지더라도 전기식 히터수단(150)이 고정된 위치를 이탈하지 않아 안정적으로 꼬치구이기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틀(170)은 상기 상판(120)에 지지되는 복수의 다리(171)와, 상기 다리(171)의 상부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떡볶이, 전골 등의 부가요리를 할 수 있는 전골불판(20)의 테두리(21)를 지지할 수 있는 수평지지대(172)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전골불판(20)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수평지지대(172)는 물론이고 상기 상판(120)의 조리공간(122)의 좌우 양측에 형성되는 지지벽부(124) 상단에도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평지지대(172)와 지지벽부(124) 사이의 간격은 동일함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전기식 회전 꼬치구이기의 사용 예를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전기식 회전 꼬치구이기(100)는 일 예로 식당 등의 식탁 중앙에 설치된 상태로 사용할 수 있다.
먼저 상기 본체(110)의 상판(120)의 조리공간(122)의 좌우 양측에 형성되는 지지벽부(124)의 지지홈(124a)에 피구이물이 끼워진 꼬치대(10)의 양측을 지지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판(120)의 일측에 구비되는 회전 버튼(145)을 누르면 전후진 동력발생수단(140)의 모터(141) 작동에 의해 편심캠(142)이 작동하면서 회전유도 프레임(130)이 반복적으로 전후진된다.
그에 따라 회전유도 프레임(130)의 좌우 양측의 가이드부(132) 표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톱니홈(132a)에 치합되는 꼬치대(10)의 톱니바퀴부(11)는 회전하게 되며 그에 따라 꼬치대(10)가 지지벽부(124)의 지지홈(124a)에 지지된 상태로 회전하게 된다.
이후 발열 조절노브(155)의 조작을 통해 전기식 히터수단(150)의 히터(151)를 구동시켜 조리공간(122) 방향으로 고열을 방사한다. 물론 반사갓(152)에 의해 고열은 하향하도록 반사시킨다. 이 경우 조리공간(122)의 하부의 반사부(125)에 의해 꼬치대(10) 사이를 통해 하부로 통과하는 고열을 다시 상향 반사하여 꼬치 구이시의 열효율을 높여준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치게 되면 꼬치대(10)에 끼워진 피구이물에서 떨어지는 육즙 등은 반사부(125)의 기름배출공(125a)을 통해 기름받이(111)로 안내되어 모이게 된다.
한편 조리중 히터(151)의 고열이 과다하거나 요리를 하는데 부족한 경우 우선 발열 조절노브(155)를 조절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서는 승강수단(160)의 높이 조정간(164)을 수동으로 조작하여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꼬치 구이를 대신하여 떡볶이나 전골 등을 직접 요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상판(120)의 조리공간(122)의 좌우 양측에 형성되는 지지벽부(124)에 전골불판(20)의 좌우 양측 테두리를 지지시킨 상태에서 요리를 수행할 수 있고, 다 익은 상태이나 일정한 온도 유지가 필요한 경우에는 전기식 히터수단(150)의 상측에 위치하는 지지틀(170)의 수평지지대(172)에 전골불판(20)을 지지한 상태로 사용함도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할 것이다.
10: 꼬치대 20: 전골불판
100: 전기식 회전 꼬치구이기 110: 본체
120: 상판 125: 반사부
130: 회전유도 프레임 140: 전후진 동력발생수단
150: 전기식 히터수단 160: 승강수단
170: 고정틀

Claims (8)

  1. 하부에 기름받이(111)가 탈착가능하게 설치되는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의 상부에 일체로 고정되되 중앙에 직사각 형태의 조리공간(122)이 형성되고 상기 조리공간(122)의 좌우 양측에 피구이물이 끼워진 꼬치대(10)의 양측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홈(124a)이 설정된 간격을 유지하며 형성되는 지지벽부(124)가 상향 돌출되는 상판(120)과, 직사각틀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좌우 양측에 상기 꼬치대(10)의 회전을 유도하기 위해 상기 꼬치대(10)의 톱니바퀴부(11)가 치합되는 톱니홈(132a)이 형성되어 상기 조리공간(122)의 가장자리 상부에 전후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유도 프레임(130)과, 상기 회전유도 프레임(130)을 상기 조리공간(122)의 상측에서 전후진시키는 전후진 동력발생수단(140)과, 상기 상판(120)의 상측에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조리공간(122) 방향으로 고열을 방사하는 전기식 히터수단(150)과, 상기 전기식 히터수단(150)을 상하로 승강시키는 승강수단(160)으로 구성되며;
    상기 상판(120)은 상기 본체(110)의 상부에 일체로 고정되어 마감하는 것으로, 중앙에 길이 방향으로 직사각 형태의 조리공간(122)이 형성되고, 상기 조리공간(122)의 좌우 양측에 꼬치대(10)의 양측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홈(124a)이 설정된 간격을 유지하며 형성되는 지지벽부(124)가 상향 돌출되며, 상기 조리공간(122)의 하부에는 상기 전기식 히터수단(150)의 고열을 상기 조리공간(122)의 피구이물 방향으로 반사하는 반사부(125)가 더 구비되며, 상기 반사부(125)에는 복수의 기름배출공(125a)이 형성되며, 상기 반사부(125)는 상기 상판(120)의 중앙부를 하부로 절곡하여 형성되며;
    상기 회전유도 프레임(130)은 몸체(131)의 중앙에 관통부(133)가 형성되고 좌우 양측의 가이드부(132) 표면에는 복수의 톱니홈(132a)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몸체(131)의 후측에는 상기 전후진 동력발생수단(140)의 구동시 상기 회전유도 프레임(130)을 전후진 시키기 위한 견인공(134)이 형성되며, 상기 몸체(131)의 가장자리를 따라 하향하는 보강부(135)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상판(120)의 지지벽부(124) 전단과 후단에는 안내축(137)의 양단이 좌우 양측 방향으로 노출되게 고정되어 상기 회전유도 프레임(130)의 좌우 양측의 가이드부(132) 하부를 지지하며;
    상기 승강수단(160)은 상기 상판(120)에 고정되며 측면에 높이조절공(161)이 형성되는 원통 형상의 승강 가이드(162)와, 상기 승강 가이드(162)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상단에는 상기 전기식 히터수단(150)이 고정되는 회전축(163)과, 상기 승강 가이드(162)의 높이조절공(161)으로 노출되며 일단부는 상기 회전축(163)에 고정되는 높이 조정간(164)으로 구성되며;
    상기 상판(120)에는 상기 전기식 히터수단(150)의 상측에 전골불판(20)을 안착할 수 있는 고정틀(170)이 더 구비되되, 상기 고정틀(170)은 상기 상판(120)에 지지되는 복수의 다리(171)와, 상기 다리(171)의 상부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전골불판(20)의 테두리(21)를 지지할 수 있는 수평지지대(17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식 회전 꼬치구이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진 동력발생수단(140)은 회전력을 발생하는 모터(141)와, 상기 모터(141)의 회전축(141a)에 편심되게 결합되며 외주면이 상기 회전유도 프레임(130)의 후측에 형성되는 견인공(134)에 삽입되는 편심캠(142)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식 회전 꼬치구이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식 히터수단(150)은 상기 조리공간(122) 방향으로 고열을 방사하기 위한 히터(151)와, 상기 히터(151)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히터(151)가 방사하는 고열을 하부로 반사하는 반사갓(152)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식 회전 꼬치구이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공(161)은 상기 승강 가이드(162)의 측면에 상부 수평안내로(161a)와 하부 수평안내로(161b)가 수직안내로(161c)로 연결되는 '
    Figure 112017061440939-pat00010
    ' 형상으로 관통 형성되며,
    상기 상부 수평안내로(161a)와 하부 수평안내로(161b)의 단부 하단에는 상부 및 하부 걸침홈(161d,161e)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식 회전 꼬치구이기.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60151138A 2016-11-14 2016-11-14 전기식 회전 꼬치구이기 KR1019021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1138A KR101902175B1 (ko) 2016-11-14 2016-11-14 전기식 회전 꼬치구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1138A KR101902175B1 (ko) 2016-11-14 2016-11-14 전기식 회전 꼬치구이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3948A KR20180053948A (ko) 2018-05-24
KR101902175B1 true KR101902175B1 (ko) 2018-10-01

Family

ID=62296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1138A KR101902175B1 (ko) 2016-11-14 2016-11-14 전기식 회전 꼬치구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21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1647A (ko) * 2019-04-16 2020-10-26 김진성 펠릿연료를 이용한 꼬치겸용 구이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93339A (zh) * 2019-11-12 2020-01-17 中山市鑫能电器制造有限公司 一种多功能烤串机
CN113349643A (zh) * 2020-02-19 2021-09-07 异起(上海)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电烧烤的方法和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307976A1 (en) 2007-06-13 2008-12-18 Yu-Yuan Lin Electric grill with skewer holders
KR101454356B1 (ko) * 2012-07-12 2014-10-23 박정열 테이블 장착 및 휴대가 가능한 난로 겸용 직화 구이기
KR101464629B1 (ko) * 2014-05-27 2014-11-25 (주)헤움 양방향 가열타입 구이기
KR200475816Y1 (ko) * 2013-09-10 2015-01-05 김석원 양면 구이용 자동 꼬치구이기
KR101641461B1 (ko) 2015-04-03 2016-07-20 김봉준 전기 및 숯불 구이판 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 가열 조리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307976A1 (en) 2007-06-13 2008-12-18 Yu-Yuan Lin Electric grill with skewer holders
KR101454356B1 (ko) * 2012-07-12 2014-10-23 박정열 테이블 장착 및 휴대가 가능한 난로 겸용 직화 구이기
KR200475816Y1 (ko) * 2013-09-10 2015-01-05 김석원 양면 구이용 자동 꼬치구이기
KR101464629B1 (ko) * 2014-05-27 2014-11-25 (주)헤움 양방향 가열타입 구이기
KR101641461B1 (ko) 2015-04-03 2016-07-20 김봉준 전기 및 숯불 구이판 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 가열 조리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1647A (ko) * 2019-04-16 2020-10-26 김진성 펠릿연료를 이용한 꼬치겸용 구이기
KR102174292B1 (ko) * 2019-04-16 2020-11-13 김진성 펠릿연료를 이용한 꼬치겸용 구이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3948A (ko) 2018-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54822B2 (ja) 赤外線加熱調理器
US9314134B2 (en) Electrical portable broiler
KR101401017B1 (ko) 구이판의 높이가 조절되는 가열 조리기
KR101902175B1 (ko) 전기식 회전 꼬치구이기
KR101520498B1 (ko) 회전 랙을 구비한 오븐 레인지
JP2016517619A (ja) 調理器具
CN212465766U (zh) 一种多功能食物电烤器具
CN113475951A (zh) 一种可煎烤空炸机
KR101660647B1 (ko) 회전식 바비큐 구이장치
KR101645564B1 (ko) 회전 드럼식 조리기
KR20120121497A (ko) 찜 구이용 조리기
US3938495A (en) Grilling apparatus with supporting surface
JP5896979B2 (ja) グリル皿及び加熱調理器
KR20160017496A (ko) 적외선 가열 조리장치
JPH09508562A (ja) 携帯バーベキュー用器具
KR101865066B1 (ko) 전기식 꼬치구이기
KR102463742B1 (ko) 숯불구이용 화로대
CN213721531U (zh) 烹饪装置
JP2008079888A (ja) 焼き上げ装置
KR101605617B1 (ko) 멀티 전기오븐
KR101894774B1 (ko) 가열헤드의 위치 가변이 가능한 적외선 조리기
KR20170136102A (ko) 전기 구이기
RU2064286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тепловой обработки пищевых продуктов
KR200353161Y1 (ko) 전기 바베큐 구이기
CN217827589U (zh) 一种多功能空气炸煎烤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