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4243Y1 - 방취막이 부착된 배수트랩 - Google Patents

방취막이 부착된 배수트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4243Y1
KR200154243Y1 KR2019970001925U KR19970001925U KR200154243Y1 KR 200154243 Y1 KR200154243 Y1 KR 200154243Y1 KR 2019970001925 U KR2019970001925 U KR 2019970001925U KR 19970001925 U KR19970001925 U KR 19970001925U KR 200154243 Y1 KR200154243 Y1 KR 2001542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odorizing
membrane
sewage
curved portion
od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19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7660U (ko
Inventor
양재호
Original Assignee
양재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호 filed Critical 양재호
Priority to KR20199700019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4243Y1/ko
Publication of KR1998005766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766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42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4243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8Odour seals
    • E03C1/298Odour seals consisting only of non-return valv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8Odour seals
    • E03C1/281Odour seals using other sealants than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8Odour seals
    • E03C1/282Odour seals combined with additional object-catch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수관으로부터 악취를 유입하기 못하게하는 방취판이 부착된 배수트랩에 관한 것으로, 배수트랩의 내측으로 탄력이 있고 유연성이 있는 방취판을 구성하여 하수가 유입될때는 하수의 하중에 의하여 열리게되고 하수가 유입되지 않을 때는 스프링과 방취판 측면의 탄력에 의하여 배수구에 밀착되어 악취가 유입되지 않도록 구성하였다.

Description

방취막이 부착된 배수트랩
본 고안은 방취막이 부착된 배수트랩에 관한 것이다.
종래 배수트랩의 악취방지장치는 거름망에 부착된 탄력있는 배수판을 트랩내부로 삽입하여 하수관과 밀착시키는 구조를 가지고 있었으며, 유입된 하수의 하중으로 인하여 배수판의 측면이 오므라들게되어 하수를 배출시키고, 하수가 유입되지 않을때에는 배수판의 탄력으로 인하여 하수관에 배수판의 끝단이 밀착되어 악취유입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는 구성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구성은 하수의 잦은 유입으로 배수판이 오므라들고 펴지는 과정을 되풀이 하면서 배수판의 탄성이 없어지게되고 탄성이 사라진 배수판의 틈새로 악취가 유입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이러한 기술구성은 하수관의 지름과 배수판 끝단의 지름이 같게 형성되었기 때문에 탄력을 잃게되어 배수관과 배수판의 사이로 공간이 생기게되어 악취의 유입을 방지하지 못하게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고안은 방취막이 부착된 배수트랩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배수트랩 내측으로 탄력있는 방취막을 구성하여 하수의 배출과 하수구로부터의 악취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고안된 것이다.
종래의 배수트랩이 갖고있던 문제중 악취를 완전하게 차단할수 없었던것을 해소시킨 것으로 하수가 배출되는 배수구의 지름보다 방취막의 크기를 크게형성하였으며, 방취막에 볼록한 형상을 유지하도록 만곡부를 구성하여 본체내부의 결합턱의 모서리에 만곡부가 탄력있게 결합하도록 하였다.
하수가 배출될때 방취막이 아래로 하강하거나 방취막에 형성된 만곡부가 오므라들어 하수가 배출되도록 하였으며, 하수가 배출되지 않을때는 방취막에 형성된 만곡부의 탄력으로 만곡부와 결합턱 하단의 모서리가 밀착되어 하수구로부터의 악취 및 유해가스 유입을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제1도는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2 : 거름망
3 : 방취막 4 : 스프링
5 : 너트 7 : 결합턱
8 : 방취막고정대 9 : 나사면
10 : 결합홈 11 : 절곡면
12 : 만곡부 13 : 삽입구
제1도는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체(1)는 내측으로 결합턱(7)을 형성하였으며, 본체(1)의 내측으로 방취막 고정대(8)가 삽입될 수 있도록 결합홈(10)을 형성하였다.
방취막고정대(8)의 하단에는 나사면(9)을 형성하여 너트(5)와 결합되도록 구성하였다.
방취막고정대(8)의 하단으로 삽입구(12)가 상부에 형성된 방취막(3)을 삽입하고 스프링(4)을 삽입하였으며, 방취막고정대(8)의 하단에 형성된 나사면(9)에 너트(5)를 결합하여, 본체(1)의 내부로 삽입하도록 하였으며 본체(1)내부에 형성된 결합홈(10)에 방취막고정대(8)의 양쪽끝단을 삽입한후 본체(1)의 상단으로 거름망(2)을 결합하도록 구성하였다.
방취막(3)은 탄력이있고 유연성이있는 고무재질로 형성되어 있으며 방취막(3)의 중간위치의 둘레로 절곡면(11)을 형성하여 방취막(3)에 일정한 강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하수가 유입될때 하수의 하중에 의하여 방취막(3)의 중간부분이 쉽게 찌그러지지 않도록 구성하였다.
절곡면(11)의 하단으로는 만곡부(12)를 구성하여 항상 볼록하게 튀어나오도록 하였으며, 만곡부(12)의 하단으로는 내측으로 오므라들도록 구성하여 탄성을 유지하도록 구성 하였다.
만곡부(12)로 인하여 하수가 유입되지 않을때 항상 원형을 유지하도록 탄성이 생기게되어 만곡부(12)가 볼록한 형상을 유지하도록 하였으며, 만곡부(12)와 본체(1) 내측의 결합턱(7) 모서리에 결합되도록하여 하수관으로부터의 악취유입을 방지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도록 구성되었다.
제2도는 본 고안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하수가 유입되지않은 상태에서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본체(1)의 내측으로 방취막고정대(8)를 결합홈(10)에 삽입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렇게 본체(1)내부로 구성요소들이 삽입되어 방취막(3)은 결합턱(7) 아래로 내려가 결합하게된다.
방취막(3)의 하단측면으로 형성된 만곡부(12)가 결합턱(7)의 모서리에 결합하게되어 결합턱(7)과 방취막(3)이 항상 밀착되어 하수구로 부터의 악취유입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된다.
방취막(3)은 탄력있고 유연한 고무재질로 형성되어 있고 방취막의 중간부분에 절곡면(11)을 형성하여 일정한 강도를 유지하도록 구성하여 많은양의 하수가 유입될때에도 원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방취막(3)의 측면하단으로 만곡부(12)를 형성하여 항상 볼록한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하여 탄력을 제공하였으며 탄력이있는 상태로 결합턱(7)의 측면 모서리에 접촉하도록 하였다.
제3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하수가 거름망(2)을 통하여 본체(1) 내부로 많은양의 하수가 유입되면 하수의 하중에 의하여 방취막(3)이 아래로 하강하게된다.
이때 방취막(3)의 중간측면에 형성된 절곡면(11)에 의하여 방취막(3)이 일정한 강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방취막(3)의 내부로 스프링(4)을 구성하였기 때문에, 많은 양의 하수가 유입되었을때 방취막(3)은 하강하게되고 하수유입이 멈추게되면 스프링(4)에 의하여 방취막(3)은 탄력있는 상하운동을 하게된다.
적은양의 하수가 유입될때는 하수가 만곡부(12)와 결합턱(7) 사이의 공간으로 모이게되고 이때는 만곡부가 내측으로 약간씩 오므라들게되어 그 틈새로 하수가 배출되도록 하였다.
방취막(3)은 유연한 고무재질로 형성되었고 하단의 만곡부(12)는 얇게 형성되어 적은 힘으로도 오므라들수있고 만곡부(12)에의하여 형성된 볼록한 측면이 탄력을 제공하도록 일정한 강도를 유지하여, 오므라들었다가 다시 원상태로 복귀할때 결합턱(7)의 모서리와 결합되어 하수관과 본체(1) 내측을 하수관으로부터 밀폐시키는 역할을 하게된다.
본 고안은 방취막이 부착된 배수트랩에 관한 것으로, 방취막의 탄력적인 작동으로 인하여 방취막과 배수구를 밀착시키도록하여 하수구로 부터의 유해가스 및 악취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하였으며, 항상 위생적인 환경을 제공하는 효과가있다.

Claims (1)

  1. 상단으로 거름망(2)이 결합된 본체(1)의 내측으로는 결합홈(10)과 결합턱(7)을 형성하며, 방취막고정대(8)는 하단으로 나사면(9)을 형성하고, 방취막고정대(8)에는 중간측면 둘레로 절곡면(11)을 형성하고 하단으로 만곡부(12)를 형성한 방취막(3)과 스프링(4)이 삽입되며 나사면(9)에 너트(5)로 결합되고, 방취막고정대(8)의 양쪽끝단을 결합홈(10)에 결합하여 본체(1)내측으로 결합시켜 방취막(3)의 만곡부(12)가 결합턱(7)하단 모서리에 접촉되게 한것을 특징으로하는 방취막이 부착된 배수트랩.
KR2019970001925U 1997-02-11 1997-02-11 방취막이 부착된 배수트랩 KR2001542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1925U KR200154243Y1 (ko) 1997-02-11 1997-02-11 방취막이 부착된 배수트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1925U KR200154243Y1 (ko) 1997-02-11 1997-02-11 방취막이 부착된 배수트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7660U KR19980057660U (ko) 1998-10-15
KR200154243Y1 true KR200154243Y1 (ko) 1999-08-02

Family

ID=19495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1925U KR200154243Y1 (ko) 1997-02-11 1997-02-11 방취막이 부착된 배수트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4243Y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8397A (ko) * 2003-06-17 2004-12-24 박태원 드레인 트랩
KR100481792B1 (ko) * 2002-10-16 2005-04-14 (주) 파주서원종합건축사사무소 하수관의 냄새 및 소음 방지 장치
KR101037772B1 (ko) 2010-07-22 2011-05-27 주식회사 에스엠지 하수구의 냄새역류방지장치
KR101380357B1 (ko) * 2012-06-11 2014-04-02 채산종 하수의 역류방지장치
KR101556145B1 (ko) 2013-09-17 2015-10-01 최원철 배수구용 악취 차단 마개
KR20190061780A (ko) * 2017-11-28 2019-06-05 이양호 하수구 악취방지 장치
KR102518058B1 (ko) * 2021-12-17 2023-04-04 신세욱 자동개폐형 싱크대 배수통 덮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4650A (ko) * 2001-07-06 2003-01-15 양재호 배수트랩
DE102020114552A1 (de) * 2020-05-29 2021-12-02 Opan Ag Geruchsverschlusseinrichtung für Urinale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1792B1 (ko) * 2002-10-16 2005-04-14 (주) 파주서원종합건축사사무소 하수관의 냄새 및 소음 방지 장치
KR20040108397A (ko) * 2003-06-17 2004-12-24 박태원 드레인 트랩
KR101037772B1 (ko) 2010-07-22 2011-05-27 주식회사 에스엠지 하수구의 냄새역류방지장치
WO2012011766A2 (ko) * 2010-07-22 2012-01-26 주식회사 에스엠지 하수구의 냄새역류방지장치
WO2012011766A3 (ko) * 2010-07-22 2012-05-03 주식회사 에스엠지 하수구의 냄새역류방지장치
KR101380357B1 (ko) * 2012-06-11 2014-04-02 채산종 하수의 역류방지장치
KR101556145B1 (ko) 2013-09-17 2015-10-01 최원철 배수구용 악취 차단 마개
KR20190061780A (ko) * 2017-11-28 2019-06-05 이양호 하수구 악취방지 장치
KR102012395B1 (ko) 2017-11-28 2019-08-20 이양호 하수구 악취방지 장치
KR102518058B1 (ko) * 2021-12-17 2023-04-04 신세욱 자동개폐형 싱크대 배수통 덮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7660U (ko) 1998-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54243Y1 (ko) 방취막이 부착된 배수트랩
KR200434948Y1 (ko) 하수구용 배스트랩
KR20120132024A (ko) 배수 트랩
KR200265950Y1 (ko) 악취방지용 배수구
KR100454465B1 (ko) 배수트랩
JP2007146643A (ja) 排水口用悪臭防止装置
KR20090001900U (ko) 악취 및 역류 방지장치
KR101922537B1 (ko) 악취 차단용 배수트랩
KR20080089804A (ko) 배수구 장치
KR200475135Y1 (ko) 역류방지장치
JP2013517403A (ja) 非水洗便器および他の排水設備で使用するためのドライトラップ弁
KR200489327Y1 (ko) 냄새차단 트랩
KR200449920Y1 (ko) 하수구 방취·방충용 고무 개폐구
KR200487178Y1 (ko) 하수구 악취차단기구
KR20100012980U (ko) 하수구용 배수트랩
KR200257140Y1 (ko) 배수트랩
KR20160020902A (ko) 악취유입을 방지하는 배수트랩
KR20030004650A (ko) 배수트랩
KR200388695Y1 (ko) 악취 방지 하수구 덮개
KR101279024B1 (ko) 수평이음관에 장착되는 악취차단장치
KR200218233Y1 (ko) 하수구 맨홀용 냄새방지장치
KR200330363Y1 (ko) 세면대 배수관용 악취방지장치
JP4651021B2 (ja) 下水道用臭気防止装置
KR102341397B1 (ko) 배수트랩
KR200196995Y1 (ko) 배수구 냄새 역류 방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4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