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3575Y1 - 하천의 생활 오폐수 정화장치 - Google Patents

하천의 생활 오폐수 정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3575Y1
KR200273575Y1 KR2020020003164U KR20020003164U KR200273575Y1 KR 200273575 Y1 KR200273575 Y1 KR 200273575Y1 KR 2020020003164 U KR2020020003164 U KR 2020020003164U KR 20020003164 U KR20020003164 U KR 20020003164U KR 200273575 Y1 KR200273575 Y1 KR 2002735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rification
partition plate
river
block
waste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31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용호
정명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삼안건설기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삼안건설기술공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삼안건설기술공사
Priority to KR20200200031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357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35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3575Y1/ko

Links

Landscapes

  • Filtration Of Liquid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천의 주위의 가정에서 직접적으로 하천에 배출되는 생활 오폐수를 정화시키는 하천의 생활 오폐수 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생활 오폐수가 직접적으로 유입되는 하천에 설치하여, 상기 오폐수를 정화시키는 정화장치에 있어서; 상부측이 개방되고 하부측이 밀폐되어 자갈을 수용하도록 육면체의 정화블럭이 구비되고, 상기 정화블럭의 내부에 일정간격으로 제1분할판과 제2분할판, 제3분할판이 순차적으로 부착되며, 상기 제1분할판의 측면과 그에 대응하는 상기 정화블럭의 내벽에 장착턱이 형성되고, 상기 제1분할판의 하부측에 다수개의 제1배수공이 수평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분할판의 상기 고정턱의 하부에 다수개의 제2배수공이 수평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3분할판의 하부측에 다수개의 제3배수공이 수평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3분할판에 대응되는 상기 정화블럭의 측벽에 상기 제2배수공과 단차지도록 다수개의 제4배수공이 수평으로 형성되는 정화부와; 상기 분할판과 정화블럭의 내벽의 사이에 각각 고정턱이 형성되고, 대응되는 각각의 상기 고정턱에 다수개의 하면에 그물망을 갖는 식물식재케이스와 보도블럭이 재치되는 자연정화부와; 상기 장착턱에 장착되고, 그 내부에 자갈과 모래를 각각 수용하도록 구비되는 여과부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하천의 생활 오폐수 정화장치를 제공함으로서, 하천 주변의 가정에서 하천으로 직접 유입되는 생활 오폐수를 정화시켜 하천의 수질오염을 방지하고 그에 따라 하천 주변의 주거 환경이 개선되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하천의 생활 오폐수 정화장치{Living wastewater disposal apparatus for a river}
본 고안은 하천의 주위의 가정에서 직접적으로 하천에 배출되는 생활 오폐수를 정화시키는 하천의 생활 오폐수 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천의 주변의 가정에서는 정화조 등에 의한 정화과정을 거치진 않은 오폐수가 바로 하천으로 유입되고 있는 실정이다.
여기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하천 주변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를 살펴보면,
하천(100)의 주변에 형성되는 주택(200)에서 배출되는 오폐수(300)가 하천(100)의 둑에 설치되는 배수관(201)을 통해 정화조 및 정화시설을 통한 공지의 정화과정 없이 곧 바로 하천(100)으로 배출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배출된 오폐수는 하천의 수질오염을 발생시키는 주요한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수질오염으로 하천의 생태계가 파괴됨은 물론, 악취 및 비위생적인 환경이 조성되어 하천 주변이 주거공간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게 되는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비위생적인 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막대한 자금을 투입하여 환경을 개선하여도 일시적인 환경개선에 그칠 뿐이고 지속적으로 배출되는 생활 오폐수를 근본적으로 정화시키지 못하며, 그에 따라 비위생적인 환경의 개선에 따른 경제적 부담 및 비위생적인 주거환경이 계속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자갈이 수용되어 생활 오폐수를 정화하는 정화부와 식물에 의해 유기물이 분해되는 자연정화부와 생활 오폐수를 1차적으로 걸러주는 여과부로 구성되어 하천의 주위의 가정에서 직접적으로 하천에 배출되는 생활 오폐수를 정화시키는 하천의 생활 오폐수 정화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여과부가 정화부에 삽입 및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고 여과부의 하부측의 매쉬망이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어 여과부에서 생활 오폐수에 의해 축적되는 쓰레기 및 슬러지를 용이하게 제거하도록 하는 하천의 생활 오폐수 정화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정화부의 내부로 세척부가 구비되어 생활 오폐수가 정화되면서 정화부의 내부에 축적되는 미세한 슬러지를 물의 분사에 의해 세척하도록 하는 하천의 생활 오폐수 정화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생활 오폐수가 직접적으로유입되는 하천에 설치하여, 상기 오폐수를 정화시키는 정화장치에 있어서; 상부측이 개방되고 하부측이 밀폐되어 자갈을 수용하도록 육면체의 정화블럭이 구비되고, 상기 정화블럭의 내부에 일정간격으로 제1분할판과 제2분할판, 제3분할판이 순차적으로 부착되며, 상기 제1분할판의 측면과 그에 대응하는 상기 정화블럭의 내벽에 장착턱이 형성되고, 상기 제1분할판의 하부측에 다수개의 제1배수공이 수평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분할판의 상기 고정턱의 하부에 다수개의 제2배수공이 수평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3분할판의 하부측에 다수개의 제3배수공이 수평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3분할판에 대응되는 상기 정화블럭의 측벽에 상기 제2배수공과 단차지도록 다수개의 제4배수공이 수평으로 형성되는 정화부와; 상기 분할판과 정화블럭의 내벽의 사이에 각각 고정턱이 형성되고, 대응되는 각각의 상기 고정턱에 다수개의 하면에 그물망을 갖는 식물식재케이스와 보도블럭이 재치되는 자연정화부와; 상기 장착턱에 장착되고, 그 내부에 자갈과 모래를 각각 수용하도록 구비되는 여과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여과부는 상부측이 개방되고 하부측에 매쉬망이 구비되며 모래와 자갈이 각각 수용되도록 두개의 육면체형상으로 구비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상부측에 그 내벽으로 구비되는 손잡이와, 상기 매쉬망의 일측에 고리가 구비되고 상기 고리에 대응되는 상기 케이스의 외벽에 삽입홈이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에 상기 매쉬망이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는 개폐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정화부는 상기 정화블럭의 외측 상부에 구비되어 하천의 물을 끌어들이는 펌프와, 상기 펌프에 연결되고 상기 분할판의 하부측으로 관통하여 수평으로 구비되는 세척관과, 상기 세척관의 외주면에 다수개로 구비되는 분사노즐로 구성되는 세척부가 그 내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정화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정화장치의 결합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정화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종래의 하천 주변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정화장치
10 : 정화부
11 : 정화블럭 12 : 제1분할판 13 : 제2분할판
14 : 제3분할판 15 : 장착턱 16 : 제1배수공
17 : 고정턱 18 : 제2배수공 19 : 제3배수공
20 : 제4 배수공
30 : 여과부
31 : 케이스 32 : 매쉬망 33 : 손잡이
34 : 개폐부 35 : 고리 36 : 삽입홈
50 : 세척부
51 : 펌프 52 : 세척관 53 : 분사노즐
2 : 하천 3 : 오폐수 4 : 자갈
5 : 모래 6 : 식물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정화장치의 분해 사시도로 본 고안의 구성을 살펴보면,
정화장치(1)는 하천의 주변의 주택에서 직접 하천으로 배출되는 오폐수를 정화하는 정화부(10)와, 상기 정화부(10)에 걸러지는 유기물이나 이물질을 식물로 정화시키는 자연정화부(20)와, 상기 정화부(10)에 오폐수가 유입되기 전에 여과하는 여과부(30)로 구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정화부(10)는 상부측이 개방되고 하부측이 밀폐되는 육면체의 정화블럭(11)이 구비되고, 상기 정화블럭(11)이 여러 개의 수용 공간을 갖도록 그 내부에 일정간격으로 제1분할판(12), 제2분할판(13), 제3분할판(14)이 구비되며, 상기 제1분할판(12)과 그에 대응하는 상기 정화블럭(11)의 내벽에 장착턱(15)이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자연정화부(20)는 상기 분할판(12)(13)(14)과 정화블럭(11)의 내벽으로 고정턱(21)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턱(21)에 재치되도록 식물을 식재할 수 있는 수용공간을 가지는 식물식재케이스(22)가 구비되며, 상기 식물식재케이스(22)의 하부에 그물망(23)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턱(21)에 보도블럭(24)이 재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여과부(30)는 상부측이 개방되고 하부측에 매쉬망(32)이 구비되며 모래와 자갈이 각각 수용되도록 두개의 육면체형상으로 구비되는 케이스(31)와, 상기 케이스(31)의 상부측에 그 내벽으로 구비되는 손잡이(33)와, 상기 매쉬망(32)의 일측에 고리(35)가 구비되고 상기 고리(35)에 대응되는 상기 케이스(31)의 외벽에 삽입홈(36)이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31)에 상기 매쉬망(32)이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는 개폐부(34)로 구성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 정화부(10)는 그 내부에 자갈이 수용되어 오폐수가 상기 정화블럭(11)의 내부를 지나면서 정화되도록 하는 것이고, 상기 정화블럭(11)은 자갈이 수용되는 공간의 역할을 하는 것이며, 상기 분할판(12)(13)(14)은 상기 정화블럭(11)이 여러 부분의 공간을 가지도록 분할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고, 상기 장착턱(15)은 상기 여과부(30)가 상기 정화블럭(11)에 적절히 안착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자연정화부(20)는 상기 정화부(10)의 정화과정에서 상기 정화블럭(11)의 내부로 적체되는 오물이나 슬러지 등이 함유하고 있는 질소나 인을 식물이 흡수하도록 하여 자연적으로 정화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고정턱(21)은 상기 식물식재케이스(22)가 적절히 안착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고, 상기 식물식재케이스(22)는 그 내부에 흙이 수용되어 식물이 생장할 수 있도록 하는 공간이며, 상기 그물망(23)은 상기식물식재케이스(22)에 생장하는 식물의 뿌리가 상기 정화블럭(22)의 내부로 유입되어 그 내부의 오물이나 슬러지 등에 함유된 질소 및 인을 흡수하도록 하는 것이고, 상기 보도블럭(24)은 본 고안의 사용자가 용이하게 상기 식물식재케이스(22)에 식재되는 식물을 관리할 수 있도록 이동통로의 역할을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여과부(30)는 생활 오폐수가 상기 정화부(10)에 유입되어 정화되기 전에 오폐수에 내포되는 부유물이나 슬러지 및 쓰레기를 1차적으로 여과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케이스(31)는 자갈이나 모래가 수용되는 역할을 하는 것이고, 상기 매쉬망(32)은 상기 케이스(31)의 내부로 슬러지 등이 걸러지고 물은 하부측으로 빠지도록 하는 것이며, 상기 손잡이(33)는 상기 여과부(30)를 용이하게 상기 정화블럭(11)에 수용하도록 하는 것이고, 상기 고리(35)와 삽입홈(36)은 상기 매쉬망(32)이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도록 하여 그 사용상의 편리성이 확보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여과부(30)는 그 장착 및 분리가 용이하게 구성되어 오폐수에 내포되는 슬러지의 용이한 분리가 가능하게 구비되고, 그에 따라 상기 정화장치(1)의 정화효율이 극대화되도록 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정화부(10)는 자갈을 수용하는 네 부분에 단계적으로 오폐수의 정화가 일어남으로서, 오폐수의 정화가 극대화되고 그에 따라 하천 주변의 주거 환경이 현저히 개선되는 것이다.
한편,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정화장치의 결합 단면도를살펴보면,
정화장치(1)는 정화부(10)와 자연정화부(20), 그리고 여과부(30)로 구성되는데, 상기 정화부(10)는 정화블럭(11)의 내부로 제1분할판(12), 제2분할판(13), 제3분할판(14)이 구비되어 공간의 분할이 이루어지고, 상기 제1분할판(12)의 하부에 제1배수공(16)이 형성되고, 상기 제2분할판(13)의 상부측에 제2배수공(17)이 형성되며, 상기 제3분할판(14)의 하부에 제3배수공(18)이 형성되고, 상기 제3분할판(14)에 대응되는 상기 정화블럭(11)의 상부측에 제4배수공(19)이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자연정화부(20)는 상기 분할판(12)(13)(14)과 정화블럭(11)에 각각 형성되는 고정턱(21)에 식물식재케이스(22)와 보도블럭(24)이 안착되어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여과부(30)는 상기 정화블럭(11)의 장착턱(15)에 두개가 층으로 이루도록 장착되어 구비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배수공(16)(17)(18)(19)은 상기 정화블럭(11)에 유입되는 오폐수가 통과하는 통로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그 통과과정을 보면, 상기 여과부(30)의 상부측에서 유입되는 오폐수는 상기 여과부(30)를 통과하여 상기 제1배수공(16)을 지나면서 정화되고, 상기 제1배수공(16)을 통과한 오폐수는 상기 제1배숟공보다 상부측에 형성되는 상기 제2배수공(17)을 지나면서 정화되며, 상기 제2배수공(17)을 통과한 오폐수는 상기 제2배수공(17)보다 하부측에 형성되는 상기 제3배수공(18)을 지나면서 정화되고, 상기 제3배수공(18)을 통과한 오폐수는 상기 제3배수공(18)보다 상부측에 형성되는 상기 제4배수공(19)을 지나면서 정화되어 오폐수의 완전한 정화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각각의 배수공(16)(17)(18)(19)을 지나면서 오폐수는 적절히 정화되고 그에 따라 하천에는 정화되어 깨끗해진 물이 유입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배수공(16)(17)(18)(19)은 상하로 서로 순차적으로 형성되고, 아울러 상기 제2배수공(17)보다 제4배수공(19)이 다소 낮게 형성되어 적절한 배수가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한 것인데,
그 이유는 우선 상기 배수공(16)(17)(18)(19)이 상하로 순차적으로 형성됨으로서, 상기 정화블럭(11)을 통과하는 오폐수가 상기 정화블럭(11)의 내부에 수용되는 자갈을 전체적으로 통과하게 되어 정화효율이 높아지게 되기 때문이고, 상기 제2배수공(17)보다 제4배수공(19)이 다소 낮게 형성되는 것은 상기 제4배수공(19)을 통해 하천의 물이 상기 정화블럭(11)의 내부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정화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를 살펴보면,
하천(2)의 주변의 주택에서 직접 하천(2)으로 배출되는 오폐수(3)는 1차적으로 여과부(30)의 자갈(4)과 모래(5)를 통과하여 큰 덩어리의 슬러지나 쓰레기가 걸러지고, 상기 여과부(30)를 통과한 오폐수(3)는 정화블럭(11)의 내부로 유입되며, 상기 정화블럭(11)에 수용되는 자갈(4)에 의해 정화가 이루어지고, 상기정화블럭(11)의 상부측으로 구비되는 자연정화부(20)에 의해 미세한 유기물들이 흡수되어 정화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여과부(30)에 의한 정화과정을 보면, 상기 여과부(30)의 구비되는 자갈(4)이 수용되는 케이스(31)에서 큰 덩어리의 슬러지가 걸러지고, 그 하부측에 구비되는 모래(5)가 수용되는 케이스(31)에서 미세한 슬러지가 걸러지게 되어 대부분의 정화는 상기 여과부에서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여과부(30)를 통과한 오폐수(3)는 다시 상기 정화블럭(11)을 통과하면서 완전하게 정화되어 상기 하천(2)으로 배출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여과부(30)는 오물이 적체되면 상기 정화블럭(11)에서 빼내어 세척함으로서, 그 정화능력을 손쉽게 회복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 정화부(10)에는 중금속이나 질소 인 등의 상기 하천(2)의 부영양화의 원인이 되는 미세한 물질이 잘 걸러지지 않게 되고, 아울러 상기 정화블럭(11)이 설치된 후에는 그 내부에 적체되는 오물의 세척이 용이하지 않음으로, 상기 정화블럭(11)의 상부측으로 상기 자연정화부(20)가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자연정화부(20)의 식물식재케이스(22)에 식물(6)을 생육하게 되면, 상기 정화블럭(11) 내부의 중금속이나 질소 인 등의 미세한 부영양화물질이 적절히 흡수되고 아울러 상기 정화블럭(11)의 내부에 적체되는 미세한 슬러지 등이 적절히 흡수되어 자연적인 정화가 일어나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정화장치(1)의 상면에 상기 식물(6)이 식재됨으로서, 본 고안의 정화기능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하천(2)의 주변환경을 미려하게 하여 인공적인구조물에 의해 삭막함을 제거하는 역할도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2분할판(13)과 제3분할판(14)의 상부측의 고정턱(21)에 보도블럭(24)을 설치하여 본 고안의 상부측으로 사용자가 자유로이 이동 가능하게 구비됨으로서, 상기 식물식재케이스(22)에 생육되는 식물(6)의 용이한 생장관리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전체적인 정화과정을 살펴보면, 우선 상기 여과부(30)에 의해 1차적으로 덩어리가 큰 슬러지 등이 정화되고, 상기 분할판(12)(13)(14)의 배수공(16)(17)(18)(19)을 통과하면서 완전히 정화되어 하천(2)으로 배수되며, 상기 자연정화부(20)에 의해 상기 정화블럭(11)의 내부에 적체되는 미세한 중금속이나 질소 인 등의 부영양화물질이 흡수되어 정화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2분할판(13)의 제2배수공(17)과 상기 제3분할판(14)에 대응하는 상기 정화블럭(11)의 제4배수공(19)은 그 높이차가 형성되도록 단차지게 구비하여 상기 하천(2)으로의 원활한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를 살펴보면,
정화장치(1)는 하천의 주변의 주택에서 직접 하천으로 배출되는 오폐수를 정화하는 정화부(10)와, 상기 정화부(10)를 자연적으로 정화시키는 자연정화부(20)와, 상기 정화부(10)에 오폐수가 유입되기 전에 여과하는 여과부(30)와, 상기 정화부(10)의 하부측에서 상기 정화부(10)에 수용되는 자갈을 세척하는 세척부(40)로 구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세척부(40)는 상기 정화블럭(11)의 외측 상부에 구비되어 하천의 물을 끌어들이는 펌프(41)와, 상기 펌프(41)에 연결되고 상기 정화블럭(11)의 분할판(12)(13)(14)의 하부측으로 관통하여 수평으로 구비되는 세척관(42)과, 상기 세척관(42)의 외주면에 다수개로 구비되는 분사노즐(43)로 구성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 정화장치(1)는 상기 정화부(10)에 의해 오폐수가 정화되는 과정에 상기 정화블럭(11)의 내부에 수용되는 자갈의 표면에 오폐수의 슬러지가 접착되어 정화가 이루어지는데, 상기 세척부(40)는 상기와 같이 자갈에 접착된 슬러지와 상기 정화블럭(11)의 내부에 적체되는 슬러지 및 오물을 세척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여기서, 그 세척과정을 살펴보면, 우선 상기 정화블럭(11)의 제4배수공(19)에 적절한 배출관을 장착하고, 상기 펌프(41)를 이용하여 상기 정화블럭(11)의 내부로 하천의 물을 유입시키면, 상기 분사노즐(43)에 의해 상기 정화블럭(11)의 내부로 물의 분사가 이루어지면서 자갈에 접착되거나 상기 정화블럭(11)의 내부에 적체되는 슬러지 등이 떨어져 물과 함께 상기 제4배수공(19)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의 정화부(10)에 대한 적절한 세척이 이루어짐으로서, 상기 정화장치(1)의 오폐수에 대한 정화효율이 극대화되고, 아울러 상기 정화장치(1)의 지속적인 사용이 가능해지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자갈이 수용되어 생활 오폐수를 정화하는 정화부와 식물에 의해 유기물이 분해되는 자연정화부와 생활 오폐수를 1차적으로 걸러주는 여과부로 구성되어 하천의 주위의 가정에서 직접적으로 하천에 배출되는 생활 오폐수를 정화시키는 하천의 생활 오폐수 정화장치를 제공함으로서, 하천 주변의 가정에서 하천으로 직접 유입되는 생활 오폐수를 정화시켜 하천의 수질오염을 방지하고 그에 따라 하천 주변의 주거 환경이 개선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고안은 여과부가 정화부에 삽입 및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고 여과부의 하부측의 매쉬망이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어 여과부에서 생활 오폐수에 의해 축적되는 쓰레기 및 슬러지를 용이하게 제거하도록 하는 하천의 생활 오폐수 정화장치를 제공함으로서, 본 고안의 사용상의 편리성이 제공되고 아울러 지속적인 여과에 따른 슬러지를 용이하게 제거하여 본 고안의 정화효율을 극대화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고안은 정화부의 내부로 세척부가 구비되어 생활 오폐수가 정화되면서 정화부의 내부에 축적되는 미세한 슬러지를 물의 분사에 의해 세척하도록 하는 하천의 생활 오폐수 정화장치를 제공함으로서, 본 고안의 영구적인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면서 동시에 적절한 오폐수의 정화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3)

  1. 생활 오폐수(3)가 직접적으로 유입되는 하천(2)에 설치하여, 상기 오폐수(3)를 정화시키는 정화장치에 있어서;
    상부측이 개방되고 하부측이 밀폐되어 자갈(4)을 수용하도록 육면체의 정화블럭(11)이 구비되고, 상기 정화블럭(11)의 내부에 일정간격으로 제1분할판(12)과 제2분할판(13), 제3분할판(14)이 순차적으로 부착되며, 상기 제1분할판(12)의 측면과 그에 대응하는 상기 정화블럭(11)의 내벽에 장착턱(15)이 형성되고, 상기 제1분할판(12)의 하부측에 다수개의 제1배수공(16)이 수평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분할판(13)의 상기 고정턱(21)의 하부에 다수개의 제2배수공(17)이 수평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3분할판(14)의 하부측에 다수개의 제3배수공(18)이 수평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3분할판(14)에 대응되는 상기 정화블럭(11)의 측벽에 상기 제2배수공(17)과 단차지도록 다수개의 제4배수공(19)이 수평으로 형성되는 정화부(10)와;
    상기 분할판(12)(13)(14)과 정화블럭(11)의 내벽의 사이에 각각 고정턱(21)이 형성되고, 대응되는 각각의 상기 고정턱(21)에 다수개의 하면에 그물망(23)을 갖는 식물식재케이스(22)와 보도블럭(24)이 재치되는 자연정화부(20)와;
    상기 장착턱(15)에 장착되고, 그 내부에 자갈(4)과 모래(5)를 각각 수용하도록 구비되는 여과부(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의 생활 오폐수 정화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부(30)는,
    상부측이 개방되고 하부측에 매쉬망(32)이 구비되며 모래(5)와 자갈(4)이 각각 수용되도록 두개의 육면체형상으로 구비되는 케이스(31)와, 상기 케이스(31)의 상부측에 그 내벽으로 구비되는 손잡이(33)와, 상기 매쉬망(32)의 일측에 고리(35)가 구비되고 상기 고리(35)에 대응되는 상기 케이스(31)의 외벽에 삽입홈(36)이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31)에 상기 매쉬망(32)이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는 개폐부(3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의 생활 오폐수 정화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부(10)는,
    상기 정화블럭(11)의 외측 상부에 구비되어 하천의 물을 끌어들이는 펌프(51)와, 상기 펌프(51)에 연결되고 상기 분할판(12)(13)(14)의 하부측으로 관통하여 수평으로 구비되는 세척관(52)과, 상기 세척관(52)의 외주면에 다수개로 구비되는 분사노즐(53)로 구성되는 세척부(50)가 그 내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의 생활 오폐수 정화장치.
KR2020020003164U 2002-01-31 2002-01-31 하천의 생활 오폐수 정화장치 KR2002735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3164U KR200273575Y1 (ko) 2002-01-31 2002-01-31 하천의 생활 오폐수 정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3164U KR200273575Y1 (ko) 2002-01-31 2002-01-31 하천의 생활 오폐수 정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3575Y1 true KR200273575Y1 (ko) 2002-05-03

Family

ID=73117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3164U KR200273575Y1 (ko) 2002-01-31 2002-01-31 하천의 생활 오폐수 정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357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6057B1 (ko) 2011-12-15 2012-11-29 주식회사 승원엔지니어링 보도의 식생 배수 구조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6057B1 (ko) 2011-12-15 2012-11-29 주식회사 승원엔지니어링 보도의 식생 배수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9151B1 (ko) 초기우수 다중여과시설
KR20090087525A (ko) 오수정화용 여과시스템
KR100767754B1 (ko) 정화시설 내부 저장수를 이용하여 물청소하는 오염수다중정화시설 및 오염수 정화방법
CN109179875A (zh) 一种农村污水处理的曝气微生物小型滤水箱
KR101080636B1 (ko) 비점오염원 저감시스템
KR101538439B1 (ko) 교량용 비점오염물질 정화처리장치
KR100920060B1 (ko) 경계석이 일체로 된 도로 비점오염 저감설비
KR100953473B1 (ko) 다양한 입자별 거름기능과 수량조절, 정화 및 투수작용의 착탈식 우수받이 시스템
KR200273575Y1 (ko) 하천의 생활 오폐수 정화장치
KR101202895B1 (ko) 빗물 저류 장치
KR101499172B1 (ko) 빗물 이용 장치
KR200321399Y1 (ko) 투수블록을 이용한 중수처리장치
KR101530970B1 (ko) 빗물 재이용 장치
KR0165636B1 (ko) 하천의 정화장치
CN209412037U (zh) 一种用于农村污水处理的层流式污水处理装置
KR20050095959A (ko) 두개의 필터가 내장된 맨홀
CN2448822Y (zh) 复合型污水处理装置
JP4225956B2 (ja) 水路の生活雑排水浄化装置
KR100948036B1 (ko) 순환식 분뇨오폐수 처리장치
KR100512563B1 (ko) 우수여과장치
JP2786093B2 (ja) 廃水処理装置
KR100449496B1 (ko) 하수 및 오수의 여과 정화장치
KR101047494B1 (ko) 하수관을 통과하는 하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정화할 수 있는 하수관의 연결구조물
JP2000140521A (ja) サイフォン機能体
KR0126380Y1 (ko) 이물질 응집기능을 갖는 배수조에 있어서 정화된 하수의 배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0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