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9677B1 - 섬유에 의한 정수필터 - Google Patents

섬유에 의한 정수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9677B1
KR100369677B1 KR10-2000-0042728A KR20000042728A KR100369677B1 KR 100369677 B1 KR100369677 B1 KR 100369677B1 KR 20000042728 A KR20000042728 A KR 20000042728A KR 100369677 B1 KR100369677 B1 KR 1003696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ilter
water filter
algae
f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27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08700A (ko
Inventor
김동철
Original Assignee
김동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철 filed Critical 김동철
Priority to KR10-2000-00427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9677B1/ko
Publication of KR200200087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87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96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96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08Filter cloth, i.e. woven, knitted or interlaced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04Supports for the filter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6Filter cloth, e.g. knitted, woven non-woven; self-supported material
    • B01D2239/065More than one layer present in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0654Support layers

Abstract

본 발명은 하천, 호수, 바다등의 조류발생이나 각종 미세한 부유물에 의한 물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정수필터 및 정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정수필터를, 천연섬유나 합성섬유등으로 일정두께의 사각판상의 섬유층을 형성하고, 그 상,하면에 망상의 격자 지지판을 설치하여 네 측면에 'ㄷ'자형 결합용 홀더를 결합하여 구성하고, 이를 다양한 구성의 정수장치본체내에 설치하여 정수장치를 구성하므로서, 이를 설치시 강이나 호수, 바다등에서 발생하는 조류 및 미세한 부유물을 보다 효과적으로 흡착제거하므로서 물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제작비용을 최소화하고 재활용이 가능토록하여 물을 정화시키는데 소요되는 경제적 부담을 최소화 할 수 있어 환경오염방지에 보다 큰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섬유에 의한 정수필터 {Clean water filter for fiber}
본 발명은 하천, 호수, 바다등의 조류발생이나 각종 미세한 부유물에 의한 물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정수필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목화와 같은 천연섬유나 합성섬유를 이용하여 정수필터를 구성하고, 이를 정수장치내에 설치하여 하천, 호수, 바다등의 조류발생 지역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오염의 원인이 되는 미세한 크기의 조류나 부유물을 흡착 제거하여 물의 오염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제작비를 저렴화 하고 재활용이 가능하여 경제적 부담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섬유에 의한 정수필터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강이나 호수, 바다 등 각종 수원지 주변의 실태를 보면, 주변의 수려한 경관을 이유로 유원지 등이 무분별하게 들어서고 이를 찾는 수많은 행락객들로 인해 다량의 오염물질과 생활하수가 그대로 방류되고 있으며, 정화되지 않은 축산농가의 축산폐수가 흘러 들어가고, 누적된 산림의 낙엽이 비에 씻기어 밑바닥에 쌓여 결국 부패하게 되므로서 이러한 과정에 의해 과다한 미생물이 급격히 번식하게되고 이와 더불어 오존층 파괴에 의한 지구의 온난화는 호소의 평균수온을 상승시켜 조류의 발생과 번식이 계절의 영향을 받지 않고 연중 계속되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조류의 발생 및 번식현상은 식수의 관리비용을 가중시키고 있으며, 더불어 농축산물의 생육까지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근래에는 이와 같은 조류의 발생과 번식에 의한 오염을 방지하고저 환경의 여건에 따라 약제사용법, 수중기포순환법, 심층수 인발공법, 직접조류회수법, 햇빛차단망(Net) 등을 사용하고 있으나 이들은 물의 2차오염의 우려가크고, 경제적인 부담이 커서 수질오염에 적극적으로 대처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천연섬유나 합성섬유등의 섬유를 이용하여 정수필터를 구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정수장치를 구성하므로서, 이를 설치시 강이나 호수, 바다등에서 발생하는 조류 및 미세한 부유물을 보다 효과적으로 흡착제거하므로서 물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제작비용을 최소화하고 재활용이 가능토록하여 물을 정화시키는데 소요되는 경제적 부담을 최소화 할 수 있어 환경오염방지에 보다 큰 역할을 할 수 있는 섬유에 의한 정수필터를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 정수필터의 분리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 정수필터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 는 본 발명 정수장치의 단면도.
도 4 은 본 발명 정수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 정수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절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섬유층 2 : 격자 지지판
3 : 지지대 4 : 결합용 홀더
5 : 정수필터 6 : 입수관
7 : 출수관 8 : 1차 여과망
9 : 정수장치 본체 10 : 케이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 정수필터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2 는 결합상태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정수필터(5)는 천연섬유나 합성섬유등으로 일정두께의 사각판상의섬유층(1)을 형성하고, 그 상,하면에 망상의 격자 지지판(2)을 설치하여 네 측면에 'ㄷ'자형 결합용 홀더(4)를 결합하여 구성한 것이다.
이때, 섬유층(1)의 상,하면에 결합된 격자 지지판(2)의 외측면에 다수의 지지대(3)을 설치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정수필터(5)는 도 3의 도시와 같이, 상측이 개방되고, 일측면에 출수관(7)이 형성되며, 상측 개방부에 1차 여과망(8)을 설치한 정수장치본체(9)의 1차 여과망(8) 하측에 다수의 정수필터(5)를 요철형상으로 연결하거나 절곡시켜 설치하는 것이다.
또한, 도 4의 도시와 같이 다수의 함체상의 케이스(10) 상단에 각각 정수필터(5)를 설치하고, 이를 다수 중첩하여 케이스(10)의 내부와 출수관(7) 내부가 관통되도록 연결하여 구성하되, 상,하 케이스(10)간에 일정한 간격을 형성하면서 연결되도록 정수장치본체(9)를 구성한 것이다.
또한, 도 5의 도시와 같이 정수장치본체(9)를, 일측면의 상측에는 입수관(6)을 설치하고, 타측면의 하측에는 출수관(7)을 설치하며, 상측 개방부에 1차 여과망(8)을 설치하고, 그 하측에 다수의 정수필터(5)를 수직상으로 설치하여 구성한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 섬유에 의한 정수필터 및 이를 이용한 정수장치의 작용을 자세히 살펴본다.
우선 도 1 내지 도 2와 같은 구성의 정수필터(5)는 천연섬유나 합성섬유로된 섬유층(1)을 지지하기 위하여 상,하면에 스테인레스등의 금속재나 합성수지재로 된 망상의 격자 지지판(2)을 설치하므로서 물이 쉽게 통과되면서도 섬유층(1)에 의해 조류나 미세 부유물이 흡착되거나 걸러지는 것이다.
또한, 비교적 넓은 면적에 사용시에는 상,하측의 격자 지지판(2)에 별도의 지지대(3)를 설치하므로서 격자 지지판(2)이나 내부의 섬유층(1)이 물의 요동에 파손되거나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지지대(3) 역시 결합용 홀더(4)로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하여 파도나 물살등의 물의 요동에도 파손되거나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의 정수필터(5)를 사용하게 되면, 목화솜과 같은 천연섬유는 그 틈사이의 크기의 지름이 약 2~3㎛이고, 합성섬유등은 약 20㎛이므로 물속의 조류중 가장작은 것이 약 1㎛이고 대부분의 조류종이 약 10㎛, 적조 발생 조류는 약 20㎛, 군체는 이보다 좀더 큰 크기이므로 대부분의 조류나 미세 불순물은 섬유층(1)을 통과 하지 못하고 걸러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 정수필터(5)를 교환하고저 할 때에는 격자 지지판(2)를 결합하고 있는 결합용 홀더(4)를 분리하여 격자 지지판(2)사이의 섬유층(1)만을 분리하여 새것으로 교체하거나 세탁한 후 다시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수거 및 교체가 용이하고 재활용이 가능한 것이다.
한편, 정수필터의 섬유층(1)을, 내부에 목화솜이나 합성섬유솜등을 충전한 매트리스나 이불과 같은 형상으로 구성하므로서 교체가 보다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의 정수필터(5)를 이용하여 다양한 정수장치를 구성하므로서 보다 효과적인 정수작용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인데, 그 중 일예로 도 3의 도시와 같이 정수장치를 구성하여 이를 설치하게 되면, 물이 상부의 개방된 부분으로 들어와 1차 여과망(8)을 통과하면서 1차 여과가 되어 비교적 입자가 큰 불순물이 걸러지고, 1차 여과망(8)을 통과한 물은 다시 요철상으로 연결되거나 절곡되어 설치된 정수필터(5)를 통과하면서 미세한 조류와 부유물이 모두 여과되어 이를 통과한 깨끗한 물만이 출수관(7)을 통하여 배출되는 것이다.
또한, 도 4의 도시와 같이 정수필터(5)를 중첩하여 구성한 정수장치를 설치하게 되면 정수필터(5)가 설치된 다수의 케이스(10)내에 순차적으로 물이 정수필터(5)에 의해 여과 되면서 충전되어 케이스(10) 일측에 연결된 출수관(7)을 통해 배출되어 지는 것이다.
이때, 다수의 케이스(10)간에는 일정한 틈이 형성되어 있어 이를 통해 상측케이스(10)에 충전되어 넘치는 물이 하측 케이스(10)에 충전되어지므로서 정수장치내의 물의 흐름이 원활히 이루어 지는 것이다.
전기한 바와 같은 2가지의 실시예는 가정용 연못이나 수조등 비교적 소용량의 물이 흐르는 장소에 적합한 정수장치이며, 물의 양이 비교적 많은 장소에는 도 5의 도시와 같은 구성이 바람직한데, 이는 물이 흐르는 곳에 입수관(6)을 위치시켜 물이 정수장치본체(9) 내의 1차 여과망(8)을 통과시켜 1차 여과가 이루어 지도록 하고, 1차 여과가 이루어진 물은 1차 여과망(8) 하측에 수직으로 설치된 다수의 정수필터(5)들에 의해 2차 미세 여과가 이루어 진 후 입수관(6)의 반대편 측면의 하측에 설치된 출수관(7)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므로서 동시에 비교적 많은 양의 물을 정화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천연섬유나 합성섬유를 이용하여 정수필터를 구성하고 이를 다양한 형상의 정수장치내에 장착하여 사용하도록 하므로서 제작비를 저렴화 하고 재활용이 가능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사용이 가능하며, 정수효과가 매우 뛰어난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천연섬유나 합성섬유등의 섬유를 이용하여 정수필터를 구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정수장치를 구성하므로서, 이를 설치시 강이나 호수, 바다등에서 발생하는 조류 및 미세한 부유물을 보다 효과적으로 흡착제거하므로서 물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제작비용을 최소화하고 재활용이 가능토록하여 물을 정화시키는데 소요되는 경제적 부담을 최소화 할 수 있어 환경오염방지에 보다 큰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5)

  1. 지지판의 내측에 필터층과 그 필터층을 지지키 위한 지지대를 형성한 통상의 정수필터에 있어서,
    천연섬유나 합성섬유등으로 일정두께의 사각판상 섬유층(1)을 형성하고, 그 섬유층(1)의 상,하면에 망상의 격자 지지판(2)을 설치하여 네측면에 "ㄷ"자형 결합용 홀더(4)를 결합하며, 그 격자 지지판(2)의 외측면에는 다수의 지지대(3)를 연속하여 설치결합함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에 의한 정수필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00-0042728A 2000-07-25 2000-07-25 섬유에 의한 정수필터 KR1003696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2728A KR100369677B1 (ko) 2000-07-25 2000-07-25 섬유에 의한 정수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2728A KR100369677B1 (ko) 2000-07-25 2000-07-25 섬유에 의한 정수필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1200U Division KR200214286Y1 (ko) 2000-07-25 2000-07-25 섬유에 의한 정수필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8700A KR20020008700A (ko) 2002-01-31
KR100369677B1 true KR100369677B1 (ko) 2003-01-30

Family

ID=19679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2728A KR100369677B1 (ko) 2000-07-25 2000-07-25 섬유에 의한 정수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967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14672A (zh) * 2015-05-20 2018-01-19 株式会社Ihi 藻类分离装置以及干燥藻类的制造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91148B (zh) * 2021-03-10 2022-08-19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空调室内机及空调器
KR102583114B1 (ko) 2022-12-28 2023-10-05 문학선 옹이 제거형 천연 목재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28872U (ko) * 1974-08-26 1976-03-02
JPS60186011U (ja) * 1984-05-18 1985-12-1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アフイルタ−
JPS6434417A (en) * 1987-07-29 1989-02-03 Toshin Service Kk Drainage purifying equipment
US4904288A (en) * 1989-06-21 1990-02-27 Mike D. Shoffiett Filter element for circulating air systems
JPH09220419A (ja) * 1996-02-19 1997-08-26 Toyobo Co Ltd エアーフィルター用嵩高濾材および該濾材を用いたエアーフィルタ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28872U (ko) * 1974-08-26 1976-03-02
JPS60186011U (ja) * 1984-05-18 1985-12-1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アフイルタ−
JPS6434417A (en) * 1987-07-29 1989-02-03 Toshin Service Kk Drainage purifying equipment
US4904288A (en) * 1989-06-21 1990-02-27 Mike D. Shoffiett Filter element for circulating air systems
JPH09220419A (ja) * 1996-02-19 1997-08-26 Toyobo Co Ltd エアーフィルター用嵩高濾材および該濾材を用いたエアーフィルタ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14672A (zh) * 2015-05-20 2018-01-19 株式会社Ihi 藻类分离装置以及干燥藻类的制造方法
US20180072984A1 (en) * 2015-05-20 2018-03-15 Ihi Corporation Algae separating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dry algae
US10995315B2 (en) * 2015-05-20 2021-05-04 Ihi Corporation Algae separating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dry alga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8700A (ko) 2002-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7996B1 (ko) 인공습지를 이용한 오수처리 설비
WO2014137061A1 (ko) 생태복원을 위한 수생식물을 이용한 수질정화장치
KR101235008B1 (ko) 비점 오염 저감 시설
KR102350260B1 (ko) 배관용 다중 여과망 장치
CN102730794A (zh) 高效油水分离装置
KR101010048B1 (ko) 우수 처리 장치
KR100926072B1 (ko) 생태정화수로 연결식 자연형 인공습지
KR100369677B1 (ko) 섬유에 의한 정수필터
KR101051612B1 (ko) 필터 교환방식의 물순환 부유습지 시스템
KR200214286Y1 (ko) 섬유에 의한 정수필터
CN103432820A (zh) 高效抽滤式沉淀池
CN211688680U (zh) 一种利用磁场净化不纯水的滤水器
KR101311903B1 (ko) 비점오염원 여과형 처리장치
KR101748772B1 (ko) 물의 흐름을 이용한 수질정화 개선장치
Vigneswaran et al. Traditional and household water purification methods of rural communities in developing countries
KR101775225B1 (ko) 초기 우수시의 하천 수질 개선을 위한 카트리지필터 여과장치
CN211734118U (zh) 一种前置预过滤自动化mbr污水处理系统
JP2002186965A (ja) 工場廃水処理装置
CN109761371B (zh) 一种改进的人工湿地装置
CN207024733U (zh) 过滤滤网以及应用该过滤滤网的过滤装置
CN110759472A (zh) 一种河道污水处理装置
CN215403677U (zh) 一种用于河道排污口的预处理装置
CN208786170U (zh) 一种带有浇注端面的浸没式膜组件
CN211445410U (zh) 一种可拆卸的防堵塞人工湿地系统
CN215249870U (zh) 一种防堵型人工湿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1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