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7708B1 - 배관설비용 필터부재 결합장치 - Google Patents

배관설비용 필터부재 결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7708B1
KR102427708B1 KR1020220025145A KR20220025145A KR102427708B1 KR 102427708 B1 KR102427708 B1 KR 102427708B1 KR 1020220025145 A KR1020220025145 A KR 1020220025145A KR 20220025145 A KR20220025145 A KR 20220025145A KR 102427708 B1 KR102427708 B1 KR 1024277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piping
filter member
fixing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51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호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밸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밸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밸브
Priority to KR10202200251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77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77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77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7Arrangement of devices, e.g. filters, flow controls, measuring devices, siphons or valves, in the pipe systems
    • E03B7/074Arrangement of water treatment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96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in which the filtering elements are moved between filtering operations; Particular measures for removing or replacing the filtering elements; Transport systems for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7Arrangement of devices, e.g. filters, flow controls, measuring devices, siphons or valves, in the pipe systems
    • E03B7/08Arrangement of draining devices, e.g. manual shut-off valv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52Water filtr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관설비에 고정연결시키기 위한 구성부품을 간소화함과 더불어, 이를 통해, 고정연결하는 구조도 간편하게 안내하고, 이물질을 여과시키는 여과필터만 교체가능한 결합구조를 통해 유지보수비용을 절감시켜주는 배관설비용 필터부재 결합장치에 관한 것으로, 액체가 유동하는 유동로(101)가 구비된 관체로서, 단부에 플랜지(110)가 구비된 배관설비(100)과; 상기 배관설비(100)의 유동로(101)를 차단하여, 액체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시키는 필터부재(200)와; 상기 필터부재(200)를 상기 배관설비(100)의 플랜지(110)에 착탈가능하게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관설비용 필터부재 결합장치{Filter member coupling device for piping}
본 발명은 배관설비에 고정연결시키기 위한 구성부품을 간소화함과 더불어, 이를 통해, 고정연결하는 구조도 간편하게 안내하고, 이물질을 여과시키는 여과필터만 교체가능한 결합구조를 통해 유지보수비용을 절감시켜주는 배관설비용 필터부재 결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수도 시설의 경우 정수장에서 정수처리를 거쳐 식수로 사용 가능하도록 정수된 물인 수돗물을 배관을 통해 가정으로 공급되도록 하고 있으나, 정수처리가 완료된 상수도에는 급 배수관 공사시 발생되는 금속이나 토사 등 의 각종 이물질이 유입되는 경우도 있고, 배관의 부식 등에 의해 각종 중금속 등의 이물질이 섞일 수 있으며, 해충 등도 혼합되어 유동될 수 있다.
이러한 폐해를 차단하고자, 수돗물이 유출되는 배관에 여과수단을 설치하여 해당 배관을 통해 유출되는 물속에 포함된 각종 이물질을 여과시키는 배관설비용 다중 여과망 장치(특허문헌 1 참조)가 제안되었다.
도 1은 종래의 배관설비용 다중 여과망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배관설비용 다중 여과망 장치가 배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배관설비용 다중 여과망 장치는 상수도 시설에 구비되는 소정 배관(1)의 단부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서, 사각의 틀 형태로 이루어져, 그 상면에는 틀 형상을 따라 일정 깊이로 끼움홈(12)이 요입 형성되고, 틀 형태의 상.하,좌,우 가장자리 부분을 따라서 다수 개의 체결홀(16)이 관통형성된 베이스프레임(10)과, 상기 베이스프레임(10)과 대응되는 사각의 틀 형태의 패널로 이루어지고,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의 체결홀(16)과 대응되게 관통홀(22)이 형성되어, 볼트 및 너트 체결을 통해 상기 베이스프레임(10) 상면에 일체로 결합되는 커버(20)와, 사각형의 형상을 갖는 망 구조물로서, 그 가장자리 부분이 상기 베이스프레임(10) 및 커버(20) 상호 간의 사이에 위치된 상태로 고정 설치되는 적어도 한 개의 망부재(50)와, 상기 망부재(50)의 가장자리 부분이 위치한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의 끼움홈(12)에 끼워져 상기 망부재(50)를 지지하는 가스켓(40)과,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의 각 모서리 부분에 체결되는 볼트(30)의 머리부분에 일체로 형성되는 한 쪽의 결합고리(34)에 연결되는 다른 한 쪽의 결합고리(62)가 구비되는 것으로, 소정 배관(100)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스틸밴드(60)와, 상기 베이스프레임(10) 측의 각 결합고리(34) 및 상기 스틸밴드(60) 측의 각 결합고리(62) 상호 간에 각각 걸림고리(72)가 양측에 구비되는 턴버클(70)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배관설비용 다중 여과망 장치는 소정 배관(100)에 고정연결시키기 위한 구성부품이 많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고정연결하는 구조도 복잡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배관설비용 다중 여과망 장치는 이물질을 여과시키는 망부재(50)가 일정주기마다 교체하는 소모품인데, 이러한 망부재(50)를 교체하기 위해서는 복잡한 결합구조로 인해 베이스프레임(10)도 함께 교체해야함으로써, 유지보수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도 있다.
KR 10-2350260 B1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배관설비에 고정연결시키기 위한 구성부품을 간소화함과 더불어, 이를 통해, 고정연결하는 구조도 간편한 배관설비용 필터부재 결합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장치구성 중에서, 이물질을 여과시키는 여과필터만 교체가능한 결합구조를 통해 유지보수비용을 절감시켜주는 배관설비용 필터부재 결합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 본 발명의 배관설비용 필터부재 결합장치는, 양측이 개구되고, 액체가 유동하는 유동로(101)가 구비된 배관(100)과; 상기 배관설비(100)의 개구된 양측 중 액체가 토출되는 일측 단부 쪽의 유동로(101)를 차단하여, 액체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시키는 필터부재(200)와; 상기 필터부재(200)를 상기 배관설비(100)의 단부에 착탈가능하게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배관설비(100)의 일측 내경에는 안착대(102)가 확장돌출되어, 상기 필터부재(200)가 상기 배관설비(100)의 안착대(102)에 안착지지되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배관설비(100) 일측 단부의 외측면에 제1 지지편(311) 및 제2 지지편(312)이 기지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제1 이격홈(313)이 형성되게 설치되는 단부 지지부(310)와; 상기 제1 지지편(311) 및 제2 지지편(312)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봉(321) 및 상기 회전봉(321)의 측면에 연장돌출되는 걸림봉(322)을 포함하는 회동 고정부(320)와; 상기 필터부재(200)가 이탈되지 않게 상기 배관설비(100) 일측 단부에 접촉배치되는 링체로서, 외주면에 상기 제1 지지편(311)에 접촉지지되게 돌출되는 제1 고정편(331) 및 상기 제2 지지편(312)에 접촉지지되게 돌출되는 제2 고정편(332)이 기지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제2 이격홈(333)이 상기 제1 이격홈(313)에 중첩되도록 형성되게 설치되는 고정링체부(330)와; 상기 회동 고정부(320)의 걸림봉(322)이 회전하여 중첩된 제1 이격홈(313) 및 상기 제2 이격홈(333)을 관통하여 노출되는 단부에 착탈가능하게 나선결합되는 체결부(380);로 이루어진다.
상기 필터부재(200)는, 여과필터(210)와; 상기 여과필터(210)를 고정시키는 링체인 필터 고정체(220);로 이루어진다.
상기 필터 고정체(220)에는, 복수의 지지대(230)가 격자로 연결배치되어, 상기 여과필터(210)를 지지하여 준다.
상기 배관설비(100)의 일측 단부 하측에는 유동로(101)에 축적된 이물질을 빼낼 수 있도록, 토출구멍(104)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토출구멍(104)에 나선체결되는 마개(11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배관설비(100)은, 제수밸브, 버터플라이밸브, 일자관, 나팔관, 드레인관, 십자형관, 소켓 십자관, Y형관, 합플렌지, TM 이음관, T형관, 플랜지곡관, 플랜지편락관 중 어느 하나이다.
상기 고정링체부(330)는, 상기 배관설비(100)의 일측 하단부에 힌지(105) 연결되고, 상기 배관설비(100) 일측 하단부로부터 상기 고정링체부(330)가 힌지(105) 회전하여 고정해제 시 힌지회전속도를 감속시키는 회전감속부재(4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회전감속부재(400)는, 상기 고정링체부(330)의 측면에 고정되는 고정구(410)와; 상기 배관설비(100)의 일측 단부의 측면에 고정되는 것으로, 내부에 일단이 스프링(미도시)에 결합된 테이프(421)가 보빈(422)상에 코일 형태로 감겨져 내장되며, 상기 테이프(421)의 타측이 슬롯(423)을 통해 인출되어 상기 고정구(410)에 고정되는 감속본체(420);로 이루어져, 체결부(350)를 통해 고정해제된 고정링체부(330)가 자중에 의해 하부로 힌지(105) 회전시, 상기 고정구(410)도 연동하여 하부로 회전되면서 상기 감속본체(420)로부터 테이프(421)가 인출되고, 하부에 위치하는 고정링체부(330)를 상부로 힌지(105) 회전시, 감속본체(420)에 내재된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인출된 테이프(421)가 감속본체(420)로 말려들어가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배관설비에 고정연결시키기 위한 구성부품을 간소화함과 더불어, 이를 통해, 고정연결하는 구조도 간편한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장치구성 중에서, 이물질을 여과시키는 여과필터만 교체가능한 결합구조를 통해 유지보수비용을 절감시켜주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플랜지 지지부와 플랜지 고정부 사이에서 필터부재가 견고하게 고정되게 안내하여 뒤틀림의 발생을 최소화시켜 줌으로써, 여과성능을 향상시켜주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플랜지 지지부와 플랜지 고정부 사이에 억지끼움으로 연결되는 필터부재의 탈거도 용이하게 안내하여 주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직경의 크기가 다양한 배관설비에서도 사용이 가능하게 안내하여 주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종래의 배관설비용 다중 여과망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배관설비용 다중 여과망 장치가 배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제 1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배관설비용 필터부재 결합장치를 나타낸 결합사시도.
도 4는 제 1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배관설비용 필터부재 결합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5는 제 1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배관설비용 필터부재 결합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6a는 제 1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배관설비용 필터부재 결합장치를 이루는 구성 중 배관설비을 다른 적용예로 적용한 것을 나타낸 측면도.
도 6b는 제 1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배관설비용 필터부재 결합장치를 이루는 구성 중 배관설비을 다른 적용예로 적용한 것을 나타낸 단면 및 측면도.
도 7은 제 2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배관설비용 필터부재 결합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제 2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배관설비용 필터부재 결합장치를 이루는 구성 중 회전감속부재에 구비되는 감속본체 부분을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제 3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배관설비용 필터부재 결합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제 3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배관설비용 필터부재 결합장치에 크기조절용 연결블록이 포함된 것을 나타낸 도면.
도 11은 제 3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배관설비용 필터부재 결합장치를 이루는 구성 중 필터부재와 고정부재 및 그 필터부재와 고정부재 간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12는 제 4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배관설비용 필터부재 결합장치에 구비되는 고정부재를 나타낸 요부사시도.
도 13은 제 4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배관설비용 필터부재 결합장치에 구비되는 고정부재의 결합단면도.
도 14는 제 4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배관설비용 필터부재 결합장치에 구비되는 고정부재의 결합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배관설비용 필터부재 결합장치를 버터플라이밸브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배관설비용 필터부재 결합장치를 2상식 버터플라이밸브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하기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언급된 것일 뿐이지,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표현하거나, 또는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가급적 동일한 도면부호를 명기하기로 한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하기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에서 배관설비는 배관 및 밸브 등을 총칭하는 개념이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배관설비용 필터부재 결합장치는 배관설비에 고정연결시키기 위한 구성부품을 간소화함과 더불어, 이를 통해, 고정연결하는 구조도 간편하게 안내하고, 이물질을 여과시키는 여과필터만 교체가능한 결합구조를 통해 유지보수비용을 절감시켜주도록, 배관설비100), 필터부재(200) 및 고정부재로 이루어진다.
먼저, 배관설비(100)는 액체가 유동하는 유동로(101)가 구비된 관체로서, 제수밸브로 특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제수밸브는 유동로를 흐르는 유체 흐름을 단속하기 위한 기술구성으로, 배관설비(100)의 내부에 유체 흐름에 직각방향으로 디스크(120)를 설치하되 상기 디스크(120)는 밸브스템(130)의 회전에 따라 상하 이동하면서 유체 흐름을 단속하는 밸브이다.
이처럼, 배관설비(100)는 다양한 종류에 적용할 수 있는데, 앞에서 언급한 것처럼, 제수밸브와 더불어, 버터플라이밸브, 일자관, 나팔관, 단관, 드레인관, 십자형관, 소켓 십자관, Y형관, 합플렌지, TM 이음관, T형관, 플랜지곡관, 플랜지편락관 등 유동로가 구비되는 다양한 관체에 적용할 수 있다. 이에, 도 6은 배관설비(100)의 종류 중 단관에 적용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필터부재(200)는 상기 배관설비(100)의 개구된 양측 중 액체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시키는 부재로서, 상기 배관설비(100)의 일측 내경에 확장돌출된 안착대(102)에 안착지지되어진다.
여기서, 이물질은 금속이나 토사, 배관의 부식 등에 의해 야기되는 중금속 또는 해충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필터부재(200)의 세부구성은 여과필터(210) 및 상기 여과필터(210)를 고정시키는 필터 고정체(220)로 이루어진다.
한편, 여과성능이 우수한 여과필터(210)가 액체의 압력으로 인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필터 고정체(220)에는 복수의 지지대(230)가 격자로 연결배치되어, 상기 여과필터(210)를 지지하여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격자구조의 지지대(230)는 액체가 흐르는 방향을 기준으로 여과필터(210)의 배면 쪽에 구비되거나 여과필터(210)의 양측면에 각각 구비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필터부재(200)를 통해, 필터링된 이물질은 배관설비(100)의 유체의 흐름으로 인한 압력에 의해 배관설비(100)의 단부에 축적될 수 있으며, 그 축적되는 이물질로 인해, 여과필터(210)가 훼손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예방하고자, 상기 배관설비(100)의 단부 하측에는 유동로(101)에 축적된 이물질을 빼낼 수 있도록, 토출구멍(104)이 관통형성되고, 그 관통형성되는 토출구멍(104)에 나선체결되는 마개(110)가 구비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일정주기마다 나선체결된 마개(110)를 개방하여 축적된 이물을 제거하는 이점을 제공한다.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필터부재(200)를 상기 배관설비(100)의 플랜지(120)에 착탈가능하게 고정시키는 부재이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고정부재의 세부구성은 상기 배관설비(100) 일측 단부의 외측면에 제1 지지편(311) 및 제2 지지편(312)이 기지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제1 이격홈(313)이 형성되게 설치되는 단부 지지부(310), 상기 제1 지지편(311) 및 제2 지지편(312)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봉(321) 및 상기 회전봉(321)의 측면에 연장돌출되는 걸림봉(322)을 포함하는 회동 고정부(320), 상기 필터부재(200)가 이탈되지 않게 상기 배관설비(100) 일측 단부에 접촉배치되는 링체로서, 외주면에 상기 제1 지지편(311)에 접촉지지되게 돌출되는 제1 고정편(331) 및 상기 제2 지지편(312)에 접촉지지되게 돌출되는 제2 고정편(332)이 기지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제2 이격홈(333)이 상기 제1 이격홈(313)에 중첩되도록 형성되게 설치되는 고정링체부(330) 및 상기 회동 고정부(320)의 걸림봉(322)이 회전하여 중첩된 제1 이격홈(313) 및 상기 제2 이격홈(333)을 관통하여 노출되는 단부에 착탈가능하게 나선결합되는 체결부(38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고정부재는 배관설비(100) 일측 단부를 따라 2개 내지 7개 정도가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배관설비용 필터부재 결합장치에 적용되는 필터부재(200)의 교체주기가 되면, 회동 고정부(320)를 이루는 걸림봉(322)에 나선체결된 체결부(380)를 모두 잠금해제방향으로 회전시켜 잠금을 해제한 후 걸림봉(322)을 잡고, 회전봉(321)을 기준으로 회전한 후 고정링체부(330)를 제거한다.
이후, 배관설비(100)의 일측 내경에 확장돌출된 안착대(102)에 안착된 필터부재(200)를 탈거한 상태에서, 새로운 필터부재(200)를 배관설비(100)의 일측 내경에 확장돌출된 안착대(102)에 안착시킨다.
이후, 고정링체부(330)를 배관설비(100) 일측 단부에 접촉배치하되, 고정링체부(330)의 제2 이격홈(333)이 배관설비(100) 쪽 단부 지지부(310)의 제1 이격홈(313)에 중첩되도록 배치한 상태에서, 회동 고정부(320)의 걸림봉(322)을 모두 회전시켜, 중첩된 제1 이격홈(313) 및 제2 이격홈(333)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시킴으로써, 고정링체부(330)가 이탈되지 않게 한 후 각 체결부(380)를 노출된 걸림봉(322)의 단부에 나선결합하여, 필터부재(200)의 교체를 완료한다.
제 2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배관설비용 필터부재 결합장치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되어 진다.
여기서, 제 2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배관설비용 필터부재 결합장치는 제 1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배관설비용 필터부재 결합장치의 구성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의 경우 동일한 도면부호를 명기하며, 그 설명 또한 생략하기로 한다.
제 2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배관설비용 필터부재 결합장치의 부가되는 특징은 작업자 혼자서도 필터부재(200)의 교체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고정부재의 구성을 일부 변경한 것이다.
즉, 상기 고정링체부(330)의 하측과 상기 배관설비(100)의 일측 하단부를 힌지(105)로 연결하여, 고정부재의 체결부(380)를 모두 체결해제 하면, 상기 배관설비(100) 일측 하단부로부터 상기 고정링체부(330)가 힌지(105) 회전함으로써, 필터부재(200)의 교체를 혼자서도 수월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그런데, 고정링체부(330)는 금속재질로 사용하는데, 이로 인해, 무거운 중량으로 인해, 힌지(105) 시 작업자가 고정링체부(330)에 부딪혀 안전사고를 당할 수 있다.
이를 예방하고자, 상기 배관설비(100) 일측 하단부로부터 상기 고정링체부(330)가 힌지(105) 회전하여 고정해제 시 힌지회전속도를 감속시키는 회전감속부재(400)가 구비 제공될 수 있다.
이처럼, 제공되는 회전감속부재(400)의 세부구성은 상기 고정링체부(330)의 측면에 고정되는 고정구(410) 및 상기 배관설비(100)의 일측 단부의 측면에 고정되는 것으로, 내부에 일단이 스프링(미도시)에 결합된 테이프(421)가 보빈(422)상에 코일 형태로 감겨져 내장되며, 상기 테이프(421)의 타측이 슬롯(423)을 통해 인출되어 상기 고정구(410)에 고정되는 감속본체(420)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체결부(350)를 통해 고정해제된 고정링체부(330)가 자중에 의해 하부로 힌지(105) 회전시, 상기 고정구(410)도 연동하여 하부로 회전되면서 상기 감속본체(420)로부터 테이프(421)가 인출되어 감속되어진다.
그리고 하부에 위치하는 고정링체부(330)를 상부로 힌지(105) 회전시, 감속본체(420)에 내재된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인출된 테이프(421)가 감속본체(420)로 권취됨으로써, 필터부재(200)를 안전하게 교체할 수 있게 제공하여 준다.
제 3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배관설비용 필터부재 결합장치는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되어 진다.
여기서, 제 3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배관설비용 필터부재 결합장치는 제 1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배관설비용 필터부재 결합장치의 구성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의 경우 동일한 도면부호를 명기하며, 그 설명 또한 생략하기로 한다.
제 3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배관설비용 필터부재 결합장치의 특징은 고정부재의 결합구조를 다르게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배관설비(100)의 단부에는, 플랜지(120)가 구비되어진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는 플랜지 지지부(340) 및 플랜지 고정부(350)로 이루어진다.
먼저, 플랜지 지지부(340)는 상기 플랜지(120)의 배면에 접촉지지되는 배면측 지지판(341) 및 상기 배면측 지지판(341)의 일단에서 절곡 연장되는 것으로, 내측면에 상기 플랜지(120)의 측면이 접촉지지되고, 내측면에 상기 필터부재(200)가 안착되며, 외측면을 따라 나사산(342a)이 형성된 측면측 지지판(342)으로 이루어진 링체형상이되, 그 링체형상을 중앙 수직선을 기준으로 반원체 형상으로 절단하고, 그 절단된 각 반원체 형상을 힌지(343)로 회전가능하게 연결한 부재이다.
여기서, 힌지(343)는 반원체 형상의 하측, 즉, 절단된 한 쌍의 배면측 지지판(341)을 하측에서 연장 돌출시킨 부분에 형성함으로써, 후술되는 플랜지 고정부(350)가 플랜지 지지부(340)에 나선 결합 시 간섭되지 않게 제공하여 준다.
한편, 배관설비(100)의 플랜지(120)에 플랜지 지지부(340)를 연결한 후 필터부재(200)를 안착시키는데 이때, 플랜지 지지부(340)에 안착되는 필터부재(200)가 억지끼움되게 안착되도록, 상기 플랜지 지지부(340)의 측면측 지지판(342)에는 끼임돌기(342b)가 돌출되고, 상기 필터 고정체(220)의 외측면에 끼움홈(221)이 형성되어, 상기 측면측 지지판(342)의 끼임돌기(342b)에 상기 필터 고정체(220)의 끼움홈(221)을 억지끼움하여 고정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끼임돌기(342b)의 직경이 끼움홈(221)의 내경보다 약간 크게 제조되어진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끼임돌기(342b) 및 끼움홈(221)의 개수는 2개 ~ 5개 정도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플랜지 지지부(340)와 플랜지 고정부(350) 사이에서 필터부재(200)가 견고하게 고정됨으로써, 사용 중 뒤틀림의 발생을 최소화시켜 여과성능을 향상시켜주는 이점을 제공한다.
이와 더불어, 필터부재(200)는 일정한 여과성능을 유지하기 위해, 기지정된 주기마다 교체해야 한다.
그런데 앞에서도 언급한 것처럼, 플랜지 지지부(340)와 플랜지 고정부(350) 사이에 위치되는 필터부재(200)의 고정성능을 향상시키고자 억지끼움방식으로 결합되는 바, 이에, 필터부재(200)의 탈거가 어려운 문제점이 야기된다.
이를 해소하고자, 상기 필터 고정체(220)에는 결합구멍(222)이 관통형성되되, 그 관통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구멍(222)을 이루는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진다.
그리고 상기 결합구멍(222)에 나선체결되도록, 외주면에 나사홈이 형성된 결합봉(510) 및 상기 결합봉(510)에 일체로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결합봉(510)을 나선조임방향 또는 나선풀림방향으로 회전되게 안내하는 파지구(520)를 구비함으로써, 필터부재(200)를 보다 용이하게 탈제할 수 있게 안내한다. 여기서, 결합구멍(222) 및 파지구(520)의 개수는 2개 정도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플랜지 고정부(350)는 상기 측면측 지지판(342)의 외측면에 나선결합되도록, 내측면을 따라 나사홈(351a)이 형성된 측면측 결합판(351) 및 상기 측면측 결합판(351)의 일단에서 절곡 연장되는 것으로, 내측면에 상기 측면측 지지판(342) 및 상기 필터부재(200)가 걸려 이탈을 방지하는 전면측 결합판(352)으로 이루어진 링체형상의 부재이다.
한편, 앞에서도 언급한 것처럼, 배관설비(100)의 경우, 제수밸브, 버터플라이밸브, 일자관, 나팔관, 드레인관, 십자형관, 소켓 십자관, Y형관, 합플렌지, TM 이음관, T형관, 플랜지곡관, 플랜지편락관 등 다양한 종류를 사용가능한데, 이때, 각 배관설비(100)의 직경의 크기가 다를 뿐만 아니라 같은 종류의 배관설비이라 하더라도, 직경의 크기에 차이가 나는 경우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배관설비용 필터부재 결합장치에서는 직경의 크기가 다양한 배관설비(100)에서도 사용이 가능하게 안내하여 주는 이점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배관설비용 필터부재 결합장치에는 상기 배관설비(100)보다 크기가 작은 배관설비(100b)의 유동로를 통해 유동되는 액체가 통과하도록, 중앙부위가 관통된 링형 판체(610)의 일측면 상부를 절개하여, 상기 배면측 지지판(341)이 안착되는 상부안착영역(611)을 형성하고, 상기 링형 판체(610)의 타측면 하부를 절개하여, 상기 배관설비(100)보다 크기가 작은 배관설비(100b)의 플랜지(120b)가 안착되는 하부안착영역(612)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링형 판체(610)를 중앙 수직선을 기준으로 반원체 형상으로 절단하고, 그 절단된 각 반원체 형상의 상측을 힌지(614)로 회전가능하게 연결한 크기조절용 연결블록(600)이 구비되어지고, 상기 배면측 지지판(341)과 상기 상부안착영역(611)이 형성되는 링형 판체(610) 부분은 볼트(613) 체결을 통해,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처럼, 본 발명의 배관설비용 필터부재 결합장치에서 제공하는 고정부재의 경우 직경의 크기가 큰 배관설비(100)을 기준으로 제작하고, 해당 기준으로 제작된 고정부재가 작은 배관설비(100b)에 사용할 경우 크기조절용 연결블록(500)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게 제공한다.
이와 더불어, 제공되는 크기조절용 연결블록(500)은 직경 사이즈 별로 다양한 크기로 제작되어 제공될 수 있다.
제 4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배관설비용 필터부재 결합장치는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되어 진다.
여기서, 제 4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배관설비용 필터부재 결합장치는 제 1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배관설비용 필터부재 결합장치의 구성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의 경우 동일한 도면부호를 명기하며, 그 설명 또한 생략하기로 한다.
제 4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배관설비용 필터부재 결합장치의 특징은 고정부재의 결합구조를 또 다르게 한 것이다.
즉, 제 4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배관설비용 필터부재 결합장치에 적용되는 고정부재의 세부구성은 제1 반원몸체(360), 제2 반원몸체(370) 및 체결부(380)로 이루어진다.
먼저, 제1 반원몸체(360)는 내측이 상기 플랜지(120) 및 상기 필터부재(200)에 대응하는 곡률반경을 가지는 것으로, 일측단에 상기 플랜지(120)가 걸쳐지는 일측 반원 걸림대(361)가 돌출되고, 타측단에 상기 필터부재(200)가 이탈되지 않게 단속하는 일측 반원 단속대(362)가 돌출되는 부재이다.
상기 제2 반원몸체(370)는 내측이 상기 플랜지(120) 및 상기 필터부재(200)에 대응하는 곡률반경을 가지는 것으로, 상기 제1 반원몸체(360)의 일측에 힌지(373) 결합되고, 일측단에 상기 플랜지(120)가 걸쳐지는 일측 반원 걸림대(371)가 돌출되고, 타측단에 상기 필터부재(200)가 이탈되지 않게 단속하는 일측 반원 단속대(372)가 돌출되는 부재이다.
상기 체결부(380)는 상기 제2 반원몸체(370)의 타측에 볼트(381)의 일단이 힌지(381a) 결합되고, 상기 제1 반원몸체(360)의 타측에 형성된 걸림대(363)에 볼트(381)의 타측이 끼임되어 너트(382)로 조임 결합되는 부재이다.
이처럼, 배관설비(100)에 필터부재(200)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재를 이루는 구성부품을 간소화하여, 간편하게 고정연결시켜 주는 이점을 제공한다.
또한, 제 4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배관설비용 필터부재 결합장치에서는 힌지 회전되는 제2 반원몸체(370)가 무거워 안전사고가 야기되는 위험성을 내포하는 바, 이를 해소하고자, 상기 제1 반원몸체(360)로부터 상기 제2 반원몸체(370)를 힌지 회전하여 고정해제 시 힌지회전속도를 감속시키는 회전감속부재(400)가 구비 제공될 수 있다.
이처럼, 제공되는 회전감속부재(400)의 세부구성은 상기 제2 반원몸체(370)의 측면에 고정되는 고정구(410) 및 상기 제1 반원몸체(360)의 측면에 고정되는 것으로, 내부에 일단이 스프링(미도시)에 결합된 테이프(421)가 보빈(422)상에 코일 형태로 감겨져 내장되며, 상기 테이프(421)의 타측이 슬롯(423)을 통해 인출되어 상기 고정구(410)에 고정되는 감속본체(420)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체결부(380)를 통해 고정해제된 제2 반원몸체(370)가 자중에 의해 하부로 힌지(373) 회전시, 상기 고정구(410)도 연동하여 하부로 회전되면서 상기 감속본체(420)로부터 테이프(421)가 인출되어 감속되어진다.
그리고 하부에 위치하는 제2 반원몸체(370)를 상부로 힌지(373) 회전시, 감속본체(420)에 내재된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인출된 테이프(2)가 감속본체(420)로 권취됨으로써, 필터부재(200)를 안전하게 교체할 수 있게 제공하여 준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배관설비용 필터부재 결합장치를 버터플라이밸브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배관설비용 필터부재 결합장치를 2상식 버터플라이밸브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 및 도 16을 참고하면, 배관설비 중 버터플라이밸브(100b)의 단부에 본 발명에 따는 필터부재(200), 고정링체부(330) 등을 설치하여 전동기 등으로 디스크를 개폐하면서 유동되는 물 속의 이물질 등을 걸려낼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0 : 배관설비 101 : 유동로
102 : 안착대 103 : 끼임돌기
104 : 토출구멍 110 : 마개
120 : 플랜지 130 : 디스크
140 : 밸브스템 200 : 필터부재
210 : 여과필터 220 : 필터고정체
221 : 끼움홈 222 : 결합구멍
230 : 지지대 340 : 플랜지 지지부재
341 : 배면측 지지판 342 : 측면측 지지판
342b : 끼임돌기 343,373,614 : 힌지
350 : 플랜지 고정부 351 : 측면측 결합판
352 : 전면측 결합판 360 : 제1 반원몸체
361 : 일측 반원 걸림대 362 : 일측 반원 단속대
363 : 걸림대 370 : 제2 반원몸체
371 : 타측 반원 걸림대 372 : 타측 반원 단속대
373 : 힌지 380 : 체결부
381,513 : 볼트 382 : 너트
400 : 회전감속부재 410 : 고정구
420 : 감속본체 421 : 테이프
422 : 보빈 423 : 슬롯
500 : 필터제거부재 510 : 결합봉
520 : 파지구 600 : 크기조절용 연결블록
610 : 링형 판체 611 : 상부안착영역
612 : 하부안착영역

Claims (14)

  1. 양측이 개구되고, 액체가 유동하는 유동로(101)가 구비된 배관설비(100)과;
    상기 배관설비(100)의 개구된 양측 중 액체가 토출되는 일측 단부 쪽의 유동로(101)를 차단하여, 액체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시키는 필터부재(200)와;
    상기 필터부재(200)를 상기 배관설비(100)의 단부에 착탈가능하게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배관설비(100)의 단부에는, 플랜지(120)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플랜지(120)의 배면에 접촉지지되는 배면측 지지판(341) 및 상기 배면측 지지판(341)의 일단에서 절곡 연장되는 것으로, 내측면에 상기 플랜지(120)의 측면이 접촉지지되고, 내측면에 상기 필터부재(200)가 안착되며, 외측면을 따라 나사산(342a)이 형성된 측면측 지지판(342)으로 이루어진 링체형상이되, 그 링체형상을 중앙 수직선을 기준으로 반원체 형상으로 절단하고, 그 절단된 각 반원체 형상의 하측을 힌지(343)로 회전가능하게 연결한 플랜지 지지부(340)와;
    상기 측면측 지지판(342)의 외측면에 나선결합되도록, 내측면을 따라 나사홈(351a)이 형성된 측면측 결합판(351) 및 상기 측면측 결합판(351)의 일단에서 절곡 연장되는 것으로, 내측면에 상기 측면측 지지판(342) 및 상기 필터부재(200)가 걸려 이탈을 방지하는 전면측 결합판(352)으로 이루어진 링체형상의 플랜지 고정부(3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설비용 필터부재 결합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재(200)는, 여과필터(210)와;
    상기 여과필터(210)를 고정시키는 링체인 필터 고정체(220);로 이루어진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설비용 필터부재 결합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고정체(220)에는, 복수의 지지대(230)가 격자로 연결배치되어, 상기 여과필터(210)를 지지하여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설비용 필터부재 결합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설비(100)의 일측 단부 하측에는 유동로(101)에 축적된 이물질을 빼낼 수 있도록, 토출구멍(104)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토출구멍(104)에 나선체결되는 마개(11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설비용 필터부재 결합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 지지부(340)의 측면측 지지판(342)에는 끼임돌기(342b)가 돌출되고,
    상기 필터부재(200)는, 여과필터(210)와;
    상기 여과필터(210)를 고정시키는 고정체로서, 외측면에 끼움홈(221)이 형성되는 필터 고정체(220);로 이루어져, 상기 측면측 지지판(342)의 끼임돌기(342b)에 상기 필터 고정체(220)의 끼움홈(221)을 억지끼움하여 고정시키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설비용 필터부재 결합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고정체(220)에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구멍(222)이 관통형성되되, 그 관통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구멍(222)을 이루는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구멍(222)에 나선체결되도록, 외주면에 나사홈이 형성된 결합봉(510) 및 상기 결합봉(510)에 일체로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결합봉(510)을 나선조임방향 또는 나선풀림방향으로 회전되게 안내하는 파지구(520)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필터제거부재(5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설비용 필터부재 결합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설비(100)보다 크기가 작은 배관설비(100b)의 유동로를 통해 유동되는 액체가 통과하도록, 중앙부위가 관통된 링형 판체(610)의 일측면 상부를 절개하여, 상기 배면측 지지판(341)이 안착되는 상부안착영역(611)을 형성하고, 상기 링형 판체(610)의 타측면 하부를 절개하여, 상기 배관설비(100)보다 크기가 작은 배관설비(100b)의 플랜지(120b)가 안착되는 하부안착영역(612)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링형 판체(610)를 중앙 수직선을 기준으로 반원체 형상으로 절단하고, 그 절단된 각 반원체 형상의 상측을 힌지(614)로 회전가능하게 연결한 크기조절용 연결블록(600);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배면측 지지판(341)과 상기 상부안착영역(611)이 형성되는 링형 판체(610) 부분은 볼트(613) 체결을 통해,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설비용 필터부재 결합장치.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220025145A 2022-02-25 2022-02-25 배관설비용 필터부재 결합장치 KR1024277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5145A KR102427708B1 (ko) 2022-02-25 2022-02-25 배관설비용 필터부재 결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5145A KR102427708B1 (ko) 2022-02-25 2022-02-25 배관설비용 필터부재 결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7708B1 true KR102427708B1 (ko) 2022-08-03

Family

ID=82847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5145A KR102427708B1 (ko) 2022-02-25 2022-02-25 배관설비용 필터부재 결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770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6913A (ko) * 2017-05-19 2018-11-28 장용 배관용 스트레이너
KR102226300B1 (ko) * 2020-11-12 2021-03-11 주식회사 현대밸브 필터 제수밸브
KR102290495B1 (ko) * 2020-12-08 2021-08-18 주식회사 현대밸브 거름망 조립체를 구비하는 버터플라이밸브
KR102350260B1 (ko) 2021-05-12 2022-01-12 한국수자원공사 배관용 다중 여과망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6913A (ko) * 2017-05-19 2018-11-28 장용 배관용 스트레이너
KR102226300B1 (ko) * 2020-11-12 2021-03-11 주식회사 현대밸브 필터 제수밸브
KR102290495B1 (ko) * 2020-12-08 2021-08-18 주식회사 현대밸브 거름망 조립체를 구비하는 버터플라이밸브
KR102350260B1 (ko) 2021-05-12 2022-01-12 한국수자원공사 배관용 다중 여과망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73157B2 (en) Filter assembly
JP4648971B2 (ja) 浄水器
CA2845937C (en) Enhanced filter support basket
GB2158364A (en) In-line pipeline strainer
US4124511A (en) Fluid filter apparatus of standardized pipe dimension having interchangeable filter means positively secured therein
KR102427708B1 (ko) 배관설비용 필터부재 결합장치
KR102290495B1 (ko) 거름망 조립체를 구비하는 버터플라이밸브
RU90699U1 (ru) Фильт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CN113883306B (zh) 一种具有过滤组件的石油管道用阀门
EP2868360A1 (en) Rotary strainer
TWI531403B (zh) 發電用下水道過濾器、液體處理過濾容器及其使用方法
CN111558459A (zh) 一种船用串油滤器、船用串油滤器组及清洗管路的方法
KR200401728Y1 (ko) 용수여과기의 여과스크린 개폐장치
JP5988687B2 (ja) 弁装置
CN114151166B (zh) 一种船用主滑油投油滤器及其使用方法
WO2016034529A1 (en) Filtering apparatus
US20130263435A1 (en) Fluid pressure vessel employing filter bags
CN202179900U (zh) 净水器
JP2012030183A (ja) Y形ストレーナとy形ストレーナの構成部品取付方法
CN209917426U (zh) 一种管道用临时过滤器
JP2006000761A (ja) ストレーナ
KR200232263Y1 (ko) 버킷타입 스트레이너
CN215876529U (zh) 一种具有自锁水功能的净水装置
DE4226882A1 (de) Verfahren und system zum einbauen eines stromventils in ein anschlussrohr
CN2343425Y (zh) 过滤式调节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