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1111B1 - 배관용 버킷메쉬필터 - Google Patents

배관용 버킷메쉬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1111B1
KR102551111B1 KR1020220171483A KR20220171483A KR102551111B1 KR 102551111 B1 KR102551111 B1 KR 102551111B1 KR 1020220171483 A KR1020220171483 A KR 1020220171483A KR 20220171483 A KR20220171483 A KR 20220171483A KR 102551111 B1 KR102551111 B1 KR 1025511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pipe
bucket
piping
me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714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표광열
Original Assignee
인천광역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천광역시 filed Critical 인천광역시
Priority to KR10202201714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11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11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11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7Arrangement of devices, e.g. filters, flow controls, measuring devices, siphons, valves, in the pipe systems
    • E03B7/074Arrangement of water treatment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Abstract

본 발명은 배관용 버킷메쉬필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수도 수돗물에 포함된 유충 및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배수지 등 배관에 별도의 하우징이나 배관의 구조변경 없이 삽입하여 설치가 가능한 배관용 버킷메쉬필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필터부와, 상기 필터부를 배관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관용 버킷메쉬필터 {BUCKET FILTER}
본 발명은 배관용 버킷메쉬필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수도 수돗물에 포함된 유충 및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배수지 등 배관에 별도의 하우징이나 배관의 구조변경 없이 삽입하여 설치가 가능한 배관용 버킷메쉬필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수도 배수지는 배수량의 시간적 변동 조절 기능을 수행하며, 정수장에서 생산된 수돗물을 각 급수구역에 공급하기 위한 마지막 저장 장소이다.
2020년 7월 인천 수돗물 유충 사태 발생을 계기로 정수장, 배수지 등 수돗물 공급시설에 유충 차단시설을 설치하고 운영 중이다.
이러한 유충 차단시설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수지 저수조 유입배관(10) 말단에 설치한 유충 차단용 포켓필터(PE 거름망, 20)를 설치하고 있으나, 종래의 포켓필터는 수압으로 인해 파손되거나 배관에서 이탈하는 상황이 지속 발생하고 있어 차단시설의 재질과 설치방법에 대한 개선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노후 송수관로에서 발생하는 녹 등 이물질이 배수지로 유입되고 침전되어 배수지 청소 시 제거되어야 하나 유입배관에 설치된 필터가 이를 막고 있어 향후 유입배관 하부에 쌓인 이물질로 인해 밸브 고장의 원인이 될 가능성이 매우 크고, 유입배관의 말단이 매우 높은(4~6m) 곳에 위치하고 있어 필터 교체 시 안전사고 발생 위험이 높아 설치가 단순한 설치구조로의 개선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2000229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수도 수돗물에 포함된 유충 및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배수지 등 배관에 별도의 하우징이나 배관의 구조변경 없이 삽입하여 설치가 가능한 배관용 버킷메쉬필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순한 구조로 배관에 견고하게 결합되어 수압에 의해 파손되거나 이탈하여 여과기능을 상실하는 단점을 보완하고, 점검 및 교체 작업 시 고소 작업에 의한 안전사고 발생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배관용 버킷메쉬필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버킷형태로 형성되어 메쉬 공간율로 인해 유출 단면적이 감소하여 메쉬필터를 통과하며 발생하는 유량 감소를 최소화 할 수 있는 배관용 버킷메쉬필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3중 구조의 메쉬망과 타공된 강판으로 구성하여 여과성능과 내구성을 개선한 배관용 버킷메쉬필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필터부와 배관 사이에 15°내외 이격되도록 하여 원활한 유체 흐름을 갖도록 하는 배관용 버킷메쉬필터를 제공함에 있다.
이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필터부와, 상기 필터부를 배관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필터부는 상광하협의 버킷형상으로 형성되며, 각 면이 타공형성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필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부는 스테인레스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필터부재는 다수 겹의 메쉬망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필터부재는 기본메쉬망과 기본메쉬망의 내외측에 구비되는 보호메쉬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호메쉬망은 기본메쉬망에 비해 망목수가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은 일측은 상기 본체부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며, 타측은 배관의 외측에 밀착 지지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를 본체부에 고정하기 위한 너트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는 종단면이 "L"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어 절곡된 측단부에는 오목한 지지면이 형성되고, 상단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바가 연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필터부는 외측면이 상기 배관의 내측면으로부터 10~20°이격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수도 수돗물에 포함된 유충 및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배수지 등 배관에 별도의 하우징이나 배관의 구조변경 없이 삽입하여 설치가 가능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단순한 구조로 배관에 견고하게 결합되어 수압에 의해 파손되거나 이탈하여 여과기능을 상실하는 단점을 보완하고, 점검 및 교체 작업 시 고소 작업에 의한 안전사고 발생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추가로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버킷형태로 형성되어 메쉬 공간율로 인해 유출 단면적이 감소하여 메쉬필터를 통과하며 발생하는 유량 감소를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를 추가로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3중 구조의 메쉬망과 타공된 강판으로 구성하여 여과성능과 내구성을 개선한 효과를 추가로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필터부와 배관 사이에 15°내외 이격되도록 하여 원활한 유체 흐름을 갖도록 하는 효과를 추가로 갖는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유충 차단용 포켓필터를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관용 버킷메쉬필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의 (a) 및 (b)는 본 발명에 따른 배관용 버킷메쉬필터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관용 버킷메쉬필터의 필터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배관용 버킷메쉬필터를 배수지의 배관에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관용 버킷메쉬필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의 (a) 및 (b)는 본 발명에 따른 배관용 버킷메쉬필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관용 버킷메쉬필터의 필터부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배관용 버킷메쉬필터를 배수지의 배관에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상수도 수돗물에 포함된 유충 및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배수지 등 배관에 별도의 하우징이나 배관의 구조변경 없이 삽입하여 설치가 가능한 배관용 버킷메쉬필터(100)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도 2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필터부(110)와, 상기 필터부(110)를 배관(10)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120)을 포함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필터부(110)는 배관(10)의 내부로 삽입하여 설치함으로써 이물질의 통과를 방지하는 구성으로서, 상광하협의 버킷형상으로 형성되며 각 면에 타공(112a)이 형성된 본체부(112)와, 상기 본체부(112)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필터부재(114)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본체부(112)는 스테인레스재질로 이루어져 내구성이 좋아 부식 등이 발생되지 않고, 위생적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필터부(110)에 강성을 부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부(112)에는 손잡이(113)가 구비되어 필터부(110)의 운반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후술할 메쉬형태의 필터부재(114)의 공간율로 인해 유체의 유출단면적이 감소하는 것을 상기 본체부(112)를 버킷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단면적을 증대시켜 유량 감소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112)는 버킷 형상으로 형성된 각 면, 즉 측면 및 바닥면에 타공(112a)이 형성되어 후술할 필터부재(114)를 통과한 유체가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필터부재(114)를 지지하게 됨으로써 필터부재(114)의 손상이나 유실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후술할 필터부재(114)는 메쉬 형태로 이루어짐에 따른 공간율에 의해 평면으로 배관(10)에 설치 시 배관(10)의 내경 단면적에 대한 유량이 감소하게 되는데, 내측면에 필터부재(114)가 구비되는 본체부(112)가 버킷 형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유체가 통과하는 단면적이 증대되게 되어 필터부재(114)의 공간율에 따른 유출 단면적의 감소효과를 상쇄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112)는 외측면이 상기 배관(10)의 내측면으로부터 10~20°, 보다 정확하게는 15°이격되도록 설치되어 필터부(110)를 통해 유출되는 유체가 보다 원활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본체부(112)가 상기 배관(10)의 내측면으로부터 10°미만으로 이격된 상태에서는 본체부(112)와 배관(10)과의 간격이 좁아, 필터부(110)의 측면을 통과한 유체가 배관(10)의 내측면 사이에서 와류가 발생하는 등 배관(10)으로 원활하게 배출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고, 상기 본체부(112)가 상기 배관(10)의 내측면으로부터 20°초과하여 이격된 상태에서는 본체부(112)와 배관(10)과의 간격이 넓어짐에 따라 본체부(112)의 크기가 감소하여야 하므로 후술할 필터부재(114)의 공간율을 고려한 충분한 유출 단면적을 갖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필터부재(114)는 다수 겹의 메쉬망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필터부재(114)는 단위면적당 망목수가 많아 비교적 작은 크기의 이물질을 차단할 수 있는 기본메쉬망(114a)과, 상기 기본메쉬망(114a)의 내외측에 기본메쉬망(114a)에 비해 단위면적당 망목수가 적어 비교적 큰 크기의 이물질을 차단할 수 있는 보호메쉬망(114b,114c)으로 구성되어 다양한 크기의 이물질을 안정적으로 여과하여 여과성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기본메쉬망(114a)은 망목수가 180메쉬로 이루어지고, 보호메쉬망(114b,114c)은 망목수가 각각 20메쉬 및 40메쉬로 이루어져 서로 적층되도록 구성되어, 유충이나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여과성은 증대시키면서도, 다양한 망목수를 가지므로 유량 감소 효과는 최소화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고정수단(120)은 상기 필터부(110)를 배관(10)에 고정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필터부(110)에 방사상으로 다수개가 설치되어 배관(10)에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수단(120)은 일측은 상기 본체부(112)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며, 타측은 배관(10)의 외측에 밀착 지지되는 고정부재(122)와, 상기 고정부재(122)를 본체부(112)에 고정하기 위한 너트부재(124)를 포함한다.
즉,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122)는 종단면이 "L"형상으로 절곡 형성되며 절곡된 측단부에는 배관(10)의 외측에 대응되도록 오목한 형상으로 지지면(122a)이 형성되어 배관(10)의 외측에 밀착 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122)의 상단부에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바(122b)가 연장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112)에 형성된 결합공(112b)에 관통 결합된 상태로 상기 너트부재(124)가 체결되어 필터부(110)를 배관(10)에 고정 설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래서, 상기 고정수단(120)에 의해 필터부(110)를 간단하게 배관(10)에 설치할 수 있게 되므로, 별도의 하우징이나 배관(10)의 구조변경 없이도 간단하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어 설치나 유지보수 시 작업자의 작업난이도가 개선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 너트부재(124)의 결합바(122b)에 체결된 정도를 조절하여 고정수단(120)을 필터부(110)에 설치한 상태에서 필터부(110)를 배관(10)에 안착 설치하고, 고정부재(122)가 배관(10)의 외측에 밀착 지지되도록 너트부재(124)를 조임으로써 설치가 완료될 수 있어 더욱 용이하게 설치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배관(10)의 설치각도나 위치와 관계없이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고정부재(122)의 지지면(122a)에 고무재, 합성수지재 등의 탄성을 갖는 탄성부재(미도시)가 구비되어 너트부재(124)를 조임에 따라 고정부재(122)의 지지면(122a)이 배관(10)의 외측에 밀착 지지될 때 탄성부재(미도시)가 압착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배관용 버킷메쉬필터(100)가 배관(10)에 보다 견고하게 설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배관용 버킷메쉬필터(100)에 의하면, 상수도 수돗물에 포함된 유충 및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배수지 등 배관에 별도의 하우징이나 배관의 구조변경 없이 삽입하여 설치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단순한 구조로 배관에 견고하게 결합되어 수압에 의해 파손되거나 이탈하여 여과기능을 상실하는 단점을 보완하고, 점검 및 교체 작업 시 고소 작업에 의한 안전사고 발생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고, 버킷형태로 형성되어 메쉬 공간율로 인해 유출 단면적이 감소하여 메쉬필터를 통과하며 발생하는 유량 감소를 최소화 하며, 3중 구조의 메쉬망과 타공된 강판으로 구성하여 여과성능과 내구성을 개선하고, 필터부와 배관 사이에 15°내외 이격되도록 하여 원활한 유체 흐름을 갖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배관용 버킷메쉬필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수도 수돗물에 포함된 유충 및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배수지 등 배관에 별도의 하우징이나 배관의 구조변경 없이 삽입하여 설치가 가능한 배관용 버킷메쉬필터에 관한 것이다.
100: 배관용 버킷메쉬필터 110: 필터부
112: 본체부 112a: 타공
112b: 결합공 114: 필터부재
114a: 기본메쉬망 114b,114c: 보호메쉬망
120: 고정수단 122: 고정부재
122a: 지지면 122b: 결합바
124: 너트부재

Claims (9)

  1. 배관의 내부로 삽입하여 설치되는 필터부와,
    상기 필터부를 배관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필터부는 상광하협의 버킷형상으로 형성되며 각 면이 타공형성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필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부는 외측면이 상기 배관의 내측면으로부터 10~20°이격되도록 설치되어 유출되는 유체가 원활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필터부재는 기본메쉬망의 내외측에 기본메쉬망에 비해 단위면적당 망목수가 적은 보호메쉬망이 구비되어 여과성은 증대시키고 유량 감소 효과는 최소화하고,
    상기 고정수단은 종단면이 "L"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어 절곡된 측단부에는 오목한 지지면이 형성되어 배관의 외측에 밀착 지지되고, 상단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바가 연장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를 본체부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결합바에 체결되는 너트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버킷메쉬필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스테인레스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버킷메쉬필터.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220171483A 2022-12-09 2022-12-09 배관용 버킷메쉬필터 KR1025511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1483A KR102551111B1 (ko) 2022-12-09 2022-12-09 배관용 버킷메쉬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1483A KR102551111B1 (ko) 2022-12-09 2022-12-09 배관용 버킷메쉬필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1111B1 true KR102551111B1 (ko) 2023-07-05

Family

ID=87159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71483A KR102551111B1 (ko) 2022-12-09 2022-12-09 배관용 버킷메쉬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111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0229A (ko) 1999-10-04 2000-01-15 권원현 전계강도 측정기의 측정레벨 자동 보정방법
KR100921990B1 (ko) * 2009-06-15 2009-10-14 미래화학 주식회사 압륜을 이용한 푸셔의 수밀 연결이 가능한 수도관
JP2009285569A (ja) * 2008-05-29 2009-12-10 Nippon Yusen Kk ストレーナー用内スクリーン
KR102350260B1 (ko) * 2021-05-12 2022-01-12 한국수자원공사 배관용 다중 여과망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0229A (ko) 1999-10-04 2000-01-15 권원현 전계강도 측정기의 측정레벨 자동 보정방법
JP2009285569A (ja) * 2008-05-29 2009-12-10 Nippon Yusen Kk ストレーナー用内スクリーン
KR100921990B1 (ko) * 2009-06-15 2009-10-14 미래화학 주식회사 압륜을 이용한 푸셔의 수밀 연결이 가능한 수도관
KR102350260B1 (ko) * 2021-05-12 2022-01-12 한국수자원공사 배관용 다중 여과망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38879B2 (en) Fluid strainer assembly
US20100025315A1 (en) Filter medium for strainers used in nuclear reactor emergency core cooling systems
US5534202A (en) Air grid for underdrains and similar systems
US11911718B2 (en) Self cleaning filter system and method
JP7143139B2 (ja) サクションフィルタ
KR102551111B1 (ko) 배관용 버킷메쉬필터
KR101210969B1 (ko) 펌프 흡입용 t자형 스트레이너
KR100906604B1 (ko) 플랜트용 t형 스트레이너
US8795521B1 (en) Filter apparatus
US20140102966A1 (en) Spa Filter Bypass
KR101064635B1 (ko) 자체 세정 기능을 갖춘 필터
JPS62266112A (ja) 自浄式フイルタ−
KR102022187B1 (ko) 스트레이너 장치
KR102616060B1 (ko) 부단수 자동역세 소형생물 여과장치
JP5896681B2 (ja) サイクロン式濾過装置
KR102459933B1 (ko) 상수도관 유지관리 여과시스템
JP4982612B1 (ja) ろ過システム
CN211486798U (zh) 一种低阻力的管道过滤器
KR102625168B1 (ko) 원뿔대 형태의 여과망 탑재로 압력손실 없이 필터 세척과 유량조절이 가능한 밀폐형 여과 볼밸브
KR102140263B1 (ko) 스트레이너
EP3950086A1 (en) Folded filter element filtration system with increased effective filtration area
KR102597489B1 (ko) 배수지 또는 정수지 밸브용 필터교체형 다중 여과망 장치
KR102623669B1 (ko) 유출 트러프에 설치되는 이물질 필터링 장치
CN213077724U (zh) 一种水污染过滤净化防治机
KR102619035B1 (ko) 유지보수가 용이한 수돗물 내 이물질 여과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