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6060B1 - 부단수 자동역세 소형생물 여과장치 - Google Patents

부단수 자동역세 소형생물 여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6060B1
KR102616060B1 KR1020230149947A KR20230149947A KR102616060B1 KR 102616060 B1 KR102616060 B1 KR 102616060B1 KR 1020230149947 A KR1020230149947 A KR 1020230149947A KR 20230149947 A KR20230149947 A KR 20230149947A KR 102616060 B1 KR102616060 B1 KR 1026160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body
washing water
filter
bal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499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두혁
박정민
황선역
김경구
김동완
이강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솔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솔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솔브
Priority to KR10202301499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60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60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60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7Arrangement of devices, e.g. filters, flow controls, measuring devices, siphons or valves, in the pipe systems
    • E03B7/074Arrangement of water treatment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47Bypass or safety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6Cleaning-out devices, e.g. for removing the cake from the filter casing or for evacuating the last remnants of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6Filter mounting adapt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터 세척이 가능한 여과 볼밸브에 관한 것으로, 배관에 연결되며 유로가 형성되어 유체를 통과시키는 밸브 바디(100)와, 상기 밸브 바디(100) 내부에서 유로(110)를 개폐하는 볼(200)과, 상기 밸브 바디(100)에 상기 유로(110)와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볼(200)을 회전시키기 위해 결합된 스템(300)과, 상기 볼(200)의 유체가 통과하는 유로 내부에 설치되며, 통과하는 유체(A)에서 이물질(B)을 걸러주는 필터부(400)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 바디(100)에는 필터부(400)를 세척할 수 있도록 세척수(C)를 제공하는 세척수제공부(500) 및 상기 세척수제공부(500)에 공급된 세척수(C)에 의해 세척된 이물질(B)과 세척수(C)가 포집되고 배출되는 드레인부(600)와 밸브 바디(100)의 일측에 연결되는 배관의 축방향으로 신축과 휨이 용이한 벨로우즈관(700)을 구비한다.

Description

부단수 자동역세 소형생물 여과장치 {Uninterrupted water automatic backwash small biological filtration device}
본 발명은 부단수 자동역세 소형생물 여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정수한 수돗물에서 발생하는 초미세 유충을 볼밸브 내부에 원뿔대 형태의 여과망이 설치된 여과장치에 의하여 여과할 수 있고, 여과장치 특성상 발생되는 여과망의 폐색(閉塞)을 자동으로 감지하고, 볼밸브를 90도 회전 밀폐형 구조로 닫힘 시에 필터를 외부에 노출하지 않고 볼밸브몸체 상부에 설치된 노즐과 하부에 구비된 드레인(drain) 배관을 통한 필터 세척 및 세척된 이물질과 세척수 배출이 동시에 가능하며, 기 설치된 배관라인에 본 발명의 부단수 자동역세 소형생물 여과장치를 용이하게 설치하기 위하여, 본체 일측에 신축 가능한 벨로우즈관을 구비한 신축플랜지를구비함으로 양측 플랜지 면간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부단수 자동역세 소형생물 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돗물은 하천이나 댐의 물을 정수장에서 응집, 침전, 여과, 소독과정의 표준정수처리 또는 표준정수처리에 오존 산화와 활성탄 흡착처리를 추가하는 고도정수처리 단계를 거쳐 정수한 후 배관을 통해 가정으로 공급지만,
배관 내의 물 흐름 방향 및 유속의 급격한 변화에 따라 배관 내에 존재하는 이물질이 배관에서 떨어져 나와 가정이나 저수조에 도달하여 적수를 유발하기도 하고, 정수단계에서의 염소소독에도 사멸되지 않은 살아 움직이는 유충이나 사멸된 사체가 가정집에 공급되어 사회적으로 이슈가 되는 사례도 있었다.
이러한 사회적 이슈를 해결하기 위해 등록번호 10-2226300호 “필터제수밸브”가 공지되어 있으나, 제수밸브 유로상의 일측에 이물질을 걸러주는 거름망 조립체가 결합된 형태의 것으로 필터가 폐색되면 필터를 교체해야 하는 교체작업의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이를 해결하기 위한 등록특허 10-2527735의 "자동세척 듀얼필터 게이트"가 공지되어 있으나, 유입관로 및 유출관로 상에는 필터게이트가 설치되고, 필터게이트 내의 필터를 액추에이터로 필터게이트 외부(상부)로 이동시켜 펌프의 구동에 의해 가압되는 세척수를 노즐로 분사하여 필터를 세척하는 것으로서, "자동세척 듀얼필터 게이트" 에는 개도 조절이 불가하여, 유체의 양을 조절하여야 하는 밸브의 기능이 없어 필터게이트 전·후단 제수 밸브가 설치되어야 함으로 2개의 제수 밸브 설치공간이 필요하고, 필터 세척을 위해서는 필터게이트를 상부로 이동시켜야 함으로 상부 공간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기 설치된 배관라인에 필터게이트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연결관의 일부를 전단한 후 플랜지를 연결관 외면에 용접하여야 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2226300호 등록특허공보 제10-2527735호
본 발명은 여과장치 특성상 발생되는 여과망의 폐색(閉塞)을 자동으로 감지하고, 볼밸브를 90도 회전 밀폐형 구조로 닫힘 시에 필터를 외부에 노출하지 않고 볼밸브몸체 상부에 설치된 노즐과 하부에 구비된 드레인(drain) 배관을 통한 필터의 세척 및 배출이 동시에 가능한 ‘부단수 자동역세 소형생물 여과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원 발명은 관로 확대 없이 볼밸브 내부에 원뿔대 형태의 여과망을 구비하여 통수단면적을 연결 관로 단면적 이상을 확보할 수 있는 ‘부단수 자동역세 소형생물 여과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원 발명은 배관라인에 조립된 상태에서 볼밸브 내부에 조립된 필터부를 교체할 수 있는 ‘부단수 자동역세 소형생물 여과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기 설치된 연결관과 연결되는 연결관의 중심이 일치하지 않거나, 플랜지 면간거리가 상이하여도 본체 일측에 신축가능한 벨로우즈관을 구비한 신축플랜지를 구비함으로 상하좌우로 조절하여 연결관의 중심과 일치시키거나, 면간거리를 조절하여 결합 가능한 양방향 신축이 용이한 ‘부단수 자동역세 소형생물 여과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부단수 자동역세 소형생물 여과장치는 유체를 통과시키는 밸브 바디(100)와, 상기 밸브 바디(100) 내부에서 유로(110)를 개폐하는 볼(200)과, 상기 밸브 바디(100)에 상기 유로(110)와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볼(200)을 회전시키기 위해 결합된 스템(300)과, 상기 볼(200)에 형성된 유체가 통과하는 유로 내부(210)에 설치되며, 통과하는 유체(A)에서 이물질(B)을 걸러주는 필터부(400)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 바디(100)에는 필터부(400)를 세척할 수 있도록 세척수(C)를 제공하는 세척수제공부(500) 및 상기 세척수제공부(500)에 공급된 세척수(C)에 의해 필터부(400)에서 세척된 이물질(B)과 세척수(C)가 포집되고 배출되는 드레인부(600)를 구비하며, 상기 밸브 바디(100)의 일측에는 신축이 용이한 벨로우즈관(700)이 구비되는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필터부(400)는 상기 유로 내부(210) 일측에 형성된 걸림단턱(220)에 조립되는 플랜지(410)와, 상기 플랜지(410) 내경부에서 원뿔대 형태로 형성되는 여과망(420)을 구비하며, 상기 걸림단턱(220)에는 복수 개의 암나사 홀(230)이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410)에는 상기 걸림단턱(220)의 암나사 홀(230)에 일치되도록 볼트 관통홀(411)이 구비되어, 조립나사(412)에 의해 상기 여과망(420)이 상기 걸림단턱(220)에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여과망(420)의 외측에는 여과망(420)을 강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여과망지지부(430)가 구비되며, 상기 여과망지지부(430)는 상기 여과망(420)의 단부(421)를 지지하는 단부 지지부(440)와, 여과망(420)의 원뿔대 외측(422)을 지지하는 외측지지부(450)로 이루어진다.
상기 단부 지지부(440)는 단부(421)의 외경을 감쌀 수 있는 지름을 가진 원형지지대(441)와, 상기 원형지지대(441)에는 원형지지대 내측을 지지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내측지지봉(442)이 구비되며, 상기 외측지지부(450)는 상기 필터부의 플랜지(410)와 원형지지대(441)를 연결하는 다수개의 지지봉(451)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세척수제공부(500)는 상기 스템(300)에 의해 볼(200)을 회전시켜, 밸브 바디(100)의 유로(110)가 폐쇄되었을 때에 여과망(420)에 부착된 이물질(B)을 세척하기 위해 세척수(C)를 분사하기 위한 다수개의 노즐(510)과, 상기 노즐(510)에 세척수(C)를 공급하는 연결배관(520)이 연결되고, 상기 연결배관(520)은 분배블럭(530)으로 연결되며, 상기 분배블럭(530)은 상기 밸브 바디(100)가 연결된 배관 유로(밸브 앞부분)에서 유체를 공급받거나, 외부 압력수를 공급받아 상기 연결배관(520)에 세척수로 분배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세척수제공부(500)는 상기 밸브 바디(100)에서 분리 조립할 수 있도록 밸브 바디(100)와 볼트(540)로 결합되고, 상기 밸브 바디(100)의 유로(110)가 폐쇄되었을 때에 상기 세척수제공부(500)를 밸브 바디(100)에서 분리하면 볼(200)의 유로 내부(210)에 설치된 필터부(400)를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도록 밸브 바디(100)에 필터부(400)가 통과할 수 있는 공간부(570)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570) 외측에 세척수제공부(500)가 조립된다.
그리고 상기 노즐(510)은 여과망(420)의 단부(421) 방향과, 여과망(420)의 원뿔대 외측(422) 방향으로 분사할 수 있도록 다수 개가 설치된다.
상기 드레인부(600)는 상기 세척수제공부(500)의 반대 방향에 설치되며, 상기 다수개의 노즐(510)에서 분사되는 세척수(C)에 의해 여과망(420)에 부착된 이물질(B)이 탈락하여 낙하되는 이물질(B)이 포함된 세척수(C)를 포집하는 이물질포집부(610)와, 상기 이물질포집부(610)에 포집되는 이물질(B)이 포함된 세척수(C)를 밸브 바디(100)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변(620)이 구비된다.
또한, 본원 발명의 상기 부단수 자동역세 소형생물 여과장치는 상기 밸브 바디(100)와, 제1배관(120)과 연결되며 상기 밸브 바디(100)의 일측에 결합되는 제1 시트플랜지(130)와, 제2배관(140)과 연결되며 상기 밸브 바디(100)의 타측에 결합되는 제2 시트플랜지(150)를 구비하며, 상기 제1, 2 시트플랜지(130, 150)는 볼(200)이 닫힌 상태에서 볼(200)의 외주면 과 바디 사이의 틈새를 통해 유체가 새는 것을 막거나 완화는 실링 유닛(170)을 구비하는 밸브시트부(160)를 구비하고, 상기 실링 유닛(170)은 금속 재질 또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실링 유닛(170)은 바디(171) 및 시트부(172)를 구비할 수 있다.
바디(171)는 일정 두께(t1)를 가진 평판링 형태로 형성되고, 시트부(172)는 바디(171) 중앙에서 돌출되는 돌출보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시트부(172)는 2개의 각주(173, 174) 형태로 탄성 변형될 수 있도록 중앙에 각형의 공간부(175)를 구비하여 2개의 각주(173, 174) 끝단부분이 상기 볼(200)의 외측면과 접촉하여 실링 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1, 2 시트플랜지의 밸브시트부(160)는 제1, 2 시트플랜지의 수직면에서 유로 측으로 일정 각도(α)로 실링 유닛(170)이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바디(171)의 일측이 삽입될 수 있는 홈(161)이 구비된 바디삽입부(162)를 구비하고, 상기 바디삽입부(162)에 조립되며 상기 바디(171)의 타측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165)을 구비한 실링 유닛 조립링(166)이 더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른 부단수 자동역세 소형생물 여과장치는 여과장치 특성상 발생되는 여과망의 폐색(閉塞)을 자동으로 감지할 수 있고, 밸브 볼을 90도 회전 밀폐형 구조로 닫힘 시에 필터를 외부에 노출하지 않고 세척수제공부에 설치된 노즐과 드레인(drain)부의 드레인 배관을 통한 필터의 이물질 세척 및 이물질이 포함된 세척수 배출이 동시에 가능하여, 배관 관로의 재가동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원 발명은 관로 확대 없이 밸브 볼 내부에 원뿔대 형태의 여과망을 구비하여 통수단면적을 연결 관로 단면적 이상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원 발명은 ‘부단수 자동역세 소형생물 여과장치’가 배관라인에 조립된 상태에서 볼밸브를 90도 회전 밀폐형 구조로 닫힘 시에 세척수제공부를 밸브 바디에서 분리하면, 밸브 볼 내부에 조립된 필터부를 교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원 발명은 ‘부단수 자동역세 소형생물 여과장치’를 설치하거나, 기존 밸브와 교체시 배관라인에 설치된 플랜지간의 면간 거리에 적합하도록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설치 작업을 매우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설치상태에서도 벨로우즈 신축관이 연결된 상태에서도 자유롭게 유체의 흐름방향으로 습동되는 구조를 가짐에 따라 외기에 따른 온도변화, 유체나 지반의 진동 및 축방향의 팽창 및 수축 현상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부단수 자동역세 소형생물 여과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부단수 자동역세 소형생물 여과장치의 4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부단수 자동역세 소형생물 여과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필터부의 여과과정과, 필터부의 세척과정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필터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부를 교체할 수 있는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벨로우즈 관이 구비된 시트플랜지의 실링 유닛을 구비하는 밸브시트부 구성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벨로우즈 관이 구비된 시트플랜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8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부단수 자동역세 소형생물 여과장치의 실시 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본 발명의 부단수 자동역세 소형생물 여과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부단수 자동역세 소형생물 여과장치는 밸브 바디(100), 볼(ball; 200), 스템(300), 필터부(400), 세척수제공부(500), 드레인부(600), 벨로우즈관(700)을 포함한다.
도2 내지 도8의 도면을 참고하면, 밸브 바디(100)는 유체가 이동되기 위한 유로(110)가 형성된다. 일예로, 밸브 바디(100)는 정수지에서 정수된 수돗물을 각 가정에 공급하는 수도배관 사이에 배치하거나 또는 수돗물을 목적지로 강제 이송하기 위한 펌프의 일부가 될 수 있다.
볼(ball; 200)은 밸브 바디(100)에 장착되고, 유로(110)를 개폐한다. 스템(300)은 밸브 바디(100)에 상기 유로(110)와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볼(200)을 회전시키며 유로(110)를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다.
필터부(400)는 볼(200)에 형성된 유체가 통과하는 유로 내부(210)에 설치되며, 통과하는 유체(A)에서 이물질(B)을 걸러준다.
필터부(400)는 세척수제공부(500)에 공급된 세척수(C)에 의해 세척 가능하고, 유로 내부(210)를 통과하는 유체에서 이물질(B)을 걸러준다. 일예로, 필터부(400)는 그물망 형상을 하고, 유체에서 이물질(B)을 걸러내는 과정에서 이물질(B)이 적체될 수 있다. 적체된 이물질(B)로 인해 유로(210)를 통과하는 유체의 압력이 상승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물질(B)이 적체되며, 스템(300)을 이용하여 밸브 바디(100)의 유로(110)에서 수직방향으로 볼(200)을 회전시키며 유로(110)를 폐쇄하고, 밸브 바디(100)의 유로(110)에서 분배블럭(530)으로 유체를 공급받고, 이를 다수개의 연결배관(520)으로 분배하여 다수개의 노즐(510)로 필터부(400)에 적체된 이물질(B)을 세척하는 세척수제공부(500)를 구비하고, 상기 세척수제공부(500) 반대편에 세척수제공부(500)에 공급된 세척수(C)에 의해 필터부(400)에서 세척된 이물질(B)과 세척수(C)가 포집되고 배출되는 드레인부(600)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필터부(400)를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필터부(400)는 볼(200) 내부에 형성된 유로 내부(210)에 원뿔대 형태로 설치되는 것으로 볼(200)의 유로 내부(210) 일측에 형성된 걸림단턱(220)에 조립되는 플랜지(410)와, 상기 플랜지(410) 내경부에서 원뿔대 형태로 형성되는 여과망(420)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유로 내부(210)에 원뿔대 형태의 여과망(420)으로 필터부(400)를 구비함으로 볼구경(내경)의 단면적보다 통수단면적 및 통과유량을 갖는 여과망(42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볼(200)의 걸림단턱(220)에는 복수 개의 암나사 홀(230)이 형성되고, 상기 필터부(400)에 구비된 플랜지(410)에는 상기 걸림단턱(220)에 형성된 암나사 홀(230)에 일치되도록 복수개의 볼트 관통홀(411)이 구비되어, 조립나사(412)에 의해 상기 유로 내부(210)에 여과망(420)이 걸림단턱(220)에 고정된다.
또한, 그물망 형상으로 이루어진 여과망(420)이 유체에서 이물질(B)을 걸러내는 과정에서 이물질(B)이 적체되고, 적체된 이물질(B)로 인해 유로(210)를 통과하는 유체의 압력이 상승하여 여과망(420)이 일그러지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여과망(420)의 외측에 여과망(420)을 강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여과망지지부(430)가 더 구비된다.
상기 여과망지지부(430)는 상기 여과망(420)의 단부(421)를 지지하는 단부 지지부(440)와, 여과망(420)의 원뿔대 외측(422)을 지지하는 외측지지부(450)로 이루어지고, 상기 단부 지지부(440)는 단부(421)의 외경을 감쌀 수 있는 지름을 가진 원형지지대(441)가 구비되며, 상기 외측지지부(450)는 상기 필터부의 플랜지(410)와 원형지지대(441)를 연결하는 다수개의 지지봉(451)로 이루어진다.
또한, 단부(421)의 외경을 감쌀 수 있는 지름을 가진 원형지지대(441)에는 원형지지대 내측을 지지할 수 있도록 내측지지봉(442)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내측지지봉(442)은 다수개로 그물망 또는 철망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볼(200)의 걸림단턱(220)에 필터부(400)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플랜지(410)에 상기 조립나사(412)의 머리부가 삽입될 수 있는 조립나사 머리 삽입부(414)를 구비하여 상기 필터부의 플랜지(410)를 볼(200)의 걸림단턱(220)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볼(200)의 걸림단턱(220)에 고정된 여과망(420)의 단부(421)가 처침등을 방지하기 위해 외측지지부(450)의 단부를 유로 내부(210)에 고정될 수 있도록 단부 고정장치(46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세척수제공부(500)는 여과망(420)이 유체에서 이물질(B)을 걸러내는 과정에서 이물질(B)이 적체되고, 적체된 이물질(B)로 인해 유로(210)를 통과하는 유체의 압력이 상승하였을 때에 여과망(420)을 세척할 수 있는 장치로서, 상기 스템(300)에 의해 볼(200)을 회전시켜, 밸브 바디(100)의 유로(110)가 폐쇄되었을 때에 여과망(420)에 부착된 이물질(B)을 세척하기 위해 세척수(C)를 분사하기 위한 다수개의 노즐(510)과, 상기 노즐(510)에 세척수(C)를 공급하는 연결배관(520)이 연결되고, 상기 노즐(510)에 세척수(C)를 공급하는 연결배관(520)이 연결되고, 상기 연결배관(520)에 세척수로 분배하는 분배블럭(530)이 구비한다.
상기 분배블럭(530)으로는 상기 밸브 바디(100)가 연결된 배관 유로(밸브 앞부분)에서 유체를 공급받거나, 외부 압력수를 공급받도록 구비한다.
즉, 본원 발명의 부단수 자동역세 소형생물 여과장치를 이용하여 유체에서 이물질(B)을 걸러내는 과정에서 이물질(B)이 적체되고, 적체된 이물질(B)로 인해 유로(210)를 통과하는 유체의 압력이 상승하게 되면 이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세척할 수 있도록 상기 필터부(400)의 앞의 관로와 상기 필터부(400)의 뒤부분의 유로의 압력을 측정하는 감지부(810, 820) 및 상기 감지부의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차압계(830)를 포함하는 제어부(800)에서 여과망(420)을 세척할 시간으로 판단되며, 상기 제어부(800)에서 스템(300)을 작동시켜 상기 볼(200)을 회전하여 밸브 바디(100)의 유로(110)를 폐쇄시키고, 상기 밸브 바디(100)가 연결된 배관 유로[필터부 앞부분;550)에서 유체 또는 외부 압력수를 분배블럭(530)으로 공급받고, 상기 분배블럭(530)에 연결된 연결배관(520)을 통하여 다수개의 노즐(510)로 세척수(C)를 분사하여 여과망(420)에 부착된 이물질(B)을 세척할 수 있다.
또한, 노즐(510)의 분사압력을 높일 수 있도록 분배블럭(530) 이전의 배관에 가압펌프(560)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세척수제공부(500)의 반대 방향에 설치된 드레인부(600)는 세척수제공부(500)에 구비된 다수개의 노즐(510)에서 분사되는 세척수(C)에 의해 여과망(420)에 부착된 이물질(B)이 탈락하여 낙하되는 이물질(B)이 포함된 세척수(C)를 포집하여 배출하는 드레인부(600)가 설치된다.
상기 드레인부(600)은 상기 세척수제공부(500)에 의하여 여과망(420)에서 탈락되는 이물질(B)이 포함된 세척수(C)를 포집하는 이물질포집부(610)와, 상기 이물질포집부(610)에 포집되는 이물질(B)이 포함된 세척수(C)를 밸브 바디(100)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변(620)으로 형성된다.
상기 이물질포집부(610)는 이물질(B)이 포함된 세척수(C)가 전량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배출변(620)이 설치되는 장소가 낮게 형성될 수 있도록 경사면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필터부(400)는 이물질(B)이 적체되고, 상기 이물질(B)을 세척하는 과정에서 손상되거나, 세척 후에도 여과망(420)에 이물질(B)이 고착되었을 때에는상기 필터부(400)를 교체할 수 있고, 이와 같이 필터부(400)를 교체할 수 있도록 상기 세척수제공부(500)는 상기 밸브 바디(100)에서 분리 조립할 수 있도록 밸브 바디(100)와 볼트(540)로 결합된다.
상기 밸브 바디(100)의 유로(110)가 폐쇄되었을 때에 상기 세척수제공부(500)를 밸브 바디(100)에서 분리하면 볼(200)의 유로 내부(210)에 설치된 필터부(400)를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도록 밸브 바디(100)에 필터부(400)가 통과할 수 있는 크기로 이루어진 공간부(570)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570) 외측에 세척수제공부(500)가 조립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세척수제공부(500)는 상기 밸브 바디(100)에서 분리하면, 밸브 바디(100)에 구비된 공간부(570)을 통하여 볼(200)의 걸림단턱(220)에 조립나사(412)로 조립된 필터부(400)를 분리할 수 있고, 분리된 필터부(400)를 새로운 것으로 교체하여 반대로 조립하면 상기 필터부의 플랜지(410)를 볼(200)의 걸림단턱(220)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고, 상기 세척수제공부(500)를 밸브 바디(100)에 조립하면, 필터부(400)의 교체가 완료된다.
또한, 밸브 바디(100)에 조립되는 세척수제공부(500)에는 필터부(400)의 여과망 및 볼밸브 내부를 점검할 수 있는 상기 세척수제공부(500)의 바디(580)는 필터부(400)의 세척정도, 필터의 교체시기, 분사노즐의 분사상태등을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아크릴 재질을 사용하거나, 바디의 일부를 가시화창으로 할 수 있고, 상기 가시화창은 통상의 내부를 확인할 수 있는 투과 창으로 통상의 기술이 사용된다.
또한, 상기 밸브 바디(100)의 일측에는 신축이 용이한 벨로우즈관(700)을 일체로 부착하여서 되는 것이므로 밸브 바디(100)에 부착된 벨로우즈관(700)이 본원 발명의 ‘부단수 자동역세 소형생물 여과장치’가 설치된 관로를 통하는 유체의 온도 및 외기에 따른 온도 변화 또는 유체나 지반의 진동 및 축방향의 신축에 대한 관로의 팽창과 수축을 흡수하게 됨에 따라 상기 밸브 바디(100)와 연결된 관로가 비틀어지고 변형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게 되어 누수현상이 없을 뿐 아니라 관로 계통의 시설을 보호할 수 있게 되며 특히 지반이 침하되거나 지진과 같은 진동이 발생시 밸브 바디(100)에 부착된 벨로우즈관(700)의 신축 및 휨에 의해 흡수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밸브 바디 110 : 유로
200 : 밸브 볼 220 : 걸림단턱
230 : 암나사 홀 300 : 스템
400 : 필터부 410 : 플랜지
420 : 여과망 430 : 여과망지지부
440 : 단부지지부 450 : 외측지지부
500 : 세척수제공부 510 : 노즐
520 : 연결배관 530 : 분배블럭
600 : 드레인부 610 : 이물질포집부
620 : 배출변 700 : 벨로우즈관

Claims (6)

  1. 유체를 통과시키는 밸브 바디(100)와, 상기 밸브 바디(100) 내부에서 유로(110)를 개폐하는 볼(200)과, 상기 밸브 바디(100)에 상기 유로(110)와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볼(200)을 회전시키기 위해 결합된 스템(300)과,
    상기 볼(200)에 형성된 유체가 통과하는 유로 내부(210)에 설치되며, 통과하는 유체(A)에서 이물질(B)을 걸러주는 필터부(400)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 바디(100)에는 필터부(400)를 세척할 수 있도록 세척수(C)를 제공하는 세척수제공부(500) 및 상기 세척수제공부(500)에 공급된 세척수(C)에 의해 필터부(400)에서 세척된 이물질(B)과 세척수(C)가 포집되고 배출되는 드레인부(600)를 구비하며,
    상기 밸브 바디(100)의 일측에는 신축이 용이한 벨로우즈관(700)가 구비되며,
    상기 필터부(400)는
    상기 유로 내부(210) 일측에 형성된 걸림단턱(220)에 조립되는 플랜지(410)와, 상기 플랜지(410) 내경부에서 원뿔대 형태로 형성되는 여과망(420)과, 상기 여과망(420)의 외측에는 여과망(420)을 강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여과망지지부(430)가 구비되며,
    상기 여과망지지부(430)는 상기 여과망(420)의 단부(421)를 지지하는 단부 지지부(440)와, 여과망(420)의 원뿔대 외측(422)을 지지하는 외측지지부(450)로 이루어지고,
    상기 단부 지지부(440)는 단부(421)의 외경을 감쌀 수 있는 지름을 가진 원형지지대(441)가 구비되며,
    상기 외측지지부(450)는 상기 필터부의 플랜지(410)와 원형지지대(441)를 연결하는 다수개의 지지봉(451)로 이루어지며,
    상기 세척수제공부(500)는
    상기 스템(300)에 의해 볼(200)을 회전시켜, 밸브 바디(100)의 유로(110)가
    폐쇄되었을 때에 여과망(420)에 부착된 이물질(B)을 세척하기 위해 세척수(C)를 분사하기 위한 다수개의 노즐(510)과,
    상기 노즐(510)에 세척수(C)를 공급하는 연결배관(520)이 연결되고,
    상기 연결배관(520)은 분배블럭(530)으로 연결되며,
    상기 분배블럭(530)은 상기 밸브 바디(100)가 연결된 배관 유로(밸브 앞부분)에서 유체를 공급받거나, 외부 압력수를 공급받아 상기 연결배관(520)에 세척수로 분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단수 자동역세 소형생물 여과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제공부(500)는 상기 밸브 바디(100)에서 분리 조립할 수 있도록
    밸브 바디(100)와 볼트(540)로 결합되고,
    상기 밸브 바디(100)의 유로(110)가 폐쇄되었을 때에 상기 세척수제공부(500)를 밸브 바디(100)에서 분리하면 볼(200)의 유로 내부(210)에 설치된 필터부(400)를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도록 밸브 바디(100)에 필터부(400)가 통과할 수 있는 공간부(570)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570) 외측에 세척수제공부(500)가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단수 자동역세 소형생물 여과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부(600)는 상기 세척수제공부(500)의 반대 방향에 설치되며,
    상기 다수개의 노즐(510)에서 분사되는 세척수(C)에 의해 여과망(420)에 부착된 이물질(B)이 탈락하여 낙하되는 이물질(B)이 포함된 세척수(C)를 포집하는 이물질포집부(610)와,
    상기 이물질포집부(610)에 포집되는 이물질(B)이 포함된 세척수(C)를 밸브바디(100)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변(620)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단수 자동역세 소형생물 여과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단턱(220)에는 복수 개의 암나사 홀(230)이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410)에는 조립나사(412)의 머리부가 삽입될 수 있는 조립나사 머리 삽입부(414)를 구비하고, 상기 걸림단턱(220)에는 복수 개의 암나사 홀(230)이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410)에는 상기 걸림단턱(220)의 암나사 홀(230)에 일치되도록 볼트 관통홀(411)이 구비되어, 조립나사(412)에 의해 상기 여과망(420)이 상기 걸림단턱(220)에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단수 자동역세 소형생물 여과장치.
  5. 삭제
  6. 삭제
KR1020230149947A 2023-11-02 2023-11-02 부단수 자동역세 소형생물 여과장치 KR1026160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49947A KR102616060B1 (ko) 2023-11-02 2023-11-02 부단수 자동역세 소형생물 여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49947A KR102616060B1 (ko) 2023-11-02 2023-11-02 부단수 자동역세 소형생물 여과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6060B1 true KR102616060B1 (ko) 2023-12-20

Family

ID=89376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49947A KR102616060B1 (ko) 2023-11-02 2023-11-02 부단수 자동역세 소형생물 여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6060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68354A (ja) * 2000-11-28 2002-06-14 Teral Kyokuto Inc ストレーナ内蔵型洗浄機能付ボール弁
JP2004286188A (ja) * 2003-03-25 2004-10-14 Cosmo Koki Co Ltd 上下方向に移動可能な夾雑物除去装置および不断水工法における該装置の据付け方法
KR101683869B1 (ko) * 2015-10-08 2016-12-08 김현철 필터의 청소가 용이한 난방수필터 연결장치
KR20190109149A (ko) * 2018-03-16 2019-09-25 주식회사 포스코 유체 여과장치
KR102226300B1 (ko) 2020-11-12 2021-03-11 주식회사 현대밸브 필터 제수밸브
KR102527735B1 (ko) 2022-11-29 2023-05-02 주식회사 현대밸브 스마트 자동세척 듀얼필터 게이트
KR102533543B1 (ko) * 2023-02-13 2023-05-17 큰나라찬사회적협동조합 역세 기능을 갖는 지상수평형 정밀여과 시스템
KR102566337B1 (ko) * 2023-05-25 2023-08-14 큰나라찬사회적협동조합 자동역세 미세여과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68354A (ja) * 2000-11-28 2002-06-14 Teral Kyokuto Inc ストレーナ内蔵型洗浄機能付ボール弁
JP2004286188A (ja) * 2003-03-25 2004-10-14 Cosmo Koki Co Ltd 上下方向に移動可能な夾雑物除去装置および不断水工法における該装置の据付け方法
KR101683869B1 (ko) * 2015-10-08 2016-12-08 김현철 필터의 청소가 용이한 난방수필터 연결장치
KR20190109149A (ko) * 2018-03-16 2019-09-25 주식회사 포스코 유체 여과장치
KR102226300B1 (ko) 2020-11-12 2021-03-11 주식회사 현대밸브 필터 제수밸브
KR102527735B1 (ko) 2022-11-29 2023-05-02 주식회사 현대밸브 스마트 자동세척 듀얼필터 게이트
KR102533543B1 (ko) * 2023-02-13 2023-05-17 큰나라찬사회적협동조합 역세 기능을 갖는 지상수평형 정밀여과 시스템
KR102566337B1 (ko) * 2023-05-25 2023-08-14 큰나라찬사회적협동조합 자동역세 미세여과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9040B1 (ko) 스트레이너 청소가 용이한 병렬식 펌프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제어방법
KR20120065164A (ko) 배관용 스트레이너 구조
CN110694324A (zh) 一种前置水过滤器
CN111346420A (zh) 管道过滤器
US11911718B2 (en) Self cleaning filter system and method
KR102401453B1 (ko) 세척효율성을 강화한 필터 세척장치
KR101210969B1 (ko) 펌프 흡입용 t자형 스트레이너
KR102616060B1 (ko) 부단수 자동역세 소형생물 여과장치
CN213221233U (zh) 一种倒锥型反冲式管道过滤器
CN208072613U (zh) 一种可过滤污水的污水提升装置
KR102625168B1 (ko) 원뿔대 형태의 여과망 탑재로 압력손실 없이 필터 세척과 유량조절이 가능한 밀폐형 여과 볼밸브
CN210917587U (zh) 楼房室内管道排污系统
US11173423B2 (en) Spring filter system
CN103638738B (zh) 一种直通式免拆卸清洗型过滤器
CN111450593A (zh) 直通式过滤器装置
CN209123461U (zh) 一种自来水厂设备生产用污水处理装置
RU122585U1 (ru) Самопромывной сетчатый фильтр
KR200207850Y1 (ko) 이물질 수집통이 장치된 스트레이너
CN202212046U (zh) 免拆洗过滤器
JP6378592B2 (ja) ストレーナ
CN212214823U (zh) 管道过滤器
CN212700767U (zh) 直通式过滤器装置
KR102459933B1 (ko) 상수도관 유지관리 여과시스템
RU77172U1 (ru) Фильтр
CN218853602U (zh) 管道除污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