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6337B1 - 자동역세 미세여과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역세 미세여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6337B1
KR102566337B1 KR1020230067504A KR20230067504A KR102566337B1 KR 102566337 B1 KR102566337 B1 KR 102566337B1 KR 1020230067504 A KR1020230067504 A KR 1020230067504A KR 20230067504 A KR20230067504 A KR 20230067504A KR 102566337 B1 KR102566337 B1 KR 1025663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raw water
expansion
flange
backwa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675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동하
최성우
Original Assignee
큰나라찬사회적협동조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큰나라찬사회적협동조합 filed Critical 큰나라찬사회적협동조합
Priority to KR10202300675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63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63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63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6Cleaning-out devices, e.g. for removing the cake from the filter casing or for evacuating the last remnants of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9/66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lushing, e.g. counter-current air-bumps
    • B01D29/68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lushing, e.g. counter-current air-bumps with backwash arms, shoes or nozzles
    • B01D29/68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lushing, e.g. counter-current air-bumps with backwash arms, shoes or nozzles with a rotary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filter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88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having feed or discharge devices
    • B01D29/92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having feed or discharge devices for discharging filtr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7Arrangement of devices, e.g. filters, flow controls, measuring devices, siphons or valves, in the pipe systems
    • E03B7/074Arrangement of water treatment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7Arrangement of devices, e.g. filters, flow controls, measuring devices, siphons or valves, in the pipe systems
    • E03B7/08Arrangement of draining devices, e.g. manual shut-off valv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역세 미세여과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정수장으로부터 정수처리된 원수를 가정 등으로 이송시키는 원수배관 상에 설치되어 원수내에 잔존하는 유충이나 이물질을 여과처리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주기적으로 여과망을 역세척하여 여과기능을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으며, 아울러 여과망의 역세척을 통해 유충이나 이물질로 인한 배관 내의 유체 흐름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면서 여과장치의 여과효율 및 신뢰성을 현격히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신축연결관 구조가 더 적용됨으로써 신축연결관을 선택적으로 분리하여 확대여과케이싱과 협소여과케이싱이 연결된 내부에 설치된 여과망 및 회전형 역세척 배관유닛 등의 부품에 대해 수리 및 교체가 간편하게 이루어져 장치의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이패스연결관을 통해 자동역세 미세여과장치가 2열로 설치됨으로써 상호 교대로 원수의 이송 및 역세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원수의 이송이 단절됨이 없이 역세처리가 이루어지게 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역세 미세여과장치{Automatic automatic back-washing fine filtering apparatus}
본 발명은 자동역세 미세여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정수장으로부터 정수처리된 원수를 가정 등으로 이송시키는 원수배관 상에 설치되어 원수내에 잔존하는 유충이나 이물질을 여과처리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주기적으로 여과망을 역세척하여 여과기능을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으며, 아울러 여과망의 역세척을 통해 유충이나 이물질로 인한 배관 내의 유체 흐름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면서 여과장치의 여과효율 및 신뢰성을 현격히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길이방향 중앙을 기준으로 양측에 대해 대칭으로 각각 다수의 노즐이 구비된 회전형 역세척 배관유닛이 적용됨으로써 분사에 따라 자동으로 회전되면서 회전 분사를 통해 여과망 전체에 걸쳐 고르게 분사되도록 하여 짧은 시간 내에 여과망의 전체적인 역세척이 이루어지면서 역세척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더욱이 신축연결관 구조가 더 적용됨으로써 신축연결관을 선택적으로 분리하여 확대여과케이싱과 협소여과케이싱이 연결된 내부에 설치된 여과망 및 회전형 역세척 배관유닛 등의 부품에 대해 수리 및 교체가 간편하게 이루어져 장치의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자동역세 미세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돗물은 하천이나 댐의 물을 정수장에서 응집, 침전, 여과, 소독과정의 표준정수처리 또는 표준정수처리에 오존 산화와 활성탄 흡착처리를 추가하는 고도정수처리 단계를 정수한 후 배관을 통해 가정으로 공급되고 있다.
그러나, 배관 내에 존재하는 스케일 등의 이물질은 배관 내의 물 흐름방향 및 유속의 급격한 변화에 따라 배관에서 떨어져 나와 가정이나 저수조에 도달하여 적수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취수장, 정수장이나 배수지에서의 각종 날벌레의 유입으로 염소소독에도 사멸되지 않는 살아 움직이는 유충이나 사멸된 사체가 가정집에 공급된 실제 사례가 발생하였다.
도 1은 수돗물에서 발견된 대표 미세 유충인 깔따구의 알과 유충, 성충에 대한 사진 이미지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수돗물에서 발견되는 미세 유충으로는 깔따구(Chironomidae sp.) 유충이 가장 많이 발견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먼저, 이러한 깔따구는 파리목, 깔따구과에 속하는 벌레로서, 평균 300 내지 600개의 한천질로 뭉쳐진 원주상의 난괴(알)를 산란하며, 상기 알은 산란 후 1-2일 내로 부화하며 진흙 속에 포함된 유기물을 먹이원으로 한다.
또한, 깔따구 유충은 가늘고 짧으며(1~2mm 정도), 철사 모양의 지렁이 또는 짙은 붉은색을 띤 실지렁이와 유사한 형태로서, 유충 기간은 평균 20~30일, 이후 번데기 기간은 1~2일을 지낸다.
또한, 깔따구 성충은 크기가 2~20mm이고, 전체적으로 가느다란 형태, 머리는 노랗거나 붉은 편이며 다리는 갈색을 띄며, 성충의 수명은 2~7일이다.
이러한 깔따구는 저수지, 강, 대울, 인공용기, 바닷물 등 거의 모든 종류의 습지에서 발생되며, 1급수 맑은 물에서 4급수까지 수질에 따라 발생하는 종도 다양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번식은 수온이 상승되는 늦봄에서 여름에 저수조, 수도꼭지, 호스 등 정체되어 있는 곳에 알을 낳아 발생되는데, 정수장의 경우 개방된 공정(침전지 등), 배수지, 관로파손 부위 등을 통해 수돗물 공급과정에 유입된 깔따구 유층 등이 수돗물에서 발견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깔따구 유충의 경우 염소에 대한 저항성이 강해 잔류염소 50mg/L에서 48시간 처리 후에도 생존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일반적으로 공급과정 중 수돗물은 잔류염소 0.1mg/L∼1.0mg/L 범위 유지)
이에, 배관 내의 유충이나 이물질 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타공망으로 이루어진 스트레이너를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는데, 일례로,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383870호에서 확인할 수 있고, 이는 스테이너를 교환이나 세척하기 위해서는 볼트 결합되어진 결합구를 몸체에서 분리해야 하므로 작업이 번거롭고, 신속하게 작업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즉, 소형의 밸브에서는 결합구의 분리가 아렵지 않게 되지만, 대형의 밸브에서는 결합구의 무게 등으로 작업이 지연되어 신속하게 교환이나 세척 등의 작업이 이루어지지 못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한국등록특허 제10-2226300호의 필터 제수밸브가 제시되었다.
이때, 상기 한국등록특허 제10-2226300호의 필터 제수밸브는 유체가 흐르는 관로 상에 설치되도록 좌,우측에 플랜지가 설치되고, 상기 플랜지의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에 연통된 게이트홈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밸브바디와, 상기 게이트홈에 결합되어 승하강되는 게이트, 및 상기 게이트에 결합되어 유체상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주는 거름망 조립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거름망 조립체는 이물질을 걸러주는 망사체와, 상기 망사체의 외주면을 양측면에서 지지하는 지지링체와, 상기 지지링체에 지지되어진 망사체가 안착되며, 외주면에 원주방향으로 결합돌기가 적어도 두 개 이상 형성되어진 거름망 플레이트와, 상기 거름망 플레이트에 결합되어진 망사체를 고정하도록 하는 거름망 커버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밸브 디스크에 필터체를 배치하여 밸브의 열림 또는 닫힘 만으로 탈착이 용이하도록 하여 수돗물이나 정수과정에 존재할 수 있는 이물질이나 유충을 거르고, 이를 신속하고 손쉽게 교환이나 세척할 수 있도록 하여 유지관리의 편의를 도모하였다.
그러나, 관로 상에 설치된 거름망 조립체는 장시간 사용에 의해 유체에 포함된 유충이나 기타 이물질의 여과성능을 발휘함과 함께, 상기 거름망에 유충이나 이물질 등이 흡착됨에 따라 관로 상의 유체흐름을 간섭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거름망에 유충이나 이물질 등이 흡착상태가 유지되면, 흡착된 이물질에 의해 관로 상에 압력이 상승되고, 이러한 압력상승으로 유체가 거름망에 흡착된 이물질을 밀고 나가게 됨으로써, 거름망에 의한 여과작용이 상실 및 저하되어 본래의 기능이 상실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므로 정수장의 원수배관 상에 설치되어 원수배관을 통해 이송되는 유체에 잔존하는 유충이나 이물질 등을 여과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주기적으로 거름망 또는 여과망을 역세척하여 여과기능을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유충이나 이물질로 인한 배관 내의 유체 흐름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면서 여과장치의 여과효율 및 신뢰성을 현격히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미세여과장치에 대해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83870호 2005.05.02. 등록. 한국등록특허 제10-2226300호 2021.03.04. 등록. 한국등록특허 제10-2323486호 2021.11.02. 등록. 한국등록특허 제10-2356048호 2022.01.21. 등록.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정수장으로부터 정수처리된 원수를 가정 등으로 이송시키는 원수배관 상에 설치되어 원수내에 잔존하는 유충이나 이물질을 여과처리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주기적으로 여과망을 역세척하여 여과기능을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역세 미세여과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다른 목적은 여과망의 역세척을 통해 유충이나 이물질로 인한 배관 내의 유체 흐름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면서 여과장치의 여과효율 및 신뢰성을 현격히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또 다른 목적은 길이방향 중앙을 기준으로 양측에 대해 대칭으로 각각 다수의 노즐이 구비된 회전형 역세척 배관유닛이 적용됨으로써 분사에 따라 자동으로 회전되면서 회전 분사를 통해 여과망 전체에 걸쳐 고르게 분사되도록 하여 짧은 시간 내에 여과망의 전체적인 역세척이 이루어지면서 역세척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또 다른 목적은 신축연결관이 더 적용됨으로써 신축연결관을 선택적으로 분리하여 확대여과케이싱과 협소여과케이싱이 연결된 내부에 설치된 여과망 및 회전형 역세척 배관유닛 등의 부품에 대해 수리 및 교체가 간편하게 이루어져 장치의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자동역세 미세여과장치는 원수가 흐르는 원수배관의 일정영역이 절단되면서 상호 마주하는 원수유입연결배관과 원수배출연결배관 중, 원수유입연결배관 단부에 일단의 유입플랜지가 플랜지 이음구조로 연결되며, 유입플랜지로부터 타단의 확대연결플랜지에 이르도록 외향 확장되어 유입된 원수를 이송속도를 감속시키면서 확장 분산시켜 이송안내되게 하는 확대여과케이싱; 원수가 흐르는 원수배관 중 일정영역이 절단되어 상호 마주하는 원수유입연결배관과 원수배출연결배관 중, 원수배출연결배관 단부에 일단의 배출플랜지가 플랜지 이음구조로 연결되고, 타단의 협소연결플랜지로부터 배출플랜지에 이르도록 내향 협소하게 축소되면서 원수배출연결배관 측으로 이송되는 원수를 증속시켜 이송되도록 하며, 협소연결플랜지에 대해 확대여과케이싱의 확대연결플랜지와 플랜지 이음연결되는 협소여과케이싱; 확대여과케이싱의 확대연결플랜지와 협소여과케이싱의 협소연결플랜지에 대한 플랜지 이음연결되는 사이에 둘레부분이 일정길이만큼 개재된 상태로 고정설치되며, 원수유입연결배관으로부터 확대여과케이싱을 거쳐 분산되는 원수를 여과시켜 여과처리된 원수를 협소여과케이싱 측을 경유하여 원수배출여결배관 측으로 이송되게 하는 여과망; 외부로부터 확대여과케이싱을 관통한 후 여과망 중앙부분을 관통하여 협소여과케이싱의 협소연결플랜지 측 내부로 연장 설치되며, 협소여과케이싱의 협소연결플랜지 측 내부에 배치된 부분에 대해 여과망의 중심을 기준으로 양측이 상호 반대측으로 역세척수를 분사시켜 회전과 동시에 분사가 이루어지면서 여과망의 확대여과케이싱 측을 향하는 면 상에 부착된 이물질을 역세척 탈리시키는 회전형 역세척배관유닛; 확대여과케이싱의 하부에 연통형결되어, 회전형 역세척배관유닛의 구동에 의해 역세척 탈리된 이물질을 역세척수와 함께 외부로 배출시키는 퇴수관; 및 협소여과케이싱의 배출플랜지와 원수배출연결배관 사이에 개재되어, 양단이 플랜지 이음구조로 연결되며, 양단의 플랜지부 사이영역인 관체부분에 대해 일정길이 신축가능한 주름관체로 제공되는 신축연결관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더욱이, 신축연결관에 대해 협소여과케이싱의 배출플랜지와 원수배출연결배관 사이에 개재된 상태로 양단이 플랜지 이음구조로 연결되는 경우에 신축변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신축연결관은 플랜지 이음구조로 연결되는 양단의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고정브래킷이 구비되어, 신축연결관의 길이방향으로 마주하는 고정브래킷에 스터드볼트의 양단이 관통된 상태로 단부에 너트가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전형 역세척배관유닛은 중공파이프로 제공되어, 일단에 확대여과케이싱 외부로부터 내부로 관통하여 확대여과케이싱의 확대연결플랜지 중앙부에 이르도록 연장되는 역세척수이송공급배관 일단부가 연통연결되며, 일단으로부터 연장되어 타단이 협소여과케이싱의 협소연결플랜지 중앙부를 관통하여 일정길이 돌출되는 상태로 확대여과케이싱의 확대연결플랜지 중앙부에 로터리조인트를 통해 회전가능케 설치고정되는 중심파이프와, 중심파이프 타단의 원주방향 양측에 외향 일정길이 연장되어, 중심파이프를 경유하는 역세척수가 분사를 위해 유입되는 분사파이프 및 분사파이프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설치되어, 협소여과케이싱 측으로부터 여과망 측을 향해 역세척수를 분사시키며, 분사력에 의해 중심파이프를 축으로 하여 일방향으로 자동 회전되면서 여과망을 역세척하는 분사노즐을 포함하는 것이 양호하다.
이때, 상기 분사노즐을 통한 역세척수의 분사시 분사력에 의해 중심파이프를 축으로 하여 일방향으로 자동 회전되면서 여과망을 역세척할 수 있도록, 상기 분사파이프는 중심파이프를 중앙 축으로 하는 길이방향 양측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각각 다수 개로 분사노즐이 고정설치되되, 중심파이프를 중앙 축으로 하여 양측에 다수 개로 설치되는 분사노즐의 분사방향에 대해 여과망을 향하는 방향에서 상호 반대방향으로 일정각도 경사진 방향을 향하는 방향으로 고정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여과망은 확대여과케이싱의 확대연결플랜지와 협소여과케이싱의 협소연결플랜지에 대한 플랜지 이음연결되는 사이에 둘레부분이 일정길이만큼 개재된 상태로 고정설치되되, 2중의 망체로 중첩되게 고정설치되며, 확대여과케이싱 측에 배치된 망체의 메시크기가 협소여과케이싱 측에 배치된 망체의 메시크기보다 작은 메시크기를 갖는 망체로 제공되는 것이 양호하다.
더욱이, 회전형 역세척배관유닛의 구동시 원수유입연결배관 및 원수배출연결배관으로부터 여과망 측으로의 원수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도록, 확대여과케이싱의 유입플랜지에 대한 원수유입연결관과의 사이에는 플랜지 이음구조로 유입개폐밸브가 더 설치되는 한편, 협소여과케이싱의 배출플랜지에 대한 원수배출연결관과의 사이에는 플랜지 이음구조로 배출개폐밸브가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역세척수이송공급배관은 확대여과케이싱 외부로부터 내부로 관통하여 확대여과케이싱의 확대연결플랜지 중앙부에 이르도록 연장되어 중심파이프의 일단과 연통연결되는 일단부와 대향되어 확대여과케이싱 외부에 배치되는 타단부에 모터펌프가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모터펌프의 구동을 통해 역세척수를 공급하는 한편, 역세척수이송공급배관의 확대여과케이싱을 관통하지 않는 라인 상에는 역세척수의 공급 및 차단을 위한 역세개폐밸브가 더 설치되는 것이 양호하다.
아울러, 원수의 이송이 단절됨이 없이 역세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자동역세 미세여과장치는 양측에 유입개폐밸브와 배출개폐밸브가 개재되어 원수유입연결배관과 원수배출연결배관 사이에 연통연결되게 설치되는 한편, 원수유입연결배관과 원수배출연결배관의 상부로 바이패스 연결되는 바이패스연결관 중앙에 일정길이 절단되면서 상호 마주하는 사이 양측에 유입개폐밸브와 배출개폐밸브가 개재되어 다른 하나의 자동역세 미세여과장치가 연통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역세 미세여과장치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정수장으로부터 정수처리된 원수를 가정 등으로 이송시키는 원수배관 상에 설치되어 원수내에 잔존하는 유충이나 이물질을 여과처리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주기적으로 여과망을 역세척하여 여과기능을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둘째, 여과망의 역세척을 통해 유충이나 이물질로 인한 배관 내의 유체 흐름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면서 여과장치의 여과효율 및 신뢰성을 현격히 향상시킬 수 있다.
셋째, 길이방향 중앙을 기준으로 양측에 대해 대칭으로 각각 다수의 노즐이 구비된 회전형 역세척 배관유닛이 적용됨으로써 분사에 따라 자동으로 회전되면서 회전 분사를 통해 여과망 전체에 걸쳐 고르게 분사되도록 하여 짧은 시간 내에 여과망의 전체적인 역세척이 이루어지면서 역세척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넷째, 협소여과케이싱과 원수배출연결배관 사이에 배치되어 양단이 플랜지 이음구조로 연통연결되는 신축연결관이 더 적용됨으로써 신축연결관을 선택적으로 분리하여 확대여과케이싱과 협소여과케이싱이 연결된 내부에 설치된 여과망 및 회전형 역세척 배관유닛 등의 부품에 대해 수리 및 교체가 간편하게 이루어져 장치의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다섯째, 바이패스연결관을 통해 자동역세 미세여과장치가 2열로 설치됨으로써 상호 교대로 원수의 이송 및 역세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원수의 이송이 단절됨이 없이 역세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수돗물에서 발견된 대표 미세 유충인 깔따구의 알과 유충, 성충에 대한 사진 이미지.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역세 미세여과장치의 정수장에서 가정 등으로 이송시키는 원수배관의 일정영역이 절단되면서 상호 마주하는 원수유입연결배관과 원수배출연결배관 사이에 플랜지 이음구조로 연결설치되어, 원수가 이송되는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 정단면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역세 미세여과장치에서, 요부인 확대여과케이싱과 협소여과케이싱 연결부분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요부 정단면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역세 미세여과장치에서, 요부인 회전형 역세척배관유닛의 역세척수 분사를 통한 자동 회전구조를 나타낸 요부 측면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역세 미세여과장치의 정수장에서 가정 등으로 이송시키는 원수배관의 일정영역이 절단되면서 상호 마주하는 원수유입연결배관과 원수배출연결배관 사이에 플랜지 이음구조로 연결설치되어, 원수의 이송이 중지된 상태에서 여과망이 역세척되는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 단면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역세 미세여과장치의 다른 사용예로서, 원수의 이송이 단절됨이 없도록 하는 바이패스 타입으로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역세 미세여과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역세 미세여과장치의 정수장에서 가정 등으로 이송시키는 원수배관의 일정영역이 절단되면서 상호 마주하는 원수유입연결배관과 원수배출연결배관 사이에 플랜지 이음구조로 연결설치되어, 원수가 이송되는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 정단면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역세 미세여과장치에서, 요부인 확대여과케이싱과 협소여과케이싱 연결부분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요부 정단면예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역세 미세여과장치에서, 요부인 회전형 역세척배관유닛의 역세척수 분사를 통한 자동 회전구조를 나타낸 요부 측면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역세 미세여과장치의 정수장에서 가정 등으로 이송시키는 원수배관의 일정영역이 절단되면서 상호 마주하는 원수유입연결배관과 원수배출연결배관 사이에 플랜지 이음구조로 연결설치되어, 원수의 이송이 중지된 상태에서 여과망이 역세척되는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 단면예시도이다.
도 2 내지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역세 미세여과장치(1000)는 정수장으로부터 정수처리된 원수를 가정 등으로 이송시키는 원수배관 상에 설치되어 원수내에 잔존하는 유충이나 이물질을 여과처리가 가능하고 주기적인 여과망 역세척이 가능하며 여과망 및 회전형 역세척 배관유닛 등의 부품에 대해 수리 및 교체가 간편하게 이루어져 장치의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크게 분류하면 확대여과케이싱(100), 협소여과케이싱(200), 여과망(300), 회전형 역세척배관유닛(400), 퇴수관(500) 및 신축연결관(6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확대여과케이싱(100)은 원수가 흐르는 원수배관의 일정영역이 절단되면서 상호 마주하는 원수유입연결배관(10a)과 원수배출연결배관(10b) 중, 원수유입연결배관(10a) 단부에 일단의 유입플랜지(110)가 플랜지 이음구조로 연결된다.
이러한 확대여과케이싱(100)은 유입플랜지(110)로부터 타단의 확대연결플랜지(130)에 이르도록 외향 확장되어 유입된 원수를 이송속도를 감속시키면서 확장 분산시켜 이송안내되게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확대여과케이싱(100)은 특히, 후술될 회전형 역세척배관유닛(400)의 중심파이프(410) 등에 대한 축설을 위하여, 유입플랜지(110) 및 확대연결플랜지(130)에 대하여 플랜지를 형성하는 링 형상의 내부에 +자 형상의 판 상 리브를 갖는 구조로 적용됨이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상기 협소여과케이싱(200)은 원수가 흐르는 원수배관 중 일정영역이 절단되어 상호 마주하는 원수유입연결배관(10a)과 원수배출연결배관(10b) 중, 원수배출연결배관(10b) 단부에 일단의 배출플랜지(210)가 플랜지 이음구조로 연결된다.
이러한 협소여과케이싱(200)은 타단의 협소연결플랜지(230)로부터 배출플랜지(210)에 이르도록 내향 협소하게 축소되면서 원수배출연결배관(10b) 측으로 이송되는 원수를 증속시켜 이송되도록 하며, 협소연결플랜지(230)에 대해 확대여과케이싱(100)의 확대연결플랜지(130)와 플랜지 이음연결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협소여과케이싱(200)은 확대여과케이싱(100)과 마찬가지로, 후술될 회전형 역세척배관유닛(400)의 중심파이프(410) 등에 대한 축설을 위하여, 배출플랜지(210) 및 협소연결플랜지(230)에 대하여 플랜지를 형성하는 링 형상의 내부에 +자 형상의 판 상 리브를 갖는 구조로 적용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여과망(300)은 확대여과케이싱(100)의 확대연결플랜지(130)와 협소여과케이싱(200)의 협소연결플랜지(230)에 대한 플랜지 이음연결되는 사이에 둘레부분이 일정길이만큼 개재된 상태로 고정설치된다.
즉, 상기와 같은 여과망(300)은 원수유입연결배관(10a)으로부터 확대여과케이싱(100)을 거쳐 분산되는 원수를 여과시켜 여과처리된 원수를 협소여과케이싱(200) 측을 경유하여 원수배출여결배관(10b) 측으로 이송되게 하는 것이다.
더욱이, 상기 여과망(300)은 확대여과케이싱(100)의 확대연결플랜지(130)와 협소여과케이싱(200)의 협소연결플랜지(230)에 대한 플랜지 이음연결되는 사이에 둘레부분이 일정길이만큼 개재된 상태로 고정설치되되, 2중의 망체로 중첩되게 고정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2중 망체로 적용되는 여과망(300)은 확대여과케이싱(100) 측에 배치된 망체의 메시크기가 협소여과케이싱(200) 측에 배치된 망체의 메시크기보다 작은 메시크기를 갖는 망체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다시 말해서, 2중 망체로 적용되는 여과망(300)은 확대여과케이싱(100) 측에 배치된 망체의 메시 구멍 크기가 협소여과케이싱(200) 측에 배치된 망체의 메시 구멍 크기보다 작은 메시 구멍 크기를 갖는 망체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와 같은 여과방(300)은 비금속재 망체 또는 철재의 외면에 부식방지를 위해 도금처리된 철재 망체 등으로 제공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회전형 역세척배관유닛(400)은 외부로부터 확대여과케이싱(100)을 관통한 후 여과망 중앙부분을 관통하여 협소여과케이싱(200)의 협소연결플랜지(230) 측 내부로 연장 설치된다.
이러한 회전형 역세척배관유닛(400)은 협소여과케이싱(200)의 협소연결플랜지(230) 측 내부에 배치된 부분에 대해 여과망(300)의 중심을 기준으로 양측이 상호 반대측으로 역세척수를 분사시켜 회전과 동시에 분사가 이루어지면서 여과망(300)의 확대여과케이싱(100) 측을 향하는 면 상에 부착된 이물질을 역세척 탈리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퇴수관(500)은 확대여과케이싱(100)의 하부에 연통형결되어, 회전형 역세척배관유닛(400)의 구동에 의해 역세척 탈리된 이물질을 역세척수와 함께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이다.
특히, 상기와 같은 퇴수관(500)은 확대여과케이싱(100)의 하부에 연통연결되는 퇴수안내부(510)와, 퇴수안내부(510) 하측으로부터 관체로 일정길이 연장되어 외부로 배출토록 구비되는 퇴수배출부(520)로 구성된다.
더욱이, 상기 퇴수관(500)은 역세척이 완료된 후 여과처리시에 원수가 배출되지 않도록, 퇴수안내부(510) 하측의 퇴수배출부(520) 라인 상에 퇴수개폐밸브(500v)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특히 상기 퇴수개폐밸브(500v)는 볼밸브로 적요됨이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상기 신축연결관(600)은 협소여과케이싱(200)의 배출플랜지(210)와 원수배출연결배관(10b) 사이에 개재되어 양단이 플랜지 이음구조로 연결되며, 양단의 플랜지부 사이영역인 관체부분에 대해 일정길이 신축가능한 주름관체로 제공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자동역세 미세여과장치(1000)는 특히, 신축연결관(600)에 대해 협소여과케이싱(200)의 배출플랜지(210)와 원수배출연결배관(10b) 사이에 개재된 상태로 양단이 플랜지 이음구조로 연결되는 경우에 신축변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신축연결관(600)은 플랜지 이음구조로 연결되는 양단의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고정브래킷(610)이 구비되어, 신축연결관(600)의 길이방향으로 마주하는 고정브래킷(610)에 스터드볼트(600b)의 양단이 관통된 상태로 단부에 너트(600b)가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다시 말해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축연결관(600)은 주름관체가 최소로 축소된 상태에서 신축연결관(600)의 길이방향으로 마주하는 고정브래킷(610)에 스터드볼트(600b)의 양단이 관통된 상태로 단부에 너트(600n)가 체결되면서 축소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신축연결관(600)은 도면으로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주름관체가 최소로 축소된 상태가 아닌 최소로 축소된 상태로부터 최대로 신장된 상태의 사이로 적용된 상태에서, 신축연결관(600)의 길이방향으로 마주하는 고정브래킷(610)에 스터드볼트(600b)의 양단이 관통된 상태로 단부에 각각 한 쌍의 너트(600n)가 체결되면서 신축연결관(600)에 대해 일정길이로 신장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스터드볼트(600b)의 양단에 체결되는 한 쌍의 너트(600n)는 고정브래킷(610)을 기준으로 양측에 체결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자동역세 미세여과장치(1000)에서의, 요부인 상기 회전형 역세척배관유닛(400)은 크게 중심파이프(410)와, 분사파이프(420) 및 분사노즐(430)로 구성된다.
상세히, 상기 중심파이프(410)는 중공파이프로 제공되어, 일단에 확대여과케이싱(100) 외부로부터 내부로 관통하여 확대여과케이싱(100)의 확대연결플랜지(130) 중앙부에 이르도록 연장되는 역세척수이송공급배관(400a) 일단부가 연통연결된다.
이러한 중심파이프(410)는 특히, 일단으로부터 연장되어 타단이 협소여과케이싱(200)의 협소연결플랜지(230) 중앙부를 관통하여 일정길이 돌출되는 상태로 확대여과케이싱(100)의 확대연결플랜지(130) 중앙부에 로터리조인트(400b)를 통해 회전가능케 설치고정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분사파이프(420)는 중심파이프(410) 타단의 원주방향 양측에 외향 일정길이 연장되어, 중심파이프(410)를 경유하는 역세척수가 분사를 위해 유입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분사노즐(430)은 분사파이프(420)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설치되어, 협소여과케이싱(200) 측으로부터 여과망(300) 측을 향해 역세척수를 분사시키는 것이다.
즉, 상기와 같은 분사노즐(430)은 분사력에 의해 중심파이프(410)를 축으로 하여 일방향으로 자동 회전되면서 여과망(300)을 역세척하는 것이다.
특히,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회전형 역세척배관유닛(400)은 상기 분사노즐(430)을 통한 역세척수의 분사시 분사력에 의해 중심파이프(410)를 축으로 하여 일방향으로 자동 회전되면서 여과망을 역세척할 수 있도록 함이 중요하다.
이에 따라, 상기 분사파이프(420)는 중심파이프(410)를 중앙 축으로 하는 길이방향 양측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각각 다수 개로 분사노즐(430)이 고정설치되되, 중심파이프(410)를 중앙 축으로 하여 양측에 다수 개로 설치되는 분사노즐(430)의 분사방향에 대해 여과망(300)을 향하는 방향에서 상호 반대방향으로 일정각도 경사진 방향을 향하는 방향으로 고정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분사노즐(430)의 경사진 방향을 향하는 각도는 여과망을 향하는 방향으로부터 30~70도 범위 중 특정 자연수의 각도로 적용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한 것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자동역세 미세여과장치(1000)은 회전형 역세척배관유닛(400)의 구동시 원수유입연결배관(10a) 및 원수배출연결배관(10b)으로부터 여과망(300) 측으로의 원수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중요하다.
이에 따라, 확대여과케이싱(100)의 유입플랜지(110)에 대한 원수유입연결관(10a)과의 사이에는 플랜지 이음구조로 유입개폐밸브(100v)가 더 설치되는 한편, 협소여과케이싱(200)의 배출플랜지(210)에 대한 원수배출연결관(10b)과의 사이에는 플랜지 이음구조로 배출개폐밸브(200v)가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유입개폐밸브(100v) 및 배출개폐밸브(200v)는 볼밸브로 적용됨이 더욱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자동역세 미세여과장치(1000)에서, 상기 역세척수이송공급배관(400a)은 확대여과케이싱(100) 외부로부터 내부로 관통하여 확대여과케이싱(100)의 확대연결플랜지(130) 중앙부에 이르도록 연장되어 중심파이프(410)의 일단과 연통연결되는 일단부와 대향되어 확대여과케이싱(100) 외부에 배치되는 타단부에 모터펌프(400p)가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모터펌프(400p)의 구동을 통해 역세척수를 공급한다.
이때, 상기 역세척수이송공급배관(400a)의 확대여과케이싱(100)을 관통하지 않는 라인 상에는 역세척수의 공급 및 차단을 위한 역세개폐밸브(410a)가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자동역세 미세여과장치(1000)는 도면으로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여과망(300)의 상태를 점검하여 여과망(300)의 역세척이 요구되는 시기를 감지할 수 있도록 확대여과케이싱(100) 상부에 점검창(미도시)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역세 미세여과장치는 점검된 여과망(300)의 상태를 기준으로 수동 또는 자동으로 여과망(300)의 역세척을 위한 회전형 역세척배관유닛(400)을 구동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역세 미세여과장치(1000)는 도면으로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확대여과케이싱(100)의 상부에 점검창(미도시)이 구비되어, 점검창(미도시) 내에 여과망(300)의 상태를 촬상하는 촬상카메라(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촬상카메라(미도시)는 점검창(미도시)의 내부에 다수 개로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경우에, 확대여과케이싱(100)의 일 측에 이격설치되며, 점검창(미도시) 내의 촬상카메라(미도시)에 의해 촬상된 이미지를 수신하여 수신된 이미지를 기반으로 하여 세척시기로 판단되면 회전형 역세척배관유닛(400)을 일정시간 구동시키도록 제어하는 컨트롤박스(미도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이때, 상기 컨트롤박스(미도시)는 도면으로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확대여과케이싱(100)의 전방 또는 후방 측에 설치브래킷(미도시) 등을 통해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역세 미세여과장치(1000)는 컨트롤박스(미도시)의 제어를 통하여, 여과망(300)의 상태에 따라 원수의 이송을 정지시키기 위해 유입개폐밸브(100v)와 배출개폐밸브(200v)가 폐쇄 작동된 후에 모터펌프(400p)가 작동하면서 역세개폐밸브(410a)가 개방되어 역세척수이송공급배관(400a)을 거쳐 분사노즐(430)을 통해 역세척수가 분사되면서 여과망(300)의 역세척이 진행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와 같은 컨트롤박스(미도시)의 제어를 통한 여과망(300) 역세척이 일정시간 진행된 이후에는 다시 역순으로 역세개폐밸브(410a)가 폐쇄되면서, 유입개폐밸브(100v)와 배출개폐밸브(200v)가 개방작동되어 원수의 이송이 재차 진행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제어도 상기 컨트롤박스(미도시)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역세 미세여과장치의 다른 사용예로서, 원수의 이송이 단절됨이 없도록 하는 바이패스 타입으로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예시도이다.
도 2 내지 5를 참고하여 설명한 실시예와는,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역세 미세여과장치(1000)가 바이패스 타입의 병열구조로 설치되는 점에서만 차이를 가지며, 이에 따라 동일부호를 갖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역세 미세여과장치(1000)는 다른 사용예로서, 원수의 이송이 단절됨이 없이 역세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세히, 본 발명에 따른 자동역세 미세여과장치(1000)는 다른 사용예로서, 먼저 양측에 유입개폐밸브(100v)와 배출개폐밸브(200v)가 개재되어 원수유입연결배관(10a)과 원수배출연결배관(10b) 사이에 자동역세 미세여과장치(1000)가 연통연결되게 설치된다.
더욱이, 원수유입연결배관(10a)과 원수배출연결배관(10b)의 상부로 바이패스 연결되는 바이패스연결관(10bp) 중앙에 일정길이 절단되면서 상호 마주하는 사이 양측에 유입개폐밸브(100v)와 배출개폐밸브(200v)가 개재되어 다른 하나의 자동역세 미세여과장치(1000)가 연통연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바이패스연결관(10bp)이 적용되면서 자동역세 미세여과장치(1000)가 상, 하의 한 쌍으로 설치되는 구조에 의하면, 상, 하의 자동역세 미세여과장치(1000)에 대한 역세척 작동이 교번하여 진행되도록 제어하면서 원수의 이송이 단절됨이 없이 역세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바이패스연결관(10bp)을 통해 자동역세 미세여과장치(1000)가 2열로 설치됨으로써 상호 교대로 원수의 이송 및 역세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원수의 이송이 단절됨이 없이 역세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자동역세 미세여과장치에 의하면, 정수장으로부터 정수처리된 원수를 가정 등으로 이송시키는 원수배관 상에 설치되어 원수내에 잔존하는 유충이나 이물질을 여과처리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주기적으로 여과망을 역세척하여 여과기능을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아울러, 여과망의 역세척을 통해 유충이나 이물질로 인한 배관 내의 유체 흐름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면서 여과장치의 여과효율 및 신뢰성을 현격히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길이방향 중앙을 기준으로 양측에 대해 대칭으로 각각 다수의 노즐이 구비된 회전형 역세척 배관유닛이 적용됨으로써 분사에 따라 자동으로 회전되면서 회전 분사를 통해 여과망 전체에 걸쳐 고르게 분사되도록 하여 짧은 시간 내에 여과망의 전체적인 역세척이 이루어지면서 역세척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더욱이, 협소여과케이싱과 원수배출연결배관 사이에 배치되어 양단이 플랜지 이음구조로 연통연결되는 신축연결관이 더 적용됨으로써 신축연결관을 선택적으로 분리하여 확대여과케이싱과 협소여과케이싱이 연결된 내부에 설치된 여과망 및 회전형 역세척 배관유닛 등의 부품에 대해 수리 및 교체가 간편하게 이루어져 장치의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0: 자동역세 미세여과장치
100: 확대여과케이싱 110: 유입플랜지
130: 확대연결플랜지 100v: 유입개폐밸브
200: 협소여과케이싱 210: 배출플랜지
230: 협소연결플랜지 200v: 배출개폐밸브
300: 여과망 400: 회전형 역세척배관유닛
410: 중심파이프 420: 분사파이프
430: 분사노즐 400a: 역세척수이송공급배관
410a: 역세개폐밸브 400b: 로터리조인트
400p: 모터펌프 500: 퇴수관
510: 퇴수안내부 520: 퇴수배출부
500v: 퇴수개폐밸브 600: 신축연결관
610: 고정브래킷 600b: 스터드볼트
600n: 너트
10a: 원수유입연결배관
10b: 원수배출연결배관
10bp: 바이패스연결관

Claims (8)

  1. 원수가 흐르는 원수배관의 일정영역이 절단되면서 상호 마주하는 원수유입연결배관(10a)과 원수배출연결배관(10b) 중, 원수유입연결배관(10a) 단부에 일단의 유입플랜지(110)가 플랜지 이음구조로 연결되며, 유입플랜지(110)로부터 타단의 확대연결플랜지(130)에 이르도록 외향 확장되어 유입된 원수를 이송속도를 감속시키면서 확장 분산시켜 이송안내되게 하는 확대여과케이싱(100);
    원수가 흐르는 원수배관 중 일정영역이 절단되어 상호 마주하는 원수유입연결배관(10a)과 원수배출연결배관(10b) 중, 원수배출연결배관(10b) 단부에 일단의 배출플랜지(210)가 플랜지 이음구조로 연결되고, 타단의 협소연결플랜지(230)로부터 배출플랜지(210)에 이르도록 내향 협소하게 축소되면서 원수배출연결배관(10b) 측으로 이송되는 원수를 증속시켜 이송되도록 하며, 협소연결플랜지(230)에 대해 확대여과케이싱(100)의 확대연결플랜지(130)와 플랜지 이음연결되는 협소여과케이싱(200);
    확대여과케이싱(100)의 확대연결플랜지(130)와 협소여과케이싱(200)의 협소연결플랜지(230)에 대한 플랜지 이음연결되는 사이에 둘레부분이 일정길이만큼 개재된 상태로 고정설치되며, 원수유입연결배관(10a)으로부터 확대여과케이싱(100)을 거쳐 분산되는 원수를 여과시켜 여과처리된 원수를 협소여과케이싱(200) 측을 경유하여 원수배출여결배관(10b) 측으로 이송되게 하는 여과망(300);
    외부로부터 확대여과케이싱(100)을 관통한 후 여과망 중앙부분을 관통하여 협소여과케이싱(200)의 협소연결플랜지(230) 측 내부로 연장 설치되며, 협소여과케이싱(200)의 협소연결플랜지(230) 측 내부에 배치된 부분에 대해 여과망(300)의 중심을 기준으로 양측이 상호 반대측으로 역세척수를 분사시켜 회전과 동시에 분사가 이루어지면서 여과망(300)의 확대여과케이싱(100) 측을 향하는 면 상에 부착된 이물질을 역세척 탈리시키는 회전형 역세척배관유닛(400);
    확대여과케이싱(100)의 하부에 연통형결되어, 회전형 역세척배관유닛(400)의 구동에 의해 역세척 탈리된 이물질을 역세척수와 함께 외부로 배출시키는 퇴수관(500); 및
    협소여과케이싱(200)의 배출플랜지(210)와 원수배출연결배관(10b) 사이에 개재되어, 양단이 플랜지 이음구조로 연결되며, 양단의 플랜지부 사이영역인 관체부분에 대해 일정길이 신축가능한 주름관체로 제공되는 신축연결관(6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자동역세 미세여과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신축연결관(600)에 대해 협소여과케이싱(200)의 배출플랜지(210)와 원수배출연결배관(10b) 사이에 개재된 상태로 양단이 플랜지 이음구조로 연결되는 경우에 신축변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신축연결관(600)은 플랜지 이음구조로 연결되는 양단의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고정브래킷(610)이 구비되어, 신축연결관(600)의 길이방향으로 마주하는 고정브래킷(610)에 스터드볼트(600b)의 양단이 관통된 상태로 단부에 너트(600n)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역세 미세여과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형 역세척배관유닛(400)은 중공파이프로 제공되어, 일단에 확대여과케이싱(100) 외부로부터 내부로 관통하여 확대여과케이싱(100)의 확대연결플랜지(130) 중앙부에 이르도록 연장되는 역세척수이송공급배관(400a) 일단부가 연통연결되며, 일단으로부터 연장되어 타단이 협소여과케이싱(200)의 협소연결플랜지(230) 중앙부를 관통하여 일정길이 돌출되는 상태로 확대여과케이싱(100)의 확대연결플랜지(130) 중앙부에 로터리조인트(400b)를 통해 회전가능케 설치고정되는 중심파이프(410)와,
    중심파이프(410) 타단의 원주방향 양측에 외향 일정길이 연장되어, 중심파이프(410)를 경유하는 역세척수가 분사를 위해 유입되는 분사파이프(420) 및
    분사파이프(420)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설치되어, 협소여과케이싱(200) 측으로부터 여과망(300) 측을 향해 역세척수를 분사시키며, 분사력에 의해 중심파이프(410)를 축으로 하여 일방향으로 자동 회전되면서 여과망(300)을 역세척하는 분사노즐(4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역세 미세여과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430)을 통한 역세척수의 분사시 분사력에 의해 중심파이프(410)를 축으로 하여 일방향으로 자동 회전되면서 여과망을 역세척할 수 있도록,
    상기 분사파이프(420)는 중심파이프(410)를 중앙 축으로 하는 길이방향 양측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각각 다수 개로 분사노즐(430)이 고정설치되되, 중심파이프(410)를 중앙 축으로 하여 양측에 다수 개로 설치되는 분사노즐(430)의 분사방향에 대해 여과망(300)을 향하는 방향에서 상호 반대방향으로 일정각도 경사진 방향을 향하는 방향으로 고정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역세 미세여과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망(300)은 확대여과케이싱(100)의 확대연결플랜지(130)와 협소여과케이싱(200)의 협소연결플랜지(230)에 대한 플랜지 이음연결되는 사이에 둘레부분이 일정길이만큼 개재된 상태로 고정설치되되,
    2중의 망체로 중첩되게 고정설치되며, 확대여과케이싱(100) 측에 배치된 망체의 메시크기가 협소여과케이싱(200) 측에 배치된 망체의 메시크기보다 작은 메시크기를 갖는 망체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역세 미세여과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회전형 역세척배관유닛(400)의 구동시 원수유입연결배관(10a) 및 원수배출연결배관(10b)으로부터 여과망(300) 측으로의 원수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도록,
    확대여과케이싱(100)의 유입플랜지(110)에 대한 원수유입연결관(10a)과의 사이에는 플랜지 이음구조로 유입개폐밸브(100v)가 더 설치되는 한편,
    협소여과케이싱(200)의 배출플랜지(210)에 대한 원수배출연결관(10b)과의 사이에는 플랜지 이음구조로 배출개폐밸브(200v)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역세 미세여과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역세척수이송공급배관(400a)은 확대여과케이싱(100) 외부로부터 내부로 관통하여 확대여과케이싱(100)의 확대연결플랜지(130) 중앙부에 이르도록 연장되어 중심파이프(410)의 일단과 연통연결되는 일단부와 대향되어 확대여과케이싱(100) 외부에 배치되는 타단부에 모터펌프(400p)가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모터펌프(400p)의 구동을 통해 역세척수를 공급하는 한편,
    역세척수이송공급배관(400a)의 확대여과케이싱(100)을 관통하지 않는 라인 상에는 역세척수의 공급 및 차단을 위한 역세개폐밸브(410a)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역세 미세여과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원수의 이송이 단절됨이 없이 역세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자동역세 미세여과장치(1000)는 양측에 유입개폐밸브(100v)와 배출개폐밸브(200v)가 개재되어 원수유입연결배관(10a)과 원수배출연결배관(10b) 사이에 연통연결되게 설치되는 한편,
    원수유입연결배관(10a)과 원수배출연결배관(10b)의 상부로 바이패스 연결되는 바이패스연결관(10bp) 중앙에 일정길이 절단되면서 상호 마주하는 사이 양측에 유입개폐밸브(100v)와 배출개폐밸브(200v)가 개재되어 다른 하나의 자동역세 미세여과장치(1000)가 연통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역세 미세여과장치.
KR1020230067504A 2023-05-25 2023-05-25 자동역세 미세여과장치 KR1025663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7504A KR102566337B1 (ko) 2023-05-25 2023-05-25 자동역세 미세여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7504A KR102566337B1 (ko) 2023-05-25 2023-05-25 자동역세 미세여과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6337B1 true KR102566337B1 (ko) 2023-08-14

Family

ID=87565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67504A KR102566337B1 (ko) 2023-05-25 2023-05-25 자동역세 미세여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63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6060B1 (ko) * 2023-11-02 2023-12-20 주식회사 솔브 부단수 자동역세 소형생물 여과장치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4365A (ko) * 1998-03-20 1999-08-05 권병대 고속회전식 분사노즐을 구비한 여과지용 표면세척기
KR200383870Y1 (ko) 2005-02-16 2005-05-10 주식회사 삼진정밀 제수밸브 일체형 스트레이너
KR20130127831A (ko) * 2012-05-15 2013-11-25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유량 변화에 따라 자동역세척이 가능한 2-bed type 여과필터
KR20140038652A (ko) * 2012-09-21 2014-03-3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유체 이송배관의 이물질 제거를 위한 반자동 필터 시스템
KR20150010897A (ko) * 2013-07-19 2015-01-2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유체 이송배관 이물질 제거용 자동필터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207446B1 (ko) * 2020-09-14 2021-01-25 심성구 진동과 변형에 대해 내구성을 갖는 2중 필터 및 가스켓을 가지는 상수도 분기관 여과구조
KR102226300B1 (ko) 2020-11-12 2021-03-11 주식회사 현대밸브 필터 제수밸브
KR102323486B1 (ko) 2021-05-12 2021-11-09 주식회사 미래이앤아이 정수장용 미세 유충 여과장치
KR102356048B1 (ko) 2021-06-07 2022-02-08 주식회사 현대밸브 플러싱 필터게이트
CN216320316U (zh) * 2021-11-08 2022-04-19 兖矿能源集团股份有限公司 掘进机用可反冲洗的机载滤水装置
KR102401453B1 (ko) * 2021-12-03 2022-05-24 주식회사 현대밸브 세척효율성을 강화한 필터 세척장치
KR102533543B1 (ko) * 2023-02-13 2023-05-17 큰나라찬사회적협동조합 역세 기능을 갖는 지상수평형 정밀여과 시스템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4365A (ko) * 1998-03-20 1999-08-05 권병대 고속회전식 분사노즐을 구비한 여과지용 표면세척기
KR200383870Y1 (ko) 2005-02-16 2005-05-10 주식회사 삼진정밀 제수밸브 일체형 스트레이너
KR20130127831A (ko) * 2012-05-15 2013-11-25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유량 변화에 따라 자동역세척이 가능한 2-bed type 여과필터
KR20140038652A (ko) * 2012-09-21 2014-03-3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유체 이송배관의 이물질 제거를 위한 반자동 필터 시스템
KR20150010897A (ko) * 2013-07-19 2015-01-2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유체 이송배관 이물질 제거용 자동필터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207446B1 (ko) * 2020-09-14 2021-01-25 심성구 진동과 변형에 대해 내구성을 갖는 2중 필터 및 가스켓을 가지는 상수도 분기관 여과구조
KR102226300B1 (ko) 2020-11-12 2021-03-11 주식회사 현대밸브 필터 제수밸브
KR102323486B1 (ko) 2021-05-12 2021-11-09 주식회사 미래이앤아이 정수장용 미세 유충 여과장치
KR102356048B1 (ko) 2021-06-07 2022-02-08 주식회사 현대밸브 플러싱 필터게이트
CN216320316U (zh) * 2021-11-08 2022-04-19 兖矿能源集团股份有限公司 掘进机用可反冲洗的机载滤水装置
KR102401453B1 (ko) * 2021-12-03 2022-05-24 주식회사 현대밸브 세척효율성을 강화한 필터 세척장치
KR102533543B1 (ko) * 2023-02-13 2023-05-17 큰나라찬사회적협동조합 역세 기능을 갖는 지상수평형 정밀여과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6060B1 (ko) * 2023-11-02 2023-12-20 주식회사 솔브 부단수 자동역세 소형생물 여과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119377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чистой воды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KR102566337B1 (ko) 자동역세 미세여과장치
KR101991116B1 (ko) 필터 장치
CA2914153C (en) Rotary disc filter
KR101291299B1 (ko) 역세 가능한 수처리 필터 시스템 및 역세 방법
CN201088884Y (zh) 一种可自动清污、排污的滤水器
JP2010253418A (ja) 逆洗浄機能付濾過システムおよび濾過器の洗浄方法
CN114873685B (zh) 一种基于非紧凑型滤芯的超滤膜污水处理设备
US2022032388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urifying natural water for recreational swimming with modular filtration units
US11845020B2 (en) System and method for a filter system
US4944887A (en) Regenerative diatomaceous earth filter
JP2022097630A (ja) 分解可搬型膜濾過装置
EP3104951B1 (en) Air flow enhanced self-cleaning disc filter apparatus
JPWO2002028503A1 (ja) ろ過材洗浄方法及びろ過装置
CN208711231U (zh) 一种多介质过滤器
CN103157317A (zh) 一种水过滤器装置及其冲洗方法
KR102070679B1 (ko) 필터 세정구조를 갖는 정수시스템
CN113943060A (zh) 一种高层建筑集成式环保净水工艺
WO2017173161A1 (en) Rotating belt filter automated self-cleaning assembly
AU2014330107B2 (en) Filtration system and method for filtering a liquid
CN209322586U (zh) 一种反冲洗净水器
CN106390551A (zh) 一种养殖水处理装置
KR101106546B1 (ko) 연못의 수질 정화장치
KR100718547B1 (ko) 회전식 상향류 수질 여과 장치
KR102608983B1 (ko) 역세 기능이 구비된 회전 필터 여과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