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1990B1 - 압륜을 이용한 푸셔의 수밀 연결이 가능한 수도관 - Google Patents

압륜을 이용한 푸셔의 수밀 연결이 가능한 수도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1990B1
KR100921990B1 KR1020090052852A KR20090052852A KR100921990B1 KR 100921990 B1 KR100921990 B1 KR 100921990B1 KR 1020090052852 A KR1020090052852 A KR 1020090052852A KR 20090052852 A KR20090052852 A KR 20090052852A KR 100921990 B1 KR100921990 B1 KR 1009219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sher
water pipe
pressure
connection head
inner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28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종록
Original Assignee
미래화학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래화학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미래화학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528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19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19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19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2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 F16L21/022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used with sleeves or nipples for pipes of the same diameter, or with reduction pie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2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 F16L21/04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in which sealing rings are compressed by axially-movabl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5/00Constructive types of pipe joi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L13/00 - F16L23/00 ; Details of pipe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ally conducting or insulating means
    • F16L25/14Joints for pipes of different diameters or cross-s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Allowing Mov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륜을 이용한 푸셔의 수밀 연결이 가능한 수도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도관을 일체형을 연결한 연결 헤드와 압륜을 체결볼트로 체결하는 체결력에 의하여 누름돌기의 내경에 형성한 나사산이 푸셔를 회전 결합하여 수도관을 안정되게 고정하면서 수밀을 유지하고, 푸셔의 걸림돌기가 연결헤드와 결합되어 수도관에 작용하는 수압의 팽창력에 대항 압력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압륜을 이용한 푸셔의 수밀 연결이 가능한 수도관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수도관(10)의 한쪽에 일체형으로 연결되며 내부에 연결홈(21)에 패킹(50)이 결합되는 패킹홈(24)이 형성되고 외측으로 보강돌부(22)를 형성한 연결헤드(20)의 일측으로 체결공(32)에 체결볼트(60)가 관통하여 너트(62)로 고정하며 내경에 누름돌기(31)를 형성한 압륜(30)으로 이루어진 수도관에 있어서,
상기 압륜(30)의 누름돌기(31) 내경에 형성한 누름돌기(31)로 눌러 고정되며 내경에 고정돌기(43)를 형성하여 수도관(11)을 외경에서 고정시키고 일측으로 걸림돌기(45)가 돌출되는 푸셔(40)와; 상기 푸셔(40)의 걸림돌기(45)가 결합되며 연결헤드(20)의 패킹홈(24)에 형성되어 수도관(10, 11)의 팽창과 수축시 발생하는 압력이 연결헤드(20)와 압륜(30)에 분산되도록 유격을 제공하는 결합홈(25)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Figure R1020090052852
수도관, 푸셔, 연결 헤드, 압륜

Description

압륜을 이용한 푸셔의 수밀 연결이 가능한 수도관{Used the pressure wheel to pusher, the water pipe where the water tight connection is possible}
본 발명은 압륜을 이용한 푸셔의 수밀 연결이 가능한 수도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도관을 일체형을 연결한 연결 헤드와 압륜을 체결볼트로 체결하는 체결력에 의하여 누름돌기의 내경에 형성한 나사산이 푸셔를 회전 결합하여 수도관을 안정되게 고정시키면서 수밀을 유지하고, 푸셔의 걸림돌기가 연결헤드와 결합되어 수도관에 작용하는 수압의 팽창력에 대항 압력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압륜을 이용한 푸셔의 수밀 연결이 가능한 수도관에 관한 것이다.
종래 수도관은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발명특허 제0577964호(2006. 05. 02. 등록)는 "압륜을 이용한 수도관 안전 연결용 연결구"를 명칭으로 한 것이며, 압륜(30)의 체결공(32)에 연결 헤드(20)의 체결턱(23)에 걸림날개(61)가 결합되는 체결볼트(60)를 관통시켜 너트(62)로 체결하여 누름돌기(31)의 압력으로 패킹(50)을 눌러 패킹홈(24)에서 수도관(11)의 외경에서 수밀이 유지되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체결볼트와 너트결합력으로 압륜을 눌러 누름돌기가 패킹을 눌러 패킹홈에서 패킹에 의해 수밀이 유지되도록 하였지만, 수도관에 물이 공급될 때 압력이 발생하게 되고, 이 압력으로 인하여 수도관이 팽창하게 되면서 압륜에 하중이 집중된다.
수도관의 팽창에 의한 하중이 압륜에 집중되므로 이러한 압력은 체결볼트에 가장먼저 전달되면서 매우 취약한 체결볼트가 금속이 아닌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경우 파단되는 결과를 낳게 되므로, 현재에는 압력을 견딜 수 있도록 체결볼트를 금속재질로 사용하게 된다.
상기 체결볼트가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므로 압력이 압륜에 크게 작용하게 되므로 심한 경우에는 압륜이 깨지거나 파손되는 결점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 압륜이 깨지거나 파손되는 이유는 수도관의 압력에 의한 팽창이 크게 발생하지만 이러한 압력을 차단하는 구성요소가 없어서 압력이 그대로 압륜에 전달되면서 발생한다.
이러한 수도관의 압력에 의한 팽창과 수축이 수도물의 공급시마다 반복적으로 작용하게 되므로 패킹 하나만으로 헤드와 압륜 및 수도관의 연결부위에서 수밀을 유지한다는 것이 매우 어려워 시간이 지남에 따라서 패킹의 탄성력이 저하되면서 수밀이 정상적으로 유지되지 못하게 되어 결국 수도물이 땅속으로 유입되어 큰 경제적인 손실을 발생하는 원인이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압륜이 연결 헤드와 결합할 때 압륜의 이동에 의해 푸셔가 회전하면서 삽입되고 내경이 작아지면서 수도관의 외경을 안전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푸셔가 회전하면서 삽입되어 패킹을 눌러 패킹홈에서 수밀이 안정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푸셔에 걸림돌기를 형성하여 연결 헤드의 결합홈에 결합되어 수도관의 팽창시에 이탈되지 않고 충격을 흡수하여 수도관에서 발생하는 충격이 압륜에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수도관(10)의 한쪽에 일체형으로 연결되며 내부에 연결홈(21)에 패킹(50)이 결합되는 패킹홈(24)이 형성되고 외측으로 보강돌부(22)를 형성한 연결헤드(20)의 일측으로 체결공(32)에 체결볼트(60)가 관통하여 너트(62)로 고정하며 내경에 누름돌기(31)를 형성한 압륜(30)으로 이루어진 수도관에 있어서,
상기 압륜(30)의 누름돌기(31) 내경에 형성한 누름돌기(31)로 눌러 고정되며 내경에 고정돌기(43)를 형성하여 수도관(11)을 외경에서 고정시키고 일측으로 걸림돌기(45)가 돌출되는 푸셔(40)와; 상기 푸셔(40)의 걸림돌기(45)가 결합되며 연결헤드(20)의 패킹홈(24)에 형성되어 수도관(10, 11)의 팽창과 수축시 발생하는 압력 이 연결헤드(20)와 압륜(30)에 분산되도록 유격을 제공하는 결합홈(25)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압륜(30)은 누름돌기(31)의 내경으로 나사산(33)을 형성하여 푸셔(40)가 회전 이동하면서 결합되도록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푸셔(40)는 외경으로 누름돌기(31)의 나사산(33)과 결합하는 나사산(44)을 형성하여 회전 이동하면서 결합되도록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압륜이 연결 헤드와 결합할 때 체결볼트와 너트의 결합력으로 압륜이 연결 헤드 방향으로 이동할 때 압륜의 누름돌기 내경에 형성한 나사산과 푸셔의 나사산이 결합되어 푸셔가 회전하면서 삽입되고 내경이 작아지면서 수도관의 외경에 고정돌기가 박히면서 수도관을 안전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푸셔가 압륜에 의해 회전하면서 삽입되어 패킹을 눌러 패킹홈에서 수밀이 안정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푸셔에 걸림돌기를 형성하여 연결 헤드의 결합홈에 결합되어 수도관의 팽창시에 이탈되지 않고 패킹을 눌러 고정하면서 충격을 흡수하여 수도관에서 발생하는 충격이 압륜에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여 압륜이 쉽게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시킨 도면에 따라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일부 단면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주요 부분에 대한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분리 상태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연결헤드(20)의 한쪽 방향에는 압출한 수도관(10)을 삽입하여 일체형이 되도록 인서트 사출성형 하거나, 용접 및 접합하는 방법으로 연결하는 것이다.
상기 연결헤드(20)는 내부에 수도관(11)이 삽입되는 연결홈(21)을 형성하며 선단에서 걸림날개(61)가 위치하는 체결력(23)을 형성하는 보강돌부(22)가 설치된다.
상기 보강돌부(22)의 내경에는 패킹홈(24)을 형성하여 패킹(50)이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며, 상기 패킹홈(24)에는 걸림돌기(45)가 결합되는 결합홈(25)을 형성하되, 상기 결합홈(25)은 걸림돌기(45)가 어느 정도의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결합홈(25)의 크기를 걸림돌기(45)의 높이에 0.8∼1.5배가 바람직하다.
상기 패킹(50)은 내경과 외경의 경사지게 형성된 부분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돌기를 주었다.
상기 패킹(50)의 외측에는 푸셔(40)를 설치하여 압륜(30)으로 눌려지면서 회 전되어 패킹(50)을 눌러 고정하도록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연결헤드(20)와 결합하는 압륜(30)은 체결볼트(60)의 걸림날개(61)가 체결턱(23)에 결합되고 체결볼트(60)는 체결공(32)을 관통하여 너트(62)로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 연결헤드(20)는 일측으로 내경에서 수도관(11)이 관통하며 푸셔(40)를 눌러 회전시키는 나사산(33)이 형성되며, 선단의 누름돌기(31)는 최종적으로 푸셔(40)의 상측을 눌러 고정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푸셔에 대한 일부를 단면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푸셔에 대한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푸셔(40)는 한 부분에 절단부(41)를 형성하여 전체면에서 절단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며, 내경에는 다수의 고정돌기(43)를 형성하여 수도관(11)의 외경을 물어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푸셔(40)의 상측 외경은 경사지게 형성되다가 한 부준에서 일자형태로 형성되며, 일자형태로 형성되는 부분에 나사산(44)이 형성되어 압륜(30)의 나사산(33)과 결합되어 회전하면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푸셔(40)의 나사산(44) 하측은 평면으로 형성되어 누름돌기(31)가 최종적으로 누르는 위치이며, 하측 끝부분에 걸림돌기(45)를 형성하여 연결헤드(20)의 결합홈(25)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나사산(44)이 형성된 부분은 경사지게 돌출되도록 2단 형태로 형성하거 나, 일직선으로 돌출된 후 경사지게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성형한 수도관(10, 11) 중 하나의 수도관(10)을 금형에 공급하여 연결헤드(20)를 인서트사출에 의해 일체형이 되도록 성형하거나, 수도관(10)과 연결헤드(20)를 독립되게 성형한 후 일체형이 되도록 용접 또는 웰딩하는 방법으로 연결하는 것이다.
수도관(10)의 한쪽으로 연결헤드(20)를 일체형으로 설치한 후에는 지중에 매설할 때, 패킹홈(24)에 패킹(50)을 결합하고 외측에 푸셔(40)가 위치되도록 한 다음, 수도관(11)에 압륜(30)을 끼워 수도관(11)이 연결홈(21)에 결합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연결헤드(20)에 패킹(50)과 푸셔(40) 및 압륜(30)과 수도관(11)이 결합된 상태에서 체결볼트(60)의 걸림날개(61)가 체결턱(23)에 걸려 체결공(32)으로 체결볼트(60)가 관통되도록 한다.
압륜(30)의 체결공(32)을 관통하여 돌출된 체결볼트(60)에 너트(62)를 결합하여 회전 시키면 압륜(30)이 체결볼트(60)와 너트(62)의 체결력으로 결합되면서 누름돌기(31)의 내경에 형성한 나사산(33)이 푸셔(40)의 외경에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압륜(30)이 이동하면서 나사산(33)이 푸셔(40)의 외경에 형성한 나사산(44)을 눌러 이동하게 되므로 나사산(33)이 직진 이동하게 되면서 나사산(33)에 접촉된 푸셔(40)의 나사산(44)을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푸셔(40)의 나사산(44)이 압륜(30)의 나사산(33)을 통하여 회전하면서 안으로 눌려져 이동하게 되면서 푸셔(40)의 걸림돌기(45)는 연결헤드(20)의 패킹 홈(24)에서 진입되어 결합홈(25)에 이동한다.
상기 결합홈(25)에 이동하는 푸셔(40)의 걸림돌기(45)는 하측 방향에서 이동이 잘 이루어지도록 호상으로 형성하였으며, 결합홈(25)에 삽입된 후에는 직각으로 형성하여 분리되지 않도록 형성하였다.
푸셔(40)의 걸림돌기(45)가 결합홈(25)에 이동하여 연결되면서 푸셔(40)는 약 4/1∼1/3바퀴 정도 회전하면서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푸셔(40)가 회전 이동하면서 패킹(50)을 눌러 패킹홈(24)에서 수밀이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며, 푸셔(40)는 한 부분에 절단부(41)를 형성하고 다수의 절개부(42)를 형성하여 회전 이동하면서 내경이 작아지면서 고정돌기(43)가 수도관(11)의 외경에 박히면서 물어주어 수도관(11)을 견고하게 고정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체결볼트(60)와 너트(62)의 결합으로 연결헤드(20)에 압륜(30)의 연결을 종료하게 되면 도 2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상태로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수도관(10, 11)이 지중에 매설된 상태에서 수도물이 공급되어 내부에는 소정의 수압이 발생하게 되며, 수도관(10, 11)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수압으로 수도관(10, 11)이 팽창하게 된다.
상기 수도관(10, 11)에는 항상 수도물이 공급되는 것이 아니므로 수도물이 공급되는 상황에서는 팽창하게 되고, 수도물의 공급이 중지되면 수축하여 원래 상태로 돌아가게 되면서 수축과 팽창 작용을 반복해서 수행하게 되며, 이러한 수도관(10, 11)의 수축과 팽창에 따라 결합홈(25)은 푸셔(40)의 누름돌기(31)가 결합되 어 이동할 수 있는 유격을 제공하게 된다.
먼저, 수도관(10, 11)이 수도물이 공급되어 팽창하게 되면 수압이 수도관(10, 11)에 전달되면서 팽창할 때 발생하는 압력이 푸셔와 압륜(30)에 전달되므로 압륜(30)을 고정하는 체결볼트(60)와 너트(62)에 집중되는 현상에 의해 압륜(30)이 파손되는 결점이 발생하게 되나, 본 발명에서는 수도관(10, 11)이 팽창하면서 발생하는 수압이 푸셔(40)의 걸림돌기(45)가 외측방향(도면상 우측)으로 밀리게 되지만 결합홈(25)의 여유간격에 의해 이동하면서 연결헤드(20)에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압륜(30)에 압력이 집중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분산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푸셔(40)의 걸림돌기(45)는 수도관(10, 11)에 수도물이 공급되어 팽창하면서 발생하는 압력으로 외측으로 이동하려 하지만, 결합홈(25)에 걸려 더 이상 이동하는 것이 방지되며, 수도물의 공급이 중지되면 수도관(10, 11)의 팽창을 위한 압력이 제거되므로 압륜(30)의 누름돌기(31)에서 누르는 힘에 의해 안으로 들어간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푸셔(40)가 수도관(10, 11)의 팽창과 수축에 따라 수도관의 외경을 안정되게 고정시킨 상태를 제공하게 되고 발생하는 압력을 분산시키는 것이다.
또한, 푸셔(40)는 내경에 형성한 고정돌기(43)가 수도관(11)의 외경에 박힌 상태로 고정상태를 제공하게 되므로 수도관(11)을 안전하고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역할을 제공하며, 회전 이동하여 고정된 상태를 제공하므로 고정된 상태가 누름돌기(31)에 의해 눌리면서 유지되도록 하고, 누름돌기(31)의 내경에 형성한 나사 산(33)이 푸셔(40)의 나사산(44)과 결합된 상태를 제공하여 푸셔(40)가 회전하지 않는 한 풀리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연결헤드에 수도관을 결합하고 압륜을 체결볼트와 너트로 연결헤드에 결합할 때 누름돌기의 내경에 형성한 나사산이 푸셔를 누르면서 회전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패킹을 눌러 고정하면서 수도관의 외경을 고정하여 결합한 상태에서 수도관의 수축과 팽창에 따라서 푸셔의 걸림돌기가 결합홈에서 이동하는 유격을 제공함으로서 수도관의 수축과 팽창에 따른 압력이 압륜에 직접 전달되지 않고 연결헤드에 분산되도록 함으로써 압륜의 파손을 방지하면서 수밀을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일부 단면 분리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주요 부분에 대한 확대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분리 상태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푸셔에 대한 일부를 단면한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의 푸셔에 대한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1 : 수도관 20 : 연결헤드
21 : 연결홈 22 : 보강돌부
23 : 체결턱 24 : 패킹홈
25 : 결합홈 30 : 압륜
31 : 누름돌기 32 : 체결공
33, 44 : 나사산 40 : 푸셔
41 : 절단부 42 : 절개부
43 : 고정돌기 45 : 걸림돌기
50 : 패킹 60 : 체결볼트
61 : 걸림날개 62 : 너트

Claims (3)

  1. 삭제
  2. 수도관(10)의 한쪽에 일체형으로 연결되며 내부에 연결홈(21)에 패킹(50)이 결합되는 패킹홈(24)이 형성되고 외측으로 보강돌부(22)를 형성한 연결헤드(20)의 일측으로 체결공(32)에 체결볼트(60)가 관통하여 너트(62)로 고정하며 내경에 누름돌기(31)를 형성한 압륜(30)의 누름돌기(31) 내경에 형성한 누름돌기(31)로 눌러 고정되며 내경에 고정돌기(43)를 형성하여 수도관(11)을 외경에서 고정시키고 일측으로 걸림돌기(45)가 돌출되는 푸셔(40)와, 상기 푸셔(40)의 걸림돌기(45)가 결합되며 연결헤드(20)의 패킹홈(24)에 형성되어 수도관(10, 11)의 팽창과 수축시 발생하는 압력이 연결헤드(20)와 압륜(30)에 분산되도록 유격을 제공하는 결합홈(25)을 형성하는 수밀 연결이 가능한 수도관에 있어서,
    상기 압륜(30)은 누름돌기(31)의 내경으로 나사산(33)을 형성하여 푸셔(40)가 회전 이동하면서 결합되도록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압륜을 이용한 푸셔의 수밀 연결이 가능한 수도관.
  3. 수도관(10)의 한쪽에 일체형으로 연결되며 내부에 연결홈(21)에 패킹(50)이 결합되는 패킹홈(24)이 형성되고 외측으로 보강돌부(22)를 형성한 연결헤드(20)의 일측으로 체결공(32)에 체결볼트(60)가 관통하여 너트(62)로 고정하며 내경에 누름돌기(31)를 형성한 압륜(30)의 누름돌기(31) 내경에 형성한 누름돌기(31)로 눌러 고정되며 내경에 고정돌기(43)를 형성하여 수도관(11)을 외경에서 고정시키고 일측으로 걸림돌기(45)가 돌출되는 푸셔(40)와, 상기 푸셔(40)의 걸림돌기(45)가 결합되며 연결헤드(20)의 패킹홈(24)에 형성되어 수도관(10, 11)의 팽창과 수축시 발생하는 압력이 연결헤드(20)와 압륜(30)에 분산되도록 유격을 제공하는 결합홈(25)을 형성하는 수밀 연결이 가능한 수도관에 있어서,
    상기 푸셔(40)는 외경으로 누름돌기(31)의 나사산(33)과 결합하는 나사산(44)을 형성하여 회전 이동하면서 결합되도록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압륜을 이용한 푸셔의 수밀 연결이 가능한 수도관.
KR1020090052852A 2009-06-15 2009-06-15 압륜을 이용한 푸셔의 수밀 연결이 가능한 수도관 KR1009219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2852A KR100921990B1 (ko) 2009-06-15 2009-06-15 압륜을 이용한 푸셔의 수밀 연결이 가능한 수도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2852A KR100921990B1 (ko) 2009-06-15 2009-06-15 압륜을 이용한 푸셔의 수밀 연결이 가능한 수도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1990B1 true KR100921990B1 (ko) 2009-10-14

Family

ID=41561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2852A KR100921990B1 (ko) 2009-06-15 2009-06-15 압륜을 이용한 푸셔의 수밀 연결이 가능한 수도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1990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9091B1 (ko) * 2010-01-08 2010-05-20 미래화학 주식회사 수밀성이 우수한 파이프 연결장치
KR200449780Y1 (ko) * 2010-02-25 2010-08-10 미래화학 주식회사 볼트체결용 와셔를 구비한 파이프 연결장치
KR200450860Y1 (ko) * 2010-03-22 2010-11-05 미래화학 주식회사 볼트 풀림방지용 와셔를 구비한 파이프 연결장치
KR101000307B1 (ko) 2010-05-28 2010-12-13 (주) 삼진정밀 관 연결용 바이트형 플랜지 어댑터
KR101820127B1 (ko) * 2017-09-06 2018-01-18 미래화학 주식회사 부식방지용 볼트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0175919A1 (ko) * 2019-02-27 2020-09-03 김석윤 피봇버팀쇠식 파이프 연결장치
KR102466115B1 (ko) 2022-05-17 2022-11-14 미래화학 주식회사 관로탐지용 파이프의 연결구조
KR102551111B1 (ko) * 2022-12-09 2023-07-05 인천광역시 배관용 버킷메쉬필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4250Y1 (ko) * 2004-11-03 2005-01-27 한국주철관공업주식회사 스파이크 부착방식의 고무링이 구비된 이탈방지조인트
KR20050028223A (ko) * 2003-09-18 2005-03-22 김학건 합성수지관의 연결장치
KR100897606B1 (ko) * 2008-12-09 2009-05-14 미래화학 주식회사 패킹을 이용한 폴리에틸렌관 안전 연결용 연결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8223A (ko) * 2003-09-18 2005-03-22 김학건 합성수지관의 연결장치
KR200374250Y1 (ko) * 2004-11-03 2005-01-27 한국주철관공업주식회사 스파이크 부착방식의 고무링이 구비된 이탈방지조인트
KR100897606B1 (ko) * 2008-12-09 2009-05-14 미래화학 주식회사 패킹을 이용한 폴리에틸렌관 안전 연결용 연결구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9091B1 (ko) * 2010-01-08 2010-05-20 미래화학 주식회사 수밀성이 우수한 파이프 연결장치
KR200449780Y1 (ko) * 2010-02-25 2010-08-10 미래화학 주식회사 볼트체결용 와셔를 구비한 파이프 연결장치
KR200450860Y1 (ko) * 2010-03-22 2010-11-05 미래화학 주식회사 볼트 풀림방지용 와셔를 구비한 파이프 연결장치
KR101000307B1 (ko) 2010-05-28 2010-12-13 (주) 삼진정밀 관 연결용 바이트형 플랜지 어댑터
KR101820127B1 (ko) * 2017-09-06 2018-01-18 미래화학 주식회사 부식방지용 볼트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0175919A1 (ko) * 2019-02-27 2020-09-03 김석윤 피봇버팀쇠식 파이프 연결장치
KR102466115B1 (ko) 2022-05-17 2022-11-14 미래화학 주식회사 관로탐지용 파이프의 연결구조
KR102551111B1 (ko) * 2022-12-09 2023-07-05 인천광역시 배관용 버킷메쉬필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1990B1 (ko) 압륜을 이용한 푸셔의 수밀 연결이 가능한 수도관
CA2797176C (en) One-touch pipe connection device
CA2752997A1 (en) Pipe connector
KR100902886B1 (ko) 파이프와 일체로 형성된 상수관 연결구
KR101013796B1 (ko) 합성수지 편수관용 연결구조
KR100577964B1 (ko) 압륜을 이용한 수도관 안전 연결용 연결구
KR20080097617A (ko) 실링 및 그 실링을 이용한 파이프 연결소켓
KR100891149B1 (ko) 파이프와 연결구가 일체로 형성된 하수관 연결 조립체
KR100645916B1 (ko) 헤드 일체형 편수관용 합성수지관 연결 조립체
KR100992830B1 (ko) 관 연결용 소켓
KR200484415Y1 (ko) 소켓부를 갖는 콘크리트 하수관 조인트부의 누수방지 연결구
KR100979222B1 (ko) 상하수도관 연결용 압륜 어셈블리
KR100958716B1 (ko) 상하수도관 연결용 압륜 어셈블리
KR101170448B1 (ko) 상하수도관 결합용 연결소켓의 성형방법
KR100952726B1 (ko) 수밀 연결용 상하수도관
KR100716063B1 (ko) 관 연결을 위한 편수관 일체형 하수관
KR102008147B1 (ko) 삽입 완충 및 이탈방지 기능이 구비된 경질 폴리염화비닐 관
KR100930209B1 (ko) 합성수지관의 연결구조
KR101166469B1 (ko) 연결구 일체형 합성수지관
KR100973180B1 (ko) 관 연결용 압륜 어셈블리
KR100883214B1 (ko) 폴리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ppr)또는 폴리부틸렌(pb)을 원료로 하는 급수, 급탕용 냉,온수분배기
KR100868490B1 (ko) 합성수지관의 연결구조
KR100952725B1 (ko) 케이피식 수밀 연결용 상하수도관
KR101111166B1 (ko) 플랜지형 연결용 수도관
KR101803076B1 (ko) 관 이탈방지 구조를 갖는 부단수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4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