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6469B1 - 연결구 일체형 합성수지관 - Google Patents

연결구 일체형 합성수지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6469B1
KR101166469B1 KR1020120015346A KR20120015346A KR101166469B1 KR 101166469 B1 KR101166469 B1 KR 101166469B1 KR 1020120015346 A KR1020120015346 A KR 1020120015346A KR 20120015346 A KR20120015346 A KR 20120015346A KR 101166469 B1 KR101166469 B1 KR 1011664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nthetic resin
rubber ring
connector
pipe
fix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53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환진
Original Assignee
박환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환진 filed Critical 박환진
Priority to KR10201200153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64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64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64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06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with sleeve or socket formed by or in the pipe end
    • F16L47/08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with sleeve or socket formed by or in the pipe end with sealing rings arranged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one pipe end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sleeve or socket, the sealing rings being placed previously in the sleeve or sock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02Welded joints; Adhesive joints
    • F16L47/03Welded joints with an electrical resistance incorporated in the joi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14Flanged j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With Slee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결구 일체형 합성수지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합성수지관을 연결구의 한쪽에서는 결합하여 융착에 의해 일체형이 되도록 서로 고정한 후, 내경에 설치한 고무링에 원터치형으로 합성수지관을 결합하여 수밀이 안정되게 유지되도록 연결하는 연결구 일체형 합성수지관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고무링 설치홈(12)에 전방 고정홈(14)과 후방 고정홈(15)을 형성하며 안쪽으로 경사면(16)과 관 결합홈(17)을 형성하고, 상기 관 결합홈(17) 안쪽에 밀림 방지턱(19)과 관 고정홈(18)을 형성한 연결구(10)와; 상기 관 고정홈(18)에 합성수지관(50)을 결합하여 연결구(10)와 합성수지관(50)이 만나는 부분에 용융 수지를 공급하여 융착부(52)에서 일체형이 되도록 고정하며, 상기 고무링 설치홈(12)에 고무링을 설치하여 합성수지관(51)을 연결하는 연결구 일체형 합성수지관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10)의 고무링 설치홈(12)의 전방 고정홈(14)에 결합하는 전방 걸림턱(24)을 형성하며 내경으로 전방 돌기(23)의 안쪽에 반원형의 전방 수밀부(25)를 형성하고, 상기 전방 수밀부(25)에 전방 경사돌기(27)를 형성한 후 상기 전방 경사돌기(27)와 만나는 전방 마감턱(28)을 형성하되; 상기 전방 마감턱(28)의 안쪽에서 후방 고정홈(15)에 결합하는 내부 걸림턱(34)을 형성하며 내경으로 반원형의 내부 수밀부(35)를 형성하고, 상기 내부 수밀부(35)에 내부 경사돌기(37)를 형성한 후 상기 내부 경사돌기(37)와 만나는 내부 마감턱(28)을 형성하며, 상기 내부 마감턱(28)의 안쪽에서 내경 돌기(40)와 공간(43)에 다수의 보강 돌기(42)를 두고 내경에 내면 강화돌기(41)를 형성한 고무링(20)이 연결구(10)와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연결구 일체형 합성수지관{A synthetic resins pipe}
본 발명은 연결구 일체형 합성수지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합성수지관을 연결구의 한쪽에서는 결합하여 융착에 의해 일체형이 되도록 서로 고정한 후, 내경에 설치한 고무링에 원터치형으로 합성수지관을 결합하여 수밀이 안정되게 유지되도록 연결하는 연결구 일체형 합성수지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합성수지관은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어 이중벽 또는 삼중벽을 이루는 하수관과, 압출에 의해 성형되는 수도관 등이 있으며, 용도에 따라서 오수관, 우수관 등과 같이 다양하게 사용되어 지고 있다.
여기서, 상기 합성수지관은 연속해서 성형되는데, 이동 및 보관상의 문제로 인하여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게 되며 절단된 합성수지관은 다양한 연결방법을 통하여 연결시켜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합성수지관은 지하에 매설되는 동시에 연결부분에 플랜지식, E/F시트, 열수축시트, KP식, 편수관, 소켓방식 등과 같이 연결방법 또한 다양한 구조가이 제안되어 왔다.
그러나, 플랜지식과 KP식 및 편수관을 이용한 합성수지관의 연결방법은 다수개의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는 것이므로 체결에 장시간이 걸리게 되고, 체결시 전체면에서 균일한 힘으로 체결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연결구의 결합부분이 쉽게 깨어지며, 연결구의 후가공 부위가 약화되므로 누수의 원인이 되고 고무링이 두꺼운 경우 파이프의 삽입이 곤란하며, 고무링이 얇은 경우에는 결속력이 약하여 누수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열수축시트는 합성수지관의 연결부분을 한바퀴 감아서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열원으로 합성수지관과 일체형으로 연결하는 것으로, 파이프의 연결은 간편한 장점이 있으나 외력이 작용하면 쉽게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E/F시트는 시트와 합성수지관을 용융시킨 후 일체형으로 연결하는 방법으로 연결성능은 좋은 반면에 아침에 안개가 발생하거나 비가 오는 경우나 합성수지관의 외부에 물이 묻어 있는 경우에는 작업이 불가능하며, 작업 후에 작업을 종료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과 함께 융착기를 소유하고 있어야만 작업이 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소켓방식은 양측 또는 일측으로 합성수지관을 삽입시킨 후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용융시키면서 연결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소켓과 합성수지관의 구경이 일치하지 않고 많은 공차가 발생하게 되면 부분적으로 연결이 이루어지지 않은 부분이 발생하게 되어 안정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의 연결소켓은 내주면 중앙부를 따라서 돌출되어 있는 밀림 방지턱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개구부를 통하여 삽입되는 파이프를 서로 연결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파이프는 단부에 수밀 및 완충 작용을 하는 고무링이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연결소켓에 삽입 고정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수밀 및 완충 작용을 하는 고무링이 끼워진 파이프를 양측 개구부로 삽입시켜 서로 연결하도록 하는 종래의 연결소켓은 파이프 내부로 유입되는 수압이 증가함에 따라 상기 고무링에 의한 수밀 기능이 상실되면서 상기 연결소켓으로부터 파이프가 쉽게 분리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상기 파이프의 외측에 고무링을 고정시킨 후에 연결소켓에 결합시킬 때 고무링이 연결소켓의 개구부 내주면과 마찰에 의해 비틀리면서 결합되게 되어 부분적으로 틈이 발생하게 되고, 비틀림이 심한 경우에는 고무링의 일부분이 파손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상기 파이프 내부로 유입되는 수압이 상기 밀림 방지턱과 고무링 사이의 미세한 공간까지 미치게 됨에 따라 상기 고무링의 수밀 기능이 상실하게 되어 상기 파이프가 연결소켓의 양측 개구부 쪽으로 밀려 분리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발명특허번호 제0935432호(2009. 12. 28. 등록)는 합성수지관의 외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내경을 갖고 내주면 일측에 2개 이상의 고정돌기가 형성되며 외주면 일측에 2개 이상의 걸림턱이 형성된 밀폐 고무링과, 내주면 일측에 상기 걸림턱에 대응되도록 걸림홈이 형성되어 상기 밀폐 고무링이 일반부로 삽입된 후 고정될 수 있고 내주면 일측에 합성수지관 안착턱이 형성되어 상기 일단부에 대응되는 타단부가 합성수지관의 외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내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소켓부로 구성되는 연결부재; 상기 밀폐 고무링이 삽입되는 방향에 대향되는 소켓부의 일단부로 삽입되는 합성수지관; 상기 합성수지관과 접촉하는 연결부재의 외주면을 따라 구비되어 합성수지관과 연결부재를 일체화시키는 수지 접합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연결부재의 내경에 홈을 형성하여 고무링을 결합한 후 외측에서 합성수지관이 원터치형으로 밀어 넣을 때 고정돌기가 밀리면서 결합된 후 다시 돌출되지 않아서 합성수지관과 고정돌기 사이에서의 수밀이 정상적으로 유지되지 못하며, 결합한 합성수지관이 열팽창계수에 의해 수축과 팽창을 반복해서 진행하면서 누수가 발생하거나, 심한 경우 연결구에서 분리되는 현상이 발생하는 결점이 있었다.
문헌 1. 발명특허번호 제0935432호(2009. 12. 28. 등록) 문헌 2. 발명특허번호 제0488494호(2005. 04. 29. 등록) 문헌 3. 실용신안등록 제0302227호(2003. 01. 13. 등록) 문헌 4. 발명특허번호 제0532555호(2005. 11. 24. 등록)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연결구의 내경에 고무링을 각각 분리하여 결합한 후 관 고정홈에 합성수지관을 결합하여 용융 수지로 회전시키며 일체형으로 고정하고, 고무링에 합성수지관을 원터치형으로 결합하면 전방 수밀부와 후방 수밀부를 통하여 합성수지관의 외경에서 수밀을 완벽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고무링과 연결구 사이에서도 수밀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고무링의 내경 돌기와 강화 돌기의 사이에 보강 돌기를 형성하여 합성수지관의 수밀 유지와 강하게 잡아주는 역할을 수행하며, 내경에 합성수지관과 연결구의 결합이 견고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고무링 설치홈에 전방 고정홈과 후방 고정홈을 형성하며 안쪽으로 경사면과 관 결합홈을 형성하고, 상기 관 결합홈 안쪽에 밀림 방지턱과 관 고정홈을 형성한 연결구와; 상기 관 고정홈에 합성수지관을 결합하여 연결구와 합성수지관이 만나는 부분에 용융 수지를 공급하여 융착부에서 일체형이 되도록 고정하며, 상기 고무링 설치홈에 고무링을 설치하여 합성수지관을 연결하는 연결구 일체형 합성수지관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의 고무링 설치홈의 전방 고정홈에 결합하는 전방 걸림턱을 형성하며 내경으로 전방 돌기의 안쪽에 반원형의 전방 수밀부를 형성하고, 상기 전방 수밀부에 전방 경사돌기를 형성한 후 상기 전방 경사돌기와 만나는 전방 마감턱을 형성하되; 상기 전방 마감턱의 안쪽에서 후방 고정홈에 결합하는 내부 걸림턱을 형성하며 내경으로 반원형의 내부 수밀부를 형성하고, 상기 내부 수밀부에 내부 경사돌기를 형성한 후 상기 내부 경사돌기와 만나는 내부 마감턱을 형성하며, 상기 내부 마감턱의 안쪽에서 내경 돌기와 공간에 다수의 보강 돌기를 두고 내경에 내면 강화돌기를 형성한 고무링이 연결구와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연결구의 내경에 고무링을 결합한 후 관 고정홈에 합성수지관을 결합하여 연결구와 합성수지관을 회전시키면서 용융수지를 공급하여 연결구와 합성수지관이 만나는 부분에서 일체형이 되도록 용접 고정하고, 고무링에 합성수지관을 원터치형으로 결합하면 전방 수밀부와 내부 수밀부를 통하여 합성수지관의 외경에서 수밀을 완벽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고무링과 연결구 사이에서도 수밀이 유지되어 안정된 결합상태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고무링의 내경 돌기와 강화 돌기의 사이에 보강 돌기를 형성하여 합성수지관이 결합된 후 합성수지관의 수밀 유지와 강하게 잡아주는 역할을 수행하며, 내경에 합성수지관과 연결구의 결합이 견고하게 이루어져 열팽창계수에 의한 수축과 팽창에도 합성수지관이 분리되지 않고 안정된 수밀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분리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연결구에 대한 주요 부분의 확대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연결구에 대한 주요 부분의 확대 측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고무링에 대한 주요 부분의 확대 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고무링에 대한 주요 부분의 확대 측면도
도 8 은 본 발명의 제조과정에 대한 블럭도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시킨 도면에 따라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분리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원통형으로 성형되며 외경에 보강 돌기(11)를 형성하는 연결구(10)와; 상기 연결구(10)의 내경으로 형성한 고무링 설치홈(12)에 고무링(20)을 설치하여 고정하고, 상기 고무링 설치홈(12)의 반대쪽에는 관 고정홈(18)을 형성하여 합성수지관(50)을 결합한 후 연결구(10)와 합성수지관(50)이 마나는 부분에 합성수지를 용융시킨 수지를 원주방향에 공급하여 융착부(52)로 일체형이 되도록 고정하는 것이다.
상기 합성수지관(50)이 일체형으로 연결된 연결구(10)에는 고무링(20) 앞 부분에서 합성수지관(51)이 원터치형으로 결합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연결구에 대한 주요 부분의 확대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연결구에 대한 주요 부분의 확대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연결구(1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합성수지를 금형에 공급하여 사출성형하는 것이며, 고무링 설치홈(12)의 전방에서 두께를 갖는 면에 플랜지 고정홈(13)을 형성하고, 상기 고무링 설치홈(12)에는 전방 고정홈(14)과 후방 고정홈(15)을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차례로 형성한 후 안쪽에서는 경사면(16)에 의해 지름이 작아지도록 형성한다.
상기 경사면(16)의 안쪽에는 합성수지관(50, 51)의 외경과 같은 지름을 갖도록 관 결합홈(17)과 관 고정홈(18)을 형성하고, 상기 관 결합홈(17)과 관 고정홈(18)의 사이에는 밀림 방지턱(19)을 형성하여 합성수지관(50, 51)이 고정되는 위치를 제공한다.
상기 관 결합홈(17)과 관 고정홈(18)에는 원주방향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결합 돌기(17a, 18a)를 형성하여 합성수지관(50, 51)이 긴밀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고무링에 대한 주요 부분의 확대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고무링에 대한 주요 부분의 확대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고무링(20)은 플랜지 고정홈(13)에 결합하는 플랜지 돌기(22)를 형성한 플랜지부(21)를 형성하고, 상기 플랜지부(21)의 내경에서 안쪽으로 전방 돌기(23)가 돌출되며, 상기 전방 돌기(23)의 안쪽에는 반원형의 전방 수밀부(25)가 돌출된다.
상기 전방 수밀부(25)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의 수밀 돌기(26)가 돌출되고, 반원형의 하측 중심을 지난 위치에서 안쪽 방향으로 경사지게 전방 경사돌기(27)를 형성하며, 상기 전방 경사돌기(27)의 안쪽에는 내경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전방 경사돌기(27)와 만나는 전방 마감턱(28)을 형성한다.
외경에는 전방 고정홈(14)에 결합하며 외경이 요철형으로 형성된 전방 걸림턱(24)을 형성하는 것이다.
전방 결합돌기(27)의 안쪽으로 반원형의 돌출되는 내부 수밀부(35)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의 수밀 돌기(36)가 돌출되고, 반원형의 하측 중심을 지난 위치에서 안쪽 방향으로 경사지게 내부 경사돌기(37)를 형성하며, 상기 내부 경사돌기(37)의 안쪽에는 내경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내부 경사돌기(37)와 만나는 내부 마감턱(38)을 형성한다.
상기 내부 마감턱(38)의 외경에는 후방 고정홈(15)에 결합하며 외경이 요철형으로 형성된 내부 걸림턱(34)을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내부 걸림턱(34)과 내부 마감턱(38)의 안쪽에는 경사면(16)과 만나는 내경 돌기(40)를 형성하고, 상기 내경 돌기(40)의 내경 방향에는 공간(43)을 두고 내면 강화돌기(41)를 형성하며, 상기 공간(43)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보강 돌기(42)가 형성되는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조과정에 대한 블럭도를 나타낸 것으로, 합성수지 원료를 공급하여 압출기에서 180~230℃의 온도로 가열하여 용융된 합성수지로 연결구(10)의 형태를 성형하는 금형에 공급하여 사출 성형하는 연결구 사출 단계(S1)를 수행하는 것이다.
고무재를 용융시켜 고무링(20)의 형태를 갖도록 성형하는 금형에 공급하여 전방 고무링 사출 단계(S2)에서 플랜지부(21)와 내경으로 전방 수밀부(25)와 내부 수밀부(25), 전방 마감턱(28)과 내부 마감턱(38) 및 외경에 전방 걸림턱(24)과 내부 걸림턱(34)을 형성하며 안쪽 단부에 내경 돌기(40)와 내면 강화돌기(41)를 형성한 고무링(20)을 사출 성형하는 것이다.
상기 고무링(20)의 외경과 고무링 설치홈(12)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전방 걸림턱(24)을 전방 고정홈(14)에 내부 걸림턱(34)을 후방 고정홈(15)에 결합하고, 플랜지 돌기(22)가 플랜지 고정홈(13)에 위치하도록 결합하는 전방 고무링 결합 단계(S3)를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 연결구(10)의 관 고정홈(18)에 합성수지관(50)을 맞대기하고, 연결구(10)와 합성수지관(50)을 서로 중심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결합 돌기(18a)가 합성수지관(50)의 외경을 감싸 고정하도록 하는 합성수지관 연결 단계(S4)를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 연결구(10)와 합성수지관(50)을 연결하여 소정의 속도로 회전하면서 합성수지를 180~230℃의 온도로 가열하여 용융된 합성수지를 압출기에서 노즐에 공급, 연결구(10)와 합성수지관(50)이 만나는 융착부(52)에서 융착이 이루어지며 고정하는 연결구와 합성수지관 융착 단계(S5)를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 연결구(10)와 합성수지관(50)은 일체형으로 성형되어 이동 및 보관하는 것이며, 지중에 매설할 때 연결구(10)의 전방에서 합성수지관(51)을 원터치형으로 결합하여 합성수지관(51)의 단부가 관 결합홈(17)의 결합 돌기(17a)와 결합하며 고무링(20)에서 수밀이 안정되게 유지되도록 하는 합성수지관 원터치 결합 단계(S6)를 통하여 합성수지관(50, 51)을 연결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연결구 일체형 합성수지관은, 합성수지를 압출기에서 용융시켜 금형에 공급하는 과정에서 연결구(10)를 수동 또는 자동으로 사출 성형하는 것이며, 외경의 보강 돌기(11)가 강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연결구(10)의 고무링 설치홈(12)과 고무링(20)의 외경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전방 걸림턱(24)이 전방 고정홈(14)에 결합되도록 하고, 전방 결합돌기(29)가 플랜지 고정홈(13)에 결합되도록 고정한다.
또한, 내부 걸림턱(34)이 후방 고정홈(15)에 결합되도록 하고, 내경 돌기(40)가 경사면(16)에 일치하도록 고정하여 결합한다.
연결구(10)의 관 고정홈(18)과 합성수지관(50)을 맞대기하고 연결구(10)와 합성수지관(50)을 서로 밀어 관 고정홈(18)에 합성수지관(50)이 결합되어 밀림 방지턱(19)에 걸리면서 결합하도록 한다.
합성수지관(50)이 관 고정홈(18)에 결합할 때, 결합 돌기(18a)가 일정한 간격에 내경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어서 합성수지관(50)의 외경에서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다.
합성수지관(50)과 연결구(10)를 결합한 후에는 합성수지관(50)과 연결구(10)가 만나는 부분의 외경에서 합성수지를 용융시켜 압출기의 전방에 설치한 노즐을 통하여 용융 수지가 공급되며, 합성수지관(50)과 연결구(10)가 용융 수지의 공급 속도에 따라서 서서히 회전하면서 융착부(52)와 같이 공급되어 일체형으로 고정하는 것이다.
연결구(10)는 합성수지관(50)에 편수칼라 형태로 일체형이 되도록 결합되는 것이며, 지중에 매설하는 경우 연결구(10)의 전방에서 합성수지관(51)을 대고 밀어 넣으면 상기 합성수지관(51)이 고무링(20)을 통과하여 관 결합홈(17)에서 밀림 방지턱(19)에 걸리면서 더 이상 삽입되지 않게 되므로 정지되어 연결이 종료된다.
상기 합성수지관(51)은 관 결합홈(17)에 삽입되면 결합 돌기(17a)가 내경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안정되고 견고한 결합력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연결구(10)의 플랜지 고정홈(13)에 결합하는 플랜지부(21)의 플랜지 돌기(22)는 연결구(10)와 고무링(20)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누수현상을 방지하여 수밀을 안정되게 유지하면서 고무링(20)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합성수지관(51)의 외경에 결합하는 고무링(20)은 전방 돌기(23)가 원주방향에서 감싸는 상태를 제공하여 수밀을 유지할 수 있게 되며, 전방 수밀부(25)에서 넓은 면적의 결합력이 제공되면서 전방 수밀부(25)에 형성한 수밀 돌기(26)를 통하여 여러 층으로 수밀이 유지되도록 하고, 전방 수밀부(25)가 합성수지관(51)으로 밀리면서 전방 경사돌기(27)가 전방 마감턱(28)에 결합하며 고무링(20)과 합성수지관(51) 사이의 수밀을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고무링(20)의 전방 걸림턱(24)은 외경으로 돌출되어 전방 고정홈(14)에 결합되어 연결구(10)와 고무링(20)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누수 현상을 방지하며, 전방 걸림턱(24)의 외경이 요철형태로 형성되어 수밀 유지 현상을 더욱 안정되게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고무링(20)은 내부 수밀부(35)에서 넓은 면적에서 결합력이 제공되면서 내부 수밀부(35)에 형성한 수밀 돌기(36)를 통하여 여러 층으로 수밀이 유지되도록 하고, 내부 수밀부(35)가 합성수지관(51)으로 밀리며 내부 경사돌기(37)가 내부 마감턱(38)에 결합하면서 고무링(20)과 합성수지관(51) 사이의 수밀을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고무링(20)의 내경 돌기(40)는 경사면(16)에 형성되며, 내경의 내경 강화돌기(41)가 합성수지관(51)의 외경으로 눌리는 현상이 발생하지만, 공간(43)에 형성한 보강 돌기(42)가 강한 힘으로 합성수지관(51)을 감싸도록 하는 작용에 의해 고무링(20)과 합성수지관(51) 및 연결구(10)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누수현상을 방지하여 수밀을 안정되고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관 고정홈에서 합성수지관이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용융 수지로 융착부에서 일체형으로 고정하고, 고무링에서 3단계로 합성수지관과 결합되어 수밀을 안정되고 견고하게 유지하며, 합성수지관이 삽입되는 관 결합홈에서 결합 돌기로 합성수지관의 안정된 결합력을 제공하여 합성수지관의 연결부분에서 누수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10 : 연결구 11 : 보강 돌기
12 : 고무링 설치홈 13 : 플랜지 고정홈
14 : 전방 고정홈 15 : 후방 고정홈
16 : 경사면 17 : 관 결합홈
17a, 18a : 결합 돌기 19 : 밀림 방지턱
20 : 고무링 21 : 플랜지부
22 : 플랜지 돌기 23 : 전방 돌기
24 : 전방 걸림턱 25 : 전방 수밀부
26, 36 : 수밀 돌기 27 : 전방 경사돌기
28 : 전방 마감턱 35 : 내부 수밀부
37 : 내부 경사돌기 38 : 내부 마감턱
39 : 내부 결합돌기 40 : 내경 돌기
41 : 내경 결합돌기 42 : 보강 돌기
43 : 공간 50, 51 : 합성수지관
52 : 융착부

Claims (4)

  1. 고무링 설치홈(12)에 전방 고정홈(14)과 후방 고정홈(15)을 형성하며 안쪽으로 경사면(16)과 관 결합홈(17)을 형성하고, 상기 관 결합홈(17) 안쪽에 밀림 방지턱(19)과 관 고정홈(18)을 형성한 연결구(10)와; 상기 관 고정홈(18)에 합성수지관(50)을 결합하여 연결구(10)와 합성수지관(50)이 만나는 부분에 용융 수지를 공급하여 융착부(52)에서 일체형이 되도록 고정하며, 상기 고무링 설치홈(12)에 고무링을 설치하여 합성수지관(51)을 연결하는 연결구 일체형 합성수지관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10)의 고무링 설치홈(12)의 전방 고정홈(14)에 결합하는 전방 걸림턱(24)을 형성하며 내경으로 전방 돌기(23)의 안쪽에 반원형의 전방 수밀부(25)를 형성하고, 상기 전방 수밀부(25)에 전방 경사돌기(27)를 형성한 후 상기 전방 경사돌기(27)와 만나는 전방 마감턱(28)을 형성하되; 상기 전방 마감턱(28)의 안쪽에서 후방 고정홈(15)에 결합하는 내부 걸림턱(34)을 형성하며 내경으로 반원형의 내부 수밀부(35)를 형성하고, 상기 내부 수밀부(35)에 내부 경사돌기(37)를 형성한 후 상기 내부 경사돌기(37)와 만나는 내부 마감턱(28)을 형성하며, 상기 내부 마감턱(28)의 안쪽에서 내경 돌기(40)와 공간(43)에 다수의 보강 돌기(42)를 두고 내경에 내면 강화돌기(41)를 형성한 고무링(20)이 연결구(10)와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구 일체형 합성수지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10)는 전방에 플랜지 고정홈(13)을 형성하고, 관 결합홈(17)과 관 고정홈(18)에는 일정한 간격에 다수개의 결합 돌기(17a, 18a)를 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구 일체형 합성수지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링(20)은 플랜지부(21)에 플랜지 돌기(22)를 형성하고 전방 수밀부(25)에는 일정한 간격에 수밀 돌기(26)를 형성하며, 전방 걸림턱(24)은 외경이 요철형으로 이루어지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구 일체형 합성수지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링(20)은 내부 수밀부(35)에 일정한 간격으로 수밀 돌기(36)를 형성하며, 내부 걸림턱(34)은 외경이 요철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구 일체형 합성수지관.
KR1020120015346A 2012-02-15 2012-02-15 연결구 일체형 합성수지관 KR1011664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5346A KR101166469B1 (ko) 2012-02-15 2012-02-15 연결구 일체형 합성수지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5346A KR101166469B1 (ko) 2012-02-15 2012-02-15 연결구 일체형 합성수지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6469B1 true KR101166469B1 (ko) 2012-07-19

Family

ID=46716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5346A KR101166469B1 (ko) 2012-02-15 2012-02-15 연결구 일체형 합성수지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646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58703A (zh) * 2017-05-26 2017-07-18 东莞好克五金塑料制品有限公司 密封管接头装置
KR102167251B1 (ko) * 2020-03-18 2020-10-20 미래화학 주식회사 탈착식 패킹을 포함하는 파이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9529B1 (ko) 2006-12-11 2008-05-16 주식회사 용전 연결부 일체형 합성수지관의 성형장치 및 그 성형방법, 및 그것에 의해 성형된 연결부 일체형 합성수지관
KR100944383B1 (ko) 2009-06-18 2010-02-26 주식회사 유명 합성수지관의 연결구
KR100995106B1 (ko) 2010-04-13 2010-11-18 (주) 제일산업 하수관 연결용 이음관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9529B1 (ko) 2006-12-11 2008-05-16 주식회사 용전 연결부 일체형 합성수지관의 성형장치 및 그 성형방법, 및 그것에 의해 성형된 연결부 일체형 합성수지관
KR100944383B1 (ko) 2009-06-18 2010-02-26 주식회사 유명 합성수지관의 연결구
KR100995106B1 (ko) 2010-04-13 2010-11-18 (주) 제일산업 하수관 연결용 이음관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58703A (zh) * 2017-05-26 2017-07-18 东莞好克五金塑料制品有限公司 密封管接头装置
CN106958703B (zh) * 2017-05-26 2023-05-05 东莞好克五金塑料制品有限公司 密封管接头装置
KR102167251B1 (ko) * 2020-03-18 2020-10-20 미래화학 주식회사 탈착식 패킹을 포함하는 파이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5106B1 (ko) 하수관 연결용 이음관 및 그 제조방법
KR101013796B1 (ko) 합성수지 편수관용 연결구조
KR100920808B1 (ko) 실링 및 그 실링을 이용한 파이프 연결소켓
KR101190797B1 (ko) 상하수도관용 연결소켓과 그 성형장치
KR101166469B1 (ko) 연결구 일체형 합성수지관
KR101166471B1 (ko) 연결구 일체형 합성수지관과 그 제조방법
KR101166468B1 (ko) 연결구 일체형 합성수지관과 그 제조방법
KR101166467B1 (ko) 연결구 일체형 합성수지관
KR101170448B1 (ko) 상하수도관 결합용 연결소켓의 성형방법
KR100952726B1 (ko) 수밀 연결용 상하수도관
KR101111166B1 (ko) 플랜지형 연결용 수도관
KR200395103Y1 (ko) 편수관용 수밀 연결구조
KR101183607B1 (ko) 상하수도관 결합용 연결소켓과 그 성형장치
KR101311476B1 (ko) 내부 고무링이 일체형으로 결합하여 수밀을 유지하는 연결구 일체형 합성수지관
KR100915137B1 (ko) 합성수지 편수관용 연결구조
KR100959302B1 (ko) 쐐기를 이용한 관 연결구
KR101311483B1 (ko) 내부 고무링이 일체형으로 결합하여 수밀을 유지하는 합성수지관 결합용 연결구의 성형장치
KR20120021894A (ko) 연결구 내에서 분리와 누수되지 않도록 양수소켓을 이용한 관과 그 연결방법
KR100715393B1 (ko) 관 연결을 위한 편수관 일체형 하수관
KR101333248B1 (ko) 플랜지형 연결용 수도관의 연결방법
KR100952725B1 (ko) 케이피식 수밀 연결용 상하수도관
KR101676735B1 (ko) 하수관 연결을 위한 이중 고정용 이음관
KR101165682B1 (ko) 파이프 연결용 일체형 연결소켓
KR101160170B1 (ko) 파이프 연결용 일체형 연결소켓의 제조방법
KR101307151B1 (ko) 플랜지형 연결용 삼중벽 하수관의 연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