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1476B1 - 내부 고무링이 일체형으로 결합하여 수밀을 유지하는 연결구 일체형 합성수지관 - Google Patents

내부 고무링이 일체형으로 결합하여 수밀을 유지하는 연결구 일체형 합성수지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1476B1
KR101311476B1 KR1020130058267A KR20130058267A KR101311476B1 KR 101311476 B1 KR101311476 B1 KR 101311476B1 KR 1020130058267 A KR1020130058267 A KR 1020130058267A KR 20130058267 A KR20130058267 A KR 20130058267A KR 101311476 B1 KR101311476 B1 KR 1013114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bber ring
coupling
synthetic resin
groove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82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원양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원양행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원양행
Priority to KR10201300582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14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14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14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06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with sleeve or socket formed by or in the pipe end
    • F16L47/08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with sleeve or socket formed by or in the pipe end with sealing rings arranged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one pipe end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sleeve or socket, the sealing rings being placed previously in the sleeve or sock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With Slee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 고무링이 일체형으로 결합하여 수밀을 유지하는 연결구 일체형 합성수지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체를 이송하는 합성수지관과 합성수지관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구의 내경에 내경 고무링을 일체형이 되도록 성형한 후 연결구의 한쪽에 전방 고무링을 결합한 상하수도관을 결합하여 편수칼라 형태의 원터치형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내부 고무링이 일체형으로 결합하여 수밀을 유지하는 연결구 일체형 합성수지관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관 고정홈에서 합성수지관이 일체형으로 성형되며 결합 합성수지관이 원터치형으로 결합하는 연결구로 이루어지며, 외경에 결합돌기를 형성한 결합 합성수지관에 끼워지는 돌기 결합홈을 형성하며 삿갓 경사면을 외경에 형성한 전방 고무링과; 상기 전방 고무링이 결합하는 전방 연결홈의 안쪽으로 고무링 결합턱을 형성한 내부 고무링 연결홈의 안쪽에 경사면을 형성하는 연결구와; 상기 내부 고무링 연결홈에 위치하며 고무링 결합턱과 결합하는 결합홈의 내경으로 일정한 간격에 밀림방지 돌기를 형성하고 안쪽으로 경사면에 위치하는 외경 결합돌기와 내경 결합돌기가 절개홈으로 절개되어 형성되는 내부 고무링으로 이루어지는 연결구 일체형 합성수지관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는 전방 고무링이 결합하는 전방 연결홈의 안쪽에서 분할턱의 일측으로 결합홈이 위치하는 고무링 결합턱을 형성한 내부 고무링 연결홈의 안쪽에 경사면과 결합 합성수지관의 단부가 위치하는 관 결합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내부 고무링이 일체형으로 결합하여 수밀을 유지하는 연결구 일체형 합성수지관{Connection socket for an integral composite resin tube}
본 발명은 내부 고무링이 일체형으로 결합하여 수밀을 유지하는 연결구 일체형 합성수지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체를 이송하는 합성수지관과 합성수지관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구의 내경에 내경 고무링을 일체형이 되도록 성형한 후 연결구의 한쪽에 전방 고무링을 결합한 상하수도관을 결합하여 편수칼라 형태의 원터치형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내부 고무링이 일체형으로 결합하여 수밀을 유지하는 연결구 일체형 합성수지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합성수지관은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어 이중벽 또는 삼중벽을 이루는 하수관과, 압출에 의해 성형되는 수도관 등이 있으며, 용도에 따라서 오수관, 우수관 등과 같이 다양하게 사용되어 지고 있다.
여기서, 상기 합성수지관은 연속해서 성형되는데, 이동 및 보관상의 문제로 인하여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게 되며 절단된 합성수지관은 다양한 연결방법을 통하여 연결시켜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합성수지관은 지하에 매설되는 동시에 연결부분에 플랜지식, E/F시트, 열수축시트, KP식, 편수관, 소켓방식 등과 같이 연결방법 또한 다양한 구조가이 제안되어 왔다.
그러나, 플랜지식과 KP식 및 편수관을 이용한 합성수지관의 연결방법은 다수개의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는 것이므로 체결에 장시간이 걸리게 되고, 체결시 전체면에서 균일한 힘으로 체결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연결구의 결합부분이 쉽게 깨어지며, 연결구의 후가공 부위가 약화되므로 누수의 원인이 되고 고무링이 두꺼운 경우 파이프의 삽입이 곤란하며, 고무링이 얇은 경우에는 결속력이 약하여 누수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열수축시트는 합성수지관의 연결부분을 한바퀴 감아서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열원으로 합성수지관과 일체형으로 연결하는 것으로, 파이프의 연결은 간편한 장점이 있으나 외력이 작용하면 쉽게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E/F시트는 시트와 합성수지관을 용융시킨 후 일체형으로 연결하는 방법으로 연결성능은 좋은 반면에 아침에 안개가 발생하거나 비가 오는 경우나 합성수지관의 외부에 물이 묻어 있는 경우에는 작업이 불가능하며, 작업 후에 작업을 종료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과 함께 융착기를 소유하고 있어야만 작업이 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소켓방식은 양측 또는 일측으로 합성수지관을 삽입시킨 후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용융시키면서 연결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소켓과 합성수지관의 구경이 일치하지 않고 많은 공차가 발생하게 되면 부분적으로 연결이 이루어지지 않은 부분이 발생하게 되어 안정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의 연결소켓은 내주면 중앙부를 따라서 돌출되어 있는 밀림 방지턱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개구부를 통하여 삽입되는 파이프를 서로 연결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파이프는 종단부에 수밀 및 완충 작용을 하는 고무링이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연결소켓에 삽입 고정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수밀 및 완충 작용을 하는 고무링이 끼워진 파이프를 양측 개구부로 삽입시켜 서로 연결하도록 하는 종래의 연결소켓은 파이프 내부로 유입되는 수압이 증가함에 따라 상기 고무링에 의한 수밀 기능이 상실되면서 상기 연결소켓으로부터 파이프가 쉽게 분리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상기 파이프의 외측에 고무링을 고정시킨 후에 연결소켓에 결합시킬 때 고무링이 연결소켓의 개구부 내주면과 마찰에 의해 비틀리면서 결합되게 되어 부분적으로 틈이 발생하게 되고, 비틀림이 심한 경우에는 고무링의 일부분이 파손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상기 파이프 내부로 유입되는 수압이 상기 밀림 방지턱과 고무링 사이의 미세한 공간까지 미치게 됨에 따라 상기 고무링의 수밀 기능이 상실하게 되어 상기 파이프가 연결소켓의 양측 개구부 쪽으로 밀려 분리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발명특허번호 제0920808호(2009. 09. 30. 등록)는 요철 형상으로 고정된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와 일체형 형성되어 양측으로 날개 형상을 가지는 지지부와, 상기 고정부의 타측부로 상기 지지부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어 내측에 홀이 형성된 제1 가압부 및 상기 제1 가압부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그 단부가 외측으로 절곡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2 가압부로 구성된 것이다.
그러나 하나의 실링이 설치된 방향으로 파이프가 삽입되어 결합된 상태에서 실링에 의해 수밀을 유지하게 되고, 반대편에서는 2곳에 실링을 설치하여 결합한 후 외경으로 파이프를 클램프로 감싸 고정하여 연결하는 구조를 제공하게 되므로, 2곳의 실링을 사용하는 위치에서는 이중으로 수밀을 제공하므로 수밀을 유지할 수 있으나, 하나의 실링을 사용하여 파이프를 삽입하는 것으로는 실링을 유지하는 것이 부족하여 수밀이 발생할 염려가 있고, 삽입된 실링의 폭이 매우 좁아서 삽입된 파이프가 외부에서 발생하는 압력과 내경에서 발생하는 수입으로 인하여 쉽게 분리되는 현상이 발생하는 결점이 있었다.
문헌 1. 발명특허번호 제0920808호(2009. 09. 30. 등록) 문헌 2. 발명특허번호 제0488494호(2005. 04. 29. 등록) 문헌 3. 실용신안등록 제0302227호(2003. 01. 13. 등록) 문헌 4. 발명특허번호 제0532555호(2005. 11. 24. 등록)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합성수지관과 합성수지관을 서로 연결하기 위하여 연결구의 한쪽에서 합성수지관을 별도의 연결장치를 사용하지 않아도 원터치형으로 결합하여 수밀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연결구의 내경에 내부 고무링이 일체형으로 사출 성형되어 고무링을 가압하면서 연결구에 끼워지는 합성수지관을 고무링이 지지하게 되어 수밀을 유지함과 동시에 견고하게 잡아주게 되어 높은 수압이 작용하는 경우에도 합성수지관이 열팽창계수에 의해 외측으로 밀려나오지 않도록 결합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연결구에 합성수지관을 밀어 넣음으로써 발생하는 전방 고무링의 가압력을 이용하여 수밀이 유지될 수 있도록 고정시킨 후에 다시 전방 고무링의 안쪽에 연결구와 일체로 사출 성형한 내부 고무링을 이용하여 합성수지관의 외경을 고정하여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관 고정홈에서 합성수지관이 일체형으로 성형되며 결합 합성수지관이 원터치형으로 결합하는 연결구로 이루어지며, 외경에 결합돌기를 형성한 결합 합성수지관에 끼워지는 돌기 결합홈을 형성하며 삿갓 경사면을 외경에 형성한 전방 고무링과; 상기 전방 고무링이 결합하는 전방 연결홈의 안쪽으로 고무링 결합턱을 형성한 내부 고무링 연결홈의 안쪽에 경사면을 형성하는 연결구와; 상기 내부 고무링 연결홈에 위치하며 고무링 결합턱과 결합하는 결합홈의 내경으로 일정한 간격에 밀림방지 돌기를 형성하고 안쪽으로 경사면에 위치하는 외경 결합돌기와 내경 결합돌기가 절개홈으로 절개되어 형성되는 내부 고무링으로 이루어지는 연결구 일체형 합성수지관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는 전방 고무링이 결합하는 전방 연결홈의 안쪽에서 분할턱의 일측으로 결합홈이 위치하는 고무링 결합턱을 형성한 내부 고무링 연결홈의 안쪽에 경사면과 결합 합성수지관의 단부가 위치하는 관 결합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은 합성수지관과 합성수지관을 서로 연결하기 위하여 연결구의 한쪽으로 합성수지관을 연결구와 일체형으로 사출 성형하며, 연결구의 전방에서 결합하는 합성수지관을 별도의 연결장치를 사용하지 않아도 원터치형으로 결합하여 수밀성을 안정되게 하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연결구의 내경에 내부 고무링이 일체형으로 사출 성형되어 내부 고무링을 가압하면서 연결구에 끼워지는 합성수지관을 내부 고무링이 지지하게 되어 수밀을 유지함과 동시에 견고하게 잡아주게 되어 높은 수압이 작용하는 경우에도 합성수지관이 열팽창계수에 의해 외측으로 밀려나오지 않도록 결합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연결구에 합성수지관을 밀어 넣음으로써 발생하는 전방 고무링의 가압력을 이용하여 수밀이 유지될 수 있도록 고정시킨 후에 다시 전방 고무링의 안쪽에 연결구와 일체로 사출 성형한 내부 고무링을 이용하여 합성수지관의 외경을 고정하는 다중 결합구조에 의해 수밀유지와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연결구에 합성수지관을 연결한 상태의 정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분리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연결구에 대한 주요 부분의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전방 고무링에 대한 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내부 고무링에 대한 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내부 고무링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8 은 본 발명의 금형에 대한 설치상태 단면도
도 9 는 본 발명의 금형에 대한 고무링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10 은 본 발명의 연결구를 성형한 상태의 단면도
도 11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주요 부분의 확대단면도
도 1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블럭도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시킨 도면에 따라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연결구에 합성수지관을 연결한 상태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분리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연결구(10)는 편수칼라 형태로 성형하며, 상기 연결구(10)의 한쪽으로 합성수지관(40)이 융착부(43)에서 융착 연결되며 연결구(10)를 성형하면서 일체형으로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연결구(10)의 내경에는 내부 고무링(30)이 성형된 후 금형에 결합되어 연결구(10)를 성형할 때, 일체형이 되도록 성형하거나, 연결구(10)의 성형 후에 내부 고무링 연결홈(14)에 결합하여 사용하도록 한다.
상기 연결구(10)의 전방으로 결합하는 결합 합성수지관(41)을 소정의 위치에 외경으로 내경에 톱니형태의 요철이 형성되고 한 부분이 분리되어 있는 결합돌기링(42)을 형성하며, 상기 결합 합성수지관(41)의 외경에는 전방 고무링(20)이 결합되어 결합 합성수지관(41)을 연결구(10)에 원터치형으로 결합할 때 연결홈(11)에 끼워져 수밀이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연결구에 대한 주요 부분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연결구(10)는 합성수지관(40)이 일체형으로 결합하는 관 고정홈(17)의 일측으로 밀림 방지턱(18)을 형성하며, 상기 밀림 방지턱(18)의 한쪽에는 결합 합성수지관(41)의 끝 부분이 결합하는 관 결합홈(16)이 형성된다.
상기 관 결합홈(16)의 한쪽으로 경사면(15)과 내부 고무링 연결홈(14)이 형성되며, 상기 내부 고무링 연결홈(14)에는 내부 고무링(30)이 결합하도록 고무링 결합턱(1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내부 고무링(30)이 결합하는 한쪽에는 분할턱(12)과 전방 연결홈(11)이 형성되며, 전방 연결홈(11)에는 전방 고무링(20)이 위치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전방 고무링에 대한 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전방 고무링(20)은 외경이 삿갓 경사면(21)과 같이 삼각형 형태로 양쪽에서 대칭되게 돌출되며, 내부의 외측에는 결합돌기링(42)이 끼워지도록 직각으로 형성되는 돌기 결합홈(22)이 형성되고, 상기 돌기 결합홈(22)의 안쪽으로 에어 포켓을 구비하는 1차 수밀돌기(23)와 2차 수밀돌기(24)가 형성되어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내부 고무링에 대한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내부 고무링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내부 고무링(30)은 고정돌기(31)의 안쪽으로 고무링 결합턱(13)과 결합하는 결합홈(32)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돌기(31)와 결합홈(32)의 내경에는 일정한 간격에서 안쪽방향을 향하여 경사지게 돌출된 밀림방지 돌기(34)가 돌출되어 있으며, 이 밀림방지 돌기(34)의 외측에는 요홈(3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홈(32)의 안쪽으로 외경에서 돌출되어 끝 부분에 경사면(15)에 위치하는 외경 결합돌기(35)와 내경 결합돌기(36)를 형성하고, 상기 외경 결합돌기(35)와 내경 결합돌기(36)의 사이에는 절개홈(37)을 통하여 절개시켜 분할되도록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내부 고무링(30)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경 방향으로 고정날개(38)를 더 돌출시켜 분할턱(12)의 내경에서 수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설치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금형에 대한 설치상태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금형에 대한 고무링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연결구를 성형한 상태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합성수지관(40)의 한쪽 단부에 편수칼라 형태로 결합하여 일체형으로 연결구(10)를 성형하는 연결구 성형장치(100)는 유압실린더(110)에서 돌출된 실린더축(111)이 연결된 작동축(112)이 왕복 이동하도록 설치하고, 상기 작동축(112)의 외경으로 설치되어 크기가 가변되는 내부 성형금형(120)을 설치하며, 상기 내부 성형금형(120)의 외경에 연결구(10)가 성형되는 공간을 갖는 성형공간(130)과, 이 내부 성형금형(120)과 성형공간(130)의 외경에는 여러 등분으로 분할되어 결합에 의해 원통형으로 조립되는 외부 성형금형(140)을 설치한다.
상기 외부 성형금형(140)의 한쪽에는 고정몸체(150)와 이동몸체(16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내부 성형금형(120)의 외경에는 내부 고무링(30)이 결합하는 내부 고무링홈(121)과 합성수지관(40)이 결합하는 관 삽입홈(122)이 위치하도록 형성하는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주요 부분의 확대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결합돌기링(42)을 대신하여 결합 합성수지관(41)의 외경에서 결합돌기링(42)이 위치하는 곳에 결합돌기(45)를 설치하고 용융부(46)로 일체형이 되도록 고정시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유압실린더(110)를 구동하여 실린더축(111)이 작동축(112)을 전진시켜 여러 조각으로 분할되어 있으며 원형으로 형성되어지는 내부 성형금형(120)의 외경을 축소시킨 후 내부 고무링홈(121)에는 내부 고무링(30)을 결합하여 고정한다.
내부 고무링(30)이 삽입되면 유압실린더(110)를 구동시켜 실린더축(111)을 후진시키고 작동축(112)이 내부 성형홈(120)의 여러 조각으로 분할되어 있다가 원형을 유지하도록 결합하게 된다.
그러면, 내부 성형금형(120)의 외경에서 내부 고무링(30)이 고정될 위치에 정확하게 설정된 상태를 제공한다.
연결구(10)가 성형될 형태를 갖는 성형공간(130)의 외경에는 외부 성형금형(140)이 위치하게 되며, 도시하지 않은 부분에서 합성수지가 용융된 상태로 공급되어 성형공간(130)에 충진된다.
용융 합성수지를 성형공간(130)에 충진시키면 연결구(10)가 소정의 형태로 성형되면서 내경에 내부 고무링(30)이 일체형으로 성형되는 것이다.
상기 내부 고무링(30)은 성형공간(130)에 충진되는 용융 합성수지가 외경의 형태와 일체형으로 성형되면서 고무링 결합턱(13)이 결함홈(32)과 일체형으로 성형되는 것이다.
용융 합성수지를 공급한 이후에는 냉각과정을 거쳐 연결구(10)를 냉각시킨 후 다시 외부금형(140)을 벌리고, 유압 실린더(110)를 구동하여 실린더축(111)을 통한 작동축(112)이 전진되며 여러 조각으로 분할된 내부 성형금형(120)의 외경이 작아지는 단계를 수행하게 된다.
외부 성형금형(140)이 벌어지고, 내부 성형금형(120)의 외경이 축소되면 연결구(10)를 외부로 분리하여 성형을 완료하게 된다.
상기 내부 성형금형(120)은 외경으로 내부 고무링(30)을 공급하여 성형공간(130)으로 공급되는 용융 합성수지가 충진되어 일체형으로 성형되도록 함으로써 연결구(10)를 성형한 후에 내부 고무링(30)을 결합하여 사용하는 것에 비하여 일체형의 결합구조를 제공하여 조립부분에서 발생할 수 있는 누수를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수밀을 안전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연결구(10)는 양쪽에서 결합 합성수지관(41)의 외경 한 부분에 결합돌기링(42)을 결합한 후 전방 고무링(20)을 결합하여 돌기 결합홈(22)에서 결합돌기링(42)이 위치하여 결합된 상태를 제공한 다음, 편수칼라 형태로 성형한 연결구(10)의 한쪽에서 결합 합성수지관(41)을 원터치 형태로 결합하여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연결구(10)를 성형한 후 결합 합성수지관(41)을 지중에 매설하는 경우에는 연결구(10)의 내경으로 결합 합성수지관(41)의 단부를 원터치형으로 밀어 넣어 관 결합홈(16)에 이르도록 결합하면 별도의 장치나 수밀을 유지하기 위한 구조를 필요치 않고 매설을 완료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연결구(10)에 결합 합성수지관(41)을 원터치형으로 결합하면 내부 고무링(30)의 내경에 형성한 밀림방지 돌기(34)와 외경 결합돌기(35) 및 내경 결합돌기(36)를 통하여 수밀을 유지할 수 있는 상태를 제공하는 것으로,
내부 고무링(30)의 내경에서 결합 합성수지관(41)의 외경을 통하여 안으로 밀리면서 눌리게 되므로 외경 결합돌기(35)는 경사면(15)에서 수밀을 유지하게 되고, 내경 결합돌기(36)는 절개홈(37)에 의하여 눌리면서 결합 합성수지관(41)의 외경을 감싸 수밀을 유지할 수 있게 되며, 내경으로 일정한 간격에서 돌출된 밀림방지 돌기(34)는 결합 합성수지관(41)의 외경을 감싸 수밀을 유지하게 된다.
상기 내경 결합돌기(36)는 결합 합성수지관(41)의 외경을 감싸 수밀을 유지하는 기능 이외에 안쪽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어서 결합 합성수지관(41)이 열팽창계수에 의해 외측으로 밀리며 분리되려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밀림방지 돌기(34)는 일정한 간격에서 안쪽을 향하여 형성되어 있으므로 결합 합성수지관(41)의 삽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진 후 요홈(33)에 의하여 변형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받게 되고, 결합 합성수지관(41)이 열팽창계수에 의해 외측으로 밀리며 분리되려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동시에 결합돌기링(42)에 결합한 전방 고무링(20)은 전방 연결홈(11)의 외측에서는 외경이 더 큰 형태를 제공하게 되지만, 전방 연결홈(11)에 진입하면서 삿갓 경사면(21)이 변형되면서 지름이 축소되어 진입하는 것이며, 1차 수밀돌기(23)와 2차 수밀돌기(24)를 통하여 에어 포켓 형태의 탄성 변형 공간을 제공하므로 변형량을 흡수하면서 탄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되고 결합이 종료된 이후에는 모든 방향에서 수밀상태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합성수지관에 연결구를 일체형으로 성형하는 제조방법에 대하여 각 단계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가. 내부 고무링 성형단계(S1)
독립된 금형을 통하여 사출 또는 압출에 의해 내부 고무링(30)을 성형하되; 고정돌기(31)의 일측으로 결합홈(32)이 형성되며, 고정돌기(31)와 결합홈(32)의 내경으로 요홈(33)과 밀림방지 돌기(34)가 일정한 간격에서 형성되도록 하고, 끝 부분에서는 절개홈(37)을 기준으로 외경 결합돌기(35)와 내경 결합돌기(36)가 형성되도록 성형하는 것이다.
나. 금형에 내부 고무링 공급단계(S2)
내부 성형금형(120)의 외경을 축소하고 내부 고무링홈(121)에 내부 고무링(30)을 결합한다.
다. 금형에 합성수지관 결합단계(S3)
내부 성형금형(120)의 외경에 형성한 관 삽입홈(122)에 외부에서 합성수지관(40)을 끼워 결합한다.
라. 금형 세팅단계(S4)
내부 성형금형(120)의 외경을 확대하여 합성수지관(40)의 내경을 고정하고, 외부 성형금형(140)의 외경을 축소시켜 금형을 세팅하여 성형공간(130)이 형성되도록 한다.
마. 용융 합성수지 공급단계(S5)
합성수지를 용융시킨 용융 합성수지를 성형공간(130)에 공급하여 성형공간(130)에 충진되면서 내부 고무링(30)의 외경으로 공급되어 연결구(10)의 내경에 내부 고무링(30)이 일체형으로 성형되는 것이다.
바. 금형 냉각과 분리단계(S6)
용융 합성수지를 충진시킨 후 내부 성형금형(120)과 외부 성형금형(140)에서 냉각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내부 성형금형(120)의 외경을 축소하고, 외부 성형금형(140)을 벌려 분리되도록 하는 것이다.
사. 합성수지관과 연결구 분리단계(S7)
합성수지관(40)을 일체형으로 성형한 연결구(10)를 금형으로부터 분리하여 연결구(10)의 성형을 완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내부 성형금형의 외경에 내부 고무링을 결합하고 합성수지의 공급으로 연결구를 일체형으로 사출 성형함으로써, 별도의 연결장치가 필요없이 합성수지관을 원터치형으로 연결구에 결합하는 것에 의해 수밀을 유지하도록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며, 조립한 이후에는 내부 고무링에 의해 수밀이 안정되게 유지되며 절대 빠지지 않도록 고정하고, 전방 고무링을 통하여 전방 연결홈에서 합성수지관의 수밀을 안정되게 유지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10 : 연결구 11 : 전방 연결홈
12 : 분할턱 13 : 고무링 결합턱
14 : 내부 고무링 연결홈 15 : 경사면
16 : 관 결합홈 17 : 관 고정홈
18 : 밀림 방지턱 20 : 전방 고무링
21 : 삿갓 경사면 22 : 돌기 결합홈
23 : 1차 수밀돌기 24 : 2차 수밀돌기
30 : 내부 고무링 31 : 고정돌기
32 : 결합홈 33 : 요홈
34 : 밀림방지 돌기 35 : 외경 결합돌기
36 : 내경 결합돌기 37 : 절개홈
40 : 합성수지관 41 : 결합 합성수지관
42 : 결합돌기링
45 : 결합돌기 46 : 용융부
100 : 연결구 성형장치 110 : 유압 실린더
111 : 실린더축 112 : 작동축
120 : 내부 성형금형 121 : 내부 고무링홈
122 : 관 삽입홈 130 : 성형공간
140 : 외부 성형금형 150 : 고정몸체
160 : 이동몸체

Claims (5)

  1. 삭제
  2. 관 고정홈(17)에서 합성수지관(40)이 일체형으로 성형되며 결합 합성수지관(41)이 원터치형으로 결합하는 연결구(10)로 이루어지며, 외경에 결합돌기(42)를 형성한 결합 합성수지관(41)에 끼워지는 돌기 결합홈(22)을 형성하며 삿갓 경사면(21)을 외경에 형성한 전방 고무링(20)과; 상기 전방 고무링(20)이 결합하는 전방 연결홈(11)의 안쪽으로 고무링 결합턱(13)을 형성한 내부 고무링 연결홈(14)의 안쪽에 경사면(15)을 형성하는 연결구(10)와; 상기 내부 고무링 연결홈(14)에 위치하며 고무링 결합턱(13)과 결합하는 결합홈(32)의 내경으로 일정한 간격에 밀림방지 돌기(34)를 형성하고 안쪽으로 경사면(15)에 위치하는 외경 결합돌기(35)와 내경 결합돌기(36)가 절개홈(37)으로 절개되어 형성되는 내부 고무링(30)으로 이루어지는 연결구 일체형 합성수지관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10)는 전방 고무링(20)이 결합하는 전방 연결홈(11)의 안쪽에서 분할턱(12)의 일측으로 결합홈(32)이 위치하는 고무링 결합턱(13)을 형성한 내부 고무링 연결홈(14)의 안쪽에 경사면(15)과 결합 합성수지관(41)의 단부가 위치하는 관 결합홈(16)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고무링이 일체형으로 결합하여 수밀을 유지하는 연결구 일체형 합성수지관.
  3. 관 고정홈(17)에서 합성수지관(40)이 일체형으로 성형되며 결합 합성수지관(41)이 원터치형으로 결합하는 연결구(10)로 이루어지며, 외경에 결합돌기(42)를 형성한 결합 합성수지관(41)에 끼워지는 돌기 결합홈(22)을 형성하며 삿갓 경사면(21)을 외경에 형성한 전방 고무링(20)과; 상기 전방 고무링(20)이 결합하는 전방 연결홈(11)의 안쪽으로 고무링 결합턱(13)을 형성한 내부 고무링 연결홈(14)의 안쪽에 경사면(15)을 형성하는 연결구(10)와; 상기 내부 고무링 연결홈(14)에 위치하며 고무링 결합턱(13)과 결합하는 결합홈(32)의 내경으로 일정한 간격에 밀림방지 돌기(34)를 형성하고 안쪽으로 경사면(15)에 위치하는 외경 결합돌기(35)와 내경 결합돌기(36)가 절개홈(37)으로 절개되어 형성되는 내부 고무링(30)으로 이루어지는 연결구 일체형 합성수지관에 있어서,
    상기 전방 고무링(20)은 결합돌기(42)를 감싸는 돌기 결합홈(22)의 안쪽으로 결합 합성수지관(41)의 외경을 감싸며 에어 포켓을 제공하는 1차 수밀돌기(23)와 2차 수밀돌기(24)가 형성되고 외경으로 삼각형 형태로 양쪽에서 대칭되게 돌출되는 삿갓 경사면(21)으로 이루어지는 내부 고무링이 일체형으로 결합하여 수밀을 유지하는 연결구 일체형 합성수지관.
  4. 관 고정홈(17)에서 합성수지관(40)이 일체형으로 성형되며 결합 합성수지관(41)이 원터치형으로 결합하는 연결구(10)로 이루어지며, 외경에 결합돌기(42)를 형성한 결합 합성수지관(41)에 끼워지는 돌기 결합홈(22)을 형성하며 삿갓 경사면(21)을 외경에 형성한 전방 고무링(20)과; 상기 전방 고무링(20)이 결합하는 전방 연결홈(11)의 안쪽으로 고무링 결합턱(13)을 형성한 내부 고무링 연결홈(14)의 안쪽에 경사면(15)을 형성하는 연결구(10)와; 상기 내부 고무링 연결홈(14)에 위치하며 고무링 결합턱(13)과 결합하는 결합홈(32)의 내경으로 일정한 간격에 밀림방지 돌기(34)를 형성하고 안쪽으로 경사면(15)에 위치하는 외경 결합돌기(35)와 내경 결합돌기(36)가 절개홈(37)으로 절개되어 형성되는 내부 고무링(30)으로 이루어지는 연결구 일체형 합성수지관에 있어서,
    상기 내부 고무링(30)은 내부 고무링 연결홈(14)에 위치하며 고무링 결합턱(13)과 결합하는 결합홈(32)의 외측으로 고정돌기(31)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돌기(31)와 결합홈(32)의 내경으로 일정한 간격에 요홈(33)과 밀림방지 돌기(34)를 다수개 형성하고 안쪽으로 경사면(15)에 위치하는 외경 결합돌기(35)와 내경 결합돌기(36)가 절개홈(37)으로 절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고무링이 일체형으로 결합하여 수밀을 유지하는 연결구 일체형 합성수지관.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고무링(30)은 고정돌기(31)의 내경에서 분할턱(12)의 내경에 위치하는 고정날개(38)를 더 돌출되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고무링이 일체형으로 결합하여 수밀을 유지하는 연결구 일체형 합성수지관.
KR1020130058267A 2013-05-23 2013-05-23 내부 고무링이 일체형으로 결합하여 수밀을 유지하는 연결구 일체형 합성수지관 KR1013114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8267A KR101311476B1 (ko) 2013-05-23 2013-05-23 내부 고무링이 일체형으로 결합하여 수밀을 유지하는 연결구 일체형 합성수지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8267A KR101311476B1 (ko) 2013-05-23 2013-05-23 내부 고무링이 일체형으로 결합하여 수밀을 유지하는 연결구 일체형 합성수지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1476B1 true KR101311476B1 (ko) 2013-09-26

Family

ID=49456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8267A KR101311476B1 (ko) 2013-05-23 2013-05-23 내부 고무링이 일체형으로 결합하여 수밀을 유지하는 연결구 일체형 합성수지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14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2650B1 (ko) * 2017-09-29 2018-03-29 신우산업주식회사 내진성과 수밀성을 향상시킨 수관 파이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6471B1 (ko) * 2012-02-15 2012-07-19 박환진 연결구 일체형 합성수지관과 그 제조방법
KR101170448B1 (ko) 2012-05-15 2012-08-07 대림프라스틱 주식회사 상하수도관 결합용 연결소켓의 성형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6471B1 (ko) * 2012-02-15 2012-07-19 박환진 연결구 일체형 합성수지관과 그 제조방법
KR101170448B1 (ko) 2012-05-15 2012-08-07 대림프라스틱 주식회사 상하수도관 결합용 연결소켓의 성형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2650B1 (ko) * 2017-09-29 2018-03-29 신우산업주식회사 내진성과 수밀성을 향상시킨 수관 파이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5106B1 (ko) 하수관 연결용 이음관 및 그 제조방법
KR101190797B1 (ko) 상하수도관용 연결소켓과 그 성형장치
KR100920808B1 (ko) 실링 및 그 실링을 이용한 파이프 연결소켓
WO2012164762A1 (ja) 継手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013796B1 (ko) 합성수지 편수관용 연결구조
JP5081336B1 (ja) 継手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スペーサ
KR101170448B1 (ko) 상하수도관 결합용 연결소켓의 성형방법
KR101311476B1 (ko) 내부 고무링이 일체형으로 결합하여 수밀을 유지하는 연결구 일체형 합성수지관
KR101311483B1 (ko) 내부 고무링이 일체형으로 결합하여 수밀을 유지하는 합성수지관 결합용 연결구의 성형장치
KR101183607B1 (ko) 상하수도관 결합용 연결소켓과 그 성형장치
CN109340484B (zh) 一种管道快连卡箍
CN203718249U (zh) 设有螺纹嵌件的管道接头
KR101457102B1 (ko) 내부 고무링이 일체형으로 결합하여 수밀을 유지하는 합성수지관 결합용 연결구의 성형방법
KR101166468B1 (ko) 연결구 일체형 합성수지관과 그 제조방법
KR101166469B1 (ko) 연결구 일체형 합성수지관
KR20090100794A (ko) 배관 연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관 연결 방법
KR101158308B1 (ko) 실링과 스톱퍼를 이용한 파이프 연결소켓의 제조방법과 그 장치
KR100952726B1 (ko) 수밀 연결용 상하수도관
KR101166471B1 (ko) 연결구 일체형 합성수지관과 그 제조방법
CN104806835A (zh) 一种铝塑复合管用直插式接头
KR101166467B1 (ko) 연결구 일체형 합성수지관
KR101170447B1 (ko) 상하수도관용 연결소켓의 성형방법
KR101160170B1 (ko) 파이프 연결용 일체형 연결소켓의 제조방법
JP2012137147A (ja) 分岐サドル継手、およびインサート部材
KR101343081B1 (ko) 편수칼라 파이프 일체형 사출부에서 분리 방지용을 적용한 연결소켓과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