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5193Y1 - 상수도용간이여과장치 - Google Patents
상수도용간이여과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05193Y1 KR200205193Y1 KR2020000014102U KR20000014102U KR200205193Y1 KR 200205193 Y1 KR200205193 Y1 KR 200205193Y1 KR 2020000014102 U KR2020000014102 U KR 2020000014102U KR 20000014102 U KR20000014102 U KR 20000014102U KR 200205193 Y1 KR200205193 Y1 KR 200205193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pipe
- sludge
- landing
- paper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6
- 239000010802 sludg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
- 238000009792 diffusion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9000008399 tap wat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5000020679 tap water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9000008213 purified wat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4062 sediment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10000001513 Elbow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10779 crude oil Substances 0.000 claims 1
- 239000003921 oil Substances 0.000 claims 1
- 239000003673 groundwater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5429 turbidity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02352 surface water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41000269328 Amphibia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41000238631 Hexapoda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9313 farm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abstract 1
- 239000003643 water by type Substances 0.000 abstract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185 Liver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5/00—Filters formed by clamping together several filtering elements or parts of such element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Abstract
본 고안은 상수도용간이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다.현재 농어촌에는 지하수 개발에 의한 상수시설과 취수지인 산간 계곡의 물을 여과 정수시켜 상수도로 이용하였는데, 최근에는 지하수개발에 의한 상수시설만 늘고 있어, 점점 지하수가 고갈되고 있는 실정과 전력의 소모를 감안한다면,기존의 취수시설을 활용함이 바람직 하나, 산간계곡의 물이 취수지의 계곡물은 강우로 인한 탁류나 낙엽, 곤충및 양서류 등이 유입되어 배수관 등이 막혀 정수나 여과시설이 원활히 작동되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이에 본 고안에서는 착수지(9)의 정수유출관밸브(4)을 닫고, 슬러지유출관밸브(6)을 개방시키면,원수유입관(2)을 통해 유입된 탁류와 표층수의 각종 부유물들이 부유물배출관(8)을 통해 확산관(7)내의 앨보우를 통하여 배출하게 되면, 확산관(7)내부가 감압된 현상으로 제트수류가 형성되면서 슬러지실(12)내의 슬러지(13)등이 여과조(1) 바닥으로 부터 외부로 빨려 나오게 되는 방식으로,자연낙차에 의한 수류의 흐름만으로,여과조(1)내부의 슬러지실(12)바닥에 쌓인 슬러지(13)와 착수지 (9)에 부유된 각종 부유물들을 일시에 배출제거할수 있는 것이 특징인 것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상수도용간이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수도용간이여과장치는 상수도 공급이 되지 않는 농어촌지역에 설치하는 간이 여과시설이다.
현재 농어촌에는 지하수 개발에 의한 상수시설과 취수지인 산간 계곡의 물을 여과 정수시켜 상수도로 이용하는 두가지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지하수개발에 의한 상수시설이 늘고 있고,취수지인 산간 계곡의 물을 이용하는 것은 점점 폐쇄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점점 지하수가 고갈되고 있는 실정과 전력의 소모를 감안한다면,기존의 취수시설을 활용하는 것이 장기적으로 바람직하다 할것이다.
그런데 위와같은 취수지를 이용하는 문제에 있어서,취수지인 산간계곡 물은 강우로 인한 탁류나 낙엽, 곤충및 양서류 등이 유입되어 배수관 등이 막혀 정수나 여과시설이 원활히 작동되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
이에 본 고안은 지하수 관정에 의존하지 않고, 기존의 간이상수도 시설을 최대한 활용할수 있도록, 간단히 개보수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수 있도록 하는 상수도용간이여과장치를 제안 하고자 한다.
특히 본 시설에 있어서의 중점적인 것은, 계곡물이 처음으로 착수(着水)되는 착수지 수면에 떠있는 낙엽, 곤충및 양서류 등의 제거와 여과조의 바닥에 침전된 슬러지를 동시에 배출시킬수 있도록 고안함으로서, 여과조의 성능유지 보수에 유용하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여과조의 설치상태 참고분리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여과조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여과조에 여과재를 충진한 상태의 A-A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여과조 2:원수유입관
3:정수유출관 4:정수유출관밸브
5:슬러지유출관 6:슬러지유출관밸브
7:확산관 7':속관
8:부유물배출관 9:착수지
10:침전지 11:여과지
12:유수지 13:슬러지
14:부유물 15:굵은모래
16:가는자갈 17:노치(notch)
18:1차스크린 19:2차스크린
20:바닥스크린 21:지지대
22:뚜껑
상기와 같은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고안의 일실시 구성및 작용을 첨부도면에 의해 알아보면,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여과조의 설치상태 참고분리사시도,도 2는 도 1에 따른 여과조의 A-A선 단면도,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여과조에 여과재를 충진한 상태의 A-A선 단면도로서,직사각면체 일정규격의 여과조(1) 바닥에서 일정이격 높이로 슬러지실(12)를 구비한 상층으로 길이방향으로 착수지(9),침전지(10),여과지(11),유수지(12),의 일정구획으로 분배하되,상기 착수지(9)와 침전지(10)사이의 노치(17)는 수개의 지지대(21)상에 용접 형성한 바닥스크린(20) 바닥에서 일정 이격 형성하며,침전지(10)와 여과지(11)사이벽은 1차스크린(18)을 여과지(11)와 유수지(12) 사이벽은 2차스크린(13)으로 형성하며,상기 착수지(9)의 외측벽 상단부는 원수유입관(2)을 유수지(12) 측상단부에는 정수유출관(3)과 정수유출관밸브(4)를 측하단부에는 슬러지유출관밸브(6)을 형성한 슬러지유출관(5)을 형성하되,상기 착수지(9)의 외측벽 상단부로 부터 배관된 부유물배출관(8)의 끝단 엘보우인 속관(7')은 상기 슬러지유출관밸브(6)끝에 형성된 확산관(7)내에 형성되어 진것이다.
한편, 상기 착수지(9)에는 원수유입관(2) 높이로 굵은자갈(17)을, 침전지 (10)에는 가는자갈(16)을, 여과지(11)에는 굵은모래(15)를 각각 상단 높이 9부까지 채운 여과조(1)의 상단은 뚜껑(22)을 씌운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일실시 작용으로 도 3에 도시된바와 같이, 취수지지인 계곡물과 부유물이 함께 원수유입관(2)으로 여과조(1)의 착수지(9)로 유입되면, 각종 부유물(14)은 노치(17)에 걸려 표층수에 뜨고 착수지(9)의 유입된 탁류는 굵은자갈(17)층 사이로 빠져나가 바닥스크린(20) 바닥의 슬러지실(12)에는 슬러지(13)가 침전된다.
그리고 역류된 물은 침전지(10)의 가는자갈(16)층으로 상승되어 1차스크린 (18)을 통해 굵은모래(15)가 담긴 여과지(11)로 이동되면서 최종 정화된 물이 2차스크린(19)을 통해 유수지(12)에 이르는 것이다.
위와같이 정화된 물은 약품처리되어 정수유출관(3)을 통해 각 가정의 상수관으로 분배되는 것이다.
한편, 탁류나 부유물이 계속 유입되어 슬러지실(12)이나 착수지(9)에 부유물이 많은 경우에는 정화력이 떨어지게 되므로서, 이 경우에는 상기 착수지(9)의 정수유출관밸브(4)을 닫고, 슬러지유출관밸브(6)을 개방시키면,원수유입관(2)을 통해 유입된 탁류와 표층수의 각종 부유물들이 부유물배출관(8)을 통해 확산관(7)내의 앨보우를 통하여 배출하게 되면, 확산관(7)내부가 감압된 현상으로 제트수류가 형성되면서 슬러지실(12)내의 슬러지(13)등이 여과조(1) 바닥으로 부터 외부로 빨려 나오게 되므로서, 무동력에 의한 낙차에 의한 수류에 의해서,여과조(1)내 슬러지실(12) 바닥에 쌓인 슬러지(13)와 착수지(9)의 표층수에 떠있는 각종 부유물(14)들이 동시에 배출되는 것이다.
위와 같이 하여 슬러지(13)와 부유물(14)이 배출된후,슬러지유출관밸브(6)을 잠그고, 정수유출관밸브(4)를 개방하여 다시, 착수지(9)로부터 유입된 물을 소독 정수해 각 가정으로 상수공급 하도록 된 것이다.
위와같이 구성 작용된 본 고안의 일실시 작용효과로는, 자연낙차에 의한 수류의 흐름만으로,여과조(1)내부의 슬러지실(12)바닥에 쌓인 슬러지(13)와 착수지 (9)에 부유된 각종 부유물들을 일시에 배출제거할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같은 무전력방식에 의해 효과로 연간 많은 전력이 절감되고,종래 정기적으로 여과조(1)의 청소에는 각 실마다 쌓인 여과재를 퍼낸후, 슬러지 등을 분리제거한후 다시 적층해야 하였으나, 본 고안에 의하여, 슬러지유출관밸브(6)의 개방만으로 부유물배출관(8)의 속관(7')을 통한 확산감압에 의해서 일시에 배출시킬수 있어 매우 편리하고, 유지관리비가 최소로 되는 것이다.
또한, 못쓰고 방치된 간이상수정화시설을 본 고안과 같에 간단히 개보수하고 상수관로만 새로 구축한다면, 적은 유지관리비용으로도 시설을 개축할수 있어, 고갈되는 지하수원을 보호하고 무전력방식에 저렴하게 유지할수 있는 유용한 고안 인 것이다.
Claims (2)
- 직사각면체 일정규격의 여과조(1) 바닥에서 일정이격 높이로 슬러지실(12)를 구비한 상층으로 길이방향으로 착수지(9),침전지(10),여과지(11),유수지(12),의 일정구획으로 분배하되,상기 착수지(9)와 침전지(10)사이의 노치(17)는 수개의 지지대(21)상에 용접 형성한 바닥스크린(20) 바닥에서 일정 이격 형성하며,침전지(10)와 여과지(11)사이벽은 1차스크린(18)을 여과지(11)와 유수지(12)사이벽은 2차스크린(13)으로 형성하며,상기 착수지(9)의 외측벽 상단부는 원수유입관(2)을 유수지(12) 측상단부에는 정수유출관(3)과 정수유출관밸브(4)를 측하단부에는 슬러지유출관밸브(6)을 형성한 슬러지유출관(5)을 형성하되,상기 착수지(9)의 외측벽 상단부로 부터 배관된 부유물배출관(8)의 끝단 엘보우인 속관(7')은 상기 슬러지유출관밸브(6)끝에 형성된 확산관(7)내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용간이여과장치.
- 제1항에 있어서,착수지(9)에는 원수유입관(2) 높이로 굵은자갈(17)을, 침전지 (10)에는 가는자갈(16)을, 여과지(11)에는 굵은모래(15)를 각각 상단 높이 9부까지 채워된 여과조(1)의 상단은 뚜껑(22)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용간이여과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00014102U KR200205193Y1 (ko) | 2000-05-18 | 2000-05-18 | 상수도용간이여과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00014102U KR200205193Y1 (ko) | 2000-05-18 | 2000-05-18 | 상수도용간이여과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05193Y1 true KR200205193Y1 (ko) | 2000-12-01 |
Family
ID=19656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00014102U KR200205193Y1 (ko) | 2000-05-18 | 2000-05-18 | 상수도용간이여과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05193Y1 (ko)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59981B1 (ko) * | 2002-09-13 | 2004-12-03 | 반도건설주식회사 | 실험용 하천수 여과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여과방법 |
KR100488613B1 (ko) * | 2001-12-31 | 2005-05-11 | 주식회사 장호 | 간이 상수도 여과장치 |
KR100583431B1 (ko) | 2004-08-23 | 2006-05-25 | 강동열 | 간이 상수도의 여과장치 및 그 세척방법 |
CN1331763C (zh) * | 2004-07-15 | 2007-08-15 | 张淳荣 | 可逆洗涤的简易自来水道自动化净水装置 |
KR100803713B1 (ko) | 2007-12-03 | 2008-02-15 | 주식회사 무진하이테크 | 간이 상수도 여과장치 |
KR200446461Y1 (ko) | 2007-09-18 | 2009-11-13 | 주식회사 디엔에이치 | 절삭유에 포함된 칩 걸름 장치 |
KR101236215B1 (ko) * | 2011-03-17 | 2013-02-22 | 한국미니맥스 주식회사 | 하천정화장치 |
KR102399870B1 (ko) | 2021-06-21 | 2022-05-19 | 한국수자원공사 | 다면체 여과망 장치 |
-
2000
- 2000-05-18 KR KR2020000014102U patent/KR200205193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88613B1 (ko) * | 2001-12-31 | 2005-05-11 | 주식회사 장호 | 간이 상수도 여과장치 |
KR100459981B1 (ko) * | 2002-09-13 | 2004-12-03 | 반도건설주식회사 | 실험용 하천수 여과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여과방법 |
CN1331763C (zh) * | 2004-07-15 | 2007-08-15 | 张淳荣 | 可逆洗涤的简易自来水道自动化净水装置 |
KR100583431B1 (ko) | 2004-08-23 | 2006-05-25 | 강동열 | 간이 상수도의 여과장치 및 그 세척방법 |
KR200446461Y1 (ko) | 2007-09-18 | 2009-11-13 | 주식회사 디엔에이치 | 절삭유에 포함된 칩 걸름 장치 |
KR100803713B1 (ko) | 2007-12-03 | 2008-02-15 | 주식회사 무진하이테크 | 간이 상수도 여과장치 |
KR101236215B1 (ko) * | 2011-03-17 | 2013-02-22 | 한국미니맥스 주식회사 | 하천정화장치 |
KR102399870B1 (ko) | 2021-06-21 | 2022-05-19 | 한국수자원공사 | 다면체 여과망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540953B2 (en) | Integrated below-ground vault with a filtered catch basin | |
KR100900714B1 (ko) | 오염된 물을 정화시키는 장치 | |
KR100673536B1 (ko) | 우수처리장치 | |
KR100605267B1 (ko) | 우수처리장치 | |
KR100904177B1 (ko) | 초기우수에 의한 오염을 정화시키는 장치 및 방법 | |
KR101181863B1 (ko) | 무인 자동 제어가 가능한 초기우수 처리장치 | |
KR100912708B1 (ko) | 비점오염 침전분리 침투형 정화장치 | |
KR101637562B1 (ko) | 우수 처리 장치 | |
KR200205193Y1 (ko) | 상수도용간이여과장치 | |
KR100913315B1 (ko) | 비점오염 저감장치 | |
KR100799251B1 (ko) | 우수배수로용 비점오염원 제거장치 | |
KR101195091B1 (ko) | 지중침투형 비점오염원 저감시설 | |
KR20090089542A (ko) | 취수용 물탱크 | |
KR20050098758A (ko) | 초기우수 처리기능을 가진 도로노면 배수처리장치 | |
KR200343186Y1 (ko) | 우수받이 기능을 가진 노면 배수 처리장치 | |
KR101217869B1 (ko) | 월류수 처리장치 | |
KR101431325B1 (ko) | 폐수 정화처리장치 | |
KR200357071Y1 (ko) | 초기우수 처리기능을 가진 도로노면 배수처리장치 | |
SK154794A3 (en) | Separator of sludge and oil | |
KR100523853B1 (ko) | 다가구 주택용 물탱크의 여과 장치 | |
KR100979530B1 (ko) | 하수 처리 장치 | |
KR940002443Y1 (ko) | 사용용수를 집수, 정화처리하여 재사용 가능케한 용수의 리싸이클 장치 | |
RU2153045C1 (ru) | Система дождевой канализации | |
KR100712051B1 (ko) | 지하도용 저수구조물 | |
SU1662940A1 (ru) | Устройство дл очистки воды от маслопродуктов и твердых частиц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701 |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 ||
J206 |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 ||
J206 |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 ||
J301 | Trial decision |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021129 Effective date: 20030130 |
|
J301 | Trial decision |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20702 Effective date: 2003033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40921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