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2051B1 - 지하도용 저수구조물 - Google Patents

지하도용 저수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2051B1
KR100712051B1 KR1020050095809A KR20050095809A KR100712051B1 KR 100712051 B1 KR100712051 B1 KR 100712051B1 KR 1020050095809 A KR1020050095809 A KR 1020050095809A KR 20050095809 A KR20050095809 A KR 20050095809A KR 100712051 B1 KR100712051 B1 KR 1007120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let
rainwater
water
storage tank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5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40445A (ko
Inventor
오재일
최영화
최승희
Original Assignee
블루그린링크(주)
오재일
최승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블루그린링크(주), 오재일, 최승희 filed Critical 블루그린링크(주)
Priority to KR10200500958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2051B1/ko
Publication of KR200700404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04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20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20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Abstract

본 발명은 주위에 비해 고도가 낮음에 따라 강우수가 고이는 지하도(1)의 하부에 설치되는 지하도용 저수구조물(100)에 관한 것으로서, 상측에 지하도(1)의 저면으로부터 강우수가 유입되는 침사조 유입구(111)가 형성된 침사조(110)와; 그 침사조(110)의 일측에 설치됨과 아울러, 그 침사조(110)로부터 강우수가 유입되도록 저장조 유입구(121)가 형성된 저장조(120)와; 침사조(110) 또는 저장조(120)에 설치되어, 저장조 유입구(121)를 통해 유입되는 강우수를 정화하는 강우수 정화장치(200)와; 저장조(120)와 격리되도록 침사조(110)의 타측에 설치됨과 아울러, 침사조(110)로부터 강우수가 유입되도록 집수조 유입구(131)가 형성된 집수조(130)를; 포함하고, 집수조 유입구(131)의 높이는 상기 저장조 유입구(121)의 높이와 같거나 그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를 제시함으로써, 저수구조물에 저장된 강우수를 세척수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율적인 구조의 지하도용 저수구조물을 제시한다.
지하도, 세척수

Description

지하도용 저수구조물{RESERVOIR WATER STRUCTURE FOR UNDERGROUND PASSAGE}
도 1은 종래의 지하도용 저수구조물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
도 2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지하도용 저수구조물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2는 측단면도.
도 3은 평면도.
도 4는 도 2의 A-A 단면도.
도 5는 강우수 정화장치의 사시도.
도 6은 강우수 정화장치를 저장조 측에서 본 횡단면도.
도 7은 강우수 정화장치를 또 다른 방향에서 본 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지하도 100 : 지하도용 저수구조물
110 : 침사조 111 : 침사조 유입구
120 : 저장조 121 : 저장조 유입구
122 : 격벽 130 : 집수조
131 : 집수조 유입구 200 : 강우수 정화장치
210 : 본체 211 : 정화장치 유입구
212 : 정화장치 유출구 213 : 필터 카트리지 교체구
220 : 필터 카트리지 230 : 뚜껑
240 : 오물 침전부 250 : 오물 유도부
251 : 오물 유입구 A : 강우수 필터 유입유로
본 발명은 지하도용 저수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지하도 내부에 고이는 강우수를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저수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지하도용 저수구조물(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지하차도와 같이 주위에 비해 고도가 낮게 형성된 지하도(1)는 우천시 강우수가 경사면을 따라 흘러들어 그 지하도(1)의 저면에 고이게 되고, 터널의 경우는 지하수의 용출에 의해 강우수가 저면에 고이게 된다.
고이는 강우수를 그대로 방치하면 도보나 차량통행에 지장을 줄 뿐만 아니라, 사고의 위험이 있으므로, 지하도(1)의 하부에 저수구조물(100)을 설치하여 강우수가 그 저수구조물(100)에 일단 저장되도록 하고, 강우가 종료된 이후, 펌프장치 등에 의해 이를 퍼내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편, 터널, 지하차도와 같은 지하도의 내부는 지상구조물에 비해 오염도가 휠씬 크므로, 세척의 필요성이 더욱 높은데, 그 세척에 소요되는 세척수는 탱크차 등에 의해 별도로 지상에서 공급하여야 하고, 그 양이 많으므로 이를 위한 수고와 비용이 상당히 소요되는 것이 현실이었다.
따라서 지하도(1)의 저수구조물(100)에 저장된 저장수를 상기 세척수로 활용하는 방안이 검토되었으나, 기본적으로 정화되지 않은 강우수는 오염도가 높으므로 세척수로 사용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제기되는 등 효율적인 저수구조물의 구성에 관한 고안이 절실히 요청되어 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저수구조물에 저장된 강우수를 세척수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율적인 구조의 지하도용 저수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주위에 비해 고도가 낮음에 따라 강우수가 고이는 지하도의 하부에 설치되는 지하도용 저수구조물에 있어서, 상측에 상기 지하도의 저면으로부터 강우수가 유입되는 침사조 유입구가 형성된 침사조와; 상기 침사조의 일측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침사조로부터 강우수가 유입되도록 저장조 유입구가 형성된 저장조와; 상기 침사조로부터 상기 저장조 유입구를 통해 상기 저장조로 유입되는 강우수를 정화하도록, 상기 침사조 또는 상기 저장조에 설치된 강우수 정화장치와; 상기 저장조와 격리되도록 상기 침사조의 타측에 설치됨과 아울러, 집수조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침사조로부터 상기 집수조 유입구를 통해 강우수가 유입되도록 설치된 집수조를; 포함하고, 상기 집수조 유입구의 높이는 상기 저장조 유입구의 높이와 같거나 그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도용 저수구조물을 제시한다.
상기 저장조에는 상기 강우수 정화장치를 통과하여 정화된 강우수만이 유입되도록, 상기 저장조 유입구의 주위부는 격벽 및 상기 강우수 정화장치에 의해 폐쇄된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강우수 정화장치는 본체에 정화장치 유입구 및 정화장치 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침사조로부터 상기 정화장치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강우수는 상향여과방식에 의해 정화되어, 상기 정화장치 유출구를 통해 상기 저장조로 유출되는 구조를 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강우수 정화장치는 상기 정화장치 유입구 및 정화장치 유출구를 공간적으로 분리하도록 설치된 필터 카트리지를 구비하고, 상기 정화장치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강우수가 상기 필터 카트리지를 투과하여야만 상기 정화장치 유출구를 통해 유출되도록 구성된 구조를 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강우수 정화장치는 상기 본체의 상벽 또는 측벽에 관통형성된 필터 카트리지 교체구와; 상기 필터 카트리지 교체구를 개폐가능하게 장착된 뚜껑을; 더 구비하고, 상기 필터 카트리지는 상기 필터 카트리지 교체구를 통해 착탈가능하게 장착된 구조를 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강우수 정화장치는 상기 필터 카트리지의 하측으로서 상기 본체의 바닥면 상측 공간에 의해 형성된 오물 침전부와; 상기 정화장치 유입구와 상기 필터 카트리지의 외면 사이의 공간 및 상기 필터 카트리지와 상기 본체의 바닥면 사이의 공간에 의해 형성되는 강우수 필터 유입유로를; 더 구비한 구조를 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강우수 정화장치의 상기 강우수 필터 유입유로의 하측으로서 상기 오물 침전부의 상측에는 상기 본체의 내벽으로부터 내측을 향하여 소정 하향경사를 갖도록 연장형성된 오물 유도부와; 상기 오물 유도부의 내측단부에 의해 형성된 오물 유입구가; 더 구비된 구조를 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강우수 정화장치는 상기 정화장치 유출구와 상기 저장조 유입구가 상호 연통되도록 상기 침사조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정화장치 유입구는 상기 강우수 정화장치 본체의 측벽 중 상기 정화장치 유출구가 형성되지 않은 측벽에 형성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상기 필터 카트리지는 상기 정화장치 유출구를 통해 강우수가 유출되는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복수개가 설치되고, 상기 정화장치 유입구는 상기 필터 카트리지의 양 측면과 각각 마주 보는 상기 본체의 양 측벽에 복수개가 형성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상기 뚜껑은 상기 복수개의 필터 카트리지 각각의 상측을 덮도록 복수개의 뚜껑에 의해 구성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주위에 비해 고도가 낮음에 따라 강우수가 고이는 지하도(1)의 하부에 설치되는 지하도용 저수구조물(100)에 관한 것으로서, 상측에 상기 지하도(1)의 저면으로부터 강우수가 유입 되는 침사조 유입구(111)가 형성된 침사조(110)와; 상기 침사조(110)의 일측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침사조(110)로부터 강우수가 유입되도록 저장조 유입구(121)가 형성된 저장조(120)와; 상기 침사조(110) 또는 상기 저장조(120)에 설치되어, 상기 저장조 유입구(121)를 통해 유입되는 강우수를 정화하는 강우수 정화장치(200)와; 상기 저장조(120)와 격리되도록 상기 침사조(110)의 타측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침사조(110)로부터 강우수가 유입되도록 집수조 유입구(131)가 형성된 집수조(130)를; 포함하고, 상기 집수조 유입구(131)의 높이는 상기 저장조 유입구(121)의 높이와 같거나 그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침사조 유입구(111)를 통해 유입된 강우수는 일단 침사조(110)에 저류하게 되는데, 이 상태는 강우수의 지속적 유입에 의해 수위가 저장조 유입구(121)에 이르기 전까지 지속되는 것이므로, 그 기간 동안 강우수가 포함하는 오염물질 중 비교적 비중이 큰 물질이 침사조(110)의 바닥에 침전됨으로써, 강우수의 1차 정화가 수행된다.
지속적인 강우에 의해 침사조(110)에 저류된 강우수의 수위가 저장조 유입구(121)에 이르는 경우, 강우수는 강우수 정화장치(200)에 의해 2차 정화된 후, 저장조 유입구(121)를 통해 저장조(120)로 유입되어 저장된다.
정화장치(100)에 의해 정화되어 저장조(120)에 저장된 강우수는 향후 저장수 유출용 파이프 관통공(123)을 통해 유출되어 세척수 등으로 활용된다.
이후, 저장조(120)에 강우수가 가득 참에 따라, 저장조(120)의 수위도 침사조(110)의 수위 높이까지 이르게 되는 경우, 강우수는 비로소 집수조 유입구(131)를 통해 집수조(130)에 유입되어 저장된다.
여기서, 집수조 유입구(131)란 침사조(110)의 강우수가 집수조(130)로 유입되도록 하는 입구를 의미하므로, 구멍의 구조를 취할 수도 있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벽을 월류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침사조(110)에 유입된 강우수가 일단 정화장치(200)를 거쳐 저장조(120)에 저장되고, 이후 잔여 강우수가 집수조(130)에 저장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집수조 유입구(131)의 높이가 저장조 유입구(121)의 높이보다 높은 구조를 취하는 것이 필요하다.
위 내용을 정리하여, 강우수의 흐름을 다시 한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강우수가 지하도(1)의 저면으로부터 침사조 유입구(111)를 통해 침사조(110)로 유입됨.
2) 침사조(110)의 강우수는 저장조 유입구(121)를 통해 저장조(120)로 유입됨.
이 과정에서 저장조 유입구(121)를 통과하는 강우수는 강우수 정화장치(200)에 의해 정화됨.
3) 저장조(120)의 수위가 침사조(110)의 수위에 이르는 경우, 침사조(110)의 강우수는 집수조 유입구(131)를 통해 집수조(130)에 유입됨.
또한, 상기 실시예보다는 바람직하지 않지만, 강우수가 침사조(110)로부터 저장조(120) 및 집수조(130)로 동시에 유입되도록 하더라도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는 있는데, 이를 위해서라도 최소한 집수조 유입구(131)의 높이는 저장조 유입구(121)의 높이와 동일한 구조를 취하는 것이 필요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침사조(110)를 중심으로 일측에 저장조(120)를 설치하고, 타측에 집수조(130)를 설치함과 아울러, 특히 침사조(110)로부터 저장조(120)로 유입되는 강우수는 정우수 정화장치(200)에 의해 정화되도록 하는 구조를 취하는 경우, 정화되어 저장조(120)에 저장된 강우수는 향후 세척수로 활용할 수 있고, 집수조(130)에 저장된 강우수만을 펌프장치 등에 의해 외부로 배출하면 되므로, 다음과 같은 효과를 낳는다.
첫째, 탱크차 등에 의해 세척수를 외부로부터 인입할 필요없이, 저장조(120)에 저장된 강우수를 세척수로 활용하면 되므로, 지하도 구조물의 세척작업에 소요되는 노력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둘째, 강우수를 각각 저장조(120) 및 집수조(130)로 유입하거나 정화함에 있어서, 별도의 동력원을 사용하지 않고 자연적인 동수구배를 활용하므로, 별도의 비 용의 증가가 요구되지 않는다.
셋째, 집수조 유입구(131)의 높이가 저장조 유입구(121)의 높이보다 높은 구조를 취하는 경우, 일단 세척수로 소요되는 만큼의 강우수가 저장조(120)에 저장된 후, 잔여 강우수가 집수조(130)에 저장되도록 할 수 있으므로, 강우수의 효율적인 운용이 가능하다.
한편, 저장조(120)에 저장된 강우수는 세척수로 사용될 것이므로, 반드시 강우수 정화장치(200)를 투과하면서 정화된 강우수만이 저장되고, 이를 투과하지 않은 강우수는 저장조(120)에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집수조(130)의 크기를 충분한 정도로 확보하는 경우에는 별문제가 없겠으나, 그렇지 못한 경우에는 지속적인 강우에 의해 집수조(130)가 가득 참에 따라, 정화되지 않은 강우수가 저장조(120)로 월류하는 현상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저장조(120)에는 강우수 정화장치(200)를 통과하여 정화된 강우수만이 유입되도록, 저장조 유입구(121)의 주위부는 격벽(122) 및 강우수 정화장치(200)에 의해 폐쇄된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격벽(122)이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벽체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심부에 저장조 유입구(121)가 형성되어, 침사조(110)의 강우수가 저장조 유입구(121)를 통하지 않고 저장조(12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 상기 강우수 정화장치(200)의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지하도용 저수구조물에 있어서의 강우수 정화장치(200)는, 침사조(110)에 의해 1차 정화된 강우수가 저장조(120)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2차 정화하는 구조이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며, 저장조 유입구(121)에 단순히 정화용 필터를 장착하는 구조 등에 의해서도 구현할 수 있다.
다만,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를 취하는 경우, 보다 효율적 으로 강우수를 정화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 의한 강우수 정화장치(200)는, 본체(210)에 정화장치 유입구(211) 및 정화장치 유출구(212)가 형성되고, 침사조(110)로부터 정화장치 유입구(211)를 통해 유입된 강우수가 상향여과방식에 의해 정화되어, 정화장치 유출구(212)를 통해 상기 저장조(120)로 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상향여과방식의 정화구조는 강우수가 필터 카트리지(220) 등의 여과수단의 저면으로부터 상측을 향해 흐르면서 필터링되는 구조를 취하므로, 강우수에 포함되었다가 정화수단에 의해 필터링된 오염물질 대부분이 중력에 의해 바닥면으로 자연스럽게 떨어져나가게 되는바, 종래 상측으로부터 하측을 향해 필터링되는 정화장치의 경우와 같이, 정화수단의 입구측 표면에 많은 양의 오염물질이 쌓임에 따라 강우수의 흐름이 막혀 전체적으로 과부하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한편, 각 지역의 기후, 환경 기타 지역적인 특성에 따라 발생하는 오염물질의 특성도 다소 차이를 갖게 되는데, 본 발명에 의한 지하도용 저수구조물에 있어서의 강우수 정화장치는 필터 카트리지(220)를 그 지역적 특성에 맞도록 구성하여 장착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정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말하면, 불투수 노면의 상면에 축적되는 오염물질은 그 지역적 특성에 따라 다양한 차이를 나타내는데, 그 오염물질을 정화하는데 적정한 반응물질을 충진하여 필터 카트리지를 구성함으로써 효과적인 정화가 가능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노면의 씻김 현상에 의해 빗물에 포함되는 오염물질 중 침전에 의해 제거되지 않고, 필터 카트리지를 통해서만 제거될 수 있는 성분의 예로서는 유기물 성분, 물보다 밀도가 높은 기름 물질, 납, 아연 등과 같은 중금속 물질, 동절기에 제설제로서 사용되는 염화 칼슘 등을 들 수 있다.
유기물 성분, 기름 물질의 경우는 펄라이트, 입상 활성탄, 식물성 리그닌 등을 충진함으로써 제거될 수 있고, 중금속의 경우는 제올라이트, 양이온 교환 수지, 키토산 등을 충진함으로써 제거될 수 있다.
제설제로서 주로 사용되는 염화 칼슘 오염물질은 염소 이온과 칼슘 이온을 포함하는데, 이들은 모두 환경에 유해한 물질이므로 동시에 제거될 수 있어야 하는 바, 양이온/음이온 교환 수지를 충진함으로써 정화가 가능하다.
요컨대, 본 발명에 의한 지하도용 저수구조물의 강우수 정화장치는 필터 카트리지가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구조로서, 강우수 정화장치가 설치되는 지역의 특성에 맞도록 그 필터 카트리지의 구성을 자유로이 변화시킬 수 있으므로, 보다 효율적인 강우수의 정화가 가능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필터 방식에 의한 강우수의 정화를 장기간 반복하다 보면, 필터 카트리지(220)가 오염물질에 의해 제 기능을 수행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필터 카트리지(220)는 착탈가능하게 장착된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본체(210)의 상벽 또는 측벽에 관통형성된 필터 카트리지 교체구(213)와; 그 필터 카트리지 교체구(213)를 개폐가능하게 장착된 뚜껑(230)을; 더 구비한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터에 의한 정화작용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필터 카트리지(220)가 정 화장치 유입구(211) 및 정화장치 유출구(212)를 공간적으로 분리하도록 설치된 구성을 취함으로써, 정화장치 유입구(211)를 통해 유입된 강우수가 상기 필터 카트리지(220)를 투과하여야만 상기 정화장치 유출구(212)를 통해 유출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 구조는 다양한 것이 있을 수 있으며, 도 5 내지 도 7에서는 그 하나의 실시예로서, 필터 카트리지(220)의 하측으로서 상기 본체(210)의 바닥면 상측 공간에 의해 형성된 오물 침전부(240)와; 정화장치 유입구(211)와 필터 카트리지(220)의 외면 사이의 공간 및 필터 카트리지(220)와 상기 본체(210)의 바닥면 사이의 공간에 의해 형성되는 강우수 필터 유입유로(A)를; 더 구비한 구조를 제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강우수는 정화장치 유입구(211)를 통해 유입되어, 강우수 필터 유입유로(A)를 통해 하측으로 흘러들고, 오물 침전부(240)에서 비교적 하중이 큰 오물을 침전한 후, 필터 카트리지(220)를 상향여과방식으로 투과하면서 정화되어, 정화장치 유출구(212)를 통해 저장조(120)로 유출된다.
다만, 이러한 구조를 취하는 경우, 강우수 필터 유입유로(A)를 통해 유입된 강우수가 오물 침전부(240)의 바닥에 고여 있는 오물에 일단 충돌한 후, 상향하면서 필터 카트리지(220)의 저면으로 유입되므로, 강우수 필터 유입유로(A) 및 오물 침전부(240)에 오물이 부유하는 상황이 지속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강우수 필터 유입유로(A)의 하측으로서 오물 침전부(240)의 상측에 본체(210)의 내벽으로부터 내측을 향하여 소정 하향경사 를 갖도록 연장형성된 오물 유도부(250)와; 오물 유도부(250)의 내측단부에 의해 형성된 오물 유입구(251)가; 더 구비된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를 취하는 경우, 강우수 필터 유입유로(A)를 통해 유입된 강우수가 오물 침전부(240)의 바닥에 고여 있는 오물에 직접적으로 충돌하지 않고, 일단 오물 유도부(250)에 충돌한 후, 일부는 필터 카트리지(220)의 저면으로 유입되고, 다른 일부는 오물 유입구(251)를 통해 오물 침전부(240)로 유입되어 오물의 침전이 이루어지므로, 보다 효율적인 정화가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강우수 정화장치(200)는 침사조(110)로부터 저장조 유입구(121)를 통해 저장조(120)로 유입되는 강우수를 정화할 수 있는 구조이면, 침사조(110)나 저장조(120) 어디에 설치되더라도 관계없다.
도 2 및 도 4의 경우는, 정화장치 유출구(212)와 저장조 유입구(121)가 상호 연통되도록 강우수 정화장치(200)가 침사조(110) 내부에 설치되고, 정화장치 유입구(211)가 강우수 정화장치(200) 본체(210)의 측벽 중 상기 정화장치 유출구(212)가 형성되지 않은 측벽에 형성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필터 카트리지(220)는 1개가 설치될 수도 있고, 복수개가 설치될 수도 있는데, 계절 기타 기후 환경에 따라 적절한 구조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복수개가 설치될 수 있는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 내지 도 7은 복수개의 필터 카트리지(220a,200b)가 정화장치 유출구(212)를 통해 강우수가 유출되는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되고, 정화장치 유입구(211)가 필터 카트리지(220)의 양 측면과 각각 마주 보는 본체(210)의 양 측벽에 복수개 형성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를 취하는 경우, 각각의 필터 카트리지(220a,200b) 각각의 상측을 덮도록 복수개의 뚜껑(230a,230b)을 구비함으로써, 관리나 교체를 필요로 하는 필터 카트리지만의 착탈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보다 효율적이라 할 수 있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효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탱크차 등에 의해 세척수를 외부로부터 인입할 필요없이, 저장조(120)에 저장된 강우수를 세척수로 활용하면 되므로, 지하도 구조물의 세척작업에 소요되는 노력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둘째, 강우수를 각각 저장조(120) 및 집수조(130)로 유입하거나 정화함에 있어서, 별도의 동력원을 사용하지 않고 자연적인 동수구배를 활용하므로, 별도의 비용의 증가가 요구되지 않는다.
셋째, 집수조 유입구(131)의 높이가 저장조 유입구(121)의 높이보다 높은 구조를 취하는 경우, 일단 세척수로 소요되는 만큼의 강우수가 저장조(120)에 저장된 후, 잔여 강우수가 집수조(130)에 저장되도록 할 수 있으므로, 강우수의 효율적인 운용이 가능하다.
넷째, 정화용 필터 카트리지가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구조를 취하므로, 오염물질의 특성을 감안하여 필터 카트리지의 충진물질을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는 바, 지역적 특성에 따른 효율적인 강우수의 정화가 가능하다.

Claims (10)

  1. 주위에 비해 고도가 낮음에 따라 강우수가 고이는 지하도(1)의 하부에 설치되는 지하도용 저수구조물(100)에 있어서,
    상측에 상기 지하도(1)의 저면으로부터 강우수가 유입되는 침사조 유입구(111)가 형성된 침사조(110)와;
    상기 침사조(110)의 일측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침사조(110)로부터 강우수가 유입되도록 저장조 유입구(121)가 형성된 저장조(120)와;
    상기 침사조(110)로부터 상기 저장조 유입구(121)를 통해 상기 저장조(120)로 유입되는 강우수를 정화하도록, 상기 침사조(110) 또는 상기 저장조(120)에 설치된 강우수 정화장치(200)와;
    상기 저장조(120)와 격리되도록 상기 침사조(110)의 타측에 설치됨과 아울러, 집수조 유입구(131)가 형성되고, 상기 침사조(110)로부터 상기 집수조 유입구(131)를 통해 강우수가 유입되도록 설치된 집수조(130)를; 포함하고,
    상기 집수조 유입구(131)의 높이는 상기 저장조 유입구(121)의 높이와 같거나 그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도용 저수구조물(10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조(120)에는 상기 강우수 정화장치(200)를 통과하여 정화된 강우수만이 유입되도록, 상기 저장조 유입구(121)의 주위부는 격벽(122) 및 상기 강우수 정화장치(200)에 의해 폐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도용 저수구조물(100).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강우수 정화장치(200)는
    본체(210)에 정화장치 유입구(211) 및 정화장치 유출구(212)가 형성되고,
    상기 침사조(110)로부터 상기 정화장치 유입구(211)를 통해 유입된 강우수는 상향여과방식에 의해 정화되어, 상기 정화장치 유출구(212)를 통해 상기 저장조(120)로 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도용 저수구조물(100).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강우수 정화장치(200)는
    상기 정화장치 유입구(211) 및 정화장치 유출구(212)를 공간적으로 분리하도록 설치된 필터 카트리지(220)를 구비하고,
    상기 정화장치 유입구(211)를 통해 유입된 강우수가 상기 필터 카트리지(220)를 투과하여야만 상기 정화장치 유출구(212)를 통해 유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도용 저수구조물(100).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강우수 정화장치(200)는
    상기 본체(210)의 상벽 또는 측벽에 관통형성된 필터 카트리지 교체구(213)와;
    상기 필터 카트리지 교체구(213)를 개폐가능하게 장착된 뚜껑(230)을; 더 구비하고,
    상기 필터 카트리지(220)는 상기 필터 카트리지 교체구(213)를 통해 착탈가능하게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도용 저수구조물(100).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강우수 정화장치(200)는
    상기 필터 카트리지(220)의 하측으로서 상기 본체(210)의 바닥면 상측 공간에 의해 형성된 오물 침전부(240)와;
    상기 정화장치 유입구(211)와 상기 필터 카트리지(220)의 외면 사이의 공간 및 상기 필터 카트리지(220)와 상기 본체(210)의 바닥면 사이의 공간에 의해 형성되는 강우수 필터 유입유로(A)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도용 저수구조물(100).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강우수 정화장치(200)의 상기 강우수 필터 유입유로(A)의 하측으로서 상기 오물 침전부(240)의 상측에는
    상기 본체(210)의 내벽으로부터 내측을 향하여 소정 하향경사를 갖도록 연장형성된 오물 유도부(250)와;
    상기 오물 유도부(250)의 내측단부에 의해 형성된 오물 유입구(251)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도용 저수구조물(100).
  8.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강우수 정화장치(200)는 상기 정화장치 유출구(212)와 상기 저장조 유입구(121)가 상호 연통되도록 상기 침사조(110)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정화장치 유입구(211)는 상기 강우수 정화장치(200) 본체(210)의 측벽 중 상기 정화장치 유출구(212)가 형성되지 않은 측벽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도용 저수구조물(100).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카트리지(220)는 상기 정화장치 유출구(212)를 통해 강우수가 유출되는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복수개가 설치되고,
    상기 정화장치 유입구(211)는 상기 필터 카트리지(220)의 양 측면과 각각 마주 보는 상기 본체(210)의 양 측벽에 복수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도용 저수구조물(100).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230)은 상기 복수개의 필터 카트리지(220a,200b) 각각의 상측을 덮도록 복수개의 뚜껑(230a,230b)에 의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도용 저수구조물(100).
KR1020050095809A 2005-10-12 2005-10-12 지하도용 저수구조물 KR1007120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5809A KR100712051B1 (ko) 2005-10-12 2005-10-12 지하도용 저수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5809A KR100712051B1 (ko) 2005-10-12 2005-10-12 지하도용 저수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0445A KR20070040445A (ko) 2007-04-17
KR100712051B1 true KR100712051B1 (ko) 2007-05-02

Family

ID=38176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5809A KR100712051B1 (ko) 2005-10-12 2005-10-12 지하도용 저수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205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0481B1 (ko) * 2013-08-30 2014-03-06 서용섭 인공함양용 필터링 시스템 및 인공함양용 필터링 시스템 세척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25711A (ja) 1983-06-07 1984-12-18 Okada Sangyo Kk 濾過装置
JPS6362514A (ja) 1986-09-01 1988-03-18 Okada Sangyo Kk ガラス繊維強化樹脂製上向ろ過装置
KR200331319Y1 (ko) 2003-07-25 2003-10-23 (주식회사)문창 빗물저장탱크의 정수처리장치
KR200371570Y1 (ko) 2004-09-15 2005-01-14 최진관 빗물 수집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25711A (ja) 1983-06-07 1984-12-18 Okada Sangyo Kk 濾過装置
JPS6362514A (ja) 1986-09-01 1988-03-18 Okada Sangyo Kk ガラス繊維強化樹脂製上向ろ過装置
KR200331319Y1 (ko) 2003-07-25 2003-10-23 (주식회사)문창 빗물저장탱크의 정수처리장치
KR200371570Y1 (ko) 2004-09-15 2005-01-14 최진관 빗물 수집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0445A (ko) 2007-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2275B1 (ko) 초기우수분리 및 자동역세와 정체수 배출이 가능한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0949325B1 (ko) 저류지 전단 설치용 자연형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1382006B1 (ko) 합류식 하수관거의 월류수 및 초기 우수 처리장치
KR100904177B1 (ko) 초기우수에 의한 오염을 정화시키는 장치 및 방법
KR100734578B1 (ko) 교량용 강우수 정화장치
KR101235008B1 (ko) 비점 오염 저감 시설
KR100984676B1 (ko) 배수 처리용 초기우수 처리 장치
KR100991492B1 (ko) 다단처리를 통한 자연형 초기 우수 정화 장치 및 그 정화 방법
KR100605267B1 (ko) 우수처리장치
KR100913315B1 (ko) 비점오염 저감장치
KR100848011B1 (ko) 상향류형 여과조를 이용한 우수 내 오염물질 제거장치
KR101003477B1 (ko) 초기우수 처리장치
KR20120106047A (ko)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0486105B1 (ko) 교량용 강우수 정화장치
KR100951098B1 (ko) 카트리지필터를 이용한 비점 오염원 여과처리장치
JP4145895B2 (ja) 非点汚染源除去装置
KR101244122B1 (ko) 부유식 디캔터를 이용한 정체수 배출 및 자동역세가 가능한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0704901B1 (ko) 강우의 특성을 고려한 우수 처리장치 및 그 처리방법
KR100991175B1 (ko) 도로의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
KR100420222B1 (ko) 강우수 정화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강우수 정화모듈
KR20150114224A (ko) 빗물정화 빗물침투시설
KR100656173B1 (ko) 비점오염원 초기 우수의 선택적 차집 시스템
KR200205193Y1 (ko) 상수도용간이여과장치
KR101195091B1 (ko) 지중침투형 비점오염원 저감시설
KR100712051B1 (ko) 지하도용 저수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2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