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6105B1 - 교량용 강우수 정화장치 - Google Patents

교량용 강우수 정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6105B1
KR100486105B1 KR1020040072314A KR20040072314A KR100486105B1 KR 100486105 B1 KR100486105 B1 KR 100486105B1 KR 1020040072314 A KR1020040072314 A KR 1020040072314A KR 20040072314 A KR20040072314 A KR 20040072314A KR 100486105 B1 KR100486105 B1 KR 1004861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nfall
bridge
rainwater
filter cartridg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23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화
황환구
오재일
최영화
Original Assignee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블루그린링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블루그린링크(주) filed Critical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723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61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61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61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8Damp-proof or other insulating layers; 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Bridge deck surfacings
    • E01D19/086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03F5/0404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with a permanent or temporary filtering device; Filte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의 상면으로부터 하측으로 관통형성된 교량 관통공에 장착되어 그 관통공의 하측 배출구로부터 하측으로 연장설치된 집수관을 통해 하수관거로 강우수를 배출하는 교량용 강우수 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측 개구부에 강우수 유입구가 형성되고 바닥판에 중앙관 삽입공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측벽 내주면과 소정 이격되어 상기 중앙관 삽입공에 삽입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본체의 내측영역의 측벽에 정화수 유입구가 관통형성되고, 하측 개구부에 정화수 배출구가 형성된 중앙관과; 상기 본체의 측벽 내주면과 소정 이격되어 장착됨과 아울러, 상기 정화수 유입구를 밀폐하도록, 상기 중앙관의 외주면에 장착된 필터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교량용 강우수 정화장치를 제공함으로써, 교량의 상면에 고이는 강우수에 관한 오염물질의 제거기능을 충실히 수행하면서도, 교량의 구조적 안정성을 해하지 않으며, 집중호우로 인한 강우수의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교량용 강우수 정화장치 {APPARATUS FOR PURIFICATION OF RAINFALL ON BRIDGE}
본 발명은 교량(도하용 교량, 고가 도로 등)의 상면에 고인 강우수를 정화하여 하수관거로 배출하도록 하기 위한 교량용 강우수 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강우수에 관한 오염물질의 제거기능을 충실히 수행하면서도 집중호우로 인한 강우수의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의 강우수 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강우수 배출 및 정화장치는 강우시 도로, 교량 등의 상면에 고이는 빗물을 하수관거를 향해 배출하기 위한 시설로서, 도로, 교량 등의 건설시 노면 배수를 위해 반드시 설치하도록 시설기준상에 명시되어 있으며, 모래, 낙엽, 기타 오염물질의 하수관거 유입을 감소시키기 위해 소정의 정화시설이 구비되기도 한다.
도 9는 종래의 일반적인 교량용 강우수 정화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교량(1)의 상면에 형성되는 도로는 빗물의 용이한 배출을 위해 심부로부터 가장자리부를 향하여 소정 하향경사를 갖도록 설치되며, 그 가장자리부에는 상면으로부터 하측으로 관통형성된 교량 관통공(2)이 형성되고, 강우수 정화장치(100)는 그 교량 관통공(2)에 삽입설치된다.
강우수 정화장치(100)의 상측 개구부는 강우수의 유입을 위해 개방된 구조를 취하고 있으며, 하측 개구부는 그 배출구로부터 하측으로 연장설치된 집수관(3)을 통해 하수관거로 강우수를 배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빗물과 함께 유입되는 오염물질의 집수관(3) 유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강우수 정화장치(100)의 내부에는 오염물질의 수거를 위한 필터 카트리지(101)가 구비되기도 한다.
이러한 필터 카트리지(101)는 강우수가 정화장치(100)를 상하방향으로 통과하면서 정화되도록 장착되는 것으로서, 이를 통과하는 모든 강우수가 정화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정화장치(100)의 측벽 내주면과 필터 카트리지(101)의 외주면이 밀착될 것이 요구된다.
이러한 종래의 강우수 정화장치는 다음과 같은 점에서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왔다.
첫째, 기존의 교량에 위와 같은 강우수 정화장치를 시공하기 위해서는 교량의 상면으로부터 하측으로 관통되는 교량 관통공(2)을 형성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또한, 교량(1)의 단면은 그 자중에 의한 사하중, 차량이나 바람 등에 의한 활하중 기타 유해한 외력을 충분히 상정하여 엄격한 기준에 의해 설계되는 것이고, 특히 최근에는 교량의 자중 자체를 줄이기 위해 PS 공법 등을 활용하여 교량의 단면의 두께를 감소시키는 것이 일반적인 추세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엄격한 구조해석의 기초 하에 설계된 교량에 강우수 정화장치의 시공을 위하여 관통공을 형성하는 것은 교량의 구조적 안정성을 위하여 엄격히 제한되어야 하는 것이므로, 관통공의 갯수 및 내경의 크기는 제한이 있을 수 밖에 없다.
상술한 종래의 강우수 정화장치의 경우와 같이, 강우수가 필터 카트리지를 상하방향으로 통과하면서 정화되도록 하는 구조를 취하는 경우, 많은 양의 강우수를 정화하기 위해서는 정화장치가 장착되기 위한 관통공의 내경의 크기가 크거나, 그 갯수가 많아야 하는데, 상기와 같은 제한으로 인하여 충분한 정화가 불가능하다는 점에서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둘째, 교량의 도로 상면 등에 쌓여 있던 오염물질(모래, 낙엽, 타이어 분진, 먼지 등)은 강우시 빗물에 씻겨져서 강우수 정화장치(100)를 통해 집수관(3)으로 유입되는데, 그 빗물에 포함된 오염물질의 분포를 살펴보면, 초기 강우수의 경우에만 오염물질이 집중적으로 포함되어 있고, 일정시간이 경과한 후 지속 강우수의 경우에는 오염물질이 거의 포함되지 않은 것을 알 수 있다.
즉, 도로 상면 등의 오염물질은 대부분 초기 강우수에 씻겨져서 강우수 정화장치(100)로 유입되므로, 그 이후 강우수 정화장치(100)로 유입되는 지속 강우수는 오염물질을 거의 포함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종래의 교량용 강우수 정화장치(100)는 강우수의 이러한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구성을 취하고 있었는 바, 효율적이지 못하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즉, 초기 강우수와 지속 강우수를 구분하지 않고, 모든 강우수가 일률적으로 필터 카트리지(101)를 통과하여 집수관(3)에 유입되는 구조를 취하고 있었는 바, 장마와 같은 집중호우가 일어나는 경우, 강우수 정화장치(100)가 과부하를 견디지 못하여 하수가 역류하는 현상 등이 일어나게 되는 것이다.
셋째, 오염된 강우수에 포함된 모래, 분진 등의 오염물질은 종래의 정화장치의 필터 카트리지 상부에 쌓이게 되어, 필터 카트리지가 쉽게 막히게 되므로, 이를 자주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교량의 상면에 고이는 강우수에 관한 오염물질의 제거기능을 충실히 수행하면서도, 교량의 구조적 안정성을 해하지 않으며, 집중호우로 인한 강우수의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교량용 강우수 정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교량의 상면으로부터 하측으로 관통형성된 교량 관통공에 장착되어 그 관통공의 하측 배출구로부터 하측으로 연장설치된 집수관을 통해 하수관거로 강우수를 배출하는 교량배수정화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측 개구부에 강우수 유입구가 형성되고 바닥판에 중앙관 삽입공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측벽 내주면과 소정 이격되어 상기 중앙관 삽입공에 삽입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본체의 내측영역의 측벽에 정화수 유입구가 관통형성되고, 하측 개구부에 정화수 배출구가 형성된 중앙관과; 상기 본체의 측벽 내주면과 소정 이격되어 장착됨과 아울러, 상기 정화수 유입구를 밀폐하도록, 상기 중앙관의 외주면에 장착된 필터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교량용 강우수 정화장치를 제시한다.
즉, 본 발명에 의한 강우수 정화장치는 강우수가 필터 카트리지의 둘레면을 통해 종방향으로 유입되면서 여과되는 구조를 취하므로, 강우수 정화장치의 길이를 길게 할 경우, 이에 비례하여 강우수와 필터 카트리지의 접촉면적이 증대되므로, 강우수의 양이 많은 경우에도 효과적인 정화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필터 카트리지는 심부에 상기 중앙관의 삽입공이 형성된 원통형 구조임과 아울러, 동심원 형상의 단면을 갖는 복수의 필터층을 포함하는 것을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필터 카트리지는 상기 본체의 바닥판으로부터 상측으로 소정 이격되어 장착되고, 상기 본체의 바닥판의 상부 영역에 오물 침전부가 형성된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중앙관의 상단에 상측으로 연장형성됨과 아울러, 상단에 지속 강우수 유입구가 형성된 지속 강우수 유입용 중앙관이 더 구비된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오염물질을 많이 포함하는 초기 강우수와 오염물질을 별로 포함하지 않는 지속 강우수를 분리하여 배출할 수 있는 구조로서, 장마와 같은 집중호우가 일어나는 경우, 강우수 정화장치가 과부하를 견디지 못하여 하수가 역류하는 현상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지속 강우수 유입용 중앙관의 상단에는 초기 강우수 월류 방지용 캡부가 더 구비된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초기 강우수 월류 방지용 캡부는 고깔 형상의 캡과; 상기 지속 강우수 유입용 중앙관의 상단과 상기 캡 사이의 간격을 이격시키는 간격유지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거름망부와; 상기 중앙관이 삽입되도록 저판 심부에 형성된 삽입공을;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 본체 내부에 상기 필터 카트리지의 외주면과 소정 이격되도록 장착된 필터 카트리지 보호박스가 더 구비된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조를 취하는 경우, 정화장치 내부로 유입된 강우수는 필터 카트리지 보호박스의 거름망부를 통과하면서 대형오물이 제거된 이후, 비로소 필터 카트리지에 접촉하게 되므로, 강우수의 막힘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강우수에 포함된 기름 성분은 물과의 밀도차에 의해 유수분리되어 필터 카트리지 보호박스의 표면에 부착하게 되므로, 그 기름 성분이 필터 카트리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거름망부는 상기 필터 카트리지 보호박스의 저판에 형성된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필터 카트리지 보호박스의 상판에는 중앙관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중앙관의 상단에 상기 중앙관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측으로 연장형성됨과 아울러, 상단에 지속 강우수 유입구가 형성된 지속 강우수 유입용 중앙관이 더 구비된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속 강우수 유입용 중앙관의 상단에는 초기 강우수 월류 방지용 캡부가 더 구비된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초기 강우수 월류 방지용 캡부는 고깔 형상의 캡과; 상기 지속 강우수 유입용 중앙관의 상단과 상기 캡 사이의 간격을 이격시키는 간격유지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교량(1)의 상면으로부터 하측으로 관통형성된 교량 관통공(2)에 장착되어 그 관통공(2)의 하측 배출구로부터 하측으로 연장설치된 집수관(3)을 통해 하수관거로 강우수를 배출하는 교량용 강우수 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측 개구부에 강우수 유입구(11)가 형성되고 바닥판에 중앙관 삽입공(12)이 형성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측벽 내주면과 소정 이격되어 상기 중앙관 삽입공(12)에 삽입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본체(10)의 내측영역의 측벽에 정화수 유입구(21)가 관통형성되고, 하측 개구부에 정화수 배출구(22)가 형성된 중앙관(20)과; 상기 본체(10)의 측벽 내주면과 소정 이격되어 장착됨과 아울러, 상기 정화수 유입구(21)를 밀폐하도록, 상기 중앙관(20)의 외주면에 장착된 필터 카트리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측에 개구부가 형성된 본체(10) 내부에 정화수 배출구(22)를 구비한 중앙관(20)이 삽입되고, 그 중앙관(20)의 측벽에 정화수 유입구(21)를 형성하며, 그 정화수 유입구(21)를 밀폐하도록 필터 카트리지(30)를 장착함으로써, 본체(10)의 개구부를 통해 유입된 강우수가 필터 카트리지(30)를 통과하면서 정화되고, 정화된 강우수는 중앙관(20)의 측벽에 형성된 정화수 유입구(21)를 통해 정화수 배출구(22)로 배출되도록 한 구조이다.
이는 교량(1)에 강우수 정화장치를 설치함에 있어서, 이를 설치하기 위한 관통공(2)의 내경의 크기는 교량의 구조적 안정성 측면에서 문제가 되지만, 그 관통공(2)의 길이는 별 문제가 되지 않는다는 점에 착안한 것으로서, 강우수가 필터 카트리지(30)의 상면 뿐만 아니라, 측면 및 하면을 통해서도 그 내부로 침투될 수 있도록 하여, 종래의 구조에 비해 강우수와 필터 카트리지(30)의 접촉부가 대단히 확대된다는 점에서 가장 큰 기술적 특징이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강우수 정화장치의 길이를 길게 할 경우, 이에 비례하여 강우수와 필터 카트리지(30)의 접촉면적이 증대되므로, 강우수의 양이 많은 경우에도 효과적인 정화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강우수 정화장치는 강우수가 필터 카트리지(30)를 종방향으로 투과하면서 여과되는 방식을 취하므로, 대형오물이 필터 카트리지(30)의 표면에 침적되지 않고 중력방향으로 침전되는 바, 필터 카트리지(30)의 표면이 입자성 오염물질에 의해 막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중앙관(20)의 측벽에 형성되는 정화수 유입구(21)는 필터 카트리지(30)에 의해 밀폐될 수 있는 구조이면, 어떠한 구조를 취하더라도 무방하나, 필터 카트리지(30)를 통과하면서 정화된 강우수가 보다 용이하게 중앙관(20)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중앙관(20)의 측벽에 상하방향의 장공 형상으로 복수개가 형성된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앙관(20)의 정화수 유입구(21)를 밀폐하는 구조로 장착되는 필터 카트리지(30)는 정화장치 내부로 유입된 강우수가 이를 통과하면서 정화되도록 하는 구조이면, 어떠한 구조를 취하더라도 무방하나, 전후좌우 어느 방향을 통해 통과되는 강우수라도 고르게 정화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심부에 중앙관(20)의 삽입공(31)이 형성된 원통형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각 지역의 기후, 환경 기타 지역적인 특성에 따라 발생하는 오염물질의 특성도 다소 차이를 갖게 되는데, 본 발명에 의한 강우수 정화장치는 필터 카트리지(30)를 그 지역적 특성에 맞도록 구성하여 장착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정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말하면, 불투수 노면의 상면에 축적되는 오염물질은 그 지역적 특성에 따라 다양한 차이를 나타내는데, 그 오염물질을 정화하는데 적정한 반응물질을 충진하여 필터 카트리지를 구성함으로써 효과적인 정화가 가능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노면의 씻김 현상에 의해 빗물에 포함되는 오염물질 중 침전에 의해 제거되지 않고, 필터 카트리지를 통해서만 제거될 수 있는 성분의 예로서는 유기물 성분, 물에 녹아 있는 기름 물질, 납, 아연 등과 같은 중금속 물질, 동절기에 제설제로서 사용되는 염화 칼슘 등을 들 수 있다.
유기물 성분, 기름 물질의 경우는 펄라이트, 입상 활성탄, 식물성 리그닌 등을 충진함으로써 제거될 수 있고, 중금속의 경우는 제올라이트, 양이온 교환 수지, 키토산 등을 충진함으로써 제거될 수 있다.
제설제로서 주로 사용되는 염화 칼슘 오염물질은 염소 이온과 칼슘 이온을 포함하는데, 이들은 모두 환경에 유해한 물질이므로 동시에 제거될 수 있어야 하는 바, 양이온/음이온 교환 수지를 충진함으로써 정화가 가능하다.
이와 같이 다양한 오염물질에 대하여 적절한 정화를 실시하기 위해서는, 그 각각의 오염물질을 정화할 수 있는 물질이 모두 포함된 필터 카트리지(30)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본 발명에 의한 강우수 정화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심원 형상의 단면을 갖는 복수의 필터층(30a,30b,30c)을 포함하는 원통형 구조의 필터 카트리지(30)를 제시한다.
요컨대, 본 발명에 의한 강우수 정화장치는 이 장치가 설치되는 지역의 특성에 맞도록 그 필터 카트리지(30)의 구성을 자유로이 변화시킬 수 있으므로, 보다 효율적인 강우수의 정화가 가능한 것이다.
입자가 큰 오염물질은 필터 카트리지(30)를 투과하지 못하게 되는데, 이러한 물질은 중앙관(20)의 정화수 배출구(22)를 통해 배출될 수 없으므로, 이를 제거하기 위한 별도의 수단이 강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강우수 정화장치는 필터 카트리지(30)가 본체(10)의 바닥판으로부터 상측으로 소정 이격되어 장착됨으로써, 본체(10)의 바닥판의 상부 영역에 오물 침전부(13)가 형성된 구조를 제시한다.
따라서, 필터 카트리지(30)를 투과하지 못한 오염물질은 상기 오물 침전부(13)에 침전되어 축적되므로, 일정 기간마다 강우수 정화장치를 수거하여 축적된 오염물질을 별도로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강우수 정화장치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정화장치는 본체(10) 내부에 필터 카트리지(30)의 외주면과 소정 이격되도록 장착된 필터 카트리지 보호박스(40)가 더 구비된 구조를 취할 수 있는데, 이는 거름망부(41)와; 중앙관(20)이 삽입되도록 저판 심부에 형성된 삽입공(4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터 카트리지 보호박스(40)는 강우수가 필터 카트리지(30)에 직접적으로 접촉되어 대형오물이 필터 카트리지(30)의 외면에 달라붙음에 따라, 막힘현상에 의해 정화장치의 정화성능이 감소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이다.
이와 같은 필터 카트리지 보호박스(40)가 장착되는 경우, 정화장치 내부로 유입된 강우수는 필터 카트리지 보호박스(40)의 거름망부(41)를 통과하면서 대형오물이 제거된 이후, 비로소 필터 카트리지(30)에 접촉하게 되므로, 상술한 바와 같은 막힘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상기 거름망부(41)는 필터 카트리지 보호박스(40)의 저판에 형성된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를 취하는 경우, 정화장치 내부로 유입된 강우수는 필터 카트리지 보호박스(40)의 외면을 타고 하강하여 정화장치의 하부에 형성된 오물 침전부(13)로 유입된 후, 상승하면서 거름망부(41)를 투과하면서 대형오물이 걸러지고, 잔여 강우수는 필터 카트리지(30)를 통과하면서 정화되어 중앙관(20)을 통해 배출된다.
즉, 필터 카트리지 보호박스(40)의 저판에 형성된 거름망부(41)에 의해 걸러진 대형오물은 자연스럽게 하강하여 본체(10)의 하부에 형성된 오물 침전부(13)에 침전되어 축적되므로, 정화장치 내부 공간의 효율적인 운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강우수에 포함된 기름 성분은 물과의 밀도차에 의해 유수분리되어 필터 카트리지 보호박스(40)의 표면에 부착하게 되므로, 그 기름 성분이 필터 카트리지(3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강우수 정화장치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터 카트리지 보호박스(40)의 상판에는 중앙관 관통공(43)이 형성되고, 상기 중앙관(20)의 상단에 상기 중앙관 관통공(43)을 관통하여 상측으로 연장형성됨과 아울러, 상단에 지속 강우수 유입구(51)가 형성된 지속 강우수 유입용 중앙관(50)이 더 구비된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이는 오염물질을 많이 포함하는 초기 강우수와 오염물질을 별로 포함하지 않는 지속 강우수를 분리하여 배출할 수 있는 구조로서, 장마와 같은 집중호우가 일어나는 경우, 강우수 정화장치가 과부하를 견디지 못하여 하수가 역류하는 현상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6은 본 실시예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실선 화살표(a)는 초기 강우수의 흐름을 나타낸 것이고, 점선 화살표(b)는 지속 강우수의 흐름을 나타낸 것이다.
본체(10)의 심부에 지속 강우수 유입용 중앙관(50)이 장착된 2중의 관 구조를 취하고, 그 상측 개구부가 강우수 유입구(11)와 지속 강우수 유입구(51)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비교적 유량이 적은 초기 강우수의 경우는 실선 화살표(a)가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10)와 중앙관(20)의 사이 공간이 형성하는 강우수 유입구(11)를 통해 유입되고, 비교적 유량이 많은 지속 강우수의 경우는 자유 월류에 의해 점선 화살표(b)가 나타낸 바와 같이 지속 강우수 유입용 중앙관(50)의 상측 개구부인 지속 강우수 유입구(51)를 통해 유입된다.
강우수 유입구(11)를 통해 유입된 초기 강우수는 상술한 바와 같은 유로를 통해 필터 카트리지(30)에 의해 정화되어, 정화수 유입구(21)를 통해 중앙관(20)으로 유입된 후, 정화수 배출구(22)를 통해 배출된다.
지속 강우수 유입구(51)를 통해 유입된 지속 강우수는 강우수 유입용 중앙관(50)에 연결된 중앙관(20)을 통과하여 그대로 정화수 배출구(23)를 통해 배출된다.
즉, 본 실시예는 이와 같이 본체(10), 중앙관(20), 필터 카트리지(30) 및 지속 강우수 유입용 중앙관(50)의 구조 및 위치를 적절히 구성함으로써, 초기 강우수의 유로(a)와 지속 강우수의 유로(b)를 자연스럽게 구분 형성하였는 바, 별다른 동력원의 설치가 요구되지 않으면서도, 실질적으로 정화가 필요한 초기 강우수만이 필터 카트리지(30)와 같은 정화 구조를 통과하여 정화수 배출구(22)로 배출되고, 실질적으로 정화가 필요하지 않은 지속 강우수는 곧바로 정화수 배출구(22)로 배출되는 구조인 것이다.
따라서, 초기 강우수에 관한 정화 기능은 충실히 수행하면서도, 실질적으로 정화가 불필요한 지속 강우수는 정화와 관계없이 곧바로 정화수 배출구(22)를 향하여 배출되도록 하므로, 결과적으로 강우수 정화장치 전체의 과부하가 방지되어 집중호우가 있는 경우라도 하수역류 등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나아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속 강우수 유입용 중앙관(50)의 상단에는 초기 강우수 월류 방지용 캡부(60)가 더 구비된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초기 강우수 월류 방지용 캡부(60)는 강우수 유입구(11)로 유입되어야 할 초기 강우수가 자연 월류에 의해 지속 강우수 유입구(51)로 유입됨에 따라, 정화되어야 할 초기 강우수가 정화되지 않은 채로 배출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초기 강우수 월류 방지용 캡부(60)는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구조이면, 어떠한 구조를 취하더라도 관계없으며, 도 7에서는 고깔 형상의 캡(61)과; 상기 지속 강우수 유입용 중앙관(50)의 상단과 상기 캡(61) 사이의 간격을 이격시키는 간격유지대(62)를; 포함하는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교량용 강우수 정화장치가 실제 교량에 설치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교량(1)을 상하방향으로 관통하여 교량 관통공(2)이 형성되고, 그 상면에는 별도의 그레이팅 삽입홈(5)이 형성되며, 강우수 정화장치의 고정판부(14)가 그레이팅 삽입홈(5)의 저면에 설치됨과 아울러, 본체(10)가 교량 관통공(2)에 삽입됨으로써 강우수 정화장치가 교량(1)에 장착되고, 그 상부인 그레이팅 삽입홈(5)의 개구부는 그레이팅(70)이 설치되어, 강우수 정화장치를 보호하게 된다.
본 발명은 교량의 상면에 고이는 강우수에 관한 오염물질의 제거기능을 충실히 수행하면서도, 교량의 구조적 안정성을 해하지 않으며, 집중호우로 인한 강우수의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교량용 강우수 정화장치를 제공한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교량용 강우수 정화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은 정화장치가 교량 관통공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횡단면도
도 2는 정화장치의 제1실시예의 사시도
도 3은 필터 카트리지의 일실시예의 사시도
도 4는 정화장치의 제2실시예의 사시도
도 5는 필터 카트리지 보호박스의 일실시예의 사시도
도 6은 정화장치의 제3실시예의 사시도
도 7은 지속 강우수 유입구의 사시도
도 8은 분해사시도
도 9는 종래의 교량용 강우수 정화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교량 2 : 교량 관통공
3 : 집수관 10 : 본체
11 : 강우수 유입구 12 : 중앙관 삽입공
13 : 오물 침전부 20 : 중앙관
21 : 정화수 유입구 22 : 정화수 배출구
30 : 필터 카트리지 30a,30b,30c : 필터층
31 : 삽입공 40 : 필터 카트리지 보호박스
41 : 거름망부 42 : 삽입공
43 : 중앙관 관통공 50 : 지속 강우수 유입용 중앙관
51 : 지속 강우수 유입구 100 : 강우수 정화장치
101 : 필터 카트리지

Claims (11)

  1. 삭제
  2. 삭제
  3. 교량의 상면으로부터 하측으로 관통형성된 교량 관통공에 장착되어 그 관통공의 하측 배출구로부터 하측으로 연장설치된 집수관을 통해 하수관거로 강우수를 배출하는 교량배수정화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측 개구부에 강우수 유입구가 형성되고 바닥판에 중앙관 삽입공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측벽 내주면과 소정 이격되어 상기 중앙관 삽입공에 삽입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본체의 내측영역의 측벽에 정화수 유입구가 관통형성되고, 하측 개구부에 정화수 배출구가 형성된 중앙관과;
    상기 본체의 측벽 내주면과 소정 이격되어 장착됨과 아울러, 상기 정화수 유입구를 밀폐하도록, 상기 중앙관의 외주면에 장착된 필터 카트리지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 카트리지는 상기 본체의 바닥판으로부터 상측으로 소정 이격되어 장착되고, 상기 본체의 바닥판의 상부 영역에 오물 침전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강우수 정화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관의 상단에 상측으로 연장형성됨과 아울러, 상단에 지속 강우수 유입구가 형성된 지속 강우수 유입용 중앙관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강우수 정화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속 강우수 유입용 중앙관의 상단에는
    초기 강우수 월류 방지용 캡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강우수 정화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 강우수 월류 방지용 캡부는
    고깔 형상의 캡과;
    상기 지속 강우수 유입용 중앙관의 상단과 상기 캡 사이의 간격을 이격시키는 간격유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강우수 정화장치.
  7. 교량의 상면으로부터 하측으로 관통형성된 교량 관통공에 장착되어 그 관통공의 하측 배출구로부터 하측으로 연장설치된 집수관을 통해 하수관거로 강우수를 배출하는 교량배수정화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측 개구부에 강우수 유입구가 형성되고 바닥판에 중앙관 삽입공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측벽 내주면과 소정 이격되어 상기 중앙관 삽입공에 삽입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본체의 내측영역의 측벽에 정화수 유입구가 관통형성되고, 하측 개구부에 정화수 배출구가 형성된 중앙관과;
    상기 본체의 측벽 내주면과 소정 이격되어 장착됨과 아울러, 상기 정화수 유입구를 밀폐하도록, 상기 중앙관의 외주면에 장착된 필터 카트리지와;
    거름망부와, 상기 중앙관이 삽입되도록 저판 심부에 형성된 삽입공을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 본체 내부에 상기 필터 카트리지의 외주면과 소정 이격되도록 장착된 필터 카트리지 보호박스를;
    포함하는 교량용 강우수 정화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거름망부는 상기 필터 카트리지 보호박스의 저판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강우수 정화장치.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카트리지 보호박스의 상판에는 중앙관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중앙관의 상단에 상기 중앙관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측으로 연장형성됨과 아울러, 상단에 지속 강우수 유입구가 형성된 지속 강우수 유입용 중앙관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강우수 정화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지속 강우수 유입용 중앙관의 상단에는
    초기 강우수 월류 방지용 캡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강우수 정화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 강우수 월류 방지용 캡부는
    고깔 형상의 캡과;
    상기 지속 강우수 유입용 중앙관의 상단과 상기 캡 사이의 간격을 이격시키는 간격유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강우수 정화장치.
KR1020040072314A 2004-09-09 2004-09-09 교량용 강우수 정화장치 KR1004861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2314A KR100486105B1 (ko) 2004-09-09 2004-09-09 교량용 강우수 정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2314A KR100486105B1 (ko) 2004-09-09 2004-09-09 교량용 강우수 정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86105B1 true KR100486105B1 (ko) 2005-04-29

Family

ID=37302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2314A KR100486105B1 (ko) 2004-09-09 2004-09-09 교량용 강우수 정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6105B1 (ko)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0468B1 (ko) * 2006-03-23 2006-06-20 주식회사 태원코퍼레이션 교량용 초기우수 정화장치
KR100689606B1 (ko) * 2006-11-10 2007-03-02 (주)해석 공공 하수라인의 오니제거형 배수구조
KR100690380B1 (ko) 2005-05-28 2007-03-09 나상철 교량의 초기우수 유출수 정화처리장치
KR100718327B1 (ko) * 2006-03-24 2007-05-16 블루그린링크(주) 교량용 강우수 정화장치
KR100721237B1 (ko) * 2006-06-26 2007-05-23 김원주 초기 우수에 의한 오염 방지기능을 갖는 교량용 집수장치
KR100734578B1 (ko) 2006-07-03 2007-07-03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교량용 강우수 정화장치
KR100795918B1 (ko) 2007-02-08 2008-01-21 (주) 디아이엔바이로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0802335B1 (ko) 2007-09-06 2008-02-13 주식회사 신화 엠앤씨 교량용 강우수 정화장치
KR100870074B1 (ko) * 2008-05-19 2008-11-24 주식회사 에코빅 오염수 정화필터 및 오염수 정화필터가 설치된 교량용오염수 정화장치
KR100875951B1 (ko) 2008-07-31 2008-12-26 주식회사 포이닉스 배수성 아스팔트의 노면 물고임 방지를 위한 우수 유도장치
KR100943022B1 (ko) 2009-09-14 2010-02-18 이영수 필터 카트리지를 이용한 비점오염원 초기 강우수 정화처리장치
KR100987178B1 (ko) 2008-06-02 2010-10-11 주식회사 에스디알앤디 우수처리장치
KR101134311B1 (ko) * 2009-04-16 2012-04-09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로드 트랩 장치
KR101194025B1 (ko) * 2011-10-06 2012-10-24 (주)워터 아이엠에스 배수구용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1286770B1 (ko) 2013-02-05 2013-07-16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철도용 우수처리장치
KR101467497B1 (ko) 2014-07-04 2014-12-01 (주)공간파크 교량용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
CN107326805A (zh) * 2017-07-12 2017-11-07 张前 一种新型环保公路桥排水装置
KR101822469B1 (ko) * 2015-04-20 2018-01-29 그린로드(주) 초기 우수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초기 우수 처리방법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0380B1 (ko) 2005-05-28 2007-03-09 나상철 교량의 초기우수 유출수 정화처리장치
KR100590468B1 (ko) * 2006-03-23 2006-06-20 주식회사 태원코퍼레이션 교량용 초기우수 정화장치
KR100718327B1 (ko) * 2006-03-24 2007-05-16 블루그린링크(주) 교량용 강우수 정화장치
KR100721237B1 (ko) * 2006-06-26 2007-05-23 김원주 초기 우수에 의한 오염 방지기능을 갖는 교량용 집수장치
KR100734578B1 (ko) 2006-07-03 2007-07-03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교량용 강우수 정화장치
KR100689606B1 (ko) * 2006-11-10 2007-03-02 (주)해석 공공 하수라인의 오니제거형 배수구조
KR100795918B1 (ko) 2007-02-08 2008-01-21 (주) 디아이엔바이로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0802335B1 (ko) 2007-09-06 2008-02-13 주식회사 신화 엠앤씨 교량용 강우수 정화장치
KR100870074B1 (ko) * 2008-05-19 2008-11-24 주식회사 에코빅 오염수 정화필터 및 오염수 정화필터가 설치된 교량용오염수 정화장치
KR100987178B1 (ko) 2008-06-02 2010-10-11 주식회사 에스디알앤디 우수처리장치
KR100875951B1 (ko) 2008-07-31 2008-12-26 주식회사 포이닉스 배수성 아스팔트의 노면 물고임 방지를 위한 우수 유도장치
KR101134311B1 (ko) * 2009-04-16 2012-04-09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로드 트랩 장치
KR100943022B1 (ko) 2009-09-14 2010-02-18 이영수 필터 카트리지를 이용한 비점오염원 초기 강우수 정화처리장치
KR101194025B1 (ko) * 2011-10-06 2012-10-24 (주)워터 아이엠에스 배수구용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1286770B1 (ko) 2013-02-05 2013-07-16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철도용 우수처리장치
KR101467497B1 (ko) 2014-07-04 2014-12-01 (주)공간파크 교량용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
KR101822469B1 (ko) * 2015-04-20 2018-01-29 그린로드(주) 초기 우수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초기 우수 처리방법
CN107326805A (zh) * 2017-07-12 2017-11-07 张前 一种新型环保公路桥排水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6105B1 (ko) 교량용 강우수 정화장치
KR100734578B1 (ko) 교량용 강우수 정화장치
KR100949325B1 (ko) 저류지 전단 설치용 자연형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0896015B1 (ko) 비점 오염원 저감 맨홀
KR100904177B1 (ko) 초기우수에 의한 오염을 정화시키는 장치 및 방법
KR20080000501A (ko) 우수배관용 비점오염원 제거장치
KR100913315B1 (ko) 비점오염 저감장치
KR101746524B1 (ko) 비점오염물 저감을 위한 도로 및 교량용 집수정
US20150176265A1 (en) Filter for polluted water
KR100420222B1 (ko) 강우수 정화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강우수 정화모듈
KR100536654B1 (ko) 도로용 집수구의 초기우수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KR100991175B1 (ko) 도로의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
KR101013091B1 (ko) 우수 정화구조물
KR100799251B1 (ko) 우수배수로용 비점오염원 제거장치
KR100802335B1 (ko) 교량용 강우수 정화장치
KR100814790B1 (ko) 비점오염물질 저감을 위한 여과형 수로
KR100662520B1 (ko) 강우수 정화장치
KR200393332Y1 (ko) 교량의 초기우수 유출수 정화처리장치
KR100690380B1 (ko) 교량의 초기우수 유출수 정화처리장치
KR100762981B1 (ko) 도수로의 비점오염 저감장치
KR100539146B1 (ko) 교량용 강우수 정화장치
KR101851938B1 (ko) 비점오염원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0750645B1 (ko) 다기능 우수받이
KR101134311B1 (ko) 로드 트랩 장치
KR100718327B1 (ko) 교량용 강우수 정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