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7869B1 - 월류수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월류수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7869B1
KR101217869B1 KR1020080106127A KR20080106127A KR101217869B1 KR 101217869 B1 KR101217869 B1 KR 101217869B1 KR 1020080106127 A KR1020080106127 A KR 1020080106127A KR 20080106127 A KR20080106127 A KR 20080106127A KR 101217869 B1 KR101217869 B1 KR 1012178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age
foreign matter
pipe
overflow water
water trea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61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47042A (ko
Inventor
최승도
Original Assignee
알에스티이엔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에스티이엔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알에스티이엔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061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7869B1/ko
Publication of KR201000470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70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78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78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0Packings; Fillings; Gr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1Runoff or storm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24Separation of coarse particles, e.g. by using sieves or scree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빗물의 증가로 하수량의 증가시 하수처리장으로 흘러 들어가는 하수량 및 오염부하도를 향상시킴과 아울러 월류되어 하천으로 방류되는 하수의 오염물질을 정화 처리하여 방류함으로써 하수처리장의 효율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환경오염을 크게 방지할 수 있는 월류수 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월류수, 하수처리장, 하수관, 정화처리

Description

월류수 처리장치{apparatus for treating rainwater}
본 발명은 월류수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수처리장으로 흘러 들어가는 하수량을 조절하고 유량 증가시 월류되어 방류되는 희석된 하수의 오염물질을 정화 처리하여 하천으로 방류함으로써 하수처리장의 효율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하천환경 오염을 크게 방지하도록 한 월류수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수처리장은 공장폐수, 배설물, 가정 등에서 나오는 생활폐수 또는 자연으로 부터 나오는 오물을 갖고 하수관을 통하여 흘러 들어오는 하수를 맑고 안전한 물로 정화 처리하여 자연하천, 호소 등으로 방류하거나 공업용수, 농업용수 등으로의 재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기존에는 빗물의 증가로 발생하는 희석된 하수가 하수관을 통해 하수처리장으로 유입되었기 때문에 하수처리장은 그 하수처리능력을 상실한 상태에서 유입되는 희석된 초과유량의 하수를 정화처리 없이 자연하천 등으로 방류하기 급급했다. 또한, 기존의 우수토실과 같은 중간 장치에서 월류되어 하천에 방류되는 희석된 하수에는 각종 오염물질이 포함되어 있음이 사실이고, 최소나마 정화 처리되지 않고 방류되기 때문에 오염물질로 인해 자연환경 등이 파괴되는 문제가 있다.
이 때문에, 하수관의 중간에 하수량의 증가시 그 하수의 일부를 하수처리장으로 유도하고 그 나머지 하수를 자연하천, 호소 등으로 방류하게 하여 하수처리장의 하수처리능력을 효율적으로 운영하도록 한 맨홀형의 하수처리 장치가 설치되고 있음이 사실이다. 그러나, 상기 하수처리장치는 하수량의 증가시 그 일부의 하수를 기본 협잡물만 제거한 상태에서 자연하천 등으로 바이패스하였기 때문에 자연하천 등의 오염을 방지하는데 무리가 있고, 또한 내부에 월류 웨어를 설치하여 하수를 차집하고 있으나 관리 소홀로 발생하는 하수처리장치의 막힘 문제로 인해 오염된 하수를 자연하천 등으로 그대로 방류되어 하천 오염을 발생하게 했다.
또한, 기존에는 하수처리장을 하수도시설 기준에 의하여 1차 침전지에서 예컨대, 3Q의 하수로부터 협잡물 또는 고형물을 처리한 다음 그 중 2Q의 하수는 우회 수로를 통하여 방류하고 나머지 1Q의 하수는 하수처리공정으로 보내 정상 처리하도록 하고 있으나, 1차 침전지에 유입되는 3Q의 하수가 침전물의 재 부상시키는 등의 문제을 발생하게 했다. 이 때문에 우수를 포함하여 희석된 3Q 하수의 유입으로 낮은 유기물 부하에 의하여 하수처리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건기와 우기시 유입되는 하수량의 변동폭이 커서 하수처리장의 정상 운영 및 유지관리가 곤란했기 때문에, 그에 대한 대책으로 일부 하수처리장에서는 별도의 월류수 처리를 위한 협잡물 및 고형물 제거시설과 침전지를 설치하거나 설치 계획 중에 있음이 사실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빗물의 증가로 하수량의 증가시 하수처리장으로 흘러 들어가는 하수량 및 오염부하도를 향상시킴과 아울러 월류되어 하천으로 방류되는 하수의 오염물질을 정화 처리하여 방류함으로써 하수처리장의 효율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환경오염을 크게 방지할 수 있는 월류수 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유입관 및 유출관이 형성된 수용실을 갖는 맨홀형 몸체에 설치되어, 상기 유입관을 통해 유입되는 하수로부터 부피가 큰 이물질을 걸러주기 위한 원추형으로 이루어진 스월(swirl) 스크린과 상기 스월 스크린의 하부에 설치되어 침전성 이물질을 걸러주기 위한 침전조와 상기 침전조의 외측에 형성된 하수이동로로 이루어져, 상기 하수이동로를 경유하여 이동되는 하수 중의 부유성 이물질을 걸러주기 위한 제1정화처리수단; 상기 제1정화처리수단과 인접된 위치에서 수용실의 상부를 덮도록 설치된 미세공들이 형성된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상부에 소정 두께를 이루게 설치한 골재로 이루어져, 이동되는 하수에 함유된 미세 이물질을 걸러주기 위한 제2정화처리수단; 상기 제2정화처리수단의 하부에 길게 늘어지게 설치되어 하수로부터 미세 이물질 및 미생물을 걸러줄 수 있게 하는 유동상여재 및 끈상여재와, 상기 끈상여재에서 미생물이 응집될 수 있게 상기 유동상여재와 상기 끈상여재 사이에 설치되어 이온을 발생시키는 이온발생판으로 이루어진 제3정화처리수단; 및 상기 제3정화처리수단과 인접되게 배치되어 제3정화처리수단에서 걸러주지 못한 미세 이물질을 걸러줄 수 있게 하는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 미세공들을 갖는 상하부판과, 상기 상하부판에 상하단부가 고정되도록 양단이 개구되어 망체로 막혀지며 표면에는 미세공들이 형성된 하수이동관과, 미세 이물질을 걸러주도록 상기 하수이동관의 외부를 감싸게 설치되는 여재로 이루어진 제4정화처리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맨홀형 몸체는 내부공간을 제1~제3수용실로 구획할 수 있게 하단에 제1,제2연락공이 형성된 제1,제2분리벽을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제1~제3수용실들의 하측으로는 이물질배출공들에 의해 연락되는 이물질이송로를 구비하며, 상기 제1수용실에는 유입관이 연락되게 설치되고 상기 제3수용실에는 유출관이 연락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월 스크린의 중심부에는 이물질이송로에 연락되게 이물질배출관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월 스크린의 내부에는 유입관을 통해 유입되는 하수가 와류될 수 있게 프로펠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침전조는 외주벽 상부에 하수가 통과될 수 있는 다수의 유동공들이 형성되며 하단부는 원추형으로 이루어지며 그 말단에는 개구부가 상기 제1수용실 하부의 상기 이물질배출공에 연통되도록 형성된 외부관체와, 상기 외부관체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스월 스크린을 통과하는 하수가 중심부를 통해 모이면서 유입되도록 한 후에 외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외부관체에 형성되는 상기 유동공들을 통해 이동될 수 있도록 벤투리관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내부관체로 이루어지며, 그리고 상기 외부관체는 상기 내부관체의 하단부 외측면과 사이에 설정 간격을 두고서 상기 내부관체를 감싸는 형태로 설치되어서 상기 내부관체의 외측면 상방으로 상향의 우수 유동로를 제공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수용실에는 산기관이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수용실의 상부에는 판재와 골조를 관통하도록 제1월류관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4정화처리수단에는 제2월류관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4정화처리수단의 상부판넬에는 부직포와 골재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제3수용실은 1열 이상으로 배열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빗물의 증가로 하수량의 증가시 하수처리장으로 흘러 들어가는 하수량 및 오염부하도를 향상시킴과 아울러 월류되어 하천으로 방류되는 하수의 오염물질을 정화 처리하여 방류함으로써 하수처리장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어 환경오염을 크게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월류수 처리장치의 구조를 보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월류수 처리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월류수 처리장치에 구비되는 맨홀형 몸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월류수 처리장치는 맨홀형 몸체(10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맨홀형 몸체(100)는 중공구조의 내부공간을 제1~제3수용 실(112~116)로 구획 분리할 수 있게 하단에 제1,제2연락공(122a,124a)이 형성되도록 제1,제2분리벽(122,124)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1~제3수용실(112~116)의 하측으로는 이물질배출공(118a)들에 의해 연락되는 이물질이송로(118)가 구비된다. 상기 이물질이송로(118)는 뒤에서 설명하는 제1~제4정화처리수단에 의해 걸러진 이물질을 한곳으로 모아 펌프(130)로 배출되게 하는 것으로, 이물질은 상기 이물질배출공(118a)을 통해 제1~제3수용실(112~116)로부터 이물질이송로(118)로 이동된다.
이러한 맨홀형 몸체(100)는 하수를 하수처리장으로 유도하기 위해 지중에 매설되는 하수관의 중간에 연락되게 설치된다. 즉, 상기 제1수용실(112)에는 하수관으로부터 하수가 유입될 수 있게 하는 유입관(102)이 연락되게 설치되고 상기 제3수용실(116)에는 유출관(104)이 연락되게 설치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월류수 처리장치에 구비되는 제1정화처리수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월류수 처리장치는 제1정화처리수단(200)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1정화처리수단(200)은 맨홀형 몸체(100)의 제1수용실(112)에 설치되어, 상기 유입관(102)을 통해 유입되는 하수로부터 부피가 큰 이물질과 침전성 이물질 및 부유성 이물질을 걸러준다. 이와 같이 걸러진 이물질은 상기 이물질배출공(118a)을 통해 이물질이송로(118)로 이동된다.
상기 제1정화처리수단(200)에서 부피가 큰 이물질을 걸러주기 위해서는 원추형으로 이루어진 스월(swirl) 스크린(210)이 설치된다. 상기 스월 스크린(210)에는 미세공들이 형성되어 유입관(102)을 통해 유입되는 부피가 큰 이물질을 걸러줌과 아울러 하수는 상기 미세공들을 통해 하부로 이동되게 한다. 상기 스월 스크린(210)의 내부에는 유입관(102)을 통해 유입되는 하수가 와류될 수 있게 프로펠러(214)가 설치됨이 좋다.
이와 같이 스월 스크린(210)에서 걸러진 부피가 큰 이물질을 상기 이물질이송로(118)로 이동되게 하기 위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월 스크린(210)의 중심부에는 이물질배출관(212)을 상기 제1수용실(112) 하부의 상기 이물질배출공(118a)을 통해 상기 이물질이송로(118)에 연락되게 설치함이 좋다. 따라서, 상기 스월 스크린(210)에서 걸러진 이물질은 상기 이물질배출관(212)을 통해 하부의 이물질이송로(118)로 이동된다.
또한, 침전성 이물질을 걸러주기 위해서는 상기 스월 스크린(210)의 하부에 침전조(220)가 설치된다. 이러한 침전조(220)는 외주벽 상부에 하수가 통과될 수 있는 다수의 유동공(222a)들이 형성되며 하단부는 원추형으로 이루어지며 그 말단에는 개구부가 상기 제1수용실(112) 하부의 상기 이물질배출공(118a)에 연통되도록 형성된 외부관체(222)와, 상기 외부관체(222)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스월 스크린(210)을 통과하는 하수가 중심부를 통해 모이도록 유입되도록 한 후에 외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외부관체(222)에 형성되는 유동공(222a)들을 통해 이동될 수 있게 하는 내부관체(224)로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스월 스크린(210)의 하부 그리고 상기 외부관체(222)의 내부에 설치되는 상기 내부관체(224)는 하수가 중심부를 통해 모이도록 유입되도록 한 후에 외측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벤투리관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외부관체(222)는 상기 내부관체(224)의 하단부 외측면과 사이에 설정 간격을 두고서 상기 내부관체(224)를 감싸는 형태로 설치되어서 상기 내부관체(224)의 외측면 상방으로 상향의 우수 유동로(223)를 제공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부유성 이물질을 걸러주기 위해서는 상기 제1수용실(112)을 이루는 제1분리벽(122)으로부터 소정 간격을 두고 유도벽(230)을 설치하여 하수이동로를 구비하며, 상기 하수이동로를 경유하여 제2수용실(114)의 상부로 하수가 이동되게 함에 의해 상기 제1수용실(112)내에서 부유성 이물질을 걸러준다. 이와 같이 걸러지는 부유성 이물질을 상기 이물질배출공(118a)을 통해 이물질이송로(118)로 이동되게 하기 위해 상기 제1수용실(112)에는 산기관(132)을 더 설치함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정화처리수단(200)은 유입관(102)을 통해 유입되는 하수가 스월 스크린(210)에서 부피가 큰 이물질이 걸러짐과 아울러 침전조(220)에서 침전성 이물질이 걸러지고, 또 부유성 이물질은 상기 제1수용실(112)내에서 걸러줄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걸러진 이물질이 하부에 구비되는 이물질이송로(118)로 이동됨으로서 상기 제1수용실(112) 및 스월 스크린(210)의 내부에는 이물질이 남아있지 않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월류수 처리장치에 구비되는 제2,제3정화처리수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월류수 처리장치는 제2정화처리수단(300)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2정화처리수단(300)은 미세 이물질을 걸러주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1정화처리수단(200)을 통과하여 제2수용실(114)의 상부로 이동된 하수가 제2수용실(114)로 이동될 수 있게 상기 제2수용실(114)를 덮도록 미세공들이 형성된 지지판(310)을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지지판(310)의 상부에 소정 두께를 이루게 골재(320)를 설치하여 상기 하수로부터 미세 이물질을 걸러준다.
또한, 상기 지지판(310)과 골조(320)를 관통하도록 제1월류관(330)이 제2수용실(114)의 상부에 위치되게 설치된다. 이러한 제1월류관(330)은 상기 골조(320)와 지지판(310)의 미세공들을 통과하여 제2수용실(114)로 유입되는 하수의 양이 많을 경우 상기 제1월류관(330)을 통해 제2수용실(114)로 유입되게 한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월류수 처리장치는 제3정화처리수단(400)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3정화처리수단(400)은 골조(320)와 지지판(310)의 미세공들을 통과하면서도 걸러지지 않은 미세 이물질 및 미생물을 걸러주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제3정화처리수단(400)은 상기 제2수용실(114)에 유동상여재(410)와 끈상여재(420)를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끈상여재(420)에서 미생물이 응집될 수 있게 상기 유동상여재(410)와 끈상여재(420)의 사이에 이온을 발생시키는 이온발생판(430)을 설치하여 이루어진다. 부가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끈상여재(420)에는 이물질을 탈리할 수 있는 제1 탈리수단(422)이 구비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월류수 처리장치에 구비되는 제4정화처리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6표시의 I-I선 단면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월류수 처리장치는 제4정화처리수단(500)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4정화처리수단(500)은 유동상여재(410)와 끈상여재(420)에서도 걸러지지 않은 미세 이물질을 최종적으로 걸러주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제4정화처리수단(500)은 도 6과 도 7에 나타낸 여과판을 제3수용실(116)에 여러 개 좌우로 배열되게 설치하여 되는 것으로, 그 여과판의 구성은 미세공들이 형성된 상하부판(510a,510b)을 소정 간격으로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상하부판(510a,510b)에 상하단부가 고정되도록 양단이 개구되어 망체(522)로 막혀지며 표면에는 미세공들이 형성된 하수이동관(520)들을 설치하며, 미세 이물질을 걸러주도록 상기 하수이동관(520)들의 외부를 여재(524)로 감싸게 설치한다. 나아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재(524)에 이물질을 탈리할 수 있게 제2 탈리수단(526)이 설치된다.
이러한 제4정화처리수단(500)에서 상기 상부판(510a)의 상부에는 부직포(512)와 골재(514)가 더 설치됨이 좋다. 또한, 상기 제4정화처리수단(500)에는 제2월류관(530)이 설치됨이 좋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월류수 처리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월류수 처리장치는 상기 제1~제3수용실(112~116)이 1열 이상으로 배열되게 설치됨이 좋다. 이와 같이 제1~제3수용실(112~116)을 1열 이상으로 설치하여, 각각의 수용실에 상기 제1~제4정화처리수단(200~500)을 각각 설치하게 되면, 좁은 공간에서도 정화처리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수관을 통해 하수처리장으로 이동하는 하수가 유입관(102)을 통해 상기 맨홀형 몸체(100)의 제1수용실(112)내로 유입된다. 이와 같이 유입되는 하수는 상기 제1수용실(112)에 설치되는 제1정화처리수단(200)의 스월 스크린(210)에서 부피가 큰 이물질이 걸러지고, 상기 침전조(220)에 의해 침전성 이물질이 걸러진다. 이때, 상기 스월 스크린(210)과 침전조(220)에서 걸러진 이물질은 이물질배출관(212)과 이물질배출공(118a)을 통해 하부에 구비되는 이물질이송로(118)로 이동된다. 또한, 상기 침전조를 통과한 하수는 부상(浮上)되면서 부유성 이물질이 걸러진다. 이때, 상기 부유성 이물질은 산기관(132)에 의해 이물질배출공(118a)을 통해 하측의 이물질이송로(118)로 이동된다.
또한, 상기 제1정화처리수단(200)을 통과한 하수는 제2정화처리수단(300)의 골재(320)와 미세공들이 형성된 지지판(310)을 통과하면서 미세 이물질이 걸러지면서 제2수용실(114)로 이동된다. 이와 같이 제2수용실(114)로 이동된 하수는 제3정화처지수단(400)의 유동상여재(410)와 끈상여재(420)를 통과하면서 미생물이 걸러진 상태로 제3수용실(116)로 이동된다. 이때, 상기 유동상여재(410)와 끈상여 재(420)의 사이에 설치되는 이온발생판(430)에 의해 상기 끈상여재에 더욱 효과적으로 이물질이 걸러지게 된다. 즉, 하수에 혼합된 이물질은 대부분 양성을 갖고 있음으로서 상기 이동발생판(430)에서 발생하는 음이온이 결합되므로 상기 끈상여재에 효과적으로 달라붙게 되어 걸러진다.
상기와 같이 제2수용실(114) 내에서 제3정화처리수단(400)을 통과하면서 이물질이 걸러진 하수가 제3수용실(116)에 설치되는 제4정화처리수단(500)에 의해 더욱 미세한 이물질이 걸러진다. 즉, 상기 제3수용실(116)로 이동되는 하수는 상부로 부상되면서 미세공들이 형성된 상하부판(510a,510b) 및 그 사이에 설치되는 미세공들이 형성된 하수이동관(520)들에 의해 이물질이 걸러진다. 여기에서, 상기 하수이동관(520)들의 외부를 감싸게 설치된 여재(524)의 내측면에는 이물질들이 달라붙게 되는데, 이는 상기 하수이동관(520)의 외부면과 상기 여재(524)의 내측면 사이에 설치된 제2 탈리수단(526)에 의해 탈리되어 이물질배출공(118a)을 통해 하측의 이물질이송로(118)로 이동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수관을 통해 하수처리장으로 이동하는 하수를 수회에 걸쳐 이물질을 처리함으로써 하수처리장의 효율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환경오염을 크게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제1~제4정화처리수단을 설치하기 위한 제1~제3수용실들을 2열 이상으로 설치하게 되면 좁은 공간에서 큰 효율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월류수 처리장치의 구조를 보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월류수 처리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월류수 처리장치에 구비되는 맨홀형 몸체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월류수 처리장치에 구비되는 제1정화처리수단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월류수 처리장치에 구비되는 제2,제3정화처리수단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월류수 처리장치에 구비되는 제4정화처리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6표시의 I-I선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월류수 처리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맨홀형 몸체 112~116 - 제1~제3수용실
118 - 이물질이송로 200 - 제1정화처리수단
210 - 스월 스크린 220 - 침전조
300 - 제2정화처리수단 310 - 지지판
320 - 골재 400 - 제3정화처리수단
410 - 유동상여재 420 - 끈상여재
430 - 이온발생판 500 - 제4정화처리수단
510a,510b - 상하부판 520 - 하수이동관

Claims (9)

  1. 유입관 및 유출관이 형성된 수용실을 갖는 맨홀형 몸체에 설치되어, 상기 유입관을 통해 유입되는 하수로부터 부피가 큰 이물질을 걸러주기 위한 원추형으로 이루어진 스월(swirl) 스크린과, 상기 스월 스크린의 하부에 설치되어 침전성 이물질을 걸러주기 위한 침전조와, 상기 침전조의 외측에 형성된 하수이동로로 이루어져, 상기 하수이동로를 경유하여 이동되는 하수 중의 부유성 이물질을 걸러주기 위한 제1정화처리수단;
    상기 제1정화처리수단과 인접된 위치에서 수용실의 상부를 덮도록 설치된 미세공들이 형성된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상부에 소정 두께를 이루게 설치한 골재로 이루어져, 이동되는 하수에 함유된 미세 이물질을 걸러주기 위한 제2정화처리수단;
    상기 제2정화처리수단의 하부에 길게 늘어지게 설치되어 하수로부터 미세 이물질 및 미생물을 걸러줄 수 있게 하는 유동상여재 및 끈상여재와, 상기 끈상여재에서 미생물이 응집될 수 있게 상기 유동상여재와 상기 끈상여재 사이에 설치되어 이온을 발생시키는 이온발생판으로 이루어진 제3정화처리수단; 및
    상기 제3정화처리수단과 인접되게 배치되어 제3정화처리수단에서 걸러주지 못한 미세 이물질을 걸러줄 수 있게 하는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 미세공들을 갖는 상하부판과, 상기 상하부판에 상하단부가 고정되도록 양단이 개구되어 망체로 막혀지며 표면에는 미세공들이 형성된 하수이동관과, 미세 이물질을 걸러주도록 상기 하수이동관의 외부를 감싸게 설치되는 여재로 이루어진 제4정화처리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맨홀형 몸체는 내부공간을 제1~제3수용실로 구획할 수 있게 하단에 제1,제2연락공이 형성된 제1,제2분리벽을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제1~제3수용실들의 하측으로는 이물질배출공들에 의해 연락되는 이물질이송로를 구비하며, 상기 제1수용실에는 유입관이 연락되게 설치되고 상기 제3수용실에는 유출관이 연락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월류수 처리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월 스크린의 중심부에는 이물질이송로에 연락되게 이물질배출관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월류수 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월 스크린의 내부에는 유입관을 통해 유입되는 하수가 와류될 수 있게 프로펠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월류수 처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전조는 외주벽 상부에 하수가 통과될 수 있는 다수의 유동공들이 형성되며 하단부는 원추형으로 이루어지며 그 말단에는 개구부가 상기 제1수용실 하부의 상기 이물질배출공에 연통되도록 형성된 외부관체와, 상기 외부관체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스월 스크린을 통과하는 하수가 중심부를 통해 모이면서 유입되도록 한 후에 외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외부관체에 형성되는 상기 유동공들을 통해 이동될 수 있도록 벤투리관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내부관체로 이루어지며, 그리고
    상기 외부관체는 상기 내부관체의 하단부 외측면과 사이에 설정 간격을 두고서 상기 내부관체를 감싸는 형태로 설치되어서 상기 내부관체의 외측면 상방으로 상향의 우수 유동로를 제공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월류수 처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실에는 산기관이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월류수 처리장치.
  7. 제1항,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실의 상부에는 판재와 골조를 관통하도록 제1월류관이 설치되고, 상기 제4정화처리수단에는 제2월류관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월류수 처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4정화처리수단의 상부판에는 부직포와 골재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월류수 처리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실은 1열 이상으로 배열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월류수 처리장치.
KR1020080106127A 2008-10-28 2008-10-28 월류수 처리장치 KR1012178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6127A KR101217869B1 (ko) 2008-10-28 2008-10-28 월류수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6127A KR101217869B1 (ko) 2008-10-28 2008-10-28 월류수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7042A KR20100047042A (ko) 2010-05-07
KR101217869B1 true KR101217869B1 (ko) 2013-01-02

Family

ID=42274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6127A KR101217869B1 (ko) 2008-10-28 2008-10-28 월류수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786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11513B (zh) * 2012-12-17 2014-03-12 冯文俊 城市雨水采集生态滤池
CN103523839B (zh) * 2013-11-13 2014-11-19 任步海 高效空化处理油、气井开采污水的装置及方法
CN105645681A (zh) * 2016-01-11 2016-06-08 常州大学 一种印染废水深度处理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5546A (ko) * 1999-02-08 2000-09-05 김동남 수생 미생물을 이용한 오, 폐수 처리장치
KR20070075371A (ko) * 2007-05-25 2007-07-18 비손푸른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초기 강우 유출수에 포함된 오염원의 단계별 저감 시설
KR100862740B1 (ko) * 2008-06-19 2008-10-16 주식회사 대진환경산업 2단 와류와 여과에 의한 비점오염원 처리장치
KR100874811B1 (ko) * 2008-01-16 2008-12-19 주식회사 도화종합기술공사 생태조경수의 정화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5546A (ko) * 1999-02-08 2000-09-05 김동남 수생 미생물을 이용한 오, 폐수 처리장치
KR20070075371A (ko) * 2007-05-25 2007-07-18 비손푸른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초기 강우 유출수에 포함된 오염원의 단계별 저감 시설
KR100874811B1 (ko) * 2008-01-16 2008-12-19 주식회사 도화종합기술공사 생태조경수의 정화 장치 및 방법
KR100862740B1 (ko) * 2008-06-19 2008-10-16 주식회사 대진환경산업 2단 와류와 여과에 의한 비점오염원 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7042A (ko) 2010-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9017B1 (ko) 비점오염원 처리장치
KR20090033663A (ko) 수직형 초기 우수 정화장치
KR102199644B1 (ko) 유동상 필터층에서의 압밀 및 이완 기술을 구성한 비점오염원처리시스템
KR102365033B1 (ko) 비점오염물질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1334884B1 (ko) 미세공극을 갖는 투수성/흡수성 경량기포 콘크리트 여재를 이용하는 초기우수 비점오염물질 저감시설
KR101113989B1 (ko) 모듈식 측면여과형 비점오염저감장치
KR100912708B1 (ko) 비점오염 침전분리 침투형 정화장치
KR101244122B1 (ko) 부유식 디캔터를 이용한 정체수 배출 및 자동역세가 가능한 비점오염저감시설
KR20120022028A (ko) 무인 자동 제어가 가능한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0673536B1 (ko) 우수처리장치
KR101217869B1 (ko) 월류수 처리장치
KR100681715B1 (ko) 상향류식 다단 여과장치
KR100931522B1 (ko) 미생물접촉재와 메쉬망을 이용한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
KR20130033738A (ko) 여재카트리지를 결합한 모듈식 침투도랑
KR101185763B1 (ko) 월류수 처리장치
KR200205193Y1 (ko) 상수도용간이여과장치
KR20040102432A (ko) 건축물 우수배수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KR101585575B1 (ko) 빗물 재이용 장치
KR20150014097A (ko)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1159474B1 (ko) 비점오염물질 정화 장치
KR101598684B1 (ko) 수처리 여과 및 세척장치
KR101151908B1 (ko) 초기우수와 오염하천수를 동시에 처리 가능한 시설 및 그 처리방법
KR101431325B1 (ko) 폐수 정화처리장치
KR20170063126A (ko)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KR20100135374A (ko) 다층 수평관 액체 침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