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55546A - 수생 미생물을 이용한 오, 폐수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수생 미생물을 이용한 오, 폐수 처리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00055546A KR20000055546A KR1019990004217A KR19990004217A KR20000055546A KR 20000055546 A KR20000055546 A KR 20000055546A KR 1019990004217 A KR1019990004217 A KR 1019990004217A KR 19990004217 A KR19990004217 A KR 19990004217A KR 20000055546 A KR20000055546 A KR 2000005554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icroorganisms
- carrier
- contact
- foamed
- tank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0—Packings; Fillings; Grids
- C02F3/105—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composition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06—Aerobic processes using submerged filt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08—Aerobic processes using moving contact bodi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0—Packings; Fillings; Grids
- C02F3/109—Characterized by the shape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0—Aerobic and anaerobic processes
- C02F3/302—Nitrification and denitrification treatment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4—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characterised by the microorganisms used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logical Treatment Of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생미생물을 이용한 오, 폐수 처리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오, 폐수 처리장치는 수생 미생물이 농축되어 있는 담체가 내장되어 있는 유동상 담체조, 유기물을 호기성 및 혐기성으로 분해시켜 유기물의 농도를 저감시키기 위해 표면에 미생물막이 부착될 수 있는 표면적을 넓힌 다공성 필라멘트(絲)로 형성된 고정상 미생물 접촉여재와 띠형 발포제품을 부착해서 사용하거나 또는 발포된 띠형 제품을 고정상 미생물 접촉여재로 사용함으로써 미생물이 부착할 수 있는 표면적을 넓힌 접촉여재가 내장된 고정상 접촉 산화조 및 간헐적인 폭기에 의해 탈질화 반응을 일으키는 탈질화조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오, 폐수 처리장치는 상기 유동상 담체조와 고정상 접촉산화조의 상단에 토양정화 작용을 할 수 있는 유기물을 분해시키는 미생물균이 무수히 존재하는 토양층이 추가로 충진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로 상기와 동일한 유동상 담체와 미생물 접촉여재가 내장된 미생물 증식 및 활성화되는 촉진설비가 설치되어 있어 배양된 미생물을 활성화시켜 접촉산화조에 다시 공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기존 시설을 개량하여 사용이 가능하므로 설치비용이 저렴하고, 처리효율도 활성오니법보다 매우 높으며, 처리수의 안정적인 수질도 얻을 수 있고, 난분해성 폐수처리에 효과적일 뿐 아니라 질소(N) 및 인(P)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수생 미생물을 이용한 오, 폐수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 폐수처리에 생물학적 처리방식인 활성 슬러지법이 많이 적용되고 있다. 하지만 산업의 발전과 함께 증가되는 수질의 악화로 인하여 활성 슬러지법의 처리방식으로는 대응이 어려워져 만족할 만한 수질을 얻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수질의 향상을 위하여 지금까지 개발한 공법은 접촉여재의 표면에 부착된 미생물막을 이용한 폐수처리 방식으로 오, 폐수의 처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었으나, 이 접촉여재를 이용한 처리방식은 접촉여재의 구조상 미생물이 서식할 수 있는 표면적이 넓은 재료의 사용이 불가능하여 접촉산화조의 축소와 고효율의 처리에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오, 폐수의 처리효율을 극대화시키는 한편 처리장소의 축소화, 설비 및 운전비의 절감 및 질소(N) 및 인(P)의 제거효율도 높일 수 있는 수생 미생물을 이용한 오ㆍ폐수 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오, 폐수 처리장치에서 접촉산화조의 개략도이다.
도 2와 3은 본 발명에 따른 오, 폐수 처리장치에서 사용되는 담체의 개략도 및 모형도이다.
도 4 및 5는 본 발명에 따른 오, 폐수 처리장치에서 토양층을 설치한 상태의 개략도이다.
도 6 및 7은 본 발명에 따른 폐수 처리장치에서 보조 설비인 미생물 촉진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이용하여 폐수를 처리하는 공정도이다.
도 9, 10 및 11은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 접촉 여재로써 다공성 필라멘트로 구성되고, 접촉여재와 발포제품을 부착하여 미생물막의 표면적을 넓힌 미생물의 접촉여재이다.
1---접촉산화조 10---유동상 담체조
11,52--유동상 담체12--- 내부층
13---외부층 14---공극
20---고정상 접촉산화조21,51---고정상 접촉여재
30---탈질화조31---관상형여재
32---여재 받침대33---토양
34---모관망 35---잔디
50---미생물 촉진시스템 91---- 다공성 실
92---- 나선형 구조93---- 기공
94, 94'---- 발포제품
본 발명은 유동상 담체조, 고정상 접촉산화조 및 탈질화조, 미생물 활성화 촉진조, 토양미생물 분해층으로 구성된 오, 폐수 처리 장치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오, 폐수 처리장치인 접촉산화조(1)에서 유동상 담체조(10)는 자연계의 토양형성에 참여하는 토양균 군을 채취하여 내부에 농축한 수생(水生)미생물 담체를 이용하는 담체조로서, 이 담체조(10)에는 농축된 수생 미생물들이 내부와 외부를 자유로이 왕래할 수 있는 담체(11)가 내장되어 있다.
여기서 담체(11)로서의 조건은 미생물이 담체 내부에 농축되어 활성화되기 위해서 담체의 공극률이 높고, 미생물의 서식면적이 넓어야 하며, 미생물이 담체를 형성하는 재질과 친화적이어서 그 활동 및 번식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성분이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담체(11)의 구조는 두 종류로 구분할 수 있다.
첫 번째 담체(11)는 도 2에 구체적으로 예시되어 있다. 즉 담체(11)는 내부층(12)과 외부층(13)의 두 개의 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담체의 내부층(12)은 오, 폐수의 종류에 따라 농축미생물이 달라지게 되므로 투입 미생물에 따라 미생물과 친화적이면서 공극률이 큰 재질, 예를 들면 비중이 작은 화산석(다공질), 카본, 키토산, 세라믹, 왕겨, 톱밥 등으로 충진되어 있고, 겉 표면층, 즉 외부층(13)은 수조 벽면과의 마찰, 담체끼리의 상호 충돌로 인해 마모현상이 크므로 이를 감안하여 내충격 및 내마모성을 갖고, 또 담체 내부의 미생물을 외부와 내부로 자유롭게 통과시키고, 담체 내부 물질은 외부로 비산되지 않도록 보호하면서 공극률이 높은 재료, 예를 들면 고무, 폴리우레탄, 연성세라믹, 연성 플라스틱의 발포제로 이루어져 있다.
두 번째 담체(11)는 도 3에 예시한 바와 같이, 오, 폐수의 종류에 따라 농축미생물이 달라지게 되므로 투입 미생물에 따라 미생물과 친화적이면서 공극률이 큰 재질, 예를 들면 비중이 작은 화산석(다공질), 카본, 키토산, 세라믹, 왕겨, 톱밥 등과 고무 폴리우레탄, 연성세라믹, 연성 플라스틱의 발포제 중에서 선택 및 배합하여 조합된 제품으로써, 즉 유기질과 무기질을 배합 발포하여 미생물의 부착 및 활성을 유도하고 내마모성 및 내충격성에 강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담체의 완성제품은 여러 가지의 모양을 갖게 된다.
도 2에서 미설명 부호 14은 미생물이 출입할 수 있는 공극이다.
도 1로 돌아가서, 상기 유동상 담체조(10)는 유동상으로 호기성 상태하에서 미생물이 활동, 즉 담체내에 농축되어 있는 수생미생물을 이용하여 유입수의 BOD와 SS를 제거하고, 질산화 반응을 촉진시켜 질소를 제거하는 목적으로 이용된다.
본 발명의 접촉 산화조(1)에서의 고정상 접촉산화조(20)는 유동상 담체조(11)에서 미생물에 의해 처리된 유출수를 다공성 필라멘트로 이루어진 미생물 접촉여재의 표면에 띠(belt)형 발포제품이 부착되고, 틀어있는 구조를 갖으며 미생물막의 표면적을 넓힌 접촉여재(21)에 부착된 생물막에 의해 유기물을 호기성 및 혐기성 분해시켜 유기물의 농도를 저감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미생물 접촉여재(21)는 도 9,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공성 필라멘트(91)와 발포제품(94, 94')으로 이루어진 접촉여재로써 접촉재 표면에 띠(belt)형 발포제품(발포우레탄, 발포고무, 발포합성수지:94)이 부착된 제품이거나(도 10) 또는 띠(belt)형 발포제품(발포우레탄, 발포고무, 발포합성수지:94')만으로 구성된 고정상 미생물 접촉여재(도 11)로써, 미생물막이 좀 더 넓은 면적으로 형성되어 유기물의 산화 분해작용을 빠르게 유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오탁 물질을 생화학적으로 산화분해시켜 유기물과 질소(N), 인(P)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미생물 접촉여재의 표면에 띠형 발포제품이 부착되고 틀어져 있는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여기서 부호 93은 기공으로서, 이 기공은(93)은 다공성 필라멘트로 제조하거나 카본을 혼합하여 제사함으로써 형성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탈질화조(30)는 간헐적인 폭기에 의해 탈질화 반응을 일으켜 유출수에서 잔존하는 질산성 질소를 질소 가스로 제거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유동상 담체조(10) 상단에 토양정화작용을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도 5에서와 같이 고정상 접촉산화조(20) 상단에 토양 정화 작용을 할 수 있는 유기물을 분해시키는 미생물 균이 무수히 존재하는 토양층이 추가로 충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유동상 담체조(10) 또는 고정상 접촉산화조(20)에 충진되게 되는 토양층은 습기찬 토양 속에서 서식하는 지렁이 및 미소동물 등이 상기 유동상 담체조(10) 및 고정상 접촉산화조(20)와 토양층 속을 이동하면서 유기물을 먹이로써 분해시키고, 토양속에 무수히 존해하는 미생물 균이 유기물을 분해 처리하는 토양 정화작용을 이용하게 된다.
토양층에 의한 정화는 자연의 원리를 이용하여 축소시켜 놓은 것으로써 접촉산화조의 여재, 예를들면 쇄석, 폐벽돌 및 폐비닐 상부에 토양미생물에 서식하기 적합한 숙성된 특수토양, 예를들면 다공질 통기토양을 피복토로 사용하여 폐수의 수면과 간접적으로 접촉시켜 접촉산화조 내에서 미생물에 의해 폐수와 피복토가 연계되어 있기 때문에 토양성 미생물과 토양성 동물이 직,간접적으로 참여하게 되어 처리수의 수질 향상을 도모하고, 아울러 토양성 미생물에 의한 탈취 작용과 병원균 및 세제포 비산 등으로 인한 2차 공해 방지 및 질소(N), 인(P)의 제거효과가 우수하다.
본 발명에서는 첨부 도면의 도 4에서와 같이 유동상 담체조(10)의 상단에 충진되어 있는 토양층의 구성을 보면, 쇄석 및 폐기물로 분류되는 폐벽돌 및 폐비닐의 관상형 여재(31)가 하부 방향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적당한 규격으로 이를 받치고 있는 여재받침대(32)가 설치되어 있고, 해당 관상형여재(31) 위에는 다공질의 토양(33)이 충진되어 있어 관상형여재(31)의 간극 사이를 메꿀 수 있으므로, 그 사이에 모관망(34)을 깔아 이들을 보호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토양미생물들이 자유자재로 왕래하면서 유기물질을 섭취하여 수질을 정화시키게 된다.
도 4에서 미설명 부호 35는 잔디이다.
한편, 도 5는 다공성 필라멘트(絲)로 이루어진 미생물 접촉여재와 발포된 제품을 부착하거나 또는 발포된 띠형제품만으로 고정상 접촉여재를 구성되어 비틀어진(나선형)구조(도 9)를 갖기 때문에 미생물막이 부착될 수 있는 표면적을 넓힌 접촉여재가 내장된 고정상 접촉산화조(20)상단에 토양층이 충진되어 있다. 이 토양층의 구성은 도 4의 경우와 동일하다. 여기서 동일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사용하였다.
본 발명에 의하면, 미생물을 증식하고, 활성화시키는 미생물 촉진시스템을 추가로 갖추고 있다. 이 미생물 촉진시스템은 미생물이 활성화된 농축액을 미량씩 공급받게 되어 고정상 및 유동상 접촉재와 친화적이므로 미생물들을 짧은시간 내에 배양 및 활성화 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즉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접촉산화조와 같이, 자연계에서 토양형성에 참여하는 토양성 균을 채취하여 농축한 유동성 담체와 다공성 필라멘트로써 이루어진 접촉재와 발포제품이 부착된 틀어있는 이중구조를 갖는 미생물 접촉여재를 이용하여 토양균군을 배양 촉진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는 접촉산화조에서 고정상 및 유동상접촉재에 빨리 적응하고 활성화될 수 있는 미생물들을 간헐적으로 미량씩 공급하여 짧은 시간내에 후속공정에서 유기물과 질소(N) 및 인(P)의 제거효율을 높이는 보조 설비이다.
미생물 촉진시스템(50)의 구성은 도 6과 7에서와 같이 2단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다공성 필라멘트(絲)를 이용하며 미생물 접촉여재와 발포제품(94)이 부착된 접촉여재(51) 또는 발포제품(94')만으로 구성된 미생물 접촉여재(51)와 유동상 담체(52)가 내장되어 있다. 따라서 오니와 함께 반송되어진 미생물을 부착 및 증식시켜 배양하는 기능을 하게 되며, 담체(52)가 내장되어 있으므로 담체에 농축된 수생미생물들이 담체의 내부와 외부를 자유로이 왕래하면서 고농도로 미생물을 다량 배양하고, 활성화시켜 소량씩 간헐적으로 접촉산화조(1)로 공급하게 된다.
이는 미생물 촉진시스템(50)에서 배양 및 활성화된 미생물이 접촉산화조(1)에 공급되었을 때 그 환경에 친화적으로 활동하여 짧은 시간에 매우 높은 제거효율을 갖게 된다.
이러한 미생물 촉진시스템(50)은 시스템의 보조설비로서 유지관리가 용이하고, 운전비가 저렴하며, 처리공간의 확보가 어려운 좁은 공간에서도 최대한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설비에도 쉽게 추가하여 기존의 제거효율보다 수처리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편리한 시스템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폐수 처리장치를 이용한 폐수처리 공정은 도 6에 예시한 바와 같다.
즉, 오, 폐수를 먼저 스크린조(A)로 유입시켜 협잡물과 침사 등을 제거하고, 소화조(B)를 통해서 유기물, 질소(N) 및 인(P)의 제거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접촉산화조(C)로 공급한다. 접촉산화조(C)로 공급된 폐수는 송풍기(I)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와 함께 질산화 처리를 하는 유동상 담체조(D)와 다공성 필라멘트로 구성된 미생물 접촉여재에 우레탄이 부착되어 틀어있는 구조를 갖으며, 미생물막의 표면적을 넓힌 접촉여재가 내장된 고정상 접촉산화조(E) 및 탈질화조(F)를 거친 후에 침전조(G)와 소독 처리수조(H)를 통과한 후 외부로 방류되게 된다.
여기서 침전조(G)는 유동상 담체 및 미생물 접촉여재에 의해 형성된 유기물의 플럭(floc)을 침전분리 및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최종 방류의 수질의 저감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접촉산화조(C)로 공급되는 폐수는 미생물 촉진시스템(J)로부터 공급되는 배양오니와 함께 공급될 수 있으며, 침전조(G)로부터 배출되는 반송오니는 다시 미생물 촉진시스템(J)으로 공급될 수 있고, 잉여오니는 농축조(K)를 통해서 탈수처리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폐수 처리공정에서 미생물 촉진시스템은 처리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으며, 촉진시스템(J) 내에서 환경조건에 맞춰 배양 및 활성화된 미생물균이 거부감 없이 접촉산화조에서 적응할 수 있다.
또한 미생물종은 기존의 활성슬러지법보다 다양하게 출현하며, 담체내 미생물의 농축으로 인하여 원생동물, 후생동물 등의 세균 포식자의 현존량이 증가해 슬러지 증가량이 더욱 감소하게 된다.
생물학적 처리에서 질산화(Nitrification)는 단백질을 함유한 오,폐수가 가수분해되어 아미노산이 되고, 질산화 균에 암모니아성 질소(NH₃-N), 아질산성 질소(NO₂-N), 질산성 질소(NO₃-N)의 과정을 거쳐 정화된다.
질산화 과정은 분뇨나 하수에 단백질이 함유되어 하천에 유입시 오염 후 경과시간, 오염지점, 오염진행상태, 오염시기 등의 지표로서 사용할 정도로 매우 자연환경에 심각해지고 있으며, 아울러 부영양화의 원인으로서 작용하고 있다.
이러한 질산화 과정을 이용하여 혐기성하에서 질산성 질소(NO3-N)를 질소(N2)가스로 질소를 제거하는 반응을 탈질화(denitrification)라 하며, 주로 관여하는 미생물은 Pseudomonuas, Bacillus, Thiobacillus등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질산화 반응과 탈질화 반응을 이용하고, 오,폐수 중 질소를 제거시키는 미생물의 활동작용을 이용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와 같이 담체 내부에 농축된 미생물을 이용한 폐수처리 방법은 처리시설의 면적, 처리효율이 활성슬러지 법에 비해 상당한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가장 큰 특징은 부하나 환경조건의 변동에도 안정된 처리수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이다.
활성슬러지 중에서 정화에 관여하는 특정미생물의 비증식 속도는 체류시간이나 슬러지의 반송비에 의해 결정되고, 일반적으로 비증식 속도가 0.5μ/day 정도 이하의 미생물은 기존의 활성슬러지 중에서는 생식할 수 없다.
그러나 담체내부에 농축된 미생물의 비증식 속도는 빈모류처럼 0.05μ/day 정도 이하의 생물도 살아갈 수 있으며, 또한 교반강도에 강해지고, 활성슬러지법에 비해 미생물 종의 다양성을 증가시켜 안정한 생태계를 구성한다.
실제로 비증식 속도가 작은 미생물종이 정화에 관여하여 고차의 영양수준의 미생물들의 다량으로 존재하게 되고, 안정된 생태계가 이루어져 생성하는 슬러지는 감소하게 된다.
미생물에 필요한 산소는 어느 정도 대기에서 취할 수 있기 때문에 설비 운영에 필요한 동력비가 활성슬러지법에 비해 적게 들고 , 더욱이 질화세균이 충분히 증식할 수 있기 때문에 오, 폐수 중의 암모늄은 질산염으로 산화되고, 질산염의 일부는 혐기성 상태에서 탈질이 일어난다.
담체 내부에 농축된 미생물을 이용한 폐수처리는 담체내부의 미생물을 보호하고, 수명을 연장시켜 미생물을 활성화시키고, 보호하는 미생물의 서식구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담체의 물리적 특성을 쉽게 조정할 수 있고, 물 속의 비중은 물의 비중과 거의 비슷(비중: 1.02 에서 1.2)하기 때문에 역세척 동력을 줄일 수 있으며, 표면적과 세공용적이 커서 미생물의 증식이 우수하며, 세균의 종류, pH, 온도의 영향에 강하다.
또한 담체의 물리적 여과효과를 갖고 있어 높은 SS 제거성능을 얻을 수 있으며, 미생물의 유지량이 높고, 미생물량의 조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일정하게 안정, 고활성이 유지되어 처리기능도 변동없이 유지시킬 수 있고, 효율이 좋은 생물학적 처리가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폐수 처리장치를 이용한 처리 방식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1. 기존의 설치 운영하는 시설을 이용할 수 있는 장치로서 다른 기존의 처리 방식에 비해 유지관리 측면에서 경제적이다.
2. 원수의 수질변화에 강하며, 처리수의 안정적인 수질을 얻을 수 있으며, 처리수의 재이용도 감안하여 고도의 처리 수질을 얻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3. 계절적인 부하 변동이 심한 경우의 수질에서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4. 기존 활성오니법에 비해 비위생적인 요인, 예를들면 악취를 낮출 수 있으며, 시설의 유지 관리면에서도 탁월하다.
5. 사상균(Spaerotitilus)의 증식 억제로 슬러지의 침전효율을 증가시켜 벌킹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과도한 부하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
6. 기존의 활성슬러지법은 소요동력이 크고, 부지면적을 넓게 차지하는 반면에 다공성 필라멘트(絲)로 된 미생물 접촉여재와 유동상 담체에 의한 수생미생물을 이용한 폐수처리는 생물학적 처리효율을 활성화시켜 접촉산화조 소요부지의 절감효과를 갖고 있다.
미생물의 생물학적 분해 현상을 이용하여 난분해성 폐수처리를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질소(N) 및 인(P)을 안정적으로 제거하여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폐수처리 장치에 의한 처리방식과 기존의 활성오니법을 비교한 결과는 다음 표와 같다.
구 분 | 본 발명 | 활성오니법 |
미생물의 서식상태 | 미생물이 부착하면서 서식하며, 비증식 속도가 작은 미생물로부터 대형 생물까지 서식하는 다양한 육성이 있다. | 분산, 부유상태로 서식하며, 강력폭기 등 일정농도의 유지가 요구되며, 미생물의 종의 다양한 육성이 없다. |
제거 효율 | 90-99% | 80-85% |
부하 변동 적응력 | 강 | 약 |
처리 수질 | 10 PPM 이하 | 30PPM이하 |
소요대지 면적 | 중, 소규모 | 대, 중규모 |
동력비 | 적다. | 많다. |
질소, 인의제거 효율 | 매우 높다. | 낮다 |
오니 발생량 | 소 | 대 |
폭기량 | 적다 | 많다 |
유지관리 | 쉽다. | 어렵다. |
적용범위 | 1) 생물학적 처리와 화학적 처리의 병용 가능.2) 고농도의 폐수처리 적용3) 벌킹이 심한 폐수,4) 폐수성상에 따른 미생물 선정, 농축 배양시킨다. | 1)생물학적 처리와 화학적 처리가 가능. |
Claims (7)
- 수생 미생물이 농축되어 있는 내부층과, 내충격 및 내마모성의 외부층을 갖는 담체가 내장되어 있는 유동상 담체조, 유기물을 호기성 및 혐기성으로 분해를 극대화시켜 유기물의 농도를 저감시키기 위한 미생물 접촉여재가 내장되어 있는 고정상 접촉산화조 및 간헐적인 폭기에 의해 탈질화 반응을 일으키는 탈질화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생 미생물을 이용한 오ㆍ폐수 처리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에 빨리 적응하고 활성화될 수 있는 미생물을 간헐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유동상 담체와 다공성 필라멘트로 이루어진 접촉여재와 발포우레탄, 발포고무, 발포합성수지와 같은 발포제품이 부착하거나 또는 발포된 띠형 발포제품만을 접촉여재로 사용하여 미생물막의 포면적을 넓힌 미생물 접촉여재가 2단으로 구비된 미생물 촉진시스템을 추가로 겸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생 미생물을 이용한 오ㆍ폐수 처리장치.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담체는 비중이 작은 화산석(다공질), 공극률이 큰 카본, 키토산, 세라믹, 왕겨, 톱밥으로 충진되어 있는 내부층과 고무, 폴리우레탄, 연성세라믹 및 연성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외부층으로 구성되어 있되 미생물이 담체 외부와 내부를 자유롭게 통과할 수 있는 이중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생 미생물을 이용한 오ㆍ폐수 처리장치.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담체는 미생물과 친화적이면서 공극률이 큰 재질, 예를 들면 카본, 키토산, 왕겨, 톱밥 등의 유기질 및 비중이 작은 화산석(다공질)과 고무, 폴리우레탄, 세라믹, 연성세라믹, 연성 플라스틱의 무기질 중에서 선택 및 배합하여 발포된 제품으로써 내마모성 및 내충격성에 강한 재질의 담체이며, 담체의 완성제품은 여러 가지의 모양을 갖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생 미생물을 이용한 오ㆍ폐수 처리장치.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여재는 원사의 표면적을 최대한 넓게 하여 미생물의 부착 면적을 극대화시켜 접촉산화 반응이 빠르게 일어날 수 있도록 다공성 실(絲) 또는 카본, 키토산, 기타 유기물을 배합하여 제사한 필라멘트로 직조한 접촉여재와 발포우레탄, 발포고무, 발포합성수지와 같은 발포된 띠형 제품을 부착한 이중의 접촉재, 또는 상기 발포제품만을 접촉여재로 사용하는 현수 미생물 접촉재로서, 발포된 판넬 및 다공성실을 함께 사용하여 접촉여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생 미생물을 이용한 오ㆍ폐수 처리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상 담체조 또는 고정상 접촉산화조 상단에 유기물을 분해하는 미생물균이 무수히 존재하는 토양층이 추가로 충전되어 이중 복합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생 미생물을 이용한 오ㆍ폐수 처리장치.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토양층은 쇄석 및 폐기물로 분류되는 폐벽돌 또는 폐비닐 중에서 선택되는 관상형 여재 받침대 위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여재 위에는 상기 여재의 간극 사이를 메우지 않도록 모관망을 깔고, 다공질의 토양이 적층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생 미생물을 이용한 오ㆍ폐수 처리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90004217A KR20000055546A (ko) | 1999-02-08 | 1999-02-08 | 수생 미생물을 이용한 오, 폐수 처리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90004217A KR20000055546A (ko) | 1999-02-08 | 1999-02-08 | 수생 미생물을 이용한 오, 폐수 처리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00055546A true KR20000055546A (ko) | 2000-09-05 |
Family
ID=19573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90004217A KR20000055546A (ko) | 1999-02-08 | 1999-02-08 | 수생 미생물을 이용한 오, 폐수 처리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00055546A (ko) |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05268B1 (ko) * | 2001-06-19 | 2003-11-12 | 신성메디아 주식회사 | 오,폐수 정화용 접촉 여재 |
KR100443691B1 (ko) * | 2001-11-17 | 2004-08-09 | 주식회사 고도엔바 | 키토산 접촉재를 이용한 오폐수 처리장치 |
KR100447904B1 (ko) * | 2001-09-25 | 2004-09-13 | 주식회사 후소엔지니어링 | 발포 접촉상 혐. 호기 정화조 |
KR100706273B1 (ko) * | 2005-09-29 | 2007-04-12 | 대한민국(관리부서:국립수산과학원) | 순환여과양식시스템 및 새우 사육수 순환여과방법 |
KR100861319B1 (ko) * | 2008-06-02 | 2008-10-01 | 한명완 | 유동상 담체와 고정상 담체가 설치된 반응조를 이용한하·폐수처리방법 |
KR101217869B1 (ko) * | 2008-10-28 | 2013-01-02 | 알에스티이엔씨 주식회사 | 월류수 처리장치 |
KR101358240B1 (ko) * | 2012-06-05 | 2014-02-24 | (주)태동건설 | 하수처리 방법 |
CN116768366A (zh) * | 2023-07-25 | 2023-09-19 | 云南合续环境科技股份有限公司 | 污水处理设备 |
CN117125812A (zh) * | 2023-09-13 | 2023-11-28 | 华北水利水电大学 | 一种无污泥好氧池微生物生态修复发生系统及其制作方法 |
-
1999
- 1999-02-08 KR KR1019990004217A patent/KR20000055546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05268B1 (ko) * | 2001-06-19 | 2003-11-12 | 신성메디아 주식회사 | 오,폐수 정화용 접촉 여재 |
KR100447904B1 (ko) * | 2001-09-25 | 2004-09-13 | 주식회사 후소엔지니어링 | 발포 접촉상 혐. 호기 정화조 |
KR100443691B1 (ko) * | 2001-11-17 | 2004-08-09 | 주식회사 고도엔바 | 키토산 접촉재를 이용한 오폐수 처리장치 |
KR100706273B1 (ko) * | 2005-09-29 | 2007-04-12 | 대한민국(관리부서:국립수산과학원) | 순환여과양식시스템 및 새우 사육수 순환여과방법 |
KR100861319B1 (ko) * | 2008-06-02 | 2008-10-01 | 한명완 | 유동상 담체와 고정상 담체가 설치된 반응조를 이용한하·폐수처리방법 |
KR101217869B1 (ko) * | 2008-10-28 | 2013-01-02 | 알에스티이엔씨 주식회사 | 월류수 처리장치 |
KR101358240B1 (ko) * | 2012-06-05 | 2014-02-24 | (주)태동건설 | 하수처리 방법 |
CN116768366A (zh) * | 2023-07-25 | 2023-09-19 | 云南合续环境科技股份有限公司 | 污水处理设备 |
CN117125812A (zh) * | 2023-09-13 | 2023-11-28 | 华北水利水电大学 | 一种无污泥好氧池微生物生态修复发生系统及其制作方法 |
CN117125812B (zh) * | 2023-09-13 | 2024-05-17 | 华北水利水电大学 | 一种无污泥好氧池微生物发生系统及其制作方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Di Capua et al. | Simultaneous nitrification–denitrification in biofilm systems for wastewater treatment: Key factors, potential routes, and engineered applications | |
Tawfik et al. | Sewage treatment in a combined up-flow anaerobic sludge blanket (UASB)–down-flow hanging sponge (DHS) system | |
Bhattacharya et al. | Simultaneous nitrification and denitrification in moving bed bioreactor and other biological systems | |
Loukidou et al. | Comparison of two biological treatment processes using attached-growth biomass for sanitary landfill leachate treatment | |
US7445715B2 (en) | System for treating wastewater and a controlled reaction-volume module usable therein | |
Hasan et al. | Kinetic evaluation of simultaneous COD, ammonia and manganese removal from drinking water using a biological aerated filter system | |
US6423229B1 (en) | Bioreactor systems for biological nutrient removal | |
CA2542894C (en) | Multi-environment wastewater treatment method | |
Moussavi et al. | Ammonia removal from a waste air stream using a biotrickling filter packed with polyurethane foam through the SND process | |
JP4734504B2 (ja) | 微生物による廃水の処理方法 | |
CN111018129A (zh) | 一种基于臭氧氧化与生物降解近场耦合体系的有机工业尾水处理方法 | |
US6007720A (en) | Process for treatment of organic wastewater | |
US20070102354A1 (en) | System for treating wastewater and a media usable therein | |
Zheng et al. | Advanced oxygenation efficiency and purification of wastewater using a constant partially unsaturated scheme in column experiments simulating vertical subsurface flow constructed wetlands | |
KR20000055546A (ko) | 수생 미생물을 이용한 오, 폐수 처리장치 | |
ud din Ahmad et al. | Enhanced biological nutrient removal by the alliance of a heterotrophic nitrifying strain with a nitrogen removing ecosystem | |
KR100279843B1 (ko) | 오폐수 접촉폭기 정화장치 및 접촉폭기 정화방법 | |
CN105152337A (zh) | 油田钻井污水的无害化处理工艺和系统 | |
KR101827525B1 (ko) | 부상여재 여과를 이용한 중소규모 고도하수처리 방법 | |
Thongsai et al. | Performance and microbial analysis of a fluidized bed membrane bioreactor operated in the partial nitrification and anammox (PN/A) mode for polishing anaerobically treated effluent to industrial discharge standard | |
KR100292432B1 (ko) | 산화구형자연정화처리방법 | |
KR100346303B1 (ko) | 고정 생물막 공법을 이용한 영양염 제거장치. | |
JPH0461999A (ja) | 高濃度有機汚濁廃水処理方法 | |
JP3270652B2 (ja) | 廃水の窒素除去方法 | |
CN105152492A (zh) | 成品油库含油污水处理工艺和系统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