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5033B1 - 비점오염물질 처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비점오염물질 처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65033B1 KR102365033B1 KR1020210086234A KR20210086234A KR102365033B1 KR 102365033 B1 KR102365033 B1 KR 102365033B1 KR 1020210086234 A KR1020210086234 A KR 1020210086234A KR 20210086234 A KR20210086234 A KR 20210086234A KR 102365033 B1 KR102365033 B1 KR 10236503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tank
- treated water
- floating filter
- initial rainwater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4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4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5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1
- 239000003344 environmental polluta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9
- 231100000719 pollutant Toxicit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9
- 238000011001 backwash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8000002203 pre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5086 pump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1179 sorption measure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9969 flowabl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4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9000003921 oi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11144 upstream manufactur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809 air pollu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1243 air pollutant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608 fec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37 fertiliz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575 pestic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2 seaso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49 sedi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876 top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02—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 B01D24/1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the filtering material being held in a closed contain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46—Regenerating the filtering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4/4605—Regenerating the filtering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placed on the cake-side of the stationary filtering material and only contacting the external layer
- B01D24/4621—Regenerating the filtering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placed on the cake-side of the stationary filtering material and only contacting the external layer by nozzles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 material, or by fluids acting in co-current direction with the feed stream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46—Regenerating the filtering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4/4631—Counter-current flushing, e.g. by air
- B01D24/4636—Counter-current flushing, e.g. by air with backwash shoes; with nozz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48—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integrally combined with devices for controlling the filtration
- B01D24/4869—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integrally combined with devices for controlling the filtration by level measur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21/00—Applications of separation devices
- B01D2221/12—Separation devices for treating rain or storm wat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의 전처리조의 내부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에서 역세척 수단으로 부상 여재를 역세척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H3: 처리수 최고 수위 감지센서 L1: 초기 우수 최저 수위 감지센서
L3: 처리수 최저 수위 감지센서 La: 중간 수위 감지센서
Lb: 처리수 중간 수위 감지센서 S1: 상측 공간
S2: 하측 공간 X: 중간 수위
100: 전처리조 101: 격벽
102: 월류 통로 110: 스크린 부재
112: 배수 펌프 120: 초기 우수 유입 안내관
121: 유입구 122: 유출구
123: 덮개 200: 전처리수 유입조
210: 전처리수 펌프 300: 여과조
302: 연결 통로 303: 처리수 월류 통로
310: 부상 여재 311: 상부 스크린
312: 하부 스크린 400: 처리수조
401: 측벽 402: 배수통로
410: 세척수 펌프 420: 세척수 공급관
421: 세척수 분사관 500: 블로워
510: 공기 공급관 511: 공기 분사관
600: 제어부
Claims (8)
- 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질을 여과처리하여 처리수만 배수하는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로서,
격벽(101)으로 구획된 내부 공간을 가지고, 상기 격벽(101)의 상단에는 월류 통로(102) 가 구비되고, 상기 내부 공간에 횡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내부 공간을 상측 공간(S1)과 하측 공간(S2)으로 구분하는 스크린 부재(110)를 구비한 전처리조;
유입구(121)는 초기 우수가 유입되도록 상기 전처리조(100) 외부에 개방되고 유출구(122)는 상기 전처리조(100)의 스크린 부재(110)의 하측 공간(S2) 안에 배치되어, 초기 우수가 상기 전처리조(100)안으로 유입될 때 상향류로 스크린 부재(110)를 거쳐 상측 공간(S1)으로 유동하도록 초기 우수의 유입을 유도하는 초기 우수 유입 안내관(120);
상기 전처리조(100)의 내부 공간에 유입된 초기 우수의 최저 수위를 감지하는 초기 우수 최저 수위 감지센서(L1)와 초기 우수의 최고 수위를 감지하는 초기 우수 최고 수위 감지센서(H1);
상기 전처리조(100)에서 전처리되고 난후 하측 공간(S2)에 잔류하는 잔류수를 적시에 배출하는 전처리조 배수 펌프(112);
상기 전처리조(100)에서 전처리된 후 상기 격벽(101)의 월류 통로(102)를 통하여 월류되는 전처리수를 유입시켜 저류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전처리수 유입조(200);
상기 전처리수 유입조(200)에 저류된 전처리수의 최저 수위를 감지하는 전처리수 최저 수위 감지센서(L2)와, 전처리수의 최고 수위를 감지하는 전처리수 최고 수위 감지센서(H2);
상기 전처리수 유입조(200)의 전처리수를 세척수로 사용하기 위하여 적시에 펌핑하여 배출하는 전처리수 펌프(210);
격벽(301)으로 둘러싸인 내부 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격벽(301) 하단에는 상기 전처리수 유입조(200)의 하측 공간과 연결 통로(302)를 통하여 연통되어 상기 전처리수 유입조(200)의 전처리수가 상기 내부 공간의 하측 공간 안으로 유입되고, 상기 격벽(301) 상단에는 일정 수위를 초과하는 처리수를 월류시키는 처리수 월류 통로(303)를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여과조(300);
수지로 발포 성형되고 다공성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여과조(300)의 내부 공간 안에 유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내부 공간 안으로 유입된 전처리수의 수위에 따라 상하로 유동하면서 초기 우수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여과하는 부상 여재(310);
상기 하나 이상의 여과조(300)에서 부상 여재(310)에 의해 여과 처리된 후 상기 여과조(300)의 처리수 월류 통로(303)를 통하여 월류하는 처리수를 저류하고, 측벽(401) 상단에는 일정 수위 이상의 처리수를 월류시키는 배수통로(402)를 구비한 처리수조(400);
상기 처리수조(400)의 처리수의 최저 수위를 감지하는 처리수 최저 수위 감지센서(L3)와, 상기 처리수조(400)의 처리수의 최고 수위를 감지하는 처리수 최고 수위 감지센서(H3)와, 상기 처리수조(400)의 처리수의 중간 수위를 감지하는 처리수 중간 수위 감지센서(Lb)로 이루어진 처리수 수위 감지센서;
외부의 공기를 여과조(300) 내부로 공급하기 위한 블로워(500)와, 상기 블로워(500)에서 토출하는 공기를 여과조(300) 내부로 공급하기 위한 공기 공급관(510)과, 상기 부상 여재(310)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공기 공급관(510)에 연결되어 공기 공급관(510)을 통하여 제공되는 블로워(500)의 공기를 다수의 공기 분사구를 통하여 부상 여재(310)에 분사하여 부상 여재(310)에 흡착된 피여과 물질을 역세척하는 공기 분사관(511)으로 이루어진 공기 세척수단;
상기 처리수조(400)의 처리수를 적시에 펌핑하여 부상 여재(310)의 세척수로 공급하는 세척수 펌프(410)와, 상기 세척수 펌프(410)에서 펌핑하는 세척수를 여과조(300)의 상측으로 안내하는 세척수 공급관(420)과, 상기 부상 여재(310)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세척수 펌프(410)에서 상기 세척수 공급관(420)을 통하여 제공되는 세척수를 상기 부상 여재(310)에 분사하여 부상 여재(310)를 세척하는 세척수 분사관(421)으로 이루어진 수세척 수단;을 포함하는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강우 종료를 감지하는 강우 종료 감지센서; 및
상기 강우 종료 감지센서로부터 강우 종료 신호를 수신할 때, 설정 시간 동안 상기 전처리조(100)의 전처리수 배수 펌프(112)를 작동시켜 전처리수를 배출하고, 유입조(200)의 처리수의 수위가 중간 수위(X)에 도달하여 중간 수위 감지센서(La)가 감지작동할 때, 중간 수위 감지센서(La)의 신호에 의해 상기 부상 여재(310)를 공기 세척할 수 있도록 상기 블로워(500)를 제1설정 시간(T1) 동안 작동시키고, 동시에 상기 부상 여재(310)를 수세척할 수 있도록 상기 세척수 펌프(410)를 제2 설정 시간 동안 작동시키는 제어부(600);를 포함하는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제어부(66)는 상기 블로워(500) 작동 개시 이후, 일정시간 경과한 후 상기 세척수 펌프(410)의 작동을 개시시켜 키는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조(300)의 부상 여재(310)의 상측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여과조(300)의 최대 부상 위치를 제한하는 상부 스크린(311)과, 상기 여과조(300)의 부상 여재(310)의 하측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여과조(300)의 최저 부상 위치를 제한하는 하부 스크린(312)을 포함한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부재(110)에 구비되어 초기 우수에 포함된 유분을 흡착하는 유분 흡착수단을 더 포함하는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 우수 유입 안내관(120)은 상기 유출구(122)의 끝단에 유입되는 초기 우수를 바닥쪽으로 방향전환시키는 덮개(123)를 더 구비한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86234A KR102365033B1 (ko) | 2021-07-01 | 2021-07-01 | 비점오염물질 처리 장치 및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86234A KR102365033B1 (ko) | 2021-07-01 | 2021-07-01 | 비점오염물질 처리 장치 및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65033B1 true KR102365033B1 (ko) | 2022-02-17 |
Family
ID=80493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86234A KR102365033B1 (ko) | 2021-07-01 | 2021-07-01 | 비점오염물질 처리 장치 및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65033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42499B1 (ko) | 2022-11-29 | 2023-06-14 | 주식회사 정도건설산업 | 자가 발전 기능을 가진 비점 오염 저감 시설 |
KR20230132297A (ko) * | 2022-03-08 | 2023-09-15 | (주)에스엠엔지니어링 | 혼합여재를 이용한 우수 비점오염저감시설 |
KR102653501B1 (ko) * | 2023-09-25 | 2024-04-02 | 주식회사 가경코스모 | 비중이 상이한 여과재를 이용한 비점오염저감시설 |
KR102667453B1 (ko) * | 2023-09-25 | 2024-05-20 | 주식회사 가경코스모 | 비중이 상이한 여과재의 압착, 이완을 이용한 비점오염저감시설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82006B1 (ko) * | 2013-10-10 | 2014-04-04 | (주) 일신네이쳐 | 합류식 하수관거의 월류수 및 초기 우수 처리장치 |
KR102081960B1 (ko) * | 2019-10-25 | 2020-02-27 | 이훈정 | 구동챔버 변동형 여과방식을 이용한 역세척자동화 비점오염저감시스템 |
-
2021
- 2021-07-01 KR KR1020210086234A patent/KR10236503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82006B1 (ko) * | 2013-10-10 | 2014-04-04 | (주) 일신네이쳐 | 합류식 하수관거의 월류수 및 초기 우수 처리장치 |
KR102081960B1 (ko) * | 2019-10-25 | 2020-02-27 | 이훈정 | 구동챔버 변동형 여과방식을 이용한 역세척자동화 비점오염저감시스템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132297A (ko) * | 2022-03-08 | 2023-09-15 | (주)에스엠엔지니어링 | 혼합여재를 이용한 우수 비점오염저감시설 |
KR102607542B1 (ko) * | 2022-03-08 | 2023-11-29 | (주)에스엠엔지니어링 | 혼합여재를 이용한 우수 비점오염저감시설 |
KR102542499B1 (ko) | 2022-11-29 | 2023-06-14 | 주식회사 정도건설산업 | 자가 발전 기능을 가진 비점 오염 저감 시설 |
KR102653501B1 (ko) * | 2023-09-25 | 2024-04-02 | 주식회사 가경코스모 | 비중이 상이한 여과재를 이용한 비점오염저감시설 |
KR102667453B1 (ko) * | 2023-09-25 | 2024-05-20 | 주식회사 가경코스모 | 비중이 상이한 여과재의 압착, 이완을 이용한 비점오염저감시설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365033B1 (ko) | 비점오염물질 처리 장치 및 방법 | |
KR102081960B1 (ko) | 구동챔버 변동형 여과방식을 이용한 역세척자동화 비점오염저감시스템 | |
KR101700931B1 (ko) | 스크린과 섬유볼 여재의 역세척이 가능한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 |
KR102373598B1 (ko) | 처리수를 활용한 역세척 기능이 구비되는 여과형 비점오염저감시설 | |
KR102361496B1 (ko) | 비점오염 여과장치 | |
KR102199644B1 (ko) | 유동상 필터층에서의 압밀 및 이완 기술을 구성한 비점오염원처리시스템 | |
KR102291065B1 (ko) | 공간절감형 비점오염저감시설 및 고효율 역세척 방법 | |
KR101874063B1 (ko) | 스크린과 여재를 이용한 비점오염원 처리장치 | |
KR101653780B1 (ko) | 역세척자동화시스템이 구비된 비점오염저감시설장치 | |
KR101136385B1 (ko) | 초기 우수 처리장치 및 초기 우수 처리방법 | |
KR101872911B1 (ko) |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 |
KR101181863B1 (ko) | 무인 자동 제어가 가능한 초기우수 처리장치 | |
JP5368142B2 (ja) | 合流式下水道における越流水の処理システム | |
KR101242378B1 (ko) | 부유체를 이용한 정체수 배출 및 자동역세가 가능한 비점오염 저감시설 | |
KR101736743B1 (ko) | 자동 역세척 및 정체수 처리 기능을 갖는 비점오염 저감시설의 자동 역세척장치 | |
KR20160010952A (ko) | 비점오염저감시설 | |
KR101729580B1 (ko) | 초기 우수 처리장치 | |
KR101846421B1 (ko) | 비점오염 저감시설 | |
KR100516951B1 (ko) | 건축물 우수배수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 |
KR101262194B1 (ko) | 합류식 하수 관거 월류수 처리 장치 | |
KR102253591B1 (ko) | 역세척 성능이 향상된 비점오염 저감시설 | |
KR100762981B1 (ko) | 도수로의 비점오염 저감장치 | |
KR101785445B1 (ko) | 수두경사를 이용한 무동력 비점오염물 처리용 맨홀 | |
KR101453203B1 (ko) | 교량용 초기우수 비점오염 정화 장치 | |
KR100681715B1 (ko) | 상향류식 다단 여과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70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1070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2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21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2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02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2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