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9017B1 - 비점오염원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비점오염원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9017B1
KR100849017B1 KR1020080041881A KR20080041881A KR100849017B1 KR 100849017 B1 KR100849017 B1 KR 100849017B1 KR 1020080041881 A KR1020080041881 A KR 1020080041881A KR 20080041881 A KR20080041881 A KR 20080041881A KR 100849017 B1 KR100849017 B1 KR 1008490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filtration tank
filtered water
point source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18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석본
김종원
Original Assignee
구석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석본 filed Critical 구석본
Priority to KR10200800418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90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90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90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3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coal, charred products, or inorganic mixtures containing them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1Runoff or storm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24Separation of coarse particles, e.g. by using sieves or screens

Abstract

본 발명은 비점오염원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비점오염원으로부터 유입되는 원수에 함유된 각종 오염물질을 보다 완벽하게 처리하여 배출하므로써 수질 및 토양의 오염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나아가 그 구조가 간단하여 유지관리가 용이한 비점오염원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비점오염원 처리장치에 의하면, 제1,2여과조 및 제3여과조로 구성되어져 유입되는 원수를 단계적으로 여과하여 방류하되 특히, 제1여과조에 구비되어 있는 와류유도관에 의해서 발생되는 와류로 인해 유분이나 부상물질을 쉽게 분리 제거할 수 있어 여과성능이 우수함과 더불어 제2여과조에 구비되어져 부상되는 여과필터에 의해 이물질이 흡착되거나 응집 침전되므로 여과성능이 더 우수하여 보다 완벽하게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어 수질 및 토양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와류유도관, 스크린망, 메쉬망, 맨홀

Description

비점오염원 처리장치{Filtering device}
본 발명은 비점오염원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비점오염원으로부터 유입되는 원수에 함유된 각종 오염물질을 보다 완벽하게 처리하여 배출하므로써 수질 및 토양의 오염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나아가 그 구조가 간단하여 유지관리가 용이한 비점오염원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질오염이나 토양오염을 유발하는 오염원은 크게 점오염원과 비점오염원으로 구분되는데 점오염원은 공장, 하수처리장, 건축물 등과 같이 일정한 지점으로 오염물질을 배출하는 시설을 말하는 것이고, 비점오염원은 불특정장소에서 불특정하게 오염물질을 배출하는 도시, 도로, 노지, 공사장 및 산지 등을 말한다.
상기와 같은 비점오염원으로부터 배출되는 오염물질의 제거방법은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는 바, 화학적 방법, 생물학적 방법 및 물리적 방법 등이 있다.
이중 물리적 방법으로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처리장치가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이는 부유성 입자의 제거가 주된 목적이다. 이러한, 부유성 입자의 제거방 법으로서 다양한 방법이 제시되고 있는데, 그 중에서 스크린에 의한 부유성 입자의 제거방법이 자주 사용되고 있다.
특히, 대한민국특허등록번호 제10-0783048호가 부유성 입자의 제거를 목적으로 한 대표적인 일예일 것이다. 즉, 이 종래기술을 살펴보면, 스크린에 의해 부유성 입자를 크기별로 제거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인데, 이는 부유성 입자를 크기별로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오염물질에 함유된 특히 기름 등의 유분을 제거함에 있어서는 한계가 있었다.
뿐만 아니라, 내부의 물 이동관로가 이물질에 의해 막혔을 때에는 청소가 쉽지 않아 유지관리에도 상당한 애로점이 있고, 이로 인해 유지비용이 증가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근래에 들어서는 유분과 부유성 입자를 동시에 보다 완벽하게 처리할 수 있음과 더불어 유지관리도 용이하여 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비점오염원 처리장치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비점오염원으로부터 유입되는 원수에 함유된 각종 오염물질을 보다 완벽하게 처리하여 배출하므로써 수질 및 토양의 오염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나아가 그 구조가 간단하여 유지관리가 용이한 비점오염원 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에는 와류를 유도하도록 원수가 유입되는 유입관이 편중 결합된 와류유도관이 구비되고, 상기 와류유도관의 하부에는 착탈식 스크린망이 장착되는 제1여과조; 상기 제1여과조와 연접하여 형성되되 접하는 면의 상부에 구비된 제1이송관을 통해 연통되며, 내부에는 유입된 여과수에 의해 상측으로 부상하여 여과수에 함유된 각종 이물질을 흡착하거나 응집 침전시키는 복수개의 여과필터가 구비된 제2여과조; 및 상기 제2여과조와 연접하여 형성되되 접하는 면의 상부에 구비된 제2이송관틀 통해 연통되며, 내부에는 여재층이 구비되어져 제2이송관을 통해 배출된 여과수의 유량조절 및 이물질을 제거하여 일측면에 구비된 배출관으로 방류하는 제3여과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2이송관의 양단부 중 적어도 어느 일단부에는 이송되는 여과수에 함유된 각종 이물질을 제거하는 메쉬망이 구비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2이송관의 상단부에는 이물질에 의해 관로의 막힘시 에어를 주입하여 청소를 할 수 있도록 에어유입공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3여과조의 여재층은 자갈, 모래 및 활성탄이 하부에서 상부로 순차적으로 적층된다.
본 발명의 비점오염원 처리장치에 의하면, 제1,2여과조 및 제3여과조로 구성되어져 유입되는 원수를 단계적으로 여과하여 방류하되 특히, 제1여과조에 구비되어 있는 와류유도관에 의해서 발생되는 와류로 인해 유분이나 부상물질을 쉽게 분리 제거할 수 있어 여과성능이 우수함과 더불어 제2여과조에 구비되어져 부상되는 여과필터에 의해 이물질이 흡착되거나 응집 침전되므로 여과성능이 더 우수하여 보다 완벽하게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어 수질 및 토양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구조가 간단하여 잔고장의 발생률이 저하됨은 당연하고, 상기 제1,2여과조 및 제3여과조에는 관리용 맨홀이 각각 형성되므로 청소가 용이하며, 여과수를 이송하는 제1,2이송관에 대해서도 에어를 주입하여 청소가 가능하므로 유지관리가 용이한 효과를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비점오염원 처리장치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 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일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비점오염원 처리장치의 일부 절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1 및 2를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비점오염원 처리장치(10)는 크게 제1여과조(100), 제2여과조(200) 및 제3여과조(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제1여과조(100)의 내부에는 일측에서 삽입된 원수 유입관(110)이 결합된 와류유도관(120)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와류유도관(120)의 하부에는 부상되지 않고 침전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착탈식 스크린망(130)이 구비되는데, 상기 유입관(110), 와류유도관(120) 및 스크린망(130)의 결합 및 작동관계는 하기에서 보다 상술토록 하겠다.
한편, 상기 제1여과조(100) 상면에는 제1여과조(100) 내부 혹은 스크린망(130) 등을 쉽게 청소하기 위해서 관리용 맨홀(140)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맨홀(140)(230)(340)은 상기 제2여과조(200)는 물론이고 제3여과조(300)에도 구비되어 있으며, 이는 이미 공지되어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별도로 언급하지 않기로 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2여과조(200)는 상기 제1여과조(100)와 연접하여 형성되되 접하는 면의 상부에 구비된 제1이송관(210)을 통해 연통되며, 내부에는 복수개의 여과필터(22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1이송관(210)의 양단부 중 상기 제2여과조(200)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일단부의 끝단에는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는 메쉬망(212)이 구비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상기 여과필터(220)는 물에 의해 부상하도록 부력을 가지는 소재로 작은 알갱이 형태로 제작되며, 부상된 상태에서 알갱이 형태의 여과필터(220)들이 물속에 함유된 각종 이물질을 흡착하거나 응집 침전시키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이러한, 여과필터(220)는 여러 소재로 제작될 수 있을 것이나 그 중에서도 흡착성능이 우수한 메디아필터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제3여과조(300)는 상기 제2여과조(200)와 연접하여 형성되되 접하는 면의 상부에 구비된 제2이송관(310)을 통해 연통되고, 내부에는 여재층(320)이 구비되어져 상기 제2이송관(310)을 통해 배출된 여과수에 함유된 각종 이물질을 제거함과 동시에 유량을 조절하여 일측면에 구비된 배출관(330)으로 방류하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2이송관(310)의 양단부에는 이송되는 여과수에서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도록 각각 메쉬망(312a,312b)에 구비되어 있으며, 그 일단부는 상기 제3 여과조(300)의 내부 하측으로 연장됨과 동시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져 제3여과조(300) 내부에 구비된 여재층(320)의 최하단부에 매설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여재층(320)은 상기 제2이송관(310)에서 배출되는 여과수를 여과함은 물론이 유량을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여재층(320)은 제2이송관(310)에서 여과수가 안정적으로 배출됨과 동시에 배출되는 여과수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자갈(322)이 일정 두께로 최하단부에 적층되고, 그 상부에는 자갈(322)을 통해 상승하는 여과수에서 이물질을 걸러내는 모래(324)와 활성탄(326)이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구조를 가진다.
이제, 하기에서는 상기 와류유도관(120) 및 제1,2이송관(210)(310)의 구조에 대해서 보다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즉, 도 3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와류유도관의 사시도이고, "나"는 와류유도관의 평면도이며, "다"는 "가"의 B-B선 단면도이고, 도 4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제1이송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제2이송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먼저, 도 3의 "가" 내지 "다"를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와류유도관(120)은 상하 개방된 원통형 형상을 가지며, 이의 상부에 결합된 유입관(110)은 편중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유입관(110)으로부터 유입된 원수는 와류유도관(120)의 내벽을 따라 나선형으로 선회하여 하향되므로 와류 현상이 발생되는 것은 너무나 당연하다.
그리고, 상기 와류유도관(120)의 하측에는 착탈식 스크린망(130)이 구비되어 있음을 알 수 있는데, 여러 방법을 통해 상기 스크린망(130)을 착탈식으로 구현할 수 있겠지만 일예로, 상기 와류유도관(120)의 하부 내측에는 내향된 플랜지부(122)를 형성하고, 상기 스크린망(130)의 상부 외측에는 외향된 플랜지부(132)를 형성하여 상기 스크린망(130)을 상기 와류유도관(120)의 상부 내측으로 삽입시켜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장 보편적이고도 편리한 방법일 것이다.
이렇게 구성된 와류유도관(120) 및 이 하부에 결합된 스크린망(130)은 상기 도 2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제1여과조(100) 내부에 설치되며, 일측벽에서 삽입된 유입관(110)은 상기 와류유도관(120)의 상측에 편중 결합되는 것이다.
이제, 도 4의 "가"를 참조로 하면, 제1이송관(210)은 상부에 에어유입공(214)이 형성되어 있고, 일단부에는 복수개의 미세공으로 구성된 메쉬망(212)이 구비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렇게 구성된 제1이송관(210)은 상기 도 2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제1,2여과조(100)(200)의 접하는 면 상부에 설치되어져 일단부는 제1여과조(100) 내부에 위치되고, 타단부는 제2여과조(200) 내부에 위치되어 제1여과조(100)에서 여과된 여과수를 제2여과조(200)로 이송하는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일단부에 구비된 메쉬망(212)이 여과수의 이송과정에서 함유된 각종 이물질을 걸러 내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에어유입공(214)은 후술하겠지만 관로나 메쉬망(212)이 이물질에 의해서 막혔을 경우 콤퓨레샤와 같은 에어공급장치에서 발생되는 에어를 주입하 여 쉽게 뚫을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이다.
계속해서, 도 4의 "나"를 참조로 하면, 제2이송관(310) 또한 상기 제1이송관(210)과 마찬가지로 상부에는 에어유입공(314)이 형성되고, 제1이송관(210)과 달리 양단부에 복수개의 미세공으로 구성된 메쉬망(312a,312b)이 각각 구비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렇게 구성된 제2이송관(310)은 상기 도 2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제2여과조(200)와 제3여과조(300)가 접하는 면 상부에 설치되어져 그 일단부는 상기 제2여과조(200)에 위치되고, 그 타단부는 상기 제3여과조(300)에 위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2이송관(310)의 타단부 즉, 제3여과조(300)에 위치되는 부분은 제3여과조(300) 바닥면까지 연장됨과 동시에 길이 방향으로 수평 절곡된다.
그리고, 상기 제2이송관(310)의 상부에 형성된 에어유입공(314)은 상기 제1이송관(210)의 에어유입공(214)과 같은 역할을 하게 된다.
이제, 하기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비점오염원 처리장치(10)의 작동관계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즉,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비점오염원 처리장치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 종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비점오염원 처리장치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 종단면도이다.
먼저, 도 5를 참조로 하면, 지하에 매설되어 있는 비점오염원 처리장치(10) 의 유입관(110)으로 오염물질 즉, 원수가 유입되면 원수는 제1여과조(100)로 이송되는데, 이때 유입관(110)은 상기 제1여과조(100)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와류유도관(120)에 편중 결합되어 있으므로 유입관(110)을 통해 배출되는 원수는 와류가 발생되며, 이 과정에서 유분을 포함한 부상물질은 와류 현상에 의해 쉽게 분리되어져 상부로 부상하게 되고, 부상물질이 제거된 원수는 와류유도관(120) 하부에 결합되어 있는 스크린망(130)을 통과하여 제1여과조(100)에 저장된다. 한편, 와류에 의해 부상되지 않은 각종 이물질은 상기 스크린망(130)에 의해서 대부분 걸러지게 된다.
계속해서, 상기 제1여과조(100) 내부에 저장되는 여과수가 적정 수위에 도달하면 이 여과수는 제1이송관(210)을 통해 제2여과조(200)로 이송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제1이송관(210)의 일단부에 메쉬망(212)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상기 스크린망(130)을 통과한 이물질이 다시 걸러지게 된다.
한편, 상기 제2여과조(200) 내부에 여과수가 저장되는 과정에서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여과필터(220)는 부상하게 되고, 부상한 후 이물질을 흡착함과 동시에 부상되는 이물질을 응집침전시키는 형태로 여과작동을 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한 응집침전원리를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여과수에 의해 부상되어 있는 여과필터(220)는 여과수의 이동에 의해 부상되는 이물질의 작은 입자들을 흡착함은 당연하고, 입자들간의 충돌을 유도하여 응집시켜 침전을 유도하므로 이물질들이 더 이상 여과수와 함께 이동되지 못하도록 한다. 다시 말하면, 여과수에 의해서 부상하는 입자가 작은 이물질은 여과필터(220)에 의해 더 이상 진행되지 못하므로 이에 흡착되거나 서로 충돌하여 큰 입자 형태로 형성되어 자체 침전하게 되는 것이다.
계속해서, 상기 제2여과조(200) 내부에 저장되는 여과수가 적정 수위에 도달하면 이번에는 제2이송관(310)을 통해 제3여과조(300)로 이송된다. 이때, 상기 제2이송관(310)에도 메쉬망(312a,312b)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1이송관(210)은 물론이고 여과필터(220)에 의해 제거되지 못한 각종 이물질이 제거될 것은 너무나 당연하다. 그리하여, 상기 제2이송관(310)을 통해 배출된 여과수는 상부에 적층되어 있는 여재층(320) 즉, 자갈(322)에 의해서 유량이 조절됨과 동시에 그 상부에 적층된 모래(324) 및 활성탄(326)에 의해서 최종적으로 이물질이 거의 완벽하게 제거되어진 후 배출관(330)을 통해 외부로 방류된다.
한편, 상기한 여과과정을 장시간 반복하다 보면, 상기 제1,2여과조(100,200)는 물론이고 제1,2이송관(210,310) 및 제3여과조(300)의 여재층(320)에는 각종 이물질이 누적될 것인데, 이 누적된 이물질의 청소과정은 도 6을 참조로 하여 설명토록 하겠다.
우선, 제1,2이송관(210,310)에 각각 구비된 메쉬망(212,312a,312b)에 다수의 이물질이 누적되어 메쉬망(212,312a,312b)이 막히게 될 경우에는 상부에 구비된 콤퓨레샤(400)를 이용하여 각 이송관(210,310)에 형성되어 있는 에어유입공(214,314)으로 에어를 주입하여 막힌 메쉬망(212,312a,312b)을 뚫거나 미도시된 흡입기를 이 용하여 흡입 제거하여 여과수가 상시 원활한 이송이 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1,2여과조(100,200) 바닥면에 이물질이 침전된 경우나 제1여과조(100)의 와류유도관(120)의 상부에 부상물질이 부상되어 있는 경우에는, 각 여과조(100,200) 상부에 구비된 맨홀(140,230)을 열고 미도시된 흡입기를 사용하여 흡입하여 제거하면 될 것이다.
또한, 상기 제2여과조(200)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여과필터(220)와 제3여과조(300)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여재층(320) 역시 각 맨홀(230,340)을 열어 외부로 반출하여 깨끗이 씻어 흡착되거나 누적된 이물질을 제거한 다음 재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비점오염원 처리장치(10)에 의하면, 제1,2여과조(100,200) 및 제3여과조(300)로 구성되어져 유입되는 원수를 단계적으로 여과하여 방류하되 특히, 제1여과조(100)에 구비되어 있는 와류유도관(120)에 의해서 발생되는 와류로 인해 유분이나 부상물질을 쉽게 분리 제거할 수 있어 여과성능이 우수함과 더불어 제2여과조(200)에 구비되어져 부상되는 여과필터(220)에 의해 이물질이 흡착되거나 응집 침전되므로 여과성능이 더 우수하여 보다 완벽하게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어 수질 및 토양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구조가 간단하여 잔고장의 발생률이 저하됨은 당연하고, 상기 제1,2여과조(100,200) 및 제3여과조(300)에는 관리용 맨홀(140,230,340)이 각각 형성되므로 청소가 용이하며, 여과수를 이송하는 제1,2이송관(210,310)에 대해서도 에어를 주입하여 청소가 가능하므로 유지관리가 용이한 장점을 지닌다.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개설하였다.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구성하는 부가적인 특징과 장점들이 이하에서 상술될 것이다. 개시된 본 발명의 개념과 특정 실시예는 본 발명과 유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구조의 설계나 수정의 기본으로서 즉시 사용될 수 있음이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인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개시된 발명의 개념과 실시예가 본 발명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로 수정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서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한 그와 같은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 구조는 특허청구범위에서 기술한 발명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비점오염원 처리장치의 일부 절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와류유도관의 사시도이고, "나"는 와류유도관의 평면도이며, "다"는 "가"의 B-B선 단면도.
도 4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제1이송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제2이송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비점오염원 처리장치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비점오염원 처리장치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 발명의 비점오염원 처리장치 100 : 제1여과조
110 : 유입관 120 : 와류유도관
122 : 플랜지부 130 : 스크린망
132 : 플랜지부 140 : 맨홀
200 : 제2여과조 210 : 제1이송관
212 : 메쉬망 214 : 에어유입공
220 : 여과필터 230 : 맨홀
300 : 제3여과조 310 : 제2이송관
312a,312b : 메쉬망 314 : 에어유입공
320 : 여재층 322 : 자갈
324 : 모래 326 : 활성탄
330 : 배출관 340 : 맨홀
400 : 콤퓨레샤

Claims (4)

  1. 내부에는 와류를 유도하도록 원수가 유입되는 유입관이 편중 결합된 와류유도관이 구비되고, 상기 와류유도관의 하부에는 착탈식 스크린망이 장착되는 제1여과조;
    상기 제1여과조와 연접하여 형성되되 접하는 면의 상부에 구비된 제1이송관을 통해 연통되며, 내부에는 유입된 여과수에 의해 상측으로 부상하여 여과수에 함유된 각종 이물질을 흡착하거나 응집 침전시키는 복수개의 여과필터가 구비된 제2여과조; 및
    상기 제2여과조와 연접하여 형성되되 접하는 면의 상부에 구비된 제2이송관틀 통해 연통되며, 내부에는 여재층이 구비되어져 제2이송관을 통해 배출된 여과수의 유량조절 및 이물질을 제거하여 일측면에 구비된 배출관으로 방류하는 제3여과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원 제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이송관의 양단부 중 적어도 어느 일단부에는 이송되는 여과수에 함유된 각종 이물질을 제거하는 메쉬망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원 제거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이송관의 상단부에는 이물질에 의해 관로의 막힘시 에어를 주입하여 청소를 할 수 있도록 에어유입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원 제거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3여과조의 여재층은 자갈, 모래 및 활성탄이 하부에서 상부로 순차적으로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원 제거장치.
KR1020080041881A 2008-05-06 2008-05-06 비점오염원 처리장치 KR1008490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1881A KR100849017B1 (ko) 2008-05-06 2008-05-06 비점오염원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1881A KR100849017B1 (ko) 2008-05-06 2008-05-06 비점오염원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9017B1 true KR100849017B1 (ko) 2008-07-30

Family

ID=39825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1881A KR100849017B1 (ko) 2008-05-06 2008-05-06 비점오염원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9017B1 (ko)

Cited B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6056B1 (ko) * 2008-10-07 2009-05-07 주식회사 한국종합환경 우수 처리장치
KR100900053B1 (ko) 2008-12-04 2009-05-28 (주)한솔환경건설 비점오염원 처리장치
KR100901263B1 (ko) 2009-01-30 2009-06-08 비손푸른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이온 교환조를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자연형 비점 오염원 저감장치
KR100905693B1 (ko) 2008-12-30 2009-07-03 (주)낙동수환경방재기술원 초기 우수 처리 장치
KR100911819B1 (ko) 2009-01-21 2009-08-12 김유향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
KR100949325B1 (ko) 2009-04-17 2010-03-23 비손푸른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저류지 전단 설치용 자연형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0987316B1 (ko) 2010-05-13 2010-10-12 박병대 유수분리 및 상향여과 복합방식의 비점 오염물질 처리장치 및 정화 방법
KR101004083B1 (ko) * 2010-07-06 2010-12-27 주식회사 대진환경산업 와류형 제1, 2처리부와 제3미생물 산화분해처리부로 구성된 비점오염원처리장치
KR101043814B1 (ko) 2009-05-14 2011-06-22 김재영 빗물 관리 시설
KR101055993B1 (ko) * 2008-08-22 2011-08-11 조창식 비점 오염원 처리장치
KR200459753Y1 (ko) 2008-12-10 2012-04-16 비손푸른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KR101168692B1 (ko) * 2009-06-08 2012-07-30 (주)그린텍 목편여재를 이용한 하천수 정화처리장치
KR101208694B1 (ko) 2012-05-31 2012-12-05 조영철 우수의 여과장치
KR101227333B1 (ko) * 2011-01-13 2013-01-28 한국전력기술 주식회사 부상수문을 이용한 비점오염원 처리장치
KR101426930B1 (ko) * 2013-02-06 2014-08-13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철도시설물의 비점오염 저감시설
KR20140133489A (ko) * 2014-09-15 2014-11-19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유분 흡착 스크린이 적용된 철도시설물의 비점오염 저감 시설
KR101471181B1 (ko) 2014-02-25 2014-12-15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유분 흡착 스크린이 분리 가능한 철도시설물의 비점오염 저감시설
KR101471180B1 (ko) 2014-02-25 2014-12-15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유분 흡착 스크린이 적용된 철도시설물의 비점오염 저감시설
KR101527466B1 (ko) * 2014-11-19 2015-06-15 주식회사 케이이테크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1545448B1 (ko) * 2014-06-23 2015-08-18 김광채 초기우수의 수처리 시스템
KR20190068908A (ko) * 2017-12-11 2019-06-19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반응성 여과설비를 이용한 배수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4153A (ko) 2000-08-24 2000-11-06 전양근 하이드로 싸이클론을 이용한 오물수거식 맨홀
KR200417012Y1 (ko) * 2006-02-24 2006-05-23 주식회사 텍풀이엔씨 초기우수처리시설 시스템
KR100700024B1 (ko) * 2006-05-25 2007-03-28 주식회사 한국종합환경 수중 오염물질 처리장치
KR20070075371A (ko) 2007-05-25 2007-07-18 비손푸른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초기 강우 유출수에 포함된 오염원의 단계별 저감 시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4153A (ko) 2000-08-24 2000-11-06 전양근 하이드로 싸이클론을 이용한 오물수거식 맨홀
KR200417012Y1 (ko) * 2006-02-24 2006-05-23 주식회사 텍풀이엔씨 초기우수처리시설 시스템
KR100700024B1 (ko) * 2006-05-25 2007-03-28 주식회사 한국종합환경 수중 오염물질 처리장치
KR20070075371A (ko) 2007-05-25 2007-07-18 비손푸른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초기 강우 유출수에 포함된 오염원의 단계별 저감 시설

Cited B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5993B1 (ko) * 2008-08-22 2011-08-11 조창식 비점 오염원 처리장치
KR100896056B1 (ko) * 2008-10-07 2009-05-07 주식회사 한국종합환경 우수 처리장치
KR100900053B1 (ko) 2008-12-04 2009-05-28 (주)한솔환경건설 비점오염원 처리장치
KR200459753Y1 (ko) 2008-12-10 2012-04-16 비손푸른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KR100905693B1 (ko) 2008-12-30 2009-07-03 (주)낙동수환경방재기술원 초기 우수 처리 장치
KR100911819B1 (ko) 2009-01-21 2009-08-12 김유향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
WO2010085013A1 (ko) * 2009-01-21 2010-07-29 Kim Yu-Hyang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
KR100901263B1 (ko) 2009-01-30 2009-06-08 비손푸른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이온 교환조를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자연형 비점 오염원 저감장치
KR100949325B1 (ko) 2009-04-17 2010-03-23 비손푸른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저류지 전단 설치용 자연형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1043814B1 (ko) 2009-05-14 2011-06-22 김재영 빗물 관리 시설
KR101168692B1 (ko) * 2009-06-08 2012-07-30 (주)그린텍 목편여재를 이용한 하천수 정화처리장치
KR100987316B1 (ko) 2010-05-13 2010-10-12 박병대 유수분리 및 상향여과 복합방식의 비점 오염물질 처리장치 및 정화 방법
KR101004083B1 (ko) * 2010-07-06 2010-12-27 주식회사 대진환경산업 와류형 제1, 2처리부와 제3미생물 산화분해처리부로 구성된 비점오염원처리장치
KR101227333B1 (ko) * 2011-01-13 2013-01-28 한국전력기술 주식회사 부상수문을 이용한 비점오염원 처리장치
KR101208694B1 (ko) 2012-05-31 2012-12-05 조영철 우수의 여과장치
KR101426930B1 (ko) * 2013-02-06 2014-08-13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철도시설물의 비점오염 저감시설
KR101471181B1 (ko) 2014-02-25 2014-12-15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유분 흡착 스크린이 분리 가능한 철도시설물의 비점오염 저감시설
KR101471180B1 (ko) 2014-02-25 2014-12-15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유분 흡착 스크린이 적용된 철도시설물의 비점오염 저감시설
KR101545448B1 (ko) * 2014-06-23 2015-08-18 김광채 초기우수의 수처리 시스템
KR20140133489A (ko) * 2014-09-15 2014-11-19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유분 흡착 스크린이 적용된 철도시설물의 비점오염 저감 시설
KR101579235B1 (ko) * 2014-09-15 2016-01-05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유분 흡착 스크린을 포함하는 비점오염 저감시설
KR101527466B1 (ko) * 2014-11-19 2015-06-15 주식회사 케이이테크 비점오염저감시설
KR20190068908A (ko) * 2017-12-11 2019-06-19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반응성 여과설비를 이용한 배수시스템
KR101992279B1 (ko) * 2017-12-11 2019-06-24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반응성 여과설비를 이용한 배수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9017B1 (ko) 비점오염원 처리장치
KR101700931B1 (ko) 스크린과 섬유볼 여재의 역세척이 가능한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US9739047B2 (en) Non-point pollutant source treatment apparatus
KR101288471B1 (ko) 초기 우수 처리장치
KR101831961B1 (ko)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KR102199644B1 (ko) 유동상 필터층에서의 압밀 및 이완 기술을 구성한 비점오염원처리시스템
KR20100020867A (ko) 경사판 여과형을 이용한 도로의 친환경적 비점오염 제거장치
KR101759931B1 (ko) 경량 여재식 다단 습지여상
KR100787625B1 (ko) 오염수정화장치
KR101334884B1 (ko) 미세공극을 갖는 투수성/흡수성 경량기포 콘크리트 여재를 이용하는 초기우수 비점오염물질 저감시설
KR20120022028A (ko) 무인 자동 제어가 가능한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0807192B1 (ko) 와류형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0904287B1 (ko) 하수 월류수 처리장치
KR100826971B1 (ko) 원수 정수장치
KR101263631B1 (ko) 유지관리가 용이한 비점오염 저감장치
KR101846421B1 (ko) 비점오염 저감시설
KR100488613B1 (ko) 간이 상수도 여과장치
KR100719944B1 (ko) 비점 오염원 처리장치
KR101217869B1 (ko) 월류수 처리장치
KR101784886B1 (ko) 분배챔버를 이용한 연속여과장치
KR101185763B1 (ko) 월류수 처리장치
KR100964596B1 (ko) 다층여재형 우수 정화처리 장치
KR101350617B1 (ko) 우수처리 장치
KR101603743B1 (ko) 모래 여과재에 의한 수처리 여과장치
KR200392662Y1 (ko) 비점 오염원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1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