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0085013A1 -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 - Google Patents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0085013A1
WO2010085013A1 PCT/KR2009/000597 KR2009000597W WO2010085013A1 WO 2010085013 A1 WO2010085013 A1 WO 2010085013A1 KR 2009000597 W KR2009000597 W KR 2009000597W WO 2010085013 A1 WO2010085013 A1 WO 2010085013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filtration
tank
rainwater
stormwater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09/00059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유향
Original Assignee
Kim Yu-Hyang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120971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WO2010085013(A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Kim Yu-Hyang filed Critical Kim Yu-Hyang
Publication of WO2010085013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008501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E03F5/16Devices for separating oil, water or grease from sewage in drains leading to the main sew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02F1/004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using large scale industrial sized fil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03F5/0404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with a permanent or temporary filtering device; Filte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inorganic sorb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3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coal, charred products, or inorganic mixtures containing them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001/007Processes including a sedimentation step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003/001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using granular carriers or supports for the microorganism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1/00Nature of the contaminant
    • C02F2101/10Inorganic compounds
    • C02F2101/20Heavy metals or heavy metal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1/00Nature of the contaminant
    • C02F2101/30Organ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1Runoff or storm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1/00General aspects of water treatment
    • C02F2301/02Fluid flow condi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52Water filtration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reducing non-point pollutants, and more particularly, it is possible to secure a drop in the rain (or rainwater) inflow in itself, so that no separate installation work is required to secure a specific position, and a sedimentation tank and a plurality of filtrations are provided.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purification efficiency of rainwater by increasing the time to purify the layer and rainwater through the filter media, and relates to a non-point pollutant reduction device that can increase the degree of purification of rainwater by filtering heavy metal components and organic matter of rainwater.
  • sources of water pollutants can be classified into point sources and nonpoint sources.
  • Point sources are continuously generated at a certain point such as domestic sewage, factory wastewater, and industrial wastewater.
  • Non-point pollutants are pollutants that are discharged along with surface runoff during rainfall, while urban dust and trash, fertilizers and pesticides applied to farmland, soil erosion, barn effluents, and atmospheric sediments It means the back, and spills from a large area.
  • the vegetation type and ultrafast flocculation of the infiltration type which requires a lot of maintenance such as the infiltration site and the infiltration trench, the artificial wetland which requires a relatively large site, the storage type such as the reservoir pond, the vegetation filtration band, the vegetation channel, etc.
  • the storage type such as the reservoir pond, the vegetation filtration band, the vegetation channel, etc.
  • sewage treatment types such as sedimentation facilities, they have relatively high capacity for regulating nonpoint sources, but they are expensive and require large area for installation of treatment facilities. There was a difficulty in accepting the land.
  • Non-point pollutant treatment increases the processing cost and becomes difficult as far away from the pollutant. It is preferable to apply, but the conventional non-point pollutant treatment has a problem in cost and efficiency in the manner of collecting and treating contaminants at the end of the drain pipe.
  • Korean Patent No. 546061 “Method and Apparatus for Initially Precipitation of All Excellent Water Using Multi-Phase Filtration Facility” provides a multi-sided filtration system that can separate a high-contamination initial excellent facility and secure a large filtration area at a small area.
  • the technology to install the facility and collect the high-contamination initial rainwater on a first-come, first-served basis to filter the whole quantity is disclosed.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and complement the problems caused by the conventional non-point pollutant reducing device as described above,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duce the non-point pollutants to increase the purification efficiency of rainwater by using the sedimentation and oil water separation in the first half of the device, and then increase the purification time through the rainwater filter through a number of filter layers and zigzag path. To provide a device.
  •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degree of purification of rainwater by filtering heavy metal components and organic matter of rainwater containing nonpoint pollutants, and to provide a nonpoint pollutant reduction device that can block the outflow of microorganisms in the latter part of the device. have.
  • the inlet A first precipitation tank into which rainwater containing nonpoint pollutants enters through an inlet; A composite filtration tank in which rainwater having passed through the first precipitation tank is introduced and filtered; A second precipitation tank into which rainwater treated in the composite filtration tank is introduced; And an outlet through which rainwater flows through the second precipitation tank; Including, but the composite filtration tank, the first filtration layer is filtered suspended matter contained in rainwater; A second filtration layer through which the fine fine suspended substances passing through the first filtration layer are filtered; A third filtration layer in which heavy metal of rainwater having passed through the second filtration layer is filtered; A fourth filtration layer through which the organic matter having passed through the third filtration layer is filtered; And a blocking wall on which one side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composite filtration tank so as to be disposed to be offset from each other between the first to fourth filtration layers, and the other side is spaced apart from the inner wall
  • a strainer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ourth filtration layer and the second precipitation tank.
  • the fourth filtration layer is a microbial layer in which microorganisms decompose organic matter, and the strainer may be configured as an outflow prevention screen for preventing the outflow of the microorganisms.
  •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connecting pipe disposed between the first settling tank and the composite filtration tank for introducing rainwater to the upper side of the composite filtration tank.
  • the first filtration layer it may be configured so that the impact buffer for reducing the impact of rainwater flowing from the connecting pipe passage.
  • Between the first filtration layer and the shock absorber can be configured to form a scaffold for the operator to work in the composite filtration tank.
  • the first settling tank and combined filtration tank, the second settling tank may be configured to be provided with an opening and closing cover that can be entered or checked inside.
  • the apparatus for reducing non-point pollutants According to the apparatus for reducing non-point polluta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ecure a fall when the rainfall itself is excellent, so there is no need for installation work to secure a specific location, thereby reducing the installation cost.
  •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precipitation tank in the first half of the device, after which the rainwater is filtered through the passage of a large number of filtration layers and zigzag,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purification time of rainwater, and as a result can be obtained the effect of improving the purification efficiency.
  • the present invention can increase the degree of purification of rainwater by filtering the heavy metal components and organic matter of rainwater containing non-point pollutants, and to block the water pollution by microorganisms by installing a screen to prevent the outflow of microorganisms in the second half It is effective to prevent.
  • FIG. 1 is a partial cutaway perspective view of a non-point pollutant reduc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plan view of the non-point pollutant reducing device shown in FIG.
  •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non-point pollutant reducing device shown in FIG.
  • FIG. 1 is a partial cutaway perspective view of a non-point pollutant reduc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plan view of the non-point pollutant reducing device shown in Figure 1
  • Figure 3 is a non-point pollutant shown in FIG. It is sectional drawing of an abatement apparatus.
  • the non-point pollutant reducing apparatus 10 is largely the inlet 12, the first precipitation tank 100, the composite filtration tank 200, the second precipitation tank 300 And an outlet 14, the first settling tank 100, the composite filtration tank 200, and the second settling tank 300 each have an opening / closing cover 16 capable of entering / exiting or checking the inside thereof. You will be able to work in or check the purification status of rainwater.
  • the initial rainwater is drawn from a rectangular or circular manhole structure (not shown) in which rainwater is collected at the initial stage of rainfall, which is made through an inlet 12 connected to the manhole structure,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t is introduced into the first settling tank 100.
  • the inlet 12 is shown as one in the figure, it may be composed of two or more numbers according to the use environment of the non-point pollutant reducing device 10, etc., may be configured so that rainwater flows in various directions.
  • the first sedimentation tank 100 is a component that physically separates the suspended solids such as oil and heavy sediments such as soil, sludge, and contaminants among the non-point pollutants.
  • Floating substances including oil can be periodically removed using a nonwoven fabric, and in the case of sediment, a sediment collection container (not shown) that can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lower part of the first sedimentation tank 100 can be configured to facilitate sediment treatment.
  • a separate drain facility (not shown) for discharging the precipitate may be provided.
  • Rainwater that passed through the first precipitation tank 100 is filtered into the composite filtration tank 200, in the present invention by connecting between the first precipitation tank 100 and the composite filtration tank 200 described below to secure a drop during rainwater inflow It forms a connection pipe 110 to allow the rainwater flows into the upper side of the composite filtration tank 200. That is, the connecting pipe 110 serves to allow the first precipitation tank 100 and the composite filtration tank 200 to pass through all the filtration layers in the composite filtration tank by gravity while being disposed on the same horizontal line. In order to secure a free fall during the inflow, construction such as deepening the excavation depth of the ground may not be carried out.
  • the composite filtration tank 200 is a component that filters the rainwater flowing through the first precipitation tank 100 through the connection pipe line 110.
  • the first filtration layer 210, the second filtration layer 220, and the third It comprises a filtration layer 230, the fourth filtration layer 240 and the blocking wall 206, the operator opens the opening and closing cover 16 of the composite filtration tank 200 on the top of the first filtration layer 210 Scaffolding 204 is formed to be able to enter and exit the work such as removal of foreign matter.
  • the rainwater flowing through the connection pipe 110 may be dissipated by a drop initially and disperse the sand layer 212 constituting the first filtration layer 210.
  • the impact relief tool 202 for reducing the impact of rain on the scaffold 204 on which the rain drops fall for example, uses a structure in which gravel is covered and covered with a metal net.
  • the shock absorber 202 may mitigate the impact of rainwater, the filtration of rainwater may be performed for the first time in the composite filtration tank 200.
  • the first filtration layer 210 includes a sand layer 212 and a filter 214 disposed on the sand layer 212.
  • the filter 214 is provided to compensate for the lack of the sand layer 212 function.
  • the first filtration layer 210 is to filter again the suspended matter while passing through the first settling tank (100).
  • the filter 214 is used to fill the media such as zeolite, activated carbon, charcoal, anthracite, bent knight, wood chips. There are many kinds of such media, which cannot be enumerated one by one, and a variety of media suitable for the use environment of the non-point pollutant reducing device 10 may be used.
  • the filter 214 can be used by adding or subtracting the number depending on the use environment, maintenance and management costs of the non-point pollutant reducing device 10, and the size and shape can also be changed.
  • the detachable filter cloth (not shown) is wound around the outside of the filter 214 so as to be easily maintained and managed.
  • Rainwater entering filter 214 is directed and discharged through a separate passage, ie pipe 214a, from that filtered by sand layer 212.
  • the rainwater discharged from the pipe 214a is mixed again with the rainwater filtered by the sand layer 212 and flows to the second filtration layer 220.
  • the second filtration layer 220 is a layer through which the fine suspended solids that have passed through the first filtration layer 210 are filtered, and the suspended solids (SS) included in the rainwater, ie, the suspended and soluble fine particulate matter, are filtered and biologically treated.
  • the oxygen demand (BOD) is lowered, and the same media as the media used for the filter 214 may be used, or other media may be used depending on the use environment, maintenance and management costs of the non-point pollutant reducing apparatus 10, and the like.
  • the third filtration layer 230 is a layer for adsorbing and filtering heavy metals from rain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second filtration layer 220.
  • Activated carbon, volcanic ash, plant biomass, or the like may be used.
  • the fourth filtration layer 240 is a layer for decomposing and removing organic matter from the rain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third filtration layer 230.
  • the fourth filtration layer 240 decomposes the organic matter contained in the non-point pollutant. It consists of a microbial layer inhabited by microorganisms. The organic matter of the non-point pollutant that has been treated but not removed in the first precipitation tank 100 and the composite filtration tank 200 is decomposed by the microorganisms in the fourth filtration layer 240.
  • the fourth filtration layer 240 is preferably to create an environment using gravel and the like so that microorganisms can inhabit and proliferate.
  • the barrier wall 206 is formed between the first to fourth filtration layers 210, 220, 230, and 240, that is, between the first filtration layer 210 and the second filtration layer 220, and the second filtration layer 220. It is disposed between the third filtration layer 230 and between the third filtration layer 230 and the fourth filtration layer 240, respectively.
  • One of the barrier walls 206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composite filtration tank 200 and the other is spaced apart from the inner wall of the composite filtration tank 200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is disposed to be offset from each other.
  • the barrier wall 206 disposed between the first filtration layer 210 and the second filtration layer 220 is disposed between the third filtration layer 230 and the fourth filtration layer 240.
  • the blocking wall 206 is placed on the same vertical line, and the blocking wall 206 disposed between the second filtration layer 220 and the third filtration layer 230 is placed on another vertical line so that the first to fourth blocks may be disposed.
  • Rainwater that passes through the filtration layers 210, 220, 230, and 240 will be zigzag. Accordingly, the time for purifying the rainwater through the media forming the first to fourth filtration layers 210, 220, 230, and 240 increases, thereby increasing the purification efficiency of the rainwater.
  • the second precipitation tank 300 is a component in which rainwater treated in the composite filtration tank 200 is introduced to precipitate rainwater secondly. As the organic matter is decomposed by the microorganism of the fourth filtration layer 240, the microorganism and the organic matter are aggregated to form a precipitate. In the second precipitation tank 300, the precipitate is precipitated.
  • the strainer 242 is preferably disposed between the fourth filtration layer 240 and the second precipitation tank 300 to prevent the outflow of microorganisms.
  • the strainer 242 is preferably configured as an outflow prevention screen that prevents the outflow of microorganisms inhabiting the fourth filtration layer 240. If the sieve 242 is disposed in the second sedimentation tank 300 to precipitate and process the rainwater passing through the sieve 242.
  • Outlet 14 is a component in which rain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second settling tank 300 is discharged, and the rain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all purification processes is discharged to a river or the like. Like the inlet 12 described above, the outlet 14 may be composed of two or more numbers or may be configured to discharge rainwater in various directions.
  • non-point pollutants move from the ground and the like with rainwater to collect in the manholes and the like with the initial excellent rainfall during rainfall.
  • the manhole is connected to the inlet 12 of the non-point pollutant reducing apparatus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which rainwater is introduced into the first settling tank 100.
  • Sediment in the non-point pollutant is settled down the first settling tank 100 by its own weight, and sedimented, oil and suspended solids rise to physically and primarily separate the flow water.
  • the rainwater that passed through the first settling tank 100 is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first settling tank 100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complex filtration tank 200 through a connecting pipe 110 connected to the composite filtration tank ( It is introduced with 200 drops.
  • the rainwater flowing into the composite filtration tank 200 falls to the metal mesh filled with gravel, that is, the impact relief 202, and falls into the first filtration layer 210 including the sand layer 212 and the filter 214.
  • the filter 214 is to compensate for this because the rainwater passes through the sand layer 212 is short, and the filter cloth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filter 214 is separated by the air gap to remove the filter cloth and washed with water after Can be reattached and used.
  • Filter 214 can be used to replace the new filter when the filter medium filled in the pores. At this time, the smaller the size of the pore can increase the purification efficiency, but since the time for clogging the pores becomes difficult to maintain and manage, it is better to use an appropriate pore so as to easily maintain and manage a certain degree of purification efficiency.
  • the rainwater from which the suspended matter is filtered by the first filtration layer 210 flows in one direction by the blocking wall 206 below the first filtration layer 210, and the inner wall of the blocking wall 206 and the composite filtration tank 200. Suspended and soluble fine particulate matter is introduced into one side of the second filtration layer 220 to be filtered through the space therebetween.
  • the lower part of the second filtration layer 220 is provided with a blocking wall 206 arranged alternately with the blocking wall 206 disposed below the first filtration layer 210. Instead of passing through 220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horizontal metal passes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blocking wall 206 and the inner wall of the composite filtration tank 200 and is introduced into the third filtration layer 230 through which heavy metals are adsorbed and filtered.
  • the third filtration layer 230 is also provided with a blocking wall 206, so that the rainwater passes through the third filtration layer 23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filter the organic matter (the fourth filtration layer ( 240).
  • the rainwater passing through the first to fourth filtration layers 210, 220, 230, and 240 is zigzag by the blocking wall 206, and thus, the purification time is increased, thereby increasing the purification efficiency.
  • the rainwater that passed through the fourth filtration layer 240 flows into the second precipitation tank 300 and is again settled and discharged to the river through the outlet 14 to prevent water pollution of public water or groundwater. It will be possible.

Abstract

본 발명은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체적으로 우수 유입시 낙차를 확보할 수 있으므로 특정위치를 확보하기 위한 설치공사 등이 필요없어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우수가 여재를 통과하여 정화되는 시간을 늘려줌으로써 우수의 정화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우수의 중금속 성분과 유기물을 여과하여 우수의 정화 정도를 높일 수 있는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유입구와; 유입구를 통해 비점오염물질이 포함된 우수가 유입되는 제1 침전조와; 제1 침전조를 거친 우수가 유입되어 여과되는 복합여과조와; 복합여과조에서 처리된 우수가 유입되는 제2 침전조; 및 제2 침전조를 거친 우수가 유출되는 유출구; 를 포함하되, 복합여과조는, 우수에 포함된 부유물질이 여과되는 제1 여과층과; 제1 여과층을 통과한 우수의 미세부유물질이 여과되는 제2 여과층과; 제2 여과층을 거친 우수의 중금속이 여과되는 제3 여과층과; 제3 여과층을 통과한 우수의 유기물이 여과되는 제4 여과층; 및 제1 내지 제4 여과층 사이 각각에 상호 어긋나게 배치하여 지그재그의 여과 경로를 형성하는 차단벽;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
본 발명은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체적으로 우수(또는 빗물) 유입시 낙차를 확보할 수 있으므로 특정위치를 확보하기 위한 별도의 설치공사 등이 필요 없고, 침전조, 다수 여과층 및 우수가 여재를 통과하여 정화되는 시간을 늘려줌으로써 우수의 정화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우수의 중금속 성분과 유기물을 여과하여 우수의 정화 정도를 높일 수 있는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질오염원물질의 발생원은 크게 점오염원과 비점오염원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점오염원은 생활하수, 공장폐수, 산업폐수 등과 같이 비교적 일정한 지점에서 일정한 양이 지속적으로 발생하여 강우시나 비(非)강우시 배출량에 큰 변동이 없는 반면, 비점오염물질은 강우시 지표면 유출수와 함께 유출되는 오염물질로서 도시지역의 먼지와 쓰레기, 농지에 살포된 비료 및 농약, 토양 침식물, 축사 유출물, 대기 강하물 등을 의미하며 넓은 지역에서 유출된다.
이러한 비점오염물질은 계절마다 배출량의 변화가 크고, 예측과 정량화가 어려우며, 기상조건이나 지형, 지질 등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인위적 조절이 어려운 실정이다.
종래의 비점오염원의 관리방법은 각종 처리시설 및 구조물을 설치하여 관리하는 물리적인 방법과, 토지이용 규제와 같은 비물리적인 방법을 적용하는 것으로 구분되었다.
물리적인 방법의 경우 침투지, 침투 트렌치 등의 유지관리가 많이 필요한 침투형과 비교적 넓은 부지가 소요되는 인공습지, 저류연못과 같은 저류형 및 식생여과대, 식생수로 등의 식생형과 초고속 응집, 침전시설과 같은 하수처리형이 있는데 이들은 상대적으로 비점오염원 규제능력이 크지만, 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처리시설 설치에 필요한 소요면적이 처리시설 선정에 있어 주요제한요인이 되는 우리나라에서는 넓은 시설설치 면적의 토지를 수용하는 데 따른 어려움이 있었다.
그리고 비물리적인 방법의 경우 비용은 적게 소요되나 효율이 낮고 민원발생의 소지가 높다는 문제가 있었다.
더불어, 일단 비점오염물질이 지표수나 지하수로 유입되면 관리가 어렵고, 비점오염원 처리는 오염원에서 멀리 떨어질수록 처리비용이 증가하고 처리 또한 어렵기 때문에, 비점오염원 관리기술의 적용은 비점오염물질 발생지점에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종래의 비점오염물질 처리는 주로 배수관 말단에서 오염물질을 집수하여 처리하는 방식으로 비용과 효율에 있어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점을 해결하고자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546061호 "다면적 여과시설을 이용한 초기우수 전량 여과방법 및 장치"에서는 오염도 높은 초기우수의 분리시설을 설치하고 적은 부지면적에서 넓은 여과면적을 확보할 수 있는 다면적 여과시설을 설치하여 오염도 높은 초기우수를 선착순 집수하여 전량 여과할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전술한 "다면적 여과시설을 이용한 초기우수 전량 여과방법 및 장치"의 경우 초기우수 분리시설로부터 여과시설에 유입되는 우수의 낙차확보를 위해 그만큼 지반을 굴착해야 하는 등 설치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우수가 여과시설을 통과하여 정화되는 시간이 짧아 우수의 정화효율을 높이기 어렵고, 여과시설의 후반부에 미생물 여과를 위한 거름망이 없기 때문에 미생물의 유출이 발생할 경우 오히려 수질오염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에서 기인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여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
자체적으로 우수 유입시 낙차를 확보할 수 있으므로 특정위치를 확보하기 위한 설치공사 등이 필요 없어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장치의 전반부에 침전 및 유수 분리를 이용하고, 이후 다수 여과층과 지그재그의 경로를 통해 우수가 여재를 통과하는 정화 시간을 늘려줌으로써 우수의 정화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비점오염물질이 포함된 우수의 중금속 성분과 유기물을 여과하여 우수의 정화 정도를 높일 수 있으며, 장치의 후반부에서 미생물 유출을 차단할 수 있는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전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에 있어서, 유입구와; 유입구를 통해 비점오염물질이 포함된 우수가 유입되는 제1 침전조와; 제1 침전조를 거친 우수가 유입되어 여과되는 복합여과조와; 복합여과조에서 처리된 우수가 유입되는 제2 침전조; 및 제2 침전조를 거친 우수가 유출되는 유출구; 를 포함하되, 복합여과조는, 우수에 포함된 부유물질이 여과되는 제1 여과층과; 제1 여과층을 통과한 우수의 미세부유물질이 여과되는 제2 여과층과; 제2 여과층을 거친 우수의 중금속이 여과되는 제3 여과층과; 제3 여과층을 통과한 우수의 유기물이 여과되는 제4 여과층; 및 제1 내지 제4 여과층 사이 각각에 상호 어긋나게 배치되도록 한쪽은 복합여과조의 내측벽에 접하고, 다른 쪽은 복합여과조의 내측벽에 소정 간격 떨어지게 배치하여 지그재그의 여과 경로를 형성하는 차단벽; 을 포함하는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를 제공한다.
제1 여과층은, 모래층; 및 모래층 위에 배치되는 여과기를 포함하고, 모래층 다음에 여과기에 의해 여과된 우수가 배출되는 파이프가 위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4 여과층과 제2 침전조 사이에는 거름망이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4 여과층은 유기물을 분해하는 미생물이 서식하는 미생물층이고, 거름망은 상기 미생물의 유출을 막는 유출방지스크린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침전조와 복합여과조 사이에 배치되어 복합여과조의 상측으로 우수를 유입시키는 연결관로가 포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여과층 위에는 연결관로로부터 유입되는 우수의 충격을 줄이기 위한 충격완화구가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여과층과 충격완화구 사이에는 작업자가 복합여과조 내에서 작업할 수 있는 발판이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침전조와 복합여과조, 제2 침전조에는 내부출입 또는 내부확인이 가능한 개폐덮개가 마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에 의하면, 자체적으로 우수 유입시 낙차를 확보할 수 있으므로 특정위치를 확보하기 위한 설치공사 등이 필요 없어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은 장치의 전반부에 침전조를 설치하고, 이후 다수 여과층과 지그재그의 경로를 통해 우수가 여과되도록 함으로써, 우수의 정화 시간을 증대하고 그 결과 정화 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비점오염물질이 포함된 우수의 중금속 성분과 유기물을 여과하여 우수의 정화 정도를 높일 수 있고, 그 후반부에 미생물의 유출을 방지하는 거름망을 설치하여 차단하므로 미생물에 의한 수질 오염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의 일부절개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바람직한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들 도면은 예시적인 목적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의 일부절개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10)는 크게 유입구(12)와 제1 침전조(100), 복합여과조(200), 제2 침전조(300) 및 유출구(14)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제1 침전조(100)와 복합여과조(200), 제2 침전조(300) 각각에는 내부출입 또는 내부확인이 가능한 개폐덮개(16)가 마련되어 작업자가 내부에서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거나 우수의 정화상태 등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강우 초기에는 다량의 유해물질이 빗물과 함께 흘러내리게 되고, 이러한 오염도 높은 비점오염물질은 강우 초기의 5~10㎜까지에 집중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5~10㎜까지의 초기우수를 끌어들여 비점오염물질을 정화하고, 정화된 깨끗한 빗물을 다시 하천으로 방류시켜 환경오염을 개선하기 위한 것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강우 초기에 빗물이 집수된 사각형이나 원형의 맨홀 구조물(미도시)로부터 초기우수를 끌어들이는 것이며, 이는 상기 맨홀 구조물에 연결된 유입구(12)를 통해 이루어지고, 다시 하기에 서술하는 제1 침전조(100)로 유입된다. 도시한 도면에서는 유입구(12)가 하나인 것으로 나타내었으나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10)의 사용환경 등에 따라 둘 이상의 수로 구성될 수 있고, 다양한 방향에서 우수가 유입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제1 침전조(100)에는 전술한 유입구(12)를 통해 비점오염물질이 포함된 우수가 유입된다. 제1 침전조(100)는 비점오염물질 중 토사나 슬러지, 협잡물 등과 같은 무거운 침전물과 기름 등과 같은 부유물질을 물리적으로 1차 분리시키게 되는 구성요소이다. 기름을 포함한 부유물질은 부직포 등을 이용하여 주기적으로 제거할 수 있고, 침전물의 경우 제1 침전조(100)의 하부에 탈부착 가능한 별도의 침전물수거함(미도시)을 두어 침전물 처리가 용이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이때 침전물을 배출하기 위한 별도의 드레인 설비(미도시)를 마련할 수도 있다.
제1 침전조(100)를 거친 우수는 복합여과조(200)에 유입되어 여과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제1 침전조(100)와 하기에 서술하는 복합여과조(200) 사이를 연결하여 우수 유입시 낙차를 확보할 수 있도록 복합여과조(200)의 상측으로 우수가 유입되도록 하는 연결관로(110)를 형성한다. 즉, 연결관로(110)는 제1 침전조(100)와 복합여과조(200)가 같은 수평선상에 배치되면서도 복합여과조(200) 내의 모든 여과층을 중력에 의해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함으로써 우수의 유입시 낙차를 확보하기 위하여 지반 굴착 깊이를 더 깊게 하는 등의 공사를 진행하지 않을 수 있다.
복합여과조(200)는 제1 침전조(100)를 거친 우수가 연결관로(110)를 통해 유입되면 이를 여과시키는 구성요소로써, 제1 여과층(210)과 제2 여과층(220), 제3 여과층(230), 제4 여과층(240) 및 차단벽(206)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제1 여과층(210)의 상단에는 작업자가 복합여과조(200)의 개폐덮개(16)를 열고 출입하여 이물질 등의 제거와 같은 작업을 할 수 있도록 발판(204)이 형성된다.
연결관로(110)를 통해 유입되는 우수는 초기에 낙차에 의해 떨어지면서 제1 여과층(210)을 구성하는 모래층(212)을 흩어버릴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우수가 낙하하는 발판(204) 상측에 우수의 충격을 줄이기 위한 충격완화구(202), 예를 들어 바닥에 자갈을 깔고 이를 금속망으로 덮어 커버한 구성을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충격완화구(202)는 우수의 충격을 완화하기도 하지만, 복합여과조(200)에서는 처음으로 우수의 여과가 이루어지기도 한다.
제1 여과층(210)은 모래층(212)과, 모래층(212) 위에 배치된 여과기(2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과기(214)는 모래층(212)의 기능이 부족할 경우 이것을 보완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것이다. 제1 여과층(210)은 제1 침전조(100)를 거치면서 잔류된 부유물을 재차 여과하는 것이다.
여과기(214)는 내부에 제올라이트나 활성탄, 숯, 안트라사이트, 벤트나이트, 우드칩 등의 여재가 채워져 사용된다. 이러한 여재의 종류는 일일이 열거하지 못할 정도로 많으며, 일반적으로 알려진 여재 중에서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10)의 사용환경 등에 적합한 다양한 여재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여과기(214)는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10)의 사용환경이나 유지 및 관리비용 등에 따라 개수를 가감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크기나 형상 또한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여과기(214)의 외부에는 탈부착 가능한 여과포(미도시)를 감아서 유지 및 관리가 용이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과기(214)로 유입된 우수는 모래층(212)에 의해 여과되는 것과 다른 별개의 통로 즉, 파이프(214a)를 통해 유도 및 배출된다. 파이프(214a)로부터 배출된 우수는 모래층(212)에 의해 여과된 우수와 함께 다시 혼합되어, 제2 여과층(220)으로 흘러가게 된다.
제2 여과층(220)은 제1 여과층(210)을 통과한 우수의 미세부유물질이 여과되는 층으로써 우수에 포함된 부유물질(SS), 즉 부유성 및 용해성 미세 입자상 물질을 여과시켜 생물학적 산소요구량(BOD)을 낮추게 되며,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10)의 사용 환경이나 유지 및 관리비용 등에 따라 여과기(214)에 사용되는 여재와 동일한 여재를 사용할 수도 있고, 다른 여재를 사용할 수도 있다.
제3 여과층(230)은 제2 여과층(220)을 거친 우수로부터 중금속을 흡착 여과하는 층으로 활성탄이나 화산재, 식물 바이오매스(Biomass)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제4 여과층(240)은 제3 여과층(230)을 통과한 우수로부터 유기물을 분해 제거하기 위한 층으로써, 본 발명에서는 제4 여과층(240)을 비점오염물질에 포함되어 있는 유기물을 분해하는 미생물이 서식하는 미생물층으로 구성하게 된다. 제1 침전조(100)와 복합여과조(200)에서 처리되었으나 제거되지 않은 비점오염물질의 유기물은 제4 여과층(240)에서 미생물에 의해 분해된다. 이를 위하여 제4 여과층(240)은 미생물이 서식 및 증식할 수 있도록 자갈 등을 이용하여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단벽(206)은 제1 내지 제4 여과층(210, 220, 230, 240) 사이, 즉 제1 여과층(210)과 제2 여과층(220) 사이와 제2 여과층(220)과 제3 여과층(230) 사이, 그리고 제3 여과층(230)과 제4 여과층(240) 사이에 각각 배치된다. 이러한 차단벽(206)은 한쪽은 복합여과조(200)의 내측벽에 접하고 다른 쪽은 복합여과조(200)의 내측벽에서 소정 간격 떨어지게 구성되며, 각층마다 상호 어긋나게 배치된다. 즉, 도시된 도면과 같이 제1 여과층(210)과 제2 여과층(220) 사이에 배치된 차단벽(206)과 제3 여과층(230)과 제4 여과층(240) 사이에 배치된 차단벽(206)은 같은 수직선 상에 놓이게 되고, 제2 여과층(220)과 제3 여과층(230) 사이에 배치된 차단벽(206)은 다른 수직선 상에 놓이게 됨으로써 제1 내지 제4 여과층(210, 220, 230, 240)을 통과하는 우수가 지그재그로 통과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우수가 제1 내지 제4 여과층(210, 220, 230, 240)을 구성하는 여재를 통과하여 정화되는 시간이 늘어나 우수의 정화효율이 높아지게 된다.
제2 침전조(300)는 복합여과조(200)에서 처리된 우수가 유입되어 2차로 우수를 침전시키는 구성요소이다. 제4 여과층(240)의 미생물에 의해 유기물이 분해되면서 미생물과 유기물이 뭉쳐 침전물을 형성하게 되는데, 제2 침전조(300)에서는 이러한 침전물을 침전시키게 된다.
한편, 제4 여과층(240)을 통과한 우수가 제2 침전조(300)에 유입되면서 제4 여과층(240)의 미생물이 함께 제2 침전조(300)로 유출될 수 있다. 이에, 제4 여과층(240)과 제2 침전조(300) 사이에는 미생물의 유출을 방지하도록 거름망(242)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거름망(242)는 제4 여과층(240)에 서식하는 미생물의 유출을 막는 유출방지스크린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거름망(242)이 배치된 경우 제2 침전조(300)에서는 거름망(242)을 통과한 우수를 침전, 처리하게 된다.
유출구(14)는 제2 침전조(300)를 거친 우수가 유출되는 구성요소이며, 모든 정화과정을 거친 우수를 하천 등으로 방류하게 된다. 이러한 유출구(14)는 전술한 유입구(12)와 마찬가지로 둘 이상의 개수로 구성되거나 다양한 방향으로 우수를 유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을 살펴보면, 강우 시 초기우수와 함께 지면 등으로부터 비점오염물질이 우수와 함께 이동하여 맨홀 등에 모이게 된다. 이러한 맨홀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10)의 유입구(12)가 연결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우수가 제1 침전조(100) 내부로 유입된다.
비점오염물질 중 침전물은 자중에 의해 제1 침전조(100) 하부로 가라앉아 침진되고, 기름 및 부유물질은 상승하여 물리적, 1차적으로 유수가 분리된다.
제1 침전조(100)를 거친 우수는 한쪽이 제1 침전조(100)의 하부측면에 연결되어 있고 다른 쪽이 복합여과조(200)의 상부측면에 연결되어 있는 연결관로(110)를 통해 복합여과조(200)에 낙차를 갖고 유입된다.
복합여과조(200)에 유입된 우수는 낙하하여 자갈이 채워져 있는 금속망, 즉 충격완화구(202)로 떨어지고, 모래층(212)과 여과기(214)가 포함되어 있는 제1 여과층(210)에 의해 여과 처리된다. 여과기(214)는 우수가 모래층(212)을 통과하는 시간이 짧으므로 이를 보완하기 위한 것이며, 여과기(214)의 외부에 마련된 여과포는 공극이 막혀 여과속도가 떨어질 경우 여과포를 분리하여 물로 세척한 후 재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여과기(214)는 내부에 충전된 여재 공극이 막힐 경우 새 여재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공극의 크기가 작을수록 정화효율을 높일 수 있지만 공극이 막히는 시간이 빨라져 유지, 관리가 어렵게 되므로 어느 정도의 정화효율을 확보하면서 유지, 관리가 용이하도록 적정한 공극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제1 여과층(210)에 의해 부유물이 여과된 우수는 제1 여과층(210) 하부의 차단벽(206)에 의해 한쪽 방향으로 흐르게 되고, 차단벽(206)과 복합여과조(200) 내측벽 사이의 공간을 통해 부유성 및 용해성 미세 입자상 물질이 여과되는 제2 여과층(220)의 한쪽으로 투입된다.
제2 여과층(220)의 하부에는 제1 여과층(210)의 하부에 배치된 차단벽(206)과는 엇갈리게 배치된 차단벽(206)이 설치되어 있고, 따라서 우수는 제2 여과층(220)을 수직방향으로 통과하는 것이 아니라 수평방향으로 통과하게 되며 차단벽(206)과 복합여과조(200) 내측벽 사이의 공간을 통해 중금속이 흡착 여과되는 제3 여과층(230)으로 투입된다.
제3 여과층(230) 역시 제2 여과층(220)과 마찬가지로 차단벽(206)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우수는 제3 여과층(230)을 수평방향으로 통과하여 유기물이 여과되는 제4 여과층(240)에 투입된다.
이렇게 제1 내지 제4 여과층(210, 220, 230, 240)을 통과하는 우수는 차단벽(206)에 의해 지그재그로 통과함으로써 정화시간이 길어져 정화효율이 높아지게 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후, 제4 여과층(240)을 통과한 우수는 제2 침전조(300)에 유입되어 재차 침전과정을 거친 후 유출구(14)를 통해 하천 등으로 방류되어 공공수역이나 지하수의 수질오염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9)

  1. 유입구를 통해 공급된 초기우수로부터 무거운 오염물질과 기름 및 부유물을 제거하는 제1 침전조;
    상기 제1 침전조를 통해 유입된 우수를 다수 여과층을 통해 여과하는 복합여과조를 포함하고;
    상기 복합여과조는,
    우수에 포함된 부유물질을 여과하는 제1 여과층과;
    상기 제1 여과층을 통해 유입된 우수로부터 부유성 및 용해성 입자상 물질을 여과하는 제2 여과층과;
    상기 제2 여과층을 거친 우수로부터 중금속을 흡착 여과하는 제3 여과층과;
    상기 제3 여과층을 통과한 우수로부터 유기물을 여과되는 제4 여과층; 및
    상기 제1 내지 제4 여과층 사이의 각각에 설치되며, 상호 어긋나게 설치되어 지그재그의 여과 경로를 형성하는 차단벽;
    을 포함하는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침전조와 상기 복합여과조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복합여과조의 상측으로 우수를 유입시키는 연결관로를 더 포함하는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여과층은,
    모래층; 및 상기 모래층의 여과 성능을 보완하는 여과기와, 우수 파이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여과층의 출구에 설치되는 거름망을 더 포함하는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여과조에서 처리된 우수가 유입되는 제2 침전조; 및 상기 제2 침전조를 거친 우수가 배출되는 유출구를 더 포함하는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여과층 위에는 상기 연결관로로부터 유입되는 우수의 충격을 줄이기 위한 충격완화구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여과층의 상부에는 작업자가 상기 복합여과조 내에서 작업할 수 있는 발판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여과층은 미생물이 서식하도록 된 미생물층이고, 상기 거름망은 상기 미생물의 유출을 막는 유출방지스크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침전조, 복합여과조 및 상기 제2 침전조에는 내부출입 또는 내부확인이 가능한 개폐덮개가 마련됨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
PCT/KR2009/000597 2009-01-21 2009-02-09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 WO2010085013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4862A KR100911819B1 (ko) 2009-01-21 2009-01-21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
KR10-2009-0004862 2009-01-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85013A1 true WO2010085013A1 (ko) 2010-07-29

Family

ID=41209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09/000597 WO2010085013A1 (ko) 2009-01-21 2009-02-09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911819B1 (ko)
WO (1) WO2010085013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08587A (zh) * 2013-09-10 2014-01-15 上海市政工程设计研究总院(集团)有限公司 一种净水处理设备
CN107055865A (zh) * 2017-04-13 2017-08-18 许陈菲 一种道路建设用的废水引流装置
CN112370857A (zh) * 2020-10-28 2021-02-19 石河子大学 一种水利工程过滤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9474B1 (ko) 2009-09-03 2012-06-25 주식회사 에코포인트 비점오염물질 정화 장치
KR100951098B1 (ko) 2009-10-06 2010-04-07 (주)신우이앤씨 카트리지필터를 이용한 비점 오염원 여과처리장치
KR100987163B1 (ko) 2010-01-15 2010-10-11 신강하이텍(주) 강우유출수의 선택적 처리와 처리잔류수의 자동방류가 가능한 여과형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
KR100987316B1 (ko) 2010-05-13 2010-10-12 박병대 유수분리 및 상향여과 복합방식의 비점 오염물질 처리장치 및 정화 방법
KR101142548B1 (ko) 2010-05-17 2012-05-08 (주) 한길산업 투수성 흡착 세라믹 정화블록 및 그 제조방법
KR101108281B1 (ko) 2010-07-05 2012-01-31 신강하이텍(주) 강우유출수의 선택적 처리와 처리잔류수의 자동방류가 가능한 여과형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
KR101249179B1 (ko) * 2010-08-06 2013-04-03 주식회사 에코포인트 제한된 공간에 설치 가능한 비점오염 저감장치
KR101177714B1 (ko) 2011-06-01 2012-08-28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노면 초기우수의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
KR101384490B1 (ko) * 2012-03-15 2014-04-15 (주) 한국엔피기술 자동 우수 처리 장치
KR101300070B1 (ko) * 2013-01-29 2013-08-30 녹스 코리아(주)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1358438B1 (ko) 2013-02-20 2014-02-05 곽병열 비점오염원 저감을 위한 수처리 시설
KR101415941B1 (ko) 2013-11-19 2014-07-04 주식회사 세종플랜트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
KR101554029B1 (ko) 2014-04-17 2015-10-06 주식회사 푸른이엔씨 무동력 사이펀 연결관로를 이용한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
KR101635910B1 (ko) 2016-02-03 2016-07-04 브니엘 네이처 주식회사 비점오염원 여과 장치
KR101698590B1 (ko) 2016-06-08 2017-01-20 반경옥 무동력 비점오염 처리장치
KR101968568B1 (ko) 2018-09-10 2019-04-12 청해이엔브이 주식회사 비점오염물질 제거기능을 갖는 빗물받이 결합형 우수처리장치
CN109440898A (zh) * 2018-12-27 2019-03-08 广州怡境景观设计有限公司 一种渗透型雨水花园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6497Y1 (ko) * 2001-12-07 2002-02-28 김삼식 상수도용 간이급속여과장치
KR100413338B1 (ko) * 2001-02-15 2003-12-31 에코그린텍 (주) 고성능 흡착 수처리제 및 수처리 시스템
KR100621193B1 (ko) * 2004-10-18 2006-09-19 안영찬 오염수정화장치 및 오염수정화장치의 오염수정화방법
KR100849017B1 (ko) * 2008-05-06 2008-07-30 구석본 비점오염원 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3338B1 (ko) * 2001-02-15 2003-12-31 에코그린텍 (주) 고성능 흡착 수처리제 및 수처리 시스템
KR200266497Y1 (ko) * 2001-12-07 2002-02-28 김삼식 상수도용 간이급속여과장치
KR100621193B1 (ko) * 2004-10-18 2006-09-19 안영찬 오염수정화장치 및 오염수정화장치의 오염수정화방법
KR100849017B1 (ko) * 2008-05-06 2008-07-30 구석본 비점오염원 처리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08587A (zh) * 2013-09-10 2014-01-15 上海市政工程设计研究总院(集团)有限公司 一种净水处理设备
CN107055865A (zh) * 2017-04-13 2017-08-18 许陈菲 一种道路建设用的废水引流装置
CN112370857A (zh) * 2020-10-28 2021-02-19 石河子大学 一种水利工程过滤装置
CN112370857B (zh) * 2020-10-28 2023-07-07 石河子大学 一种水利工程过滤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1819B1 (ko) 2009-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0085013A1 (ko)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
KR100706269B1 (ko) 초기강우유출수의 비점오염물질 정화장치
KR100894022B1 (ko)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
US11260321B2 (en) Partitioned water treatment systems with vertical filtration units
KR100949325B1 (ko) 저류지 전단 설치용 자연형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1249741B1 (ko) 미생물 처리조를 포함한 통합 장치형 우수 처리 장치 및 우수 처리 방법
KR100987316B1 (ko) 유수분리 및 상향여과 복합방식의 비점 오염물질 처리장치 및 정화 방법
WO2012161478A2 (ko) 초기우수 정화장치
KR101741449B1 (ko) 유량 조정 및 역세척 기능을 구비한 초기 강우 유출수의 비점오염처리장치
KR100991492B1 (ko) 다단처리를 통한 자연형 초기 우수 정화 장치 및 그 정화 방법
KR100891656B1 (ko) 수로형 인공습지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570957B1 (ko) 도로 배수 시설의 오염물질 처리 장치
KR100767754B1 (ko) 정화시설 내부 저장수를 이용하여 물청소하는 오염수다중정화시설 및 오염수 정화방법
KR101353280B1 (ko) 여재카트리지를 결합한 모듈식 침투도랑
KR100939325B1 (ko) 자연친화형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0978075B1 (ko) 초기우수 처리장치 및 방법
KR100437075B1 (ko) 저류지를 이용한 빗물 정화방법 및 장치
KR101143866B1 (ko) 비점오염원 정화장치
KR101195091B1 (ko) 지중침투형 비점오염원 저감시설
KR200378313Y1 (ko) 도로 배수 시설에서의 오염물질 처리 장치
KR101177714B1 (ko) 노면 초기우수의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
KR20120009030A (ko) 비점오염수 정화장치
KR101159474B1 (ko) 비점오염물질 정화 장치
KR101532191B1 (ko) 비점오염저감을 위한 역세척 기능이 가능한 여과블록 시스템 및 그의 시공방법
KR20170063126A (ko)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0983890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0983890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