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9325B1 - 자연친화형 초기우수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자연친화형 초기우수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9325B1
KR100939325B1 KR1020090047486A KR20090047486A KR100939325B1 KR 100939325 B1 KR100939325 B1 KR 100939325B1 KR 1020090047486 A KR1020090047486 A KR 1020090047486A KR 20090047486 A KR20090047486 A KR 20090047486A KR 100939325 B1 KR100939325 B1 KR 1009393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itial
initial excellent
microbial
tank
reservo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74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화
Original Assignee
이현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현화 filed Critical 이현화
Priority to KR10200900474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93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93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93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9/00Multistage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08Aerobic processes using moving contact bod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05Particular type of 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15Combinations of activated sludge treatment with precipitation, flocculation, coagulation and separation of phosph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2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characterised by the animals or plants used, e.g. alga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1Runoff or storm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2Liquid lev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Abstract

본 발명은 초기우수시 도로변에 발생하는 비점오염원을 초기우수 수집조를 통하여 수집한 후 침사지를 통하여 비중이 큰 물질은 침전시키고 나머지 초기우수는 미생물조에 유입시키며, 미생물조에서 미생물에 의해 초기우수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1차 분해한 후 분해된 물을 식생대를 통하여 2차 분해하여 하천으로 흘려보낼 수 있도록 하는 자연친화형 초기우수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연친화형 초기우수 처리장치는 초기우수 수집조(100)로부터 유출되는 초기우수에 포함된 비중이 큰 물질을 바닥에 침전시켜 분리하고 비중이 작은 물질은 초기우수와 함께 유출시키는 침사지(200)와, 상기 침사지(200)로부터 유출되는 비중이 작은 비점오염물질이 포함된 초기우수를 이송시키는 저류지(300)와, 상기 저류지(300)로부터 유출되는 초기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질을 자갈과 모래를 포함하는 천연물질을 통하여 정화 처리한 후 배출하는 식생대(400)를 통해 초기우수 수집조를 통하여 수집되는 초기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질을 정화 처리하여 하천으로 유출시키는 초기우수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식생대(400)는 유입되는 초기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질을 1차 정화 처리하는 천연 섬유질부(410)와, 상기 천연 섬유질부(410)를 통하여 1차 정화 처리된 초기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질을 2차 정화 처리하는 자갈부(420)와, 상기 자갈부(420)를 통하여 2차 정화 처리된 초기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질을 3차 정화 처리하여 배출구(402)를 통하여 외부로 유출하는 모래부(4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초기우수, 비점오염물질, 침사지, 미생물조, 식생대,

Description

자연친화형 초기우수 처리장치 {Natural Harmonious First Rainfall Treatment Apparatus}
본 발명은 초기우수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초기우수시 도로변에 발생하는 비점오염원을 초기우수 수집조를 통하여 수집한 후 침사지를 통하여 비중이 큰 물질은 침전시키고 나머지 초기우수는 미생물조에 유입시키며, 미생물조에서 미생물에 의해 초기우수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1차 분해한 후 분해된 물을 식생대를 통하여 2차 분해하여 하천으로 흘려보낼 수 있도록 하는 자연친화형 초기우수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비가 오게 되면 우수가 도로나 지표면을 따라 흐르면서 지표면에 노출된 각종 비점오염물질(Non-Point Soure Pollutant)과 섞이게 되고, 이러한 비점오염물질을 포함하는 초기우수는 하천으로 유입되어 하천을 오염시키는 원인이 된다. 특히, 비가 내리고 일정 시간이 경과한 이후의 우수에 비해 초기우수는 많은 비점오염물질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초기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질을 처리하는 것은 환경 문제를 해결하는데 중요한 사안이 된다.
이러한 초기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질을 처리하기 위하여 제안된 기술로는 특허등록 제0821341호 "도로변 우수측구에 설치되는 우수단속장치를 구비한 다중구조맨홀"이 있다.
상기 등록특허는 맨홀 내부에 두 개의 제1,2수직월류턱을 형성하여 침전부와 우수단속부와 배출부로 구획하고, 상기 침전부에는 도로변의 우수측구를 통해 포집된 우수가 유입되어 토사 등이 침전되도록 하고, 상기 침전이 이루어진 우수는 제1수직월류턱을 통해 우수단속부로 월류하고, 상기 우수단속부에는 우수단속장치가 설치된 수평격판에 의해 상부우수공간과 하부하수공간으로 구획하고 우수단속장치를 통하여 초기우수는 하부하수공간을 통해 하수관으로 배출하도록 하고, 중반기 이후의 맑은 우수는 제2수직월류턱을 월류하여 배출부로 이동되도록 하고, 상기 배출부로 유입된 중반기 이후의 맑은 우수는 인근 하천이나 우수관을 통해 배출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등록특허는 초기우수와 중반기 이후의 우수를 분류하여 초기우수는 하수관으로 배출되도록 하고 중반기 이후의 우수는 인근 하천이나 우수관으로 배출되도록 하여 초기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질을 하수관에 연결된 하수처리장에서 처리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고속도록 등에서 발생된 초기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질은 거리상으로 원거리에 위치하고 있는 일반 하수처리장을 통하여 초기우수를 처리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가정이나 공장, 축사 등에서 배출되는 오폐수 등의 점오염 물질과는 달리 비점오염물질은 대부분 종이, 비닐, 낙엽, 플라스틱, 깡통, 자갈, 모래, 금속재, 먼지 등이 주종을 이루기 때문에 점원오염물질을 화학 처리하는 하수처리장에서 이러한 비점오염물질을 처리하기에는 하수처리에 따른 자원의 불필요한 낭비가 심하였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초기우수시 발생하는 비점오염물질을 하수처리장을 거치지 않고 별도의 침사지와 미생물조 및 식생대를 통하여 자연친화적으로 분해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자연친화형 초기우수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자연친화형 초기우수 처리장치는 초기우수 수집조로부터 유출되는 초기우수에 포함된 비중이 큰 물질을 바닥에 침전시켜 분리하고 비중이 작은 물질은 초기우수와 함께 유출시키는 침사지와; 상기 침사지로부터 유출되는 비중이 작은 비점오염물질이 포함된 초기우수를 이송시키는 저류지와; 상기 저류지로부터 유출되는 초기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질을 자갈과 모래를 포함하는 천연물질을 통하여 정화 처리한 후 배출하는 식생대를 통해 초기우수 수집조를 통하여 수집되는 초기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질을 정화 처리하여 하천으로 유출시키는 초기우수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식생대는 유입되는 초기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질을 1차 정화 처리하는 천연 섬유질부와, 상기 천연 섬유질부를 통하여 1차 정화 처리된 초기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질을 2차 정화 처리하는 자갈부와, 상기 자갈부를 통하여 2차 정화 처리된 초기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질을 3차 정화 처리하여 배출구를 통하여 외부로 유출하는 모래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삭제
상기 천연 섬유질부와 자갈부 및 모래부에는 몸체 외측에 거름제가 부착되고, 몸체 내측에 친환경여재가 충진되며, 몸체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덮개가 결합된 원통형 관리구가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천연 섬유질부와 자갈부의 경계면 또는 자갈부와 모래부의 경계면에는 몸체 외측에 거름제가 부착되고, 몸체 내측에 흡착제가 설치되며, 몸체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덮개가 결합된 판형 관리구가 수직 방향으로 설치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른 자연친화형 초기우수 처리장치는 초기우수 수집조로부터 유출되는 초기우수에 포함된 비중이 큰 물질을 바닥에 침전시켜 분리하고 비중이 작은 물질은 초기우수와 함께 유출시키는 침사지와; 상기 침사지로부터 유출되는 비중이 작은 비점오염물질이 포함된 초기우수를 이송시키는 저류지와; 상기 저류지로부터 유출되는 초기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질을 자갈과 모래를 포함하는 천연물질을 통하여 정화 처리한 후 배출하는 식생대를 통해 초기우수 수집조를 통하여 수집되는 초기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질을 정화 처리하여 하천으로 유출시키는 초기우수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저류지와 식생대 사이에는 저류지로부터 유입되는 초기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질을 미생물을 통하여 분해 처리하여 식생대로 유출하는 미생물조가 설치되는데, 상기 미생물조에는 원통형의 몸체 내측에 미생물이 충진되고 외측에 다수의 날개가 돌출 형성되며 몸체 상부에 부력통이 결합된 미생물살림틀이 유입되는 초기우수의 흐름 및 수위에 따라 좌우 회전 및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고정축에 결합되어 설치되며, 상기 미생물살림틀의 몸체 외측에 형성된 날개에는 미생물 살림틀의 몸체 내측과 연통되는 다수의 미생물 배출구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류지로부터 초기우수를 유입받는 미생물조의 유입구는 입구측의 일측에 형성되고, 미생물조에서 미생물 분해 처리된 초기우수를 식생대로 유출하는 미생물조의 배출구는 상기 유입구에 대각선상에 위치한 출구측의 타측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저류지로부터 초기우수를 유입받는 유입구에는 해충이 미생물조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해충방지용 커버가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초기우수 처리장치는 초기우수시 비점오염물에 포함된 비중이 큰 물질을 초기우수 수집조에서 수집하여 침사지를 통하여 침전시키고 나머지 초기우수를 미생물조와 식생대를 통하여 분해 처리함으로써, 초기우수시 발생하는 비점오염물질을 종래 하수처리장을 거치지 않고 자연친화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기우수 처리장치의 측단면도이고, 도 2는 초기우수 처리장치의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기우수 처리장치는 초기우수를 수집하는 초기우수 수집조(100)와, 상기 초기우수 수집조(100)를 통하여 수집되는 초기우수에 포함된 침전물을 가라앉히는 침사지(200)와, 상기 침사지(200)에 침전되지 않은 초기우수를 이송시키는 저류지(300)와, 상기 저류지(300)로부터 유입되는 초기우수에 섞여있는 비점오염물질을 분해하는 식생대(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초기우수 수집조(100)는 도로변에 설치되어 초기우수 발생시 비점오염원이 포함된 초기우수를 수집하여 침사지(200)로 이송시키게 되는데, 이 초기우수 수집조(100)는 초기우수를 초기우수 배수관(101)을 통하여 침사지(200)로 이송시키고 중반기 이후에 유입되는 맑은 우수는 인근 하천으로 배출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초기우수 수집조(100)는 우수단속장치를 구비한 다중구조맨홀로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초기우수 수집용 다중구조맨홀은 종래 기술을 따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침사지(200)는 초기우수 수집조(100)의 배수관(101)을 통하여 유입되는 초기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질 중 비중이 큰 물질은 바닥에 가라앉히고 비중이 작은 물질은 초기우수와 함께 저류지(300)로 이송시키게 된다. 상기 침사지(200)와 저류지(300)는 상부가 개방되어 일체로 연장 형성된 콘크리트 바닥 및 벽면으로 이루어지는데, 저류지(300)의 입구 바닥이 침사지(200)의 바닥보다 높게 형성되어 침사지(200)에 비중이 큰 비점오염물질이 침전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 침사지(200)는 초기우수가 유입되는 입구의 높이보다 초기우수가 배출되는 출구의 높이가 낮게 형성되어 유입되는 초기우수가 역류하지 않고 저류지(300)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저류지(300)는 침사지(200)로부터 유입되는 초기우수를 식생대(400)로 이송하는 관로로서, 이 저류지(300)는 침사지(200) 방향으로부터 식생대(400)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침사지(200)로부터 유입되는 초기우수가 역류하지 않고 식생대(400)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식생대(400)는 식생대 유입구(401)를 통하여 저류지(300)로부터 유입되는 초기우수에 포함된 비중이 작은 비점오염물질을 천연 섬유, 자갈, 모래 등의 천연물질을 통하여 정수 처리한 후, 깨끗한 초기우수를 식생대 배출구(402)를 통하여 하천으로 배출시키는 초기우수 정화 처리조이다. 이 식생대(400)는 저류지(300)로부터 유입되는 초기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질을 1차 처리하는 다수의 코코넛 섬유 등으로 이루어진 천연 섬유질부(410)와, 상기 천연 섬유질부(410)를 통하여 1차 처리된 초기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질을 2차 처리하는 다수의 자갈 등으로 이루어지는 자갈부(420)와, 상기 자갈부(420)를 통하여 2차 처리된 초기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질을 3차 처리하는 다수의 모래 등으로 이루어진 모래부(430)가 구비되는데, 상기 천연 섬유질부(410)와 자갈부(420) 및 모래부(430)는 수직으로 구역이 나누어진 칸 형태를 이룬다. 상기 식생대(400)의 바닥면과 벽면은 흙다짐(405)으로 이루어져 내부에 천연 섬유와 자잘 및 모래가 보관되는데, 상기 흙다짐 바닥면의 상부와 천정의 하부에는 각각 수용성 플라스틱 비닐(406)이 배치된다. 또한, 식생대(400)의 배출구(402)에는 부직포 등으로 이루어진 거름제(403)가 설치되어 모래층(430)의 모래가 배수구(402)를 통하여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식생대(400)는 저류지(300)로부터 유입되는 초기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질 중 부피가 큰 물질을 천연 섬유질부(410)에서 걸러 1차 처리하고, 상기 천연 섬유질부(410)에서 걸러지지 않은 비점오염물질은 자갈부(420) 및 모래부(430)를 통하여 2차, 3차 걸러져 처리되면, 모래부(430)에 최종 정화 처리된 초기우수는 배출구(402)를 통하여 하천으로 배출되게 된다.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초기우수 처리장치는 침사지(200)를 통하여 비중이 큰 비점오염물질이 걸러지고, 식생대(400)의 천연 섬유질부(410)와 자갈부(420) 및 모래부(430)를 통하여 나머지 비점오염물질이 걸러져 정수 처리됨으로써 깨끗이 정화된 초기하수를 하천에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초기우수 처리장치의 식생대(400)는 초기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질을 더욱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그 구성이 변경될 수 있는데,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초기우수 처리장치의 측단면이고, 도 4는 초기우수 처리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초기우수 처리장치 또한 초기우수 수집조(100)와 침사지(200), 저류지(300) 및 식생대(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상기 초기우수 수집조(100)와 침사지(200) 및 저류지(300)의 구성은 상기 도 1과 도 2의 구성과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상기 식생대(400) 또한 천연 섬유질부(410), 자갈부(420), 모래부(4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이 식생대(400)에는 초기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질을 더욱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원통형 관리구(440) 및 판형 관리구(450)가 설치된다. 상기 원통형 관리구(440)는 천연 섬유질부(410)의 중간, 자갈부(420)의 중간, 모래부(430)의 중간에 수직으로 착탈가능하게 끼움 설치되고, 상기 판형 관리구(450)는 천연 섬유질부(410)와 자갈부(420)의 경계면, 자갈부(420)와 모래부(430)의 경계면에 수직으로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원통형 관리구(440) 및 판형 관리구(450)는 하면이 식생대(400) 바닥에 접촉되고 상면이 지상으로 돌출되어 사용기간에 따라 지상에서 각각의 관리구(440)(450)를 교체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상기 원통형 관리구(440) 및 판형 관리구(450)가 설치되는 식생대(400)의 천연 섬유질부(410)와 자갈부(420) 및 모래부(430)에는 원통형 관리구 지지대(407) 및 판형 관리구 지지대(408)가 고정 설치되어, 이 관리구 지지대(407)(408)는 내측에 원통형 관리구(440) 및 판형 관리구(450)가 착탈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데, 상기 원통형 관리구 지지대(407) 및 판형 관리구 지지대(408)의 외측에는 초기우수가 통과하여 내측의 원통형 관리구(440) 및 판형 관리구(450)에 유입될 수 있도록 부직포 등의 거름제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원통형 관리구(440)는 천연 섬유질부(410), 자갈부(420), 모래부(430)의 중간에 각각 다수개가 설치되는데, 이 다수개의 원통형 관리구(440) 사이의 거리는 각 구역별로 다르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상기 식생대에 설치된 원통형 관리구의 측단면도로서, 상기 원통형 관리구(440)는 원통형 몸체(441)의 외측에 다수의 유입홀(442a)이 형성된 거름제(442)가 설치되고, 내측에는 비점오염물질을 분해 처리하기 위한 친환경여재가 충진된다. 상기 원통형 관리구(440)의 몸체(441) 바닥은 밀폐되어 있으며, 상측에는 상기 내측에 친환경여재를 충진하기 위한 덮개(443)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6a는 상기 식생대에 설치된 판형 관리구의 측단면도이고, 도 6b는 판형 관리구의 측면도이다. 도 6a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판형 관리구(450) 는 직사면체 판형 몸체(451)의 외측에 다수의 유입홀(452a)이 형성된 거름제(452)가 설치되고, 내측에는 비점오염물질을 처리하기 위한 흡착제(453)가 설치된다. 상기 판형 관리구(450)의 몸체(451) 바닥은 밀폐되어 있으며, 상측에는 상기 몸체(451) 내측에 흡착제(453)를 설치하거나 제거하기 위한 덮개(454)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원통형 관리구(440)와 판형 관리구(450)의 거름제(442)(452)는 부직포로 이루어지며, 판형 관리구(450)의 흡착제(453)는 식생대(400)를 통과하는 물에 포함된 도로 등에서 발생하는 기름 등의 비점오염물질을 흡착하기 위하여 흡착포 또는 부직포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식생대(400)는 저류지(300)로부터 유입되는 초기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질을 천연 섬유질부(410)와 자갈부(420) 및 모래부(430)를 통하여 분해 처리하는 과정에서 원통형 관리구(440) 및 판형 관리구(450)를 통하여 비점오염물질을 추가적으로 흡착하거나 분해 처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초기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질을 보다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원통형 관리구(440) 및 판형 관리구(450)가 일정기간 사용되어 처리 능력이 떨어지는 경우 해당 관리구(440)(450)를 교체하거나, 원통형 관리구(440) 몸체(441) 내측에 친환경여재를 충전시키고, 판형 관리구(450) 몸체(451) 내측에 구비된 흡착제(453)를 교체함으로써 처리 능력을 지속시킬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초기우수 처리장치의 측단면도이고, 도 8은 초기우수 처리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7에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초기우수 수집장치에는 초기우수 수집조(100)와 침사지(200), 저류지(300) 및 식생대(400)가 구비되며, 상기 저류지(300)와 식생대(400) 사이에 미생물조(500)가 설치되어 초기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질이 미생물에 의해 분해 처리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저류지(300)로부터 초기우수가 유입되는 미생물조(500)의 미생물조 유입구(501)는 입구측의 일측에 형성되고, 미생물조(500)에서 처리되는 초기우수를 식생대(400)에 유출하는 미생물조 배출구(503)는 상기 유입구(501)의 대각선상의 출구측 타측에 형성되어, 미생물조 유입구(501)로 유입되는 초기우수가 미생물조(500) 내에서 진행방향이 꺾여 미생물도 배출구(503)를 통하여 식생대(400)로 유출되도록 한다.
상기 미생물조(500)에는 수위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며, 초기우수의 흐름에 따라 회전하는 미생물살림틀(510)이 다수 설치되어, 상기 저류지(300)로부터 유입되는 초기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질을 미생물을 통하여 분해하여 처리하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생물조의 측단면 확대도이고, 도 10은 미생물조의 평면 확대도이다.
도 9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미생물조(500)는 저류지(300) 바닥과 일체를 연장 형성되어 소정의 깊이를 갖는 콘크리트 위에 설치되는데, 이 미생물조(500)에는 저류지(300)로부터 초기우수를 유입받는 유입구(501)와, 상기 미생물조(500)에서 미생물 처리된 초기우수를 식생대(400)에 유출하는 배출구(503)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유입구(501)에는 저류지(300)를 통하여 해충이 미생물조(500)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해충방지용 커버(501a)가 설치되는데, 이 해출방지용 커버(501a)는 유입구(501)의 내측 상부에 힌지 결합되어 하부가 내측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배출구(503)에는 부직포 등의 거름제(503a)가 설치되어 식생대(400)로 배출되는 초기우수에 포함된 이물질이 걸러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미생물조(500)의 상부에는 착탈 가능한 미생물조 덮개(504)가 구비되어 미생물조(500)의 청소 또는 미생물조(500)에 구비된 미생물살림틀(510) 교체나 미생물 충진시 이용된다.
상기 미생물조(500)의 내측에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다수의 미생물살림틀(510)이 설치되는데, 이 미생물살림틀(510)은 미생물조(500)에 수직으로 고정 설치된 고정축(520)에 상하 이동 및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초기우수의 흐름 및 수위에 따라 회전 및 상하이동을 하게 된다. 상기 미생물살림틀(510)의 몸체(511) 내측에 미생물이 충진되는데, 이 몸체(511) 상부에는 미생물살림틀(510)을 물 위에 떠있는 상태로 유지시키는 부력통(515)이 결합된다. 상기 미생물살림틀(510)의 몸체(511) 외측에는 다수의 날개(512)가 돌출 형성되는데, 이 날개(512)는 유입구(501)를 통하여 유입되는 초기우수의 흐름에 따라 미생물살림틀(510)을 회전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날개(512)에는 몸체(511) 내측과 연통되는 다수의 미생물 배출구(512a)가 형성되는데, 이 미생물 배출구(512a)를 통하여 몸체(511) 내측의 미생물이 몸체(511) 외부의 미생물조(500)로 유출되어 초기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질을 분해 처리하도록 한다.
상기 미생물살림틀(500)의 몸체(511) 내측에 미생물을 충진하는 경우 상기 부력통(515)과 몸체(511)에 형성된 미생물 투입구(513)를 통하여 몸체(511)의 내측에 미생물을 충진시킨 후 부력통(515)을 다시 몸체(511) 상부에 결합하게 된다. 또한 미생물살림틀(510) 내부의 상부에는 끈상 미상물번식장치 등을 설치하여 미생물이 번식할 수 있는 최적의 상태를 유지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미생물조(500)에는 미생물살림틀(510)이 2개 설치되는데, 이러한 미생물살림틀(510)의 개수는 미생물조(500)의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미생물살림틀(510)은 미생물조(500)로 유입되는 초기우수에 흐름 및 수위에 따라 회전 및 상하 이동을 하게 된다. 즉, 유입구(501)를 통하여 미생물조(500)에 유입되는 초기우수는 상하로 섞이면서 유입구(501)와 대각선상에 위치한 배출구(503) 방향으로 흐르게 되고, 이에 따라 미생물살림틀(510)의 몸체(511) 외측에 형성된 날개(512)가 회전하면서 미생물살림틀(510)이 고정축(520)을 기준으로 일측 방향으로 회전되게 된다. 또한, 유입되는 초기우수에 의해 미생물조(500)의 수위가 상승하게 되면 미생물살림틀(510)의 부력통(515)에 의해 미생물살림틀(510)이 수위에 따라 고정축(520)을 따라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미생물살림틀(510)의 상하 이동 및 회전에 따라 미생물살림틀(510)의 몸체(511)에 충진된 미생물이 섞이게 되어 미생물의 활동이 왕성해지고, 이에 따라 미생물이 날개(512)에 형성된 미생물 배출구(512)를 통하여 외부로 유출되어 초기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질을 분해 처리하게 된다.
상기의 과정을 통하여 미생물조(500)의 미생물에 의해 오염물질이 분해 처리 되는 초기우수는 미생물 배출구(503)를 통하여 식생대(400)로 유출되며, 식생대(400)는 유입되는 초기우수를 천연 섬유질부(410)와 자갈부(420) 및 모래부(430)를 통하여 정화시켜 하천으로 유출하게 된다. 한편, 상기 도 7과 도 8에서는 식생대(400)가 도 1과 도 2의 식생대가 적용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는 도 3과 도 4의 식생대로 변경되어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상기 미생물조(500)의 미생물살림틀(510)에 있어서 몸체(511)의 날개(512)에 미생물 배출구(512a)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 미생물 배출구(512a)의 위치는 다른 위치, 예를 들면 몸체(511)의 외측에 직접 형성되어 몸체(511) 내측에 미생물 투입구(513)를 통하여 충진된 미생물이 외부로 유출되도록 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 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기우수 처리장치의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기우수 처리장치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초기우수 처리장치의 측단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초기우수 처리장치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초기우수 처리장치의 식생대에 설치된 원통형 관리구의 측단면도,
도 6a와 도 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초기우수 처리장치의 식생대에 설치된 판형 관리구의 측단면도 및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초기우수 처리장치의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초기우수 처리장치의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초기우수 처리장치에 설치된 미생물조의 측단면 확대도,
도 10은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초기우수 처리장치에 설치된 미생물조의 평면 확대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초기우수 수집조 101 : 초기우수 배수관
200 : 침사지 300 : 저류지
400 : 식생대 401 : 식생대 유입구
402 : 식생대 배출구 403 : 거름제
405 : 흙다짐 406 : 수용성 프라스틱 비닐
407 : 원통형 관리구 지지대 408 : 판형 관리구 지지대
410 : 천연 섬유질부 420 : 자갈부
430 : 모래부 440 : 원통형 관리구
441 : 몸체 442 : 거름제
442a : 유입홀 443 : 덮개
450 : 판형 관리구 451 : 몸체
452 : 거름제 452a : 유입홀
453 : 흡착제 454 : 덮개
500 : 미생물조 501 : 미생물조 유입구
501a : 해충방지용 커버 503 : 미생물조 배출구
503a : 거름제(부직포) 504 : 미생물조 덮개
510 : 미생물살림틀 511 : 몸체
512 : 날개 512a : 미생물 배출구
513 : 미생물 투입구 515 : 부력통
520 : 고정축

Claims (9)

  1. 삭제
  2. 초기우수 수집조(100)로부터 유출되는 초기우수에 포함된 비중이 큰 물질을 바닥에 침전시켜 분리하고 비중이 작은 물질은 초기우수와 함께 유출시키는 침사지(200)와, 상기 침사지(200)로부터 유출되는 비중이 작은 비점오염물질이 포함된 초기우수를 이송시키는 저류지(300)와, 상기 저류지(300)로부터 유출되는 초기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질을 자갈과 모래를 포함하는 천연물질을 통하여 정화 처리한 후 배출하는 식생대(400)를 통해 초기우수 수집조를 통하여 수집되는 초기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질을 정화 처리하여 하천으로 유출시키는 초기우수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식생대(400)는 유입되는 초기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질을 1차 정화 처리하는 천연 섬유질부(410)와, 상기 천연 섬유질부(410)를 통하여 1차 정화 처리된 초기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질을 2차 정화 처리하는 자갈부(420)와, 상기 자갈부(420)를 통하여 2차 정화 처리된 초기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질을 3차 정화 처리하여 배출구(402)를 통하여 외부로 유출하는 모래부(4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우수 처리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 섬유질부(410)와 자갈부(420) 및 모래부(430)에는 몸체(441) 외측에 거름제(442)가 부착되고, 몸체(441) 내측에 친환경여재가 충진되며, 몸체(441)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덮개(443)가 결합된 원통형 관리구(440)가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우수 처리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 섬유질부(410)와 자갈부(420)의 경계면 또는 자갈부(420)와 모래부(430)의 경계면에는 몸체(451) 외측에 거름제(452)가 부착되고, 몸체(451) 내측에 흡착제(453)가 설치되며, 몸체(451)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덮개(454)가 결합된 판형 관리구(450)가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우수 처리장치.
  5. 초기우수 수집조(100)로부터 유출되는 초기우수에 포함된 비중이 큰 물질을 바닥에 침전시켜 분리하고 비중이 작은 물질은 초기우수와 함께 유출시키는 침사지(200)와, 상기 침사지(200)로부터 유출되는 비중이 작은 비점오염물질이 포함된 초기우수를 이송시키는 저류지(300)와, 상기 저류지(300)로부터 유출되는 초기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질을 자갈과 모래를 포함하는 천연물질을 통하여 정화 처리한 후 배출하는 식생대(400)를 통해 초기우수 수집조를 통하여 수집되는 초기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질을 정화 처리하여 하천으로 유출시키는 초기우수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저류지(300)와 식생대(400) 사이에는 저류지(300)로부터 유입되는 초기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질을 미생물을 통하여 분해 처리하여 식생대(400)로 유출하는 미생물조(50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우수 처리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미생물조(500)에는 원통형의 몸체(511) 내측에 미생물이 충진되고, 외측에 다수의 날개(512)가 돌출 형성되며, 몸체(511) 상부에 부력통(515)이 결합되고, 몸체(511)의 상부와 부력통의 상부에 미생물을 투입할 수 있는 미생물 투입구(513)가 형성된 된 미생물살림틀(510)이 유입되는 초기우수의 흐름 및 수위에 따라 좌우 회전 및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고정축(520)에 결합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우수 처리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미생물살림틀(510)의 몸체(511) 외측에 형성된 날개(512)에는 몸체(511) 내측과 연통되는 다수의 미생물 배출구(512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우수 처리장치.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저류지(300)로부터 초기우수를 유입받는 미생물조(500)의 유입구(501)는 입구측의 일측에 형성되고, 미생물조(500)에서 미생물 분해 처리된 초기우수를 식생대(400)로 유출하는 미생물조(500)의 배출구(503)는 상기 유입구(501)에 대각선상에 위치한 출구측의 타측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우수 처리장치.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저류지(300)로부터 초기우수를 유입받는 미생물조 유입구(501)에는 해충이 미생물조(500)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해충방지용 커버(501a)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20090047486A 2009-05-29 2009-05-29 자연친화형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09393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7486A KR100939325B1 (ko) 2009-05-29 2009-05-29 자연친화형 초기우수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7486A KR100939325B1 (ko) 2009-05-29 2009-05-29 자연친화형 초기우수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9325B1 true KR100939325B1 (ko) 2010-01-28

Family

ID=41810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7486A KR100939325B1 (ko) 2009-05-29 2009-05-29 자연친화형 초기우수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932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9577B1 (ko) * 2010-04-26 2012-09-04 알에스티이엔씨 주식회사 재해용 저류지를 활용한 초기우수 처리시설 및 그 형성방법
KR101219791B1 (ko) 2010-05-11 2013-01-09 비앤이테크(주) 정화유닛을 이용한 비점오염물 정화장치
WO2015107174A1 (fr) * 2014-01-17 2015-07-23 Recycl'eau Dispositif de traitement d'eaux usées
CN110482708A (zh) * 2019-09-20 2019-11-22 山东省分析测试中心 初期农田地表径流截留净化装置
CN116873994A (zh) * 2023-07-18 2023-10-13 秦皇岛冀水水利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适用于多地形植草沟滞滤净化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4942Y1 (ko) 2003-07-04 2003-12-01 이배복 하.폐수처리장의 생물반응조용이동식섬모상생물막모듈시스템
KR200357625Y1 (ko) * 2004-05-04 2004-07-30 (주) 한려환경건설 자연친화형 접촉순환 하수처리장치
KR20040091463A (ko) * 2003-04-22 2004-10-28 백순기 세라믹을 이용한 오수 처리시스템 및 오수 정화방법
KR100791965B1 (ko) 2006-11-09 2008-01-04 주식회사 아썸 비점오염원에서 발생하는 비점오염수 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1463A (ko) * 2003-04-22 2004-10-28 백순기 세라믹을 이용한 오수 처리시스템 및 오수 정화방법
KR200334942Y1 (ko) 2003-07-04 2003-12-01 이배복 하.폐수처리장의 생물반응조용이동식섬모상생물막모듈시스템
KR200357625Y1 (ko) * 2004-05-04 2004-07-30 (주) 한려환경건설 자연친화형 접촉순환 하수처리장치
KR100791965B1 (ko) 2006-11-09 2008-01-04 주식회사 아썸 비점오염원에서 발생하는 비점오염수 처리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9577B1 (ko) * 2010-04-26 2012-09-04 알에스티이엔씨 주식회사 재해용 저류지를 활용한 초기우수 처리시설 및 그 형성방법
KR101219791B1 (ko) 2010-05-11 2013-01-09 비앤이테크(주) 정화유닛을 이용한 비점오염물 정화장치
WO2015107174A1 (fr) * 2014-01-17 2015-07-23 Recycl'eau Dispositif de traitement d'eaux usées
FR3016623A1 (fr) * 2014-01-17 2015-07-24 Recycl Eau Dispositif de traitement d'eaux usees
CN110482708A (zh) * 2019-09-20 2019-11-22 山东省分析测试中心 初期农田地表径流截留净化装置
CN116873994A (zh) * 2023-07-18 2023-10-13 秦皇岛冀水水利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适用于多地形植草沟滞滤净化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1819B1 (ko)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
KR100949325B1 (ko) 저류지 전단 설치용 자연형 비점오염저감시설
US8303816B2 (en) Wetland biofilter chamber with peripheral catch basin and method of use thereof
KR100706269B1 (ko) 초기강우유출수의 비점오염물질 정화장치
KR101242275B1 (ko) 초기우수분리 및 자동역세와 정체수 배출이 가능한 비점오염저감시설
US8940170B2 (en) Triple-chambered wetland biofilter treatment system
KR101382006B1 (ko) 합류식 하수관거의 월류수 및 초기 우수 처리장치
KR101249741B1 (ko) 미생물 처리조를 포함한 통합 장치형 우수 처리 장치 및 우수 처리 방법
KR100691763B1 (ko) 강우유출수를 비롯한 오염수 처리를 위한 수처리장치
KR100991492B1 (ko) 다단처리를 통한 자연형 초기 우수 정화 장치 및 그 정화 방법
KR100897258B1 (ko) 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 처리 장치
KR100891656B1 (ko) 수로형 인공습지 및 이의 시공방법
KR20120095767A (ko) 초기우수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설비
KR101781178B1 (ko)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0562168B1 (ko) 초기우수 비점오염물 정화장치
KR100939325B1 (ko) 자연친화형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1244122B1 (ko) 부유식 디캔터를 이용한 정체수 배출 및 자동역세가 가능한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0951098B1 (ko) 카트리지필터를 이용한 비점 오염원 여과처리장치
KR100767754B1 (ko) 정화시설 내부 저장수를 이용하여 물청소하는 오염수다중정화시설 및 오염수 정화방법
KR101056115B1 (ko) 초기우수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설비
KR101738952B1 (ko) 고분자pe필터를 이용한 빗물 처리장치
KR20040102432A (ko) 건축물 우수배수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KR101208694B1 (ko) 우수의 여과장치
KR101760902B1 (ko) 블록식 결합형태를 갖는 비점오염원 정화장치
KR200378313Y1 (ko) 도로 배수 시설에서의 오염물질 처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1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