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4097A - 초기우수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초기우수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4097A
KR20150014097A KR1020130089323A KR20130089323A KR20150014097A KR 20150014097 A KR20150014097 A KR 20150014097A KR 1020130089323 A KR1020130089323 A KR 1020130089323A KR 20130089323 A KR20130089323 A KR 20130089323A KR 20150014097 A KR20150014097 A KR 201500140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tank
main body
treatment tank
trea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93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중
Original Assignee
김현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중 filed Critical 김현중
Priority to KR10201300893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14097A/ko
Publication of KR201500140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40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2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21/00Applications of separation devices
    • B01D2221/12Separation devices for treating rain or storm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1Runoff or storm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1/00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logical Treatment Of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기우수에서 비점 오염원을 저감할 수 있도록 하는 처리조 본체의 유입부에 협잡물의 제거 및 청소가 용이한 스크린조가 구비됨과 아울러 처리조 본체의 비점 오염원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한 초기우수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다수의 구획판으로 분리 구획하여 침사조와, 생물반응조와, 여과방류조가 다단계로 각각 구비된 처리조 본체에 있어서, 상기 처리조 본체의 유입부 상측에 스크린조를 설치하되 처리조 본체의 맨홀부에 거치시킬 수 있도록 상단 외주면에 형성된 걸림단턱과. 상측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구비되어 있는 개폐부재와, 측면 일측에 형성되어 초기우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유입구와, 측면 및 측면 및 바닥면에 스크린이 천공된 통형 스크린조로 구성되어 있는 초기우수 처리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초기우수 처리장치 {TREATMENT APPARATUS FOR RAIN WATER}
본 발명은 초기우수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초기우수에서 비점 오염원을 저감할 수 있도록 하는 처리조 본체의 유입부에 협잡물의 제거 및 청소가 용이한 스크린조가 구비됨과 아울러 처리조 본체의 비점 오염원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한 초기우수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화, 도시화에 따라 강우 유출수의 오염도가 매우 높아지고 있으며, 전체 강우에서 비점오염물질은 초기우수에 대부분이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비점오염물질은 그대로 하천, 호소로 유입되면 유역의 수질이 크게 악화되기 때문에 초기우수 유출수를 적정하게 처리하여 방류되도록 함으로써 비점오염물질에 의한 수질오염을 막을 수 있다.
이를 감안하여 강우시 오염도가 높은 도시 지역의 초기우수에는 비점오염물질이 많이 포함되어 있어 이를 분리하여 정화처리 하는 시스템이 선행기술로서 실용신안등록 제20-0427833호의 초기우수 저류 및 오수관로 자동배출장치 및 특허 제10-1136385호의 초기 우수 처리장치 및 초기 우수 처리방법 등이 다수 개시된 바 있으나, 종래의 초기우수 처리장치는 BOD처리 효율이 낮으며 유지 관리비가 많이 소요되어 실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 다수의 구획판으로 분리 구획하여 침사조, 생물반응조, 여과방류조가 구비된 처리조 본체로 이루어진 초기우수 처리장치에서는 협잡물을 제거하기 위한 스크린이 처리조 본체에 고정 설치되는 구성이므로 협잡물을 스크린에서 분리 처리하는데 어려움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다단으로 분리 구획된 구획판에 의해 유기물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부유물질이 다음 처리단계로 유출되어 유기물 처리효율이 저하되었으며, 여과방류조를 통해서만 여과가 이루어지게 되므로 여과효율이 떨어지는 등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다수의 구획판으로 분리 구획하여 침사조, 생물반응조, 여과방류조가 다단계로 구비된 처리조 본체로 이루어지되 처리조 본체의 유입부 상측에 개폐부재가 구비되고 스크린이 측면 및 저면에 스크린이 천공된 통형의 스크린조를 간편하게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한 구성으로 협잡물의 제거 및 청소가 용이하도록 한 초기우수 처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상기 구획판에 일체로 형성된 유출안내통로를 형성하고 입구에 세목 스크린으로 된 부유물질 차단부를 설치하여 부유물질이 다음 처리단계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유기물 처리효율을 높이고, 여과방류조의 상측 월류부에 모래와 자갈 등으로 이루어진 제2여과방류조를 구비하여 여과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본 발명은 다수의 구획판으로 분리 구획하여 침사조와, 생물반응조와, 여과방류조가 다단계로 각각 구비된 처리조 본체에 있어서, 상기 처리조 본체의 유입부 상측에 스크린조를 설치하되 처리조 본체의 맨홀부에 거치시킬 수 있도록 상단 외주면에 형성된 걸림단턱과. 상측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구비되어 있는 개폐부재와, 측면 일측에 형성되어 초기우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유입구와, 측면 및 측면 및 바닥면에 스크린이 천공된 통형 스크린조로 구성되어 있는 초기우수 처리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처리조 본체를 구획하는 다수의 구획판에 일체로 형성되고 수직으로 이루어진 반구형의 유출안내통로를 형성하여 유입수가 유출안내통로를 거쳐 다음 처리단계로 오버플로워될 수 있도록 하고, 유출안내통로의 입구에 세목 스크린으로 이루어진 부유물질 차단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여과방류조의 상측 월류부에 구획되어 모래와 자갈로 이루어진 제2여과방류조를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초기우수 처리장치는 강우 발생으로 비점 오염원이 포함된 초기우수를 처리조 본체에 유입시켜 침사조와, 생물반응조와, 여과방류조로 이루어진 다단계 처리수단에 의해 비점 오염원을 저감한 다음 방류되도록 하여 수질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면서 처리조 본체의 유입부 상측에 설치되어 협잡물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 스크린조에서 협잡물을 외부 인출하여 간편하게 처리할 수 있고, 스크린조를 처리조 본체에서 간편하게 분리하여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게 되어 스크린조의 유지 관리를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은 초기우수가 처리조 본체의 내부를 분리 구획하는 다수의 구획판에 일체로 형성되고 수직으로 이루어진 반구형의 유출안내통로가 형성되고 유출안내통로의 입구에 설치된 부유물질 차단부가 구비되어 처리조 본체의 다단계 처리수단에 의한 유기물 처리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본 발명은 처리조 본체의 유동상 PE여재 등으로 이루어져 있는 여과방류조를 거쳐 1차 여과가 된 다음 유출수가 월류되는 상측 월류부에 구비된 제2여과방류조에서 2차 여과를 한 다음 방류되도록 한 수단으로 유출수의 여과효율을 극대화시켜 수질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초기우수 처리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초기우수 처리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평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초기우수 처리장치에서 스크린조의 구성을 나타낸 일부 분해 사시도.
도 4는 상기 도 1에 도시된 초기우수 처리장치의 가-가'선 단면도.
도 5는 상기 도 1에 도시된 초기우수 처리장치의 나-나'선 단면도.
도 6은 상기 도 1에 도시된 초기우수 처리장치의 다-다'선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초기우수 처리장치의 구성에서 스크린조의 개폐부재 설치상태를 나타낸 또 다른 실시예의 종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초기우수 처리장치는, 다수의 구획판(20)으로 분리 구획하여 유입수에 포함된 모래나 슬러지를 침전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는 침사조(12)와, 다수의 유동상 다공성 담체(14a)로 이루어져 있는 생물반응조(14)와, 유동상 PE여재(16a)로 이루어져 있는 여과방류조(16)가 다단계로 각각 구비된 처리조 본체(10)에 의해 유입수의 유기물을 처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처리조 본체(10)의 유입부 상측에는 스크린조(30)를 설치하여 초기우수에서 유입되는 협잡물을 제거한 다음 처리조 본체(10)로 보내져서 처리조 본체(10)에서 유기물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스크린조(30)는 처리조 본체(10)의 맨홀부(11)에 거치시킬 수 있도록 상단 외주면에 형성된 걸림단턱(32)이 스크린조(30)를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하고, 스크린조(30)의 상측 개구부에는 개폐하도록 한 개폐부재(34)가 구비되고, 스크린조(30)의 측면 일측에는 초기우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유입구(36)가 형성되어 있고, 측면 및 측면 및 바닥면에 스크린(38)이 천공된 통형 스크린조(30)로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개폐부재(34)는 도 1과 같이 스크린조(30)의 상단에 결합하는 형태로 구비하거나 도 7과 같이 처리조 본체(10)의 맨홀부(11) 일측에 설치되고 스크린조(30)의 개구부 상측에 개폐부재가 위치하도록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스크린조(30)의 상부에는 손잡이(35)가 구비되어 스크린조(30)를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스크린조(30)에 초기우수가 유입되어 스크린(38)에 협잡물이 걸러지고 유수는 통과하여 처리조 본체(10)에 보내지게 되고, 스크린조(30)의 내부에 걸러진 협잡물을 제거하고자 할 때에는 스크린조(30)의 상측 개구부에 결합된 개폐부재(34)를 개방하여 협잡물을 외부로 인출하여 처리할 수 있게 되고, 스크린조(30)의 청소시에는 처리조 본체(10)의 맨홀부(11)에서 스크린조(30)를 분리하여 간편하게 청소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처리조 본체(10)를 구획하는 다수의 구획판(20)에 일체로 형성되고 수직으로 이루어진 유출안내통로(22)를 반구형으로 형성하여 유입수가 유출안내통로(22)를 거쳐 다음 처리단계로 월류될 수 있도록 하고, 유출안내통로(22)의 입구(22a)에 세목 스크린으로 이루어진 부유물질 차단부(24)가 설치되어 부유물질 차단부(24)에 의해 부유물질이 걸러지도록 하는 수단으로 부유물질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 상기 여과방류조(16)를 거쳐 방류되는 상측 월류부(16b)에 구획되어 있는 미세 망형 통체(42) 내에 모래와 자갈이 구비된 제2여과방류조(40)를 설치하여 초기우수 유출수를 1,2차 여과한 다음 방류되도록 함으로써 여과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강우 발생으로 비점 오염원이 포함된 초기우수를 처리조 본체(10)에 유입시켜 다단계 처리수단에 의해 비점 오염원을 저감한 다음 방류되도록 함으로써 비점오염물질에 의한 수질오염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은 처리조 본체(10)의 유입부 상측에 설치된 스크린조(30)에 의해 협잡물을 제거한 다음 처리조 본체(10)로 보내지도록 하되 스크린조(30)는 처리조 본체(10)의 맨홀부(11)에 거치된 상태로 탈,부착되도록 되어 있고, 상부 개구부에 개폐부재(34)가 결합된 통형의 스크린조(30)로 되어 있어서 스크린조(30)의 내부에 걸러진 상태로 쌓여 있는 협잡물을 제거하고자 할 때에는 스크린조(30)의 상측 개구부에 구비된 개폐부재(34)를 개방하여 협잡물을 외부로 인출하여 간편하게 인출 처리를 할 수 있게 되고, 이러한 스크린조(30)의 내부 청소를 할 때에는 처리조 본체(10)의 맨홀부(11)에서 스크린조(30)를 간편하게 분리하여 청소를 할 수 있게 되므로 스크린조(30)의 유지 관리를 편리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초기우수가 처리조 본체(10)의 내부를 분리 구획하여 침사조(12)와, 생물반응조(14)와, 여과방류조(16)로 이루어진 다단계의 처리수단이 구비되도록 하는 다수의 구획판(20)에 일체로 형성되고 수직으로 이루어진 반구형의 유출안내통로(22)를 통해 다음 처리단계로 월류될 수 있도록 하면서 유출안내통로(22)의 입구(22a)에 설치된 부유물질 차단부(24)가 구비되어 부유물질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수단으로 유기물의 처리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 본 발명에서는 처리조 본체(10)의 유동상 PE여재 등으로 이루어져 있는 여과방류조(16)를 거쳐 여과가 되는 유출수가 월류되어 방류가 될 때 상측 월류부(16b)에 구획되어 있는 미세 망형통체(42) 내에 모래와 자갈이 구비된 제2여과방류조(40)를 거치는 2차 여과를 한 다음 방류가 이루어지므로 유출수의 여과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
이상에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처리조 본체 11 : 맨홀부
12 : 침사조 14 : 생물반응조
14a : 담체 16 : 여과방류조
16a : 여재 16b : 월류부
20 : 구획판 22 : 유출안내통로
22a : 입구 24 : 부유물질 차단부
30 : 스크린조 32: 걸림단턱
34 : 개폐부재 35 : 손잡이
36 : 유입구 38 : 스크린
40 : 제2여과방류조 42 : 망형 통체

Claims (3)

  1. 다수의 구획판(20)으로 분리 구획하여 침사조(12)와, 생물반응조(14)와, 여과방류조(16)가 다단계로 각각 구비된 처리조 본체(10)에 있어서,
    상기 처리조 본체(10)의 유입부 상측에 스크린조(30)를 설치하되 처리조 본체(10)의 맨홀부(11)에 거치시킬 수 있도록 상단 외주면에 형성된 걸림단턱(32)과. 상측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구비되어 있는 개폐부재(34)와, 측면 일측에 형성되어 초기우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유입구(36)와, 측면 및 측면 및 바닥면에 스크린(38)이 천공된 통형 스크린조(3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우수 처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조 본체(10)를 구획하는 다수의 구획판(20)에 일체로 형성되고 수직으로 이루어진 반구형의 유출안내통로(22)를 형성하여 유입수가 유출안내통로(22)를 거쳐 다음 처리단계로 월류될 수 있도록 하고, 유출안내통로(22)의 입구(22a)에 세목 스크린으로 이루어진 부유물질 차단부(24)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우수 처리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방류조(16)의 상측 월류부(16b)에 구획되어 모래와 자갈로 이루어진 제2여과방류조(40)를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20130089323A 2013-07-29 2013-07-29 초기우수 처리장치 KR201500140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9323A KR20150014097A (ko) 2013-07-29 2013-07-29 초기우수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9323A KR20150014097A (ko) 2013-07-29 2013-07-29 초기우수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4097A true KR20150014097A (ko) 2015-02-06

Family

ID=52571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9323A KR20150014097A (ko) 2013-07-29 2013-07-29 초기우수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14097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78423A (zh) * 2015-08-25 2015-12-23 上海市城市建设设计研究总院 除渣除砂限流消能于一体的多功能入流井
CN106359225A (zh) * 2016-09-27 2017-02-01 中国水产科学研究院渔业机械仪器研究所 一种流水养殖槽集、排污工艺
KR101710638B1 (ko) * 2016-08-25 2017-02-27 에덴녹화산업 주식회사 침투도랑형 비점오염저감시설
CN106472378A (zh) * 2016-09-27 2017-03-08 中国水产科学研究院渔业机械仪器研究所 一种流水养殖槽集、排污系统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78423A (zh) * 2015-08-25 2015-12-23 上海市城市建设设计研究总院 除渣除砂限流消能于一体的多功能入流井
KR101710638B1 (ko) * 2016-08-25 2017-02-27 에덴녹화산업 주식회사 침투도랑형 비점오염저감시설
CN106359225A (zh) * 2016-09-27 2017-02-01 中国水产科学研究院渔业机械仪器研究所 一种流水养殖槽集、排污工艺
CN106472378A (zh) * 2016-09-27 2017-03-08 中国水产科学研究院渔业机械仪器研究所 一种流水养殖槽集、排污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2809B1 (ko) 초기우수 처리장치 및 방법
KR20100020867A (ko) 경사판 여과형을 이용한 도로의 친환경적 비점오염 제거장치
KR101736743B1 (ko) 자동 역세척 및 정체수 처리 기능을 갖는 비점오염 저감시설의 자동 역세척장치
KR20190083289A (ko) 합류식 하수관거 월류수의 부유물질 제거를 위한 여과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 방법
KR101334884B1 (ko) 미세공극을 갖는 투수성/흡수성 경량기포 콘크리트 여재를 이용하는 초기우수 비점오염물질 저감시설
KR20150014097A (ko)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1453163B1 (ko) 초기우수 내 오염물 및 합류식 하수관 내 오염물 처리장치
CN108609783A (zh) 一种生活污水再利用装置及使用方法
KR20160010952A (ko)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1730411B1 (ko) 우수 또는 잡배수를 재이용수로 처리하는 일체형 여과장치
KR101846421B1 (ko) 비점오염 저감시설
US20150258472A1 (en) Partitioned Separator Water Treatment System with Upflow Filter
KR101151908B1 (ko) 초기우수와 오염하천수를 동시에 처리 가능한 시설 및 그 처리방법
KR101775225B1 (ko) 초기 우수시의 하천 수질 개선을 위한 카트리지필터 여과장치
KR101217869B1 (ko) 월류수 처리장치
KR101203059B1 (ko) 초기 우수 처리장치
KR100896056B1 (ko) 우수 처리장치
KR101185763B1 (ko) 월류수 처리장치
KR101431325B1 (ko) 폐수 정화처리장치
KR102046562B1 (ko) 초기 빗물이 배출 가능한 빗물 정화장치
KR101052546B1 (ko) 측구용 초기우수 처리장치
JPH10151500A (ja) 汚水浄化槽
CN219239431U (zh) 一种中水回用装置
KR102416436B1 (ko) 다단 스크린 설비를 포함하는 비점오염원 처리시설
CN217015504U (zh) 一种废水利用多级过滤污水处理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