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6436B1 - 다단 스크린 설비를 포함하는 비점오염원 처리시설 - Google Patents

다단 스크린 설비를 포함하는 비점오염원 처리시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6436B1
KR102416436B1 KR1020220009117A KR20220009117A KR102416436B1 KR 102416436 B1 KR102416436 B1 KR 102416436B1 KR 1020220009117 A KR1020220009117 A KR 1020220009117A KR 20220009117 A KR20220009117 A KR 20220009117A KR 102416436 B1 KR102416436 B1 KR 1024164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let
filter
partition wall
wall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91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배기
김한선
Original Assignee
(주) 한국엔피기술
주식회사 세광종합기술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한국엔피기술, 주식회사 세광종합기술단 filed Critical (주) 한국엔피기술
Priority to KR10202200091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64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64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64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1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bag, cage, hose, tube, sleeve or like filtering elements
    • B01D29/13Supported filter elements
    • B01D29/23Supported filter elements arranged for outward flow filtration
    • B01D29/27Filter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5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 B01D29/52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in parallel conn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Abstract

본 발명은 다단 스크린 설비를 포함하는 비점오염원 처리시설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우수가 유입되는 유입구 일측으로 설치되는 바구니형 필터와; 다수 구성되어 우수의 여과를 최종적으로 수행하는 원통형 필터;의 설치를 위한 탈부착이 쉽도록 구성하여, 유지보수가 효율적인 다단 스크린 설비를 포함하는 비점오염원 처리시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단 스크린 설비를 포함하는 비점오염원 처리시설{Nonpoint pollution source processing facilities including multi-stage screen facilities}
본 발명은 다단 스크린 설비를 포함하는 비점오염원 처리시설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우수가 유입되는 유입구 일측으로 설치되는 바구니형 필터와; 다수 구성되어 우수의 여과를 최종적으로 수행하는 원통형 필터;의 설치를 위한 탈부착이 쉽도록 구성하여, 유지보수가 효율적인 다단 스크린 설비를 포함하는 비점오염원 처리시설에 관한 것이다.
수생태계 파괴원인의 하나인 비점오염원은 도로, 산업단지 등에 따른 불투수성 토지이용의 증가에 비례하여 꾸준히 증가되어 왔으나, 이에 상응하는 대안이 미흡한 실정이다.
특히, 강우시 도시, 산업단지, 도로변 등에 산재 된 오염원이 일시적으로 초기 우수와 함께 하천, 호소 등에 일시적으로 유입됨에 따라, 수역 내 오염부하 증가 및 용존산소 고갈 등의 생태계 파괴 원인을 제공함으로써 심각한 환경오염원으로 작용하며 수계 오염부하를 증대시키는 요인이 되었다.
한편 이러한 초기우수처리를 위한 비점오염처리장치의 예로서 특허등록공보 제10-0894022호에 기재된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상술된 기술은 초기 강우 유출수가 유입되도록 내측에 상향 돌출되게 형성되는 가변웨어가 구비되며, 일측에 유입관이 형성되는 우수관; 상단에 파지부가 형성되며, 외면에 스크린이 형성되고, 상기 유입관을 통해 상기 초기 강우 유출수가 유입되어 상기 유출수와 고형물을 분리하는 고형물 분리기와, 상기 고형물 분리기를 감싸는 중공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유출수와 유분성분을 분리하는 유수 분리기 및 상기 고형물 분리기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고형물이 저장되는 침사조를 포함하는 제 1 처리부; 상기 제 1 처리부에서 처리된 상기 유출수가 유입되도록 제 1 유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유출수에 포함되는 오염물질이 침전되는 여과침전저류조가 형성되며, 미세 오염물질과 상기 유출수를 정화하는 미세여과벽체가 구비된 제 2 처리부; 상기 제 2 처리부에서 처리된 상기 유출수가 유입되는 제 3 유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유출수를 최종적으로 정화하기 위해 외주에 다수의 정유공이 형성된 카트리지 다공성 필터와, 상기 카트리지 다공성 필터의 내부에 구비되며 외주에 다수의 유출입공이 형성된 유출입부재와, 상기 카트리지 다공성 필터 및 상기 유출입 부재가 고정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와 연결되는 필터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제 3 처리부 등의 구성을 제시한다.
그러나 상기 기술에 있어서는 미세여과벽체 및 카트리지 다공성 필터를 통해 최종적으로 유입수를 여과하여 처리수를 방류하도록 하는 바, 이러한 여과과정을 통해 필터 등이 폐색되는 경우 별도의 세척수단을 도입하여 필터를 세척하도록 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다른 한편, 우수처리에 관련된 기술로서, 등록특허공보 제10-0924075호에는 수직형 초기 우수 정화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상기 기술은, 상하 장방형으로 형성된 수직형 본체(100)를 마련하고, 상기 본체(100) 상부 정화조(12)로 유입되는 빗물의 부유물, 침전물을 여과시켜 후방측 상하로 형성된 배출구(19)를 통해 하부로 배출하는 상부 정화부(10)와, 상기 배출구(19)로 배출되는 빗물을 다수 연결 형성된 웨어배관(25)에 의해 고르게 분배하여 하부로 낙하는 빗물 분배부(20)와, 상기 빗물 분배부에 의해 고르게 분배되어 낙하되는 빗물을 여재부(35) 사이로 통과시켜 재차 여과한 후 배출구(31)로 배출하는 하부 정화부(30)를 상하로 형성하여 제공함으로써, 좁은 설치면적에 간단하게 설치함에 의한 공간 활용성, 설치 작업성 및 빗물에 포함된 부유물, 침전물 및 기타 이물질을 다단계 걸쳐 효과적으로 제거함에 의한 정화 효율성을 우수하게 제공하는 것을 기재하고 있다.
다른 기술로서, 등록특허공보 제10-1060100호에는 저에너지 자연정화 수직흐름 설비를 구비하는 빗물 처리시스템이 기재되어 있다.
상기 기술은, 저에너지 자연정화 수직흐름 설비를 구비하는 빗물 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오염우수 정화를 위해 수직흐름설비를 설치하여 동력없이 중력에 의해 자연적으로 정화되도록 한 저에너지 자연정화 수직흐름 설비를 구비하는 빗물 처리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상기 기술의 구성은 건물 등의 시설물에 설치되어 빗물, 폐수 등의 오폐수가 유입되어 이송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거용 관(1)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거용 관으로부터 유입된 빗물을 이송하는 연결관(2)과; 상기 연결관에서 이송된 빗물을 자연정화 수직흐름 설비에 공급하는 공급용관(3)과; 상기 공급용 관에 의해 다중 공급받은 빗물, 폐수 등의 오폐수를 중력에 의해 콩자갈, 자갈, 모래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상으로 이루어진 여과층을 통과시켜 자연정화시키는 자연정화 수직흐름 설비(4)와; 상기 자연정화 수직흐름 설비 하부에 설치되어 정화된 물을 공급받아 저장하는 저류조(5)로 구성되어 동력없이 자연정화하도록 한 저에너지 자연정화 수직흐름 설비를 구비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다.
또 다른 기술로서, 등록특허공보 제10-1826482호에는 수직 관로형 빗물 여과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상기 기술은, 수직 관로의 중력에 의해 하측으로 유입되는 빗물이 상광하협(上廣下狹)의 깔대기 관의 내측면을 따라 전향력을 받으면서도 중력에 의해 가속되어 협잡물은 자연스럽게 하부 외측으로 비산하여 빗물로부터 1차 분리되고, 상기 깔때기 관의 하부에 위치하는 메시 스크린(mesh screen)의 하향 경사면을 따라 1차 분리된 협잡물은 외측공간으로 완전 분리 배수시키고, 협잡물이 제거된 빗물은 상기 메시 스크린을 통해 수직으로 바로 낙하하여 모여져 별도의 빗물 저장 탱크로 유입시킴으로써, 관로내에서의 협잡물에 의한 막힘 현상을 방지하고, 빈번한 관리가 요구되지 않는 수직 관로형 빗물 여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술된 기술을 비롯한 종래의 비점오염원 처리시설은, 필터의 설치에 대한 구조가 복합하여 유지보수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필터 설치가 간편하면서도 동시에 비점오염원의 처리에 대한 효율을 확보할 수 있는 구조가 필요하다.
특허등록공보 제10-0894022호(2008.04.17. 공고) 등록특허공보 제10-0924075호(2009.10.29. 공고) 등록특허공보 제10-1060100호(2011.08.29. 공고) 등록특허공보 제10-1826482호(2018.02.06. 공고) 등록특허공보 제10-1639904호(2016.07.12. 공고) 등록특허공보 제10-0634464호(2006.10.16. 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우수가 유입되는 유입구 일측으로 설치되는 바구니형 필터와; 다수 구성되어 우수의 여과를 최종적으로 수행하는 원통형 필터;의 설치를 위한 탈부착이 쉽도록 구성하여, 유지보수가 효율적인, 다단 스크린 설비를 포함하는 비점오염원 처리시설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다단 스크린 설비를 포함하는 비점오염원 처리시설은, 외벽(1) 일측에 우수를 유입하는 유입구(10)와; 여과처리된 물을 배출하는 배출구(20)와; 외벽(1) 내부를 높이방향으로 구분짓는 격벽(30)과; 상기 격벽(30)으로 구분된 일구간을 격벽(30)의 수직된 방향으로 구분짓는 제2 격벽(40)과; 상기 외벽(1) 내측으로 유입구(10)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바구니형 필터(50)와; 상기 제2 격벽(40)에 다수 끼워져 결합되는 원통형 필터(6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격벽(30)에 의해 전처리조 및 처리조로 구분되되, 상기 전처리조와 처리조에 해당하는 영역의 상측에 해당하는 외벽(1)의 일측으로는 제1 홀(1a) 및 제2 홀(1b)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격벽(30)의 일측 중, 제2 격벽(40) 보다 낮은 위치의 일측에는 연통홀(31)이 형성되어, 전처리조와 처리조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격벽(40)에는 다수 개가 일정간격으로 배열된 단턱(41a)이 형성되되, 상기 단턱(41a)을 이용하여 원통형 필터(60)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원통형 필터(60)는,
내부에 여과재를 충진시켜 여과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되,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며, 중간 일측에 외주면을 따라 돌출되도록 형성된 걸림돌기(61)를 포함하고,
최상단 외주면에도 돌출되도록 형성된 상측돌기(62)가 형성되되,
상기 원통형 필터(60)의 바닥면에는 원통형 필터의 내부와 외부가 연통되도록 하는 유입홀(60a)이 형성되며, 최상면에도 원통형 필터의 내부와 외부가 연통되도록 하는 배출홀(62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단 스크린 설비를 포함하는 비점오염원 처리시설에 의하면, 우수가 유입되는 유입구 일측으로 설치되는 바구니형 필터와; 다수 구성되어 우수의 여과를 최종적으로 수행하는 원통형 필터;의 설치를 위한 탈부착이 쉽도록 구성하여, 유지보수가 효율적이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단 스크린 설비를 포함하는 비점오염원 처리시설을 단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단 스크린 설비를 포함하는 비점오염원 처리시설의 원통형 필터를 나타낸 것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2의 원통형 필터가 설치된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단 스크린 설비를 포함하는 비점오염원 처리시설의 바구니형 필터를 나타낸 것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본 발명은 다단 스크린 설비를 포함하는 비점오염원 처리시설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우수가 유입되는 유입구 일측으로 설치되는 바구니형 필터와; 다수 구성되어 우수의 여과를 최종적으로 수행하는 원통형 필터;의 설치를 위한 탈부착이 쉽도록 구성하여, 유지보수가 효율적인 다단 스크린 설비를 포함하는 비점오염원 처리시설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단 스크린 설비를 포함하는 비점오염원 처리시설을 단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첨부된 도면의 도 1에 따른 본 발명의 다단 스크린 설비를 포함하는 비점오염원 처리시설은, 외벽(1) 일측에 우수를 유입하는 유입구(10)와; 여과처리된 물을 배출하는 배출구(20)와; 외벽(1) 내부를 높이방향으로 구분짓는 격벽(30)과; 상기 격벽(30)으로 구분된 일구간을 격벽(30)의 수직된 방향으로 구분짓는 제2 격벽(40)과; 상기 외벽(1) 내측으로 유입구(10)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바구니형 필터(50)와; 상기 제2 격벽(40)에 다수 끼워져 결합되는 원통형 필터(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격벽(30)에 의해 구분되는 영역 중, 유입구(10)에 인접하는 영역은 전처리조로서, 유입된 우수를 1차적으로 여과하는 구간이고, 다른 영역은 배출구(20)에 인접하며 제2 격벽(40)이 구비된 처리조로서, 최종적으로 우수를 여과하여 깨끗한 물이 되도록 한다.
이때, 각 전처리조와 처리조에 해당하는 영역의 상측에 해당하는 외벽(1)의 일측으로는 제1 홀(1a) 및 제2 홀(1b)이 각각 형성되며, 이는 개폐되어 외벽(1) 내부로 사람이 출입할 수 있도록 기능한다.
한편, 상기 격벽(30)의 일측 중, 제2 격벽(40) 보다 낮은 위치의 일측에는 연통홀(31)이 형성되어, 전처리조와 처리조가 연통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전처리조를 통해 1차적으로 여과된 우수가 처리조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2 격벽(40)에는 다수 개가 일정간격으로 배열된 단턱(41a)이 형성되는데, 상기 단턱(41a)을 이용하여 원통형 필터(60)가 결합되며, 이는 첨부된 도면의 도 2 내지 도 4를 통해 도시하였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단 스크린 설비를 포함하는 비점오염원 처리시설의 원통형 필터를 나타낸 것이고, 도 3 및 도 4는 도 2의 원통형 필터가 설치된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첨부된 도면의 도 2와 같이 상기 원통형 필터(60)는, 내부에 여과재를 충진시켜 여과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되,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며, 중간 일측에 외주면을 따라 돌출되도록 형성된 걸림돌기(61)를 포함하고,
최상단 외주면에도 돌출되도록 형성된 상측돌기(62)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원통형 필터(60)의 바닥면에는 원통형 필터의 내부와 외부가 연통되도록 하는 유입홀(60a)이 형성되며, 최상면에도 원통형 필터의 내부와 외부가 연통되도록 하는 배출홀(62a)이 형성된다.
이러한 원통형 필터(60)는, 첨부된 도면의 도 3 및 도 4와 같이, 제2 격벽(40) 상에 다수 돌출된 결합홀(41)을 관통하되, 상기 결합홀(41)의 단턱(41a)에 원통형 필터(60)의 걸림돌기(61)가 걸려서 안착됨에 따라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상기 원통형 필터(60)의 일측벽에도 홀을 형성하여 우수의 여과가 효율적으로 수행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설계 조건에 따라서는, 상기 원통형 필터(60)의 걸림돌기(61)를 링 형상으로 구성하여 원통형 필터(60)로부터 분리되도록 구성하되, 볼트 체결 방식으로 하여 걸림돌기(61)가 원통형 필터(60)로부터 탈착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결합홀(41)의 상, 하단부 모두에 단턱(41a)을 형성하여, 걸림돌기(61)에서부터 상측돌기(62)까지의 사이공간이 결합홀(41)에 결합되고, 상측돌기(62)는 상측의 단턱에, 그리고 걸림돌기는 하측의 단턱에 걸리도록 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인 원통형 필터의 결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의 도 5를 통해 바구니형 필터(50)를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단 스크린 설비를 포함하는 비점오염원 처리시설의 바구니형 필터를 나타낸 것이다.
첨부된 도면의 도 5와 같이 바구니형 필터(50)는 소정의 바구니 형상을 가지며, 모든 면이 메쉬망 형상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이때 형태 유지를 위하여 프레임을 가지는 것은 당연하며, 이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다만, 바구니형 필터(50)는 원통형 필터(60)에 비하여 더 큰 크기의 메쉬를 가지도록 함으로써, 1차적인 역과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다. 예컨대, 바구니형 필터(50)는 25mm의 메쉬망 크기를 가지도록 하고, 원통형 필터(60)는 1mm의 메쉬망 크기를 가지도록 한다. 이때, 각 필터(50, 60)는 부식에 내구성이 강한 스테인레스(STS) 또는 수지 계열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 격벽(400은 바닥에서부터 최소 300mm ~ 800mm 이상의 이격을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바구니형 필터(50)로 구성됨에 따라, 유지보수시 내부의 이물질 제거에 효과적이다.
다만, 상술된 바구니형 필터(50)의 안정적인 결합을 위하여, [표 1]의 구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Figure 112022007926754-pat00001
먼저, 상기 유입구(10)의 전처리조 내부에 위치된 단부에는 플랜지(2)가 구성되며, 상기 유입구(10)의 일측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플랜지(2)의 일측에는 홀이 형성되어 유입구(10)의 나사산을 통해 회전결합된다. 이를 위하여 플랜지(2)의 홀 내면에도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랜지(2)는 일측을 절개하여 힌지(경첩 등)를 통해 연결함으로써, 힌지를 축으로 절개된 일측이 회동되도록 할 수 있는데, 이때 힌지는 외벽(1) 방향을 향하는 일면에 설치된다.
이러한 힌지의 일측에는 토션스프링이 결합된다.
또한, 상기 유입구(10)의 외면 중 외벽(1)에서부터 플랜지(2) 사이의 영역 일측에는 오목홈이 형성되고, 상기 오목홈에는 돌출블럭(3)이 내삽된다.
이러한 돌출블럭(3)은 경첩을 이용하여 오목홈에 가장 인접한 유입구(10)의 외면에 결합되며, 상기 경첩을 축으로 돌출블럭(3)이 회동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오목홈의 바닥면에서부터 돌출블럭(3)의 하면까지는 스프링이 결합된다. 이때 스프링의 결합은 용접, 접착, 볼팅체결 등 다양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상기 돌출블럭(3)은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들리려는 힘이 작용하며, 경첩에 의해 일측이 고정되어 고정되지 않은 다른 단부가 경사방향으로 들리게 된다.
상술된 구조로 인해, 바구니형 필터(50)의 결합홀(51)을 플랜지(2)의 하측에 걸고, 밀어 넣으면, 플랜지(2)의 회동영역(2a)이 경첩을 축으로 회동되어 뒤로 밀려서 바구니형 필터(50)의 결합홀(51)이 끼워지고, 통과되면 다시 토션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회동영역(2a)이 본래의 위치로 이동되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돌출블럭(3)이 스프링에 의해 경사져 돌출되었을 때, 바구니형 필터(50)의 결합홀(51)의 내벽이 가압하는 힘과 스프링에 의해 돌출되려는 돌출블럭(3)의 힘이 더해져, 바구니형 필터(50)의 견고한 결합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때, 돌출블럭(3)이나 오목홈 등의 구조는 유입구(10)의 경사진 표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짐이 당연하다.
상술된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를 기반으로 특성을 평가한 결과, 전처리조에서의 체류시간은 1.65min 내외를 가진다.
이러한 체류시간은 아래의 정보를 기반으로 결정되었다.
체류시간(min) = 유효용량(V, ㎥) / 유량(Q, ㎥/hr)
= 1.44㎥ / 125㎥/hr ≒ 0.027hr = 1.65min
처리유량 : 125㎥/hr
유효용량 : 1.577㎥(1.2×1.2×2.38)
또한, 바구니형 필터에서의 면적부하는 90.91m3/m2·hr이다.
면적부하(㎥/㎡·hr) = 유량(Q, ㎥/hr) / 스크린 표면적(A, ㎡)
= 125㎥/hr / 1.375㎡ = 90.91㎥/㎡·hr
유량 : 125㎥/hr
표면적 : 1.375㎡
(0.5m × 0.5m × 1side)
(0.5m × 0.75m × 3side)
또한, 처리조의 체류시간은 1.65min 내외이고, 원통형 필터의 면적부하는 324.97m3/m2·hr이다.
체류시간(min) = 유효용량(V, ㎥) / 처리유량(Q, ㎥/hr)
= 1.44㎥ / 125㎥/hr ≒ 0.027hr = 1.65min
처리유량 : 125㎥/hr
유효용량 : 1.577㎥(1.2m×1.2m×2.38m
면적부하(㎥/㎡·hr) = 유량(Q, ㎥/hr) / 스크린 표면적(A, ㎡)
= 125㎥/hr / 0.3847㎡ = 324.97㎥/㎡·hr
유량 : 125㎥/hr
표면적 : 0.3847㎡
(0.175m ×0.175m ×π) ×4EA
이때의 전처리조의 규격은, 1.200mm × 1,200mm × 2.380mm(유효수심 2.380mm)이고, 바구니형 필터의 규격은 500mm × 500mm × 750mm / 목폭 25mm 이상이다.
또한, 처리조의 규격은, 1.200mm × 1,200mm × 2.380mm(유효수심 2.380mm)이고, 원통형 필터의 규격은 Ø350mm × 200mm / 목폭 1mm 이상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다단 스크린 설비를 포함하는 비점오염원 처리시설이 기능하는 과정은, 우수를 유입구를 통해 유입한 후, 바구니형 필터를 이용하여 협잡물을 제거하는 1차 여과를 수행하고, 전처리조에서 처리조로 우수가 이동되면, 처리조에서 누적되는 우수의 양에 의해 원통형 필터를 통과하면서, 깨끗한 물로 여과하여 배출구를 통해 배출하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다단 스크린 설비를 포함하는 비점오염원 처리시설을 유지보수하는 방법으로서, 제1 및 제2 홀(1a, 1b)을 통해 인력 또는 준설차량 호수를 투입하여, 외벽(1) 내부에 정체된 정체수와 여과에 따라 누적된 퇴적물을 [표 6]과 같이 제거하도록 한다.
Figure 112022007926754-pat00002
Figure 112022007926754-pat00003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비점오염원처리시설은 성능검사에 대한 판정을 [표 7]과 같이 받은 바 있다.
Figure 112022007926754-pat00004
상기에서 도면을 이용하여 서술한 것은, 본 발명의 주요 사항만을 서술한 것으로,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가 가능한 만큼, 본 발명이 도면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1 : 외벽
1a : 제1 홀
1b : 제2 홀
10 : 유입구
20 : 배출구
30 : 격벽
31 : 연통홀
40 : 제2 격벽
41 : 결합홀
41a : 단턱
50 : 바구니형 필터
51 : 결합홀
60 : 원통형 필터
60a : 유입홀
61 : 걸림돌기
62 : 상측돌기
62a : 배출홀

Claims (5)

  1. 외벽(1) 일측에 우수를 유입하는 유입구(10)와;
    여과처리된 물을 배출하는 배출구(20)와;
    외벽(1) 내부를 높이방향으로 구분짓는 격벽(30)과;
    상기 격벽(30)으로 구분된 일구간을 격벽(30)의 수직된 방향으로 구분짓는 제2 격벽(40)과;
    상기 외벽(1) 내측으로 유입구(10)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바구니형 필터(50)와; 상기 제2 격벽(40)에 다수 끼워져 결합되는 원통형 필터(6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유입구(10)의 전처리조 내부에 위치된 단부에는 플랜지(2)가 구성되며, 상기 유입구(10)의 일측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2)의 일측에는 홀이 형성되어 유입구(10)의 나사산을 통해 회전결합되며,
    상기 플랜지(2)는 일측을 절개하여 힌지를 통해 연결함으로써, 힌지를 축으로 절개된 일측이 회동되도록 할 수 있되, 상기 힌지는 외벽(1) 방향을 향하는 일면에 설치되고, 상기 힌지의 일측에는 토션스프링이 결합되며,
    상기 유입구(10)의 외면 중 외벽(1)에서부터 플랜지(2) 사이의 영역 일측에는 오목홈이 형성되고, 상기 오목홈에는 돌출블럭(3)이 내삽되며,
    돌출블럭(3)은 경첩을 이용하여 오목홈에 가장 인접한 유입구(10)의 외면에 결합되며, 상기 경첩을 축으로 돌출블럭(3)이 회동되도록 하고,
    상기 오목홈의 바닥면에서부터 돌출블럭(3)의 하면까지는 스프링이 결합됨으로써,
    상기 돌출블럭(3)은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들리려는 힘이 작용하며, 경첩에 의해 일측이 고정되어 고정되지 않은 다른 단부가 경사방향으로 들리게 됨에 따라,
    상기 바구니형 필터(50)의 결합홀(51)을 플랜지(2)의 하측에 걸고, 밀어 넣으면, 플랜지(2)의 회동영역(2a)이 경첩을 축으로 회동되어 뒤로 밀려서 바구니형 필터(50)의 결합홀(51)이 끼워지고, 통과되면 다시 토션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회동영역(2a)이 본래의 위치로 이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스크린 설비를 포함하는 비점오염원 처리시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격벽(30)에 의해 전처리조 및 처리조로 구분되되,
    상기 전처리조와 처리조에 해당하는 영역의 상측에 해당하는 외벽(1)의 일측으로는 제1 홀(1a) 및 제2 홀(1b)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스크린 설비를 포함하는 비점오염원 처리시설.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격벽(30)의 일측 중, 제2 격벽(40) 보다 낮은 위치의 일측에는 연통홀(31)이 형성되어, 전처리조와 처리조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스크린 설비를 포함하는 비점오염원 처리시설.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격벽(40)에는 다수 개가 일정간격으로 배열된 단턱(41a)이 형성되되,
    상기 단턱(41a)을 이용하여 원통형 필터(60)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스크린 설비를 포함하는 비점오염원 처리시설.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필터(60)는,
    내부에 여과재를 충진시켜 여과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되,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며, 중간 일측에 외주면을 따라 돌출되도록 형성된 걸림돌기(61)를 포함하고,
    최상단 외주면에도 돌출되도록 형성된 상측돌기(62)가 형성되되,
    상기 원통형 필터(60)의 바닥면에는 원통형 필터의 내부와 외부가 연통되도록 하는 유입홀(60a)이 형성되며, 최상면에도 원통형 필터의 내부와 외부가 연통되도록 하는 배출홀(62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스크린 설비를 포함하는 비점오염원 처리시설.
KR1020220009117A 2022-01-21 2022-01-21 다단 스크린 설비를 포함하는 비점오염원 처리시설 KR1024164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9117A KR102416436B1 (ko) 2022-01-21 2022-01-21 다단 스크린 설비를 포함하는 비점오염원 처리시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9117A KR102416436B1 (ko) 2022-01-21 2022-01-21 다단 스크린 설비를 포함하는 비점오염원 처리시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6436B1 true KR102416436B1 (ko) 2022-07-06

Family

ID=82400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9117A KR102416436B1 (ko) 2022-01-21 2022-01-21 다단 스크린 설비를 포함하는 비점오염원 처리시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6436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0957B1 (ko) * 2004-12-20 2006-04-13 채경희 도로 배수 시설의 오염물질 처리 장치
KR100634464B1 (ko) 2005-05-31 2006-10-16 녹스 코리아(주) 초기 강우 정화처리 장치
KR100894022B1 (ko) 2008-09-09 2009-04-17 주식회사 한솔환경산업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
KR100924075B1 (ko) 2007-10-01 2009-10-29 이원선 수직형 초기 우수 정화장치
KR100984676B1 (ko) * 2009-12-11 2010-10-01 (주) 한국엔피기술 배수 처리용 초기우수 처리 장치
KR101060100B1 (ko) 2008-12-11 2011-08-29 주식회사 뉴보텍 저에너지 자연정화 수직흐름 설비를 구비하는 빗물 처리시스템
KR101639904B1 (ko) 2014-12-19 2016-07-15 주식회사 포스코 도금강판 냉각장치
KR101826482B1 (ko) 2017-09-06 2018-02-06 박문수 수직 관로형 빗물 여과 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0957B1 (ko) * 2004-12-20 2006-04-13 채경희 도로 배수 시설의 오염물질 처리 장치
KR100634464B1 (ko) 2005-05-31 2006-10-16 녹스 코리아(주) 초기 강우 정화처리 장치
KR100924075B1 (ko) 2007-10-01 2009-10-29 이원선 수직형 초기 우수 정화장치
KR100894022B1 (ko) 2008-09-09 2009-04-17 주식회사 한솔환경산업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
KR101060100B1 (ko) 2008-12-11 2011-08-29 주식회사 뉴보텍 저에너지 자연정화 수직흐름 설비를 구비하는 빗물 처리시스템
KR100984676B1 (ko) * 2009-12-11 2010-10-01 (주) 한국엔피기술 배수 처리용 초기우수 처리 장치
KR101639904B1 (ko) 2014-12-19 2016-07-15 주식회사 포스코 도금강판 냉각장치
KR101826482B1 (ko) 2017-09-06 2018-02-06 박문수 수직 관로형 빗물 여과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2740B1 (ko) 2단 와류와 여과에 의한 비점오염원 처리장치
KR102199644B1 (ko) 유동상 필터층에서의 압밀 및 이완 기술을 구성한 비점오염원처리시스템
KR101736743B1 (ko) 자동 역세척 및 정체수 처리 기능을 갖는 비점오염 저감시설의 자동 역세척장치
KR101842653B1 (ko) 유수통공이 형성된 여과카트리지 및 이를 이용한 비점오염 처리시설
KR101113989B1 (ko) 모듈식 측면여과형 비점오염저감장치
KR20190083289A (ko) 합류식 하수관거 월류수의 부유물질 제거를 위한 여과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 방법
CH699648B1 (de) Filter für die Filtration von mit Grob-, Fein- und Feinststoffen verschmutztem Abwasser und eine Abwasserreinigungsanlage.
KR101799513B1 (ko) 여과카트리지 및 이를 이용한 비점오염 처리시설
KR20130033738A (ko) 여재카트리지를 결합한 모듈식 침투도랑
KR102416436B1 (ko) 다단 스크린 설비를 포함하는 비점오염원 처리시설
KR20150014097A (ko)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2450237B1 (ko) 유충 여과시설을 갖춘 정수처리장치
KR102421273B1 (ko) 부유 물질 분리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침전조
KR101185763B1 (ko) 월류수 처리장치
KR101159474B1 (ko) 비점오염물질 정화 장치
KR100896056B1 (ko) 우수 처리장치
JP7174577B2 (ja) 重力式濾過装置
KR101251074B1 (ko) 오염수 처리장치
KR100453705B1 (ko) 침전 여과조를 이용한 오수처리장치 및 방법
KR102416082B1 (ko) 섬유볼 여재를 이용하는 비점오염처리시설
KR200225088Y1 (ko) 경사판침전조
KR101556183B1 (ko) 비점오염 처리시설
KR102444336B1 (ko) 스크린 타입 여과장치를 갖는 비점오염 역세 자동화 시스템
KR102215767B1 (ko) 초기우수처리를 위한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
KR20230003817A (ko) 비점오염 저감시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