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9985A - 냉온 정수기 - Google Patents

냉온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9985A
KR20100009985A KR1020080070841A KR20080070841A KR20100009985A KR 20100009985 A KR20100009985 A KR 20100009985A KR 1020080070841 A KR1020080070841 A KR 1020080070841A KR 20080070841 A KR20080070841 A KR 20080070841A KR 20100009985 A KR20100009985 A KR 201000099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urified water
tank
filter
c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08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승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승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승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승광
Priority to KR10200800708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9985A/ko
Publication of KR201000099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99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8Control or steering system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subclass C02F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02F1/3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light
    • C02F1/325Irradiation devices or lamp constru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9/00Multistage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9/20Portable or detachable small-scale multistage treatment devices, e.g. point of use or laboratory water purification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2Tempera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4Disinfec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온 정수기(cold and warm water purifier)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정수(淨水)와 연수(軟水)를 생성해서 정수, 연수, 정수의 냉각에 따른 냉 정수, 정수의 가열에 따른 온 정수를 구분 제공하는 제 1 기능과, 정수의 저장을 위한 정수탱크와 냉 정수 저장을 위한 냉각탱크 중 적어도 하나를 고온으로 자체 살균하는 제 2 기능과, 냉/온 정수가 배출되는 제 1 배출부에 근접한 사용자의 컵 등을 자외선 소독하는 제 3 기능과, 정수와 연수를 배출되는 제 2 배출부가 외부로 추출 및 삽입되는 제 4 기능과, 정수와 연수의 생성을 위한 필터부가 외부로 회전 추출되는 제 5 기능을 갖춘 냉온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원수를 정수로 정화하는 적어도 하나의 정수필터가 구비된 필터부와; 상기 정수가 배출되고 일 측면을 따라 렉이 형성된 파이프 형상의 배출부와; 회전축을 가진 모터와; 상기 회전축에 관통 고정되고 제 1 클러치기어가 둘러 구비된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에 유격있게 관통되어 상기 렉과 치합되며 상기 모터를 향하는 일면에 상기 제 1 클러치기어와 대응되는 제 2 클러치기어가 구비된 피니언과; 상기 피니언을 관통하는 상기 샤프트 말단에 관통 고정되는 코일스프링을 포함하는 정수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냉온 정수기{cold and warm water purifier}
본 발명은 냉온 정수기(cold and warm water purifier)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정수(淨水)와 연수(軟水)를 생성해서 정수, 연수, 정수의 냉각에 따른 냉 정수, 정수의 가열에 따른 온 정수를 구분 제공하는 제 1 기능과, 정수의 저장을 위한 정수탱크와 냉 정수 저장을 위한 냉각탱크 중 적어도 하나를 고온으로 자체 살균하는 제 2 기능과, 냉/온 정수가 배출되는 제 1 배출부에 근접한 사용자의 컵 등을 자외선 소독하는 제 3 기능과, 정수와 연수를 배출되는 제 2 배출부가 외부로 추출 및 삽입되는 제 4 기능과, 정수와 연수의 생성을 위한 필터부가 외부로 회전 추출되는 제 5 기능을 갖춘 냉온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기(water cleaner)란 수돗물 등의 원수(原水)를 '먹는 물 관리법' 제5조 제3항 규정에 적합에 음용수로 정화하는 장치로서, 정수원리에 따라 직결여과식, 자연여과식, 증류식, 이온수기식 등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각각을 간략하게 살펴보면, 직결여과식 정수기는 원수가 공급되는 수전구 등 에 정수기를 직접 연결해서 원수의 공급압력으로 필터를 통과시켜 정수를 얻고, 자연여과식 정수기는 일정용량의 원수를 저장해서 원수의 자체하중으로 필터를 통과시켜 정수를 얻으며, 증류식 정수기는 원수를 끓여 수증기를 재 집수(集水)하는 방식을 취하고, 이온수기식 정수기는 원수를 전기 분해해서 음(-), 양(+)의 극성별로 수중(水中)의 무기물을 분리하는 방식을 나타낸다.
이 중에서 용도가 극히 한정적인 증류식과 이온수기식 정수기를 제외하면 현재 주로 사용되는 방식은 직결여과식과 자연여과식 정수기이며, 이들은 통상 복수의 필터에 의한 4 단계 정수원리를 나타낸다. 이에 따라 편의상 필터식 정수기라 총칭하면, 구체적인 순서에서는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필터식 정수기로 입수된 원수는 전처리 침전필터 등의 1차 필터에 의해 수중의 불순물이 제거되고, 프리카본필터 등의 2차 필터에 의해 염소성분과 유기화학물질이 흡착 및 제거되며, 역삼투압 또는 중공사막 등의 3차 필터에 의해 수중의 미세 불순물이 제거되고, 포스트카본필터 등의 4차 필터에 의해 불쾌한 맛, 냄새 등이 제거되어 최종적으로 사용자에게 출수된다.
그 결과 필터는 정수기의 성능을 좌우하는 핵심적인 요소이며, 필터의 적절한 유지관리는 정수능력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
하지만, 일반적인 필터식 정수기의 경우에 필터교체에 드는 시간과 노력의 소모가 크고, 필터의 오염정도 및 이에 따른 필터교체시기를 객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방법도 부족한 실정이다. 즉, 필터교체를 위해서는 실질적으로 정수기 전체를 분해해야 하므로 일반 사용자에게는 부담이 큰 한편, 필터교체시기 또한 단순한 시 간경과나 주관적 판단, 예컨대 한 달에 한번과 같은 임의의 시간간격이나 물맛 등의 주관적 느낌에 의존하고 있다. 때문에 불필요하게 잦은 필터교체로 인해 비용, 인력, 시간의 낭비를 초래하거나 반대로 적절한 교체시기를 놓쳐 오염된 물을 사용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또한, 일반적인 필터식 정수기는 제품 특성상 내부 주요부분이 상시적으로 물과 접촉되며, 이로 인해 물때 등의 오염은 물론 세균번식가능성이 큰 단점이 있다. 때문에 주기적으로 청소를 진행해야 하지만, 이를 위해서는 필터식 정수기 내부의 정수와 원수를 완전히 비운 후 실질적으로 정수기 전체를 분해해야 하므로 시간과 노력의 소모가 크고, 사용자 입장에서는 매우 번거롭고 귀찮은 작업이 아닐 수 없다.
그 결과, 제빙기능 등의 편의기능을 갖춘 신제품이 계속해서 소개되고 있지만 기존의 필터식 정수기는 위생적, 관리적 측면에서 여전히 개선될 부분이 많은 것으로 지적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보다 간편하고 위생적이면서도 다양한 편의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정수기를 기대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대에 부응하기 위한 것으로, 필터교환을 비롯한 전반적인 유지관리가 간편하고 위생관리가 수월하며, 여러 가지 편의기능을 제공함에 따라 사용이 편리한 정수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정수와 연수를 생성해서 정수, 연수, 정수의 냉각에 따른 냉 정수, 정수의 가열에 따른 온 정수를 구분 제공하는 제 1 기능과, 정수의 저장을 위한 정수탱크와 냉 정수 저장을 위한 냉각탱크 중 적어도 하나를 고온으로 자체 살균하는 제 2 기능과, 냉/온 정수가 배출되는 제 1 배출부에 근접한 사용자의 컵 등을 자외선 소독하는 제 3 기능과, 정수와 연수를 배출되는 제 2 배출부가 외부로 추출 및 삽입되는 제 4 기능과, 정수와 연수의 생성을 위한 필터부가 외부로 회전 추출되는 제 5 기능을 갖춘 냉온 정수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원수를 정수로 정화하는 적어도 하나의 정수필터가 구비된 필터부와; 상기 정수가 배출되고 일 측면을 따라 렉이 형성된 파이프 형상의 배출부와; 회전축을 가진 모터와; 상기 회전축에 관통 고정되고 제 1 클러치기어가 둘러 구비된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에 유격있게 관통되어 상기 렉과 치합되며 상기 모터를 향하는 일면에 상기 제 1 클러치기어와 대응되는 제 2 클러치기어가 구비된 피니언과; 상기 피니언을 관통하는 상기 샤프트 말단에 관통 고정되는 코일스프링을 포함하는 정수기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코일스프링을 고정하도록 상기 샤프트 끝단에 체결되는 E-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클러치기어는 각각의 치형이 삼각형의 대칭이고, 압력각은 20°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배출부의 추출 및 삽입을 위해 사용자가 회전시키는 레버와; 상기 레버의 회전방향 및 회전정도를 감지하는 셀렉트스위치와; 상기 셀렉트스위치의 감지결과에 따라 상기 모터의 회전방향 및 회전정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출부는, 상기 정수가 배출되고 고정된 제 1 배출구와; 상기 파이프 형상의 제 2 배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필터부는, 상기 원수를 연수로 연수화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수필터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 1 배출구로는 상기 정수가 배출되고, 상기 제 2 배출구로는 상기 정수 및 상기 연수가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정수가 저장되는 정수탱크와, 상기 정수의 가열에 따른 온 정수가 저장되는 히팅탱크와, 상기 정수의 냉각에 따른 냉 정수가 저장되는 냉각탱크를 구비한 탱크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 1 배출구로는 상기 냉/온 정수가 배출되고, 상기 제 2 배출구로는 상기 정수 및 연수가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냉온 정수기는 필터교환을 비롯한 전반적인 유지관리가 간편하고 위생관리가 수월하며, 여러 가지 다양한 편의기능을 제공함에 따라 사용이 편리한 장점을 나타낸다.
즉, 정수와 연수를 생성하여 냉/온 정수, 정수, 연수로 구분 제공하는 제 1 기능의 경우에 사용자는 음용을 위해 냉/온 정수를 사용하고, 조리 등을 위해 정수를 사용하며, 손 세척 등을 위해서 연수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선택의 폭이 넓은 동시에 각각의 용도에 가장 알맞은 물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정수저장을 위한 정수탱크와 냉 정수 저장을 위한 냉각탱크를 자체적으로 고온 살균하는 제 2 기능의 경우에 사용자가 냉온 정수기 내부를 열어 청소하는 등의 번거로움을 덜어주고 한층 더 위생적인 관리가 가능하다. 또한, 냉/온 정수 배출을 위한 제 1 출수구에 근접된 사용자의 컵 등을 자외선으로 소독하는 제 3 기능의 경우에 사용자는 수시로 자신의 컵 등을 간편하게 소독할 수 있어 위생적이고 편리하다. 또한, 정수 및 연수 배출을 위한 제 2 출수구가 외부로 추출 및 삽입되는 제 4 기능의 경우에 요리 등을 위해 부피가 큰 그릇에 물을 채우거나 손 등을 세척할 때 매우 편리하다. 또한, 냉온 정수기에 내장된 필터부가 손쉽게 외부로 회전 추출되는 제 5 기능의 경우에 필터교환이 손쉬워서 남녀노소 누구나 간편하게 필터를 교환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최상의 수질을 유지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냉온 정수기는 정상적인 방법이 아닌 강제적인 외력에 의해 제 2 배출구를 삽입 및 추출하는 경우라도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그 결과 사용법을 숙지하지 못한 사용자나 어린이 등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을 상세하게 살펴본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온 정수기의 블럭도로서, 해당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개괄적으로 살펴보기 위한 것이므로 세부사항은 해당부분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대신 여기에서는 원수의 진행경로를 중심으로 본 발명에 따른 냉온 정 수기의 전체적인 개요를 살펴본다.
보이는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냉온 정수기는 탱크부(100)와, 필터부(400)와, 배출부(700)를 비롯한 다수의 관로(L1~L9) 및 밸브(V1~V6)를 포함한다.
각각을 살펴보면, 필터부(400)에는 적어도 하나의 정수필터(F1~F4)와 연수필터(F5)가 포함되며, 바람직하게는 제 1 내지 제 4 정수필터(F1~F4)와 연수필터(F5)가 마련된다.
이때, 제 1 내지 제 4 정수필터(F1~F4)는 원수를 정화하기 위한 것으로, 임의로 제 1 정수필터(F1)는 침전 또는 여과필터, 제 2 정수필터(F2)는 1차 카본필터인 프리카본필터(pre-carbon filter), 제 3 정수필터(F3)는 2차 카본필터인 포스트카본필터(post-carbon filter), 제 4 정수필터(F4)는 중공사막필터(ultra filtration filter) 혹은 역삼투압필터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원수가 제 1 내지 제 4 정수필터(F1 내지 F4)를 차례로 통과하면 음용에 적합한 정수로 변화된다.
또한, 연수필터(F5)는 원수를 연수화하기 위한 것으로, 그 내부에는 수중(水中)의 경수성분을 흡착하는 대신 나트륨이온(Na+) 또는 수소이온(H+)을 방출하는 특수고분자화합물의 이온교환수지가 충진된다. 따라서 원수는 연수필터(F5)를 통과하는 동안 수중의 칼슘이온(Ca2+)과 마그네슘이온(Mg2 +) 등의 경수성분이 제거되어 부드러운 연수로 변화된다.
여기서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냉온 정수기의 필터부(400)는 특별한 분해과정 없이도 정수기 외부로 손쉽게 회전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이를 통해 사용 자는 용이하게 필터를 교환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해당부분에서 상세히 살펴본다.
다음으로, 탱크부(100)는 정수탱크(T1)와, 냉각탱크(T2)와, 히팅탱크(T3)를 포함한다.
이때, 정수탱크(T1)에는 필터부(400)에서 생성된 정수가 저장되고, 냉각탱크(T2)에는 정수탱크(T1)의 정수가 전달되어 냉 정수로 냉각 및 저장되며, 히팅탱크(T3)에는 정수탱크(T1)의 정수가 전달되어 온 정수로 가열 및 저장된다. 이를 위해 냉각탱크(T2)에는 냉각코일이 내장되어 정수를 냉각하고, 히팅탱크(T3)에는 제 1 히터가 내장되어 정수를 가열한다.
여기서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냉온 정수기의 정수탱크(T1)와 냉각탱크(T2) 중 적어도 하나에는 별도의 제 2 히터가 내장되어 정수 및/또는 냉 정수를 가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이를 통해 주기적인 청소 등 사용자의 별다른 개입이 없더라도 정수탱크(T1) 및/또는 냉각탱크(T2)를 자체적으로 고온 살균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해당 부분에서 상세히 살펴본다.
다음으로, 배출부(700)는 제 1 및 제 2 배출부(800,900)를 포함한다.
이때, 제 1 배출부(800)는 정수, 바람직하게는 냉/온 정수를 배출하고, 제 2 배출부(900)는 정수와 연수 중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정수와 연수를 구분 배출한다.
여기서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냉온 정수기의 제 1 배출부(800)는 그 위치가 고정된 반면 제 2 배출부(900)는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외부로 추출 및 삽입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를 통해 사용자는 음용을 위해서는 제 1 배출부(800)로부터 제공되는 냉/온 정수를 사용하고, 부피가 큰 그릇 등에 조리용 물을 받거나 손 등을 세척하기 위해서는 제 2 배출부(900)를 외부로 추출시킨 후 이로부터 제공되는 정수와 연수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냉온 정수기는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제 1 배출부(800)에 근접된 위치로부터 냉/온 정수의 배출방향으로 자외선을 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는 냉/온 정수의 음용 시(侍) 자신의 컵 등을 간편하게 수시로 소독할 수 있다. 이들 각각에 대해서는 해당 부분에서 상세히 살펴본다.
다음으로, 다수의 관로(L1~L9)는 필터부(400)와, 탱크부(100)와, 배출부(700) 등 정수기의 주요부분을 적절히 연결함으로써 물이 흐를 수 있는 이동경로를 제공하며, 이들 관로(L1~L9)의 적절한 지점에는 복수의 밸브(V1~V6)가 부설되어 물의 흐름을 제어한다.
우선, 다수의 관로(L1~L9)는 외부의 원수를 필터부(400)로 공급해서 제 1 내지 제 4 정수필터(F1,F2,F3,F4)에 차례로 경유시키는 제 1 관로(L1)와, 필터부(400)의 정수를 정수탱크(T1)로 전달하는 제 2 관로(L2)와, 정수탱크(T1)의 정수를 냉각탱크(T2)로 전달하는 제 3 관로(미도시)와, 정수탱크(T1)의 정수를 히팅탱크(T3)로 전달하는 제 4 관로(L4)와, 냉각탱크(T2)의 냉 정수를 제 1 배출부(800)로 전달하는 제 5 관로(L5)와, 히팅탱크(T3)의 온 정수를 제 1 배출부(800)로 전달하는 제 6 관로(L6)와, 정수탱크(T1)의 정수를 제 2 배출부(900)로 전달하는 제 7 관로(L7)와, 제 1 관로(L1)와 연수필터(F5)를 연결하는 제 8 관로(L8)와, 연수필 터(F5)와 제 2 배출부(900)를 연결하는 제 9 관로(L9)를 포함하고, 이 중에서도 제 1 관로(L1)는 또다시 원수를 제 1 정수필터(F1)로 공급하는 제 1-1 관로(L1-1)와, 제 1 및 제 2 정수필터(F1,F2)를 연결하는 제 1-2 관로(L1-2)와, 제 2 및 제 3 정수필터(F2,F3)를 연결하며 제 8 관로(L8)가 연결되는 제 1-3 관로(L1-3)와, 제 3 및 제 4 정수필터(F3,F4)를 연결하는 제 1-4 관로(L1-4)로 세분화된다.
그 밖에도 본 발명에 따른 냉온 정수기에는 히팅탱크(T3)의 물을 외부로 드레인하는 제 1 드레인관로(D1)를 비롯해서 제 4 정수필터(F4)가 역삼투압필터인 경우에 한해 역삼투압과정 중에 발생되는 폐수를 외부로 드레인하는 제 2 드레인관로(D2)가 구비되며, 도면에서와 같이 정수탱크(T1)와 냉각탱크(T2)가 직접 연결된다면 제 3 관로는 생략된다.
그리고 다수의 밸브(V1~V6)는 제 1 관로(L1)의 제 1-2 관로(L1-2)에 장착된 제 1 밸브(V1)와, 제 2 관로(L2)에 장착된 제 2 밸브(V2)와, 제 5 관로(L5)에 장착된 제 3 밸브(V3)와, 제 6 관로(L6)에 장착된 제 4 밸브(V4)와, 제 7 관로(L7)에 장착된 제 5 밸브(V5)와, 제 9 관로(L9)에 장착된 제 6 밸브(V6)를 포함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제 1 내지 제 6 밸브(V1~V6)는 전자식밸브인 솔레노이드 밸브(solenoid Valve)가 사용될 수 있고, 그 밖에도 제 1 드레인관로(D1)에는 별도의 콕(cock)이 장착되며, 제 1-2 관로(L1-2)의 제 1 밸브(V1) 후단에는 구동펌프(M)가 장착된다.
그 결과, 제 1 밸브(V1)가 오프(OFF) 되면 원수 공급이 차단되어 본 발명에 따른 냉온 정수기의 모든 동작이 멈추고, 제 1 및 제 2 밸브(V1,V2)가 온(ON), 제 6 밸브(V6)가 오프되면 원수는 제 1-1 내지 제 1-4 관로(L1-1~L1-4)를 통해 제 1 내지 제 4 정수필터(F1~F4)를 차례로 경유하는 과정 중에 정수로 변화되어 정수탱크(T1)로 집수된 후 냉각탱크(T2)와 히팅탱크(T3)로 적절히 배분되어 냉각 및 가열되는 한편, 이 상태에서 제 3 및/또는 제 4 밸브(V3,V4)가 온 되면 제 1 배출부(800)를 통해 냉 및/또는 온 정수가 배출되고, 제 5 밸브(V5)가 온 되면 제 2 배출부(900)를 통해 정수가 배출된다. 또한, 제 1 밸브(V1)가 온, 제 2 밸브(V2)가 오프, 제 6 밸브(V6)가 온 되면 원수는 제 1-1 내지 제 1-3 관로(L1-1~L1-3)와 제 8 관로(L8)를 통해 제 1 및 제 2 정수필터(F1,F2)와 연수필터(F5)를 통과하는 과정 중에 연수로 변화되어 제 2 배출부(900)로 배출된다.
이때, 제 1 내지 제 6 밸브(V1~V6) 밸브는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제어될 수 있고, 이에 대해서는 해당 부분에서 상세히 살펴본다.
한편, 이상의 구조를 나타내는 본 발명에 따른 냉온 정수기에 있어서 필요하다면 제 1 관로(L1)의 적절한 지점에 적어도 하나의 유량계를 장착함으로써 각각의 필터(F1 내지 F5)를 통과한 물의 양을 정확히 측정할 수 있고, 이를 토대로 실사용량에 근거한 객관적인 필터의 오염정도 및 이에 따른 교체시기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 또는 목적에 따라서는 제 1 밸브(V1)의 온 시간과 구동펌프(M)의 구동시간을 토대로 각 필터(F1 내지 F5)의 사용량을 확인하는 것도 가능하며, 제 2 밸브(V6)와 제 6 밸브(V6)의 온 시간을 토대로 각 필터(F1 내지 F5) 사용량을 확인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이상에서는 편의상 물이 흐르는 이동경로를 '관로'라 지칭하였지만, 이들은 별도의 튜브 등으로 이루어진 '관(tube)'의 형태를 나타내거나 정수기 내부에 적절히 정의된 홈 등의 '유로(path)' 또는 기타 다양한 형태를 나타낼 수 있는바, 이에 대해서는 해당 부분에서 상세히 살펴본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냉온 정수기의 세부적인 구성에 대해 살펴본다.
첨부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온 정수기의 케이스를 포함하는 전체의 외관 사시도이고, 도 3, 도 4, 도 6은 각각 케이스의 일부를 분해해서 나타낸 분해 사시도로서, 앞서 도 1과 함께 참조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냉온 정수기는 탱크부(100)와, 필터부(400)와, 배출부(700)를 비롯한 다수의 관로(L1 내지 L9)와 밸브(V1 내지 V6) 등 정수 및 연수의 생성과 배출에 직접적으로 관련된 본체(B)와, 이를 케이싱해서 미려한 외관을 제공하는 케이스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보이는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냉온 정수기의 케이스는 본체(B)가 안착되는 버툼케이스(bottom case : 1002)와, 양 측면을 이루는 제 1 및 제 2 사이드케이스(side case : 1102,1202)와, 전면을 이루는 프론트 케이스(front case : 1302)와, 후면을 이루는 리어케이스(rear case : 1502)와, 윗면을 이루는 리드케이스(rid case : 1602)를 포함하며, 프론트케이스(1302) 전면에는 별도의 컨트롤케이스(control case : 1402)가 결합된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냉온 정수기의 세워진 도 2의 상태를 기준으로 사용자를 향하는 방향을 전방 또는 선단, 그 반대편을 후방 또는 후단, 냉온 정수기의 윗부분을 상방 또는 상단, 그 반대편을 하방 또는 하단이라 한다.
먼저, 버툼케이스(1002)는 본체(B)가 안착되는 밑면(1004) 및 이의 가장자리 로부터 일정길이 상향 돌출된 전후좌우의 제 1 내지 제 4 버툼측면(1012,1014,1016,1018)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 중에서 제 3 및 4 버툼측면(1016,1018)의 길이방향을 따라서는 복수의 제 1 및 제 2 슬릿홈(1022,1024)이 일정간격을 이루도록 수평방향으로 줄지어 관통되고, 제 2 버툼측면(1014) 안쪽으로는 적어도 하나의 삽입홈(1032)이 구비된다.
다음으로, 제 1 및 제 2 사이드케이스(1102,1202)는 서로 마주보는 플레이트 형상을 나타내며, 각각의 내면 하단을 따라서는 소정길이 내향 돌출된 후 선단으로 절곡된 복수의 제 1 및 제 2 슬릿돌기(1112,미도시)가 일정간격을 이루도록 수평방향으로 줄지어 구비되고, 각각의 내면 상단을 따라서는 외면으로부터 단차지게 만입된 채 상방으로 돌출된 제 1 및 제 2 삽입돌기(1114,1214)가 구비된다. 또한 제 1 및 제 2 사이드케이스(1102,1202) 각각의 내면 선단을 따라서는 외면으로부터 단차지게 만입된 채 전방으로 돌출된 제 3 및 제 4 삽입돌기(1116,1216)가 구비되고, 각각의 후단을 따라서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후술하는 리어케이스(1502)의 좌우 가장자리를 덮는 제 1 및 제 2 걸림단(1118,1218)이 구비된다.
다음으로, 프론트케이스(1302)는 냉온 정수기의 전면을 이루는 앞면(1304) 및 이의 가장자리로부터 일정길이 후방 돌출된 상하좌우의 제 1 내지 제 4 프론트측면(1312,1314,1316,1318)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 중에서 앞면(1304)에는 후술하는 콘트롤케이스(1402)가 결합되기 위한 개구부(1306)가 존재하고, 상기 개구부(1306)의 상단에는 지지단(1308)이 가로지른다.
이때, 프론트케이스(1302)는 앞면(1304)의 하단으로 삽입되어 버툼케이 스(1002)의 제 1 버툼측면(1012)으로 삽입되는 복수의 제 1 볼트(B1)와, 지지단(1308)으로 삽입되어 후술하는 본체(B)의 정수탱크(T) 일측으로 삽입되는 복수의 제 2 볼트(B2)로 긴밀하게 고정되는데, 특히 지지단(1308)과 정수탱크(T1)의 결합상태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 5를 함께 참조하면, 지지단(1308)의 후면에는 소정의 끼움단(1322)이 단차지게 만입되고, 이와 마주보는 정수탱크(T1)의 일측으로부터는 상기 끼움단(1322)에 삽입되는 소정의 제 1 삽입단(102)이 돌출되며, 제 2 볼트(B2)는 이들 끼움단(1322)과 제 1 삽입단(102)을 함께 관통함으로써 지지단(1308)으로 하여금 정수탱크(T1)를 지지하게 한다. 또한, 제 3 및 제 4 프론트측면(1316,1318) 각각의 후단 내면을 따라서는 외면으로부터 단차지게 만입된 채 후방으로 돌출된 복수의 제 1 및 제 2 교차돌기(1332,1334)가 구비되고, 이들은 제 1 및 제 2 사이드케이스(1102,1202)의 제 3 및 제 4 삽입돌기(1116,1216)와 엇갈려 서로의 내면으로 끼워진다.
아울러 프론트케이스(1302)의 앞면(1304) 하단에는 복수의 끼움홀(1342)이 구비되어 물받이케이스(1350)가 결합되는데, 물받이케이스(1350)는 보울(bowl) 형태의 로우커버(low cover : 1352) 및 이를 덮는 리드커버(ridcover : 1362)로 이루어지며, 리드커버(1362)는 복수의 홀이 관통된 메쉬 형태를 나타낸다. 그리고 로우커버(1352)의 후단 측면으로부터는 복수의 삽입돌기(1354)가 후방 돌출되어 프론트케이스(1302)의 끼움홀(1342)에 삽입되며, 이 경우 바람직하게는 제 1 볼트(B1)는 복수의 끼움홀(1342)을 통해 버툼케이스(1002)의 제 1 버툼측면(1012)으로 삽입될 수 있다.
다음으로, 리어케이스(1502)는 냉온 정수기의 후단에 결합되는 사각의 테 형상을 나타내며, 그 내부에는 후술하는 냉각핀(1504)과 냉매순환관(1506) 등이 설치된다. 그리고 리어케이스(1502)의 하면에는 버툼케이스(1002)의 삽입홈(1032)에 끼워지는 복수의 삽입구(1512)가 하방 돌출되며, 상면에는 본체(B)의 정수탱크(T1)를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돌기(1514)가 상향 돌출된다.
이때, 리어케이스(1502)는 버툼케이스(1002)의 제 2 버툼측면(1014)으로 삽입되어 삽입홈(1032)과 삽입구(1512)를 관통하는 복수의 제 3 볼트(B3)와, 지지돌기(1514)로 삽입되어 정수탱크(T1)의 타측으로 삽입되는 복수의 제 4 볼트(B4)로 긴밀하게 고정되는데, 특히 지지돌기(1514)와 정수탱크(T1)의 결합상태 일부를 확대해서 나타낸 도 7을 함께 참조하면, 지지돌기(1514)는 정수탱크(T1)의 타측을 지지하고, 이와 마주보는 정수탱크(T1)의 타측에는 소정의 제 2 삽입단(103)이 돌출되며, 제 4 볼트(B4)는 이들 지지돌기(1514)와 제 2 삽입단(130)을 함께 관통함으로써 지지돌기(1514)으로 하여금 정수탱크(T1)를 지지하게 한다.
다음으로, 리드케이스(1602)는 냉온 정수기의 상면을 덮는 상면(1604) 및 이의 가장자리로부터 일정길이 하향 돌출되어 리어케이스(1502)와 제 1 및 제 2 사이드케이스(1102,1202) 상면에 안착되는 제 1 내지 제 3 리드측면(1612,1614,1616)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 중에서 제 2 및 제 3 리드측면(1614,1616)의 내면을 따라서는 외면으로부터 단차지게 만입된 채 하방으로 돌출된 복수의 제 3 및 제 4 교차돌기(미도시, 1624)가 구비되어 제 1 및 제 2 사이드케이스(1112,1202)의 제 1 및 제 2 삽입돌기(1114,1214)와 엇갈려 서로의 내면으로 끼워 삽입되고, 리드케이 스(1602)의 선단은 프론트케이스(1302) 및 후술하는 컨트롤케이스(1402) 상면에 안착된다.
다음으로, 컨트롤케이스(1402)는 전면(1404) 및 이의 상단과 좌우 가장자리로부터 후방 돌출된 제 1 내지 제 3 콘트롤측면(1412,1414,1416)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컨트롤케이스(1402)의 전면(1404)으로부터는 사용자의 조작을 위한 복수의 버튼(1406)과 레버(1408)가 노출되고, 제 2 및 제 3 콘트롤측면(1414,1416)에는 프론트케이스(1302)의 개구부(1306)에 끼워 고정될 수 있는 후크돌기(1422)가 마련되며, 하면은 개방되어 후술하는 본체(B)의 배출부(700)를 노출시킨다.
이상의 내용을 토대로 본 발명에 따른 냉온 정수기의 케이스 결합방법을 간략하게 살펴보면, 먼저 본체(B)를 버툼케이스(1002)에 안착시켜 고정한 다음 제 1 및 제 2 볼트(B1,B2)를 이용해서 버툼케이스(1002)와 정수탱크(T1)에 프론트케이스(1302)를 긴밀하게 고정하고, 제 3 및 제 4 볼트(B3,B4)를 이용해서 버툼케이스(1002)와 정수탱크(T1)에 리어케이스(1502)를 긴밀하게 고정한다. 그리고 프론트케이스(1302)에 물받이케이스(1350)를 결합한다.
이어서 제 1 및 제 2 사이드케이스(1102,1202)를 약간 뒤쪽에서 버툼케이스(1002)의 제 3 및 제 4 버툼측면(1016,1018)과 리어케이스(1502)의 측면에 밀착시킨 후 프론트케이스(1302) 방향으로 밀어 제 1 및 제 2 슬릿돌기(1112,미도시)가 제 1 및 제 2 슬릿홈(1022,1024)에 삽입되게 하는 동시에 제 3 및 제 4 삽입돌기(1116,1216)와 프론트케이스(1302)의 제 1 및 제 2 교차돌기(1332,1334)가 엇갈려 서로의 내면에 삽입되게 한다. 그리고 제 1 및 제 2 걸림단(1118,1218)을 관통 해서 리어케이스(1502)로 삽입되는 복수의 제 5 볼트(B5)를 체결한다. 이어서 리드케이스(1602)를 제 1 및 제 2 사이드케이스(1102,1202)와 리어케이스(1502)의 상면에 안착시키면 제 1 및 제 2 삽입돌기(1114,1214)와 제 3 및 제 4 교차돌기(1622,1624)가 엇갈려 서로의 내면으로 끼워지며, 마지막으로 프론트케이스(1302)의 개구부(1306)에 콘트롤케이스(1402)를 끼우면 조립이 완성된다.
그 결과, 본 발명에 따른 냉온 정수기의 케이스 중 가장 빈번하게 분리되는 탑케이스(1602)는 위로 들어올리는 동작만으로 분리가 가능하고, 그 다음으로 빈번하게 분리되는 제 1 및 제 2 사이드케이스(1102,1202)는 제 1 및 제 2 걸림단(1118,1218)에 관통 삽입된 제 5 볼트(B5)를 풀어낸 다음 약간 뒤쪽으로 밀면 간단하게 분리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냉온 정수기의 케이스 중에서 제 1 및 제 2 사이드케이스(1102,1202)와 프론트케이스(1302)와 리드케이스(1602)는 서로의 연결부분이 엇갈려 끼워지는 형태를 나타내므로 틈새나 단차없이 조립될 수 있어 한층 더 미려한 외관을 나타내는 한편, 프론트케이스(1302)의 끼움단(1322)과 리드케이스(1602)의 지지돌기(1514)가 각각 정수탱크(T1)의 전 후면을 받쳐 지지함에 따라 그 내부에 저장된 정수의 하중에도 불구하고 정수탱크(T1)의 형태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 1과 더불어 별도로 언급되는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에 따른 냉온 정수기의 본체(B)에 대해 상세하게 살펴본다.
첨부된 도 8과 도 9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냉온 정수기의 본체(B)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8은 본체(B)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본체(B)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격적인 설명에 앞서 이미 도 1에서 살펴본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냉온 정수기의 본체(B)는 탱크부(100)와, 필터부(400)와, 배출부(700)와, 다수의 관로(L1 내지 L9) 및 밸브(V1 내지 V6)와, 구동펌프(M)를 포함하는바, 도 8과 도 9를 통해 탱크부(100)와, 필터부(400)와, 배출부(700)와, 제 1 내지 제 6 밸브(V1 내지 V6)와, 구동펌프(M)를 비롯해서 응축기(52), 냉각핀(1504), 냉매순환관(1506) 등의 냉각계통 일부를 확인할 수 있다.
참고로, 편의상 본 도면에서 다수의 관로(L1~L9)는 별도로 나타내지 않았으며, 이에 대해서는 해당 부분에서 상세하게 살펴본다.
첨부된 도 10 내지 도 16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필터부(4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10은 필터부(400)의 분해상태를 그보다 높은 곳에서 내려다본 분해 사시도이고, 도 11은 필터부(400)의 분해상태를 그보다 낮은 곳에서 올려다본 분해 사시도이며, 도 12는 임의의 연수필터(F5)에 대한 단면도이다. 또한 도 13과 도 14는 각각 제 1 내지 제 4 정수필터(F1~F4)와 연수필터(F5)가 결합되는 유로하우징(500)의 제 1 유로플레이트(502)에 대한 평면도와 저면도이고, 도 15와 도 16은 각각 제 1 유로플레이트(502) 상면에 밀착되는 유로하우징(500)의 제 2 유로플레이트(602)에 대한 평면도와 저면도이다.
보이는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필터부(400)는 수평의 안정감 있는 박스형상의 유로하우징(500) 및 이의 저면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필터를 포함 한다. 그리고 이 중에서 유로하우징(500)은 복수의 필터가 장착되는 하단의 제 1 유로플레이트(502) 및 그 상면에 밀착되는 제 2 유로플레이트(602)로 이루어지며, 복수의 필터는 제 1 내지 제 4 정수필터(F1 내지 F4)와 연수필터(F5)를 포함한다.
먼저, 제 1 내지 제 4 정수필터(F1 내지 F4)와 연수필터(F5)는 원기둥 내지는 이와 유사한 모양을 나타내며, 각각의 상단에는 제 1 유로플레이트(502)와 긴밀하게 결합되는 동시에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제 1 내지 제 5 회전플렌지(402,404,406,408,412)가 구비된다.
이때, 제 1 내지 제 4 정수필터(F1 내지 F5)와 연수필터(F5)에 대해서는 본 출원인에 의한 특허발명 출원번호 10-2006-0063142호를 통해 자세히 소개되어 있으므로 편의상 임의의 연수필터(F5)에 대한 단면도인 도 12 만을 참조해서 간단히 살펴보면, 해당 필터는 그 용도에 알맞은 물질, 예컨대 이온교환수지가 충진된 통 모양의 상단에 제 5 회전플렌지(412)가 돌출되고, 제 5 회전플렌지(412) 안쪽으로는 유입공(422)과 유출공(432)이 관통되며, 이 중에서 유출공(432)은 소정길이의 유출관(440)을 통해 그 내부로 연장된다. 따라서 유입공(422)으로 유입된 물은 연수필터(F5) 내부의 이온교환수지를 통과한 후 유출공(432)을 통해 배출되는바, 이상의 설명은 일례에 지나지 않으며, 유입공(422)으로 유입된 물이 해당필터의 내부 필요물질을 경유한 후 유출공(432)으로 배출될 수 있는 구조라면 세부적인 형태는 자유로이 변형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난 것처럼 제 1 유로플레이트(502)의 저면에는 각각의 필터(F1 내지 F5)가 일대일 대응 결합되는 제 1 내지 제 5 고정플렌 지(512,522,532,542,552)가 하방 돌출되고, 그 내부에는 해당 필터의 유입공과 유출공에 일대일 연결되는 입수홀과 출수홀이 관통되어 있다. 즉, 제 1 고정플렌지(512) 내에는 제 1 정수필터(F1)와 연결되는 두 홀로서 제 1 유입홀 및 출수홀(514,516)이 관통되고, 제 2 고정플렌지(522) 내에는 제 2 정수필터(F2)와 연결되는 두 홀로서 제 2 유입홀 및 출수홀(524,526)이 관통되며, 제 3 고정플렌지(532) 내에는 제 3 정수필터(F3)와 연결되는 두 홀로서 제 3 유입홀 및 출수홀(534,536)이 관통되고, 제 4 고정플렌지(542) 내에는 제 4 정수필터(F4)와 연결되는 두 홀로서 제 4 유입홀 및 출수홀(544,546)이 관통되며, 제 5 고정플렌지(552) 내에는 제 5 정수필터(F5)와 연결되는 두 홀로서 제 5 유입홀(554) 및 출수홀(556)이 관통된다. 그리고 제 1 유로플레이트(502)의 일측에는 별도의 배출구(642)가 마련된다.
또한, 도 15 및 도 16에 나타난 것처럼 제 1 유로플레이트(502) 상면에 밀착되는 제 2 유로플레이트(602)에는 제 1 내지 제 5 연결구(612,614,622,652)가 관통되는 한편, 제 1 및 제 2 유로플레이트(502,506)의 밀착에 의해 그 사이로는 제 1 연결구(612)와 제 1 유입홀(514)을 연결되는 제 1-1 유로(L1-1)와, 제 1 출수홀(516)과 제 2 연결구(614)를 연결하고 제 3 연결구(622)와 제 2 유입홀(524)을 연결하는 제 1-2 유로(L1-2)와, 제 2 출수홀(526)과 제 3 유입홀(534)을 연결하는 제 1-3 유로(L1-3)와, 제 3 출수홀(536)과 제 4 유입홀(544)을 연결하는 제 1-4 유로(L1-4)와, 제 4 출수홀(546)과 배출구(642)를 연결하는 제 2 유로(L2)와, 제 1-3 유로(L1-3)와 제 5 유입홀(554)을 연결하는 제 8 유로(L8)와, 제 5 출수홀(556)과 제 4 연결구(652)를 연결하는 제 9 유로(L9)가 정의된다.
이때, 제 1-2 유로(L1-2)는 중간이 단절되어 제 1 출수홀(516)과 제 2 연결구(614)를 연결하는 일단과 제 3 연결구(622)와 제 2 유입홀(524)을 연결하는 타단으로 구분되지만, 튜브 등을 사용해서 제 1 밸브(V1)와 구동펌프(M)를 매개로 제 2 연결구(614)와 제 3 연결구(622)를 연결하는 동시에 튜브 등을 사용해서 제 1 연결구(612)로 원수를 공급하고, 튜브 등을 사용해서 제 2 밸브(V2)를 매개로 배출구(642)와 정수탱크(T1)를 연결하고, 튜브 등을 사용해서 제 6 밸브(V6)를 매개로 제 4 연결구(652)와 제 2 배출부(900)로 연결하면 결국 필터부(400)에는 아래의 두 경로가 정의된다.
이 경우 아래의 경로는 앞서 도 1에서 살펴본 내용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배출구(642)와 제 4 연결구(652)로 배출되는 물은 각각 (1) 정수, (2) 연수이다.
(1) 제 1 연결구(612)->제 1-1 유로(L1-1)->제 1 필터(F1)->제 1-2 유로(L1-2)(-> 제 1 밸브(V1)->구동펌프(M))->제 2 필터(F2)->제 1-3 유로(L1-3)->제 3 필터(F3)->제1-4 유로(L1-4)->제 4 필터(F4)->배출구(642)->정수탱크(T1) : 정수
(2) 제 1 연결구(612)->제 1-1 유로(L1-1)->제 1 필터(F1)->제 1-2 유로(L1-2)(->제 1 밸브(V1)->구동펌프(M))-> 제 2 필터(F2)->제 8 유로(L8)->제 5 필터(F5)-> 제 9 유로(L9)->제 5 연결구(652)-> 제 2 배출부(900) : 연수
참고로, 이상의 '유로'는 도 1의 '관로'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구별의 실익이 없고, 따라서 동일 도면부호를 부여하였다.
첨부된 도 17 내지 도 19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냉온 정수기 본체(B)의 탱크부(1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17과 도 18은 각각 탱크부(100)의 분해상태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고, 도 19는 탱크부(100)의 일부를 제외한 평면도이다.
보이는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탱크부(100)는 정수탱크(T1)와, 냉각탱크(T2)와, 히팅탱크(T3)를 포함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냉각탱크(T2)는 정수탱크(T1)의 일측 하단에 일체로 마련되어 복수의 순환홀(252)이 관통된 순환플레이트(250)로 구분되고, 히팅탱크(T3)는 정수탱크(T1)의 하단에 별도로 존재하며, 정수탱크(T1)의 상면에는 리드캡(150)이 덮여 정수탱크(T1) 및 냉각탱크(T2)를 밀폐할 수 있다.
각각을 살펴보면, 정수탱크(T1)의 일측에는 튜브 등을 통해 필터부(400)의 배출구(642)와 연결되어 정수가 유입되는 정수유입구(120)가 구비되고, 또 다른 일측에는 정수탱크(T1) 내부의 정수가 배출되는 정수전달구(124)와 정수배출구(124,126)가 각각 구비되어 정수전달구(124)는 튜브 등을 통해 히팅탱크(T3)와 연결되며, 정수배출구(126)는 튜브 등을 통해 배출부(700)의 제 5 밸브(V5)를 매개로 제 2 배출부(900)과 연결된다. 따라서 필터부(400)의 배출구(642)와 정수탱크(T1)의 정수유입홀(120)을 연결하는 튜브는 실질적으로 제 2 관로(L2)가 되고, 정수탱크(T1)의 정수전달구(124)와 히팅탱크(T3)를 연결하는 튜브는 실질적으로 제 4 관로(L4)가 되며, 제 5 밸브(V5)를 매개로 정수탱크(T1)의 정수배출구(126)와 제 2 배출부(900)를 연결하는 튜브는 실질적으로 제 7 관로(L7)가 된다.
또한, 정수탱크(T1) 내에는 기(旣) 설정된 상한값과 하한값을 감지하는 플로트센서(132)가 설치되며, 이의 감지결과에 따라 제어부(미도시)는 정수탱크(T1)의 정수가 최고수위에 도달되면 제 1 또는 제 2 밸브(V1 또는 V2)를 오프해서 더 이상의 정수공급을 중단하고, 최저수위에 도달하면 정수공급이 재개되도록 제 1 또는 제 2 밸브(V1, V2)를 온 시킨다.
다음으로, 정수탱크(T1)와 별도로 마련된 히팅탱크(T3)의 내부에는 정수의 가열을 위한 제 1 히터(176)와 온도의 감지를 위한 제 1 온도센서(미도시)가 내장되는 한편, 그 일측에는 튜브 등을 통해 정수탱크(T1)의 정수전달구(124)에 연결되는 정수공급홀(172)과, 튜브 등을 통해 배출부(700)의 제 4 밸브(V4)를 매개로 제 1 배출부(800)에 연결되는 온정수배출구(174)와, 그 내부에 저장된 온 정수를 드레인하기 위한 제 1 드레인관로(D1)가 구비된다. 따라서, 제 4 밸브(V4)를 매개로 온정수배출구(174)와 제 1 배출구(800)를 연결하는 튜브는 실질적으로 제 4 관로(L4)가 된다.
다음으로, 정수탱크(T1)의 하단에 일체로 마련된 냉각탱크(T2)의 내부 일측에는 정수의 냉각을 위한 냉각코일(222)이 내장되어 응축기(52)를 비롯한 냉각핀(1504), 냉매순환관(1506)과 연결되고, 냉각탱크(T2)의 일측에는 냉 정수가 배출되는 냉정수배출구(162)가 구비되어 튜브 등을 통해 배출부(700)의 제 3 밸브(V3)를 매개로 제 1 배출부(800)에 연결된다.
이때,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냉온 정수기의 냉각탱크(T2)에는 냉각코일(222)과 더불어 가열을 위한 별도의 제 2 히터(232)가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는 사용자의 선택이나 기(旣) 설정된 일정 시간간격마다 발열해서 정수탱크(T1)와 냉각탱크(T2) 내부의 물을 가열함으로써 해당 공간을 살균 및 소독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한 제 2 히터(232)는 제 1 히터(176)와 마찬가지로 전기 발열 방식일 수 있고, 필요하다면 냉각코일(222)과 동떨어진 다른 위치에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며, 정수탱크(T1)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고, 정수탱크(T1)와 냉각탱크(T2)가 분리된 경우에는 이들 각각에 내장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제시된 도면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례에 지나지 않는 것으로, 정수탱크(T1)의 내부 일측 하단에 냉각탱크(T2)가 마련되어 물순환이 가능한 순환플레이트(252)로 구분되는 동시에 냉각탱크(T2)에 제 2 히터(232)가 내장되는 이유는 대류현상을 이용하기 위한 것인바, 평상 시에는 냉각탱크(T2)에 비중이 높은 저온의 냉 정수가 저장되고 정수탱크(T1)에는 비중이 낮은 실온의 정수가 저장되어 혼입의 여지가 없는 반면, 제 2 히터(232)의 발열에 의해 냉각탱크(T2)의 냉 정수가 가열되면 상대적으로 비중이 낮아진 고온의 정수는 위로 상승해서 정수탱크(T1)의 정수와 순환되고, 이로써 정수탱크(T1) 및 냉각탱크(T2) 전체가 빠르게 가열되는 효과를 얻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제 2 히터(232)의 위치나 수량은 정수탱크(T1)와 냉각탱크(T2)의 구조에 따라 얼마든지 자유롭게 변형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실일 것이다.
또한, 냉각탱크(T2) 내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온도센서(142)가 구비되며, 이의 감지결과를 토대로 제어부(미도시)는 평상 시 기(旣) 설정된 기준값 이하로 온도가 하강할 경우에 냉각계통의 동작을 중단시켜 불필요한 과 냉각을 막는 한편, 정수탱크(T1) 및/또는 냉각탱크(T)2의 고온 살균 시 기(旣) 설정된 기준값 이상으로 온도가 상승할 경우에 제 2 히터(232)의 발열을 중단시켜 불필요한 가열을 방지한다. 따라서, 제 2 히터(232)가 정수탱크(T1)에 장착된다면 제 2 온도센서(142)는 복수 개로 이루어져 냉각탱크(T2)와 정수탱크(T1)에 각각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 밖에도 정수탱크(T1)를 밀폐하는 리드캡(150)의 세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복수의 회전클립(152)이 설치되어 리드캡(150)의 해당부분과 정수탱크(T1)의 상 끝단을 함께 고정하고, 정수탱크(T1)의 일 측면 상단을 따라서는 복수의 걸림홈(122)이 마련되는 동시에 이와 대응되는 리드캡(150)의 나머지 일 가장자리에는 후크 형상의 걸림돌기(154)가 걸림홈(122)과 동수(同數)로 마련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리드캡(150)을 기울여 걸림돌기(154)와 걸림홈(122)을 먼저 결합한 후 정수탱크(T1) 상면에 안착시킨 다음 복수의 회전클립(152)으로 리드캡(150)의 가장자리와 정수탱크(T1) 상 끝단을 긴밀하게 결합해서 정수탱크(T1) 및 냉각탱크(T2)를 외부로부터 격리되게 할 수 있다.
아울러, 필요하다면 탱크부(100)의 여유공간에는 제어부가 실장된 적어도 하나의 PCB 케이스가 장착될 수 있고, 불필요한 배선연장을 피하기 위해 도면에서와 같이 정수탱크(T1)의 일측과 하단에 각각 제 1 및 제 2 PCB 케이스(2002,2004)가 장착될 수 있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제 2 PCB 케이스(2004)의 상면 양 가장자리로 한 쌍의 가이드단(2006)이 구비되어 정수탱크(T1) 저면의 가이드홈(134)에 슬라이딩 삽입 또는 추출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를 통해 제어부의 수리 및 교체에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이어서, 첨부된 도 20 내지 도 24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냉온 정수기 본체(B)의 배출부(7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20과 도 21은 각각 프론트케이스(1302)와 컨트롤케이스(1402)와 배출부(700)의 분해상태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2와 도 23은 각각 배출부(700)의 분해상태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보이는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배출부(700)는 냉/온 정수를 배출하는 제 1 배출부(800)와, 정수와 연수를 배출하는 제 2 배출부(900)를 포함한다.
이때, 특히 제 1 배출부(800)는 그 위치가 고정되는 반면, 제 2 배출부(90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냉온 정수기의 내 외부로 삽입 및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바, 바람직하게는 제 1 배출부(800)는 제 3 내지 제 5 밸브(V3,V4,V5)가 결합된 상태로 프론트케이스(1302)의 개구부(1306)에 결합되어 컨트롤케이스(1402)의 저면을 통해 일부가 노출되는 출수콕 또는 이와 유사한 형태를 나타내고, 제 2 배출부(900)는 제 1 배출부(800)의 하단에서 프론트케이스(1302)를 관통하는 파이프 형상을 나타내는 동시에 모터(950)에 의해 직선왕복 운동함으로써 사용자를 향해 추출 또는 삽입되는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각각을 상세히 살펴보면, 제 1 배출부(800)는 제 3 내지 제 5 밸브(V3,V4,V5)가 결합된 제 1 배출부하우징(810)과, 제 1 토출구(832)가 구비된 제 2 배출부하우징(830)의 상하 결합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때, 제 3 밸브(V3)는 튜브 등을 통해 냉각탱크(T2)의 냉정수배출구(162)에 연결되어 제 1 배출부하우징(810)의 제 1 유입구(812)로 유입되는 냉 정수를 제 2 배출부하우징(830)으로 전달하고, 제 4 밸브(V4)는 튜브 등을 통해 히팅탱크(T3)의 온정수배출구(174)에 연결되어 제 1 배출부하우징(810)의 제 2 유입구(814)로 유입되는 온 정수를 제 2 배출부하우징(830)으로 전달하며, 제 5 밸브는 튜브 등을 통해 정수탱크(T1)의 정수배출구(126)와 연결되어 제 1 배출부하우징(810)의 제 3 유입구(816)로 유입되는 정수를 유출구(818)로 전달한다.
그리고 제 1 배출부하우징(810)의 저면에 결합되는 제 2 배출부하우징(830)는 제 1 배출부하우징(810)과 상하 밀착에 의해 그 사이로 냉/온 정수가 합류되는 소정의 토출공간(831)을 제공하는 동시에 그 일측에는 토출공간(831)과 연결된 제 1 토출구(832)가 마련된다.
따라서 냉/온 정수는 제 1 및 제 2 배출부하우징(810,830) 내에서 합류되어 제 1 토출구(832)를 통해 최종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되며, 앞서 살펴본 것처럼 제 3 밸브(V3)를 매개로 냉각탱크(T2)의 냉정수배출구(162)와 제 1 배출부하우징(810)의 제 1 유입구(812)를 연결하는 튜브는 실질적으로 제 5 관로(L5)가 되고, 제 4 밸브(V4)를 매개로 히팅탱크(T3)의 온정수배출구(174)와 제 1 배출부하우징(810)의 제 2 유입구(814)를 연결하는 튜브는 실질적으로 제 6 관로(L6)가 되며, 제 5 밸브(V5)를 매개로 정수탱크(T1)의 정수배출구(126)와 제 1 배출부하우징(810)의 제 3 유입구(816)를 연결하는 튜브는 실질적으로 제 7 관로(L7)가 된다.
다음으로, 제 2 배출부(900)는 컨트롤케이스(1402)를 관통하는 파이프 형상의 제 2 토출구(902) 및 이를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950)를 포함한다.
이때, 제 2 토출구(902)의 일단에는 각각 제 1 및 제 2 접속구(904,906)가 구비되어 제 1 접속구(904)는 튜브 등을 통해 제 1 배출부하우징(810)의 유출구(818)와 연결되고, 제 2 접속구(906)는 튜브 등을 통해 제 6 밸브(V6)를 매개로 필터부(400)의 제 4 연결구(652)와 연결되는 한편 사용자를 향하는 제 2 배출구(900)의 타단 저면에는 출수홀(908)이 관통된다.
따라서 제 1 접속구(904)로는 정수가 유입되고 제 2 접속구(906)로는 연수가 유입되므로 최종의 출수홀(908)을 통해서는 정수와 연수가 배출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되며, 앞서 살펴본 것처럼 제 1 배출부하우징(810)의 유출구(818)와 제 1 접속구(904)를 연결하는 튜브는 실질적으로 제 7 관로(L7)의 일부가 되고, 필터부(400)의 제 4 연결구(952)와 제 2 접속구(906)을 연결하는 튜브는 실질적으로 제 9 관로(L9)가 된다.
그리고 이러한 제 2 배출구(902)의 일측에는 모터(950) 및 이의 회전축에 결합된 피니언(960)이 배치되고, 제 2 배출구(902)의 측면을 따라서는 피니언(960)과 치합되는 렉(932)이 구비된다.
따라서 제 2 배출구(902)는 모터(950)의 일 방향 회전에 의해 전면으로 추출되고 모터(950)의 타 방향 회전에 의해 다시 삽입되는데, 특히 제 2 배출부(902)의 추출 및 삽입동작에 신뢰성을 기할 수 있도록 제 2 배출부(902)의 일측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정지홈(936)이 마킹된 위치표시돌기(934)가 마련되고, 프론트케이스(1302)의 내면 소정의 위치에는 정지홈(936)을 감지하는 광센서(980)가 장착된다.
이때, 제 2 배출구(902)의 삽입 및 추출동작은 컨트롤케이스(1402)에 장착된 레버(1408) 및 셀렉트스위치(970)와 제어부에 의해 제어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레버(1408)를 일 방향 또는 타 방향으로 돌리면 셀렉트스위치(970)가 레버(1408)의 회전정도와 회전방향을 감지해서 기(旣) 설정된 적절한 지시를 제어부에 전달하고, 제어부는 광센서(980)의 감지결과를 토대로 모터(950)를 적절히 제어하여 사용자의 의도에 부합되도록 제 2 배출구(902)의 추출 및 삽입정도를 조절한다.
그 밖에도 제 1 배출구(800) 일측에는 상하방향의 중공이 관통된 별도의 램프하우징(820)이 구비되어 자외선 램프(850)가 삽입되며, 이는 제 1 배출구(800)에 근접 고정된 상태로 냉/온 정수의 출수방향을 향해 자외선을 발함으로써 제 1 배출구(800)에 근접한 사용자의 컵 등을 자외선 소독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자외선 램프(850)의 구동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르는 것이 바람직하고, 사용자는 컨트롤케이스(1402)에 설치된 버튼(1406)을 이용해서 해당 기능을 선택할 수 있다.
한편, 첨부된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 배출부(900)의 일부인 모터(950) 및 피니언(960)의 분해 사시도로서, 모터(950)로부터는 회전축(952)이 돌출되고, 여기에는 피니언(960)이 결합되어 제 2 배출부(900)의 일측을 따라 마련된 렉(도 22, 도 23의 932 참조, 이하 동일하다.)과 치합된다. 따라서 제 2 배출부(900)는 모터(950) 및 피니언(960)의 회전방향을 따라 추출 또는 삽입되는 이른바 '렉 앤 피니언'의 구동방식을 나타낸다.
이때, 특히 본 발명에서는 제 2 배출부(900)가 모터(950) 및 피니언(960)의 회전에 따른 정상적인 방법으로 추출 및 삽입되지 못하고 외부의 강제적인 압력으 로 추출 및 삽입되는 경우에 자칫 렉(932) 및 피니언(960)의 기어열이 파손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서 이를 해결할 수 있는 고유의 구성을 나타내는바, 모터(950)의 회전축(952)에 제 1 클러치기어(956)가 설치된 별도의 샤프트(954)를 결합하고, 피니언(960)의 일면에 제 1 클러치기어(956)와 대응되는 제 2 클러치기어(962)를 부여하여 샤프트(954)에 유격 있게 관통 결합시키는 한편, 피니언(960)을 관통한 샤프트(954)의 나머지 부분에는 코일스프링(964)을 개재해서 피니언(960)의 상하 유동을 가능하도록 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모터(950)의 회전축(952)에 관통 고정되는 샤프트(954)에는 제 1 클러치기어(956)가 둘러 장착되는데, 제 1 클러치기어(956)의 기어열은 후술하는 피니언(960)을 향하고, 치형은 삼각형의 대칭으로 압력각 20°이상을 나타낸다. 또한, 피니언(960)은 샤프트축(954)에 유격있게 관통되는 동시에 모터(950)를 향하는 일면에 제 1 클러치기어(956)와 대응되는 제 2 클러치기어(962)가 마련되어 있고, 제 2 클러치기어(962)의 기어열 역시 치형은 삼각형의 대칭이며 압력각은 20°이상이다. 그리고 피니언(960)를 관통하는 샤프트(954)의 잔여부분에는 코일스프링(964)이 개재되어 E- 링(968) 등으로 고정된다.
따라서, 모터(950) 및 피니언(960)의 회전에 따른 정상적인 구동의 경우에는 코일스프링(964)의 탄성에 의해 제 1 및 제 2 클러치기어(956,962)가 맞물려 제 2 배출구(902)가 정수기의 전면으로부터 추출 및 삽입되는 렉 앤 피니언의 구동방식을 취하는 반면, 코일스프링(964)의 탄성을 넘는 강제적인 외력으로 제 2 배출구(902)를 삽입 및 추출할 경우에는 피니언(960)이 상승해서 제 1 및 제 2 클러치 기어(956,962)가 헛돌게 되고, 이를 통해 렉(932) 및 피니언(960)의 기어열이 파손되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때, 해당 기능은 본 발명에 따른 냉온 정수기의 사용방법을 잘 알지 못하거나 호기심 많은 어린이 등에 의한 파손을 막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음으로, 첨부된 도 25 내지 도 27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냉온 정수기의 필터교환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25는 탱크부(100)와 필터부(400)를 분해해서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26과 도 27은 각각 필터부(100)의 서로 다른 회전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보이는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냉온 정수기의 필터부(400)는 탱크부(100), 바람직하게는 정수탱크(T1)의 저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90°이하 각도범위에서 일 방향으로 회전하며, 이로써 제 1 내지 제 4 정수필터(F1~F4) 및 연수필터(F5)를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필터부(400)의 유로하우징(500) 양측으로부터는 한 쌍의 힌지돌기(504)가 돌출되고, 정수탱크(T1)의 저면에는 이들 힌지돌기(504)가 각각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한 쌍의 힌지고정단(302)이 마련된다.
따라서 필터부(400)는 한 쌍의 힌지돌기(504)를 연결하는 가상의 기준축을 중심으로 일정 정도 회전 가능한데, 회전각도에 특별한 제한은 없지만 필터부(400) 등에 연결된 각종 튜브의 탈착을 방지할 수 있도록 90°이하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한바, 정수탱크(T1)의 저면으로부터는 필터부(400)의 수평을 고정 및 유지시키기 위한 스토퍼돌기(306)가 돌출되고, 정수탱크(T1)의 일측에는 필터부의 회 전 상태를 고정 및 유지시키기 위한 회전고정단(304)이 구비된다. 즉, 유로하우징(500)의 수평상태를 0°라 할 때, 필터부(400)는 정수탱크 저면으로부터 돌출된 스토퍼돌기(306)에 의해 한 방향으로만 회전이 허락되고, 회전 후에는 정수탱크(T1) 일 측면의 회전고정단(304)을 유로하우징(500)의 고정홀(505)에 삽입함으로써 그 회전상태를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필터교환을 원하는 사용자는 도 27과 같이 필터부(400)를 기울인 후 회전고정단(304)을 유로하우징(500)의 고정홀(505)에 끼워 고정시킴으로써 필터교체를 한층 더 용이하게 할 수 있고, 필터교환이 완료된 후 회전고정단(304)을 풀면 도 26과 같이 유로하우징(500)이 스토퍼돌기(306)에 걸려 다시 수평을 유지한다. 이때, 미설명 부호 506은 힌지돌기(502)와 힌지고정단(302)의 결합 후 힌지돌기(502)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보조링을 나타내고 있다.
마지막으로, 첨부된 도 28은 본 발명에 따른 냉온 정수기의 제어부(1000) 및 이와 관련된 연동요소를 나타낸 블럭도로서, 해당 도면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냉온 정수기의 기능 및 동작 전반을 정리한다.
앞서 설명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냉온 정수기는 크게 다섯 가지 고유 기능을 나타낸다.
즉, 첫 번째는 정수와 연수를 생성하여 냉/온 정수, 정수, 연수를 구분 제공하는 제 1 기능이고, 두 번째는 정수저장을 위한 정수탱크(T1)와 냉 정수 저장을 위한 냉각탱크(T2)를 자체적으로 고온 살균하는 제 2 기능이고, 세 번째는 냉/온 정수가 배출되는 제 1 배출구(800)에 근접한 사용자의 컵 등을 자외선 소독하는 제 3 기능이고, 네 번째는 정수 및 연수를 배출되는 제 2 배출구(900)가 외부로 삽입 및 추출되는 제 4 기능이고, 다섯 번째는 냉온 정수기에 내장된 필터부(400)가 손쉽게 외부로 회전 추출되는 제 5 기능이다.
이 중에서 제 5 기능을 제외한 나머지 기능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제어부(1000)에 의해 수행되며, 이를 위한 제어부(1000)는 다수의 버튼(1406) 및 레버(1408)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지시사항과 각종 센서, 예컨대 정수탱크(T1) 내의 플로트센서(132) 및 제 2 온도센서(142)와 배출부(700)의 광센서(980)의 검지결과를 토대로 제 1 내지 제 6 밸브(V1 내지 V6)와, 모터(700)와, 자외선 램프(850)를 제어하는 논리연산회로로 이루어진다. 이때, 제어부(1000)는 배선연결 등을 고려해서 제 1 및 제 2 PCB 케이스(2002,2004)에 나누어 탑재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실일 것이다.
그 결과 본 발명에 따른 냉온 정수기는 크게 다섯 가지의 동작모드를 나타낸다.
첫 번째는 '대기모드'로서 정수를 생성해서 정수탱크(T1)를 비롯한 냉각탱크(T2)와 히팅탱크(T3)에 각각 일정량의 정수 및 일정량, 일정온도의 냉/온 정수를 유지하고, 두 번째는 '냉/온 정수 배출모드'로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제 1 배출구(800)를 통해 냉각탱크(T2)와 히팅탱크(T3)에 저장된 냉/온 정수를 배출하고, 세 번째는 '자외선 소독모드'로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자외선 램프(850)가 자외선을 발하여 제 1 배출구(800)에 근접한 사용자의 컵 등을 소독하고, 네 번째는 '정수 또는 연수 배출모드'로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제 2 배출구(900)의 삽입 및 추출정도를 조절한 후 제 2 배출구(900)를 통해 정수 또는 연수를 배출하고, 다섯 번째는 '자체살균 모드'로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대기모드에서 제 2 히터(232)가 발열하여 정수탱크(T1) 및 냉수탱크(T2)를 살균한다.
그리고 이들 각각을 위해, 대기모드에서 제어부(1000)는 제 6 밸브(V6)를 오프 시킨 상태로 제 1 및 제 2 밸브(V1,V2)를 열어 정수탱크(T1)를 비롯한 냉각탱크(T2)와 히팅탱크(T3)에 정수와 냉/온 정수를 공급하고, 정수탱크(T1)의 플로트센서(132)가 최고수위를 감지하면 제 1 및 제 2 밸브(V1,V2)를 닫아 일정수위가 유지되도록 하는 한편, 냉각탱크(T2)와 히팅탱크(T3)에 설치된 제 1 및 제 2 온도센서(미도시,142)의 감지결과를 토대로 냉각코일(222)과 제 1 히터(176)를 구동시켜 냉/온 정수를 각각 일정온도로 냉각 및 가열한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버튼(1406) 등을 눌러 '냉/온 정수 배출모드'를 선택하면 제어부(1000)는 제 3 및 제 4 밸브(V3,V4)를 열어 제 1 배출구(800)를 통해 냉/온 정수가 배출되도록 하는 동시에 제 1 및 제 2 밸브(V1,V2)를 열어 정수탱크(T1)를 비롯한 냉각탱크(T2)와 히팅탱크(T3)에 각각 정수와 냉/온 정수를 보충하고, 냉각탱크(T2)와 히팅탱크(T2)에 설치된 제 1 및 제 2 온도센서(미도시,142)의 감지결과를 토대로 냉각코일(222)과 제 1 히터(176)를 구동시켜 냉/온 정수를 각각 일정온도로 냉각 및 가열한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버튼(1406) 등을 눌러 '자외선 소독모드'를 선택하면 제어부(1000)는 자외선 램프(850)를 구동시켜 제 1 배출구(800)에 근접한 사용자의 컵 등을 자외선으로 소독한다. 이때, 해당모드는 가급적 수초 이내에 자동 중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 사용자가 불필요하게 장시간 자외선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레버(1408)를 돌린 후 버튼(1406) 등을 눌러 '정수 또는 연수 배출모드'를 선택하면 제어부(1000)는 셀렉트스위치(970) 및 광센서(980)의 감지결과를 토대로 모터(950)를 구동시켜 제 2 배출부(900)가 전면으로부터 소정 길이 추출되게 한 후, 제 5 밸브(V5)를 열어 제 2 배출부(900)를 통해 정수가 배출되게 하는 동시에 제 1 밸브(V1)를 열어 정수를 보충하거나, 제 1 및 제 6 밸브(V1,V6)를 열어 제 2 배출구(900)를 통해 연수가 배출되도록 한다.
이때, 제 2 배출구(900)의 추출 또는 삽입에 대한 선택은 레버(1408)의 회전방향에 따른 셀렉트스위치(970)의 감지결과에 따라 모터(950)의 회전방향을 제어하는 방식이 될 수 있고, 제 2 배출구(900)의 추출 또는 삽입정도에 대한 선택은 레버(1408)의 회전정도에 따른 셀렉트스위치(970)의 감지결과에 따라 모터(950)의 회전정도를 제어하는 방식이 될 수 있으며, 이 과정 중에 제어부(1000)는 광센서(980)의 감지결과를 통해 제 2 배출구(900)의 위치를 정확히 파악 및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제 2 배출구(900)의 추출 후 정수 또는 연수배출이 종료되면 수초 후 다시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버튼(1406) 등을 눌러 '자체살균 모드'를 선택하면 제어부(1000)는 냉수탱크(T2) 내의 제 2 히터(232)를 발열시켜 정수탱크(T1) 및 냉수탱크(T2) 내부의 물을 끓임으로써 해당공간을 살균한다.
이때, 제어부(1000)는 냉수탱크(T2)에 설치된 제 2 온도센서(142)의 감지결과를 토대로 제 2 히터(232)를 제어해서 불필요한 과열을 막고, 필요하다면 해당 모드 후 제 3 및 제 5 밸브(V3,V5)를 열어 정수탱크(T1)와 냉수탱크(T2) 내부를 완전히 비우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이 같은 자체살균 모드는 가급적 정수 사용량이 많지 않은 야간이나 기타 지정된 시간에 주기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제어부(1000)에는 별도의 타이머(2012)가 마련될 수 있고, 그외 액정표시장치 등의 표시유닛(2014)이 마련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상세한 정보를 입력 및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냉온 정수기의 사용에 있어서 제어부(1000)는 제 1 밸브(V1)의 온 시간과 구동펌프(M)의 구동시간을 토대로 필터사용량을 집계하는 것도 가능하고, 제 2 밸브(V6)와 제 6 밸브(V6)의 온 시간을 토대로 필터 사용량을 집계하는 것도 가능한데, 여기서 더 나아가 상기 집계결과를 각 필터별 최대정화가능유량과 비교하여 개별 필터의 오염정도 및 교체시기를 파악한 후 표시유닛을 통해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필터교체시기가 되면 본 발명에 따른 냉온 정수기의 제 5 기능을 이용하여 필터부(400)를 외부로 회전 추출시킨 후 각 필터를 손쉽게 교체할 수 있다.
한편,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일례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하지만, 이들은 모든 변형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인바, 이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하의 청구범위를 통해 당업자라면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온 정수기의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온 정수기의 외관사시도.
도 3과 도 4와 도 6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냉온 정수기의 케이스에 대한 일부 분해사시도.
도 5와 도 7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냉온 정수기의 일부분해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냉온 정수기의 본체에 대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냉온 정수기의 본체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10과 도 11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냉온 정수기의 필터부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냉온 정수기의 임의의 필터에 대한 단면도.
도 13과 도 14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냉온 정수기의 필터부 중 제 1 유로플레이트에 대한 평면도와 저면도.
도 15 및 도 16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냉온 정수기의 필터부 중 제 2 유로플레이트에 대한 평면도와 저면도.
도 17과 도 18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냉온 정수기의 탱크부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냉온 정수기의 탱크부에 대한 일부 평면도.
도 20과 도 21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냉온 정수기의 케이스 일부 및 배출부에 대한 일부 분해사시도.
도 22와 도 23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냉온 정수기의 배출부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냉온 정수기의 제 2 배출부에 대한 일부 분해사시도.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냉온 정수기의 탱크부와 필터부의 분해사시도.
도 26과 도 27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냉온 정수기의 필터부에 대한 작동 사시도.
도 28은 본 발명에 따른 냉온 정수기의 제어부 및 관련요소를 나타낸 블럭도.

Claims (7)

  1. 원수를 정수로 정화하는 적어도 하나의 정수필터가 구비된 필터부와;
    상기 정수가 배출되고 일 측면을 따라 렉이 형성된 파이프 형상의 배출부와;
    회전축을 가진 모터와;
    상기 회전축에 관통 고정되고 제 1 클러치기어가 둘러 구비된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에 유격있게 관통되어 상기 렉과 치합되며 상기 모터를 향하는 일면에 상기 제 1 클러치기어와 대응되는 제 2 클러치기어가 구비된 피니언과;
    상기 피니언을 관통하는 상기 샤프트 말단에 관통 고정되는 코일스프링을 포함하는 정수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코일스프링을 고정하도록 상기 샤프트 끝단에 체결되는 E-링을 더 포함하는 정수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클러치기어는 각각의 치형이 삼각형의 대칭이고, 압력각은 20°이상인 정수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의 추출 및 삽입을 위해 사용자가 회전시키는 레버와;
    상기 레버의 회전방향 및 회전정도를 감지하는 셀렉트스위치와;
    상기 셀렉트스위치의 감지결과에 따라 상기 모터의 회전방향 및 회전정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정수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상기 정수가 배출되고 고정된 제 1 배출구와;
    상기 파이프 형상의 제 2 배출구를 포함하는 정수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상기 원수를 연수로 연수화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수필터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 1 배출구로는 상기 정수가 배출되고, 상기 제 2 배출구로는 상기 정수 및 상기 연수가 배출되는 정수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정수가 저장되는 정수탱크와, 상기 정수의 가열에 따른 온 정수가 저장되는 히팅탱크와, 상기 정수의 냉각에 따른 냉 정수가 저장되는 냉각탱크를 구비한 탱크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 1 배출구로는 상기 냉/온 정수가 배출되고, 상기 제 2 배출구로는 상기 정수 및 연수가 배출되는 정수기.
KR1020080070841A 2008-07-21 2008-07-21 냉온 정수기 KR201000099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0841A KR20100009985A (ko) 2008-07-21 2008-07-21 냉온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0841A KR20100009985A (ko) 2008-07-21 2008-07-21 냉온 정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9985A true KR20100009985A (ko) 2010-01-29

Family

ID=41818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0841A KR20100009985A (ko) 2008-07-21 2008-07-21 냉온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998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82858A (ko) * 2016-01-07 2017-07-17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필터용 연결장치
KR102582428B1 (ko) * 2023-07-06 2023-09-25 주식회사 필랩 가정용 정수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82858A (ko) * 2016-01-07 2017-07-17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필터용 연결장치
KR20230042442A (ko) * 2016-01-07 2023-03-28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필터용 연결장치
KR102582428B1 (ko) * 2023-07-06 2023-09-25 주식회사 필랩 가정용 정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189334B (zh) 饮水机
DK2198222T3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grammable treatment of water in a water cooler
KR101070406B1 (ko) 탱크형 냉온 정수기
JP2004206301A (ja) 冷温水機の殺菌装置
KR100920698B1 (ko) 정수기
CN102459098A (zh) 滤水壶
KR102656807B1 (ko) 정수기
KR20130008433A (ko) 필터카트리지가 장착된 냉온 살균정수꼭지
KR100893294B1 (ko) 정수기
KR100911682B1 (ko) 정수기
KR101627619B1 (ko)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장치의 살균방법
WO2013128665A1 (ja) ウォーターサーバー
KR20100009985A (ko) 냉온 정수기
KR101897564B1 (ko) 다수의 탱크를 구비한 수처리기의 살균 방법
GB2448586A (en) An apparatus for purifying and dispensing water
KR20130024534A (ko) 플라즈마 살균세척기능을 지닌 정수기
CN102635934A (zh) 冷热净化式智能开水器
KR100918630B1 (ko) 정수기
CN109757989B (zh) 饮水机
KR101358277B1 (ko) 슬림형 살균 정수기
KR20110006521A (ko) 증류식 정수기
CN220618469U (zh) 一种水管道消毒杀菌设备
KR20120047139A (ko) 자동세정수단을 갖는 정수기 및 그를 이용한 정수기의 자동세정방법
CN214422447U (zh) 一种厨房用的自动净水器
JPS637891A (ja) 浄水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