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7619B1 -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장치의 살균방법 - Google Patents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장치의 살균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7619B1
KR101627619B1 KR1020140047713A KR20140047713A KR101627619B1 KR 101627619 B1 KR101627619 B1 KR 101627619B1 KR 1020140047713 A KR1020140047713 A KR 1020140047713A KR 20140047713 A KR20140047713 A KR 20140047713A KR 101627619 B1 KR101627619 B1 KR 1016276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torage tank
sterilization
intake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77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21610A (ko
Inventor
손정철
김창진
윤성문
이인규
Original Assignee
쿠쿠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쿠쿠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쿠쿠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477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7619B1/ko
Publication of KR201501216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16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76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76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02F1/003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using household-type filters for producing potable water, e.g. pitchers, bottles, faucet mounted de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9/00Multistage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9/20Portable or detachable small-scale multistage treatment devices, e.g. point of use or laboratory water purification system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장탱크의 물을 배수하지 않고도 저장탱크 및 취수코크의 살균이 가능하고, 복수의 저장탱크 내부를 골고루 살균시킬 수 있는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장치의 살균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수처리장치는, 필터부에서 여과된 물을 서로 다른 온도로 각각 저장하는 제1저장탱크와 제2저장탱크; 상기 제1저장탱크와 제2저장탱크의 물이 순환하도록 연결된 순환유로; 상기 순환유로 상에 구비되어 살균수를 생성하는 살균모듈; 상기 살균모듈에서 생성된 살균수를, 상기 순환유로를 통해 순환시키거나, 상기 취수코크로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장치의 살균방법{WATER TREATMENT APPARATUS AND STERILIZING METHOD}
본 발명은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장치의 살균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살균수를 이용하여 물탱크와 배관 내부 및 취수코크를 살균할 수 있는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장치의 살균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정수기는, 수돗물이나 자연수와 같은 원수의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원수밸브와, 상기 원수밸브를 통과한 원수 중의 찌꺼기를 여과하게 되는 전처리 침전 필터와, 원수 중의 염소성분이나 냄새를 제거하기 위한 프리 카본 필터와, 상기 프리 카본 필터를 통과한 정수에 포함된 염소 성분이나 냄새를 제거하기 위한 포스트 카본 필터와, 상기 포스트 카본 필터를 통과한 정수에 포함된 세균 및 기타 미립자를 제거하기 위한 중공사막 필터와, 상기 중공사막 필터를 통과한 정수를 저장하기 위한 물탱크로 구성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정수처리장에서는 물속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하기 위해 염소계 살균소독제를 투여하는데, 상기 살균소독제가 투여된 수돗물이 정수기를 통과하는 동안 프리 카본 필터와 포스트 카본 필터에서 염소성분이 제거된 후 물탱크에 저장된다.
이와 같이 물탱크에 저장된 정수는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하는 염소성분이 필터에 의해 제거된 상태이므로 상기 물탱크에 저장된 정수를 소비자가 즉시 이용하지 않고 장시간 경과하게 되면 물탱크 내부에 세균이 증식하게 되므로, 이러한 물탱크의 살균을 위하여 다양한 방법들이 제안되었다.
예를 들면 대한민국 등록특허 10-621937에는 필터부와 정수탱크의 사이에 전기분해에 의해 정수수의 살균 및 산화성 혼합물질을 생성하는 전해살균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정수탱크 내부를 살균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에 개시된 살균시스템의 경우 탱크들 내부에 저장된 물을 배출하는 취수코크는 외부에 노출되어 있어 살균처리가 어려워 이물질에 의해 오염이 되고 세균이 증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해살균수단, 정수탱크, 냉수탱크/온수탱크의 순서로 배열되어 전해살균수단에서 생성된 살균수를 이용하여 취수코크를 살균하기 위해서는 정수탱크와 냉수탱크 및 온수탱크의 물을 모두 배수한 후, 전해살균수단에서 생성된 살균수를 정수탱크와 냉수탱크 및 온수탱크의 내부를 경유하여 취수코크로 배출시켜야 하고, 정수탱크와 냉수탱크 및 온수탱크 내부에 잔존하는 살균수를 헹굼수를 이용하여 헹구는 과정을 거친 후 필터부에서 여과된 정수를 상기 탱크들에 채워야 하므로, 물 낭비가 심할 뿐만 아니라 취수코크 살균에 소요되는 시간을 증가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저장탱크의 물을 배수하지 않고도 저장탱크 및 취수코크의 살균이 가능하고, 복수의 저장탱크 내부를 골고루 살균시킬 수 있는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장치의 살균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수처리장치는, 필터부에서 여과된 물을 서로 다른 온도로 각각 저장하는 제1저장탱크와 제2저장탱크; 상기 제1저장탱크와 제2저장탱크의 물이 순환하도록 연결된 순환유로; 상기 순환유로 상에 구비되어 살균수를 생성하는 살균모듈; 상기 살균모듈에서 생성된 살균수를, 상기 순환유로를 통해 순환시키거나, 상기 취수코크로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순환유로 상에서 분기되어 상기 취수코크에 연결되는 취수코크라인이 구비되고, 상기 살균수는 상기 취수코크라인을 통해 상기 취수코크로 공급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순환유로는, 상기 제1저장탱크의 상부공간과 제2저장탱크의 하부를 연결하는 제1연결라인, 상기 제1저장탱크의 하부공간의 물을 상기 제2저장탱크의 물과 혼합되도록 연결하는 제2연결라인, 상기 제2저장탱크에서 배출된 물이 상기 제1저장탱크의 상부공간으로 유입되도록 연결하는 순환라인, 상기 순환유로 상에 설치되어 상기 제1저장탱크와 제2저장탱크에서 배출된 물을 상기 순환유로를 통해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펌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2연결라인상에는 살균순환시 상기 하부공간과 제2저장탱크 사이를 연결시키는 제1유로전환밸브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취수코크라인과 순환라인의 분기점에는 상기 살균수의 유동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제3유로전환밸브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저장탱크와 제2저장탱크의 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라인이 상기 순환유로 상에서 분기되고, 상기 분기점에는 상기 순환유로를 통해 유동하는 물의 유동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제2유로전환밸브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취수코크의 하부에 위치한 살균컵을 감지하면 상기 취수코크를 통해 살균수를 배출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처리장치 살균방법은, a) 필터부에 의해 여과된 물이 제1저장탱크와 제2저장탱크 내부에 서로 다른 온도로 저장되어 있는 단계; b) 상기 제1저장탱크와 제2저장탱크의 물이 순환하도록 연결되는 순환유로 상에 구비된 살균모듈에서 살균수를 생성하는 단계; c) 상기 살균수를 취수코크로 배출하는 단계; d) 상기 취수코크로 헹굼수를 공급하여 헹굼이 이루어지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c)단계에서 상기 살균수는 상기 순환유로 상에서 분기된 취수코크라인을 통해 상기 취수코크로 배출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순환유로는, 상기 제1저장탱크의 상부공간과 제2저장탱크의 하부를 연결하는 제1연결라인, 상기 제1저장탱크의 하부공간과 제2저장탱크의 상부를 연결하는 제2연결라인, 상기 제2저장탱크에서 배출된 물이 상기 제1저장탱크의 상부공간으로 유입되도록 연결하는 순환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제1연결라인과 제2연결라인에는 제1연결라인차단밸브와 제1유로전환밸브가 각각 구비되며; 살균모드시 상기 제1연결라인차단밸브와 제1유로전환밸브는 교대로 온(On)/오프(Off)가 반복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a)단계에서 상기 제1저장탱크에 구비된 수위센서에서 만수위임을 감지한 경우 상기 b) 이후의 단계들이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c)단계의 진행 중 상기 살균컵의 이탈이 감지된 경우 살균수 배출동작이 정지되고, 사용자에게 경고표시를 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1저장탱크와 제2저장탱크 사이를 연결하는 순환라인 상에 살균모듈을 설치하여 살균모드 시 상기 제1,제2저장탱크 내부의 물을 배수하지 않고도 살균수의 생성이 가능하므로 물 낭비를 방지하고 살균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제1저장탱크와 제2저장탱크 내부의 물을 순환시키면서 살균수를 생성하므로 제1저장탱크와 제2저장탱크 내부를 균일하게 살균시킬 수 있다.
또한 살균모듈에서 생성된 살균수를 취수코크를 통해 배출함으로써 취수코크를 살균처리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청결한 물을 제공할 수 있고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저장탱크 내부에 저장된 물을 이용하여 취수코크 살균이 이루어지므로, 물 낭비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취수코크 살균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저장탱크의 수위가 만수위임을 감지한 경우에 살균모드가 시작되도록 함으로써 저장탱크의 만수위까지 채워진 살균수에 의해 저장탱크의 만수위까지 살균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1저장탱크와 제2저장탱크 사이를 연결하는 제1연결라인과 제2연결라인 상에 구비된 제1연결라인차단밸브와 제1유로전환밸브를 살균모드시 교대로 온(On)/오프(Off)시켜 제1저장탱크와 제2저장탱크의 물을 혼합함으로써 순환라인 및 순환펌프에 유입되는 물의 온도를 낮추어 내열성이 높은 재질을 사용할 필요가 없어 제품 가격을 낮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저장탱크와 제2저장탱크에 균일한 농도의 살균수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순환유로와 취수코크라인의 상단은 제1저장탱크의 만수위보다 하측에 위치시켜 순환펌프를 가동시키지 않고도 수두차에 의해 취수코크라인 및 취수코크로 살균수를 공급할 수 있어 살균모듈로 공급되는 물의 유속이 느려져 취수코크로 공급되는 살균수의 살균물질 농도를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순환펌프를 제2저장탱크와 배수라인 사이의 순환라인 상에 설치함으로써 순환펌프를 배수시에도 사용할 수 있어 별도의 배수펌프를 구비할 필요없이 신속한 배수가 가능하다.
또한 취수코크 살균과 순환살균을 사용자가 선택하여 독립적으로 실시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되고, 제품을 사용하기 위해 사용자가 대기하는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수처리장치에 살균컵이 안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수처리장치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장치에서 살균순환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장치에서 살균수 배수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장치에서 헹굼수 유입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장치에서 취수코크살균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장치에서 살균순환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장치에서 정수모드시에 취수코크살균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
도 9는 살균순환모드시에 취수코크살균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수처리장치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수처리장치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수처리장치의 내부구성과 살균순환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수처리장치에서 배수가 이루어지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수처리장치에서 취수코크살균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수처리장치에 살균컵이 안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수처리장치(1)의 전면부에는 사용자가 냉수 또는 온수를 선택하기 위한 버튼, 취수코크 살균을 선택하기 위한 버튼 등 복수의 버튼(미도시)이 구비된 조작패널(610)이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조작패널(610)의 하부에는 살균컵(2)이 상부에 안착되는 물받이(62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조작패널(610)의 하부에는 취수코크(450; 도 2)가 하향 돌출되어 있고, 사용자가 취수코크(450)를 살균하고자 하는 경우 살균컵(2)을 물받이(620) 위에 안착시키면 상기 취수코크(450)로부터 배출된 살균수가 상기 살균컵(2) 내부에 수용된다.
상기 수처리장치(1)에 살균컵(2)이 안착되었음을 감지하기 위하여 상기 살균컵(2)에는 자성체(미도시)가 구비되고, 상기 수처리장치(1)에는 상기 자성체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자성체의 자기장을 감지하는 살균컵감지부(미도시)가 구비된다.
상기 살균컵감지부에서 상기 자성체를 감지하여 살균컵(2)이 물받이(620) 상부에 안착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취수코크(450)를 통해 살균수를 배출시킴으로써 취수코크(450)의 살균처리가 이루어진다.
상기 살균컵감지부는 상기 자성체의 움직임에 따른 자기장의 변화량을 감지하는 MR센서 또는 자성체의 움직임에 따라 온/오프(On/Off)되는 리드스위치 또는 홀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살균컵(2)에 자성체를 구비하지 않고, 살균컵감지부를 발광부와 수광부로 이루어진 광센서로 구성할 수도 있으며, 살균컵(2)의 유무를 감지하는 방식은 상기한 방식 이외에도 다양한 방식으로 제한없이 변형실시 가능하다.
한편 상기 살균컵감지부가 살균컵(2)을 감지하더라도 사용자가 조작패널(610)에 구비된 취수코크 살균버튼을 누르거나 터치한 경우에만 취수코크 살균모드가 진행되는 것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수처리장치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수처리장치(1)는, 원수를 여과하기 위해 다수의 필터(110,120,130,140)로 이루어진 필터부(100), 상기 필터부(100)에서 여과된 물을 저장하는 저장부(200), 상기 저장부(200)에 연결된 순환라인(521) 상에 설치되어 살균수를 공급하기 위한 살균모듈(300), 상기 저장부(200)에 저장된 물을 사용자에게 출수하기 위한 출수부(400)를 포함한다.
상기 필터부(100)는, 전처리 침전 필터(110)와, 프리 카본 필터(120)와, 포스트 카본 필터(130)와, 중공사막 필터(140)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공사막 필터(140) 대신 역삼투압 멤브레인 필터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각 필터들(110,120,130,140) 사이는 다수의 배관(501,502,503)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정수된 물이 이동하는 정수이동라인을 형성하고, 전처리 침전 필터(110)와 프리 카본 필터(120) 사이를 연결하는 배관(501) 상에는 원수의 유입을 단속하기 위한 원수밸브(150)가 구비된다.
상기 저장부(200)는, 상기 필터부(100)에서 여과된 물을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 정수공급라인(504)에 의해 상기 중공사막 필터(140)와 연결되어 냉수와 정수를 저장하는 제1저장탱크(210)와, 상기 제1저장탱크(210)와 연결되어 온수를 저장하는 제2저장탱크(2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저장탱크(210)는 상온의 정수가 저장되는 상부공간(210a)과 냉수가 저장되는 하부공간(210b)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공간(210a)과 하부공간(210b)은 분리판(213)에 의해 구분되며, 상기 분리판(213)의 중앙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하부공간(210b)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정수를 냉수와 혼합되지 않은 상태로 상기 제2저장탱크(220)으로 공급하기 위한 연결유로(214)가 구비된다.
상기 하부공간(210b)의 외측 둘레에는 저장된 정수의 냉각을 위한 냉각코일(도면에 미도시)이 구비되고, 상기 제2저장탱크(220)의 외측 둘레에는 저장된 정수의 가열을 위한 히터(도면에 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냉각코일과 상기 히터가 상기 제1저장탱크(210)의 하부공간(210b)과 상기 제2저장탱크(220)의 내부에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살균모듈(300)은, 일례로 물을 전기분해하여 원수 속에 포함된 염소이온과 수소, 산소등이 반응하여 HOCl, ClO- 이온 등의 살균물질을 생성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저장탱크(210)의 냉수 및 제2저장탱크(220)의 온수는 취수부(400)를 통해 사용자에게 공급된다. 상기 취수부(400)는, 상기 제1저장탱크(210)의 하부공간(210b)에 연결된 냉수취수라인(532) 상에 설치되어 냉수의 공급을 규제하는 냉수취수밸브(410)와, 상기 제2저장탱크(220)의 상부에 연결된 온수취수라인(533) 상에 설치되어 온수의 공급을 규제하는 온수취수밸브(420)와, 상기 냉수 및 온수를 사용자에게 공급하기 위한 하나의 취수코크(450)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제1저장탱크(210)와 제2저장탱크(220) 및 살균모듈(300) 사이를 살균수가 순환할 수 있도록, 제1연결라인(511)과 제2연결라인(512) 및 순환라인(521a,521b,521c,521d)으로 이루어진 순환유로가 구비된다.
상기 제1연결라인(511)은 일단이 제1저장탱크(210)의 연결유로(214)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2저장탱크(220)의 하부에 연결되어, 제1저장탱크(210) 상부공간(210a)의 물이 제2저장탱크(220)로 유입되도록 한다.
상기 제1연결라인(511) 상에는 살균순환시 및 취수코크살균시에는 온(On)되어 제1저장탱크(210)의 물 또는 살균수가 제2저장탱크(220)에 유입되도록 하는 제1연결라인차단밸브(350)가 구비된다.
상기 제2연결라인(512)은 상기 냉수취수라인(532)과 온수취수라인(533) 사이를 연결함으로써, 제1저장탱크(210) 하부공간(210b)의 물이 상기 냉수취수라인(532)과 제2연결라인(512) 및 온수취수라인(533)을 거쳐 제2저장탱크(220)의 상부로 유입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2연결라인(512)과 냉수취수라인(532)이 교차하는 지점에는 살균모드시 상기 제2연결라인(512)을 통해 물이 흐르도록 개방되는 제1유로전환밸브(330)가 구비된다.
상기 제1유로전환밸브(330)는, 냉수취수라인(532)에서 냉수취수밸브(410) 방향으로 연결되는 유로는 항상 개방된 상태이고, 상기 냉수취수라인(532)에서 제2연결라인(512) 방향으로 연결되는 유로는 온(On)/오프(Off)에 의해 개방/폐쇄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구성하거나, 양측 유로방향 중 어느 하나의 유로방향은 폐쇄되고 나머지 하나의 유로방향은 개방되는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하부공간(210b)의 물을 냉수취수밸브(410)로 공급하는 경우에는 제1유로전환밸브(330)를 오프(Off)시키고, 하부공간(210b)의 물을 제2연결라인(512)을 통해 제2저장탱크(220)로 공급하는 경우에는 제1유로전환밸브(330)를 온(On)시킨다.
상기 순환라인(521a,521b,521c,521d)은 상기 제2저장탱크(220)의 하부와 제1저장탱크(210)의 상부 사이를 연결한다.
상기 순환라인(521a,521b,521c,521d) 상에는, 살균수를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펌프(310)와, 살균순환시 상기 순환라인(521a,521b,521c,521d)으로 물의 공급 여부를 제어하기 위한 순환라인차단밸브(340)와, 상기 순환라인(521a,521b)과 배수라인(541)이 교차하는 지점에 구비되어 유로 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제2유로전환밸브(320)와, 상기 순환라인(521b,521c)을 통과하는 물을 이용하여 살균수를 생성하기 위한 살균모듈(300)과, 상기 살균모듈(300)에서 생성된 살균수를 제1저장탱크(210)와 취수코크라인(531)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공급하기 위한 제3유로전환밸브(360)가 구비된다.
상기 배수라인(541)은 상기 순환라인(521a,521b) 상에서 분기되고, 상기 제2유로전환밸브(320)는 배수시에는 온(On)되어 순환라인(521a)에 배수라인(541)을 연결시킴으로써 상기 배수라인(541)을 통해 제1저장탱크(210)와 제2저장탱크(220)의 물을 외부로 배수시키고, 배수시 이외의 경우에는 오프(Off)되어 순환라인(521a)에 살균모듈(300) 방향의 순환라인(521b)을 연결시킴으로써 제1저장탱크(210)와 제2저장탱크(220)의 물을 살균모듈(300)로 공급한다.
상기 제3유로전환밸브(360)는 살균순환시에는 오프(Off)되어 순환라인(521c)에 제1저장탱크(210) 방향의 순환라인(521d)을 연결시킴으로써 살균모듈(300)에서 생성된 살균수가 순환라인(521d)을 거쳐 제1저장탱크(210)로 유입되도록 하고, 취수코크 살균시에는 온(On)되어 순환라인(521c)에 취수코크라인(531)을 연결시킴으로써 살균수가 취수코크라인(531)을 거쳐 취수코크(450)를 통해 살균컵(2)에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제2유로전환밸브(320)와 제3유로전환밸브(360)는 양측 유로방향 중 어느 하나의 유로방향은 폐쇄되고, 나머지 하나의 유로방향은 개방되는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장치에서 살균순환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장치에서 살균수 배수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장치에서 헹굼수 유입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장치에서 취수코크살균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장치에서 살균순환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장치에서 정수모드시에 취수코크살균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살균순환모드는 살균순환 → 살균수 배수 → 헹굼수 유입 → 헹굼수 배수 → 정수 유입 순서로 이루어지고, 취수코크 살균모드는 사용자의 취수코크 살균요청신호에 의해 상기 살균순환모드의 진행 중에 이루어지거나 상기 살균순환모드와 독립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이하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제1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장치에서의 살균순환모드와 취수코크 살균모드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에서 오프(Off)란 밸브(150,340,350,410,420)가 닫힌 상태 또는 살균모듈(300) 및 순환펌프(310)가 작동되지 않는 상태를 의미하고, 온(On)이란 밸브(150,340,350,410,420)가 개방된 상태 또는 살균모듈(300) 및 순환펌프(310)가 작동되는 상태를 의미한다. 한편, 제1유로전환밸브(330)는 냉수취수라인(532)에서 제2연결라인(512) 방향으로 연결되는 유로가 개방 상태인 경우 온(On), 폐쇄 상태인 경우 오프(Off)로 하고, 제2유로전환밸브(320)는 순환라인(521a)에서 배수라인(541) 방향으로 연결되는 유로가 개방 상태인 경우 온(On), 폐쇄 상태인 경우 오프(Off)로 하며, 제3유로전환밸브(360)는 순환라인(521c)에서 취수코크라인(531) 방향으로 연결되는 유로가 개방 상태인 경우 온(On), 폐쇄 상태인 경우 오프(Off)로 한다.
살균순환모드가 작동하면 제1저장탱크(210)의 수위가 만수위인지를 수위센서(215)에서 감지한다(S1100).
수위 감지결과 만수위가 아닌 경우 원수밸브(150)를 온(On)시켜 필터부(100)에서 여과된 정수를 제1저장탱크(210)에 공급하고(S1110), 만약 단수와 같은 상황이 발생하여 설정시간이 경과하도록 제1저장탱크(210)의 만수위를 감지하지 못하면(S1120), 살균순환모드 가동을 정지시키고 사용자에게 경고음 및 경고메시지를 출력함으로써(S1130) 사용자의 주의를 환기시키는데, 이하 이러한 과정을 '만수위 에러모드'라 칭한다.
상기 설정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정수가 유입되어 제1저장탱크(210)의 만수위를 감지한 경우에는 살균수 생성 및 순환 과정이 이루어진다(S1200).
제1저장탱크(210)의 만수위에 해당하는 수면이 닿는 제1저장탱크(210)의 내벽에는 물때가 끼일 수 있으므로, 상기와 같이 제1저장탱크(210)의 수위가 만수위인 상태에서 살균순환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제1저장탱크(210)의 수면이 접촉하는 내벽 전체를 살균처리할 수 있다.
제1저장탱크(210)의 만수위가 감지되면,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원수밸브(150)와 냉수취수밸브(410)와 온수취수밸브(420)와 제2유로전환밸브(320)와 제3유로전환밸브(360)는 오프(off) 상태, 제1연결라인차단밸브(350)와 제1유로전환밸브(330)와 순환라인차단밸브(340)는 온(On) 상태에서 순환펌프(310)와 살균모듈(300)을 작동시켜 제1저장탱크(210)와 제2저장탱크(220)의 물이 제1연결라인(511), 제2연결라인(512) 및 순환라인(521a,521b,521c,521d)을 통해 순환되면서 살균수가 생성되도록 한다(S1200).
상기 순환라인(521a,521b,521c,521d)을 통해 유동하는 물은 상기 살균모듈(300)에서 전기 분해되면 차아염소산(hypochlorous acid; HClO), 차아염소산이온(OCl-), 염소(Cl2) 등의 살균물질이 생성되어 제1저장탱크(210) 내부로 유입되고, 제1저장탱크(210)의 상부공간(210a)에 유입된 살균수는 연결유로(214)와 제1연결라인(511)을 경유하여 제2저장탱크(220)의 하부로 유입되고, 제1저장탱크(210)의 상부공간(210a)과 연통하는 하부공간(210b)에 유입된 살균수는 냉수취수라인(532)과 제2연결라인(512) 및 온수취수라인(533)을 경유하여 제2저장탱크(220)의 상부로 유입된 후, 순환라인(521a,521b,521c,521d)을 통해 반복 순환하게 된다.
상기한 살균순환시 제1저장탱크(210) 하부공간(210b)의 냉수는 상기 제2연결라인(512)을 통해 제2저장탱크(220)로 유입되어 온수와 혼합되고, 상기 제1저장탱크(210) 상부공간(210a)의 정수는 상기 제1연결라인(511)을 통해 제2저장탱크(220)의 하부로 유입되어 온수와 혼합된다.
이렇게 제2저장탱크(220) 내부에서 혼합되어 온도가 떨어진 물이 순환라인(521a) 측으로 배출되므로, 제2저장탱크(220)에 저장된 뜨거운 온수가 곧바로 순환라인(521a)으로 유입되는 경우에 비하여 순환라인(521a,521b,521c,521d) 및 순환펌프(310)의 내부 재질을 내열성이 높은 재질로 구성할 필요가 없어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제1연결라인차단밸브(350)와 제1유로전환밸브(330)가 살균순환시 계속 온(On) 상태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설정된 시간동안 교대로 온(On)과 오프(Off)가 반복되도록 제어하면, 제2저장탱크(220)의 물 온도를 효과적으로 낮출 수 있고, 제1저장탱크(210)와 제2저장탱크(220)의 물을 고르게 순환시켜 살균수의 농도가 균일해진다.
또한 상기 살균모듈(300)에 의해 생성된 살균수는 순환 과정에 의해 제1저장탱크(210) 하부공간(210b)으로 유입됨과 동시에 냉수취수라인(532)과 제2연결라인(512) 및 온수취수라인(533)을 통해 제2저장탱크(220)에도 유입되어 제1저장탱크(210)와 제2저장탱크(220)에 동시에 채워지므로, 살균수가 어느 한쪽에 먼저 채워지고 다른 쪽에 나중에 채워지는 경우에 비하여 제1저장탱크(210)와 제2저장탱크(220)에 살균작용이 이루어지는 시간상의 차이가 없어 살균이 균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1저장탱크(210)와 제2저장탱크(220)에 저장된 물을 배수할 필요없이 제1저장탱크(210)와 제2저장탱크(220)에 저장된 물을 이용하여 살균수를 생성하므로, 물 낭비를 방지하고 살균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냉수취수라인(532)과 온수취수라인(533)은 살균모드시 살균수가 그 내부를 통과하게 되어 상기 냉수취수밸브(410)와 온수취수밸브(420)의 전단까지 살균이 이루어지므로 살균이 되지 않는 데드존의 영역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순환과정은 설정된 시간 동안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고, 상기 순환펌프(310)와 살균모듈(300)은 순환 과정 동안 계속하여 작동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며, 일정 시간 작동 후 정지되어 일정 시간 대기하도록 함으로써 제1저장탱크(210)와 제2저장탱크(220) 내부의 살균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정에 의해 살균이 이루어진 후에는 제1저장탱크(210)와 제2저장탱크(220) 내부의 살균수를 배수하게 되는데,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원수밸브(150)와 냉수취수밸브(410)와 온수취수밸브(420)와 제3유로전환밸브(360) 및 살균모듈(300)은 오프(off) 상태로 하고, 제1유로전환밸브(330)와 제1연결라인차단밸브(350)와 순환라인차단밸브(340) 및 제2유로전환밸브(320)는 온(On)시킨 상태에서 순환펌프(310)를 작동시켜 제1저장탱크(210)와 제2저장탱크(220) 내부의 살균수를 배수라인(541)을 통해 외부로 배수시킨다(S1300).
이와 같이 살균수의 배수가 완료되면 제1저장탱크(210)와 제2저장탱크(220) 내부에 잔존하는 살균수를 세척하기 위한 헹굼과정이 이루어지는데,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냉수취수밸브(410)와 온수취수밸브(420)와 살균모듈(300)과 순환펌프(310) 및 제2유로전환밸브(320)는 오프(off) 상태로 하고, 원수밸브(150)와 제1유로전환밸브(330)와 순환라인차단밸브(340) 및 제1연결라인차단밸브(350)를 온(On)시키면 원수가 필터부(100)를 거쳐 여과되고, 이렇게 여과된 물(이하 '헹굼수'라 한다)이 정수공급라인(504)을 통해 제1저장탱크(210)에 유입되고, 상기 제1저장탱크(210)로 유입된 헹굼수는 제1연결라인(511) 및 제2연결라인(512)을 통해 제2저장탱크(220)와 순환라인(521a,521b,521c,521d)에 유입됨으로써 헹굼이 이루어진다(S1400).
이 경우 제1저장탱크(210)의 수위가 만수위인지를 수위센서(215)에서 감지하고(S1500), 감지결과 만수위가 아닌 경우 만수위 에러모드가 진행된다(S1510,S1520,S1530).
제1저장탱크(210)의 만수위가 감지되면, 일정시간 대기함으로써 충분한 헹굼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고, 헹굼수를 살균수의 순환과 같이 도 3에 도시된 경로를 따라 순환되도록 하거나 상기한 헹굼과정을 반복함으로써 헹굼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한 헹굼과정이 완료되면 헹굼수의 배수가 이루어지는데, 헹굼수의 배수는 도 4에 도시된 살균수의 배수와 동일한 과정에 의해 이루어진다(S1600).
상기 헹굼수의 배수가 완료되면 헹굼수의 유입과 동일한 과정에 의해 정수의 유입이 이루어지고(S1700), 제1저장탱크(210)의 수위가 만수위인지를 수위센서(215)에서 감지하고(S1800), 감지결과 만수위가 아닌 경우 만수위 에러모드가 진행되며(S1810,S1820,S1830), 만수위가 감지된 경우에는 살균모드가 종료된다.
상기 순환라인(521a,521b,521c,521d)에는 정수의 유입이 불필요하므로 도 5의 순환라인차단밸브(340)는 오프(Off)시키는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경우 살균수의 순환시 뿐만 아니라 살균수 및 헹굼수의 배수시에도 순환펌프(310)를 이용하여 배수를 할 수 있으므로 살균수 및 헹굼수를 보다 원활히 배수하여 배수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하나의 순환펌프(310)를 이용하여 순환 및 배수 2가지 기능을 구현할 수 있어 원가 절감 및 수처리장치 내부 공간을 효율적을 사용할 수 있다.
위와 같은 살균순환모드는 일정한 주기로 자동적으로 반복되도록 설정될 수도 있고,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수행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사용자로부터 취수코크 살균요청신호를 제어부(미도시)에서 받게 되면 취수코크 살균모드가 진행된다. 여기서 취수코크 살균요청신호는 사용자가 살균컵(2)을 물받이(620)위에 안착시키면 살균컵감지부에서 살균컵(2)의 자성체를 감지함으로써 발생하는 신호가 될 수도 있고, 수처리장치(1)의 전면에 구비된 조작패널(610)의 취수코크 살균버튼을 사용자가 누름에 의해 발생하는 신호가 될 수도 있으며, 상기 2가지 신호가 모두 발생한 것을 조건으로 취수코크 살균모드가 진행되는 것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살균컵감지부에서 살균컵(2)을 감지하면(S2100), 제1저장탱크(210)의 수위가 만수위인지를 수위센서(215)에서 감지하여(S2200), 제1저장탱크(210)의 수위가 만수위가 아닌 경우 만수위 에러모드가 진행된다(S2210,S2220,S2230).
본 실시예에서는 제1저장탱크(210)의 수위가 만수위인 경우 취수코크 살균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제1저장탱크(210)의 수위가 만수위가 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취수코크 살균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제1저장탱크(210)의 만수위가 감지되면,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원수밸브(150)와 냉수취수밸브(410)와 온수취수밸브(420)와 제1유로전환밸브(330)와 제2유로전환밸브(320)는 오프(off) 상태, 제1연결라인차단밸브(350)와 순환라인차단밸브(340)와 제3유로전환밸브(360)는 온(On) 상태에서 살균모듈(300)을 작동시킨다.
상기 제1저장탱크(210) 상부공간(210a)의 물은 연결유로(214), 제1연결라인(511)을 거쳐 제2저장탱크(220)로 유입되어 제2저장탱크(220)의 온수와 혼합되고, 이렇게 혼합된 물은 순환라인(521a,521b)을 거쳐 살균모듈(300)로 공급되며, 상기 살균모듈(300)을 통과하면서 생성된 살균수는 순환라인(521c), 취수코크라인(531)을 거쳐 취수코크(450)로 배출됨으로써 취수코크(450) 내부의 살균처리가 이루어진다(S2300).
이 경우 상기 제1저장탱크(210)와 제2저장탱크(220)는 상부와 하부에 각각 위치하고, 상기 취수코크라인(531)과 순환라인(521c)의 상단을 상기 제1저장탱크(210)의 만수위보다 하측에 위치시키면 순환펌프(310)를 온(On)시키지 않더라도 제1저장탱크(210)와 제2저장탱크(220)의 물이 수두차에 의해 순환라인(521a,521b)을 거쳐 살균모듈(300)로 공급되고, 상기 살균모듈(300)에서 생성된 살균수는 순환라인(521c) 및 취수코크라인(531)을 거쳐 취수코크(450)로 배출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순환펌프(310)를 오프(Off)시키면 소음이 감소할 뿐만 아니라 살균모듈(300)로 공급되는 물의 유속이 느려져 살균모듈(300)에서 생성된 살균수의 살균물질 농도가 높아지므로 취수코크(450)의 살균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는 순환펌프(310)를 오프(Off)시키는 것으로 구성하였으나, 취수코크(450)로 공급되는 살균수의 유량을 고려하여 순환펌프(310)를 설정시간 동안 온(On)과 오프(Off)를 반복시키는 것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취수코크(450)를 통해 살균수 배출이 완료되면, 제1연결라인차단밸브(350)와 순환라인차단밸브(340)와 제3유로전환밸브(360) 및 살균모듈(300)을 오프(Off)시킨 후 취수코크(450) 살균이 충분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설정시간 동안 대기한다(S2500).
한편, 취수코크 살균이 진행되는 중에 살균컵감지부에서 살균컵(2)이 이탈되었음을 감지한 경우에는(S2400), 살균동작을 일시정지함과 동시에 경고음 및 경고메시지를 출력하고(S2410), 설정시간 이내에 살균컵감지부에서 살균컵(2)이 감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데(S2420), 이하 이러한 과정을 '살균컵 에러모드'라 칭한다.
만약 설정시간이 지나도록 살균컵(2)을 감지하지 못한 경우에는 순환라인(521c)과 취수코크라인(531)에 잔존하는 살균수 및 후술하는 헹굼수를 취수코크(450)를 통해 물받이(620)로 배출시키고(S2430), 설정시간 이내에 살균컵(2)을 다시 감지한 경우에는 살균수를 취수코크(450)를 통해 살균컵(2)으로 배출시킨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취수코크(450) 살균이 완료되면 취수코크 헹굼과정이 진행되는데, 상기 설정시간 동안 대기 후 제1연결라인차단밸브(350)와 순환라인차단밸브(340)와 제3유로전환밸브(360)를 온(On)시키면 제1저장탱크(210)의 물(이하 '헹굼수')이 살균수를 생성할 때와 동일한 경로(즉, 도 6에 도시된 화살표의 경로)를 따라 유동한 후 취수코크(450)를 통해 살균컵(2)으로 배출됨으로써 취수코크(450)의 헹굼이 이루어진다(S2600).
상기 취수코크 헹굼과정이 진행되는 중에 살균컵감지부에서 살균컵(2)이 이탈되었음을 감지한 경우(S2700), 상기한 살균컵 에러모드가 진행되고(S2710,S2720), 설정시간 내에 살균컵(2)이 감지되지 않으면 헹굼수를 물받이(620)로 배출시키고(S2730), 설정시간 내에 살균컵(2)이 감지된 경우에는 헹굼수를 취수코크(450)를 통해 살균컵(2)으로 배출시킴으로써 취수코크(450)의 헹굼과정이 종료된다.
이와 같이 취수코크 살균시 제1,제2저장탱크(210,220)의 물을 배수할 필요없이 제1,제2저장탱크(210,220) 내부에 저장된 정수를 이용하여 살균수를 생성한 후 취수코크(450)의 살균이 이루어지므로, 물 낭비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취수코크 살균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도 9는 살균순환모드시에 취수코크살균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로서, 이하 도 9를 참조하여 살균순환모드가 진행되는 도중에 사용자로부터 취수코크 살균요청신호가 수신되어 취수코크살균이 이루어지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살균순환모드가 작동하면 제1저장탱크(210)의 수위가 만수위인지를 수위센서(215)에서 감지하고(S3100), 만수위가 아닌 경우 만수위 에러모드가 진행되고(S3110,S3120,S3130), 제1저장탱크(210)의 만수위가 감지되면,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한 과정에 의해 살균모듈(300)에서 생성된 살균수를 순환유로를 순환시키면서 살균처리가 이루어진다(S3200).
이러한 살균순환이 이루어지는 도중에 살균컵(2)이 감지되면(S3300), 제1저장탱크(210)와 제2저장탱크(220) 및 순환유로의 살균처리가 완료된 후, 제1저장탱크(210)와 제2저장탱크(220)에 저장되어 있는 살균수를 살균모듈(300)에서 다시 한 번 더 전기분해를 한 후 도 6에 도시된 경로를 따라 취수코크(450)로 배출함으로써 취수코크 살균이 이루어지고(S3310), 살균컵(2)이 감지되지 않으면 도 7에 도시된 살균순환과정(S1300,S1400,S1500,S1600,S1700,S1800)이 순차 진행된다.
한편, 취수코크 살균이 진행되는 중에 살균컵감지부에서 살균컵(2)이 이탈되었음을 감지한 경우에는(S3320) 살균컵 에러모드가 진행된다(S3330,S3340).
취수코크 살균이 완료되면 살균수 배수과정이 진행되는데, 도 4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과정에 의해 제1저장탱크(210)와 제2저장탱크(220) 내부의 살균수를 배수라인(541)을 통해 외부로 배수시킨다(S3400).
이와 같이 살균수의 배수가 완료되면 헹굼과정이 진행되는데, 도 5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과정에 의해 헹굼수가 제1저장탱크(210)와 제2저장탱크(220) 및 순환라인(521a,521b,521c,521d)에 유입됨으로써 헹굼이 이루어진다(S3500).
이 경우 제1저장탱크(210)의 수위가 만수위인지를 수위센서(215)에서 감지하고(S3600), 감지결과 만수위가 아닌 경우 만수위 에러모드가 진행된다(S3610,S3620,S3630).
제1저장탱크(210)의 만수위가 감지되어 상기한 헹굼과정이 완료되면 헹굼수 배수 및 취수코크 헹굼이 이루어지는데, 헹굼수 배수시에는 도 4에 도시된 경로를 따라 헹굼수가 외부로 배수되고, 취수코크 헹굼시에는 헹굼수가 도 6에 도시된 경로를 따라 취수코크(450)를 통해 배출된다(S3700).
헹굼수 배수 및 취수코크 헹굼이 완료되면, 헹굼수의 유입과 동일한 과정에 의해 정수의 유입이 이루어지고(S3800), 제1저장탱크(210)의 수위가 만수위인지를 수위센서(215)에서 감지하고(S3900), 감지결과 만수위가 아닌 경우 만수위 에러모드가 진행되며(S3910,S3920,S3930), 만수위가 감지된 경우에는 살균모드가 종료된다.
이와 같이 살균순환모드에 의해 제1,제2저장탱크(210,220) 내부에 저장된 살균수를 이용하여 취수코크(450)의 살균이 이루어지므로, 물 낭비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취수코크 살균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제1,제2저장탱크(210,220) 내부에 저장된 살균수를 살균모듈(300)에서 한 번 더 전기분해를 하여 살균농도를 높인 후 취수코크(450)로 배출함으로써 취수코크(450)의 살균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살균순환모드가 진행되는 도중에 사용자로부터 취수코크 살균요청신호가 수신된 경우 제1저장탱크(210)와 제2저장탱크(220)의 물을 순환라인(521a,521b,521c,521d)으로 공급하여 살균모듈(300)에서 살균수를 생성한 후 취수코크라인(531)을 통해 취수코크(450)로 배출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살균순환모드에 의해 생성된 제1저장탱크(210)와 제2저장탱크(220)의 살균수 농도가 취수코크(450)의 살균에 적합한 경우에는 냉수취수밸브(410)를 온(On)시켜 제1저장탱크(210) 하부공간(210b)의 살균수를 순환라인(521a,521b,521c,521d)을 통하지 않고 냉수취수라인(532), 냉수취수밸브(410)를 통해 곧바로 취수코크(450)로 배출시키는 것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헹굼수도 살균수와 동일한 경로를 통해 취수코크(450)로 배출시킴으로써 헹굼과정이 이루어진다.
또한 사용자가 살균순환모드와 취수코크 살균모드를 동시에 요청한 경우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살균순환을 먼저 실시한 후 취수코크(450) 살균을 하는 것으로 구성할 수도 있고, 제3유로전환밸브(360)의 개폐방향을 전환함으로써 살균순환이 이루어지는 도중에 취수코크(450) 살균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며,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제1/제2저장탱크(210,220)와 순환유로의 헹굼이 이루어지는 도중에 취수코크(450)의 헹굼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수처리장치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모든 구성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나, 일측이 연결구(506)를 통해 정수공급라인(504)에 연결된 정수취수라인(534)과, 상기 정수취수라인(534) 상에 설치되어 사용자에게 정수의 공급을 규제하는 정수취수밸브(430)가 구비되어 있다는 점에 차이가 있다.
제1저장탱크(210)에 정수를 공급하는 경우에는 필터부(100)를 거쳐 여과된 정수가 정수공급라인(504)과 연결구(506)를 통해 제1저장탱크(210)로 유입되고, 사용자가 정수의 출수를 요구하는 경우 상기 정수는 정수공급라인(504)과 연결구(506) 및 정수취수라인(534)을 거쳐 취수코크(450)를 통해 사용자에게 공급된다.
본 실시예에서 살균순환 및 취수코크 살균은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과정에 의해 이루어진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수처리장치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모든 구성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나, 취수코크(450-1,450-2)와 취수코크라인(531-1,531-2)이 각각 2개씩 구비되어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상기 취수코크(450-1,450-2)는, 제1저장탱크(210) 하부공간(210b)의 냉수를 사용자에게 공급하기 위한 냉수취수코크(450-1; 제1취수코크)와, 제2저장탱크(220)의 온수를 사용자에게 공급하기 위한 온수취수코크(450-2; 제2취수코크)로 이루어진다.
상기 취수코크라인(531-1,531-2)은, 상기 냉수취수코크(450-1)와 제3유로전환밸브(360) 사이를 연결하는 제1취수코크라인(531-1)과, 상기 온수취수코크(450-2)와 제3유로전환밸브(360) 사이를 연결하는 제2취수코크라인(531-2)으로 이루어진다.
취수코크 살균모드시 살균모듈(300)에서 생성된 살균수는 순환라인(521c), 제3유로전환밸브(360)를 경유한 후 제1취수코크라인(531-1)과 제2취수코크라인(531-2)을 통해 냉수취수코크(450-1)와 온수취수코크(450-2)로 배출됨으로써 취수코크(450-1,450-2)의 살균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취수코크 살균시 2개의 취수코크라인(531-1,531-2)과 취수코크(450-1,450-2)를 통해 취수코크 살균이 이루어지는 점을 제외하고는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살균순환과정, 취수코크 살균과정, 살균순환 과정 중 취수코크 살균이 이루어지는 과정이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수처리장치의 내부구성과 살균순환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수처리장치에서 배수가 이루어지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수처리장치에서 취수코크살균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모든 구성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나, 제2실시예에서 설명한 정수취수라인(534)과 정수취수밸브(430)가 구비되고, 취수코크(450)와 취수밸브들(410,420,430) 사이에 제4유로전환밸브(440)가 구비되어 있으며, 살균순환시 제1저장탱크(210)의 물과 제2저장탱크(220)의 물이 상기 제4유로전환밸브(440)를 통해 제2연결라인(512-1)으로 공급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상기 제4유로전환밸브(440)는, 제1저장탱크(210) 하부공간(210b)과 제2저장탱크(220)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취수코크(450)를 통해 사용자에게 공급하고자 하는 경우와 살균수를 취수코크(450)를 통해 배출하고자 하는 경우 및 제1저장탱크(210)와 제2저장탱크(220)의 물을 배수하는 경우에는 오프(Off)되어 취수밸브(410,420,430)와 취수코크(450) 사이가 연통하도록 개폐방향이 설정되고, 살균순환시에는 온(On)되어 취수밸브(410,420,430)와 제2연결라인(512-1) 사이가 연통하도록 개폐방향이 설정된다.
이 경우 상기 제4유로전환밸브(440)는, 양측 유로방향 중 어느 하나의 유로방향은 폐쇄되고, 나머지 하나의 유로방향은 개방되는 것으로 구성할 수도 있고, 하나의 유로방향은 상시 개방된 상태에서 나머지 하나의 유로방향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것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제4실시예에서 살균순환과정은 도 1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원수밸브(150)와 정수취수밸브(430)와 순환라인차단밸브(340)와 제2유로전환밸브(320)와 제3유로전환밸브(360)를 오프(Off)시키고, 살균모듈(300)과 냉수취수밸브(410)와 온수취수밸브(420)와 제1연결라인차단밸브(350) 및 제4유로전환밸브(440)를 온(On)시킨 상태에서 순환펌프(310)를 작동시키면 제1저장탱크(210) 하부공간(210a)의 냉수는 냉수취수라인(532)과 냉수취수밸브(410) 및 제4유로전환밸브(440) 통해 제2연결라인(512-1)으로 공급되고, 제1저장탱크(210) 상부공간(210a)의 정수는 제1연결라인(511)을 통해 제2저장탱크(220) 하부로 유입되어 제2저장탱크(220)의 온수와 혼합된 후 온수취수라인(533)과 온수취수밸브(420) 및 제4유로전환밸브(440)를 통해 제2연결라인(512-1)으로 공급되어 상기 제1저장탱크(210) 하부공간(210b)으로부터 공급되어 온 냉수와 혼합된 상태로 제2연결라인(512-1) 및 순환라인(521a,521b,521c,521d)을 통해 순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에 의해 살균이 이루어진 후에는 제1저장탱크(210)와 제2저장탱크(220) 내부의 살균수를 배수하게 되는데, 도 1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원수밸브(150)와 정수취수밸브(430)와 제3유로전환밸브(360)와 제4유로전환밸브(440) 및 살균모듈(300)은 오프(Off)시키고, 냉수취수밸브(410)와 온수취수밸브(420)와 제1연결라인차단밸브(350)와 순환라인차단밸브(340)와 제2유로전환밸브(320)를 온(On)시킨 상태에서 순환펌프(310)를 작동시키면 제1저장탱크(210)와 제2저장탱크(220)의 살균수는 순환라인(521a)과 배수라인(541)을 통해 외부로 배수된다.
살균수의 배수가 완료되면 필터부(100)에서 여과된 헹굼수가 정수공급라인(504)을 통해 제1저장탱크(210)로 유입되고, 제1저장탱크(210)의 헹굼수는 제1연결라인(511), 냉수취수라인(532), 온수취수라인(533)을 거쳐 제2저장탱크(220)의 하부 및 상부로 유입되며, 제1저장탱크(210) 하부공간(210b)의 헹굼수는 냉수취수라인(532), 제4유로전환밸브(440), 제2연결라인(512-1)을 통해 순환라인(521a)으로 유입됨으로써 헹굼이 이루어진다.
상기한 헹굼과정이 완료되면 도 13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과정에 의해 헹굼수의 배수가 이루어지고, 헹굼수 배수가 완료되면 필터부(100)에서 여과된 정수가 정수공급라인(504)을 통해 제1저장탱크(210)로 유입되고, 상기 제1저장탱크(210)의 정수는 제1연결라인(511), 냉수취수라인(532), 온수취수라인(533)을 거쳐 제2저장탱크(220)의 상하부로 유입됨으로써 살균순환과정이 종료된다.
한편, 취수코크(450)를 살균하는 경우에는 도 1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원수밸브(150)와 정수취수밸브(430)와 냉수취수밸브(410)와 온수취수밸브(420)와 제2유로전환밸브(320)와 제4유로전환밸브(440)와 순환펌프(310)는 오프(Off)시키고, 제1연결라인차단밸브(350)와 순환라인차단밸브(340)와 제3유로전환밸브(360) 및 살균모듈(300)을 온(On)시키면, 제1저장탱크(210)와 제2저장탱크(220)의 물이 살균모듈(300)로 공급되어 살균수가 생성된 후 취수코크라인(531)을 통해 취수코크(450)로 배출되어 취수코크(450) 살균이 이루어진다.
취수코크(450) 살균이 완료되면, 도 14에 나타난 것과 동일한 경로를 따라 제1저장탱크(210)와 제2저장탱크(220)의 물을 취수코크라인(531)과 취수코크(450)로 공급하여 헹굼과정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살균모듈(300)에서 생성된 살균수를 취수코크(450)를 통해 배출함으로써 취수코크(450)를 살균처리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청결한 물을 제공할 수 있고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벗어남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자명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 : 수처리장치 2 : 살균컵
100 : 필터부 150 : 원수밸브
200 : 저장부 210 : 제1저장탱크
210a : 상부공간 210b : 하부공간
213 : 분리판 214 : 연결유로
215 : 수위센서 220 : 제2저장탱크
300 : 살균모듈 310 : 순환펌프
320 : 제2유로전환밸브 330 : 제1유로전환밸브
340 : 순환라인차단밸브 350 : 제1연결라인차단밸브
360 : 제3유로전환밸브 400 : 출수부
410 : 냉수취수밸브 420 : 온수취수밸브
430 : 정수취수밸브 440 : 제4유로전환밸브
450,450-1,450-2 : 취수코크 511 : 제1연결라인
512,512-1 : 제2연결라인 521a,521b,521c,521d : 순환라인
531,531-1,531-2 : 취수코크라인 532 : 냉수취수라인
533 : 온수취수라인 534 : 정수취수라인
610 : 조작패널

Claims (32)

  1. 필터부에서 여과된 물을 정수로 저장하는 상부공간과 냉수로 저장하는 하부공간이 형성된 제1저장탱크;
    상기 제1저장탱크의 하부에 구비되어 온수를 저장하는 제2저장탱크;
    상기 제1저장탱크와 제2저장탱크의 물이 순환하도록 연결된 순환유로;
    상기 순환유로 상에 구비되어 살균수를 생성하는 살균모듈;
    상기 살균모듈에서 생성된 살균수를, 상기 순환유로를 통해 순환시키거나, 취수코크로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로 이루어지고,
    상기 순환유로는, 상기 상부공간과 제2저장탱크의 하부를 연결하는 제1연결라인, 상기 하부공간의 물을 상기 제2저장탱크의 물과 혼합되도록 연결하는 제2연결라인, 상기 제2저장탱크에서 배출된 물이 상기 제1저장탱크의 상부공간으로 유입되도록 연결하는 순환라인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연결라인은 상기 제2저장탱크의 상부와 온수취수밸브 사이를 연결하는 온수취수라인에 연결된 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유로 상에서 분기되어 상기 취수코크에 연결되는 취수코크라인이 구비되고, 상기 살균수는 상기 취수코크라인을 통해 상기 취수코크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유로 상에는 상기 제1저장탱크와 제2저장탱크에서 배출된 물을 상기 순환유로를 통해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펌프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공간과 냉수취수밸브 사이를 연결하는 냉수취수라인이 구비되고, 상기 제2연결라인은 상기 냉수취수라인과 온수취수라인 사이를 연결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라인 상에는 살균순환시 온(On)되는 제1연결라인차단밸브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라인상에는 살균순환시 상기 하부공간과 제2저장탱크 사이를 연결시키는 제1유로전환밸브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라인과 제2연결라인 상에는 살균순환시 온(On)/오프(Off)가 교대로 이루어지는 제1연결라인차단밸브와 제1유로전환밸브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라인 상에는 살균모드 시 온(On)되는 순환라인차단밸브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공간과 상기 제2저장탱크의 물은 적어도 2개의 취수밸브와 하나의 취수코크를 통해 사용자에게 공급되고, 상기 취수코크와 상기 취수밸브들 사이에는 상기 하부공간과 상기 제2저장탱크로부터 공급된 물을 상기 제2연결라인과 상기 취수코크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공급하기 위한 제4유로전환밸브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라인은 상기 제4유로전환밸브와 상기 순환라인 사이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취수코크라인과 순환라인의 분기점에는 상기 살균수의 유동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제3유로전환밸브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취수코크는 상기 제1저장탱크의 물을 출수하기 위한 제1취수코크와 상기 제2저장탱크의 물을 출수하기 위한 제2취수코크로 이루어지고, 상기 취수코크라인은 상기 제1취수코크에 연결되는 제1취수코크라인과 상기 제2취수코크에 연결되는 제2취수코크라인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
  1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취수코크라인과 순환유로에서 가장 상측에 위치한 부분은 상기 제1저장탱크의 만수위보다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살균수가 수두차에 의해 상기 순환유로 및 취수코크라인을 거쳐 상기 취수코크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저장탱크와 제2저장탱크의 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라인이 상기 순환유로 상에서 분기되고, 상기 분기점에는 상기 순환유로를 통해 유동하는 물의 유동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제2유로전환밸브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유로 상에 설치된 순환펌프는 상기 제2저장탱크와 상기 제2유로전환밸브 사이에 구비되어 살균수를 순환시키는 경우와 배수시키는 경우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취수코크의 하부에 위치한 살균컵을 감지하면 상기 취수코크를 통해 살균수를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
  17. a) 필터부에 의해 여과된 물이 제1저장탱크의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에 정수와 냉수로 각각 저장되고, 상기 제1저장탱크의 하부에 구비된 제2저장탱크 내부에 온수로 저장되어 있는 단계;
    b) 상기 상부공간과 제2저장탱크의 하부를 연결하는 제1연결라인, 상기 하부공간의 물을 상기 제2저장탱크의 물과 혼합되도록 연결하는 제2연결라인, 상기 제2저장탱크에서 배출된 물이 상기 제1저장탱크의 상부공간으로 유입되도록 연결하는 순환라인으로 이루어진 순환유로 상에 구비된 살균모듈에서 살균수가 생성되어 상기 순환유로를 순환하는 단계;
    c) 상기 살균수를 취수코크로 배출하는 단계;
    d) 상기 취수코크로 헹굼수를 공급하여 헹굼이 이루어지는 단계;
    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의 살균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에서 상기 살균수는 상기 순환유로 상에서 분기된 취수코크라인을 통해 상기 취수코크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의 살균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b-1) 상기 제1저장탱크와 제2저장탱크의 물을 혼합하고, 이 혼합된 물을 이용하여 상기 살균모듈에서 살균수를 생성하는 단계와,
    b-2) 상기 생성된 살균수를 상기 순환유로 상에 구비된 순환펌프를 가동시켜 상기 제1저장탱크와 제2저장탱크 및 순환유로를 순환시켜 살균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의 살균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b-1)단계에서 생성된 살균수가 상기 제1저장탱크와 제2저장탱크에 저장되고, 상기 c)단계는 제어부의 취수코크살균신호에 의해 상기 제1저장탱크와 제2저장탱크에 저장된 살균수가 상기 순환유로 및 상기 순환유로 상에서 분기된 취수코크라인을 경유하여 상기 취수코크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의 살균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에서 상기 취수코크로 살균수가 배출되는 경우 상기 순환펌프는 오프(Off)되거나 온(On)/오프(Off)가 반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의 살균방법
  22.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유로 상에서 분기된 배수라인과 상기 분기점에서 살균수의 유동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제2유로전환밸브가 구비되고,
    상기 c)단계 후, 상기 제2유로전환밸브의 유동방향을 상기 배수라인측으로 전환하고, 상기 제1저장탱크와 제2저장탱크의 살균수를 상기 배수라인을 통해 배출하는 단계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의 살균방법
  23.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저장탱크와 냉수취수밸브 사이를 연결하는 냉수취수라인이 구비되고,
    상기 c)단계는 제어부의 취수코크살균신호에 의해 상기 제1저장탱크에 저장된 살균수가 상기 냉수취수라인을 통해 상기 취수코크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의 살균방법
  24.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에서는 제어부의 취수코크살균신호에 의해 상기 제1저장탱크와 제2저장탱크에 저장된 상기 여과된 물이 상기 살균모듈로 공급되어 살균수가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의 살균방법
  25.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라인과 제2연결라인에는 제1연결라인차단밸브와 제1유로전환밸브가 각각 구비되며;
    살균모드시 상기 제1연결라인차단밸브와 제1유로전환밸브는 교대로 온(On)/오프(Off)가 반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의 살균방법
  26.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에서 상기 제1저장탱크에 구비된 수위센서에서 만수위임을 감지한 경우 상기 b) 이후의 단계들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의 살균방법
  27.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에서 상기 제1저장탱크에 구비된 수위센서에서 만수위가 설정된 시간 동안 감지되지 않은 경우 상기 b) 이후의 단계가 정지되고, 사용자에게 경고표시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의 살균방법
  2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상기 취수코크의 하부에 위치한 살균컵을 살균컵감지부에서 감지한 경우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의 살균방법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의 진행 중 상기 살균컵의 이탈이 감지된 경우 살균수 배출동작이 정지되고, 사용자에게 경고표시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의 살균방법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에서 상기 살균컵의 이탈에 의해 상기 살균수 배출동작이 정지된 후 설정시간이 지나도록 살균컵이 다시 감지되지 않은 경우 상기 취수코크를 통해 잔존하는 살균수를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의 살균방법
  3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에서 생성된 살균수는 상기 제1저장탱크와 제2저장탱크에 저장되고;
    상기 c)단계에서 상기 살균수가 상기 취수코크를 통해 배출됨과 아울러 상기 제1저장탱크와 제2저장탱크의 살균수가 배수라인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상기 d)단계의 취수코크 헹굼은 상기 필터부에서 여과되어 상기 제1저장탱크와 제2저장탱크에 저장된 헹굼수에 의해 이루어지며;
    상기 d)단계 후, 상기 제1저장탱크와 제2저장탱크의 헹굼수를 상기 배수라인을 통해 외부로 배출한 후 상기 필터부에서 여과된 물이 상기 제1저장탱크와 제2저장탱크에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의 살균방법
  32.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취수코크의 하부에 살균컵이 감지된 경우에는 상기 a), b), c), d)단계가 순차 이루어지고;
    상기 취수코크의 하부에 살균컵이 감지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b)단계에서 생성된 살균수를 상기 순환유로를 순환시키면서 상기 제1저장탱크와 제2저장탱크의 살균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의 살균방법
KR1020140047713A 2014-04-21 2014-04-21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장치의 살균방법 KR1016276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7713A KR101627619B1 (ko) 2014-04-21 2014-04-21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장치의 살균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7713A KR101627619B1 (ko) 2014-04-21 2014-04-21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장치의 살균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1610A KR20150121610A (ko) 2015-10-29
KR101627619B1 true KR101627619B1 (ko) 2016-06-07

Family

ID=54430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7713A KR101627619B1 (ko) 2014-04-21 2014-04-21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장치의 살균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761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6763A (ko) * 2018-02-09 2019-08-20 쿠쿠홈시스 주식회사 수처리장치의 살균방법
KR20190101259A (ko) * 2018-02-22 2019-08-30 쿠쿠홈시스 주식회사 수처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81803A (zh) * 2016-04-13 2017-10-24 深圳安吉尔饮水产业集团有限公司 饮用水过滤系统及其过滤方法
KR102442479B1 (ko) * 2017-06-30 2022-09-13 쿠쿠홈시스 주식회사 수처리장치와 수처리장치의 살균방법
CN116443971B (zh) * 2023-06-19 2023-10-17 佛山市小熊厨房电器有限公司 用于水路灭菌的智能化控制系统及方法、水路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9977Y1 (ko) * 2003-07-11 2003-10-17 정애숙 자외선 살균 정수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5529B1 (ko) * 2010-11-03 2017-0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동세정수단을 갖는 정수기 및 그를 이용한 정수기의 자동세정방법
KR20120079002A (ko) * 2010-12-31 2012-07-11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전해살균 정수기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9977Y1 (ko) * 2003-07-11 2003-10-17 정애숙 자외선 살균 정수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6763A (ko) * 2018-02-09 2019-08-20 쿠쿠홈시스 주식회사 수처리장치의 살균방법
KR102526971B1 (ko) * 2018-02-09 2023-04-28 쿠쿠홈시스 주식회사 수처리장치의 살균방법
KR20190101259A (ko) * 2018-02-22 2019-08-30 쿠쿠홈시스 주식회사 수처리장치
KR102454099B1 (ko) * 2018-02-22 2022-10-14 쿠쿠홈시스 주식회사 수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1610A (ko) 2015-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7619B1 (ko)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장치의 살균방법
KR101705529B1 (ko) 자동세정수단을 갖는 정수기 및 그를 이용한 정수기의 자동세정방법
US10071402B2 (en) Method for sterilizing water treatment apparatus having plurality of tanks
JP2012528000A5 (ko)
CN106565039B (zh) 水处理系统、水处理系统的杀菌方法以及杀菌杯
KR101740591B1 (ko) 취수코크 살균이 가능한 수처리장치와 살균컵
KR102058059B1 (ko) 휴대용 정수기 살균 키트를 이용한 정수기의 살균 방법
KR20130104089A (ko)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
US20070084771A1 (en) Apparatus for supplying drinking water
KR101446127B1 (ko) 수처리장치
KR101780357B1 (ko) 취수코크 살균이 가능한 수처리장치와 살균컵
KR101296549B1 (ko) 정수기용 위생키트
KR101459001B1 (ko)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
KR20140081431A (ko)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
KR101793916B1 (ko) 취수코크 살균이 가능한 수처리장치
KR20130131964A (ko) 수처리 장치의 물 살균 유로구조
KR20120113164A (ko) 정수기용 위생키트
KR20130006014A (ko) 정수기의 세척방법
KR102442479B1 (ko) 수처리장치와 수처리장치의 살균방법
KR101780358B1 (ko) 취수코크 살균이 가능한 수처리장치와 살균컵
KR101476323B1 (ko)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
KR101780356B1 (ko) 취수코크 살균이 가능한 수처리장치와 살균컵
KR101447963B1 (ko) 수처리방법
KR20120047139A (ko) 자동세정수단을 갖는 정수기 및 그를 이용한 정수기의 자동세정방법
KR102540181B1 (ko) 냉온 정수기 및 이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