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6014A - 정수기의 세척방법 - Google Patents

정수기의 세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6014A
KR20130006014A KR1020110067795A KR20110067795A KR20130006014A KR 20130006014 A KR20130006014 A KR 20130006014A KR 1020110067795 A KR1020110067795 A KR 1020110067795A KR 20110067795 A KR20110067795 A KR 20110067795A KR 20130006014 A KR20130006014 A KR 201300060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purifier
purifier
steriliz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7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35813B1 (ko
Inventor
김상호
최고봉
박종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677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5813B1/ko
Publication of KR201300060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60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58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58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4Disinfec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실시 예는 정수기의 세척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정수기의 세척방법은, 정수기 내부의 물이 상기 정수기에서 배수되는 단계; 및 상기 정수기 내부의 물이 배수된 후에 상기 정수기와 연결된 살균유닛에서 상기 정수기로 살균수가 공급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정수기의 세척방법{Sterilization method of water purifier}
본 명세서는 정수기의 세척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기는 수돗물 등의 원수를 음용에 적합하도록 정수하여 공급하는 장치를 말한다. 상기 정수기는 정수를 저수조에 저장한 후에 저장된 정수를 공급하는 정수기와, 정수를 저장하지 않고 바로 배출시키는 정수기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정수기의 내부에는 정수가 유동하기 위한 배관이 구비되며, 배관에 밸브, 취수구 등이 구비된다. 상기 정수기를 장시간 사용하는 경우에는 배관, 밸브, 취수구 등에는 물에 함유된 이물질이 끼일 수 있고, 미생물 등이 번식할 수도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이러한 정수기의 유로 등을 세척하기 위해서는, 정수기의 본체를 개방하여, 각종 배관들을 연결하고, 세척약이 든 캐니스터를 장착하여 세척을 수행하였다. 종래의 정수기의 경우에는 정수기 내부 유로 세척시에 연결하여야 할 배관이 많고, 세정시간이 긴 문제가 있으며, 매번 세척약을 교체하여야 하기 때문에 추가적인 비용이 드는 문제가 있다.
본 실시 예의 목적은 정수기 내부 유로를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는 정수기의 세척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정수기의 세척방법은, 정수기 내부의 물이 상기 정수기에서 배수되는 단계; 및 상기 정수기 내부의 물이 배수된 후에 상기 정수기와 연결된 살균유닛에서 상기 정수기로 살균수가 공급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안되는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정수기에 연결되는 살균유닛에서 살균수가 상기 정수기로 공급됨에 따라, 사용자가 외부에서 세척액을 정수기로 주입하지 않고, 살균 유닛 내부에 구비되는 전해조에서 염소이온(Cl-)이 녹아있는 물을 전기분해하여 세척액(살균수)을 생성하여 세척액을 이용하므로 비용이 절감될 수 있으며, 간편한 세척이 가능하다.
또한, 세척액을 상기 정수기로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어서 정수기의 빠른 세척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필터 커버가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수배관도.
도 4는 본 실시 예에 따른 필터의 사시도.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에 살균 유닛이 연결된 상태의 수배관도.
도 6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연결부재의 사시도.
도 7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와 살균 유닛의 제어 구조를 보여주는 블럭도.
도 8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세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 예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 살균장치를 구성하는 정수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필터 커버가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정수기 살균장치는, 정수기(1)와 상기 정수기(1)로 살균수를 공급할 수 있는 살균유닛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정수기(1)에 대해서 먼저 설명하고 그 다음 살균유닛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정수기(1)는 내부에 하나 이상의 필터가 장착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에 결합되며 상기 필터를 커버하는 필터 커버(13)와, 상기 본체(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물이 배출될 때 낙하되는 물을 저장하기 위한 물받이(7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0)의 앞쪽에는 컨트롤 패널(11)이 구비된다. 상기 컨트롤 패널(11)에는 기능 선택을 위한 조작부(11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본체(10)의 앞쪽에는 물을 취출하기 위하여 조작하는 조작레버(12)가 구비된다.
상기 필터 커버(13)는 상기 본체(10)의 앞쪽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필터 커버(13)가 상기 본체(10)의 앞쪽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상기 필터 커버(13)를 상기 본체(10)의 앞쪽에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필터를 용이하게 장착하거나 분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일 례로 상기 정수기가 세 개의 필터를 포함하는 것에 대해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정수기(10)는, 제1필터(21), 제2필터(22) 및 제3필터(33)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정수기(10)에 채용되는 필터의 종류 및 개수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또한, 상기 정수기(1)는, 상기 제1필터(21)가 장착되는 제1필터 홀더(24)와, 상기 제2필터(22)가 장착되는 제2필터 홀더(25)와, 상기 제3필터(23)가 장착되는 제3필터 홀더(26)를 포함한다. 상기 각 필터(21, 22, 23)가 상기 각 필터 홀더(24, 25, 26)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필터(21, 22, 23)는 상기 각 필터 홀더(24, 25, 26)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110)는, 다수의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버튼은, 온수 배출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온수 버튼(112)과, 정수 배출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정수 버튼(113)과, 냉수 배출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냉수 버튼(114)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온수 버튼(112)을 일정 시간 누르는 것에 의해서 온수 모드를 선택하거나 해제할 수 있다. 상기 온수 모드는 가열기(미도시)의 작동과 관련된다. 상기 온수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가열기가 작동하게 되고, 온수 모드가 해제되면 상기 가열기가 정지하게 된다. 상기 온수 배출 기능은 온수조에 저장된 온수를 배출하는 기능을 의미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냉수 버튼(114)을 일정 시간 누르는 것에 의해서 냉수 모드를 선택하거나 해제할 수 있다. 상기 냉수 모드는 냉각기(미도시)의 작동과 관련된다. 상기 냉수 모드를 선택하면 상기 냉각기가 작동하게 되고, 상기 냉수 모드가 해제되면 상기 냉각기가 정지하게 된다. 상기 냉수 배출 기능은 냉수조에 저장된 냉수를 배출하는 기능을 의미한다.
온수 모드가 선택된 상태에서 상기 온수 버튼(112)을 누르고 상기 조작 레버(12)를 가압하면 온수가 배출될 수 있다. 냉수 모드가 선택된 상태에서 상기 냉수 버튼(114)을 누르고 상기 조작 레버(12)를 가압하면 냉수가 배출될 수 있다. 또는, 냉수 모드가 선택된 상태에서 상기 조작 레버(12)를 가압하면 냉수가 배출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다만 상기 냉수 배출 기능이 기본 배출 기능으로 설정되어야 있어야 할 것이다. 상기 정수 버튼(113)을 누르고 상기 조작 레버(12)를 가압하면 정수가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수의 버튼은 온수 배출 기능을 잠그기 위한 잠금 버튼(111)과, 냉수 또는 정수를 일정 시간 또는 일정량 만큼 연속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연속 버튼(11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잠금 버튼(111)은 온수 모드를 해제하지는 못하고, 온수 배출 기능을 잠글 수 있다. 따라서, 잠금 버튼(111)을 이용하여 잠금 기능이 선택된 상태에서는 상기 온수 버튼(112)을 누르고 상기 조작 레버(12)를 가압하더라도 온수가 배출될 수 없다. 상기 잠금 버튼(111)을 이용하여 잠금 기능을 해제하는 경우 온수가 배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 예의 정수기의 구조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수배관도이다.
도 3을 상기 정수기(1)는, 상기 다수의 필터(21, 22, 23)에 의해서 필터링된 정수가 유동하는 정수관(42)과, 상기 정수관(42)과 연결되어 정수를 저장하는 정수조(31)와, 냉수를 저장하기 위한 냉수조(32)와, 온수를 저장하기 위한 온수조(33)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정수기의 종류에 따라서, 정수기는 상기 냉수조(32) 또는 상기 온수조(33) 중 어느 하나와 정수조(3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수기(1)는 상기 제1필터(21)와 상기 제2필터(22)를 연결하는 배관(41)에 구비되는 다수의 밸브(27, 2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밸브(27, 28)는 상기 정수조(31)에 구비되는 수위 센서에서 감지된 수위에 기초하여 작동될 수 있다.
상기 정수관(42)은 상기 정수조(31)의 하측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정수관(42)에는 상기 정수조(31)의 물이 상기 제3필터(23) 측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역류방지밸브(5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정수조(31)와 상기 냉수조(32)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수조(32)는 상기 정수조(31)의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정수조(31)로 유입된 정수가 상기 냉수조(32)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냉수조(32)로 공급된 정수는 냉각기에 의해서 냉각될 수 있다.
상기 정수조(31)의 하측에는 상기 온수조로 공급될 물이 유동하는 제1연결관(51)이 연결된다. 상기 제1연결관(51)은 배수 커넥터(52)에 연결된다. 상기 제1연결관(51)에는 상기 정수조(31)의 정수가 상기 배수 커넥터(52) 측으로만 유동되도록 하기 위한 체크밸브(54)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수 커넥터(52)는 제2연결관(53)에 의해서 상기 온수조(33)와 연결된다. 상기 배수 커넥터(52)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배수구가 형성되고, 상기 배수구는 체크밸브(미도시)에 의해서 개폐될 수 있다. 상기 체크밸브는 드레인 호스(미도시)를 외부에서 상기 배수 커넥터(52)로 삽입하는 경우에 상기 배수구를 개방시킨다. 따라서, 상기 배수구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정수조(31)의 정수는 상기 제1연결관(51), 상기 배수 커넥터(52) 및 상기 제2연결관(53)을 통하여 상기 온수조(33)로 유동한다. 상기 온수조(33)로 유동한 정수는 상기 가열기에 의해서 가열될 수 있다.
반면, 상기 드레인 호스를 상기 배수 커넥터(52)에 연결하면, 상기 배수구가 개방되어 상기 온수조(33)의 물이 상기 제2연결관(53)을 거쳐 상기 배수구를 통하여 상기 드레인 호스로 배수될 수 있다.
상기 정수기(1)는, 상기 정수조(31)의 정수가 배출되는 정수 배출관(43)과, 상기 냉수조(32)의 냉수가 배출되는 냉수 배출관(44)과, 상기 온수조(33)의 온수가 배출되기 위한 온수 배출관(45)과, 상기 정수 배출관(43)에 구비되는 정수 밸브(46)와, 상기 냉수관(44)에 구비되는 냉수 밸브(44)와, 상기 온수 배출관(45)에 구비되는 온수 밸브(4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수 밸브(46)는 상기 정수 배출관(43)에서의 정수 유동을 조절하고, 상기 냉수 밸브(47)는 상기 냉수 배출관(44)에서의 냉수 유동을 조절하고, 상기 온수 밸브(48)는 상기 온수 배출관(45)에서의 온수 유동을 조절한다.
상기 정수 배출관(43)은 일 례로 상기 정수조(31)의 하측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냉수 배출관(44)은 일 례로 상기 냉수조(32)의 하측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온수 배출관(45)은 상기 온수조(33)의 상측에 연결된다. 상기 정수 배출관(43), 상기 냉수 배출관(44) 및 상기 온수 배출관(45)은 공통 배출관(49)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통 배출관(49)에 취출구(50)가 연결된다. 즉, 본 실시 예에서는 단일의 조작 레버(12) 및 취출구(50)를 이용하여 정수, 냉수 또는 온수를 선택적으로 취출할 수 있다. 따라서, 정수기의 구조가 간단해지고, 외관이 깔끔해지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제2필터(22)가 연결되는 제2필터 헤드(25)에는 생활용수가 배출되는 생활용수관(53)이 연결될 수 있다.
도 4는 본 실시 예에 따른 필터의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필터(21, 22, 23)는 필터 하우징(21a)을 포함한다. 상기 필터 하우징(21a)은 상기 필터 홀더(24, 25, 26)에 장착되기 위한 장착부(21b)를 포함한다. 상기 장착부(21b)는 상기 필터 홀더(24, 25, 26)에 삽입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장착부(21b)가 상기 필터 하우징(21a)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장착부(21b)에는 물이 유입되기 위한 유입부(21c)와 필터링된 물이 배출되기 위한 배출부(21d)가 구비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필터(21, 22, 23)는 상기 필터 홀더(24, 25, 26)에 일 례로 회전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으나, 상기 필터의 결합 방식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상기 필터 홀더(24, 25, 26)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필터(21, 22, 23)의 유입부(21c)와 연통되는 제1연통부와 상기 필터(21, 22, 23)의 배출부(21d)와 연통되는 제2연통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에 살균 유닛이 연결된 상태의 수배관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정수기 살균장치를 구성하는 정수기(1)와 살균유닛(200)은 연결장치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살균유닛(200)은 상기 정수기(10)로부터 또는 수도배관으로부터 원수를 공급받는 원수유입포트(210)와, 유입된 원수의 유량을 감지하기 위한 유량센서(220)와, 유입된 원수의 유동속도가 증가되도록 하기 위한 펌프(230)와, 원수가 제1유로(241) 및 제2유로(242) 중 어느 한 유로로 유동되도록 하기 위한 분기밸브(240)와, 상기 제1유로(241)에 구비되는 살균수 생성모듈(250)과, 상기 제1유로(241) 및 상기 제2유로(242)와 연통되는 배출포트(26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유로(231)에는 상기 살균수 생성모듈(250)로 유동하는 원수의 유량을 조절하기 위한 제1밸브(244)가 구비되고, 상기 제2유로(242)에는 제2밸브(246)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살균유닛(200)은 상기 정수기(1)에서 배수된 유체가 유입되는 배수유입포트(270)와, 상기 배수유입포트(280)를 통하여 유입된 유체를 상기 살균유닛(20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드레인 포트(274)를 더 포함한다. 상기 배수유입포트(270)는 상기 유량센서(220)와 상기 펌프(230) 사이 배관(231)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배수유입포트(270)를 통하여 유입된 유체는 상기 펌프(230)를 통과하게 된다. 상기 펌프(230)와 상기 분기밸브(232) 사이 배관에는 상기 배수유입포트(270)를 통하여 유입된 유체가 배수되기 위한 드레인 관(272)이 연결된다. 상기 드레인 관(272)에는 배수밸브(273)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드레인 포트(274)는 상기 드레인 관(272)의 단부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드레인 포트(274)에는 드레인 호스(275)가 연결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살균수 생성모듈(250)은 상기 제1유로(241)를 유동하는 원수를 처리하여 살균수를 생성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살균수 생성모듈(250)은 원수를 전기분해할 수 있는 전해조(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전해조에서는 염소 이온(Cl-)이 녹아있는 물을 전기분해하여 세척액인 살균수를 생성하게 되는데, 상기 살균수는 차아염소산(HClO) 등이 포함되어 물속에 있는 세균을 살균하게 된다. 다만 이러한 농도는 0.2~0.3ppm 정도로 미미하기 때문에 인체에 영향은 없이 살균만 하게 된다.
상기 살균유닛(200)은 정수기의 살균을 위한 살균모드와 상기 살균모드 후에 정수기를 헹구기 위한 헹굼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살균모드에서는 상기 분기밸브(240)에 의해서 원수가 제1유로(241)로 이동하게 된다. 반면, 헹굼모드에서는 기 분기밸브(240)에 의해서 원수가 제2유로(242)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연결장치는, 상기 제2필터 홀더(25)에 연결되는 제1연결부재(310)와, 상기 제3필터 홀더(26)에 연결되는 제2연결부재(311)와, 상기 제1연결부재(310)와 상기 원수유입포트(210)를 연결시키는 제1연결유로(320)와, 상기 제2연결부재(311)와 상기 배출포트(260)를 연결시키는 제2연결유로(321)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정수기로 유입된 원수는 상기 제1필터(21)에 의해서 필터링된 후에 상기 제1연결부재(310) 및 상기 제1연결유로(320)에 의해서 상기 살균유닛(200)으로 유동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살균 유닛(200)으로 미필터링된 원수가 공급되는 것보다 상기 제1필터(21)에 의해서 일차적으로 필터링된 원수가 공급되는 경우 상기 살균 유닛(200) 내부 유로에 이물질이 끼는 것이 줄어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장치는, 상기 취출구(50)에 연결될 수 있는 제1배수관(331)과, 상기 배수 커넥터(52)에 연결될 수 있는 제2배수관(332)과, 상기 제1배수관(331) 및 상기 제2배수관(332)에 연결되는 공통 배수관(33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통 배수관(333)은 상기 배수유입포트(270)에 연결될 수 있다.
도 6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연결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연결부재(310, 311)는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는 하우징(312)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312)은 상기 필터 홀더(25, 26)에 장착되기 위한 장착부(313)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연결부재(310, 311)의 장착부(313)가 상기 필터 홀더(25, 26)에 장착되기 위하여, 상기 연결부재(310, 311)의 장착부(312)는 상기 필터(21, 22, 23)의 장착부(21b)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장착부(312)에는 유입부(314)와 정렬부(315)가 형성된다. 상기 정렬부(315)는 상기 필터(21, 22, 23)의 배출부(21d)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나 막혀있다.
상기 정렬부(315)는 상기 연결부재(310, 311)가 상기 필터 홀더(130, 131)에 장착되면 상기 필터 홀더(25, 26)의 제2연통부와 정렬되나, 물이 상기 정렬부(315)로 배출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312)은 물이 배출되기 위한 배출부(316)를 포함한다. 상기 배출부(316)는 상기 하우징(312)에서 상기 유입부(314)의 반대편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312)으로 유입되는 물의 유입방향과 상기 하우징(312)에서 배출되는 물의 배출방향은 동일하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연결 부재(310, 311)는 상기 정수기(1)와 상기 살균 유닛(200)을 연결시키는 역할을 하므로, 유로를 단순화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312)에서 물의 유입방향과 배출방향은 동일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배출부(316)에 상기 연결유로(320, 321)가 연결된다.
도 7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와 살균 유닛의 제어 구조를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정수기(1)는 상기 밸브(27, 28, 46, 47, 48) 등을 제어하는 제어부(120)와, 상기 살균유닛(200)과 통신하기 위한 제1통신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수기(1)는 정수를 취출하기 위한 정수 모드로 작동할 수 있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상기 정수기(1)의 내부 유로는 배관 들과 정수조, 냉수조 및 온수조 등 상기 정수기(1) 내에서 물이 유동할 수 있는 모든 구성을 의미한다.
상기 살균유닛(200)은 제어부(270)와, 상기 정수기(1)와 통신하기 위한 제2통신부(281)와, 상기 살균유닛(200)으로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조작부(283)와, 상기 살균유닛(200)의 작동 상태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282)를 포함한다. 상기 조작부(283)는 상기 정수기(1)의 세척을 시작하기 위한 시작 버튼(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통신부(130)와 상기 제2통신부(281)는 유무선 통신할 수 있다. 상기 제1통신부(130)와 상기 제2통신부(281)가 통신하게 되면, 상기 살균유닛(200)의 제어부(280)는 상기 살균유닛(200) 뿐만 아니라 상기 정수기(1)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살균유닛(200)의 제어부(280)는 상기 정수기(1)의 제어부(120), 밸브(27, 28, 46, 47, 48)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제1통신부(130)와 상기 제2통신부(281)가 통신하게 되면, 상기 정수기(1)가 상기 살균유닛(200)을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 제1통신부(130)와 상기 제2통신부(281)가 무선 통신하는 경우에는 상기 정수기(1) 및/또는 상기 살균유닛(200)에는 세척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통신부(130)와 상기 제2통신부(281)가 유선 통신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통신부(130)의 통신포트와 상기 제2통신부(281)의 통신포트가 연결되면, 상기 세척 모드가 자동으로 선택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1통신부(130)와 상기 제2통신부(281)가 유선 통신하는 경우에도 상기 정수기(1) 및/또는 상기 살균 유닛(200)에는 상기 세척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정수기 살균장치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세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정수기(1)와 상기 살균 유닛(200)을 연결한 상태에서 상기 정수기(1)의 살균을 위하여, 상기 정수기(1)의 저수조에 저장된 물을 배수시킨다(S1). 상기 정수기의 저수조는, 상기 정수조(31), 상기 냉수조(32) 및 상기 온수조(33)를 포함한다.
상기 냉수조(32)의 냉수를 배출하기 위하여 상기 냉수 버튼(114)을 조작하고, 상기 조작 레버(12)를 조작하면, 상기 냉수조(32)의 냉수가 상기 정수기(1)의 외부로 배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냉수조(32)에는 상기 제1배수관(311)이 연결될 수 있으므로, 상기 냉수조(32)의 냉수는 상기 제1배수관(311)을 통하여 상기 살균유닛(200)으로 배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수조(33) 및 상기 정수조(31)의 물을 배수하기 위하여 상기 배수 커넥터(52)에 상기 제2배수관(332)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배수관(332)이 상기 배수 커넥터(52)에 연결되면, 상기 배수 커넥터(52)의 배수구가 개방되어, 상기 정수조(31)의 물과 상기 온수조(33)의 물이 상기 제2배수관(322)을 통하여 상기 살균유닛(200)으로 배수될 수 있다.
상기 정수기(1)에서 배수되는 물은 상기 살균유닛(200)의 상기 배수유입포트(270)로 유입된 후에 상기 펌프(230)를 통과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펌프(230)를 통과한 물은 상기 드레인 관(272)을 통하여 상기 드레인 포트(274)로 유동한 후에 상기 살균유닛(200)에서 배수된다. 상기 정수기(1) 내부의 물이 배수되는 중에는, 상기 살균유닛(200)의 제1밸브(244) 및 제2밸브(246)가 닫힌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정수기(1)의 물이 완전하게 배수된 후에는 상기 살균유닛(200)에서 상기 정수기(1)로 살균수가 공급된다. 즉, 상기 살균유닛(200)에서 살균모드가 수행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세척 모드는, 살균모드, 살균수 배수모드, 헹굼모드 및 헹굼수 배수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정수기(1)로 유입된 원수는 상기 제1필터(21)를 통과한 후에 상기 제1연결부재(310)를 통하여 상기 살균유닛(200)으로 유입된다.
상기 살균유닛(200)으로 유입된 원수는 상기 펌프(230)를 지나 상기 분기밸브(240)에 의해서 제1유로(241)를 유동하게 된다. 상기 제1유로(241)를 유동하는 원수는 상기 살균수 생성모듈(250)로 유입된다. 그러면, 상기 살균수 생성모듈(250)에서 상기 정수기(1) 내부 유로 세척을 위한 살균수가 생성된다. 이 때, 상기 제1밸브(244)에 의해서 상기 살균수 생성모듈(250)로 유입되는 원수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밸브(246)는 닫힌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살균수 생성모듈(250)에서 생성된 살균수는 상기 배출포트(260)를 통과한 후에 상기 제2연결부재(311)를 통하여 상기 정수기(1)로 유입된다. 상기 정수기(1)로 유입된 살균수는 상기 정수관(42)을 통하여 상기 정수조(31)로 유입된다. 상기 정수조(31)로 유입된 살균수는 상기 냉수조(32) 및 상기 온수조(33)로 유입된다. 상기 살균유닛(200)에서 상기 정수기(1)로 살균수가 공급되는 중에는 상기 정수기(1)의 밸브(46, 47, 48)와, 상기 살균유닛(200)의 배수밸브(273) 및 상기 제2밸브(246)가 닫힌 상태를 유지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살균유닛(200)에서 생성된 살균수가 상기 정수기(1)기 내부로 유동하면서 상기 정수기(1)를 살균하게 된다.
상기 살균유닛(200)에서 상기 살균수가 상기 정수기(1)로 공급되는 중에 상기 정수조(31)에서 상기 정수조(31)의 만수위가 감지된다. 상기 정수조(31)의 수위가 만수위가 되면, 상기 살균유닛(200)의 작동이 정지된다. 그 다음, 만수위가 감지된 시간이 일정시간 경과되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S3). 만약, 상기 만수위가 일정시간 감지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정수기(1) 내부의 살균수가 배수된다(S4). 즉, 살균수 배수모드가 수행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정수조(1)가 만수위가 된 후에 일정시간 경과된 후에 살균수를 배수하는 이유는, 상기 정수기(1) 내부의 유로가 살균수의 유동이 정지된 상태에서 살균수에 의해서 살균이 수행되기 위한 시간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그러면, 상기 정수기(1) 내부의 살균수가 상기 정수기(1)에서 살균유닛(200)으로 배출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정수기(1)에서 상기 살균수가 배수될 때에는 상기 냉수 밸브(44)와 상기 살균유닛(200)의 배수밸브(273)가 개방된다. 그리고, 상기 살균유닛(200)의 제1밸브(244) 및 제2밸브(246)가 닫힌다. 그러면, 상기 정수기(1)의 살균수가 상기 살균유닛(200)으로 유입되어 상기 드레인 관(272)을 통하여 상기 살균유닛(200)의 외부로 배수된다.
상기 정수기(1)에서 살균수의 배수가 완료된 후에는 상기 살균유닛(200)에서 헹굼모드가 수행된다. 상세히, 상기 정수기(1)로 유입된 원수는 상기 제1필터(21)를 통과한 후에 상기 살균유닛(200)으로 유입된다. 상기 살균유닛(200)으로 유입된 원수는 상기 펌프(230)를 지나 상기 분기밸브(240)에 의해서 제2유로(242)를 유동하게 된다. 상기 제2유로(242)를 유동하는 원수(헹굼수)는 상기 살균수 생성모듈(250)를 미통과한 상태에서 상기 배출포트(260)를 통하여 상기 정수기(1)로 유입된다.
상기 정수기(1)로 헹굼수가 유입되는 중에는 상기 정수조(31)에서 상기 정수조(31)의 만수위가 감지된다. 상기 정수조(31)가 만수위가 되면, 상기 살균유닛(200)의 작동이 정지된다. 그 다음, 만수위가 감지된 시간이 일정시간 경과되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S6). 만약, 상기 만수위가 일정시간 감지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정수기(1) 내부의 헹굼수가 상기 살균유닛(200)으로 배수된다(S7). 즉, 헹굼수 배수모드가 수행된다. 그러면, 상기 살균유닛(200)으로 배수된 헹굼수는 상기 드레인 관(272)을 통하여 상기 살균유닛(200)에서 배수되어, 상기 정수기(1)의 살균이 완료된다.
이 때, 상기 살균유닛(200)의 디스플레이부(282)에서는 상기 살균유닛(200)의 작동 상태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즉, 상기 살균유닛(200)의 디스플레이부(282)에서 살균모드, 살균수 배수모드, 헹굼모드, 헹굼수 배수모드의 각 진행 상태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살균유닛(200)의 디스플레이부(282)에서는 상기 정수기(1)의 세척이 완료된 경우 세척 완료 정보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정수기(1)에서도 살균모드, 살균수 배수모드, 헹굼모드, 헹굼수 배수모드의 각 진행 상태와, 세척 완료 정보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1: 정수기 200: 살균유닛

Claims (8)

  1. 정수기 내부의 물이 상기 정수기에서 배수되는 단계; 및
    상기 정수기 내부의 물이 배수된 후에 상기 정수기와 연결된 살균유닛에서 상기 정수기로 살균수가 공급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수기의 세척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기 내부의 물은 상기 살균유닛으로 배수되는 정수기의 세척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유닛에서 상기 정수기로 살균수가 공급된 후에 일정시간이 경과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일정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정수기로 공급된 살균수가 배수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정수기의 세척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기로 공급된 살균수는 상기 살균유닛으로 배수되는 정수기의 세척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기로 공급된 살균수가 배수된 후에 상기 살균유닛에서 상기 정수기의 헹굼을 위한 헹굼수가 공급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정수기의 세척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유닛에서 상기 정수기로 헹굼수가 공급된 후에 일정시간이 경과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일정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정수기로 공급된 헹굼수가 배수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정수기의 세척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기로 공급된 헹굼수는 상기 정수기에서 상기 살균유닛으로 배수되는 정수기의 세척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기와 상기 살균유닛이 연결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정수기와 상기 살균유닛이 연결되면, 상기 정수기와 상기 살균유닛 중 어느 하나의 제어부가 다른 하나를 제어하는 정수기의 세척방법.
KR1020110067795A 2011-07-08 2011-07-08 정수기의 세척장치 및 세척방법 KR1013358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7795A KR101335813B1 (ko) 2011-07-08 2011-07-08 정수기의 세척장치 및 세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7795A KR101335813B1 (ko) 2011-07-08 2011-07-08 정수기의 세척장치 및 세척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6014A true KR20130006014A (ko) 2013-01-16
KR101335813B1 KR101335813B1 (ko) 2013-12-03

Family

ID=47837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7795A KR101335813B1 (ko) 2011-07-08 2011-07-08 정수기의 세척장치 및 세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581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7368A (ko) * 2013-11-19 2015-05-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2735B1 (ko) * 2015-01-08 2017-0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3265Y1 (ko) 2004-03-09 2004-06-26 주식회사 대양시스템 소독장치를 구비한 정수기
KR100531667B1 (ko) 2005-05-31 2005-11-29 이근섭 저수조를 자동으로 살균할 수있는 정수기 및 그 정수기의살균방법
KR100894317B1 (ko) * 2007-09-07 2009-04-24 주식회사 일케시스 전해살균키트를 설치한 정수기
KR101027722B1 (ko) * 2009-02-03 2011-04-12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자가세정가능한 정수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7368A (ko) * 2013-11-19 2015-05-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5813B1 (ko) 2013-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2528000A5 (ko)
KR101627619B1 (ko)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장치의 살균방법
KR101285425B1 (ko) 수처리 장치
KR101335813B1 (ko) 정수기의 세척장치 및 세척방법
KR101702735B1 (ko) 정수기
KR102058059B1 (ko) 휴대용 정수기 살균 키트를 이용한 정수기의 살균 방법
KR101335747B1 (ko) 정수기
KR20220055532A (ko) 정수기
KR101521937B1 (ko) 정수기용 위생키트
KR101304818B1 (ko) 정수기 살균장치
KR101446127B1 (ko) 수처리장치
KR101296549B1 (ko) 정수기용 위생키트
KR101296528B1 (ko) 정수기 및 그의 필터 세척 방법
KR101612815B1 (ko) 정수기용 세정장치 및 그를 이용한 정수기
KR20140081431A (ko)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
KR101459001B1 (ko)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
KR101907736B1 (ko) 정수기 살균 장치
KR101803674B1 (ko) 정수기 살균 장치
KR101476323B1 (ko)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
KR101447963B1 (ko) 수처리방법
KR20130003538A (ko) 정수기 살균 장치
KR20110136771A (ko) 수처리 기기용 세척장치
KR20170124217A (ko) 살균수 배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KR101647646B1 (ko) 수처리 기기용 세척장치
KR101510630B1 (ko) 수처리 기기용 세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