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4317B1 - 전해살균키트를 설치한 정수기 - Google Patents

전해살균키트를 설치한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4317B1
KR100894317B1 KR1020070090834A KR20070090834A KR100894317B1 KR 100894317 B1 KR100894317 B1 KR 100894317B1 KR 1020070090834 A KR1020070090834 A KR 1020070090834A KR 20070090834 A KR20070090834 A KR 20070090834A KR 100894317 B1 KR100894317 B1 KR 1008943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electrode plate
housing
electrolytic sterilization
sterilization k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08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25747A (ko
Inventor
황규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일케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일케시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일케시스
Priority to KR10200700908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4317B1/ko
Publication of KR200900257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57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43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43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9/00Multistage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9/20Portable or detachable small-scale multistage treatment devices, e.g. point of use or laboratory water purificat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4Disinfe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7/00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 C02F2307/10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as part of a potable water dispenser, e.g. for use in homes or offic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수기에 설치된 물탱크에서 번식되는 2차 오염의 세균을 전기분해의 전위차에 의해 직접살균하거나 전기분해시 발생되는 라디칼에 의해 간접살균을 하여 세균을 사멸 또는 박멸시키기 위한 전해살균키트를 물탱크와 물이 배출되는 배출 콕크 사이에 설치하여 무균상태로 살균된 물을 배출 콕크로 공급하기 위한 전해살균키트를 설치한 정수기에 관한 것이며, 본 발명의 전해살균키트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 개방구를 통해 삽입되어 메쉬형의 전극판을 수용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고정 설치되는 다수개의 슬롯과; 상기 하우징의 양측에 체결구에 의해 각각 연결되는 입수구 및 배수구와; 상기 하우징과 덮개 사이를 밀폐하기 위한 밀폐부재와; 상기 다수개의 슬롯에 대응하여 각각 교호로 삽입되고 상단에는 고정홀이 형성되어 슬롯에 삽입시 양측으로 배열되어 +, - 전극을 이루는 메쉬형의 전극판과; 상기 전극판에 형성된 고정홀과 대응하는 체결공이 형성되어 상기 전극판을 체결고정시키기 위한 복수의 전극판 고정구 및 +, - 전원선 연결을 위해 덮개의 상부 일단에 형성된 전원연결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정수기, 냉온수기, 전해살균, 전해살균키트, 전극판

Description

전해살균키트를 설치한 정수기{A water purifier having an electrolytic sterilization device}
본 발명은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정수기나 냉온수기의 물탱크와 물을 배출 차단하는 콕크 사이에 전해살균키트를 설치하여 물탱크에서 번식되는 2차 오염의 세균을 전기분해의 전위차에 의한 직접살균하거나 전기분해시 발생되는 라디칼에 의한 간접살균에 의해 사멸 또는 박멸하여 세균들이 살균된 물을 냉수콕크로 공급하기 위한 전해살균키트를 설치한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사회 전반에 걸쳐 웰빙바람이 불면서 사람들이 음용하는 물도 높은 수질이 요구되어지고 있으며, 특히,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 설치된 정수기나 냉온수기는 사람들의 건강과 직결되는 식수를 공급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해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정수기나 냉온수기는 물을 가열하는 수단에 의해 온수를 만들거나 또는 냉각수단에 의해 냉수를 만들어 사용자가 선택하여 음용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되어 있으며, 냉수 및 온수는 별도의 관로를 통하여 각각 콕크와 연결되어 있다. 그러나 정수기나 냉온수기에서 콕크를 통해 배출되는 정수된 식수에도 세균이나 오염물질이 존재하여 2차 오염을 발생하고 있으므로 이를 제거하는 방법이 연구되고 있다.
이러한 연구와 관련된 종래기술에 따른 살균기를 구비한 정수기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보면, 종래의 살균기를 구비한 정수기는 상수도 및 지하수 등의 물을 관로(108) 및 원수스위치(109)를 통해 수용하여 입자성 물질을 제거하는 침전필터(101)와, 상기 침전필터(101)로부터 유입되는 물의 수압을 상승시키는 승압펌프(102)와, 상기 승압펌프(102)로부터 유입된 물에서 염소 및 산화물질을 흡착제거하는 프리카본필터(103)와, 상기 프리카본필터(103)를 통과한 물이 유입되어 이 물에서 중금속이나 이온성물질을 제거하는 멤브레인(104)과, 상기 멤브레인(104)으로부터 물을 수용하고 이 물 속에 용해된 가스상의 물질을 흡착 제거하는 포스트카본필터(105)와, 상기 포스트카본필터(105)에서 배출된 물을 수용하고 이 물에서 미생물 등을 살균처리하는 살균기(106)와, 상기 살균기(106)에서 살균처리된 물을 저장하는 저수탱크(107)와, 관로(111)를 통해 배수되는 저수탱크의 물을 개폐하는 배수스위치(110)으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정수기에서 살균기(106)는 주로 자외선 살균기를 사용하며, 이와 같은 자외선 살균기는 그 구성이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원통형의 본체 내부에 구비되어 정수된 물이 통과하는 유로관과 그 유로관의 내측에 구비되어 유로관을 통과하는 물에서 세균을 제거하는 램프관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자외선 살균기는 그 작동을 보면, 본체 내부의 유로관으로 물이 지나가면서 유로관의 내측에 구비된 램프관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으로 물속에 함유된 미세한 세균을 살균하는데, 세균을 살균처리하는 방식에는 상기 자외선 살균기(106)에 의존하는 살균처리방법 외에도 포스트카본필터(105)에 은이온을 첨가한 은첨 활성탄을 사용하여 세균을 제거하는 은첨(銀尖)방식과 저수탱크(107)에 저장된 정수에 향균 볼을 넣는 향균 볼 방식 등과 같은 다양한 살균방식이 있다.
그런데, 상기한 도 1에 도시한 종래의 정수기나 냉온수기에서는 살균처리를 단순히 자외선 살균기에만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이 살균기가 고장 또는 파손이 일어나거나 노후로 인하여 제기능을 다하지 못할 경우에는 정수기 또는 냉온수기의 배관 상에 살균처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정수 또는 살균처리된 물이 저장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동안에 공기와 접촉되어 세균이 발생하여 번식하므로 세균에 의해 2차로 오염된 물이 콕크를 통해 최종 배출되는 문제가 있으며, 또한 종래의 은첨방식 또는 향균 볼 방식의 경우에도 은첨 활성탄 및 향균 볼이 수명을 다하여 제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거나 불량일 경우에는 물의 살균처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되고, 그 은첨 활성탄의 농도 또는 향균 볼로 인해 발생되는 효과도 일정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정수기나 냉온수기에 설치된 물탱크에서 발생하여 번식되는 2차 오염의 세균을 전기분해의 전위차에 의해 직접살균하거나 전기분해시 발생되는 라디칼에 의한 간접살균을 하여 무균상태의 살균된 물을 배출 콕크로 공급하므로써 물탱크에서 발생되는 세균으로 인한 2차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정수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입자성 물질을 제거하는 침전필터와, 물의 수압을 상승시키는 승압펌프와, 염소 및 산화 물질을 흡착 제거하는 프리카본필터와, 중금속과 이온성 물질을 제거하는 멤브레인과, 물에 용해된 가스상의 물질을 흡착 제거하는 포스트카본필터와, 미생물을 살균처리하는 살균기와, 물을 저장하는 저수탱크와, 상기 저수탱크와 물을 배수하는 배수스위치 사이에 전해살균키트를 설치한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전해살균키트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 개방구를 통해 삽입되는 메쉬형의 전극판을 수용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고정 설치되는 다수개의 슬롯과; 상기 하우징의 양측에 체결구에 의해 각각 연결되는 입수구 및 배수구와; 상기 하우징과 덮개 사이를 밀폐하기 위한 밀폐부재와; 상기 다수개의 슬롯에 대응하여 각각 교호로 삽입되고 상단에는 고정홀이 형성되어 슬롯에 삽입시 양측으로 배열되어 +, - 전극을 이루는 메쉬형의 전극판과; 상기 전극판에 형성된 고정홀과 대응하는 체결공이 형성되어 상기 전극판을 체결고정시키기 위한 복수의 전극판 고정구와; 전원선 연결을 위해 덮개의 상부 일단에 형성된 복수의 전원연결구를 포함하며; 상기 덮개의 하부에는 슬롯에 삽입된 전극판이 돌출 또는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전극판 누름부재 및 덮개를 하우징에 단단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부재가 일체로 돌출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는 물탱크로부터 나오는 물을 가열 또는 냉각하는 수단과, 물의 유입 포트와 물을 배출하는 유출 포트 및 순환 포트를 구비한 콕크와, 순환 포트에 연결되어 콕크로 공급된 물을 다시 상기 물탱크로 보내기 위한 바이패스 관로 및 콕크로 공급되는 물이 상기 바이패스 관로로 흐를 수 있게 하는 펌프를 포함하는 냉온수기에 있어서, 상기 펌프와 콕크 사이의 관로에 전해살균키트를 설치하여 물탱크에서 번식된 2차 오염의 세균을 전기분해의 전위차로 직접살균하거나 전기분해시 발생되는 라디칼에 의한 간접살균을 하여 무균상태의 물을 냉수콕크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의 전해살균키트에서 전극판 고정구는 SUS 또는 티타늄 판 형태의 전도성을 지닌 금속재질로 제작되며, 메쉬형 전극판은 촉매성 금속산화물 전극인 DSA(Dimensionally Stable Aonde) 또는 티타늄에 백금을 도금한 백금도금 전극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정수기나 냉온수기의 물탱크와 물을 배출하거나 차단하는 콕크 사이에 전해살균키트를 설치하여 물탱크에서 번식되는 2차 오염의 세균을 전기분해의 전위차에 의해 직접살균하거나 전기분해시 발생되는 라디칼에 의해 간접살균을 하여 세균을 사멸 또는 박멸시킴으로써 무균상태로 살균된 물을 배출 콕크로 공급할 수 있으므로 세균에 의한 2차 오염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물이 항상 순환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물의 흐름이 정체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세균의 번식을 방지할 수 있게 되므로 콕크를 통하여 세균에 오염되지 않은 깨끗한 물을 음용할 수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해살균키트를 설치한 정수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해살균키트를 이용한 정수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인 전해살균키트를 설치한 냉온수기의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정수기는 입자성 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침전필터(101)와, 수압을 상승시키기 위한 승압펌프(102)와, 염소 및 산화물질을 흡착제거하기 위한 프리카본필터(103)와, 중금속 및 이온성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멤브레인(104)과, 가스상의 물질을 흡착제거하기 위한 포스트카본필터(105)와, 물이 저장되는 저수탱크(107) 및 살균기(106)로 이루어진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저수탱크(107)와 배수스위치(110) 사이에 전해살균키트(300)가 설치되어 배수스위치(110)의 작동여부에 따라 상기 전해살균키트(300)를 통해 전해살균된 물이 온수 또는 냉수 콕크로 배출되도록 하여 정수 내지 살균처리된 물이 저수탱크(107)에 저장되어 있는 동안에 번식된 세균으로 2차 오염된 물이 콕크를 통해 최종 배출되는 문제를 해소한 것이며, 미설명부호 112는 물을 제거하는 스위치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전해살균키트(300)는 살균기(106)의 고장이나 파손 또는 노후로 인하여 제 기능을 못하는 경우뿐 아니라 은첨방식 또는 향균 볼 방식의 살균의 경우에 은첨 활성탄 및 향균 볼이 수명을 다하여 기능이 불량한 경우에도 대응할 수 있으며, 콕크를 통해 배출되기 직전에 물을 전해살균하게 되므로 무균상태로 살균처리한 안전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전해살균키트가 설치된 냉온수기의 세균번식 방지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냉온수기의 케이스(200)의 상부측에는 물탱크(204)가 놓여져서 콕크(206, 208)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냉온수를 공급하는 잘 알려진 구조의 냉온수기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냉온수기는 도면에 표현되어 있지는 않으나 물을 가열하는 가열수단과 물을 냉각하는 냉각수단을 케이스(200)의 내부에 갖추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콕크(206) 측으로 이어지는 관로 측을 냉수부로 설명하고, 다른 콕크(208) 측으로 이어지는 관로 측을 온수부로 설명한다.
상기 콕크(206)의 유입 포트와 상기 물탱크(204) 사이에는 물이 공급되는 공급관로(210)가 연통되어 물이 공급되며, 이 콕크(206)의 순환 포트 측과 물탱크와의 사이에는 바이패스 관로(212)가 연결되어 물탱크(204)와 콕크(206)가 순환경로를 이루고 있다.
상기 공급관로(210)에는 물을 순환시키기 위한 소형 펌프(214)가 설치되며, 순환하는 물속에 존재하는 세균을 살균하기 위해 상기 소형 펌프(214)와 콕크(206) 사이에 전해살균키트(300)가 설치된다.
상기 콕크(206)는 유입 포트, 유출 포트 및 순환 포트를 갖고 있으며, 이들 포트들은 서로 연통하는 구조로 되어 있고, 상기 유출 포트에는 통상의 개폐부재가 구비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유출 포트가 개폐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상기 유출 포트의 입구 측에는 일반적으로 소형 챔버가 형성되어 있어서 챔버로 유입된 물을 유출 포트 측으로 가게 하거나 순환 포트 측으로 리턴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소형 챔버가 유입 포트의 입구 측에 구비됨으로써 유출 포트가 차단되었을 때 관로에 물이 정체되지 않고 순환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전해살균키트(300)와 콕크(206) 사이의 관로 부분에서 세균이 번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이패스 관로(212)의 끝단부는 물탱크(204) 측으로 연결되어 수위보다 더 높은 위치까지 연장되므로서 물탱크에 담겨진 물이 바이패스관로 측으로 역류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물탱크(204)는 통상의 냉각수단에 의해 냉각된 공기가 저류하는 냉장실에 위치되게 할 수도 있다.
상기 물탱크(204)의 아래 측에는 또 다른 공급관로(222)가 연결되어 있으며, 이 공급 관로(222)는 온수조(224)로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 온수조에는 통상의 밴드 타입의 히터(226)가 장착된다. 상기 온수조(224)와 상기 온수용 콕크(208) 사이에도 냉수용 콕크(206)와 물탱크(204) 사이에 물의 순환을 위한 순환시스템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서의 냉온수기는 통상의 냉각수단 및/또는 가열수단이 작동하면서 물탱크로부터 나오는 물의 온도조절이 행하여지며, 냉각수단을 통과하는 물은 냉수가 되어 콕크(206) 측으로 공급되고, 가열수단을 통과하는 물은 온수가 되어 다른 콕크(208) 측으로 공급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펌프(214)가 구동을 시작하게 되면, 물탱크(204) 내의 물은 공급관로(210)를 통하여 공급되면서 전해살균키트(300)를 거쳐 콕크(206)의 유입 포트로 유입된다. 이때 통상의 개패부재가 유출 포트를 개방한 상태로 되면 펌프(214)에 의해 공급되는 물은 유출 포트로 출수된다. 그리고, 개폐부재가 유출 포트를 차단한 상태이면 펌프(214)에 의해 나오는 물은 소형 챔버에서 순환 포트 측으로 나가면서 바이패스 관로(212)를 따라 물탱크(204)로 들어가 순환된다. 즉, 물탱크(204)로부터 공급관로(210)를 통하여 배출된 물은 다시 바이패스 관로(212)를 통하여 물탱크(204)로 복귀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순환과정은 공급관로(210)에 설치된 펌프(214)의 구동에 따라 물의 순환이 계속 이루어지며, 이 과정에서 순환하는 물속의 세균은 전해살균키트(300)에서 살균되어지므로 세균이 없는 물이 계속해서 순환되어 진다. 그리고 동일한 방법으로 상기 온수조(224)로 공급되는 물도 순환할 수 있으므로 세균이 없는 물을 공급할 수 있으나, 물탱크에서 공급되는 물이 히터에 의해 가열되어 세균이 살균되므로 온수조 측에 별도의 세균살균키트를 설치할 필요는 없다.
첨부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 2 및 도 3의 실시예에 적용된 전해살균키트(300)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라 적용된 전해살균키트(300)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전해살균키트(300)는 하우징(331)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 개방구를 통해 삽입되어 메쉬형의 전극판(323)을 수용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331)의 내부에 고정되는 다수의 슬롯(323-1)이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331)의 양측에는 입수구(311)와 배수구(312)가 체결구(313)에 의해 각각 연결되어 있으며, 하우징과 덮개(326) 사이를 밀폐하기 위한 밀폐부재(33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다수의 슬롯(323-1)에는 메쉬형의 전극판(323)이 각각 교호로 삽입되며, 상기 전극판(323)의 상단에 형성된 고정홀(323-2)이 양측으로 배치되어 +, - 전극을 이루어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된다. 상기 전극판(323)을 고정시키기 위해 전극판(323)의 상단에 형성된 고정홀(323-2)과 대응하는 체결공이 각각 형성된 복수의 전극판 고정구(324)가 구비되어 상기 전극판 고정구(324)의 체결공과 상기 전극판(323)의 상단에 형성된 고정홀(323-2)을 체결나사로 결합시킨다.
상기 전극판 고정구(324)의 일단은 하우징(331)의 일측 개방구를 덮는 덮개(326)의 상부 일측에 설치된 전원연결구(324-2)와 접속된 전선연결구(324-3)에 전선(324-4)으로 연결되며, 외부의 +, - 전원은 전선(324-4)에 연결된 전극판 고정구(324)를 통해 슬롯(323-1)에 교호로 삽입되어 있는 메쉬형 전극판(323)의 양측 전극으로 각각 공급되어 진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해살균키트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해살균키트(300)의 전극판 고정구(324)에는 +, - 외부전원이 전선연결구(324-3) 및 전선(324-4)을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전해살균키트(300)의 덮개(326)의 하부 중앙부에는 슬롯(323-1)에 삽입된 전극판(323)이 돌출되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누름부재(341)가 덮개(326)의 몸체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하우징(331)과 덮개(326)를 단단하게 결합시키기 위해 덮개(326)의 하부 일측 양단에는 일체로 돌출 형성된 결합부재(342)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적용된 전해살균키트(300)의 전극판 고정구(324)는 SUS 또는 티타늄 판 형태의 전도성을 지닌 금속재질로 제작되며, 상기 메쉬형 전극판(323)은 촉매성 금속산화물 전극인 불용성 전극 즉, DSA(Dimensionally Stable Aonde)를 사용하거나 티타늄에 백금을 도금한 백금도금 전극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전해살균키트(300)에 물이 입수구(311)를 통해서 입수되면, 전해살균키트(300)의 전극부인 전원연결구(324-2)를 통해 공급되는 +, - 전원이 전극판 고정구(324)를 통해 다수의 전극판(323)에 각각 공급되어지므로 물탱크에서 번식된 세균은 전해살균키트(300) 내에서의 전기분해에 의해 살균되어지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상세한 설명 및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의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당해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살균기를 구비한 일반적인 정수기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해살균키트를 설치한 정수기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해살균키트를 설치한 냉온수기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해살균키트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해살균키트의 결합상태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11 : 입수구 312 : 배수구
313 : 체결구 323 : 메쉬형 전극판
323-1 : 슬롯 323-2 : 고정홀
324-1 : 체결나사 324-2 : 전원연결구
324-3 : 전선연결구 326 : 덮개
330 : 밀폐부재 331 : 하우징
341 : 누름부재 342 : 결합부재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입자성 물질을 제거하는 침전필터와, 물의 수압을 상승시키는 승압펌프와, 염소 및 산화 물질을 흡착 제거하는 프리카본필터와, 중금속과 이온성 물질을 제거하는 멤브레인과, 물에 용해된 가스상의 물질을 흡착 제거하는 포스트카본필터와, 미생물을 살균처리하는 살균기와, 물을 저장하는 저수탱크와, 상기 저수탱크와 물을 배수하는 배수스위치 사이에 전해살균키트를 설치한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전해살균키트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 개방구를 통해 삽입되는 메쉬형의 전극판을 수용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고정 설치되는 다수개의 슬롯과; 상기 하우징의 양측에 체결구에 의해 각각 연결되는 입수구 및 배수구와; 상기 하우징과 덮개 사이를 밀폐하기 위한 밀폐부재와; 상기 다수개의 슬롯에 대응하여 각각 교호로 삽입되고 상단에는 고정홀이 형성되어 슬롯에 삽입시 양측으로 배열되어 +, - 전극을 이루는 메쉬형의 전극판과; 상기 전극판에 형성된 고정홀과 대응하는 체결공이 형성되어 상기 전극판을 체결고정시키기 위한 복수의 전극판 고정구와; 전원선 연결을 위해 덮개의 상부 일단에 형성된 복수의 전원연결구를 포함하며; 상기 덮개의 하부에는 슬롯에 삽입된 전극판의 돌출 또는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전극판 누름부재 및 덮개를 하우징에 단단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부재가 일체로 돌출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살균키트를 설치한 정수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전극판 고정구는 SUS 또는 티타늄 판 형태의 전도성을 지닌 금속재질로 제작되며, 상기 메쉬형의 전극판은 촉매성 금속산화물 전극인 DSA 또는 티타늄에 백금을 도금한 백금도금 전극 중의 하나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살균키트를 설치한 정수기.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070090834A 2007-09-07 2007-09-07 전해살균키트를 설치한 정수기 KR1008943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0834A KR100894317B1 (ko) 2007-09-07 2007-09-07 전해살균키트를 설치한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0834A KR100894317B1 (ko) 2007-09-07 2007-09-07 전해살균키트를 설치한 정수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4096A Division KR100919310B1 (ko) 2008-12-26 2008-12-26 전해살균키트를 설치한 냉온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5747A KR20090025747A (ko) 2009-03-11
KR100894317B1 true KR100894317B1 (ko) 2009-04-24

Family

ID=40694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0834A KR100894317B1 (ko) 2007-09-07 2007-09-07 전해살균키트를 설치한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431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45902A3 (en) * 2010-05-19 2012-04-19 Woongjin Coway Co., Ltd Water treatment apparatus and sterilizing and cleansing method thereof
KR101176873B1 (ko) 2009-10-30 2012-08-27 문상봉 살균제 발생장치
KR101304818B1 (ko) * 2011-07-08 2013-09-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살균장치
KR101335813B1 (ko) * 2011-07-08 2013-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의 세척장치 및 세척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6181B1 (ko) * 2010-07-28 2011-05-23 이충환 전해 소독장치
KR101305329B1 (ko) * 2011-07-15 2013-09-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CN110402881B (zh) * 2019-08-26 2024-05-24 高晓宇 一种密闭式上部过滤器
CN115159762B (zh) * 2022-07-15 2023-10-27 北京纳米能源与系统研究所 一种电穿孔杀菌净水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7958Y1 (ko) * 2003-08-06 2004-01-07 (주)에코에이드 살균장치를 구비한 정수기
KR100490561B1 (ko) 2003-01-10 2005-05-19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전해를 이용한 살균기를 구비한 정수기
KR20050112742A (ko) * 2004-05-28 2005-12-01 주식회사 디엠티 요오드 살균필터가 구비된 정수기
KR100735515B1 (ko) 2005-12-30 2007-07-04 주식회사 위닉스 세균번식방지 시스템을 갖는 냉온수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0561B1 (ko) 2003-01-10 2005-05-19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전해를 이용한 살균기를 구비한 정수기
KR200337958Y1 (ko) * 2003-08-06 2004-01-07 (주)에코에이드 살균장치를 구비한 정수기
KR20050112742A (ko) * 2004-05-28 2005-12-01 주식회사 디엠티 요오드 살균필터가 구비된 정수기
KR100735515B1 (ko) 2005-12-30 2007-07-04 주식회사 위닉스 세균번식방지 시스템을 갖는 냉온수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6873B1 (ko) 2009-10-30 2012-08-27 문상봉 살균제 발생장치
WO2011145902A3 (en) * 2010-05-19 2012-04-19 Woongjin Coway Co., Ltd Water treatment apparatus and sterilizing and cleansing method thereof
US10266441B2 (en) 2010-05-19 2019-04-23 Coway Co., Ltd Water treatment apparatus and sterilizing and cleansing method thereof
KR101304818B1 (ko) * 2011-07-08 2013-09-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살균장치
KR101335813B1 (ko) * 2011-07-08 2013-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의 세척장치 및 세척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5747A (ko) 2009-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4317B1 (ko) 전해살균키트를 설치한 정수기
KR200337958Y1 (ko) 살균장치를 구비한 정수기
KR100621937B1 (ko) 전해 살균기능을 가지는 수처리장치와 이를 통한 살균방법
KR101876214B1 (ko) 살균 또는 세정이 가능한 수처리 장치 및 그 살균세정 방법
KR101446127B1 (ko) 수처리장치
TW201219318A (en) Water purification device and disinfection/sterilization method for water purification device
KR20130127680A (ko)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
KR101897563B1 (ko) 살균 또는 세정이 가능한 수처리 장치 및 그 살균세정 방법
KR100919310B1 (ko) 전해살균키트를 설치한 냉온수기
JP3733475B2 (ja) 連続通水式電解水生成装置の洗浄・殺菌方法及びこの方法を実施する機構を備えた電解水生成装置並びにこれに使用される流路切換弁装置
KR20090096268A (ko) 전해조를 구비한 정수기
KR20170087842A (ko) 살균 또는 세정이 가능한 수처리 장치 및 그 살균세정 방법
KR101459001B1 (ko)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
JP3791158B2 (ja) 水浄化装置
KR102582428B1 (ko) 가정용 정수장치
KR101447963B1 (ko) 수처리방법
CN219279698U (zh) 一种饮用水处理用过滤设备
CN108928988A (zh) 一种自来水净化消毒装置
JPH1071393A (ja) 連続通水式電解水生成装置の洗浄・殺菌方法及びこの方法を実施する機構を備えた連続通水式電解水生成装置
KR101476323B1 (ko)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
CN213834926U (zh) 一种具有检测功能的净水消毒器
WO2005037720A1 (ja) ミネラル水供給装置
KR101886237B1 (ko) 살균이 가능한 수처리 장치 및 그 살균 방법
KR100623668B1 (ko) 정수기용 콕
KR101447519B1 (ko) 수처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6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