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7646B1 - 수처리 기기용 세척장치 - Google Patents
수처리 기기용 세척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47646B1 KR101647646B1 KR1020090047175A KR20090047175A KR101647646B1 KR 101647646 B1 KR101647646 B1 KR 101647646B1 KR 1020090047175 A KR1020090047175 A KR 1020090047175A KR 20090047175 A KR20090047175 A KR 20090047175A KR 101647646 B1 KR101647646 B1 KR 10164764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circulation
- pipe
- connection
- water treatment
- Prior art dat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96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3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8
- 239000008213 purified wat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8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9000000571 cok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7799 cork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9000003599 deter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3472 neutral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12459 clean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6386 neutraliz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856 p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1 ammonium i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OSVXSBDYLRYLIG-UHFFFAOYSA-N dioxidochlorine(.) Chemical compound O=Cl=O OSVXSBDYLRYLI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3505 fresh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645 odor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086 pum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3049 sedi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094 surface-active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809 water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ZAMOUSCENKQFHK-UHFFFAOYSA-N Chlorine atom Chemical compound [Cl] ZAMOUSCENKQFH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155 Chlorine di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678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913 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10 charco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0 chlor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1 chlorin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398 chlorine dioxid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40 colo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622 drink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670 easy-to-clea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5 nonwoven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6—Cleaning-out devices, e.g. for removing the cake from the filter casing or for evacuating the last remnants of liqui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01D35/04—Plug, tap, or cock filters filtering elements mounted in or on a fauce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47—Bypass or safety valv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57—Flow control valves: Damping or calibrated passages
- B01D35/1573—Flow control valv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7/00—Processes of filtration
- B01D37/04—Controlling the filtration
- B01D37/043—Controlling the filtration by flow measur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7/00—Processes of filtration
- B01D37/04—Controlling the filtration
- B01D37/046—Controlling the filtration by pressure measur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처리 기기의 내부에서 손이 닫지 않는 부분까지 세척할 수 있는 수처리 기기용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 기기용 세척장치는, 수처리 기기의 유로에 세척수를 순환시키도록 수처리 기기의 유로에 연결되는 순환부재; 상기 순환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순환부재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탱크; 및 상기 순환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수처리 기기의 유로에 세척수를 순환시킴에 의해 상기 수처리 기기의 유로를 세척하는 순환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순환부재는 상기 수처리 기기의 취출 코크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연결관과, 상기 수처리 기기의 필터 토출측 정수관에 연결되는 순환관을 포함하고, 상기 순환모듈은, 상기 연결관과 연통되는 유로들 중 일부 유로씩 순차적으로 개방시킴에 따라 상기 수처리 기기의 필터부 토출측 유로들 중에서 일부 유로씩 순차적으로 세척수를 순환시키는 개폐수단을 포함한다.
수처리 기기, 세척장치
Description
본 발명은 수처리 기기의 내부를 세척할 수 있는 수처리 기기용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처리 기기는 원수를 여과하여 음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상기 수처리 기기에는 정수기, 이온수기 등이 있다.
상기 수처리 기기에는 원수를 여과하기 위한 필터부와, 상기 필터부에서 여과된 정수를 취수하여 음용할 수 있도록 취출 코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수처리 기기에는 정수가 저장되는 정수 탱크, 냉수 탱크 및 온수 탱크들 이나 또는 상기 탱크들 중 일부가 설치되는 탱크 타입과, 상기 탱크들이 설치되지 않는 직수 타입이 있다.
상기 수처리 기기의 필터부, 취출 코크 및 각종 탱크들은 정수가 유동될 수 있도록 정수관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수처리 기기가 장시간 동안 사용하는 경우, 상기 탱크들, 취출 코크 및 각종 정수관에는 물에 함유된 이물질이 끼이게 된다. 따라서, 정수기 사용자나 관 리자(coordinator)는 주기적으로 또는 필요한 때에 각 탱크의 내부를 청소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취출 코크나 각종 정수관의 유로가 좁고 길게 형성되어 세척 도구가 들어 가지 않거나 또는 손이 닫지 않으므로 세척을 할 수 없었다. 따라서, 상기 수처리 기기를 청소한 후에도 상기 취소 취출 코크나 각종 정수관에 끼인 이물질에 의해 오염된 정수를 마셔야 했다.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처리 기기에서 세척 도구나 손이 닫지 않아서 세척이 곤란한 부분도 세척을 수행할 수 있는 수처리 기기용 세척장치 및 그 세척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 기기용 세척장치는, 수처리 기기의 유로에 세척수를 순환시키도록 수처리 기기의 유로에 연결되는 순환부재; 상기 순환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순환부재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탱크; 및 상기 순환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수처리 기기의 유로에 세척수를 순환시킴에 의해 상기 수처리 기기의 유로를 세척하는 순환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순환부재는 상기 수처리 기기의 취출 코크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연결관과, 상기 수처리 기기의 필터 토출측 정수관에 연결되는 순환관을 포함하고, 상기 순환모듈은, 상기 연결관과 연통되는 유로들 중 일부 유로씩 순차적으로 개방시킴에 따라 상기 수처리 기기의 필터부 토출측 유로들 중에서 일부 유로씩 순차적으로 세척수를 순환시키는 개폐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상기 세척탱크는 순환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순환부재에는 세척수를 여과시키기 위한 메쉬망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기기용 세척장치.
상기 연결관과 순환관의 양단에는 커넥터가 결합될 수 있다.
삭제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연결관들이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도록 다수의 연결포트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연결포트들에 대응되도록 개구홀이 형성된 디스크; 및 상기 디스크를 회전시킴에 의해 상기 개구홀이 해당 연결포트에 대응됨에 따라 해당 연결포트를 개방시키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 연결포트에는 상기 연결관이 연결될 때에는 연결포트를 개방시키는 반면 연결관이 연결되지 않을 때에는 연결포트를 폐쇄시켜 공기의 유입을 차단하는 체크밸브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개폐수단의 하우징에는, 상기 연결포트들에 각각 연결되는 다수의 연결유로부와, 상기 연결유로부들을 하나로 연결하여 상기 순환관측에 연결되는 통합유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폐수단은 연결관들이 결합되는 연결포트들에 개별적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솔레노이드 밸브일 수 있다.
상기 순환모듈은 수처리 기기의 취출 코크의 개수에 따라 상기 연결포트들의 개폐 개수를 설정할 수 있도록 조작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순환모듈의 상면에는 연결관이 결합되도록 연결포트가 형성되고, 상기 순환모듈의 측면에는 순환관이 결합되도록 순환포트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순환모듈은, 상기 순환부재에 연결되는 세척수 배수관; 및 상기 순환부재와 세척수 배수관의 연결 부분에 결합되어 세척수의 유로를 전환시키는 유로 전환부; 및 상기 순환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수처리 기기 또는 세척수 배수관 측으로 선택적으로 세척수를 유동시키는 순환 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순환모듈은 세척수의 유동을 측정하여 오작동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세척수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척수 감지부는 순환 펌프의 세척수 토출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세척수 감지부는 유압센서 또는 유량센서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 기기 세척방법은, 세척탱크의 세척수를 순환부재에 유동시키는 단계; 및 순환모듈을 가동하여 수처리 기기의 유로에 세척탱크의 세척수가 순환되도록 하여 상기 수처리 기기의 유로를 세척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세척수 유동 단계에서는 상기 수처리 기기에 포함되는 필터부의 토출측 정수관과 취출 코크 사이의 유로 중에서 일부 구간씩 나누어 세척수가 순환되도록 할 수 있다.
삭제
상기 세척 단계에서는 세척수의 유압 또는 유량을 측정하여 오작동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세척 단계에서는 세척 단계가 완료되거나 오작동이 감지되면 순환모듈을 정지시킬 수 있다.
상기 세척 단계는 순환모듈이 정지되었을 때에 세척 완료를 디스플레이부 또는/및 부저를 통해 알려줄 수 있다.
상기 세척 단계 후에는 세척수에 중화제를 투입한 후 세척수를 순환시켜 세척수를 중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척수 중화 단계에서는 상기 필터부의 토출측 정수관과 취출 코크 사 이의 유로 중에서 일부 구간씩 나누어 세척수가 순환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세척수 중화 단계가 기 설정된 시간동안 수행되면 디스플레이부 또는/및 부저를 통해 세척수 중화 완료를 알려줄 수 있다.
상기 세척수 중화 단계가 기 설정된 시간동안 수행된 후에는 유로 전환부를 가동하여 중화된 세척수를 배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세척 도구나 손이 닫지 않아서 세척이 곤란한 부분도 용이하고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처리 기기의 유로에서 수압 차이에 의해 부분적으로 세척이 되지 않거나 세척 효율이 낮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세척시 오작동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고,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 기기용 세척장치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 기기용 세척장치는 정수가 저장되는 탱크가 없이 정수관만이 설치되는 직수타입 수처리 기기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직수타입 수처리 기기는 필터부의 토출측 정수관이 하나의 취출 코크에 연결되는 모노라인 타입(이하, '모노라인 수처리 기기'라고 함)과, 필터부의 토출측 정수관이 다수의 취출 코크에 연결되는 멀티라인 타입(멀티라인 수처리 기기'라고 함)으로 구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모노라인 타입과 멀티라인 타입이 세척장치에 연결되는 개략적인 구성을 순차적으로 설명한 후 상기 세척장치의 구성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노라인 수처리 기기와 세척장치의 연결관계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수처리 기기용 세척장치(100)는 상기 모노라인 직수타입 수처리 기기의 유로에 세척수를 순환시키면서 수처리 기기의 유로를 세척하는 장치이다.
상기 수처리 기기(1)는 수도관(5)이나 교체 가능한 디스펜서용 물통에서 유입된 물을 여과하도록 필터부(10)를 포함한다. 상기 필터부(10)는 세디먼트 필터(sediment filter), 프리카본 필터(pre-carbon filter), 멤브레인 필터(membrane filter) 및 포스트카본 필터(post-carbon filter)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세디먼트 필터는 부직포가 적용되어 원수에 함유된 이물질과 부유물질을 여과한다. 상기 프리카본 필터는 계면 활성탄이 적용되어 원수에 함유된 염소 성분이나 냄새 등을 여과한다. 상기 멤브레인 필터는 셀룰로오스계 섬유를 사용한 다공성 막을 통과시켜 원수를 여과한다. 상기 포스트카본 필터는 프리카본 필터의 계면 활성탄보다 흡착력이 상대적으로 우수하여 색소와 냄새를 제거한다.
상기 필터부(10)의 토출측에는 하나의 정수관(11)이 연결되고, 상기 정수관에는 취출 코크(31)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정수관(11)의 일단부에는 필터부(1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커넥터(15)가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필터부(10)에서 여과된 정수는 정수관(11)을 통과한 후 취출 코크(31)에서 취출된다.
또한, 상기 정수관(11)에는 필요에 따라 히터(미도시) 또는 냉각장치(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히터와 냉각장치는 정수관을 따라 정수가 유동되는 동안에 정수를 가열하거나 또는 냉각시킬 수 있는 구조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취출 코크(31)는 레버(미도시)를 가압함에 따라 수동으로 개방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취출 코크(31)는 유로를 전자기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도록 전자식 밸브(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식 밸브로는 솔레노이드 밸브(solenoid valve)를 제시한다.
상기 수처리 기기(1)의 취출 코크(31)에 전자식 밸브가 적용되는 경우, 상기 수처리 기기(1)의 제어부(50: 도 7 참조)에는 전자식 밸브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접속단자(51: 도 7 참조)가 설치된다. 상기 제어부(50)의 접속단자(51)는 상기 전자식 밸브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선(미도시)의 접속단자(미도시)와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취출 코크(31)는 다수의 연결관(111-114) 중 하나의 연결관(111)에 연결되고, 상기 필터부(10)의 토출측 정수관(11)은 순환관(117)에 연결된다. 상기 다수의 연결관(111-114)과 순환관(117)은 순환모듈(120)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순환관(117)에는 순환관에 세척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세척탱크(119) 결합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라인 수처리 기기와 세척장치의 연결관계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상기 멀티라인 수처리 기기를 설명함에 있어 상기 모노라인 수처리 기기와 동일한 구성에 관해서는 동일한 도번을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수처리 기기(1)는 수도관(5)이나 교체 가능한 디스펜서용 물통에서 유입된 물을 여과하도록 필터부(10)를 포함한다. 상기 필터부(10)의 토출측에는 토출측 정수관(11)이 연결된다.
이때, 상기 토출측 정수관(11)은 정수가 유동되는 정수관(11a)과, 냉수가 유동되는 냉수관(11b)과, 온수가 유동되는 온수관(11c)으로 분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정수관(11a)과 냉수관(11b)의 토출측은 하나의 유로로 합쳐질 수 있다.
상기 토출측 정수관(11)의 유입측은 하나의 유로로 합쳐져 상기 필터부(1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토출측 정수관(11)의 유입측에는 필터부(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커넥터(15)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냉수관(11b)에는 유로를 따라 정수가 유동되는 동안에 냉각시킬 수 있도록 냉각장치(20)가 설치되고, 상기 온수관(11c)에는 유로를 따라 정수가 유동되는 동안에 냉각시킬 수 있도록 히터(30)가 설치된다.
상기 정수관(11a)과 냉수관(11b)은 냉/정수 취출 코크(31)에 결합되고, 상기 온수관(11c)은 온수 취출 코크(32)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수관(11a)과 냉수관(11b)에 각각 취출 코크가 개별적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취출 코크(31,32)들은 레버(미도시)를 가압함에 따라 수동으로 개방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취출 코크(31,32)들은 유로를 전자기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도록 전자식 밸브(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식 밸브로는 솔레노이드 밸브(solenoid valve)를 제시한다.
상기 취출 코크(31,32)들에 전자식 밸브가 적용되는 경우, 상기 수처리 기기(1)의 제어부(50: 도 7 참조)에는 전자식 밸브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접속단자(51)가 각각 설치된다. 상기 제어부(50)의 접속단자(51)는 상기 전자식 밸브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선의 접속단자와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취출 코크(31,32)들은 연결관(111-114)들에 연결되고, 상기 필터부(10)의 토출측 정수관(11)은 순환관(117)에 연결된다. 상기 다수의 연결관(111-114)과 순환관(117)은 순환모듈(119)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순환관에는 순환관에 세척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세척탱크(119)가 결합된다.
아래에서는 상기 세척장치가 멀티라인 수처리 기기에 설치되는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멀티라인 수처리기와 세척장치를 도시한 블럭도이고, 도 4는 세척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세척장치(100)는, 순환부재(111-114,117), 세척탱크(119) 및 순환모듈(120)을 포함한다.
상기 순환부재(111-114,117)는 수처리 기기(1)의 유로에 세척수를 순환시키도록 수처리 기기의 유로에 연결된다. 이러한 순환부재(111-114,117)는 수처리 기기의 유로와 함께 무한 루프(infinite loop)를 형성한다.
상기 순환부재(111-114,117)는 수처리 기기(1)의 취출 코크(31,32)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연결관(111-114)과, 상기 수처리 기기의 필터 토출측 정수관(11)에 연결되는 순환관(117)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관(111-114)은 다양한 타입의 수처리 기기(1)의 취출 코크(31,32)들에 충분히 연결될 수 있는 만큼의 개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취출 코크들(31,32)들이 적게 형성된 수처리 기기(1)의 경우, 상기 연결관(111-114)들 중 일부 연결관(111,112)은 취출 코크(31,32)와 연결되지만 나머지 연결관(113,114)들은 취출 코크와 연결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상기 세척장치(100)는 모노라인 수처리 기기나 멀티라인 수처리 기기에 범용으로 사용되어 수처리 기기의 유로를 세척할 수 있다.
상기 연결관(111-114)들은 상기 취출 코크(31,32)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각 연결관(111-114)의 일단부에는 상기 취출 코크(31,32)에 착탈 가능할 수 있도록 피팅장치 내지 커넥터(111a-114a) 등(아래에서는 '커넥터'라고 함)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연결관(111-114)의 타단부에는 상기 순환모듈(120)의 연결포트(131-134: 도 4 참조)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커넥터(111a-114a)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111a-114a)는 취출 코크(31,32)에 연결된 후 잡아당기거나 밀면 상기 취출 코크(31,32)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커넥터(111a-114a)의 구조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순환관(117)은 필터부(10)의 토출측 정수관(11)과 순환모듈(120)에 착 탈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순환관(117)의 양단부에는 상기한 연결관(111-114)의 커텍터(111a-114a)와 같은 형태의 커넥터(117a)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순환관(117)의 커넥터(117a)는 필터부(10)를 정수관(11)에서 분리한 후 상기 필터부(10)의 토출측 정수관(22)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관(111-114) 또는 순환관(117)에는 세척수를 여과시키기 위한 메쉬망(115)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메쉬망(115)은 연결관(111-114)과 순환관(117)에 세척수의 수압이 크게 걸리지 않을 정도의 메쉬(mesh)를 갖는다. 도 2에서는 상기 메쉬망(115)이 연결관(111-114)의 커넥터(111a-114a)에 설치된 구조를 도시하였다.
이때, 상기 메쉬망(115)은 연결관(111-114)의 타단부측 커넥터(111a-114a)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메쉬망(115)은 커넥터(111a-114a)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상기 수처리 기기(1)에 설치하기 전이나 분리한 후에 깨끗이 씻어내거나 새로운 것으로 교체하기 용이하다.
상기 연결관(111-114)은 상기 순환모듈(120)을 바닥면에 놓은 후 상기 취출 코크(31,32)과 순환모듈(120)에 결합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순환관(117)은 순환모듈(120)을 바닥면에 놓은 후 수처리 기기(1)의 상측에 배치된 필터부(10)의 토출측 정수관(11)에 결합될 수 있도록 충분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순환관(117)은 연결관(111-114)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순환관(117)에는 상기 순환관(117)에 세척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세척탱크(119)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세척탱크(119)는 커넥터(미도시)에 의해 순환관 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수처리 기기(1)의 관리자는 상기 순환관(117)으로부터 세척탱크(119)를 분리한 후 휴대할 수 있다.
상기 순환모듈(120) 또는 세척탱크(119)에는 세척제(detergent)와 중화제(counteragent)가 투입될 수 있도록 세척제 투입부(121)와 중화제 투입부(122)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세척제 투입부(121)와 중화제 투입부(122)는 순환 펌프(173) 또는 세척탱크(119)의 세척수 토출측 또는 유입측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순환모듈(120)에서 세척수의 유동성이 가장 활발한 부분에 세척제와 중화제를 투입함으로써 상기 세척제와 중화제가 정수에 빠른 시간 내에 혼합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순환모듈(120)에 세척제 투입부(121)와 중화제 투입부(122)를 설치하지 않고 사용자나 관리자가 순환모듈이나 세척탱크(119)의 유로상에 세척제와 중화제를 직접 투여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세척제로는 수처리 기기(1)의 내부 표면을 세척 및 살균할 수 있는 한 다양한 화학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화제는 세척제의 성분에 따라 적절한 화학물질이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 세척제의 일예로는 대한민국특허 공개번호 10-2006-0129670호에 기재된 세척제를 적용 가능하다. 상기 세척 방법으로는 이산화염소를 함유하는 제1차 세정액에 의해 1차 세정하고, 암모늄이온 및 수산화이온을 함유하는 2차 세정액에 의해 세정하는 방법이 개시되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한 세척제 이외에도 다양한 세척제가 적용이 가능하다.
상기 순환모듈(120)에는 상기 연결관(111-114)이 연결되는 다수의 연결포트(131-134)와, 상기 순환관(117)이 연결되는 하나의 순환포트(137)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포트(131-134)는 연결관(111-114)의 커넥터(111a-114a)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순환포트(137)는 순환관(117)의 커넥터(117a)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연결포트(131-134)들은 순환모듈(120)의 케이스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순환모듈(120)을 바닥면 등에 올려 놓은 상태에서 상기 연결관(111-114)의 커넥터(111a-114a)를 상기 연결포트(131-134)의 상측에서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다수의 연결관(111-114)이 연결포트(131-134)에 정상적으로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순환포트(137)는 순환모듈(120)의 케이스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순환관(117)의 커넥터(117a)가 상기 순환모듈(120)의 순환포트(137)에 결합된 후 상기 순환모듈(120)을 바닥면 등에 올려 놓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순환모듈(120)에는, 상기 연결포트(131-134)들에 각각 연결되는 연결유로부(141)와, 상기 연결유로부(141)들을 하나로 연결하여 상기 순환포트(137)에 연결시키는 통합유로부(14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유로부(141)는 통합유로부(142)로부터 다수 갈래 분지된 형태를 갖는다.
또한, 상기 순환모듈(120)에는 상기 통합유로부(142)와 상기 순환포트(137)가 연결되는 부분에 배수포트(14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순환모듈(120)에는 연결포트(131-134)들의 상측을 개폐시킬 수 있도록 커버(146)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커버(146)는 연결포트(131-134)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순환모듈(120)에는 순환모듈(120)에 외부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전원코드(147)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순환모듈(120)에는 순환모듈(120)을 온/오프시킬 수 있도록 스위치(148)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순환모듈(120)에는, 상기 연결관(111-114)들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연결관(111-114)과 연통되는 유로들 중 일부 유로씩 순차적으로 개방시킴에 따라 상기 수처리 기기(1)의 필터부(10) 토출측 유로 중에서 일부 유로씩 순차적으로 세척수를 순환시키는 개폐수단(160)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개폐수단(160)에 관해서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순환모듈(120)에는 상기 수처리 기기(1)의 취출 코크(31,32)의 개수에 따라 상기 연결포트(131-134)들의 개폐 개수를 설정할 수 있도록 조작부(15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작부(150)에는 취출 코크(31,32)의 개수에 관한 정보를 가시화시킬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153)가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조작부(150)를 통해 취출 코크(31,32)의 개수가 입력되면, 상기 순환모듈(120)의 제어부(180)는 상기 개폐수단(160)을 제어하여 상기 다수의 취출 코크(31,32) 중에서 1개씩 또는 일부씩 순차적으로 개방시키면서 상기 수처리 기기(1)의 내부를 일부 유로씩 순차적으로 세척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정수관(11a), 냉수관(11b) 및 냉/정수 취출 코크(31) 세척한 다음에 상기 온수관(11c)과 온수 취출 코크(32)를 세척할 수 있다.
또한, 도시는 되지 않았지만, 상기 순환모듈(120)의 연결포트(131-134)들에는 상기 연결관(111-114)의 결합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결합감지센서(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연결포트(131-134)에 연결관(111-114)이 결합되면 상기 순환모듈(120)의 제어부(180)에서 연결관(111-114)이 어느 연결포트(131-134)와 연결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순환모듈(120)의 제어부(180)는 개폐수단(160)을 제어하여 상기 연결관(111-114)이 결합된 연결포트(131-134)들 중 일부 연결포트(131-134)를 개방시킴에 의해 상기 수처리 기기(1)의 내부 유로들 중에서 일부 유로씩 순차적으로 개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순환모듈(120)의 연결포트(131-134)에 결합감지센서가 설치되는 경우, 상기 조작부(150)를 통해 취출 코크(31,32)와 드레인관(33,34)의 개수를 입력하지 않아도 될 것이다.
상기 순환모듈(120)의 조작부(150)에는 취출 코크(31,32)의 개수, 순환 세척, 세척수 중화, 세척수 배수 및 일괄세척에 관한 버튼부(151a-151f)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버튼부(151a-151f)에는 기계식 또는 터치 패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작부(150)에는 세척수의 에러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알람으로 알려주도록 디스플레이부(153)와 부저(155)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부(153)로는 LED나 액정표시패널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순환모듈(120)은 순환부재(111-114,117)에 연결되는 세척수 배수관(148)과, 상기 세척수 배수관(148)과 순환부재(111-114,117)의 연결 부분에 결합 되어 세척수의 유로를 전환시키는 유로 전환부(171)와, 상기 순환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세척수를 수처리 기기(1)의 유로 또는 세척수 배수관(148)으로 유동시키는 순환 펌프(137)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세척수 배수관(148)은 연결관(111-114)과 순환관(117)의 연결 부분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유로 전환부(171)는 상기 연결관(111-114), 순환관(117), 세척수 배수관(148)의 연결 부분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순환 펌프(137)는 상기 연결관(111-114) 또는 순환관(117)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세척수 배수관(148)은 순환모듈(120)의 배수포트(144)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세척수 배수관(148)은 순환모듈(120)에서 배수된 세척수를 싱크대나 하수구에 배출시킨다.
상기 유로 전환부(171)로는 상기 연결관(111-114)에 유입된 세척수를 순환관(117) 또는 배수관(148) 중 어느 하나로 선택적으로 유동시키는 삼방밸브(three way valve)를 제시한다.
상기 순환 펌프(173)는 내부에 임펠러(미도시)와 펌핑모터(미도시)가 설치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순환모듈(120)에는 세척수의 유동을 측정하여 상기 순환모듈(120)의 오작동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세척수 감지부(175)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세척수 감지부(175)로는 유압센서 또는 유량센서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세척수 감지부(175)는 순환 펌프(173)의 세척수 토출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상기 순환 펌프(173)가 정상적으로 작동하 지 않거나 또는 상기 개폐수단(160)이 연결포트(131-134)의 유로를 완전히 개방시키지 못하는 등의 경우, 상기 순환 펌프(173)의 세척수 토출측에는 충분한 수압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세척수 감지부(175)를 세척수 토출측에 설치함으로써, 상기 개폐수단(160)과 순환 펌프(173)의 정상작동 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도 5는 순환모듈의 연결포트와 연결관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전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순환모듈(120)의 각 연결포트(131-134)에는 체크밸브(136)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체크밸브(136)는 상기 연결관(111-114)이 연결될 때에는 연결포트(131-134)의 유로를 개방시키는 반면, 상기 연결관(111-114)이 연결되지 않을 때에는 연결포트(131-134)의 유로를 폐쇄시키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각 체크밸브(136)는 상기 연결포트(131-134)의 내부에 배치되는 개폐부재(136a)와, 상기 개폐부재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136b)과, 상기 개폐부재의 상측에 결합되어 상기 개폐부재가 상승된 상태에서 연결포트(131-134)를 폐쇄시키는 패킹(136c)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포트(131-134)에 연결관(111-114)이 결합되는 경우, 상기 연결관(111-114)의 메쉬망(115)이 상기 연결포트(131-134)의 개폐부재(136a)를 가압함에 의해 상기 연결포트(131-134)의 유로를 개방시킨다. 이때, 상기 연결포트(131-134)의 유로는 세척수가 통과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반면, 상기 연결포트(131-134)에 연결관(111-114)이 결합되지 않은 경우, 상기 체크밸브(136)의 개폐부재(136a)가 가압되지 않으므로, 상기 연결포트(131-134) 의 유로가 폐쇄된다. 이때, 상기 체크밸브(136)는 스프링(136b)과 패킹(136c)의 작용에 의해 상기 연결포트(131-134)를 통해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도 6은 세척장치의 개폐수단의 일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개폐수단(160)은, 하우징(161), 디스크(163) 및 모터(16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61)에는 상기 연결관(111-114)들이 결합되도록 형성된 다수의 연결포트(131-134)와, 상기 각 연결포트(131-134)와 연통된 다수의 연결유로부(141)와, 상기 연결유로부와 연통되는 통합유로부(14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크(163)에는 하우징(161)의 연결유로부(141)에 대응되도록 하나의 개구홀(163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모트(165)는 디스크(163)를 회전시킴에 의해 상기 개구홀(163a)이 해당 연결포트(131-134)의 연결유로부(141)에 대응됨에 따라 해당 연결포트(131-134)를 개방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개구홀(163a)은 일부의 연결포트(131-134)를 개방시킬 수 있도록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포트(131-134)에는 연결포트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체크밸브(136)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크 타입의 개폐수단(160)의 경우 하나의 모터(165)가 적용되므로, 상기 세척장치(100)의 제조 단가와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포트(131-134) 중 일부의 연결포트(133)에 연결관(113)이 결합되지 않은 경우, 상기 체크밸브(136)의 개폐부재(136a)가 가압되지 않으므로, 상 기 일부의 연결포트(133)의 유로가 폐쇄된다.
이때, 상기 체크밸브(136)는 스프링(136b)과 패킹(136c)의 작용에 의해 상기 연결포트(133)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결관(113)이 결합되지 않은 연결포트(133)를 통해 상기 개폐수단(160)의 내부로 공기가 흡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수단(160)의 디스크(163)는 상기 연결관(113)이 결합되지 않은 연결포트(133)를 폐쇄시키므로, 상기 연결관(113)이 결합되지 않은 연결포트(133)는 공기의 유입이 차단되도록 2중 차단된다.
따라서, 상기 개폐수단(160) 내부의 세척수에 기포가 형성되는 것을 최소화 함으로써, 상기 순환 펌프(173)에서 세척수가 정상적으로 펌핑되도록 하고, 세척수의 수압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순환 펌프(173)에 의해 발생되는 세척수의 펌핑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수단(160)에서 세척수에 기포가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시킴으로써, 상기 개폐밸브(160)의 토출측에 배치된 세척수 감지부(175)에서 세척수의 유압이나 유량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순환 펌프(173)나 순환관(117)의 세척수에서 기포가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시킴에 따라 상기 순환관(117)의 세척수 유동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도시는 되지 않았지만, 상기 개폐수단(160)은 각 연결포트(131-134)에 개별적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솔레노이드 밸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각 솔레노이드 밸브는 순환모듈(120)에 의해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해당 연결포 트(131-134)의 유로를 개폐시킨다.
이러한 솔레노이드 타입의 개폐수단은 다수의 솔레노이드 밸브가 적용되므로 상기 연결포트(131-134)의 유로 개폐를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도 7은 세척장치의 제어부와 수처리 기기의 제어부가 전원공급 케이블에 연결되는 구조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순환모듈(120)에는 상기 수처리 기기(1)의 전자식 밸브와 전원공급 케이블(185)에 의해 연결될 수 있도록 접속단자(18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원공급 케이블(185)의 일측 단자가 상기 순환모듈(120)의 접속단자(181)에 접속되고, 전원공급 케이블(185)의 타측 단자가 상기 수처리 기기(1)의 접속단자(51)에 접속되면, 상기 수처리 기기(1)의 취출 코크(31,32)에는 전원공급 케이블(185)을 통해 전원이 공급되어 상기 수처리 기기(1)의 취출 코크(31,32)를 개폐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세척장치(100)는 수처리 기기(1)의 취출 코크(31,32)가 수동으로 개폐되는 타입과 전자기적으로 개폐되는 타입에 공용으로 사용가능 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 기기용 세척장치가 수처리 기기에 설치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수처리 기기(1)의 세척이 필요한 경우, 상기 수처리 기기(1)의 전원 플러그(미도시)를 뽑아 전원 공급을 차단한다.
상기 수처리 기기(1)의 취출 코크(31,32)들에 연결관(111,112)의 일측을 각각 결합시키고, 상기 순환모듈(120)의 연결포트(131-134)들에 연결관(111-114)의 타측을 각각 결합시킨다. 이때, 해당 연결관(111)의 메쉬망(115)이 해당 체크밸브(136)를 가압함에 따라 상기 연결포트(131)의 유로는 개방된다(도 5 참조). 또한, 상기 연결관(113)이 결합되지 않은 연결포트(133)는 체크밸브(136)에 의해 폐쇄되어 상기 세척장치(100)의 내부 유로에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또한, 상기 순환관(117)의 일측은 상기 필터부(10)의 토출측 정수관(22)에 결합된다. 상기 순환관(117)의 타측은 순환모듈(120)의 순환포트(137)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수처리 기기(1)의 취출 코크(31,32)들이 수동으로 조작되는 경우, 상기 취출 코크(31,32)들의 레버를 가압하여 모든 취출 코크(31,32)를 개방시킨다. 이때, 상기 전원공급 케이블(185)은 설치할 필요가 없다.
또한, 상기 수처리 기기(1)의 취출 코크(31,32)가 전자식 밸브로 개폐되는 경우, 상기 전원공급 케이블(185)의 단자를 수처리 기기(1)의 접속단자(51)와 순환모듈(120)의 접속단자(181)에 접속시킨다(도 7 참조). 이때, 상기 전원 공급 케이블(185)은 전자식 밸브에 전원을 인가시킴에 따라 모든 취출 코크(31,32)를 개방시킨다.
한편, 상기 세척장치(100)에 세척제 투입부(121)와 중화제 투입부(122)가 설치되지 않는 경우, 상기 세척장치(120)의 유로에 세척제를 수동으로 투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척장치(100)에 세척제 투입부(121)가 설치되는 경우, 상기 세척제 투입부(121)를 통해서 세척제가 자동으로 투입될 수도 있다.
상기 순환모듈(120)의 전원코드(147)를 외부 전원에 접속시키고, 상기 순환모듈(120)의 스위치(148)를 조작하여 상기 세척장치(100)에 전원이 입력되도록 한 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 기기 세척방법 및 작용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세척장치의 세척방법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순환모듈(120)의 조작부(150)를 조작하여 상기 취출 코크(31,32)의 연결 개수를 설정한다. 그리고, 상기 세척장치(100)의 조작부(150)를 통해 순환 세척 버튼부(151b) 또는 일괄 세척 버튼부(151f)가 선택되면, 상기 세척장치(100)의 제어부(180)에서는 개폐수단(160), 순환 펌프(173), 세척수 감지부(175) 및 유로 전환부(171) 등이 가동된다. 이와 같이 세척 모드가 설정된다(S11).
이때, 상기 세척탱크(119)의 세척수는 순환 펌프(173)의 작동에 의해 상기 순환관(117)을 따라 유동되어 상기 수처리 기기(1)에 공급된다.
상기 수처리 기기(1)의 모든 유로에 세척수가 동시에 공급될 경우, 상기 수처리 기기(1)의 유로 구조에 따라 부분적으로 세척수의 수압 편차가 발생될 수 있다. 즉, 상기 수처리 기기(1)의 일부 정수관에는 세척수의 수압이 높은 반면, 다른 정수관에는 세척수의 수압이 현저히 낮게 작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처리 기기의 모든 유로에 세척수가 동시에 공급되는 경우, 세척수의 수압이 현저히 낮음에 따라 세척이 이루어지지 않는 세척 사영역(dead zone)이 발생되는 경우가 있었다.
상기와 같이 세척 사영역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세척수를 유동시킨다.
상기 세척장치(100)의 제어부(180)는 상기 개폐수단(160)을 제어하여 상기 취출 코크(31,32)들을 1개씩 순차적으로 개방시키면서 상기 수처리 기기(1)의 내부를 일부 유로씩 순차적으로 세척수가 유동되도록 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냉/정수관(11a,11b)과 온수관(11c) 순서로 세척되는 경우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세척장치(100)의 제어부(180)는 연결관(111)과 순환관(117)을 개방시킨다(S12). 이때, 상기 개폐수단(160)은 냉/정수 취출 코크(31)와 연결된 연결포트(131)를 개방시키고 나머지 연결포트(132-134)를 폐쇄시킨다.
또한, 상기 순환 펌프(173)가 가동됨에 따라 상기 정수관(11a)과 냉수관(11b)의 세척수는 냉/정수 취출 코크(31)를 통해 배출된다(S14).
또한, 상기 세척장치(100)의 제어부(180)는 유로 전환부(171)를 순환모드로 전환시킨다(S14). 이때, 상기 세척장치(100)의 제어부(180)는 상기 유로 전환부(171)에 의해 순환관(117)이 개방되고 세척수 배수관(148)이 폐쇄되도록 한다.
상기 냉/정수 취출 코크(31)의 세척수는 순환 펌프(173), 세척수 감지부(175), 유로 전환부(171) 및 순환관(117)을 따라 유동된다. 그리고, 상기 순환관(117)의 세척수는 상기 정수관(11a), 냉수관(11b) 및 냉/정수 취출 코크(31)으로 유동된다.
이러한 과정 동안에 상기 세척수 감지부(175)는 세척수의 수압 또는 유량을 측정하여 세척장치(100)의 제어부(180)에 전달한다.
상기 세척장치(100)의 제어부(180)에서는 세척수의 수압 또는 유량이 기 설 정된 값에 도달되는 않는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순환 펌프(173)를 정지시키고 상기 세척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53) 또는/및 부저(155) 통해 에러 메시지 또는/및 알람을 알려준다. 그렇지 않은 경우 상기 순환 펌프(173)의 가동이 계속적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세척수의 순환이 기 설정된 시간동안 진행되는 동안에 상기 정수관(11a), 냉수관(11b) 및 냉/정수 취출 코크(31)가 세척된다.
다음으로, 상기 세척장치(100)의 제어부(180)는 상기 개폐수단(160)을 가동하여 온수 취출 코크(32)와 연결된 연결포트(132)를 개방시키고 나머지 연결포트(131, 133,134)는 폐쇄시킨다. 이때, 상기 순환 펌프(173)는 개폐수단(160)이 가동되는 동안에 일시적으로 정지하거나 또는 계속적으로 가동될 수 있다.
이어, 상기 세척탱크(119)의 세척수는 온수관(11c)과 온수 취출 코크(32)를 통해 유동된다. 상기 온수 취출 코크(32)의 세척수는 순환 펌프(173), 세척수 감지부(175), 유로 전환부(171) 및 순환관(117)을 따라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순환관(117)에 유입된 세척수는 온수관(11c)과 온수 취출 코크(32)에 유입된다. 따라서, 상기 온수관(11c)과 온수 취출 코크(32)는 세척수가 순환됨에 따라 세척된다.
한편, 상기 온수관(11c)과 온수 취출 코크(32)가 세척되는 동안에 상기 세척수 감지부(175)는 세척수의 수압 또는 유량을 측정하여 세척장치(100)의 제어부(180)에 전달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세척수의 수압 또는 유량이 기 설정된 값에 도달되지 않은 경우 순환 펌프(173)를 정지시키고 에러 메시지 또는/및 알람을 알려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세척장치(100)는 정수관(11a)과 냉수관(11b) 및 냉/정수 취출 코크(31)를 먼저 세척한 후 상기 온수관(11c)과 온수 취출 코크(32)를 세척하므로, 상기 세척수가 유동되는 유로상에서는 세척수의 수압 편차가 거의 발생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처리 기기(1)의 유로를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척장치(100)는 사람의 손이나 세척 도구가 거의 닿을 수 없는 배관(11a,11b,11c)과 취출 코크(31,32)까지 세척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세척장치(100)의 제어부(180)에서 순환 세척 시간에 도달되었다고 판단되면(S15), 상기 순환 펌프(173)가 정지될 수 있다(S16). 또한, 상기 조작부(150)에는 세척 완료에 관한 메시지 또는/및 알람을 디스플레이부(153) 또는/및 부저(155)을 통해 알려줄 수 있다.
상기 세척장치(100)의 제어부(180)는 세척탱크(119) 또는 세척장치(100)의 내부에 중화제 투입이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한다(S17).
중화제 투입이 완료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순환 펌프(173)를 가동한다(S18). 이때, 상기 유로 전환부(171)는 순환관(117)을 개방하고 세척수 배수관(148)을 폐쇄하여 상기 순환 펌프(173)의 세척수가 순환관(117)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세척수를 중화시킬 경우에는 상기 세척 모드시와 마찬가지로 상기 필터부 토출측의 다수의 유로 중 일부 유로씩 순차적으로 세척수를 순환시킬 수 있다. 즉, 중화제가 포함된 세척수는 정수관(11a)과 냉수관(11b) 및 냉/정수 코크(31)를 따라 유동된 다음에 상기 온수관(11c)과 온수 취출 코크(32)를 따라 유동 되면서 중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세척수를 중화시킬 경우, 상기 수처리 기기(1)의 유로에 발생되는 수압차를 최소화시킴으로써 상기 수처리 기기(1)의 유로상에 부착된 세척제가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중화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척수의 중화 모드에서도 수처리 기기의 일부 구간에 세척수가 정체되는 구간을 원천적으로 없앨 수 있다. 또한, 세척수를 중화시킴과 아울러 수처리 기기의 유로상에 부착된 세척제를 세척하도록 한다.
또한, 세척수의 중화 과정 동안에 상기 세척수 감지부(175)는 세척수의 수압 또는 유량을 측정하여 세척장치(100)의 제어부(180)에 전달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세척수의 수압 또는 유량이 기 설정된 값에 도달되지 않은 경우 순환 펌프(173)를 정지시키고 에러 메시지 또는/및 알람을 알려줄 수 있다.
상기 세척장치(100)의 제어부(180)에서는 기 설정된 중화시간에 도달되었다고 판단되면(S19), 상기 유로 전환부(171)를 배수모드로 전환시킨다(S21). 이때, 상기 유로 전환부(171)는 순환관(117)을 폐쇄하고 세척수 배수관(148)을 개방시킨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상기 수처리 기기(1)의 세척수는 중화제에 의해 충분히 중화된 후 상기 세척수 배수관(148)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순환 펌프(173)는 계속적으로 가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척장치(100)의 제어부(180)에서는 중화 모드가 완료되었다는 것을 디스플레이부 또는/및 부저을 통해 알릴 수 있다.
이어, 상기 세척장치(100)의 제어부(180)에서는 상기 배수 모드가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한다(S22). 이때, 상기 세척장치(100)의 제어부(180)는 유로 전환부(171)가 배수모드로 전환된 시간을 적산하거나 또는 상기 세척수 감지부(175)에서 감지된 수압 및 유량을 측정하여 배수 모드 완료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배수 모드가 완료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세척장치(100)의 제어부(180)에서는 디스플레이부 또는/및 부저를 통해 배수 모드 완료를 알린다. 또한, 상기 순환 펌프(173)는 정지된다(S23).
이어, 상기 수처리 기기(1)에 신선한 물을 공급한다(S24). 즉, 상기 세척탱크(119)에 신선한 물을 채운 후 상기 세척탱크(119)의 물을 순환시키거나 수도배관으로부터 물을 공급하여 순환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80)는 기 설정된 시간이 지나면 상기 정수 탱크(21)의 물을 배수시킨다. 상기 제어부(180)에서는 수처리 기기에서 물이 완전히 배수되었는지 판단하여 세정 모드 완료를 판단한다.
상기 세정 모드가 완료되었다고 판단되면(24), 상기 세척장치(100)의 제어부에서는 조작부(150)의 디스플레이부 또는/및 부저를 통해 세정 모드가 완료되었다는 것을 알린다.
상기와 같이, 상기 세척장치는 수처리 기기를 일부 유로씩 세척하고, 세척수를 중화시키며, 잔류한 세척제나 중화제를 깨끗하게 세정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세척장치의 세척후 깨끗한 정수를 마실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수처리 기기의 내부에 손이나 세척 도구가 닿지 않는 부분까지 세척할 수 있으므로, 산업상으로 현저한 이용 가능성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노라인 직수타입 수처리 기기와 세척장치의 연결관계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라인 직수타입 수처리 기기와 세척장치의 연결관계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세척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4는 도 3의 세척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세척장치를 구성하는 연결관과 연결포트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전개도이다.
도 6은 도 3의 세척장치를 구성하는 개폐수단의 일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3의 세척장치의 제어부와 수처리 기기의 제어부가 전원공급 케이블에 연결되는 구조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세척장치의 세척방법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필터부 11: 필터부의 토출측 정수관
20: 냉각장치 30: 히터
31,32: 코크 100: 세척장치
111-114: 연결관 117: 순환관
119: 세척탱크 120: 순환모듈
121: 세척제 투입부 122: 중화제 투입부
131-134: 연결포트 137: 순환포트
144: 배수포트 150: 조작부
160: 개폐수단 161: 하우징
163: 디스크 165: 모터
171: 유로 전환부 173: 순환 펌프
175: 세척수 감지부 180: 제어부
181: 접속단자
Claims (25)
- 수처리 기기의 유로에 세척수를 순환시키도록 수처리 기기의 유로에 연결되는 순환부재;상기 순환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순환부재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탱크; 및상기 순환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수처리 기기의 유로에 세척수를 순환시킴에 의해 상기 수처리 기기의 유로를 세척하는 순환모듈;을 포함하며,상기 순환부재는 상기 수처리 기기의 취출 코크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연결관과, 상기 수처리 기기의 필터 토출측 정수관에 연결되는 순환관을 포함하고,상기 순환모듈은, 상기 연결관과 연통되는 유로들 중 일부 유로씩 순차적으로 개방시킴에 따라 상기 수처리 기기의 필터부 토출측 유로들 중에서 일부 유로씩 순차적으로 세척수를 순환시키는 개폐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기기용 세척장치.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세척탱크는 순환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기기용 세척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순환부재에는 세척수를 여과시키기 위한 메쉬망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기기용 세척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연결관과 순환관의 양단에는 커넥터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기기용 세척장치.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개폐수단은:상기 연결관들이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도록 다수의 연결포트가 형성된 하우징;상기 연결포트들에 대응되도록 개구홀이 형성된 디스크; 및상기 디스크를 회전시킴에 의해 상기 개구홀이 해당 연결포트에 대응됨에 따라 해당 연결포트를 개방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기기용 세척장치.
- 제 7 항에 있어서,상기 각 연결포트에는 상기 연결관이 연결될 때에는 연결포트를 개방시키는 반면 연결관이 연결되지 않을 때에는 연결포트를 폐쇄시켜 공기의 유입을 차단하는 체크밸브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기기용 세척장치.
- 제 7 항에 있어서,상기 개폐수단의 하우징에는,상기 연결포트들에 각각 연결되는 다수의 연결유로부와,상기 연결유로부들을 하나로 연결하여 상기 순환관측에 연결되는 통합유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기기용 세척장치.
- 제 7 항에 있어서,상기 개폐수단은 연결관들이 결합되는 연결포트들에 개별적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솔레노이드 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기기용 세척장치.
- 제 7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상기 순환모듈은 수처리 기기의 취출 코크의 개수에 따라 상기 연결포트들의 개폐 개수를 설정할 수 있도록 조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기기용 세척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순환모듈의 상면에는 연결관이 결합되도록 연결포트가 형성되고,상기 순환모듈의 측면에는 순환관이 결합되도록 순환포트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기기용 세척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순환모듈은:상기 순환부재에 연결되는 세척수 배수관; 및상기 순환부재와 세척수 배수관의 연결 부분에 결합되어 세척수의 유로를 전환시키는 유로 전환부; 및상기 순환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수처리 기기 또는 세척수 배수관 측으로 선택적으로 세척수를 유동시키는 순환 펌프;를 포함하는 수처리 기기용 세척장치.
- 제 13 항에 있어서,상기 순환모듈은 세척수의 유동을 측정하여 오작동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세척수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기기용 세척장치.
- 제 14 항에 있어서,상기 세척수 감지부는 순환 펌프의 세척수 토출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기기용 세척장치.
- 제 15 항에 있어서,상기 세척수 감지부는 유압센서 또는 유량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기기용 세척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47175A KR101647646B1 (ko) | 2009-05-28 | 2009-05-28 | 수처리 기기용 세척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47175A KR101647646B1 (ko) | 2009-05-28 | 2009-05-28 | 수처리 기기용 세척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128660A KR20100128660A (ko) | 2010-12-08 |
KR101647646B1 true KR101647646B1 (ko) | 2016-08-11 |
Family
ID=43505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47175A KR101647646B1 (ko) | 2009-05-28 | 2009-05-28 | 수처리 기기용 세척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47646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38344B1 (ko) * | 2013-08-28 | 2015-07-22 | (주) 테크로스 | 중화장치의 배관 구조 및 이의 세척 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206301A (ja) * | 2002-12-24 | 2004-07-22 | Benten:Kk | 冷温水機の殺菌装置 |
KR100656379B1 (ko) * | 2005-03-10 | 2006-12-11 | 김원영 | 냉온수기 및 정수기의 소독을 위한 소독 장치 |
KR20090047585A (ko) * | 2007-11-08 | 2009-05-13 | 주식회사 웰테크놀러지 | 저수조 및 수 라인을 자동으로 소독하는 정수기 및 그정수기의 소독방법 |
-
2009
- 2009-05-28 KR KR1020090047175A patent/KR101647646B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128660A (ko) | 2010-12-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73395B1 (ko) | 수처리 기기용 세척장치 | |
JP2012528000A5 (ko) | ||
US9096446B2 (en) | Water purifying apparatus having cleaning system | |
KR101647646B1 (ko) | 수처리 기기용 세척장치 | |
KR101164160B1 (ko) | 수처리 기기용 세척장치 | |
CN105776685A (zh) | 净水器 | |
KR101164161B1 (ko) | 수처리 기기의 세척방법 | |
KR101576832B1 (ko) | 수처리 기기용 세척장치 및 그 세척방법 | |
KR20100089483A (ko) | 정수기의 세정방법 | |
KR101510630B1 (ko) | 수처리 기기용 세척장치 | |
KR101510629B1 (ko) | 수처리 기기용 세척장치 및 그 세척방법 | |
KR101164162B1 (ko) | 수처리 기기의 세척방법 | |
KR101777232B1 (ko) | 용액 저장 용기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 기기용 세척장치 및 그 세척방법 | |
KR20160041877A (ko) | 수처리 기기 세척방법 | |
KR101707427B1 (ko) | 수처리기기, 수처리기기용 세척장치 및 수처리기기 세척방법 | |
KR101335813B1 (ko) | 정수기의 세척장치 및 세척방법 | |
KR20100131241A (ko) | 수처리 기기용 세척장치 | |
KR20120075791A (ko) | 수처리기기용 세척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기기 세척방법 | |
KR20110081137A (ko) | 수처리 기기 세척방법 | |
KR20130080111A (ko) | 수처리 기기의 세척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수처리 기기 및 세척키트 | |
KR20130096521A (ko) | 무선통신을 이용한 수처리 기기의 세척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수처리 기기 및 세척키트 | |
KR101364024B1 (ko) | 세정시스템이 구비된 정수기 | |
KR20100132706A (ko) | 수처리 기기 및 그 세척방법 | |
KR20240029285A (ko) | 정수기에서의 살균 세정 시스템 | |
KR101304818B1 (ko) | 정수기 살균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626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