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9285A - 정수기에서의 살균 세정 시스템 - Google Patents

정수기에서의 살균 세정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9285A
KR20240029285A KR1020220107563A KR20220107563A KR20240029285A KR 20240029285 A KR20240029285 A KR 20240029285A KR 1020220107563 A KR1020220107563 A KR 1020220107563A KR 20220107563 A KR20220107563 A KR 20220107563A KR 20240029285 A KR20240029285 A KR 202400292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water
control unit
housing
sterilization clea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75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민제
배정현
김수민
홍두나
한주호
김창진
Original Assignee
쿠쿠홈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쿠쿠홈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쿠쿠홈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075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29285A/ko
Publication of KR202400292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92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7Cleaning beverage-dispens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03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 B67D1/0014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the beverage being supplied from water m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42Details of specific parts of the dispensers
    • B67D1/0081Dispensing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78Safety, warning or controlling devices
    • B67D1/0882Devices for controlling the dispensing conditions
    • B67D1/0884Means for controlling the parameters of the state of the liquid to be dispensed, e.g. temperature,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95Heat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202Flow control, e.g. for controlling total amount or mixture ratio of liquids to be dispensed
    • B67D1/1204Flow control, e.g. for controlling total amount or mixture ratio of liquids to be dispensed for ratio control purposes
    • B67D1/1206Flow det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202Flow control, e.g. for controlling total amount or mixture ratio of liquids to be dispensed
    • B67D1/1234Flow control, e.g. for controlling total amount or mixture ratio of liquids to be dispensed to determine the total amou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7Cleaning beverage-dispensing apparatus
    • B67D2001/075Sanitising or sterilising the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02Purifying means
    • B67D2210/00005Filters
    • B67D2210/0001Filters for liquid

Landscapes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수기에서의 살균 세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필터의 교환 방식으로 정수기 내의 유로에 대한 살균 기능뿐만 아니라, 스케일 물질의 제거를 수행하는 세정 기능을 수행하는 정수기에서의 살균 세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인 정수기에서의 살균 세정 시스템은 교체 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우징을 포함하는 필터부를 구비하여 원수를 공급 받아 정수 처리하여 정수를 공급하는 정수 공급부와, 상기 정수 공급부로부터 정수를 공급 받아 정수 또는 냉수 또는 온수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공급수를 코크부를 통하여 출수하는 출수부와, 상기 출수부의 공급수를 배수관으로 배수시키는 배수부와, 상기 하우징의 교체에 대응하는 사용자에 의한 동작을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에 인가하는 교체 감지부와, 상기 교체 감지부로부터 인가된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하우징이 교체된 경우, 상기 교체된 하우징의 종류에 따라서, 정수 공급부와 출수부 및 배수부를 제어하여 상기 공급수를 출수시키거나 배수시키며 살균 세정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정수기에서의 살균 세정 시스템{STERILIZATION-CLEANING SYSTEM IN WATER PURIFIER}
본 발명은 정수기에서의 살균 세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필터의 교환 방식으로 정수기 내의 유로에 대한 살균 기능뿐만 아니라, 스케일 물질의 제거를 수행하는 세정 기능을 수행하는 정수기에서의 살균 세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기는 본체 내부에 설치된 여러 단계의 필터에 의해 수돗물이나 지하수 등의 원수에 포함되어 있는 인체에 유해한 각종 유해성분을 여과시킴으로써 안전하고 위생적인 먹는 물로 전환시키는 장치이다.
정수기는 이를 위해서 필터를 통과한 정수된 물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출수구로 공급 가능하도록, 냉수 유로와 온수 유로 그리고 정수 유로 등을 형성하고, 기계식 또는 전자식 밸브로 물의 흐름을 제어하는 장치이다.
종래에는 전기분해 살균세정모듈이 정수기 내부에 장착되어 살균 세정을 수행하거나, 정수기 외부에 전기분해, 가열 등의 방식이 적용된 살균세정모듈이 장착된 살균세정장치를 이용하여 정수기 탱크 및 배관을 살균 세정하였다. 내부에 장착된 살균세정모듈은 일반적으로 전기분해로 차아염소산을 발생시켜 살균에 국한되어 있었다. 또한, 살균세정모듈 등에 의해 발생한 살균력을 가진 물을 내부 유로 순환 펌프로 순환 살균하는 별도의 키트로 살균 서비스를 시행하는데, 이는 별도의 장치가 필요하고 소비자가 직접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물의 경도가 높은 지역에서는 탱크나 배관에, 특히 히터부를 포함하는 온수 유로(또는 초고온수 유로)에 석회질과 같은 스케일 물질의 침적이 빈번하게 발생되며, 이러한 스케일 물질의 침적에 의해 정수기의 성능 저하뿐만 아니라, 유로 막힘 등의 고장이 발생될 수 있다. 종래의 살균세정모듈은 살균 기능만을 제공하기에,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없다.
본 발명은 필터의 교환 방식으로 정수기 내의 유로에 대한 살균 기능뿐만 아니라, 스케일 물질의 제거를 수행하는 세정 기능을 수행하는 정수기에서의 살균 세정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인 정수기에서의 살균 세정 시스템은 교체 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우징을 포함하는 필터부를 구비하여 원수를 공급 받아 정수 처리하여 정수를 공급하는 정수 공급부와, 상기 정수 공급부로부터 정수를 공급 받아 정수 또는 냉수 또는 온수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공급수를 코크부를 통하여 출수하는 출수부와, 상기 출수부의 공급수를 배수관으로 배수시키는 배수부와, 상기 하우징의 교체에 대응하는 사용자에 의한 동작을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에 인가하는 교체 감지부와, 상기 교체 감지부로부터 인가된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하우징이 교체된 경우, 상기 교체된 하우징의 종류에 따라서, 정수 공급부와 출수부 및 배수부를 제어하여 상기 공급수를 출수시키거나 배수시키며 살균 세정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필터부에 살균 세정 약품을 수용하는 하우징을 장착함으로써, 정수기의 유로나 히터부나 코크부에 대한 살균뿐만 아니라, 침적되는 스케일을 세정하여 제거할 수 있으며, 스케일 등의 이물질에 의한 유로 막힘을 해결하고, 살균 세정 약품을 안전하게 배수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살균 세정 기능의 수행 중에 제어가 일시 정지된 경우에 일반 필터 하우징으로의 교체를 안내하여 안전하게 정수를 공급하며, 살균 세정컵의 장착 여부를 지속적으로 판단하여 살균 세정 약품이 정수기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살균 세정 시스템의 유로 및 제어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필터부에 장착되는 필터들의 예시들이다.
도 3은 도 1의 살균 세정 시스템의 제어 순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단계(S9)의 제 1 살균 세정 기능의 상세 순서도이다.
도 5는 도 3의 단계(S11)의 제 2 살균 세정 기능의 상세 순서도이다.
도 6은 일시 정지 기능에 대한 상세 순서도이다.
도 7은 살균 세정컵의 이탈 시의 제어에 대한 상세 순서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와 도면을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살균 세정 시스템의 유로 및 제어 구성도이다.
정수기의 살균 세정 시스템은 정수기의 구조와 살균 세정을 위한 구조를 모두 포함하여 구성된다.
살균 세정 시스템은 필터부(1)와 유량 센서(3)와 제 1 입수 밸브(5)로 구성된 제 1 정수 공급부와, 필터부(1)와 유량 센서(3)와 제 2 입수 밸브(9)로 구성된 제 2 정수 공급부를 포함하는 정수 공급부를 구비하고, 정수 공급부는 원수를 공급 받아 정수 처리하여 정수를 공급한다.
살균 세정 시스템은 제 1 정수 공급부에 연결되며 제 1 출수 밸브(7)로 구성된 정수 출수부를 구비하고, 정수 출수부는 제 1 정수 공급부로부터 정수를 공급 받아 코크부(21)를 통하여 정수를 출수시킨다.
살균 세정 시스템은 제 2 정수 공급부에 연결되며 냉각부(13)와 제 1 출수 밸브(7)로 구성된 냉수 출수부를 구비하고, 냉수 출수부는 제 2 정수 공급부로부터 정수를 공급 받아 냉수를 생성하여 코크부(21)를 통하여 냉수를 출수시킨다.
살균 세정 시스템은 제 2 정수 공급부에 연결되며 히터부(15) 및 제 2 출수 밸브(17)로 구성된 온수 출수부를 구비하고, 온수 출수부는 제 2 정수 공급부로부터 정수를 공급 받아 온수를 생성하여 코크부(21)를 통하여 온수를 출수시킨다.
살균 세정 시스템은 정수 출수부와 냉수 출수부에 연결되며 제 1 배수 밸브(25)로 구성된 제 1 배수부와, 온수 출수부에 연결되며 제 2 배수 밸브(27)로 구성된 제 2 배수부(또는 온수 배수부)를 구비하고, 제 1 배수부는 정수 및/또는 냉수를 배수관으로 배수시키고, 제 2 배수부는 히터부(15)에서 공급되는 온수를 배수관으로 배수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배수부와 제 2 배수부는 배수부로 통칭될 수 있다. 또한, 제 1 배수부는 정수 배수부와 냉수 배수부로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다 자세하게는, 외부로부터 원수를 입수 또는 공급 받아 정수 처리하여 정수를 공급하는 필터부(1)와, 필터부(1)로부터 공급되는 정수의 유량을 감지하여 감지된 유량(또는 입수 유량)이나 그에 대응하는 값을 포함하는 유량 감지 신호를 제어부(50)에 인가하는 유량 센서(3)는 제 1 및 제 2 정수 공급부에 공통적으로 구비된다. 즉, 유량 센서(3)는 정수 공급부를 통하여 공급되는 정수의 유량을 감지하는 것이다.
필터부(1)는 교체 가능하며 필터나 살균 세정 약품을 수용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우징을 구비한다. 필터부(1)는 원수를 입수 받는 공급 배관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며, 원수가 공급 배관을 통하여 필터부(1)에 공급되고, 공급된 원수는 필터부(1)에서 정수 처리된 이후에 필터부(1)로부터 배출되어 유량 센서(3)에 공급된다. 필터부(1)가 복수의 하우징을 구비할 경우, 개별 하우징 각각이 독립적으로 공급 배관으로부터 분리되거나 공급 배관으로 장착될 수 있다. 필터부(1)에 대해서는, 도 2에서 상세하게 기재된다.
제 1 정수 공급부는 필터부(1)와 유량 센서(3) 이외에, 제어부(50)에 의해 제어되어 유량 센서(3)로부터의 정수의 공급 및 차단을 수행하는 제 1 입수 밸브(5)를 구비한다. 제 1 입수 밸브(5)는 제어부(50)의 개방 제어에 의해 개방되고 제어부(50)의 폐쇄 제어에 의해 폐쇄된다. 또한, 제 1 정수 공급부는 유량 센서(3)와 제 1 입수 밸브(5) 사이에 정수를 일방향(유량 센서(3)로부터 제 1 입수 밸브(55)로의 방향)으로만 흐르거나 공급되도록 하는 제 1 체크 밸브(CV1)를 구비할 수 있다.
제 2 정수 공급부는 필터부(1)와 유량 센서(3) 이외에, 제어부(50)에 의해 제어되어 유량 센서(3)로부터의 정수의 공급 및 차단을 수행하는 제 2 입수 밸브(9)를 구비한다. 제 2 입수 밸브(9)는 제어부(50)의 개방 제어에 의해 개방되고 제어부(50)의 폐쇄 제어에 의해 폐쇄된다.
정수 출수부는 제어부(50)에 의해 제어되어 제 1 입수 밸브(11)로부터 공급되는 정수를 코크부(21)를 통하여 출수시키는 제 1 출수 밸브(7)를 구비한다. 제 1 출수 밸브(7)는 제어부(50)의 개방 제어에 의해 개방되고 제어부(50)의 폐쇄 제어에 의해 폐쇄된다.
냉수 출수부는 제어부(50)에 의해 제어되어 제 2 입수 밸브(9)로부터 공급되는 정수를 냉각하여 냉수를 생성하는 냉각부(13)와, 제어부(50)에 의해 제어되며 냉각부(13)로부터 공급되는 냉수를 코크부(21)를 통하여 출수시키는 제 1 출수 밸브(7)를 구비한다. 제 1 출수 밸브(7)는 제어부(50)의 개방 제어에 의해 개방되고 제어부(50)의 폐쇄 제어에 의해 폐쇄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출수 밸브(7)는 냉수 출수부와 정수 출수부에 공통적으로 구비되어, 제어부(50)의 제어에 의해 냉수 또는 정수를 선택적으로 출수시킨다.
온수 출수부는 제어부(50)에 의해 제어되어 제 2 입수 밸브(9)로부터 공급되는 정수를 가열하여 온수를 생성하는 히터부(15)와, 제어부(50)에 의해 제어되어 히터부(15)로부터 공급되는 온수를 코크부(21)를 통하여 출수시키는 제 2 출수 밸브(17)를 구비한다. 제 2 출수 밸브(17)는 제어부(50)의 개방 제어에 의해 개방되고 제어부(50)의 폐쇄 제어에 의해 폐쇄된다.
제 1 배수부는 제어부(50)에 의해 제어되어 제 1 입수 밸브(5)에서 제 1 출수 밸브(7)로 공급되는 정수 및/또는 냉각부(13)로부터 제 1 출수 밸브(7)로 공급되는 냉수를 배수관으로 배출시키는 제 1 배수 밸브(25)를 구비한다. 제 1 배수 밸브(25)는 제어부(50)의 개방 제어에 의해 개방되고 제어부(50)의 폐쇄 제어에 의해 폐쇄된다.
제 2 배수부는 제어부(50)에 의해 제어되어 히터부(15)에서 제 2 출수 밸브(17)로 공급되는 온수를 배수관으로 배출시키는 제 2 배수 밸브(27)를 구비한다. 제 2 배수 밸브(27)는 제어부(50)의 개방 제어에 의해 개방되고 제어부(50)의 폐쇄 제어에 의해 폐쇄된다.
본 실시예에서, 살균 세정 시스템에서의 전체 유로는 정수 공급부, 정수 출수부, 온수 출수부, 냉수 출수부, 배수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통칭될 수 있다.
살균 세정 시스템은 제 2 입수 밸브(9)와 히터부(15) 사이와, 유량 센서(3)로부터 제 1 입수 밸브(5) 사이에 위치되어 온수와 정수 간의 혼합을 방지하기 위해 제 2 입수 밸브(9)로부터의 정수를 한 방향으로 흐르거나 공급되도록 하는 제 2 체크 밸브(CV2)를 구비할 수 있다.
냉각부(13) 및 히터부(15)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널리 알려진 기술에 해당되어, 그 상세한 설명이 생략된다.
정수 공급부는 정수 출수부와 냉수 출수부 및 온수 출수부로 정수를 공급하며, 일실시예로서, 제 1 정수 공급부는 정수 출수부로 정수를 공급하며, 제 2 정수 공급부는 냉수 출수부와 온수 출수부로 정수를 공급하는 것이 기재된다. 본 실시예에서, 정수 출수부와 냉수 출수부 및 온수 출수부는 출수부로 통칭될 수 있다.
살균 세정 시스템은 원수 배관(미도시)으로부터 필터부(1)로의 유로 상에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원수 차단 밸브(미도시)를 구비하며, 원수 차단 밸브의 개방 상태에서 원수 배관으로부터 필터부(1)로 원수가 공급될 수 있다. 원수 차단 밸브의 폐쇄 상태에서는 원수 배관으로부터 필터부(1)로 원수가 공급되지 않는다.
살균 세정 시스템은 내부에 정수 공급부와 출수부 및 배수부가 장착되는 수용 공간이 형성된 본체 케이스와, 본체 케이스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코크부(21)와, 코크부(21)의 하측에 형성되어 일반 컵이나 살균 세정컵이 안착되는 받침부와, 본체 케이스 내의 수용 공간에 장착되는 필터부(1)의 교환이나 교체를 위해 본체 케이스에 형성된 개방부와, 개방부에 결합되어 개방부를 폐쇄시키고 개방부로부터 분리되어 개방부를 개방시키는 커버를 구비한다. 받침부는 물받이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살균 세정컵 및 코크부(21)는 본 발명의 출원인이 등록한 등록특허공보 제10-1740591호에서의 살균컵과 취수코크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조를 지니며, 동일한 방식으로 코크부(21)에 대한 살균 세정이 수행될 수 있기에, 그 상세한 설명이 생략된다.
살균 세정 시스템은 정수 공급부에 장착되어 정수의 온도를 감지하여 감지된 온도인 제 1 온도를 제어부(50)에 인가하는 제 1 온도 센서(31)와, 냉수 출수부에 포함된 냉각부(13)에 장착되어 냉수의 온도를 감지하여 감지된 온도인 제 2 온도를 제어부(50)에 인가하는 제 2 온도 센서(33)와, 온수 출수부에 포함된 히터부(15)에 장착되어 온수의 온도를 감지하여 감지된 온도인 제 3 온도를 제어부(50)에 인가하는 제 3 온도 센서(35)를 구비한다.
살균 세정 시스템은 제 2 입수 밸브(9)로부터 냉각부(13) 및 히터부(15)로 공급되는 정수에 접촉하여 정수의 전기적 특성값(예를 들면, 저항, 전류, 전압 등)을 감지하거나 측정하여, 감지 특성값을 제어부(50)에 인가하는 전극 센서(11)와, 사용자로부터 입력(예를 들면, 출수 종류(온수, 정수, 냉수)의 선택, 출수 용량의 선택, 온수 목표 온도, 냉수 목표 온도, 살균 세정 선택, 일시 정지 선택, 일시 정지 해제 선택 등)을 획득하여 제어부(50)에 인가하는 입력부(37)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39)와, 제어부(50)로부터 인가되는 정보(예를 들면, 출수 종류, 출수 용량, 온수 목표 온도, 냉수 목표 온도, 살균 세정 동작 등)를 시각적으로 또는 청각적으로 표시하는 표시부(41)와, 살균 세정컵이 안착되거나 장착되었는지를 감지하여, 감지(장착, 미장착)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50)에 인가하는 컵 감지부(43)와, 필터부(1)의 하우징 교체에 대응하는 동작을 감지하여, 감지(교체, 미교체)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50)에 인가하는 교체 감지부(45)와, 전원부(39)로부터 전원을 공급 받아 상술된 정수 공급부와 출수부 및 배수부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을 제어하여 정수 출수, 냉수 출수, 온수 출수, 온수 배수, 살균 세정 기능, 필터 플러싱 기능 등을 수행하는 제어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만, 입력부(37)와 전원부(39) 및 표시부(41)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널리 알려진 기술에 해당되어, 그 상세한 설명이 생략된다.
전극 센서(11)는 정수에 접촉하는 복수의 금속 전극 단자들을 구비하여, 정수의 전기적 특성값을 감지하거나 측정하여, 감지 특성값을 제어부(50)에 인가한다. 정수의 전기적 특성값은 저항, 전류, 전압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전극 센서(11)는 기설정된 전압을 금속 전극 단자들에 인가하고, 전류를 감지하거나 측정하고, 감지 특성값인 전류를 제어부(50)에 인가하고, 제어부(50)는 전극 센서(11)의 기설정된 전압 크기를 저장하고 있으며, 감지 특성값의 전류와 기설정된 전압을 이용하여 정수의 저항을 산정할 수 있다. 한국의 정수(또는 수도수)는 200 mmho/cm 전후의 전기 전도도를 지니고, 살균 세정 약품이 포함된 정수의 전기 전도도는 1000 mmho/cm 이상이다. 저항은 전기 전도도의 역수와 비례하므로, 제어부(50)는 물(정수, 온수, 냉수)의 저항 또는 저항값을 이용하여, 물에 살균 세정 약품이 포함되어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50)는 이러한 판단을 위해 기준 감지 특성값을 저장하며, 기준 감지 특성값은 물에 살균 세정 약품이 포함되지 않은 경우의 감지 특성값에 해당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어부(50)는 산정된 감지 특성값이 기준 감지 특성값과 같거나 기준 감지 특성값의 오차 범위(0.5~5%) 이내이면 물에 살균 세정 약품이 포함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산정된 감지 특성값이 기준 감지 특성값보다 크거나, 기준 감지 특성값의 오차 범위(0.5~5%)를 벗어나서 크면, 물에 살균 세정 약품이 포함된 것으로 판단한다. 전극 센서(11)는 제 1 입수 밸브(5)와 제 1 출수 밸브(7) 사이의 정수 출수부에 장착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컵 감지부(43)는 기설정된 위치(예를 들면, 받침부)에 살균 세정컵이 안착되거나 장착되었는지를 감지하여, 감지(장착, 미장착)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50)에 인가한다. 여기서, 살균 세정컵은 살균 세정 기능의 수행 중에 출수부 및 코크부(21)를 통하여 출수되는 살균 세정수를 담거나 수용하기 위한 컵이다. 살균 세정 기능 중에 출수되는 살균 세정수는 물받이의 수용 용량 이상이기에, 이러한 살균 세정컵이 받침부에 안착되거나 장착된 이후에 살균 세정 기능이 수행되도록 하여 살균 세정수가 살균 세정 시스템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한다. 컵 감지부(43)는 적외선 센서, 초음파 센서, 홀 센서, 정전용량센서, 기계적 감지 센서 중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살균 세정컵에는 자석이 부착되어 있고, 컵 감지부(43)는 자석으로부터 자력을 감지하는 홀 센서를 포함한다. 컵 감지부(43)는 살균 세정컵을 감지하는 방식에 따라서, 받침부에 장착되거나 본체 케이스에 장착될 수 있다. 제어부(50)는 인가된 감지 신호에 따라서 살균 세정컵의 장착 여부를 판단하거나 확인한다.
다음으로, 교체 감지부(45)는 필터부(1)의 하우징 교체에 대응하는 사용자에 의한 동작(예를 들면, 커버의 분리 및 결합, 하우징의 분리 및 결합 등)을 감지하여, 감지(교체, 미교체)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50)에 인가한다. 교체 감지부(45)는 커버와 개방부 간의 분리 및/또는 커버와 개방부 간의 결합을 감지하는 도어 센서나 하우징의 분리 및/또는 결합을 감지하는 장착 감지 센서(예를 들면, 버튼 눌림 감지 센서 등)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어부(50)는 인가된 감지 신호에 따라서 필터부(1)의 하우징 교체 여부를 판단하거나 확인한다.
제어부(50)는 제 1 및 제 2 입수 밸브(5), (9)와 제 1 및 제 2 출수 밸브(7), (17)와 제 1 및 제 2 배수 밸브(7), (27)를 폐쇄 제어하여 폐쇄 상태를 유지시키는 대기 상태나 대기 동작을 수행한다.
제어부(50)는 하우징의 교체가 발생된 경우에, 하우징의 종류에 따라서 살균 세정 기능 또는 필터 플러싱 기능을 선택적으로 수행한다. 하우징의 종류는 일반 필터 하우징과, 살균 세정 하우징, 살균 세정 필터 하우징으로 구별될 수 있다. 일반 필터 하우징은 일반 필터를 구비하는 것으로, 일반 필터 하우징 내에 구비되는 일반 필터(또는 필터 소재)는 예를 들면, 활성탄 필터, 블록활성탄 필터, 세디먼트 필터, 플리티드 필터, 양전하 필터, 중공사막필터, 이들을 조합한 복합필터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살균 세정 필터 하우징은 상술된 일반 필터와 함께 살균 세정 약품이 구비되는 것으로, 살균 세정 약품은 분말 형태나 티백 내에 투입된 형태로 하우징 내부에 수용된다. 살균 세정 하우징은 일반 필터 없이, 살균 세정 약품만이 구비되는 것으로, 살균 세정 약품은 분말 형태나 티백 내에 투입된 형태로 하우징 내부에 수용된다. 일반 필터 하우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널리 알려진 기술에 해당되어, 그 상세한 설명이 생략된다. 살균 세정 하우징과 살균 세정 필터 하우징에 대해서는 도 2에서 상세하게 기재된다.
제어부(50)가 하우징의 종류에 따라서 수행하는 살균 세정 기능과 필터 플러싱 기능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상세하게 기재된다.
도 2는 도 1의 필터부에 장착되는 필터들의 예시들이다.
도 2의 (a) 및 (b)는 살균 세정 필터 하우징(100a, 100b)으로서 필터 기능을 구비하고, 도 2의 (c) 및 (d)는 살균 세정 하우징(110a, 110b)으로서 필터 기능을 구비하지 않는다.
도 2의 (a)의 살균 세정 필터 하우징(100a)은 내부에 수용 공간(S1)이 구비되며, 수용 공간(S1)과 연통되어 원수가 유입되는 인입구(104a)와, 수용 공간(S1)과 연통되어 정수 처리된 정수가 인출되는 인출구(104b)를 구비하는 하우징(102)과, 수용 공간(S1) 내에서 삽입 수용되며 상하 방향으로 중앙 유로(106a)가 형성된 필터 소재(또는 필터)(106)와, 필터 소재(106)의 상측을 고정하며 중앙 유로(106a)와 인출구(104b)를 연통시키는 중공(108)이 형성된 필터 소재 상측캡(107a)과, 필터 소재(106)의 하측을 고정하는 필터 소재 하측캡(107b)을 구비한다. 필터 소재(106)는 상술된 바와 같이, 활성탄 필터, 블록활성탄 필터, 세디먼트 필터, 플리티드 필터, 양전하 필터, 중공사막필터, 이들을 조합한 복합필터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살균 세정 필터 하우징(100a)에서, 원수는 인입구(104a)를 통하여 필터 소재 상측캡(107a)을 관통하여 필터 소재(106) 외측으로 유입된 후, 필터 소재(106)를 통하여 중앙 유로(106a)로 유입되면서 정수 처리된 후, 살균 세정 약품(130)과 접촉한 후 살균 세정수가 중공(108)과 인출구(104b)를 통하여 유출된다.
본 실시예에서의 살균 세정 필터 하우징(100a)은 투과성 재질의 케이스(예를 들면, 티백 형태)를 지니며 케이스 내부에 살균 세정 약품의 가루를 수용하는 약품부(130)를 추가적으로 포함하여 구성된다. 약품부(130)가 구비되지 않거나 살균 세정 약품이 모두 배출된 살균 세정 필터 하우징은 일반 필터 하우징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약품부(130)는 필터 소재(106)의 중앙 유로(106a) 내에 위치되며, 내부의 살균 세정 약품의 가루가 정수에 녹아서 정수와 함께 인출구(104b)를 통하여 배출된다. 본 실시예에서, 살균 세정 약품은 구연산, 인산, 차염소산나트륨, 과탄산소다, 탄산칼슘, 산화칼슘, 리모넨, 이디티에이4나트륨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의 (b)인 살균 세정 필터 하우징(100b)은 약품부(130) 대신에 고체 형태의 살균 세정 약품(132)이 중앙 유로(106a) 내에 위치되는 것과, 중앙 유로(106a)과 중공(108) 사이에 살균 세정 약품(132)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유출 방지부(109)가 구비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살균 세정 필터 하우징(100a)과 동일하다.
살균 세정 약품(132)은 고체 형태이나, 정수나 원수에 잘 녹게 하기 위해 기능성 발포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유출 방지부(109)는 살균 세정 필터 하우징(100b) 내의 살균 세정 약품(132)이 유출구(104b)를 통하여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투과성 재질이며, 예를 들면 부직포나 메쉬 구조 재질로 이루어진다.
다른 실시예로서, 필터 소재 자체가 살균 세정 약품을 포함하여 구성되거나, 필터 소재 내부에 살균 세정 약품이 포함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상술된 살균 세정 필터 하우징(100a), (100b)는 살균 세정 필터 하우징(100)으로 통칭된다. 이 살균 세정 필터 하우징(100)은 살균 세정 기능을 수행한 이후에는 살균 세정 약품이 모두 배출된 상태이므로, 일반 필터 하우징과 동일한 기능이나 역할을 수행한다.
도 2의 (c)의 살균 세정 하우징(110a)은 도 2의 (a) 및 (b)와 동일한 하우징(102)과, 하우징(102)의 수용 공간(S1)에 약품부(130)를 구비한다.
도 2의 (d)의 살균 세정 하우징(110b)은 도 2의 (a) 및 (b)와 동일한 하우징(102)과, 하우징(102)의 수용 공간(S1)에 고체 형태의 살균 세정 약품(132)과, 인입구(104a)로의 살균 세정 약품(132)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제 1 유출 방지부(109a)와, 인입구(104) 및/또는 인출구(104b)로의 살균 세정 약품(132)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제 2 유출 방지부(109b)를 구비한다.
상술된 살균 세정 하우징(110a), (110b)는 살균 세정 하우징(110)으로 통칭된다. 이 살균 세정 하우징(110)은 살균 세정 기능을 수행한 이후에는 다른 기능(정수 처리 기능)을 수행할 수 없기에, 일반 필터 하우징으로 교체되어야 한다.
이러한 교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살균 세정 필터 하우징(100)과 살균 세정 하우징(110)을 구별하는 방법도 제시된다. 필터기능이 있는 살균 세정 필터 하우징(100)과 살균 세정 하우징(110)의 구별은 수용 공간(S1)의 용량이 동일하더라도 필터 유무로 인하여, 내부에 원수가 채워지는 양이 상이하게 된다. 즉, 살균 세정 하우징(110)을 채우기 위한 원수의 양(예를 들면, 300㎖)이 살균 세정 필터 하우징(100)을 채우기 위한 원수의 양(예를 들면, 100㎖)보다 많게 되므로, 내부가 채워지는 속도도 상이하게 된다. 예를 들면, 원수의 유입 속도가 1.5L/min(25mL/sec)인 경우, 살균 세정 하우징(110)을 원수로 채우기 위해서는 대략 12초 이상이 소요되며, 살균 세정 필터 하우징(100)을 원수로 채우기 위해서는 4초 이상이 소요된다. 이러한 원수가 하우징을 채우는 속도나 시간을 이용하여 제어부(50)는 하우징이 필터 소재를 포함하고 있는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제어부가(50)가 정수 공급부와 출수부를 제어하여 정수 또는 온수 또는 냉수를 출수시킬 때, 또는 정수 공급부와 배수부를 제어하여 정수 또는 온수 또는 냉수를 배수시킬 때, 하우징이 채워진 이후에 유량 센서(3)에서 유량이 감지되고 전극 센서(11)에서의 감지 특성값이 변화된다. 제어부(50)는 출수 동작의 시작 시점부터 유량의 감지 시점(또는 변화 시점)까지의 제 1 경과 시간 및/또는 출수 동작의 시작 시점부터 감지 특성값의 변화 시점까지의 제 2 경과 시간을 이용하여 하우징에 필터 소재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제어부(50)는 살균 세정 필터 하우징(100)과 살균 세정 하우징(110) 각각을 구별할 수 있다. 여기서, 유량의 감지 시점(또는 변화 시점)은 제어부(50)가 유량 센서(3)로부터 유량 감지 신호를 인가 받은 시점이나, 유량 감지 신호에 대응하는 유량이 변화된 시점에 해당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어부(50)는 하우징에 필터 소재가 포함된 경우의 최저 경과 시간들로서, 출수 동작의 시작 시점부터 유량의 감지 시점(또는 변화 시점)까지의 제 1 기준 경과 시간 및/또는 출수 동작의 시작 시점부터 감지 특성값의 변화 시점까지의 제 2 기준 경과 시간을 포함하는 기준 경과 시간을 저장한다. 제어부(50)는 출수 동작의 시작 시점부터 제 1 경과 시간을 산정하고, 산정된 제 1 경과 시간이 제 1 기준 경과 시간보다 크거나 같으면, 하우징에 필터 소재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또는, 제어부(50)는 출수 동작의 시작 시점부터 제 2 경과 시간을 산정하고, 산정된 제 2 경과 시간이 제 2 기준 경과 시간보다 크거나 같으면, 하우징에 필터 소재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본 실시예에서, 살균 세정 필터 하우징과 살균 세정 하우징을 구별하기 위해, 하우징에 필터 소재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과정에서, 유량 센서(3)가 이용되고 있다. 다른 실시예로, 유량 센서(3) 대신에 물의 흐름을 감지할 수 있는 정전 용량 센서나 압력 센서(물이나 공급수 감지 센서)가 사용되고, 제어부(50)는 출수 동작의 시작 시점부터 정전 용량 센서나 압력 센서로부터의 물의 흐름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시점까지의 경과 시간을 제 1 경과 시간으로서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50)는 하우징에 필터 소재가 포함되어 있는지의 판단을 위해, 기준 유입 속도나 평균 유입 속도를 입력 받아 저장하거나 산정하여 저장한다. 원수의 기준 유입 속도와 평균 유입 속도가 크게 되면, 정수 감지 시간이 단축되며, 원수의 기준 유입 속도와 평균 유입 속도가 작게 되면, 정수 감지 시간이 상대적으로 증가되는 점도 고려되어야 한다. 제어부(50)는 원수의 기준 유입 속도나 평균 유입 속도를 고려하여 하우징의 필터 소재 포함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 경과 시간을 가변하여 산정하여 저장한다. 예를 들면, 기준 유입 속도나 평균 유입 속도가 상대적으로 큰 경우에는 기준 경과 시간은 감소되어야 하고, 기준 유입 속도나 평균 유입 속도가 상대적으로 작은 경우에는 기준 경과 시간은 증가되어야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제어부(50)는 교체 감지부(45)를 통하여 필터 교체가 감지되고 일정 시간 이내에 컵 감지부(43)에서 살균컵이 감지되면 살균 세정 하우징(110)으로 판단하여 살균 세정을 자동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다.
도 3은 도 1의 살균 세정 시스템의 제어 순서도이다. 시작 단계에서, 전원부(39)는 살균 세정 시스템에 전원을 공급하며, 원수가 필터부(1)에 입수되는 상태이다. 컵 감지부(43)와 교체 감지부(45) 각각은 감지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50)로 인가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정수 공급부와 온수 출수부 및 온수 배수부를 살균 세정하는 기능이 예시적으로 설명된다.
단계(S1)에서, 제어부(50)는 상술된 바와 같이 대기 동작을 수행하며, 냉각부(7)를 동작 제어하여 정수를 냉수 목표 온도로 냉각시킬 수도 있다. 제어부(50)는 단계(S1)를 수행하면서 단계(S3)로 진행한다.
단계(S3)에서, 제어부(50)는 교체 감지부(45)로부터의 감지 신호를 인가 받아, 필터부(1)의 하우징의 교체가 수행되었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하우징이 교체되었으면, 제어부(50)는 단계(S5)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S3)을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단계(S5)에서, 제어부(50)는 살균 세정 기능의 활성화 조건이 충족되었는지를 판단한다. 활성화 조건은 살균 세정컵이 장착된 경우(제 1 활성화 조건) 또는 정수의 배수를 수행하여 정수 내에 살균 세정 약품이 포함된 경우(제 2 활성화 조건)를 포함한다.
먼저, 제어부(50)는 컵 감지부(43)로부터 인가되는 감지 신호에 따라서, 살균 세정컵이 기설정된 위치에 장착되었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하우징 교체 이전에 살균 세정컵이 기설정된 위치에 장착되었거나, 하우징 교체 이후 기설정된 시간(예를 들면, 1분)이내에 살균 세정컵이 기설정된 위치에 장착되었다면, 제어부(50)는 살균 세정 기능의 활성화 조건(제 1 활성화 조건)이 충족된 것으로 판단하여 단계(S7)로 진행한다.
또는, 제어부(50)는 정수 공급부인 제 1 입수 밸브(5)와 제 1 배수부인 제 1 배수 밸브(25) 각각을 개방 제어하여 정수 배수 공정을 기설정된 시간(예를 들면, 10~30초) 수행하면서, 전극 센서(11)로부터 인가되는 감지 특성값을 이용하여, 상술된 바와 같이 정수 내에 살균 세정 약품이 포함되었는지를 판단한다. 기설정된 시간은 원수가 필터부(1)에 공급되어 배수관으로 배수될 수 있는 시간에 해당된다. 만약 정수 내에 살균 세정 약품이 포함되었으면, 제어부(50)는 살균 세정 기능의 활성화 조건(제 2 활성화 조건)이 충족된 것으로 판단하여 단계(S7)로 진행한다. 제어부(50)는 제 2 정수 공급부인 제 2 입수 밸브(9)와 제 1 배수 밸브(25)를 제어하거나 제 2 입수 밸브(9)와 제 2 배수 밸브(27)를 제어하여 냉수 또는 온수 배수 공정 중에 단계(S5)를 수행할 수도 있다.
제어부(50)는 제 1 및 제 2 활성화 조건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활성화 조건의 충족 여부를 판단한다. 만약 선택된 활성화 조건이 충족되지 않으면, 교체된 하우징은 일반 필터를 구비하므로, 제어부(50)는 단계(S13)로 진행한다.
제어부(50)는 제 1 활성화 조건이 충족된 경우, 자동적으로 살균 세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단계(S7)로 진행하나, 다른 실시예로, 표시부(41)를 통하여 살균 세정 기능을 지닌 하우징이 감지되었음을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알리고, 입력부(37)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살균 세정 기능의 선택 입력을 획득한 경우에 살균 세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단계(S7)로 진행할 수도 있다.
단계(S7)에서, 제어부(50)는 상술된 바와 같이, 교체된 하우징 내에 필터(또는 필터 소재)가 포함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제어부(50)는 배수 공정(정수 배수 공정, 온수 배수 공정, 냉수 배수 공정)의 수행 중에 단계(S7)의 판단을 수행한다. 다만, 단계(S5)에서, 제 2 활성화 조건을 수행한 경우에, 제어부(50)는 하우징 내에 필터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함께 판단할 수 있다. 만약 하우징 내에 필터가 포함되었으면, 제어부(50)는 단계(9)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S11)로 진행한다.
단계(S9)에서, 제어부(50)는 살균 세정 필터 하우징(100)이 장착된 경우의 살균세정 기능인 제 1 살균 세정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50)는 살균 세정 필터 하우징(100)이 장착되었다는 것을 하우징 장착 정보에 포함시켜 저장한다. 단계(S9)는 하기에서 상세하게 기재된다.
단계(S11)에서, 제어부(50)는 살균 세정 하우징(110)이 장착된 경우의 살균세정 기능인 제 2 살균 세정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50)는 살균 세정 하우징(110)이 장착되었다는 것을 하우징 장착 정보에 포함시켜 저장한다. 단계(S11)는 하기에서 상세하게 기재된다.
본 실시예에서, 하우징 장착 정보는 일반 필터 하우징 또는 살균 세정 하우징(110) 또는 살균 세정 필터 하우징(100) 각각이 장착된 장착 순서를 포함하는 정보이다. 살균 세정 기능(제 2 살균 세정 기능)이 수행된 이후, 즉 직전 장착된 하우징이 살균 세정 하우징(110)이나 살균 세정 필터 하우징(100)이고, 일반 필터가 현재 장착될 경우에, 살균 세정 약품이 정수기의 정수 공급부, 출수부 및 배수부에 잔존할 수 있기에, 제어부(50)는 이러한 잔존 가능한 살균 세정 약품을 배수해야 한다. 이러한 살균 세정 약품의 배수를 위해, 제어부(50)는 하우징 장착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또는, 본 실시예에서, 제어부(50)는 살균 세정 기능이 수행된 것에 대한 살균 세정 정보를 저장한다. 살균 세정 기능은 정수 공급부, 정수 출수부, 온수 출수부, 냉수 출수부 및 코크부(21) 또는 배수부 각각에 대하여 살균 세정이 수행될 수 있으며, 살균 세정 정보는 살균 세정이 수행된 위치(정수 공급부, 정수 출수부, 온수 출수부, 냉수 출수부 및 코크부(21) 또는 배수부)에 대한 살균 세정의 수행 시간이나 수행 순서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어부(50)는 출수부에 대한 살균 세정이 수행된 경우, 코크부(21)에 대한 살균 세정도 수행된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단계(S13)에서, 제어부(50)는 하우징 장착 정보를 판독하여, 현재 하우징(일반 필터 하우징)으로의 교체 직전에 일반 필터 하우징이 장착되었는지를 확인한다. 이전에 일반 필터 하우징이 아닌 살균 세정 필터 하우징(100)이나 살균 세정 하우징(110)이 장착되었으면, 전체 유로나 그 일부분에 살균 세정 약품이 남아 있을 수 있으므로, 배수 공정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다만, 이전에 일반 필터 하우징이 장착되었으면, 일반 필터 하우징에 대한 필터 플러싱만을 수행하면 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만약 일반 필터 하우징이 직전에 장착되었으면, 제어부(50)는 단계(S15)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S21)로 진행한다.
단계(S15)에서, 제어부(50)는 기설정된 시간(예를 들면, 5~20분) 동안 필터 플러싱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50)는 제 1 입수 밸브(5)와 제 1 배수 밸브(25)를 개방 제어하여 원수가 일반 필터 하우징 내부를 통하여 배수관으로 배출되도록 하여, 일반 필터의 카본 미분진 등이 배수되도록 한다. 제어부(50)는 제 2 입수 밸브(9)와 제 1 배수 밸브(25)를 개방 제어하거나 제 2 입수 밸브(9)와 제 2 배수 밸브(27)를 개방 제어할 수도 있다. 즉, 제어부(50)는 정수 배수 공정, 온수 배수 공정, 냉수 배수 공정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을 수행하여 필터 플러싱을 수행한다. 제어부(50)는 단계(S15)를 수행하고 단계(S1)로 진행한다.
단계(S21)에서, 제어부(50)는 기설정된 기준 배수 시간(예를 들면, 5~20분) 동안 온수 배수(세척 배수) 공정을 수행한다. 제어부(50)는 제 2 입수 밸브(9)와 제 2 배수 밸브(27)를 개방 제어하여 온수를 배수시키며, 살균 세정 약품이 배수되도록 한다. 살균 세정 약품의 배수 시간은 대략 2분 이내이나, 제어부(50)는 단계(S21)에서의 온수 배수 공정을 기준 배수 시간 동안 수행하여 필터 플러싱 기능을 함께 수행한다. 제어부(50)는 단계(S21)를 수행한 이후에, 단계(23)로 진행한다.
단계(S23)에서, 제어부(50)는 단계(S21)의 수행 중에 또는 수행 이후에 전극 센서(11)로부터 인가된 감지 특성값과 기준 감지 특성값을 비교하여 배수 공정이 추가적으로 필요한지를 판단한다. 만약 인가된 감지 특성값이 기준 감지 특성값과 같거나 기준 감지 특성값의 오차범위(0.5~5%)이내 이면, 제어부(50)는 물에 살균 세정 약품이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단계(S41)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물에 살균 세정 약품이 포함되어 추가적인 배수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여 단계(S25)로 진행한다.
단계(S25)에서, 제어부(50)는 기설정된 기준 추가 시간(예를 들면, 1분) 동안 온수 배수(세척 배수) 공정을 추가적으로 수행한다. 제어부(50)는 제 2 입수 밸브(9)와 제 2 배수 밸브(27)를 개방 제어하여 온수를 추가적으로 배수시킨다. 제어부(50)는 단계(S25)를 수행한 이후에 배수 추가 횟수를 산정하여 저장하고, 단계(S27)로 진행한다.
단계(S27)에서, 제어부(50)는 단계(S25)에서 산정된 배수 추가 횟수와 기준 배수 횟수를 비교한다. 만약 산정된 배수 추가 횟수가 기준 배수 횟수 이하이면, 제어부(50)는 단계(S23)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S29)로 진행한다.
단계(S29)에서, 제어부(50)는 이전에 수행된 단계(S25)에서의 기준 추가 시간 동안에 전극 센서(11)로부터 인가된 감지 특성값이 기준 변화 범위 미만으로 변화되었는지를 판단한다. 기준 변화 범위는 예를 들면, ±1%이며, 인가된 감지 특성값의 표준 편차가 기준 변화 범위 미만으로 변화되는 경우는, 살균 세정 약품이 배수관으로 배출된 것으로 판단된다. 만약 감지 특성값이 감지 특성값의 표준 편차가 기준 변화 범위 미만이면, 제어부(50)는 추가 배수가 더 이상 필요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여 단계(S41)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S23)로 진행한다. 제어부(50)는 단계(S29)에서 단계(S23)으로 진행할 경우, 산정된 배수 추가 횟수를 초기화한다.
단계(S41)에서, 제어부(50)는 살균 세정 정보를 판독하고, 코크부(21)에 대한 살균 세정이 직전에 수행되었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코크부(21)에 대한 살균 세정이 직전에 수행되었으면, 제어부(50)는 단계(S43)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S1)로 진행한다.
단계(S43)에서, 제어부(50)는 컵 감지부(43)로부터 감지 신호를 인가 받아, 감지 신호에 따라서 살균 세정컵이 장착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 제어부(50)는 하우징 교체 이전에 살균 세정컵이 기설정된 위치에 장착되었거나, 하우징 교체 이후에 기설정된 시간(예를 들면, 1분)이내에 살균 세정컵이 기설정된 위치에 장착되었는지를 확인한다. 만약 살균 세정컵이 장착되어 있으면, 제어부(50)는 단계(S47)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S45)로 진행한다.
단계(S45)에서, 제어부(50)는 온수 출수부에 대한 온수 출수(세척 출수)를 수행하기 위해 살균 세정컵을 장착시킬 것을 표시부(41)를 통하여 시각적으로 또는 청각적으로 알린다. 제어부(50)는 단계(S45)를 수행하고 단계(S43)로 진행한다.
단계(S47)에서, 제어부(50)는 제 2 입수 밸브(9)와 제 2 출수 밸브(17)를 개방 제어하여 온수 출수부의 살균 세정 약품의 배수 공정을 수행하여 코크부(21)에 대한 세척을 수행한다. 제어부(50)는 유량 센서(3)로부터의 유량 감지값을 이용하여 정수가 코크부(21)를 통하여 출수되는 양을 감지하고, 감지된 출수량이 기설정된 출수량(예를 들면, 100~200㎖)에 도달할 때까지 온수 출수부의 살균 세정 약품의 배수 공정을 수행한다. 기설정된 출수량은 살균 세정컵의 용량(예를 들면, 600㎖)과, 제 2 출수 밸브(17)로부터 코크부(21) 사이에 담지되는 용량(예를 들면, 20㎖)을 고려하여 설정된다. 제어부(50)는 단계(S47)를 수행한 이후에, 살균 세정 정보에 코크부(21)에 대한 살균 세정을 수행하였음을 저장하고, 단계(S1)로 진행한다.
상술된 단계(S21) 내지 (S47)은 살균 세정 약품의 배수 공정에 해당되며, 히터부(15)는 동작 중지 상태이다.
상술된 단계(S47)에서 단계(S1)로 진행하면서, 제어부(50)는 살균 세정 공정이 완료되었음을 표시부(41)를 통하여 시각적으로 또는 청각적으로 알릴 수도 있다.
코크부(21)에 대한 살균 세정의 다른 실시예로, 본 발명의 출원인의 출원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1-0121926에서 기재된 바와 같은 고온의 온수를 출수하는 정수기 또는 수처리 장치에서의 증기 분리 구조를 지닌 출수부는 본 발명에서는 코크부(21)에 대응된다. 증기 분리 구조를 지닌 출수부는 상술된 단계(S47)에서의 살균 세정 약품의 배수 공정에 의해 살균 세정될 수도 있고, 온수 출수부로부터 분리되어 별도의 용기 내에서 살균 세정 약품에 의해 살균 세정 처리될 수도 있다.
도 4는 도 3의 단계(S9)의 제 1 살균 세정 기능의 상세 순서도이다.
단계(S61)에서, 제어부(50)는 컵 감지부(43)로부터 감지 신호를 인가 받아, 감지 신호에 따라서 살균 세정컵이 장착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 제어부(50)는 하우징 교체 이전에 살균 세정컵이 기설정된 위치에 장착되었거나, 하우징 교체 이후 기설정된 시간(예를 들면, 1분)이내에 살균 세정컵이 기설정된 위치에 장착되었는지를 확인한다. 만약 살균 세정컵이 장착되어 있으면, 제어부(50)는 단계(S65)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S63)로 진행한다.
단계(S63)에서, 제어부(50)는 온수 출수부에 대한 온수 출수(살균 세척 출수)를 수행하기 위해 살균 세정컵을 장착시킬 것을 표시부(41)를 통하여 시각적으로 또는 청각적으로 알린다. 제어부(50)는 단계(S63)를 수행하고 단계(S61)로 진행한다.
단계(S64)에서, 제어부(50)는 제 1 입수 밸브(5)와 제 1 배수 밸브(25)를 개방 제어하여 개방시켜 정수 배수를 수행한다. 이러한 정수 배수에 의해, 살균 세정 필터 하우징(100) 내에 원수나 정수가 공급되어 살균 세정 약품이 원수나 정수에 용해되도록 한다. 제어부(50)는 단계(S64)를 수행하고 단계(S65)로 진행한다.
단계(S65)에서, 제어부(50)는 제 1 및 제 2 입수 밸브(5), (9), 제 1 및 제 2 출수 밸브(7), (17), 제 1 및 제 2 배수 밸브(25), (27)를 폐쇄 제어하여 폐쇄 상태로 유지하여 배수를 기설정된 배수 정지 시간(예를 들면, 1분) 동안 정지시킨다. 배수 정지는 살균 세정 필터 하우징(100) 내에 살균 세정 약품이 원수나 정수에 더 잘 녹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제어부(50)는 단계(S65)를 수행하고 단계(S66)로 진행한다.
단계(S66)에서, 제어부(50) 제 2 입수 밸브(9)와 제 2 배수 밸브(27)를 개방 제어하여 살균 세정 필터 하우징(100) 내의 살균 세정수를 히터부(15)에 공급한다. 제어부(50)는 단계(S66)를 수행하고 단계(S67)로 진행한다.
단계(S67)에서, 제어부(50)는 제 2 입수 밸브(9) 및 제 2 배수 밸브(27)를 폐쇄 제어하여 폐쇄 상태로 유지하고 히터부(15)를 제어하여 가열 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 제어부(50)는 단계(S67)를 수행하면서 단계(S68)로 진행한다.
단계(S68)에서, 제어부(50)는 제 3 온도 센서(35)로부터의 제 3 온도와 기설정된 제 1 기준 온도(예를 들면, 85도)를 비교하여, 제 3 온도가 제 1 기준 온도 이상인 경우, 단계(S69)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S68)를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단계(69)에서, 제어부(50)는 히터부(15)을 제어하여 가열 동작을 중지시키고, 제 2 입수 밸브(9)를 개방 제어하고, 기설정된 시간(예를 들면, 2초) 동안 제 2 배수 밸브(27)를 폐쇄 제어하고 제 2 출수 밸브(17)를 개방 제어하여 온수 출수 동작을 수행한 후, 반대로 기설정된 시간(예를 들면, 2초) 동안 제 2 배수 밸브(27)를 개방 제어하고 제 2 출수 밸브(17)를 폐쇄 제어하여 온수 배수 동작을 수행한다. 히터부(15)의 가열 동작에 의한 온수를 생성하여 살균 세정 약품과 함께 출수시킨 후 배수시킴으로써, 유로 내의 스케일 등의 이물질이 녹게 되어 유로 막힘이 보다 잘 해소되도록 한다. 제어부(50)는 상술된 바와 같이, 온수 출수 및 온수 배수를 순차적으로 수행하나, 다른 실시예로, 온수 배수를 먼저 수행하고 온수 출수를 수행할 수도 있다. 제어부(50)는 단계(S69)를 수행하고 단계(S70)로 진행한다.
단계(S70)에서, 제어부(50)는 상술된 단계(S64) 내지 (S69)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의 단계를 수행하면서, 유량 센서(3)로부터 인가되는 유량 감지 신호에 따라서 유량이 감지되는지를 판단한다. 즉, 제어부(50)는 유량 감지 신호에 대응하는 유량에 따라서, 정수 공급부와 온수 출수부와 제 2 배수부에서의 막힘 상태를 판단한다. 만약 유량이 감지되면, 즉 정수가 흐르면(막힌 상태가 아니면), 제어부(50)는 단계(S79)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유로가 막힌 상태이므로 단계(S71)로 진행한다.
단계(S71)에서, 제어부(50)는 히터부(15)를 동작 정지시킨 상태에서 제 2 입수 밸브(9)를 개방 제어하고, 기설정된 정지 시간(예를 들면, 1초) 동안 제 2 배수 밸브(27)를 폐쇄 제어하고 제 2 출수 밸브(17)를 개방 제어하여, 온수 또는 정수의 배수를 정지시키고 온수 또는 정수의 출수를 수행한다. 제어부(50)는 단계(S71)를 수행하고 단계(S73)로 진행한다.
단계(S73)에서, 제어부(50)는 히터부(15)의 정지 상태와, 제 2 입수 밸브(9)의 개방 상태에서, 기설정된 출수 시간(예를 들면, 1 초) 동안 제 2 배수 밸브(27)를 개방 제어하고 제 2 출수 밸브(17)을 폐쇄 제어하여, 온수 또는 정수의 배수를 수행하고 온수 또는 정수의 출수를 정지시킨다. 제어부(50)는 단계(S73)를 수행하고 단계(S75)로 진행한다.
상술된 단계(S71) 및 (S73)에서, 제어부(50)는 유로 상의 막힘(예를 들면, 제 2 출부 밸브(17)나 제 2 배수 밸브(27)의 막힘 등)을 해결하거나 해소시키기 위해서 배수의 수행 및 출수의 수행을 간헐적으로 수행하며, 출수 또는 배수의 반복 횟수를 산정하여 저장하되, 출수 또는 배수의 수행 및 정지를 1회로 산정한다. 또한, 단계(S71) 및 (S73)에서의 간헐적인 출수 및 배수의 수행에 의해서, 온수 출수부 및 제 2 배수부에 대한 세정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유로 상의 막힘이 있는 상태에서, 히터부(15)가 동작할 경우, 히터부(15)가 과열되어 안전 상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기에, 상술된 단계(S71) 및 (S73)에서 히터부(15)가 동작 정지된 상태가 유지된다.
단계(S75)에서, 제어부(50)는 산정된 반복 횟수와 기준 반복 횟수를 비교한다. 여기서, 기준 반복 횟수는 유로 상의 막힘을 해결하거나 해소시킬 수 있는 출수 또는 배수 수행의 반복 횟수이다. 만약 산정된 반복 횟수가 기준 반복 횟수 이상이면, 제어부(50)는 유로 상의 막힘이 해결되거나 해소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여 단계(S77)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S70)로 진행한다.
단계(S77)에서, 제어부(50)는 표시부(41)를 통하여 유로의 막힘을 알리는 에러 알림을 시각적으로 또는 청각적으로 알린다. 제어부(50)는 단계(S77)를 수행하고 단계(S21)로 진행하여 배수 공정을 수행한다.
단계(S79)에서, 제어부(50)는 히터부(15)를 동작시키고, 제 2 입수 밸브(9)를 개방 제어하여 개방시키고 제 2 출수 밸브(17)를 간헐적으로 개방 및 폐쇄 제어하여 개방 및 폐쇄시킴으로써, 온수 출수를 간헐적으로 수행한다. 제어부(50)는 제 2 출수 밸브(17)를 예를 들면, 2초 개방(온수 출수) 및 2초 폐쇄(온수 출수 정지)로 제어하며, 이러한 개폐 반복을 기설정된 횟수(예를 들면, 6~10회)만큼 수행하며, 기설정된 출수량(예를 들면, 50~100㎖)을 출수시킨다. 기설정된 출수량은 살균 세정컵의 용량(예를 들면, 600㎖)을 고려하여 설정된다. 이러한 간헐적인 온수 출수에 의해 유로 상의 막힘이 해결되고, 제 2 출수 밸브(17)와 코크부(21)에 대한 세정 효과가 향상된다. 추가적으로, 제어부(50)는 단계(S79)의 수행 중에, 온수 출수의 정지 시에 제 2 배수 밸브(27)를 개방하고, 온수 출수 시에 제 2 배수 밸브(27)를 폐쇄하여, 간헐적으로 온수 배수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간헐적인 온수 배수에 의해 유로 상의 막힘 해결과 제 2 배수 밸브(27)에 대한 세정 효과가 향상된다. 즉, 제어부(50)는 제 2 입수 밸브(9)와, 제 2 출수 밸브(17) 및 제 2 배수 밸브(27)를 제어하여 온수 출수와 온수 배수를 교번하여 수행한다. 제어부(50)는 단계(S79)를 수행하고 단계(S80)로 진행한다.
단계(S80)에서, 제어부(50)는 히터부(15)의 동작 상태와 제 2 입수 밸브(9)의 개방 상태에서 제 2 출수 밸브(17)를 개방 제어하여 온수 출수를 수행한다. 제어부(50)는 기설정된 출수량(예를 들면, 50~100㎖)만큼 온수가 출수되도록 한다. 기설정된 출수량은 살균 세정컵의 용량(예를 들면, 600㎖)을 고려하여 설정된다. 제어부(50)는 단계(S80)를 수행하고 단계(S81)로 진행한다.
단계(S81)에서, 제어부(50)는 히터부(15)를 동작 중지시키고 재 2 출수 밸브(17)를 폐쇄 제어하고, 제 1 입수 밸브(5)나 제 2 입수 밸브(9)와 제 1 출수 밸브(7)를 개방 제어하여 정수나 냉수 출수를 수행한다. 제어부(50)는 기설정된 출수량(예를 들면 150~300㎖)만큼 정수나 냉수가 출수되도록 한다. 기설정된 출수량은 살균 세정컵의 용량(예를 들면, 600㎖)을 고려하여 설정된다. 이러한 정수나 냉수 출수는 살균 세정컵 내의 물의 온도(80℃ 이상)를 60℃ 이하로 낮추어 살균 세정컵 내에 살균 세정수나 온수를 버릴 때 사용자에 대한 화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제어부(50)는 단계(S81)를 수행하고 단계(S82)로 진행한다.
단계(S82)에서, 제어부(50)는 히터부(15)의 동작 상태와 제 2 입수 밸브(9)의 개방 상태에서 제 2 배수 밸브(27)를 개방 제어하여 온수 배수 공정을 수행한다. 단계(S82)의 온수 배수 공정에서, 제어부(50)는 기설정된 출수량(예를 들면, 0.3 ~2ℓ)만큼 온수가 배수되도록 하여, 유로에 남아 있을 수 있는 살균 세정 약품을 녹여서 배출되도록 하면 한다. 제어부(50)는 단계(S82)를 수행하고 단계(S83)로 진행한다.
단계(S83)에서, 제어부(50)는 히터부(15)를 정지시키고, 제 2 입수 밸브(9)와 제 2 배수 밸브(27)의 개방 상태를 유지시켜 온수 배수로에서의 배수를 수행한다. 유로 상에 단계(S82)에서의 온수가 잔존하다가 코크부(21)를 통하여 출수될 수도 있기에, 단계(S83)의 배수 공정에서, 제어부(50)는 기설정된 출수량(예를 들면, 히터부(15)의 저장 용량인 50~100㎖)만큼 정수를 배수되도록 하여, 유로 상의 온수가 모두 배수되도록 한다. 제어부(50)는 단계(S83)를 수행하고 단계(S84)로 진행한다.
단계(S84)에서, 제어부(50)는 히터부(15)의 정지 상태와 제 2 입수 밸브(9)의 개방 상태에서 제 2 출수 밸브(17)를 개방 제어하여 개방시켜서 온수 출수로에서의 출수를 수행한다. 단계(S84)의 출수 공정에서, 제어부(50)는 기설정된 출수량(예를 들면, 20~50㎖)만큼 배수되도록 한다. 코크부(21)에 남아 있을 수 있는 온수의 잔수로 인한 화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어부(50)는 단계(S84)를 수행하여 코크부(21)에 남아 있을 수 있는 온수의 잔수의 온도를 낮춘다. 제어부(50)는 단계(S84)를 수행하고, 단계(S21)로 진행하여 배수 공정을 수행한다.
상술된 제 1 살균 세정 기능의 수행 시에, 제어부(50)는 표시부(41)를 통하여 살균 세정 기능이 수행 중임을 시각적으로 또는 청각적으로 표시한다.
도 5는 도 3의 단계(S11)의 제 2 살균 세정 기능의 상세 순서도이다.
도 5의 단계(S91) 내지 (S114) 각각은 도 4의 단계(S61) 내지 (S84) 각각과 동일하므로, 그 설명이 생략된다.
다만, 제어부(50)는 단계(S114)를 수행한 이후에, 단계(S116)로 진행한다.
단계(S116) 에서, 제어부(50)는 표시부(41)를 통하여 살균 세정 하우징(110)을 일반 필터 하우징으로 교체할 것을 시각적으로 또는 청각적으로 안내한다. 제어부(50)는 단계(S116)를 수행하고 단계(S118)로 진행한다.
단계(S118)에서, 제어부(50)는 교체 감지부(45)로부터의 감지 신호를 인가 받아, 필터부(1)의 하우징의 교체가 수행되었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하우징이 교체되었으면, 단계(S15)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S116)로 진행한다. 또는, 제어부(50)는 단계(S15) 대신에, 단계(S5)로 진행할 수도 있다.
도 6은 일시 정지 기능에 대한 상세 순서도이다. 제어부(50)는 도 3의 제어를 수행하는 중에, 사용자가 제어 단계를 일시 정지시키거나 강제 중단시킬 수 있도록 한다. 시작 단계에서, 제어부(50)는 도 3의 단계(S9) 이후의 단계들 중의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상태이다.
단계(S131)에서, 제어부(50)는 입력부(37)로부터 일시 정지 선택 입력을 획득하였는지를 판단한다. 일시 정지 선택 입력은 예를 들면, 독립된 입력 버튼에 대한 입력이거나 출수 버튼이 길게 눌러진 경우의 입력에 해당된다. 만약 일시 정지 선택 입력이 획득되면, 제어부(50)는 단계(S133)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현재의 제어를 수행하면서 단계(S131)를 수행한다.
단계(S133)에서, 제어부(50)는 도 3의 제어를 일시 정지시킨다. 제어부(50)는 제 1 및 제 2 입수 밸브(5), (9), 제 1 및 제 2 출수 밸브(7), (17), 제 1 및 제 2 배수 밸브(25), (27)를 폐쇄 제어하여 폐쇄 상태로 변환하고, 히터부(15)를 동작 정지시켜서 현재의 제어를 일시 정지시키고, 일시 정지된 현재의 제어 지점을 저장한다. 제어부(50)는 단계(S133)를 수행하고, 단계(S135)로 진행한다.
단계(S135)에서, 제어부(50)는 표시부(41)를 통하여 현재의 제어가 일시 정지된 것을 알리고, 일시 정지 해제(즉, 재시작)을 위한 입력을 누를 것을 안내한다.
단계(S137)에서, 제어부(50)는 일시 정지 이후 기설정된 대기 시간(예를 들면, 1분) 동안 입력부(37)를 통하여 일시 정지 해제(재시작) 선택 입력이 획득되었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일시 정지 해제 선택 입력이 기설정된 대기 시간 이내에 획득되면, 제어부(50)는 단계(S139)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일시 정지가 아닌 강제 중단을 수행하기 위해 단계(S141)로 진행한다.
단계(S139)에서, 제어부(50)는 단계(S133)에서 저장된 제어 지점을 판독하고, 판독된 제어 지점 이후에 대응하는 제어를 재시작한다. 제어부(50)는 단계(S139)를 수행하고 단계(S131)로 진행한다.
단계(S141)에서, 제어부(50)는 일시 정지된 현재 제어 단계를 강제 중단시키고, 하우징 장착 정보를 판독하여, 현재 장착된 하우징이 일반 필터 하우징인가를 판단한다. 만약 현재 장착된 하우징이 일반 필터 하우징이면, 제어부(50)는 단계(S15)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S143)로 진행한다.
단계(S143)에서, 제어부(50)는 현재 장착된 하우징이 살균 세정 하우징(110)이나 살균 세정 필터 하우징(100)이므로, 하우징 내부에 살균 세정약품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신규의 일반 필터 하우징으로 교체할 것을 표시부(41)를 통하여 안내한다. 제어부(50)는 단계(S143)를 수행하고 단계(S145)로 진행한다.
단계(S145)에서, 제어부(50)는 교체 감지부(45)로부터 인가된 감지 신호에 따라서 하우징(일반 필터 하우징)의 교체가 이루어져 있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하우징의 교체가 이루어졌다면, 제어부(50)는 단계(S15)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S145)를 수행한다. 다만, 단계(S145)에서, 제어부(50)는 교체된 하우징이 일반 필터 하우징인지를 확인하기 위해, 상술된 단계(S5)에서의 제 2 활성화 조건이 충족되는지를 추가적으로 확인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도 6에서 살균 세정 기능의 수행 중에 제어가 일시 정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과 함께, 일반 필터 하우징으로의 교체를 안내하여 안전하게 정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도 7은 살균 세정컵의 이탈 시의 제어에 대한 상세 순서도이다. 살균 세정 과정에서, 살균 세정컵이 기설정된 위치로부터 분리되어 이탈될 경우, 물이 코크부(21)를 통하여 외부로 출수될 수 있기에, 살균 세정컵의 이탈 시에 하기의 제어가 수행되어야 한다. 시작 단계에서, 제어부(50)는 도 3의 단계(S9) 및 (S11) 중의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상태이다.
단계(S161)에서, 제어부(50)는 컵 감지부(43)로부터 감지 신호를 인가 받아, 살균 세정컵이 기설정된 위치로부터 이탈되었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살균 세정컵이 기설정된 위치로부터 이탈되었으면, 제어부(50)는 단계(S163)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S161)를 수행한다.
단계(S163)에서, 제어부(50)는 도 3의 제어를 일시 정지시킨다. 제어부(50)는 제 1 및 제 2 입수 밸브(5), (9), 제 1 및 제 2 출수 밸브(7), (17), 제 1 및 제 2 배수 밸브(25), (27)를 폐쇄 제어하여 폐쇄 상태로 변환하고, 히터부(15)를 동작 정지시켜서 현재의 제어를 일시 정지시키고, 일시 정지된 현재의 제어 지점을 저장한다. 제어부(50)는 단계(S163)를 수행하고, 단계(S165)로 진행한다.
단계(S165)에서, 제어부(50)는 표시부(41)를 통하여 살균 세정 컵이 이탈되었으며, 다시 장착할 것을 시각적으로 또는 청각적으로 안내한다. 제어부(50)는 단계(S165)를 수행하고, 단계(S167)로 진행한다.
단계(S167)에서, 제어부(50)는 컵 감지부(43)로부터 감지 신호를 인가 받아, 살균 세정컵의 이탈 이후 기설정된 대기 시간(예를 들면, 3분) 동안에 살균 세정컵이 장착되었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살균 세정컵이 기설정된 대기 시간 이내에 장착되었으면, 제어부(50)는 단계(S169)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일시 정지가 아닌 강제 중단을 수행하기 위해 단계(S171)로 진행한다.
단계(S169)에서, 제어부(50)는 단계(S163)에서 저장된 제어 지점을 판독하고, 판독된 제어 지점 이후에 대응하는 제어를 재시작한다. 제어부(50)는 단계(S169)를 수행하고 단계(S161)로 진행한다.
단계(S171) 내지 (S175) 각각은 상술된 단계(S141) 내지 (S145) 각각과 동일하기에, 그 상세한 설명이 생략된다.
본 실시예에서, 공급수는 정수와 온수와 냉수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거나 통칭하는 것으로 인식되어야 하며, 상술된 실시예에서 공급수가 온수인 경우에, 제 2 정수 공급부와 온수 출수부를 살균 세정하는 기능이 예시적으로 설명되었다. 제어부(50)는 정수인 공급수가 공급되는 제 1 정수 공급부와 정수 출수부에 대한 살균 세정 공정과, 정수 및/또는 냉수를 포함하는 공급수가 공급되는 제 2 정수 공급부와 냉수 출수부에 대한 살균 세정 공정도 동일하거나 유사한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숙한 통상의 기술자에게 당연히 인식되는 기술에 해당되어, 그 상세한 설명이 생략된다.
다음으로, 코크부(21)에 대한 살균 세정이 설명된다. 본 실시예에서, 코크부(21)는 온수 코크부와 정수 코크부 및 냉수 코크부를 구비한다.
제어부(50)는 단계(S9)나 단계(S11)의 수행 중에, 온수 출수부로의 살균 세정 약품의 배수를 수행하여 온수 코크부에 대한 살균 세정을 수행하고, 정수 출수부로의 살균 세정 약품의 배수를 수행하여 정수 코크부에 대한 살균 세정을 수행하고, 냉수 출수부로의 살균 세정 약품의 배수를 수행하여 냉수 코크부에 대한 살균 세정을 수행한다. 제어부(50)는 온수 코크부에 대한 살균 세정 시에는 히터부(15)를 가열 동작시킨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 제어부(50)는 온수 코크부와 정수 코크부 및 냉수 코크부 각각에 대한 살균 세정 순서를 가변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제어부(50)는 전체 코크부에 대한 살균 세정을 동시에 수행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50)는 단계(S9)나 단계(S11)의 수행 중에, 배수부에 대한 살균 세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제어부(50)는 제 2 입수 밸브(9)와 제 2 배수 밸브(27)를 개방 제어하고 히터부(15)를 가열 동작시켜 온수 배수부에 대한 살균 세정을 수행하고, 제 1 입수 밸브(5)와 제 1 배수 밸브(25)를 개방 제어하여 정수 배수부에 대한 살균 세정을 수행하고, 제 2 입수 밸브(7)와 제 1 밸수 밸브(25)를 개방 제어하여 냉수 배수에 대한 살균 세정을 수행한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 제어부(50)는 온수 배수부와 정수 배수부 및 냉수 출수부 각각에 대한 살균 세정 순서를 가변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제어부(50)는 전체 배수부에 대한 살균 세정을 동시에 수행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 필터부 3: 유량 센서
5: 제 1 입수 밸브 7: 제 1 출수 밸브
9: 제 2 입수 밸브 11: 전극 센서
13: 냉각부 15: 히터부
17: 제 2 출수 밸브 43: 컵 감지부
45: 교체 감지부 50: 제어부

Claims (60)

  1. 교체 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우징을 포함하는 필터부를 구비하여 원수를 공급 받아 정수 처리하여 정수를 공급하는 정수 공급부와;
    상기 정수 공급부로부터 정수를 공급 받아 정수 또는 냉수 또는 온수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공급수를 코크부를 통하여 출수하는 출수부와;
    상기 출수부의 공급수를 배수관으로 배수시키는 배수부와;
    상기 하우징의 교체에 대응하는 사용자에 의한 동작을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에 인가하는 교체 감지부와;
    상기 교체 감지부로부터 인가된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하우징이 교체된 경우, 상기 교체된 하우징의 종류에 따라서, 상기 정수 공급부와 출수부 및 배수부를 제어하여 상기 공급수를 출수시키거나 배수시키며 살균 세정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에서의 살균 세정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살균 세정 기능의 활성화 조건의 충족 여부에 따라서 상기 교체된 하우징의 종류를 구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에서의 살균 세정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교체된 하우징의 종류는 살균 세정 필터 하우징 및 살균 세정 하우징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과, 일반 필터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에서의 살균 세정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살균 세정 기능의 활성화 조건이 충족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교체된 하우징이 상기 일반 필터 하우징인 것으로 판단하여 필터 플러싱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살균 세정 기능의 활성화 조건이 충족된 경우에는 상기 교체된 하우징이 상기 살균 세정 필터 하우징이거나 상기 살균 세정 하우징인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살균 세정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에서의 살균 세정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 세정 시스템은 살균 세정컵이 기설정된 위치에 장착되었는지를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상기 제어부에 인가하는 컵 감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교체 감지부로부터 인가된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하우징의 교체 전후에, 상기 컵 감지부로부터 인가된 감지 신호에 따라서, 상기 살균 세정컵이 기설정된 위치에 장착된 경우에, 상기 살균 세정 기능의 활성화 조건이 충족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에서의 살균 세정 시스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 세정 시스템은 상기 공급수에 접촉하는 전극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극 센서로부터의 감지 특성값에 따라서 상기 공급수에 살균 세정 약품이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공급수에 상기 살균 세정 약품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살균 세정 기능의 활성화 조건이 충족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에서의 살균 세정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수 공급부와 배수부를 제어하여 상기 공급수를 기설정된 시간 동안 배수시키고 상기 공급수에 살균 세정 약품이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에서의 살균 세정 시스템.
  8. 제 4 항 내지 제 7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 세정 시스템은 입력부와 표시부를 구비하고,
    상기 살균 세정 기능의 활성화 조건이 충족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살균 세정 기능을 자동적으로 수행하거나, 상기 표시부를 통하여 살균 세정 기능을 지닌 하우징이 감지되었음을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알리고, 상기 입력부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살균 세정 기능의 선택 입력을 획득한 경우에 상기 살균 세정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에서의 살균 세정 시스템.
  9.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 세정 시스템은 상기 정수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공급수의 유량이나 흐름을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상기 제어부에 인가하는 공급수 감지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수 공급부와 출수부를 제어하여 정수 또는 온수 또는 냉수를 출수시키는 출수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공급수 감지 센서로부터의 감지 신호에 따라서 상기 출수 동작의 시작 시점부터 공급수의 감지 시점까지의 제 1 경과 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살균 세정 필터 하우징과 살균 세정 하우징을 구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에서의 살균 세정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경과 시간을 산정하고, 산정된 제 1 경과 시간이 상기 교체된 하우징의 필터 소재 포함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제 1 기준 경과 시간보다 크거나 같으면, 상기 교체된 하우징에 필터 소재가 포함된 살균 세정 필터 하우징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에서의 살균 세정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원수의 기준 유입 속도나 평균 유입 속도를 고려하여 상기 제 1 기준 경과 시간을 가변하여 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에서의 살균 세정 시스템.
  12.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 세정 시스템은 상기 공급수에 접촉하여 상기 공급수의 감지 특성값을 상기 제어부에 인가하는 전극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수 공급부와 출수부를 제어하여 정수 또는 온수 또는 냉수를 출수시키는 출수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전극 센서로부터 상기 감지 특성값을 인가 받아, 상기 출수 동작의 시작 시점부터 감지 특성값의 변화 시점까지의 제 2 경과 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살균 세정 필터 하우징과 살균 세정 하우징을 구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에서의 살균 세정 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경과 시간을 산정하고, 산정된 제 2 경과 시간이 상기 교체된 하우징의 필터 소재 포함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제 2 기준 경과 시간보다 크거나 같으면, 상기 교체된 하우징에 필터 소재가 포함된 살균 세정 필터 하우징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에서의 살균 세정 시스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원수의 기준 유입 속도나 평균 유입 속도를 고려하여 상기 제 2 기준 경과 시간을 가변하여 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에서의 살균 세정 시스템.
  1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 세정 시스템은 살균 세정컵이 기설정된 위치에 장착되었는지를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상기 제어부에 인가하는 컵 감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교체된 하우징이 상기 살균 세정 필터 하우징이거나 상기 살균 세정 하우징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컵 감지부로부터 인가된 감지 신호에 따라서, 상기 살균 세정컵이 기설정된 위치에 장착된 경우에, 상기 정수 공급부와 배수부를 제어하여 배수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에서의 살균 세정 시스템.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수 공급부와 배수부를 제어하여 배수를 수행하고, 상기 정수 공급부와 배수부를 제어하여 배수 정지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에서의 살균 세정 시스템.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부는 상기 정수를 가열하는 히터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수 공급부와 배수부를 개방 제어하여 상기 히터부에 살균 세정수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에서의 살균 세정 시스템.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 세정 시스템은 상기 히터부에 의해 가열되는 온수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히터부를 제어하여 가열 동작을 수행하며, 상기 온도 센서로부터의 감지 온도가 제 1 기준 온도 이상인 경우, 상기 정수 공급부와 출수부 및 배수부를 제어하여, 온수 출수와 온수 배수를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에서의 살균 세정 시스템.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 세정 시스템은 표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컵 감지부로부터 인가된 감지 신호에 따라서, 상기 살균 세정컵이 기설정된 위치에 장착되지 않은 경우에, 상기 표시부를 통하여 상기 살균 세정컵을 장착시킬 것을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에서의 살균 세정 시스템.
  20. 제 15 항 내지 제 19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 세정 시스템은 상기 정수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공급수의 유량을 감지하여 유량 감지 신호를 상기 제어부에 인가하는 유량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량 센서로부터의 유량 감지 신호에 따라서 막힘 상태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에서의 살균 세정 시스템.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수 공급부와 출수부 및 배수부가 막힌 상태인 경우, 상기 출수의 수행 및 배수의 정지와, 상기 출수의 정지와 배수의 수행을 교번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에서의 살균 세정 시스템.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 세정 시스템은 표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수의 수행 및 배수의 정지와, 상기 출수의 정지와 배수의 수행의 반복 횟수가 기준 반복 횟수 이상인 경우, 상기 표시부를 통하여 막힘을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에서의 살균 세정 시스템.
  23.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부는 상기 정수를 가열하는 히터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수 공급부 및 배수부가 막힌 상태가 아닌 경우, 상기 히터부를 제어하여 가열 동작을 수행하면서, 상기 정수 공급부와 출수부 및 배수부를 제어하여 출수의 수행 및 배수의 정지와, 출수의 정지 및 배수의 수행을 교번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에서의 살균 세정 시스템.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히터부를 제어하여 가열 동작을 수행하면서, 상기 정수 공급부와 출수부를 제어하여 온수 출수를 추가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에서의 살균 세정 시스템.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수 공급부와 출수부를 제어하여 정수나 냉수 출수를 추가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에서의 살균 세정 시스템.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히터부를 제어하여 가열 동작을 수행하면서, 상기 정수 공급부와 배수부를 제어하여 온수 배수를 추가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에서의 살균 세정 시스템.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히터부를 제어하여 가열 동작을 중지시키고, 상기 정수 공급부와 배수부 및 출수부를 제어하여 배수와 출수를 추가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에서의 살균 세정 시스템.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 세정 시스템은 표시부를 구비하고,
    상기 교체된 하우징이 살균 세정 하우징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일반 필터 하우징으로의 교체를 상기 표시부를 통하여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에서의 살균 세정 시스템.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를 통한 안내 이후에 상기 교체 감지부로부터의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하우징의 교체가 수행되었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하우징의 교체가 수행되었으면 상기 필터 플러싱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에서의 살균 세정 시스템.
  3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살균 세정 기능의 활성화 조건이 충족되지 않은 경우에, 필터 플러싱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에서의 살균 세정 시스템.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일반 필터 하우징 또는 상기 살균 세정 필터 하우징 또는 상기 살균 세정 하우징 각각이 장착된 장착 순서를 포함하는 하우징 장착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우징 장착 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교체된 하우징 직전의 하우징이 일반 필터 하우징이었는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에서의 살균 세정 시스템.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교체된 하우징 직전의 하우징이 일반 필터 하우징인 경우, 상기 필터 플러싱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에서의 살균 세정 시스템.
  33.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교체된 하우징 직전의 하우징이 일반 필터 하우징이 아닌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수 공급부와 배수부를 제어하여 세척 배수 공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에서의 살균 세정 시스템.
  34. 제 33 항에있어서,
    상기 살균 세정 시스템은 상기 공급수에 접촉하는 전극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척 배수 공정 중에 또는 상기 세척 배수 공정 이후에 상기 전극 센서로부터 인가된 감지 특성값에 따라서 추가 배수가 필요한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에서의 살균 세정 시스템.
  35.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극 센서로부터 인가된 감지 특성값과 기준 감지 특성값을 비교하여 상기 공급수에 살균 세정 약품이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공급수에 상기 살균 세정 약품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추가 배수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정수 공급부와 배수부를 제어하여 상기 추가 배수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에서의 살균 세정 시스템.
  36.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추가 배수를 기설정된 기준 배수 횟수까지 반복적으로 수행하면서, 상기 감지 특성값과 상기 기준 감지 특성값을 비교하여 상기 공급수에 살균 세정 약품이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되, 상기 공급수에 상기 살균 세정 약품이 포함되어 있지 않을 때까지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에서의 살균 세정 시스템.
  37.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추가 배수를 반복적으로 수행하면서, 상기 감지 특성값이 기준 변화 범위 미만으로 변화되면, 상기 추가 배수가 필요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에서의 살균 세정 시스템.
  38.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살균 세정이 수행된 위치에 대한 살균 세정의 수행 시간이나 수행 순서를 포함하는 살균 세정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추가 배수가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 상기 출수부의 코크부에 대한 살균 세정이 직전에 수행되었는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에서의 살균 세정 시스템.
  39.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수부의 코크부에 대한 살균 세정이 직전에 수행되지 않은 경우, 대기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에서의 살균 세정 시스템.
  40.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 세정 시스템은 살균 세정컵이 기설정된 위치에 장착되었는지를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상기 제어부에 인가하는 컵 감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수부의 코크부에 대한 살균 세정이 직전에 수행된 경우, 상기 컵 감지부로부터의 감지 신호에 따라서 상기 살균 세정컵이 장착되었는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에서의 살균 세정 시스템.
  41.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 세정 시스템은 표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살균 세정컵이 장착되지 않은 경우, 상기 표시부를 통하여 상기 살균 세정컵을 장착시킬 것을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에서의 살균 세정 시스템.
  42.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살균 세정컵이 장착된 경우, 상기 정수 공급부와 출수부를 제어하여 배수 공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에서의 살균 세정 시스템.
  4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 세정 시스템은 입력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로부터 일시 정지 선택 입력을 획득한 경우, 현재의 제어를 일시 정지시키고, 일시 정지된 현재의 제어 지점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에서의 살균 세정 시스템.
  44.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현재의 제어를 일시 정지한 이후에, 기설정된 대기 시간 동안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일시 정지 해제 선택 입력을 획득하였는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에서의 살균 세정 시스템.
  45. 제 4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일시 정지 해제 선택 입력을 상기 대기 시간 동안 획득한 경우, 상기 저장된 제어 지점 이후의 제어를 재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에서의 살균 세정 시스템.
  46. 제 4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일시 정지 해제 선택 입력을 상기 대기 시간 동안 획득하지 못한 경우, 상기 일시 정지된 현재 제어를 강제 중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에서의 살균 세정 시스템.
  47. 제 4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일반 필터 하우징 또는 상기 살균 세정 필터 하우징 또는 상기 살균 세정 하우징 각각이 장착된 장착 순서를 포함하는 하우징 장착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강제 중단을 수행한 이후에, 현재 장착된 하우징이 일반 필터 하우징인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에서의 살균 세정 시스템.
  48. 제 4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현재 장착된 하우징이 일반 필터 하우징인 경우, 필터 플러싱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에서의 살균 세정 시스템.
  49. 제 47 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 세정 시스템은 표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현재 장착된 하우징이 일반 필터 하우징이 아닌 경우, 상기 표시부를 통하여 신규의 일반 필터 하우징으로 교체할 것을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에서의 살균 세정 시스템.
  50. 제 4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교체 감지부로부터의 감지 신호에 따라서 상기 하우징의 교체가 이루어진 경우, 상기 필터 플러싱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에서의 살균 세정 시스템.
  5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 세정 시스템은 살균 세정컵이 기설정된 위치에 장착되었는지를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상기 제어부에 인가하는 컵 감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컵 감지부로부터의 감지 신호에 따라서 상기 살균 세정컵이 이탈되었는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에서의 살균 세정 시스템.
  52. 제 5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살균 세정컵이 이탈된 경우, 현재의 제어를 일시 정지시키고, 일시 정지된 현재의 제어 지점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에서의 살균 세정 시스템.
  53. 제 52 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 세정 시스템은 표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를 통하여 상기 살균 세정 컵이 이탈되었으며, 다시 장착할 것을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에서의 살균 세정 시스템.
  54. 제 5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컵 감지부로부터의 감지 신호에 따라서, 상기 살균 세정컵의 이탈 이후 기설정된 대기 시간 동안에 상기 살균 세정컵이 장착되었는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에서의 살균 세정 시스템.
  55. 제 5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살균 세정컵이 장착된 경우, 상기 저장된 제어 지점 이후의 제어를 재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에서의 살균 세정 시스템.
  56. 제 5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살균 세정컵이 장착되지 않은 경우, 상기 일시 정지된 현재 제어를 강제 중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에서의 살균 세정 시스템.
  57. 제 5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일반 필터 하우징 또는 상기 살균 세정 필터 하우징 또는 상기 살균 세정 하우징 각각이 장착된 장착 순서를 포함하는 하우징 장착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강제 중단을 수행한 이후에, 현재 장착된 하우징이 일반 필터 하우징인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에서의 살균 세정 시스템.
  58. 제 5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현재 장착된 하우징이 일반 필터 하우징인 경우, 상기 필터 플러싱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에서의 살균 세정 시스템.
  59. 제 57 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 세정 시스템은 표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현재 장착된 하우징이 일반 필터 하우징이 아닌 경우, 상기 표시부를 통하여 신규의 일반 필터 하우징으로 교체할 것을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에서의 살균 세정 시스템.
  60. 제 5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교체 감지부로부터의 감지 신호에 따라서 상기 하우징의 교체가 이루어진 경우, 상기 필터 플러싱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에서의 살균 세정 시스템.
KR1020220107563A 2022-08-26 2022-08-26 정수기에서의 살균 세정 시스템 KR202400292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7563A KR20240029285A (ko) 2022-08-26 2022-08-26 정수기에서의 살균 세정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7563A KR20240029285A (ko) 2022-08-26 2022-08-26 정수기에서의 살균 세정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9285A true KR20240029285A (ko) 2024-03-05

Family

ID=90298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7563A KR20240029285A (ko) 2022-08-26 2022-08-26 정수기에서의 살균 세정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2928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5529B1 (ko) 자동세정수단을 갖는 정수기 및 그를 이용한 정수기의 자동세정방법
EP2435157B1 (en) Washing device for water treatment apparatus and washing method thereof
CN104807194B (zh) 电热水器内胆的清洗方法及电热水器
KR100758179B1 (ko) 필터 세척 및 오염제거 시스템
KR101185212B1 (ko) 세정시스템이 구비된 정수기
JP2012528000A5 (ko)
KR101936733B1 (ko) 직수식 정수장치 및 직수식 정수장치의 디스케일 방법
KR20240029285A (ko) 정수기에서의 살균 세정 시스템
US20070084771A1 (en) Apparatus for supplying drinking water
CN105776685B (zh) 净水器
JPH06226059A (ja) 濾過装置
JP4790071B1 (ja) 濾材洗浄装置とそれを備える浄水器
KR20120131720A (ko) 수처리기의 배수 장치
KR101576832B1 (ko) 수처리 기기용 세척장치 및 그 세척방법
KR101647646B1 (ko) 수처리 기기용 세척장치
JPH08290159A (ja) 連続式電解整水装置の殺菌・洗浄方法、その装置及び浄水器
JP2007260482A (ja) 逆浸透装置
JP4221870B2 (ja) 給水給湯装置
RU2819763C1 (ru) Программно-аппаратный комплекс для автоматизации процесса водоподготовки
KR20130016551A (ko) 수처리기의 얼음 탱크의 살균 방법
KR101510629B1 (ko) 수처리 기기용 세척장치 및 그 세척방법
KR102442479B1 (ko) 수처리장치와 수처리장치의 살균방법
KR101364024B1 (ko) 세정시스템이 구비된 정수기
KR20130080111A (ko) 수처리 기기의 세척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수처리 기기 및 세척키트
KR101510630B1 (ko) 수처리 기기용 세척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