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2479B1 - 수처리장치와 수처리장치의 살균방법 - Google Patents

수처리장치와 수처리장치의 살균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2479B1
KR102442479B1 KR1020170083821A KR20170083821A KR102442479B1 KR 102442479 B1 KR102442479 B1 KR 102442479B1 KR 1020170083821 A KR1020170083821 A KR 1020170083821A KR 20170083821 A KR20170083821 A KR 20170083821A KR 102442479 B1 KR102442479 B1 KR 1024424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terilization
storage tank
intake cock
discharge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38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3220A (ko
Inventor
김진일
안정훈
Original Assignee
쿠쿠홈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쿠쿠홈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쿠쿠홈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838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2479B1/ko
Priority to CN201710806105.XA priority patent/CN109200310A/zh
Publication of KR201900032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32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24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24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4Apparatus using programmed or automatic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6Filters making use of electricity or magnetis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18Liquid substances or solutions comprising solids or dissolved g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01D35/04Plug, tap, or cock filters filtering elements mounted in or on a fauc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7/00Processes of filtration
    • B01D37/04Controlling the filt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 C02F1/46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by electrooxydation
    • C02F1/467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by electrooxydation with halogen or compound of halogens, e.g. chlorine, brom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2Apparatus for isolating biocidal substances from the environment
    • A61L2202/123Connec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계식 밸브 방식의 취수코크를 살균할 수 있는 수처리장치와 수처리장치의 살균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수처리장치는, 사용자에게 출수할 물을 저장하는 저장탱크; 사용자가 조작하는 레버의 동작에 의해 내부의 밸브가 개폐되어 상기 저장탱크의 물이 출수되도록 하는 취수코크; 상기 저장탱크와 취수코크 사이를 연결하는 배출라인에 구비되어 살균수를 생성하는 살균모듈; 상기 살균모듈에서 생성된 살균수를 상기 취수코크로 배출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수처리장치와 수처리장치의 살균방법{WATER TREATMENT APPARATUS AND STERILIZING METHOD}
본 발명은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장치의 살균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살균수를 이용하여 기계식 취수코크를 살균할 수 있는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장치의 살균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정수기는, 수돗물이나 자연수와 같은 원수 중의 찌꺼기를 여과하게 되는 전처리 침전 필터와, 원수 중의 염소성분이나 냄새를 제거하기 위한 프리 카본 필터와, 상기 프리 카본 필터를 통과한 정수에 포함된 염소 성분이나 냄새를 제거하기 위한 포스트 카본 필터와, 상기 포스트 카본 필터를 통과한 정수에 포함된 세균 및 기타 미립자를 제거하기 위한 중공사막 필터와, 상기 중공사막 필터를 통과한 정수를 저장하기 위한 물탱크로 구성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정수처리장에서는 물속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하기 위해 염소계 살균소독제를 투여하는데, 상기 살균소독제가 투여된 수돗물이 정수기를 통과하는 동안 프리 카본 필터와 포스트 카본 필터에서 염소성분이 제거된 후 물탱크에 저장된다.
이와 같이 물탱크에 저장된 정수는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하는 염소 성분이 필터에 의해 제거된 상태이므로 상기 물탱크에 저장된 정수를 소비자가 즉시 이용하지 않고 장시간 경과하게 되면 물탱크 내부에 세균이 증식하게 되므로, 이러한 물탱크의 살균을 위하여 다양한 방법들이 제안되었다.
예를 들면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2-0047141(선행문헌 1)에는 염소수 생성장치에 의해 생성된 살균수를 이용하여 정수조 내부를 살균하고, 상기 염소수 생성장치에서 생성된 살균수를 정수 취출구를 통해 배수시키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한편, 정수를 사용자에게 출수하기 위한 취수코크는 기계식 밸브 방식 또는 전자식 밸브 방식으로 나뉜다. 기계식 밸브 방식은 사용자가 레버를 당기거나 밀어서 회동시키면 상기 레버에 연결되어 있는 기계식 밸브가 개방되어 물이 취수코크를 통해 배출되는 방식이고, 전자식 밸브 방식은 사용자가 레버를 회동시키면 상기 레버의 회동을 센서가 감지하여 전자식 밸브를 개방시켜 물이 취수코크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는 방식이다. 상기 기계식 밸브 방식의 일례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20-2014-0004268(선행문헌 2)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기계식 밸브 방식의 취수코크는 많은 부품으로 이루어져 그 내부 구조가 복잡하여 청소 및 세척이 불가능한 구조이므로 위생에 취약한 단점이 있다. 따라서 기계식 밸브 방식의 취수코크 내부를 살균처리할 필요성이 제기되는데, 선행문헌 2에 나타난 취수코크를 선행문헌 1의 살균시스템에 적용하여 살균을 진행하려면 살균수를 취수코크를 통해 배출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수동으로 취수코크가 열어야 한다. 이 경우 물탱크 내부의 물이 열려 있는 취수코크를 통해 계속적으로 출수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기계식 밸브 방식의 취수코크를 살균할 수 있는 수처리장치와 수처리장치의 살균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수처리장치는, 사용자에게 출수할 물을 저장하는 저장탱크; 사용자가 조작하는 레버의 동작에 의해 내부의 밸브가 개폐되어 상기 저장탱크의 물이 출수되도록 하는 취수코크; 상기 저장탱크와 취수코크 사이를 연결하는 배출라인에 구비되어 살균수를 생성하는 살균모듈; 상기 살균모듈에서 생성된 살균수를 상기 취수코크로 배출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배출라인은, 상기 저장탱크의 물을 사용자에게 출수하기 위한 제1배출라인; 상기 살균모듈이 설치되어 상기 저장탱크로부터 공급된 물을 이용하여 살균수를 생성하여 상기 취수코크로 배출시키기 위한 제2배출라인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배출라인과 제2배출라인에는 각각의 배관을 통한 물의 유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1밸브와 제2밸브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배출라인에는 상기 제2밸브와 살균모듈이 상기 취수코크를 향하여 순차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살균모듈과 취수코크 사이를 연결하는 상기 제2배출라인의 일부는 상기 살균모듈보다 더 높은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배출라인보다 상기 제2배출라인의 내경이 더 작은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처리장치의 살균방법은, 사용자에게 출수할 물이 저장된 저장탱크, 사용자가 조작하는 레버의 동작에 의해 내부의 밸브가 개폐되어 상기 저장탱크의 물이 출수되도록 하는 취수코크를 구비한 수처리장치의 살균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취수코크를 살균하기 위한 취수코크 살균신호가 제어부에 수신되는 단계; b) 상기 저장탱크와 취수코크 사이를 연결하는 배출라인을 통해 상기 취수코크로 상기 저장탱크의 물이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단계; c) 상기 배출라인에 구비된 살균모듈에서 상기 저장탱크로부터 공급된 물을 이용하여 살균수를 생성한 후 상기 취수코크로 배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저장탱크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에서 설정된 수위를 감지한 경우 상기 b)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저장탱크의 물을 사용자에게 출수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밸브와 제2밸브를 개방시키고; 상기 b)단계에서는 상기 제1밸브와 제2밸브를 닫아 상기 제1, 제2배출라인을 통해 상기 취수코크로 물이 배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b)단계와 c)단계 사이에는 상기 제2밸브를 제1설정시간 동안 개방시켜 상기 살균모듈이 설치된 상기 제2배출라인에 상기 저장탱크의 물을 채운 후 상기 제2밸브를 닫고, 상기 살균모듈을 제2설정시간 동안 온(On)시키는 b-1)단계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c)단계 이후 상기 살균수의 배출을 정지시키고, 상기 저장탱크의 물을 상기 취수코크로 배출시켜 상기 취수코크의 헹굼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취수코크를 통해 배출되는 살균수를 수용하기 위한 살균컵을 감지하기 위한 살균컵감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살균컵감지부에서 상기 살균컵을 감지한 경우 상기 c)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계식 밸브 방식의 취수코크를 살균처리할 수 있어 세균번식과 바이오필름 형성을 방지하여 깨끗한 물을 사용자에게 공급할 수 있다.
또한, 기계식 밸브 방식의 취수코크를 살균하는 경우에도 취수코크를 통해 물이 출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살균모듈이 설치된 제2연결배관 내부에 물을 채운 상태에서 살균모듈을 작동시킴으로써 살균모듈의 고장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살균모듈이 설치된 제2연결배관 내부에서 살균수를 높은 농도로 생성시킨 후 취수코크로 살균수를 배출함으로써 살균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취수코크를 통해 배출된 살균수를 살균컵에 수용하되 취수코크가 살균컵에 수용된 살균수에 잠기도록 하여 취수코크의 외부까지 살균처리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청결한 물을 제공할 수 있고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수처리장치 본체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수처리장치 본체의 제어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수처리장치 본체와 살균컵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나타난 살균컵을 보여주는 결합사시도 및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수처리장치 본체에 살균컵이 안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수처리장치에서 살균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수처리장치 본체(1)는, 원수를 여과하기 위해 다수의 필터(110,120,130,140)로 이루어진 필터부(100), 상기 필터부(100)에서 여과된 물을 저장하는 저장탱크(200), 상기 저장탱크(200)에 연결된 배출라인(512) 상에 설치되어 살균수를 공급하기 위한 살균모듈(300), 상기 저장탱크(200)에 저장된 물을 사용자에게 출수하기 위한 출수부(400)를 포함한다.
상기 필터부(100)는, 전처리 침전 필터(110)와, 프리 카본 필터(120)와, 포스트 카본 필터(130), 중공사막 필터(140)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공사막 필터(140) 대신 역삼투압 멤브레인 필터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각 필터들(110,120,130,140) 사이는 다수의 배관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정수된 물이 이동한다.
상기 저장탱크(200)는, 상기 필터부(100)에서 여과된 물을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 정수공급라인(501)에 의해 상기 중공사막 필터(140)와 연결되어 냉수와 정수를 저장하는 제1저장탱크(210)와, 상기 제1저장탱크(210)와 연결되어 온수를 저장하는 제2저장탱크(2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저장탱크(210)는 상온의 정수가 저장되는 상부공간(210a)과 냉수가 저장되는 하부공간(210b)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공간(210a)과 하부공간(210b)은 분리판(213)에 의해 구분되며, 상기 분리판(213)의 중앙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하부공간(210b)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정수를 냉수와 혼합되지 않은 상태로 상기 제2저장탱크(220)로 공급하기 위한 연결유로(214)가 구비된다.
상기 제1저장탱크(210)에는, 제1저장탱크(210) 내부의 수위를 감지하여 살균모드의 가동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수위센서(215), 제1저장탱크(210) 내부로 유입되는 물의 수위를 제한하기 위한 볼탑(216)이 구비된다.
상기 살균모듈(300)에 물이 공급되지 않은 상태에서 가동되면 살균모듈(300)의 고장발생을 유발하므로, 상기 살균모듈(300)에서 살균수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최소한의 물이 공급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수위센서(215)에서 설정된 수위를 감지하면 살균모드를 가동하기 위해 필요한 양의 물이 제1저장탱크(210)에 저장되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수위센서(215)는, 제1저장탱크(210)의 만수위를 감지하는 것으로 구성할 수도 있고, 만수위보다 낮은 수위로서 살균모드를 진행하기 위해 충분하다고 판단되는 정도의 수위를 감지하는 것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볼탑(216)은 부력을 이용하여 제1저장탱크(210)로 유입되는 물이 일정 수위가 되면 물의 유입을 기계적으로 차단함으로써 제1저장탱크(210)의 수위를 제한하게 된다.
상기 제1저장탱크(210)의 연결유로(214)와 제2저장탱크(220)의 일측 하부 사이는 제1탱크연결라인(502)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제2저장탱크(220)의 타측 하부에는 제2저장탱크(220)의 물을 배수하기 위한 제2저장탱크 배수라인(504)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1저장탱크(210)의 상부와 제2저장탱크(220)의 상부 사이는 탱크 상부 공간을 서로 연통시키는 제2탱크연결라인(503)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하부공간(210b)의 외측 둘레에는 저장된 정수의 냉각을 위한 냉각코일(217)이 구비되고, 상기 제2저장탱크(220)의 내부에는 저장된 정수의 가열을 위한 히터(22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저장탱크(210)의 냉수 및 제2저장탱크(220)의 온수는 취수부(400)를 통해 사용자에게 공급된다. 상기 취수부(400)는, 상기 제1저장탱크(210)의 하부공간(210b)에 연결된 제1배출라인(511)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공간(210b)의 물을 출수하는 제1취수코크(410), 상기 제2저장탱크(220)의 상부에 연결된 제3배출라인(513)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2저장탱크(220)의 물을 출수하는 제2취수코크(420)를 포함한다.
상기 제1취수코크(410)에는, 사용자가 냉수를 출수하기 위해 밀어 회동시키는 제1레버(411)와, 상기 제1레버(411)를 밀면 내부의 유로가 기계적으로 개방되어 상기 제1배출라인(511)을 통해 공급되어 온 냉수를 배출시키는 제1취수밸브(412)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2취수코크(420)에는, 사용자가 온수를 출수하기 위해 밀어 회동시키는 제2레버(421)와, 상기 제2레버(421)를 밀면 내부의 유로가 기계적으로 개방되어 상기 제3배출라인(513)을 통해 공급되어 온 온수를 배출시키는 제2취수밸브(422)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1저장탱크(210)의 하부공간(210b)과 상기 제1취수코크(410) 사이는 제1배출라인(511)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제1배출라인(511) 상에는 제1배출라인(511)을 통한 물의 공급 여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1밸브(310)가 구비된다. 상기 제1밸브(310)는 노멀 오픈(Normal open)으로 이루어져, 사용자에게 냉수를 출수하는 경우에는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고, 제1취수코크(410)를 살균하는 경우에는 닫힌 상태가 된다. 상기 제1밸브(310)가 개방되면, 상기 제1저장탱크(210) 하부공간(210b)의 냉수는 상기 제1배출라인(511)을 통해 제1취수코크(410)로 출수된다.
또한, 상기 제1저장탱크(210)의 하부공간(210b)과 상기 제1취수코크(410) 사이는 상기 제1배출라인(511)과 병렬로 연결되는 제2배출라인(512)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제2배출라인(512) 상에는 제2배출라인(512)을 통한 물의 공급 여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2밸브(320)가 구비된다. 상기 제2밸브(320)는 노멀 오픈(Normal open)으로 이루어져, 사용자에게 냉수를 출수하는 경우에는 개방된 상태이고, 제1취수코크(410)를 살균하는 경우에는 개방 또는 닫힌 상태가 된다. 상기 제2밸브(320)가 개방되면, 상기 제1저장탱크(210)의 하부공간(210b)의 냉수는 상기 제2배출라인(512)으로 유동한다.
이 경우 상기 제1배출라인(511)은 일정량 이상의 출수량을 확보하기 위해 관로 내경이 커야 하는데 반해, 상기 제2배출라인(512)은 관로 내경이 크면 유속이 빨라져 살균수 농도가 낮아지므로 관로 내경이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배출라인(511)의 내경보다 상기 제2배출라인(512)의 내경이 더 작은 것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제2배출라인(512)에 구비된 상기 살균모듈(300)은 상기 제2배출라인(512) 내부로 공급된 물을 전기분해하여 물 속에 포함된 염소이온과 수소, 산소등이 반응하여 HOCl, ClO- 이온 등의 살균물질을 생성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상기 살균모듈(300)에서 생성된 살균수가 상기 제2배출라인(512)에서 제1저장탱크(210)로 역류하게 되면 제1저장탱크(210)로 유입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2배출라인(512)상에는 상기 제2밸브(320)와 살균모듈(300)을 상기 제1취수코크(410)를 향하여 순차 배치함으로써 상기 제2밸브(320)가 닫힌 상태에서 살균수가 제1저장탱크(210)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2배출라인(512)에서 상기 살균모듈(300)과 제1취수코크(410) 사이를 연결하는 부분에는 살균모듈(300)이 설치된 위치보다 더 높은 위치에 설치되는 승강부(512a)가 구비된다. 상기 승강부(512a)로 인해 제2배출라인(512)에 물을 채운 상태에서 살균모듈(300)을 작동시킬 수 있으므로 살균모듈(300)의 고장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승강부(512a)가 구비되지 않으면 제2배출라인(512)의 물이 제1취수코크(410)를 통해 빠져 나가므로, 제2배출라인(512) 내부에 물이 채워지지 않은 상태에서 살균모듈(300)이 작동하여 살균모듈(300)의 고장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제2저장탱크(220)와 제2취수코크(420) 사이는 제3배출라인(513)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제2저장탱크(220)의 온수는 상기 제3배출라인(513)을 통해 제2취수코크(420)로 배출된다.
상기 수처리장치 본체(1)의 전면부에는 사용자가 온수의 출수를 위한 온수출수버튼, 취수코크 살균모드를 가동시키기 위한 살균버튼(610) 등 복수의 버튼이 구비된 조작패널(700)이 구비되고, 상기 제1,제2취수코크(410,420)가 전면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조작패널(700)에 구비된 살균버튼(610)을 누르게 되면 취수코크 살균신호가 발생하고, 제어부(600)는 상기 취수코크 살균신호를 수신받아 살균모드로 가동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상기 제1취수코크(410)를 통해 배출된 살균수를 수용하는 살균컵(2)이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가 제1취수코크(410)를 살균하고자 하는 경우 살균컵(2)을 제1취수코크(410)의 하부에 위치시키고, 상기 제1취수코크(410)로부터 배출된 살균수가 상기 살균컵(2) 내부에 수용된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살균컵(2)은 제1취수코크(410)를 통해 배출된 살균수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홈(21b)이 형성된 제1수용부(21)와, 상기 제1수용부(21)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수용홈(21b)에서 넘친 살균수를 수용하는 제2수용부(22)와, 상기 제2수용부(22)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2수용부(22)를 지지하는 컵받침대(23)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수용부(21)는, 오목한 홈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기 수용홈(21b)의 외측을 둘러싸는 내부몸체(21d), 상기 내부몸체(21d)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내부몸체(21d)의 외측을 둘러싸는 외부몸체(21a), 상기 내부몸체(21d)와 외부몸체(21a)의 상단 둘레를 연결시키는 상단연결부(21e), 상기 상단연결부(21e) 둘레를 따라 이격되어 형성된 복수의 개구부(21c)로 이루어진다.
상기 개구부(21c)가 형성된 상단연결부(21e)는 수용홈(21b)의 살균수가 개구부(21c)측으로 넘칠 수 있도록 내부몸체(21d)가 함몰된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수용홈(21b)은, 제1취수코크(410)가 위치하는 제1수용홈(21-1b), 제2취수코크(420)가 위치하는 제2수용홈(21-2b), 제1수용홈(21-1b)과 제2수용홈(21-2b)을 연결하는 수용홈연결부(21-3b)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살균수는 제1취수코크(410)에서 제1수용홈(21-1b)으로 배출되고, 상기 제1수용홈(21-1b)으로 배출된 살균수는 수용홈연결부(21-3b)와 제2수용홈(21-2b)에도 채워진다. 상기 수용홈(21b)에 살균수가 차게 되면 상기 개구부(21c)를 통해 살균수가 흘러 넘쳐, 상기 외부몸체(21a)와 내부몸체(21d) 사이의 공간을 통해 제2수용부(22) 내부공간(22a)에 수용된다.
이 경우 상기 제1, 제2취수코크(410,420)는 상기 개구부(21c) 보다 더 하측에 위치되어 있어, 상기 수용홈(21b)에 살균수가 차게 되면 제1, 제2취수코크(410,420)가 살균수에 잠기게 되므로 제1, 제2취수코크(410,420)의 내부 뿐만 아니라 외부까지 살균처리가 가능하다.
또한, 제1취수코크(410)를 통해 배출된 살균수를 이용하여 제2취수코크(420)까지 동시에 살균처리가 가능하므로, 제2취수코크(420)를 살균하기 위한 별도의 구성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살균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다.
상기 제2수용부(22)는, 대략 사각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살균수가 수용되는 내부공간(22a)을 형성하는 몸체부(22b)와, 상기 몸체부(22b)의 상부 둘레를 따라 띠 모양으로 형성되어 그 내측에 상기 제1수용부(21)의 하단부(21f)가 삽입되는 상단플랜지부(22c)와, 상기 컵받침대(23)에 결합되는 제1결합부(22d)로 이루어진다.
상기 내부공간(22a)은 살균수를 충분히 수용하고, 후술하는 헹굼수를 수용하기 위해 수용홈(21b)보다 담수 용량이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컵받침대(23)는, 상기 제2수용부(22)보다 높이가 낮은 사각통 형상으로 이루어진 외부몸체(23a)와, 상기 외부몸체(23a)의 내측에 상기 제1결합부(22d)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결합부(22d)가 내측으로 삽입되는 제2결합부(23b)와, 수처리장치 본체(1)에서 살균컵(2)을 인식하기 위한 자성체(24)가 삽입되는 자성체삽입부(23c)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수용부(21)와 제2수용부(22) 및 컵받침대(23)로 구성되는 살균컵(2)의 전체적인 형상이 사각통 형상으로 이루어진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원통, 다각형통 등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실시 가능하다.
수처리장치 본체(1)에는 상기 살균컵(2)을 상기 제1취수코크(410)의 하부에 위치시킨 경우 상기 살균컵(2)을 감지하기 위한 살균컵감지부(620)가 구비된다. 상기 살균컵감지부(620)가 상기 자성체(24)의 자기장을 감지하면 그 감지된 신호를 제어부(600)에 송신한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600)는 살균컵(2)이 제1취수코크(410) 하부에 위치되었다고 판단하고, 상기 살균모듈(300)을 온(On)시켜 제1취수코크(410)를 통해 살균수를 배출시킴으로써 제1취수코크(410)의 살균처리가 이루어진다.
상기 살균컵감지부(620)는 자성체(24)의 움직임에 따른 자기장의 변화량을 감지하는 MR센서 또는 자성체(24)의 움직임에 따라 온/오프(On/Off)되는 리드스위치 또는 홀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수처리장치의 살균방법을 설명한다.
살균모드가 시작되기 전에는 사용자에게 냉수를 출수할 수 있는 상태이므로, 제1밸브(310)와 제2밸브(320)는 개방되어 있고, 살균모듈(300)은 작동하지 않는 오프(Off) 상태이다. 이러한 초기상태에서 단계 S10에 의해 살균모드가 시작된다.
단계 S10에서 제1 취수코크 살균신호가 입력된다. 사용자가 제1취수코크(410)를 살균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살균버튼(610)을 누르고, 상기 살균버튼(610)의 누름에 의해 발생된 제1 취수코크 살균신호는 제어부(600)에 수신된다.
단계 S11에서 상기 제어부(600)는 제1저장탱크(210)의 수위가 설정된 수위인지를 감지한다. 여기서 설정된 수위는 제1취수코크(410) 살균에 필요한 정도의 수위를 의미하므로, 제1저장탱크(210)가 만수위가 되는 수위로 설정할 수도 있고, 만수위보다 낮은 수위로 설정할 수도 있다. 만약 수위 감지 결과 설정된 수위인 것으로 감지되면 단계 S13으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 S12로 진행한다.
단계 S12에서 필터부(100)에서 여과된 물이 제1저장탱크(210)에 입수된다. 상기 볼탑(216)은 제1저장탱크(210)의 수위가 일정 수위 이하가 되면 기계적으로 물이 입수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이 경우에는 제1저장탱크(210)의 수위가 설정된 수위가 될 때까지 대기하는 과정이 된다.
상기 단계 S11과 같은 수위 감지 단계는 살균모드가 진행되면서 필요에 따라 반복적으로 감지하는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단계 S13에서 상기 제어부(600)는 제1밸브(310)와 제2밸브(320)를 닫는다. 제1취수코크(410)는 기계식 밸브 방식이므로 제1취수코크(410)의 살균을 위해 제1레버(411)를 밀어 제1취수밸브(412)를 개방시키면 제1저장탱크(210) 및 제1,제2배출라인(511,512) 내부의 물이 계속적으로 출수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살균컵을 이용하여 제1취수밸브(412)를 개방시키더라도 내부의 물이 출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1밸브(310)와 제2밸브(320)를 닫는다.
단계 S14에서 상기 제어부(600)는 살균컵감지부(620)에서 살균컵을 감지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사용자가 제1레버(411)와 제2레버(421)를 상향 회동시켜 밀어 올린 후 살균컵(2)을 제1취수코크(410)와 제2취수코크(420)의 하부에 위치시키고, 살균컵감지부(620)에서 살균컵(2)에 구비된 자성체(24)의 자기장을 감지하게 되면 그 감지된 신호는 제어부(600)에 수신된다. 이 경우 사용자가 제1레버(411)를 밀어 올리면 제1취수밸브(412)가 개방되지만, 제1밸브(310)와 제2밸브(320)가 닫혀 있으므로, 제1취수코크(410)를 통해 물이 출수되지 않는다. 또한, 사용자가 제2레버(421)를 밀어 올려 제2취수밸브(422)가 개방되더라도 온수출수버튼을 누르지 않으면 제2취수코크(420)를 통해 물이 제2저장탱크(220)의 물이 출수되지 않는다. 만약 상기 살균컵감지부(620)에서 살균컵이 감지되면 단계 S15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 S14에서 살균컵이 감지될 때까지 대기하게 된다.
단계 S15에서 제2 취수코크 살균신호가 입력된다. 사용자가 살균컵을 제1취수코크(410)의 하부에 위치시킨 후 살균버튼(610)을 누르면 제2 취수코크 살균신호가 발생되어 제어부(600)에 수신되고, 제어부(600)는 수신된 신호로부터 제2밸브(320)를 개방시킬 수 있는 상태가 된 것으로 판단한다.
단계 S16에서 상기 제어부(600)는 제2밸브(320)를 개방시켜 제1저장탱크(210)의 물이 제2배출라인(512) 내부로 공급되도록 한다.
단계 S17에서 상기 제어부(600)는 제2밸브(320)의 개방 후 제1설정시간이 경과하였는지 판단한다. 상기 제1설정시간은 상기 제2밸브(320)를 개방시켰을 때 제2배출라인(512) 내부에 물을 일정량 채울 수 있는 정도의 시간이다. 상기 제2배출라인(512) 내부에 물을 채우면 그 내부의 공기는 배출된다. 이 경우 살균모듈(300)과 제1취수코크(410) 사이를 연결하는 제2배출라인(512)의 일부인 승강부(512a)가 상기 살균모듈(300)보다 높은 위치에 구비되어 있어, 상기 제2밸브(320)를 개방시키더라도 제1설정시간을 적절히 설정하면 물이 제1취수코크(410)를 통해 다 배출되지 않고 상기 살균모듈(300)까지 채워지게 되므로, 살균모듈(300)은 제2배출라인(512) 내부에 물이 채워진 상태에서 작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배출라인(512) 내부에 물이 채워진 상태에서 후술하는 단계 S18에서 살균모듈(300)이 온(On)되도록 하면 살균모듈(300)의 고장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제1설정시간이 경과되었다고 판단되면 단계 S18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제1설정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단계 S16의 상태가 지속된다.
단계 S18에서 상기 제어부(600)는 제2밸브(320)를 닫고, 살균모듈(300)을 온(On)시킨다. 상기 제2밸브(320)를 닫게 되면 제1저장탱크(210)로부터 추가적인 물의 공급이 중단되고, 제2배출라인(512)의 내부는 물이 채워진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살균모듈(300)을 온(On)시키면 제1취수코크(410)를 통해 배출되지 않고 제2배출라인(512) 내부에 채워져 정체되어 있던 물이 살균수가 되어, 제1취수코크(410)를 살균하는 살균수의 농도를 높여 살균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만약 제2밸브(320)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살균모듈(300)을 온(On)시키면 제2배출라인(512) 내부는 제1저장탱크(210)로부터 공급된 물이 흐르는 상태이므로 살균모듈(300)을 온(On)시키더라도 살균수의 농도가 낮아 살균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단계 S19에서 상기 제어부(600)는 살균모듈(300)을 온(On)시킨 후 제2설정시간이 경과하였는지 판단한다. 상기 제2설정시간동안 살균모듈(300)이 온(On)되면 제2배출라인(512) 내부에는 살균수가 생성되어 채워지게 된다. 만약 상기 제2설정시간이 경과되었다고 판단되면 단계 S20으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제2설정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단계 S19의 상태가 지속된다.
단계 S20에서 상기 제어부(600)는 제2밸브(320)를 개방시킨다. 상기 살균모듈(300)이 온(On)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2밸브(320)를 개방시키면, 살균모듈(300)에서 생성된 살균수는 제1취수코크(410)를 통해 배출되어 제1취수코크(410) 내부를 살균처리한다.
또한, 제1취수코크(410)를 통해 배출된 살균수는 살균컵(2)의 제1수용부(21)의 제1수용홈(21-1b)과 수용홈연결부(21-3b) 및 제2수용홈(21-2b)에 수용되고, 제1취수코크(410)에서 살균수가 계속 배출되어 살균수가 개구부(21c)까지 차게 되면 살균수는 개구부(21c)를 통해 넘쳐 흘러 제2수용부(22) 내부공간(22a)에 수용된다.
이 경우 제1취수코크(410)의 하부와 제2취수코크(420)의 하부는 살균수에 잠기게 되므로 제1, 제2취수코크(410,420)의 외부와 제2취수코크(420)의 내부 일부까지 살균이 이루어진다.
단계 S21에서 상기 제어부(600)는 제2밸브(320)를 개방시킨 후 제3설정시간이 경과하였는지 판단한다. 상기 제3설정시간은 제1취수코크(410)와 제2취수코크(420)의 내부 및 외부를 살균하기에 충분한 양의 살균수가 제1취수코크(410)를 통해 배출되었다고 판단되는 시간으로서, 살균컵에 살균수가 수용될 수 있는 용량을 고려하여 설정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제3설정시간이 경과되었다고 판단되면 단계 S22으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제3설정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단계 S20의 상태가 지속된다.
단계 S22에서 상기 제어부(600)는 제2밸브(320)를 닫고, 살균모듈(300)을 오프(Off)시킨다.
단계 S23에서 상기 제어부(600)는 제4설정시간이 경과하였는지 판단한다. 상기 제4설정시간은 살균컵(2)의 수용홈(21b)에 살균수가 채워진 상태에서 제1취수코크(410)와 제2취수코크(420)에 대한 살균수 접촉이 유지되는 시간이다.
이와 같이 단계 S23까지 살균과정이 진행된 후 단계 S24와 S25에서 헹굼과정이 진행된다.
단계 S24에서 상기 제어부(600)는 제2밸브(320)를 개방한다. 상기 제2밸브(320)가 개방되면 제1저장탱크(210)의 물이 제2배출라인(512)을 통과한 후 제1취수코크(410)를 통해 배출된 후 살균컵(2)의 수용홈(21b)에 수용된다.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제2배출라인(512)과 제1취수코크(410) 및 제2취수코크(420)의 헹굼이 이루어진다. 이 경우 제2밸브(320)와 함께 제1밸브(310)도 개방하면 헹굼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제1배출라인(511) 내부에 잔류할 수 있는 살균수의 헹굼도 가능하다.
단계 S25에서 상기 제어부(600)는 제5설정시간이 경과하였는지 판단한다. 상기 제5설정시간은 헹굼을 위해 제1취수코크(410)를 통해 배출되어 살균컵에 수용되는 물의 용량을 고려하여 설정할 수 있다. 판단결과 제5설정시간이 경과하였으면 단계 S26으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헹굼과정이 계속된다.
단계 S26에서 제2밸브(320)을 닫아 헹굼과정이 종료된다. 만약 단계 S24에서 제1밸브(310)를 개방한 경우에는 단계 S26에서 제2밸브(320)와 함께 제1밸브(310)도 닫는다. 이와 같이 헹굼이 종료되는 경우에는 제1밸브(310)가 닫혀 있어야 살균컵(2)을 제거하고 제1,제2레버(411,412)를 원위치시키는 과정에서 제1취수코크(410)를 통해 제1저장탱크(210)의 물이 출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후 살균컵(2)을 제거하고 제1,제2레버(411,412)를 원위치시킨 후 살균버튼(610)을 누르면 살균이 종료되고, 상기 제1밸브(310)와 제2밸브(320)를 다시 개방하여 제1취수코크(410)에서 출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에서는 단계 S22에서 제2밸브(320)를 닫고 살균모듈(300)을 오프(Off)시킨 후 헹굼이 이루어지기 전에 제1취수코크(410)와 제2취수코크(420)가 제4설정시간 동안 살균수에 접촉되는 것을 유지하는 것으로 구성하였으나, 단계 S22에서 제2밸브(320)를 닫는 과정을 없애고, 단계 S23과 S24 과정의 수행없이 살균과정과 헹굼과정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즉, 단계 S20에서 제2밸브(320)를 개방하면 살균모듈(300)에서 생성된 살균수가 살균컵(2)의 수용홈(21b)에 채워지고, 수용홈(21b)에서 넘친 살균수는 제2수용부(22)에 수용된다.
그 후 단계 S21에서 제3설정시간이 경과하였는지 판단하고, 제3설정시간이 경과한 경우에는 단계 S22에서 살균모듈(300)을 오프(Off)시킨다. 이 경우 제2밸브(320)는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살균모듈(300)을 오프(Off)시킨 이후에는 제1저장탱크(210)의 물이 제1취수코크(410)를 통해 배출된 후 살균컵(2)의 수용홈(21b)에 수용된다.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제2배출라인(512)과 제1취수코크(410) 및 제2취수코크(420)의 헹굼이 이루어진다.
그 후 제6설정시간이 경과하였는지 판단한다. 상기 제6설정시간은 살균모듈(300)이 오프(Off)된 상태에서 제1저장탱크(210)의 물이 살균컵(2)의 수용홈(21b)에 배출되는 시간으로서, 살균컵(2)의 수용 용량을 고려하여 설정할 수 있다. 만약 제6설정시간이 경과하였으면 제2밸브(320)를 닫아 살균 및 헹굼과정이 종료된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하면 살균과정에서 헹굼과정까지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므로 제어과정이 단순해지고, 살균처리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기계식 밸브 방식의 제1취수코크(410)에서 물이 출수되는 것을 방지한 상태에서 취수코크를 살균처리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세균번식과 바이오필름 형성을 방지하여 깨끗한 물을 사용자에게 공급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벗어남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자명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 : 수처리장치 100 : 필터부
110 : 전처리 침전 필터 120 : 프리 카본 필터
130 : 포스트 카본 필터 140 : 중공사막 필터
200 : 저장탱크 210 : 제1저장탱크
210a : 상부공간 210b : 하부공간
213 : 분리판 214 : 연결유로
215 : 수위센서 216 : 볼탑
217 : 냉각코일 220 : 제2저장탱크
221 : 히터 300 : 살균모듈
310 : 제1밸브 320 : 제2밸브
400 : 출수부 410 : 제1취수코크
411 : 제1레버 412 : 제1취수밸브
420 : 제2취수코크 421 : 제2레버
422 : 제2취수밸브 501 : 정수공급라인
502 : 제1탱크연결라인 503 : 제2탱크연결라인
504 : 제2저장탱크 배수라인 511 : 제1배출라인
512 : 제2배출라인 512a : 승강부
513 : 제3배출라인

Claims (18)

  1. 사용자에게 출수할 물을 저장하는 저장탱크;
    사용자가 조작하는 레버의 동작에 의해 내부의 밸브가 개폐되어 상기 저장탱크의 물이 출수되도록 하는 취수코크;
    상기 저장탱크와 취수코크 사이를 연결하는 배출라인에 구비되어 살균수를 생성하는 살균모듈;
    상기 살균모듈에서 생성된 살균수를 상기 취수코크로 배출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취수코크를 살균하는 경우 상기 취수코크로 상기 저장탱크의 물이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여 상기 배출라인에 상기 저장탱크의 물을 채운 후 상기 살균모듈을 온(On)시켜 살균수를 생성하고, 상기 살균모듈을 설정시간 동안 온(On)시킨 후 상기 취수코크로 상기 배출라인의 살균수를 배출하고,
    상기 배출라인은,
    상기 저장탱크의 물을 사용자에게 출수하기 위한 제1배출라인;
    상기 살균모듈이 설치되어 상기 저장탱크로부터 공급된 물을 전기분해하여 생성된 살균수를 상기 취수코크로 배출시키기 위한 제2배출라인;
    으로 이루어진 수처리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배출라인과 제2배출라인에는 각각의 배관을 통한 물의 유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1밸브와 제2밸브가 각각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배출라인에는 상기 제2밸브와 살균모듈이 상기 취수코크를 향하여 순차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모듈과 취수코크 사이를 연결하는 상기 제2배출라인의 일부는 상기 살균모듈보다 더 높은 위치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탱크의 물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수위센서에서 설정된 수위가 감지된 경우 상기 살균모듈에서 살균수를 생성하여 상기 취수코크로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취수코크를 통해 배출되는 살균수를 수용하기 위한 살균컵을 감지하기 위한 살균컵감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살균컵감지부에서 상기 살균컵을 감지한 경우 상기 살균모듈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배출라인보다 상기 제2배출라인의 내경이 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탱크와 취수코크와 살균모듈 및 제어부를 포함하는 본체가 구비되고, 상기 취수코크를 통해 배출되는 살균수를 수용하기 위한 살균컵을 더 포함하고, 사용자의 취수코크 살균요청신호에 의해 상기 취수코크를 통해 살균수가 배출되는 수처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컵은,
    상기 취수코크를 통해 배출된 살균수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홈과 상기 수용홈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수용홈의 살균수가 넘칠 수 있도록 하는 개구부가 형성된 제1수용부;
    상기 제1수용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개구부를 통해 넘친 살균수를 수용하는 제2수용부;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탱크는, 서로 다른 온도의 물을 저장하는 제1저장탱크와 제2저장탱크로 이루어지고;
    상기 취수코크는, 상기 제1저장탱크의 물을 출수하기 위한 제1취수코크와, 상기 제2저장탱크의 물을 출수하기 위한 제2취수코크로 이루어지고;
    상기 살균컵에는 상기 제1취수코크를 통해 배출된 살균수를 수용하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에 상기 살균수가 수용된 경우 상기 제1취수코크와 제2취수코크의 적어도 하단 일부는 상기 살균수에 함께 잠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
  12. 사용자에게 출수할 물이 저장된 저장탱크, 사용자가 조작하는 레버의 동작에 의해 내부의 밸브가 개폐되어 상기 저장탱크의 물이 출수되도록 하는 취수코크, 상기 저장탱크와 취수코크 사이를 연결하는 배출라인을 포함하되, 상기 배출라인은 상기 저장탱크의 물을 사용자에게 출수하기 위한 제1배출라인과 상기 저장탱크로부터 공급된 물을 이용하여 살균수를 생성하여 상기 취수코크로 배출시키기 위해 살균모듈이 설치된 제2배출라인으로 이루어진 수처리장치의 살균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취수코크를 살균하기 위한 취수코크 살균신호가 제어부에 수신되는 단계;
    b) 상기 배출라인을 통해 상기 취수코크로 상기 저장탱크의 물이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단계;
    c) 상기 살균모듈에서 상기 저장탱크로부터 공급된 물을 전기분해하여 살균수를 생성한 후 상기 취수코크로 배출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b)단계는, 상기 취수코크로 상기 저장탱크의 물이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여 상기 제2배출라인에 상기 저장탱크의 물을 채운 후 상기 살균모듈을 온(On)시켜 살균수를 생성하고, 상기 살균모듈을 설정시간 동안 온(On)시킨 후 상기 취수코크로 상기 제2배출라인의 살균수를 배출하는 수처리장치의 살균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탱크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에서 설정된 수위를 감지한 경우 상기 b)단계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의 살균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배출라인과 제2배출라인에는 각각의 배관을 통해 물의 유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1밸브와 제2밸브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저장탱크의 물을 사용자에게 출수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밸브와 제2밸브를 개방시키고;
    상기 b)단계에서는 상기 제1밸브와 제2밸브를 닫아 상기 제1, 제2배출라인을 통해 상기 취수코크로 물이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의 살균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와 c)단계 사이에는 상기 제2밸브를 제1설정시간 동안 개방시켜 상기 살균모듈이 설치된 상기 제2배출라인에 상기 저장탱크의 물을 채운 후 상기 제2밸브를 닫고, 상기 살균모듈을 제2설정시간 동안 온(On)시키는 b-1)단계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의 살균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 이후 상기 살균수의 배출을 정지시키고, 상기 저장탱크의 물을 상기 취수코크로 배출시켜 상기 취수코크의 헹굼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의 살균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배출라인과 제2배출라인에는 각각의 배관을 통해 물의 유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1밸브와 제2밸브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취수코크의 헹굼시 상기 제1밸브와 제2밸브를 모두 개방하여 상기 저장탱크의 물을 상기 취수코크로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의 살균방법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취수코크를 통해 배출되는 살균수를 수용하기 위한 살균컵을 감지하기 위한 살균컵감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살균컵감지부에서 상기 살균컵을 감지한 경우 상기 c)단계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의 살균방법
KR1020170083821A 2017-06-30 2017-06-30 수처리장치와 수처리장치의 살균방법 KR1024424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3821A KR102442479B1 (ko) 2017-06-30 2017-06-30 수처리장치와 수처리장치의 살균방법
CN201710806105.XA CN109200310A (zh) 2017-06-30 2017-09-08 水处理装置和水处理装置的杀菌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3821A KR102442479B1 (ko) 2017-06-30 2017-06-30 수처리장치와 수처리장치의 살균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3220A KR20190003220A (ko) 2019-01-09
KR102442479B1 true KR102442479B1 (ko) 2022-09-13

Family

ID=64991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3821A KR102442479B1 (ko) 2017-06-30 2017-06-30 수처리장치와 수처리장치의 살균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42479B1 (ko)
CN (1) CN109200310A (ko)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45902A2 (en) * 2010-05-19 2011-11-24 Woongjin Coway Co., Ltd Water treatment apparatus and sterilizing and cleansing method thereof
WO2012165694A1 (en) * 2011-06-02 2012-12-06 Woongjin Coway Co., Ltd. Sterilizing apparatus and method for water treatment apparatus
KR20130131965A (ko) * 2012-05-25 2013-12-04 코웨이 주식회사 수처리 장치의 물 살균 유로구조
KR101492879B1 (ko) * 2012-12-04 2015-02-12 쿠쿠전자주식회사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
KR101967799B1 (ko) * 2012-12-21 2019-04-10 쿠쿠홈시스 주식회사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
KR101740591B1 (ko) * 2014-04-09 2017-05-26 쿠쿠전자주식회사 취수코크 살균이 가능한 수처리장치와 살균컵
KR101627619B1 (ko) * 2014-04-21 2016-06-07 쿠쿠전자주식회사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장치의 살균방법
CN106565039B (zh) * 2015-10-08 2021-02-12 福库好希士株式会社 水处理系统、水处理系统的杀菌方法以及杀菌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200310A (zh) 2019-01-15
KR20190003220A (ko) 2019-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5529B1 (ko) 자동세정수단을 갖는 정수기 및 그를 이용한 정수기의 자동세정방법
KR101629326B1 (ko) 음용수 공급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627619B1 (ko)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장치의 살균방법
JP4767803B2 (ja) 浄水装置
US10071402B2 (en) Method for sterilizing water treatment apparatus having plurality of tanks
KR101740591B1 (ko) 취수코크 살균이 가능한 수처리장치와 살균컵
KR102442479B1 (ko) 수처리장치와 수처리장치의 살균방법
KR101556176B1 (ko) 음용수 공급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702735B1 (ko) 정수기
KR101780357B1 (ko) 취수코크 살균이 가능한 수처리장치와 살균컵
KR100856887B1 (ko) 신선한 이온수 공급을 위한 이온정수기의 정수 시스템
KR101335813B1 (ko) 정수기의 세척장치 및 세척방법
KR102079173B1 (ko)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
JP4221870B2 (ja) 給水給湯装置
KR20190096763A (ko) 수처리장치의 살균방법
KR20170124217A (ko) 살균수 배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JP2002059161A (ja) 純水供給方法及び装置
KR101447963B1 (ko) 수처리방법
JP3058508U (ja) 軟水器
KR101476323B1 (ko)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
KR101647646B1 (ko) 수처리 기기용 세척장치
KR101780358B1 (ko) 취수코크 살균이 가능한 수처리장치와 살균컵
KR20160138366A (ko) 취수코크 살균이 가능한 수처리장치
KR101780356B1 (ko) 취수코크 살균이 가능한 수처리장치와 살균컵
KR20230173507A (ko)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