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6521A - 무선통신을 이용한 수처리 기기의 세척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수처리 기기 및 세척키트 - Google Patents

무선통신을 이용한 수처리 기기의 세척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수처리 기기 및 세척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6521A
KR20130096521A KR1020120018048A KR20120018048A KR20130096521A KR 20130096521 A KR20130096521 A KR 20130096521A KR 1020120018048 A KR1020120018048 A KR 1020120018048A KR 20120018048 A KR20120018048 A KR 20120018048A KR 20130096521 A KR20130096521 A KR 201300965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shing
treatment device
water treatment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8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진성
김종민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180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96521A/ko
Publication of KR201300965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65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6Cleaning-out devices, e.g. for removing the cake from the filter casing or for evacuating the last remnants of liquid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8Control or steering system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subclass C02F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05Processes using a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LC]
    • C02F2209/008Processes using a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LC] comprising telecommunication features, e.g. modems or antennas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수처리 기기와 세척키트 사이에 제어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별도의 케이블을 연결하지 않고도 세척키트를 이용하여 수처리 기기의 세척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수처리 기기의 세척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수처리 기기 및 세척키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처리 기기의 세척방법은, 세척키트를 이용하여 수처리 기기에 세정수를 공급함으로써 수처리 기기를 세척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처리 기기와 상기 세척키트 사이에 무선통신을 연결하는 무선통신 연결단계 및 상기 상기 수처리 기기 및 세척키트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무선통신을 통하여 송수신하여, 상기 수처리 기기에 대한 세척을 수행하는 세척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통신을 이용한 수처리 기기의 세척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수처리 기기 및 세척키트{WATER TREATMENT APPARATUS, CLEANSING DEVICE, AND METHOD FOR CLEANSING WATER TREATMENT APPARATUS BY USING WIRELESS COMMUNICATIONS}
본 발명은 세척키트를 이용하여 수처리 기기를 세척하는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수처리 기기 및 세척키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처리 기기와 세척키트 상호간의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수처리 기기와 세척키트 사이에 제어신호를 송수신하는 별도의 케이블을 연결하지 않고도 수처리 기기의 세척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수처리 기기의 세척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수처리 기기 및 세척키트에 관한 것이다.
한편, 수처리 기기는 오폐수(汚廢水)나 상수(上水)를 처리하거나 초순수(de-ionized water, 初純水)를 제조하는 등 산업용이나 가정용(업소용을 포함) 등 여러 용도로 사용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은 특히 음용을 위해 사용되는 수처리 기기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이 음용을 위한 수처리 기기는 원수(상수)를 공급받아 여과한 후 음용을 위한 정수를 생성하므로 좁은 의미에서 정수기로 통칭하기도 한다. 이러한 정수기는 원수(상수)를 공급받아 필터부에서 여과한 상온의 정수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온의 정수를 가열/냉각하여 온수 및/또는 냉수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되기도 한다.
또한, 음용을 위한 수처리 기기 중에는 정수뿐만 아니라, 이온수, 탄산수, 산소수와 같은 각종 기능수를 공급하는 기능수기도 있다. 이외에도, 물통 등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가열 또는 냉각하거나 얼음을 생성하는 온수기, 냉수기, 제빙기 등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수처리 기기라 함은 전술한 정수기, 기능수기, 온수기, 냉수기, 제빙수기 등과 이들의 기능을 복합적으로 지닌 기기를 총칭하는 의미로서 사용한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정수기를 예로 들기도 하지만 이러한 정수기는 본 발명에 의한 수처리 기기의 일 예로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수처리 기기, 예를 들어 정수기는 원수를 여과하기 위한 필터부와, 상기 필터부에서 여과된 정수를 취수하여 음용할 수 있도록 출수코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정수기에는 탱크부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탱크부에는 상온의 정수를 수용하는 정수탱크, 정수를 냉각하여 보관하는 냉수 탱크 및 정수를 가열하여 보관하는 온수탱크 중 적어도 일부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수처리 기기는 장기간 사용함에 따라 탱크부의 내부나 출수코크, 각종 유로 등이 미생물이나 세균에 의해 오염될 수 있으며, 이러한 오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정수기 내부를 약품으로 소독/살균하거나, 전해 살균물질에 의해 살균세정하는 등 다양한 방식이 제안되어 왔다. 특히, 최근에는 수처리 기기 외부에 설치된 별도의 세척키트를 수처리 기기와 연결하여 수처리 기기의 탱크부나 내부유로를 살균/세정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세척키트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세척키트와 수처리 기기 상호간에 세정수의 공급이나 배출 등을 위한 유로의 개폐가 동시에 이루어져야 한다. 예를 들어, 세척키트와 수처리 기기 상호 간에 물의 흐름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세척키트에 구비된 유로와 수처리 기기에 구비된 유로가 서로 연결되거나 폐쇄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세척키트와 수처리 기기를 상호연결하는 신호 케이블에 관련된 발명을 특허출원 제2009-0047176호로서 출원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출원에 개시된 케이블은 수처리 기기와 세척키트 상호간에 케이블의 연결을 위한 별도의 작업이 필요하다는 불편이 있을 뿐만 아니라, 케이블 연결을 위해 세척키트와 수처리 기기 각각에 단자부를 형성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수처리 기기의 단자부를 수처리 기기의 메인보드와 연결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 중 적어도 일부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수처리 기기와 세척키트 사이에 제어신호를 송수신하는 별도의 케이블을 연결하지 않고도 세척키트를 이용하여 수처리 기기의 세척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무선통신을 이용한 수처리 기기의 세척방법, 그리고 이에 사용되는 수처리 기기 및 세척키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처리 기기의 세척방법은, 세척키트를 이용하여 수처리 기기에 세정수를 공급함으로써 수처리 기기를 세척하는 것으로서, 상기 수처리 기기와 상기 세척키트 사이에 무선통신을 연결하는 무선통신 연결 단계; 및 상기 수처리 기기 및 세척키트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무선통신을 통하여 송수신하여, 상기 수처리 기기에 대한 세척을 수행하는 세척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신호는, 상기 수처리 기기에 구비된 출수 코크, 드레인 밸브 및 상기 세척키트에 구비된 배수개폐밸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개방하여 상기 탱크부에 수용된 물을 배출하는 배수신호, 상기 탱크부에 수용된 물에 대한 배수 완료를 알리는 것으로서, 상기 출수 코크, 드레인 밸브 및 상기 배수개폐밸브를 폐쇄하는 배수완료신호 및 상기 수처리 기기에 구비된 탱크부의 수위가 만수위에 도달하면, 상기 만수위 도달을 알리는 만수확인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신호는, 전송받은 상기 제어신호의 수신을 알리는 수신확인신호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신호를 전송한 때로부터 기 설정 시간 이내에 상기 수신확인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신호가 수신되지 않음을 청각과 시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세척단계는, 상기 수처리 기기의 탱크부 또는 상기 탱크부에 연결된 유로를 세정하는 세정수를 상기 수처리 기기에 공급하는 세정수 공급공정; 및 상기 수처리 기기로부터 상기 세정수를 배수하는 세정수 배수공정을 포함하는 세정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세척키트는 상기 수처리 기기로부터 공급된 물을 상기 수처리 기기의 탱크부로 공급하는 공급유로와, 상기 공급유로 상에 구비되어 세정수를 생성하는 세정수 생성부를 구비하며, 상기 세정수 공급공정은, 상기 세정수 생성부로부터 생성된 세정수를 상기 수처리 기기의 탱크부로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세정수 공급공정은, 상기 탱크부의 수위가 만수위에 도달하는 것을 알리는 만수확인신호가 전송되면, 상기 탱크부에 대한 상기 세정수의 공급을 중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탱크부에 구비된 수위센서가 상기 탱크부의 수위를 측정하여 상기 만수위에 도달한 것으로 감지하면, 상기 만수확인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세정과정은, 상기 세정수 공급공정 및 상기 세정수 배수공정 사이에, 상기 세정수의 공급이 완료된 후 대기하는 세정유지공정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세정수 배수공정은, 상기 탱크부에 수용된 물을 배출하는 배수신호가 전송되면 상기 세정수를 배수하기 시작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세정수 배수공정은, 상기 배수신호가 전송되면, 상기 탱크부에 수용된 물이 상기 세척키트를 통하여 외부로 배수되는 배수유로의 배수개폐밸브, 상기 수처리 기기의 출수코크 및 드레인밸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개방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세정수 배수공정은, 상기 세정수의 배수가 완료되면 상기 물탱크의 배수 완료를 알리는 배수완료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세척단계는, 상기 수처리 기기의 탱크부 또는 상기 탱크부에 연결된 유로를 헹구는 헹굼수를 공급하는 헹굼수 공급공정; 및 상기 수처리 기기로부터 상기 헹굼수를 배수하는 헹굼수 배수공정을 포함하는 헹굼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세척키트는 상기 수처리 기기로부터 공급된 물을 상기 수처리 기기의 탱크부로 공급하는 공급유로와, 상기 공급유로 상에 구비되어 세정수를 생성하는 세정수 생성부를 구비하며, 상기 헹굼수 공급공정은, 상기 세정수 생성부를 작동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수처리 기기로부터 공급된 물을 상기 헹굼수로써 상기 탱크부에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헹굼수 공급공정은, 상기 탱크부의 수위가 만수위에 도달하였음을 알리는 만수확인신호가 전송되면, 상기 탱크부에 대한 상기 헹굼수의 공급을 중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헹굼과정은, 상기 헹굼수 공급공정과 상기 헹굼수 배수공정 사이에, 상기 헹굼수의 공급이 완료된 후 대기하는 헹굼유지공정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헹굼수 배수공정은, 상기 탱크부에 수용된 물을 배출하는 배수신호가 전송되면 상기 헹굼수를 배출하기 시작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헹굼수 배수공정은, 상기 헹굼수의 배수가 완료되면 상기 물탱크의 배수 완료를 알리는 배수완료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처리 기기의 세척방법은, 상기 무선통신 연결단계 이전에 상기 수처리 기기와 세척키트의 유로를 연결하는 준비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세척키트는 상기 수처리 기기로부터 공급된 물을 상기 수처리 기기의 탱크부로 공급하는 공급유로와, 상기 탱크부로부터 배출된 물을 외부로 배수하는 배수유로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준비단계는, 상기 수처리 기기에 공급되는 원수 또는 상기 수처리 기기의 필터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필터를 거친 정수가 상기 공급유로의 입수단에 유입되도록 제1관을 연결하는 공정; 상기 공급유로의 출수단에서 배출된 물이 상기 탱크부로 유입되도록 제2관을 연결하는 공정; 상기 탱크부로부터 배출된 물이 상기 배수유로의 입수단에 유입되도록 제3관을 연결하는 공정; 및 상기 배수유로에서 배출된 물이 상기 세척키트와 별도로 설치된 물받이 또는 하수도로 배수되도록 제4관을 연결하는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수처리 기기의 세척방법은, 세척키트를 이용하여 수처리 기기에 세정수를 공급함으로써 수처리 기기를 세척하는 것으로서, 상기 수처리 기기의 탱크부에 수용된 물을 배출하는 배수신호를 상기 수처리 기기에 전송하여, 상기 탱크부에 저장된 물을 배출하는 초기배수단계; 상기 탱크부의 배수 완료를 알리는 배수완료신호를 상기 세척키트로 전송하여, 상기 세척키트가 생성한 세정수를 상기 수처리 기기로 공급하는 세정수 공급단계; 상기 탱크부에 유입된 세정수가 상기 탱크부의 만수위에 도달하면 만수확인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세정수의 공급을 중단하는 세정유지단계; 제2설정시간 이후에 상기 세정수를 배출하는 배수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탱크부에 수용된 세정수를 배출하는 세정수 배수단계; 상기 세정수의 배수 완료를 알리는 배수완료신호를 상기 세척키트로 전송하여, 상기 세척키트가 제공하는 헹굼수를 상기 수처리 기기로 공급하는 헹굼수 공급단계; 상기 탱크부에 유입된 헹굼수가 상기 탱크부의 만수위에 도달하면 만수확인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헹굼수의 공급을 중단하는 헹굼유지단계; 및 제4설정시간 이후, 상기 헹굼수를 배출하는 배수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탱크부에 수용된 헴굼수를 배출하는 헹굼수 배수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수처리 기기와 세척키트 상호간의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세척을 수행하므로, 수처리 기기와 세척키트 사이에 별도의 케이블을 연결하지 않고도 세척키트를 이용하여 수처리 기기의 세척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케이블의 연결이 필요 없을 뿐만 아니라, 케이블 연결을 위한 단자를 수처리 기기와 세척키트에 형성하지 않아도 되고, 나아가 케이블 연결을 위한 단자와 메인보드를 연결하는 회로 구성도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세척작업을 구성하는 초기 배수작업, 세정작업, 헹굼작업을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여, 세척작업의 완전 자동화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초기 배수작업, 세정작업, 헹굼작업 중 어느 하나를 각각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여 사용자 또는 작업자가 필요에 따라 적절한 세척작업을 선택하여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세정수나 헹굼수를 탱크부에 공급할 때, 탱크부의 일정수위(예를 들어, 만수위)에 해당하면 만수확인신호를 전송하도록 하여 상기 세정수나 헹굼수가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세정수나 헹굼수의 공급공정의 종료를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세척키트의 배수유로에 배수개폐밸브가 구비되므로, 수처리 기기의 탱크부에 연결된 드레인관이 개방된 상태인 경우에도 상기 배수개폐밸브의 개폐를 제어하여 탱크부로부터의 세정수 및 헹굼수의 배수를 안정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수처리 기기 및 세척키트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내부 유로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수처리 기기와 세척키트에 각각 구비함으로써 별도의 케이블을 통하지 않고도 상기 수처리 기기에 대한 세척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수처리 기기 및 세척키트는, 상기 수처리 기기 및 세척키트를 제어하는 제어신호의 수신을 확인하는 수신확인신호를 반환하므로, 상기 제어신호의 수신여부를 명확하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수처리 기기 및 세척키트의 제어를 보다 정확하게 할 수 있으며, 제품에 대한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에는 사용자 또는 작업자에게 이상이 있음을 알려, 상기 제어신호의 전송 이상에 대한 적절한 조치를 취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처리 기기의 세척방법에 적용되는 수처리 기기와 세척키트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처리 기기의 세척방법을 수행하기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수처리 기기와 세척키트를 연결한 여러 가지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처리 기기의 세척방법에 적용되는 세척키트의 여러 가지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9내지 도11은 본 발명의 여러 가지 실시예에 의한 수처리 기기의 세척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구비하다", "가지다(갖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수처리 기기]
먼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처리 기기의 세척방법에 적용될 수 있는 수처리 기기(100)의 일 실시예에 대해 살펴본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처리 기기의 세척방법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수처리 기기(100)에 한정되어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구조와 형태를 갖는 수처리 기기에 널리 적용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처리 기기(100)는 필터부(110)와 탱크부(12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필터부(110)는 원수를 순차적으로 여과하여 정화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세디먼트 필터와 프리 카본필터가 일체화된 전처리 복합필터(111)와, 역삼투막 필터(112)와, 포스트 카본필터(113)를 포함할 수 있으나, 필터의 종류, 개수 및 순서는 수처리 기기(정수기)의 여과방식 또는 수처리 기기(정수기)에 요구되는 여과성능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역삼투막 필터(112) 대신에 중공사막 필터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러한 중공사막 필터는 수십에서 수백 나노미터(nm) 크기의 기공을 가진 기공성 필터로서, 막 표면에 분포하는 무수히 많은 미세기공을 통해 물속의 오염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또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포스트 카본필터(113)가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고, 전술한 필터를 대신하거나 추가하여 마이크로 필터(MF)나 다른 기능성 필터가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각 필터(111, 112, 113)는 필터 엘리먼트를 내장한 필터 케이스와, 필터 케이스를 수납하는 외장 케이스를 구비하며, 그 외장 케이스 내부로 입수된 원수가 필터 케이스 내부의 필터 엘리먼트에 의해 여과된 후 외장 케이스의 외부로 출수되는 카트리지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필터부(110)의 각 필터가 독립적인 카트리지 형태로서 이루어지는 것에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두 개 이상의 필터의 기능을 갖는 복합필터로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디먼트 필터와 프리 카본필터가 하나의 전처리 복합 필터(111)로서 구성될 수도 있다.
전처리 복합필터(111)를 구성하는 세디먼트 필터는 수도전 등으로부터 원수를 공급받아 원수에 포함된 비교적 큰 입자상의 부유 물질, 모래 등의 고형 물질을 흡착 제거하는 기능을 하게 되고, 프리 카본필터는 세디먼트 필터를 통과한 물을 공급받아 활성탄의 흡착 방식을 통해 물에 포함된 휘발성 유기 화합물, 발암물질, 합성세제, 살충제 등 인체에 유해한 화학물질과 잔류염소(예를 들어, HOCl 또는 ClO) 성분을 제거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여기서, 전처리 복합필터(111)의 전단에는 수도전 등으로부터 공급되는 원수를 선택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원수차단밸브(130)가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원수차단밸브(130)는 원수의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면 그 설치위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원수차단밸브(130)는 필터부(110)의 중간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며, 수도전과 필터부(110)의 입수단을 연결하기 위하여 수처리 기기(100)의 외부에 구비된 유로관에 수동의 차단밸브로서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원수차단밸브(130)는 단순히 온(ON)/오프(OFF)만을 수행하는 온오프 밸브(ON/OFF valve)로 구성될 수 있지만, 원수의 압력을 일정압력으로 감압하여 공급하는 감압밸브나 일정한 유량의 물이 필터부(110)로 유입되도록 하는 정유량밸브가 사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역삼투막 필터(112)는 전처리 복합필터(111)에서 여과된 물을 제공받아 미세한 기공을 지닌 멤브레인을 통해 물에 포함된 중금속 및 기타 금속이온과 세균 같은 미세한 유기/무기 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상기 역삼투막 필터(112)에는 원수의 여과 중에 발생된 생활용수 즉, 폐수(당 업계에서는 통상적으로 "농축수" 라고도 한다)를 배출하기 위한 드레인라인(DL)이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드레인라인(DL)은 별도로 설치된 물받이(미도시) 또는 하수도(씽크대)로 배수되도록 연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스트 카본필터(113)는 역삼투막 필터(112)를 거치며 여과된 물의 불쾌한 맛, 냄새, 색소 등을 흡착 제거하는 기능을 하며 포스트 카본필터(113)를 통하여 여과된 정수는 유로관(L4)을 통하여 탱크부(120)에 수용된다.
이러한 필터부(110)의 필터들(111, 112, 113)은 통상적인 구조의 필터로서 일반적인 수처리 기기(정수기)에 널리 채용되는 것이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부(110)에 구비된 각각의 필터(111, 112, 113)는 유로관(L1, L2, L3, L4)을 통하여 연결된다. 이때, 상기 유로관(L1, L2, L3, L4)은 튜빙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다수의 필터가 체결되도록 구성된 필터헤드 조립체의 내부에 형성된 유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튜빙과 필터헤드 조립체 내부의 유로가 복합적으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탱크부(120)는 필터부(110)를 통과하며 정화된 정수를 저장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탱크부(120)는 필터부(110)를 통과하여 여과된 상온의 정수를 저장하는 정수탱크(121), 정수를 냉각하여 저장하는 냉수탱크(122) 및 정수를 가열하여 저장하는 온수탱크(123)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탱크부(120)에는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수위센서(S1, S2, S3, S4)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수위센서(S1, S2, S3, S4)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수탱크(121)와 온수탱크(123)의 상단 및 하단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단에 구비된 수위센서(S2, S4)를 이용하여 상기 정수탱크(121) 또는 온수탱크(123)에 수용된 물이 전부 배출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상단에 구비된 수위센서(S1, S3)를 이용하여 상기 정수탱크(121) 또는 온수탱크(123)가 일정한 수위, 예를 들어, 만수위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도1 내지 도4에 의하면, 상기 냉수탱크(122)에는 수위센서가 구비되지 않으나, 상기 냉수탱크(122)의 하단에 별도의 수위센서를 구비하여 상기 냉수탱크(122)에 수용된 물이 모두 배출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냉수탱크(122)의 상단에 수위센서를 구비하여 상기 냉수탱크(122)가 일정한 수위에 도달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냉수탱크(122)가 상기 정수탱크(121)의 하단에 위치하는 구조상, 상기 정수탱크(121)의 하단에 위치하는 상기 수위센서(S2)를 이용하여 상기 냉수탱크(122)가 만수위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탱크부(120)는 종래의 탱크부의 일반적인 구성이 채용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탱크부(120)에 수용된 물은 출수코크(C1, C2)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이러한 출수코크(C1, C2)는 각각의 탱크(121, 122, 123)마다 하나씩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탱크(121)와 냉수탱크(122)의 출수코크(C2)가 하나로 구비되고, 온수탱크(123)의 출수코크(C1)가 하나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는 달리, 정수탱크(121), 냉수탱크(122) 및 온수탱크(123)에 수용된 물을 하나의 출수코크로 출수되도록 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출수코크(C1, C2)를 통하여 물을 출수하기 위해서는 출수코크(C1, C2)의 내부 또는 출수코크(C1, C2)와 연결되는 유로상에 밸브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정수, 냉수, 온수 중 사용자가 선택한 온도의 물이 출수될 수 있도록 해당 탱크와 연결된 유로의 개방을 위해 밸브가 개방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는 출수코크(C1, C2)를 개방한다는 의미는 출수코크(C1, C2)와 연결된 밸브를 개방한다는 의미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또한, 상기 밸브는 전자식 밸브뿐만 아니라, 기계식 밸브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기계식 밸브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직접 출수코크를 움직여 물이 출수되도록 구성된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냉수탱크(122) 및 온수탱크(12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드레인관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드레인관은 상기 역삼투막 필터(112)의 드레인라인(DL)과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냉수탱크(122) 및 온수탱크(12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저장된 물은, 상기 드레인관을 통하여 상기 드레인라인(DL)으로 배수될 수 있다. 즉, 상기 탱크부(120)에 저장된 물은 상기 출수코크(C1, C2) 이외에 상기 드레인관을 통하여 배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드레인관을 통한 배수는 상기 드레인라인(DL)에 구비되는 드레인밸브의 개폐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으며, 상기 드레인밸브가 개방되면 상기 드레인라인(DL)으로의 배수가 시작될 수 있다.
한편, 수처리 기기(100)는 내부에 필터부(110)와 탱크부(120) 등 각종 부품을 수용하는 하우징(170)을 구비하며, 하우징(170)의 일측에는 수처리 기기의 동작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DP)가 설치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DP)에는 수처리 기기(100)의 조작, 예를 들어, 냉/온수 선택, 온도조절 등을 위한 다수의 버튼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버튼 중에는 상기 수처리 기기(100)의 세척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버튼(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버튼(B)이 입력되면, 상기 제어버튼(B)에 대응하는 제어신호가 무선통신에 의하여 상기 수처리 기기(100) 및/또는 세척키트(200)로 전송될 수 있다.
세척작업 수행을 위한 제어버튼(B)의 일 예로서, 자동세척, 세정수 공급, 헹굼수 공급, 배수 등 다수의 버튼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버튼들은 개별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눌려지는 경우 특정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세척작업 수행을 위한 제어버튼(B)으로 기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자동세척'은 수처리 기기(100)의 모든 세척작업을 한 번에(즉, 연속적으로) 수행하는 기능을 의미하고, '세정수 공급'은 수처리 기기(100)에 세정수의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의미하고, '헹굼수 공급'은 수처리 기기(100)에 헹굼수의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의미하고, '배수'는 수처리 기기(100)로부터 세정수나 헹굼수의 배수가 이루어질 때의 작업을 의미한다.
그러나, 수처리 기기(100)는 다른 형태의 제어버튼(B)들이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의 버튼을 조합하여 누르거나 누름시간이나 누름 방식을 변경함으로써,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세정수 공급으로부터 세정수 배수까지의 세정작업이 일련의 과정으로 수행되도록 하는 세정작업 제어버튼이나, 헹굼수 공급으로부터 헹굼수 배수까지의 헹굼작업이 일련의 과정으로 수행되도록 하는 헹굼작업 제어버튼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버튼(B)은 상기 버튼을 누르는 "누름 방식" 이외에, 정전용량 스위치를 이용하는 "터치 방식", 구비된 레버 또는 다이얼을 회전시키거나 상하, 좌우로 움직이는 방식 등, 일반적으로 사용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처리 기기(10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은 세척방법(S100)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어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Tx/Rx) 및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수처리 기기(100) 내부에 구비된 내부 유로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수신부(Tx/Rx)는 수처리 기기(100)와 세척키트(200) 사이에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제어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제어신호를 통하여 상기 수처리 기기(100) 및 세척키트(200)의 상태를 파악하여 상기 수처리 기기(100)에 대한 세척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무선통신은, 상기 수처리 기기(100) 및 세척키트(200) 사이에 적용될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무선통신방식도 적용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적외선통신, 블루투스(Bluetooth) 및 와이파이(wi-pi)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송수신부(Tx/Rx)는 상기 무선통신방식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무선통신방식을 지원할 수 있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척방법을 구성하는 초기 배수과정, 세정과정, 헹굼과정의 구체적인 공정에 따라 전송되는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수처리 기기(100)의 유로의 개폐를 제어하게 된다.
[ 세척키트 ]
다음으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처리 기기의 세척방법에 적용될 수 있는 세척키트(200)의 일 실시예에 대해 살펴본다.
세척키트(200)는 수처리 기기(100)에 세정수 또는 헹굼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세척키트(200)는 수처리 기기(100)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세정수 또는 헹굼수를 생성하여, 상기 수처리 기기(100)의 탱크부(120) 또는 이에 연결된 유로로 공급하게 된다. 또한, 세척키트(200)는 상기 수처리 기기(100)의 탱크부(120)로부터 배수된 물을 외부로 배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세척키트(200)는 수처리 기기(100)에 세정수 또는 헹굼수를 공급하는 공급유로(LI)와, 수처리 기기(100)로부터 배출된 물을 외부로 배수하는 배수유로(LO)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8에서는 상기 공급유로(LI)와 배수유로(LO)가 별도의 유로로서 분리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상기 공급유로(LI)와 배수유로(LO)는 유로전환밸브 등을 통하여 서로 연결되는 구성을 갖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본 명세서에서는 수처리 기기(100)와 세척키트(200) 사이에 세정수의 공급 및 배수가 가능하다면, 공급유로(LI)와 배수유로(LO)가 별도의 유로로서 분리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서로 연결된 경우에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세척키트(200)의 구성 및 수처리 기기의 세척방법에 이용되는 세척키트(200)의 구성에 포함되는 것이라고 보기로 한다.
이러한 세척키트(200)의 공급유로(LI)는 세정수를 생성하기 위한 세정수 생성부를 포함하며, 공급유로(LI)의 개폐를 위한 입수개폐밸브(210) 및/또는 세정수를 수처리 기기(100)로 공급하기 위하여 가압력을 제공하는 펌프(230)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세정수 생성부는 전해 살균기(2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해 살균기(220)는 유입된 물을 전기분해(본 명세서에서는 '산화환원반응'을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한다)하여 산화성 혼합물질(MO: Mixed Oxidant) 등 살균기능이 있는 물질을 포함하는 세정수(살균수)를 생성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전해 살균기(220)는 서로 다른 극성의 전극 사이로 물을 통과시킴으로써 물속에 잔류된 미생물이나 세균을 살균 또는 소멸시키고, 살균물질을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전해 살균기(220)에서 생성되는 살균물질의 농도를 높이기 위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키트(200)에는 전해 살균기(220)에 염화물 등의 전해질을 공급하는 전해질 공급부(260)가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배수유로(LO)에는 상기 배수유로(LO)의 개폐를 위한 배수개폐밸브(250)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배수유로(LO)에도 배수시간 단축을 위해 배수펌프가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며, 공급유로(LI)의 펌프(230)를 통하여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배수유로(LO)와 공급유로(LI)를 별도의 유로로 연결하고 유로의 전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유로의 전환은 밸브와 연결관을 통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공급유로(LI)의 입수단(201)은 제1 관(T1)을 통하여 물을 공급받으며, 공급유로(LI)의 출수단(202)은 제2 관(T2)을 통하여 수처리 기기(100)에 세정수를 공급하게 된다.
그리고, 배수유로(LO)의 입수단(203)에는 수처리 기기(100)에서 배수된 물이 세척키트(200)에 유입되도록 제3 관(T3)이 연결되고, 배수유로(LO)의 출수단(204)에는 수처리 기기(100)에서 배수된 물을 외부의 물받이나 씽크대 등으로 버릴 수 있도록 제4 관(T4)이 연결된다.
또한, 세척키트(200)의 경우에도 수처리 기기(100)와 마찬가지로 세척키트(200)의 동작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DP)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세척키트(200)의 경우에도 상기 세척키트(200)의 조작을 위하여, 예를 들어, 자동세척, 세정수 공급, 헹굼수 공급, 배수 등의 기능을 선택할 수 있도록 다수의 버튼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버튼들은 개별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눌려지는 경우 세척키트(200)의 특정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세척작업 수행을 위한 제어버튼(B)으로 기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자동세척'은 상기 수처리 기기(100)의 모든 세척작업을 한 번에(즉, 연속적으로) 수행하는 기능을 의미하고, '세정수 공급'은 수처리 기기(100)에 세정수의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의미하고, '헹굼수 공급'은 수처리 기기(100)에 헹굼수의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의미하고, '배수'는 수처리 기기(100)로부터 세정수나 헹굼수의 배수가 이루어질 때의 작업을 의미한다.
그러나, 세척키트(200)는 다른 형태의 제어버튼(B)들이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의 버튼을 조합하여 누르거나 누름시간이나 누름 방식을 변경함으로써,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세정수 공급으로부터 세정수 배수까지의 세정작업이 일련의 과정으로 수행되도록 하는 세정작업 제어버튼이나, 헹굼수 공급으로부터 헹굼수 배수까지의 헹굼작업이 일련의 과정으로 수행되도록 하는 헹굼작업 제어버튼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버튼(B)은 상기 버튼을 누르는 "누름 방식" 이외에, 정전용량 스위치를 이용하는 "터치 방식", 구비된 레버 또는 다이얼을 회전시키거나 상하, 좌우로 움직이는 방식 등, 일반적으로 사용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구현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처리 기기(100)의 세척방법에 적용되는 세척키트(200)의 여러 가지 실시예에 대해 살펴본다.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세척키트(20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세척키트(200)와 일부의 구성을 제외하고는 기본적인 구성은 동일하다. 따라서, 불필요한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동일 내지 유사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동일한 도면부호를 병기하고, 차이점이 있는 구성에 대해서만 살펴본다.
도 5에 도시된 세척키트(2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세척키트(200)에 비해 공급유로(LI)에 유량감지센서(240)를 추가로 구비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러한 유량감지센서(240)에서 감지된 유량은 제어부(미도시)를 통하여 누적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유량감지센서(240)를 통하여 수처리 기기(100)로 공급되는 전체 유량을 확인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수처리 기기(100)의 수위센서(S1, S3)로부터 수위에 대한 신호를 받지 않더라도 탱크부(120)가 일정수위(예를 들어, 만수위)가 된 것을 예측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세척키트(200)에서 세정수나 헹굼수의 공급을 중단시킬 수 있다.
다만, 상기 유량감지센서(240)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탱크부(120)가 일정수위(예를 들어, 만수위)가 된 것을 상기 수위센서(S1, S3)를 통하여 감지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수처리 기기(100)는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세척키트(200)로 제어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어신호는 상기 수처리 기기(100)의 탱크부(120)가 상기 일정수위에 해당함을 알리는 만수위신호일 수 있으며, 상기 만수위신호를 전송받은 상기 세척키트(200)는 상기 세정수나 헹굼수의 공급을 중단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세척키트(2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세척키트(200)에 비해 공급유로(LI)에 전해질 공급부(260)를 추가로 구비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상기 전해질 공급부(260)는 전해 살균기(220)에서 생성되는 살균물질의 농도를 높이기 위하여 전해 살균기(220)에 염화물 등의 전해질을 공급하게 된다.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세척키트(2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세척키트(200)에 비해 입수개폐밸브(210)를 구비하지 않는 대신에 수동개폐밸브(280)가 제1 관(T1)에 구비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상기 수동개폐밸브(280)는 세척키트(200)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개폐되는 입수개폐밸브(210)와는 달리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개폐가 이루어진다. 따라서, 제1 관(T1)을 통한 물의 공급이 필요한 경우 수동개폐밸브(280)를 개방하고 제1 관(T1)을 통한 물의 공급이 되지 않아야 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수동개폐밸브(280)를 폐쇄하게 된다. 그리고, 도 8에 도시된 세척키트(200)는 도 4에 도시된 세척키트(200)와 마찬가지로 배수유로(LO)의 입수단(203)이 복수개 구비되며, 세정수 생성부로서 전해 살균기(220)를 대체하여 약품공급부(27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약품공급부(270)는 투입구(271)를 통하여 고상 또는 액상의 살균/세정 약품을 공급하고, 이러한 약품공급부(270)를 통과하는 물에 살균/세정 약품이 용해, 혼합 또는 희석된 세정수가 수처리 기기(100)에 공급되는 구성을 갖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세척키트(20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은 세척방법(S100)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수처리 기기(100)와 마찬가지로 제어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Tx/Rx) 및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세척키트의 내부 유로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척키트(200)의 송수신부(Tx/Rx)는, 상기 수처리 기기(100)의 송수신부(Tx/Rx)와 대응되는 무선통신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상기 세척키트(200)의 송수신부(Tx/Rx)를 통하여 상기 수처리 기기(100)에 제어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수처리 기기(100)로부터 제어신호를 송신받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무선통신 방식은, 와이파이, 블루투스, 적외선 통신 등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세척작업을 구성하는 초기 배수작업, 세정작업, 헹굼작업의 구체적인 공정에 따라 수처리 기기(100)와 세척키트(200) 사이에 물의 흐름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세척키트(200)의 유로의 개폐를 제어하게 된다. 이러한 제어부에는 여러 종류의 수처리 기기(100)에 대한 세척작업에 적용할 수 있도록, 각각의 수처리 기기(100)에 적용할 수 있는 세척작업 플로우가 복수 개 설정되어 있을 수 있고, 상기 세척키트(200)에는 상기 수처리 기기(100)의 종류에 대응하는 세척작업 플로우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버튼(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세척작업 플로우는 세척대상이 되는 수처리 기기(100)의 탱크부(120)의 용량, 출수코크(C1, C2)의 개수, 드레인관의 개수, 수처리 기기(100)에 입수되는 유량 중 적어도 하나를 반영하여 복수로 설정될 수 있다.
[수처리 기기와 세척키트의 연결]
다음으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세척 작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수처리 기기(100)와 세척키트(200) 사이를 연결하는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처리 기기(100)에 공급되는 원수 또는 수처리 기기(100)의 필터부(110) 중 적어도 하나의 필터를 거친 정수가 상기 공급유로(LI)의 입수단(201)에 유입되도록 제1 관(T1)을 연결하게 된다.
이러한 제1 관(T1)은 원수유입 유로관(L1)과 직접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지만, 원수에 포함된 이물질 중 일부를 여과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필터(예를 들어, 111)를 거친 물이 세척키트(200)로 공급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세정수 생성부로 전해 살균기(220)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전해 살균기(220)에 구비되는 전극을 보호하기 위하여, 그리고 수처리 기기(100)에 여과된 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필터를 거친 물이 세척키트(200)에 유입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제1 관(T1)은 전처리 복합필터(111)에서 출수된 물이 유입되도록 커넥터(CN) 등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커넥터(CN)는 다양한 형태로 공지되어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제1 관(T1)을 일부의 필터(예를 들어, 111)의 출수측과 연결하기 위해서는 상기 일부의 필터와 나머지 필터 사이의 유로를 분리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유로관(L1, L2, L3, L4) 중 일부를 분리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필터부(110)에 구비되는 필터 중 일부의 필터(예를 들어, 111)를 제외한 나머지 필터(112, 113)를 분리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관(T1)을 필터부(110)와 연결하기 위해서는 물이 누출되지 않도록 제1 관(T1) 연결 전에 수처리 기기(100)에 구비된 원수차단밸브(130)를 차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세척키트(200)의 공급유로(LI)의 출수단(202)에서 배출된 물이 수처리 기기(100)의 탱크부(120) 또는 이와 연결된 유로로 유입되도록 제2 관(T2)을 연결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 관(T2)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탱크부(120)의 세정작업시 필터부(110)에 구비되는 유로관의 세정을 같이 수행하기 위하여 공급유로(LI)의 출수단(202)에서 배출된 물이 탱크부(120) 전단의 유로관(L4)를 거쳐 탱크부(120)로 유입되도록 유로관(L4)과 커넥터(CN) 등을 통하여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상기 제2 관(T2)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탱크부(120)에 직접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탱크부(120)로부터 배출된 물이 세척키트(200)의 배수유로(LO)의 입수단(203)에 유입되도록 제3 관(T3)을 연결하게 된다. 즉, 제3 관(T3)은 탱크부(120)에 구비된 출수코크(C1, C2)와 드레인관 중 적어도 하나와 배수유로(LO)의 입수단(203)을 연결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3 관(T3)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수탱크(123) 등 탱크부(120)의 드레인관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출수코크(C1, C2)는 탱크부(120)에서 배출된 물이 세척키트(200)와 별도로 설치된 물받이(미도시) 또는 하수도(씽크대) 등으로 배수되도록 별도의 관(T5)과 연결될 수 있다. 즉, 탱크부(120)의 드레인관과 출수코크(C1, C2) 중 일부는 제3 관(T3)을 통하여 배수유로(LO)의 입수단(203)과 연결되도록 하고, 드레인관과 출수코크(C1, C2) 중 나머지는 탱크부(120)에서 배출된 물이 세척키트(200)와 별도로 설치된 물받이(미도시) 또는 하수도(씽크대)로 배수되도록 별도의 관(T5)을 통하여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탱크부(120)의 드레인관에 제3 관(T3)이 연결되면 드레인관은 개방된 상태가 되지만 배수개폐밸브(250)의 폐쇄에 의해 세척키트(200)의 배수유로(LO)를 통해 배수되지는 않게 된다.
이와는 달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키트(200)의 배수유로(LO)의 입수단(203)이 복수 개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 경우 복수개의 상기 제3 관(T3)이 상기 배수유로(LO)의 입수단(203)과 연결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수탱크(122)의 드레인관, 온수탱크(123)의 드레인관, 출수코크(C1, C2)가 각각 배수유로(LO)의 다수의 입수단(203)과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물론, 탱크부(120)의 출수경로의 수에 따라 일부의 입수단(203)에는 제3 관(T3)이 연결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배수유로(LO)의 입수단(203)이 복수 개인 경우에도 드레인관이나 출수코크(C1, C2) 중 일부가 별도의 관(T5)을 통하여 물받이(미도시) 또는 하수도(씽크대)와 연통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배수유로(LO)에서 배출된 물이 세척키트(200)와 별도로 설치된 물받이(미도시) 또는 하수도(씽크대)로 배수되도록 제4 관(T4)을 연결하게 된다.
한편, 세척작업이 종료되면, 수처리 기기(100)와 세척키트(200)의 유로를 분리하게 되며, 이때 제1 내지 제4 관(T1, T2, T3, T4)을 수처리 기기(100)와 세척키트(200) 사이에서 분리하고 필터부(110)를 원래 상태로 복귀시키게 된다.
[수처리 기기의 세척방법]
다음으로,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처리 기기의 세척방법(S100)에 대해 살펴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처리 기기의 세척방법(S1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세척키트(200)를 이용하여 수처리 기기(100)에 세정수를 공급함으로써 수처리 기기(100)를 세척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처리 기기의 세척방법(S100)은 수처리 기기(100)와 세척키트(200) 사이에 무선통신을 연결하는 무선통신 연결 단계(S120) 및 상기 수처리 기기(100)와 세척키트(2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무선통신을 통하여 송수신하여, 상기 수처리 기기에 대한 세척을 수행하는 세척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처리 기기의 세척방법(S100)은, 상기 무선통신 연결 단계(S120) 이전에 수처리 기기(100)와 세척키트(200)가 연결되도록 하는 준비단계(S110)가 수행될 수 있으며, 상기 세척단계가 완료된 후 수처리 기기(100)와 세척키트(200)의 유로가 분리되도록 하는 키트 분리단계(S16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세척단계는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정과정(S14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세정과정(S140) 이전에 수행되는 초기 배수과정(S130) 및/또는 세정과정(S140) 이후에 수행되는 헹굼과정(S15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도 2,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무선통신 연결 단계(S120)에 대해 살펴본다.
상기 무선통신 연결 단계(S120)는 상기 수처리 기기(100) 및 세척키트(200)를 무선통신으로 연결하여, 상기 수처리 기기(100) 및 세척키트(2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수처리 기기(100) 및 세척키트(200)는 무선으로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으므로, 상기 무선통신이 연결되면 별도의 케이블연결없이도 세척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무선통신은, 상기 수처리 기기(100) 및 세척키트(200)를 무선으로 연결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무선 통신 방법도 활용할 수 있다. 따라서, 와이파이(wi-fi), 적외선 통신, 블루투스(bluetooth)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무선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수처리 기기(100)와 세척키트(200) 사이에 상기 무선통신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와이파이를 활용하는 경우에는, 무선랜을 제공하는 별도의 무선접속장치(AP: Access Point)를 구비하여, 상기 무선접속장치와 일정한 반경 내에 있는 상기 수처리 기기(100) 및 세척키트(200) 사이에 상기 제어신호를 비롯한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무선통신 연결 단계(S120)에서는 상기 무선접속장치를 설치하고, 상기 수처리 기기(100) 및 세척키트(200)가 상기 무선접속장치와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외선 통신을 이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 연결 단계(S120)는, 상기 수처리 기기(100) 및 세척키트(200)를 상기 적외선 통신이 가능한 범위내로 위치시키고, 상기 수처리 기기(100) 및 세척키트(200)의 송수신부(Tx/Rx)가 서로 마주보도록 상기 수처리 기기(100) 및 세척키트(200)의 위치를 조절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적외선 통신은 통신거리가 수 미터에 불과하고 정해진 각도내에서만 상기 무선통신이 가능하므로, 상기 무선통신 연결 단계(S120)는, 상기 적외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상기 수처리 기기(100) 및 세척키트(200) 사이의 거리 및 상기 송수신부가 이루는 각도를 조절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루투스를 이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 연결단계(S120)는, 상기 수처리 기기(100) 및 세척키트(200)의 무선통신 주파수를 동기화하여 상기 무선통신을 연결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블루투스의 경우, 전파 간섭 방지를 위하여, 많은 수의 채널을 특정 패턴에 따라 빠르게 이동하며 데이터를 조금씩 전송하는 주파수 호핑 방식을 취하는 바, 상기 수처리 기기(100) 및 세척키트(200)의 주파수를 상기 특정 패턴에 따라 동기화하여야 상기 무선통신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블루투스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무선통신 연결단계(S120)에서, 상기 수처리 기기(100) 및 세척키트(200)간의 무선통신 주파수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세척단계에 대해 살펴본다.
상기 세척단계는 수처리 기기(100)와 세척키트(200) 각각에 전송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세척작업의 적어도 일부가 수행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세척단계는,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처리 기기(100)의 탱크부(120) 또는 이에 연결된 유로를 세정하기 위하여 상기 수처리 기기(100)에 세정수를 공급하고 상기 수처리 기기(100)로부터 세정수를 배수하는 세정과정(S14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세정과정(S140) 이전에 수행되는 초기 배수과정(S130) 및/또는 세정과정(S140) 이후에 수행되는 헹굼과정(S15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세척단계는 전송된 제어신호에 따라 수처리 기기(100)와 세척키트(200) 각각에서 세척작업이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세척단계는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수처리 기기(100) 및 세척키트(200)에 구비된 각각의 유로를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신호는, 배수신호, 배수완료신호, 만수확인신호 및 수신확인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수신호는, 상기 수처리 기기(100)에 구비된 탱크부(120)에 수용된 물을 배출하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배수신호는 상기 세척키트(200)에서 생성되어 상기 수처리 기기(100)로 전송되는 것으로서, 상기 배수신호는 상기 수처리 기기(100)를 제어하여 상기 탱크부(120)에 수용된 물의 출수를 조절하는 출수 코크(C1, C2)를 개방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수신호는 상기 수처리 기기(100)를 제어하여 상기 탱크부(120)의 드레인관과 연결된 드레인라인(DL)의 드레인밸브를 개방할 수 있으며, 상기 탱크부(120)에 저장된 물이 상기 드레인관을 통하여 상기 드레인라인(DL)으로 배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수신호는 상기 세척키트(200)를 제어하여, 상기 배수개폐밸브(250)를 개방함으로서, 상기 탱크부(120)에 수용된 물이 상기 배수유로(LO)를 통하여 상기 세척키트(200)를 통하여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수완료신호는 상기 탱크부(120)의 배수 완료를 알리는 것으로서, 상기 수처리 기기(100)에서 생성되어 상기 세척키트(200)로 전송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배수완료신호는 상기 배수완료신호는 상기 세척키트(200)를 제어하여 상기 배수개폐밸브(250)를 폐쇄할 수 있으며, 상기 수처리 기기(100)를 제어하여 상기 출수 코크(C1, C2)를 폐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처리 기기(100)를 제어하여, 상기 드레인라인(DL)의 드레인밸브를 폐쇄할 수 있다.
즉, 상기 배수완료신호는 상기 탱크부(120)의 배수 완료를 의미하는 것이므로, 상기 배수를 위하여 개방하였던 배수개폐밸브(250), 출수코크(C1, C2) 및 드레인밸브를 폐쇄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만수확인신호는, 상기 수처리 기기(100)에 구비된 탱크부(120)의 수위가 일정한 수위에 도달하면, 상기 탱크부(120)의 수위가 상기 일정한 수위에 도달하였음을 알리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탱크부(120)의 수위가 상기 일정한 수위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는, 상기 수처리 기기(100)의 탱크부(120)에 구비된 수위센서(S1, S2, S3, S4)를 이용하여 판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탱크부(120)에 물이 공급되기 시작한 시점부터 시간을 카운트하여, 상기 카운트된 시간이 제3설정시간이면 상기 탱크부(120)의 수위가 상기 일정한 수위에 도달한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세척키트(200)에 구비된 유량감지센서(240)를 이용하여 상기 탱크부(120)의 수위가 상기 일정한 수위에 도달한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즉, 상기 유량감지센서(240)에서 적산한 유량이 상기 탱크부(120)의 일정한 수위에 해당하는 유량과 같아지면 상기 일정한 수위에 도달한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일정한 수위는 상기 탱크부(120)의 만수위일 수 있다.
상기 만수위신호가 상기 세척키트(200)에 전송되면, 상기 만수위신호는 상기 세척키트(200)가 상기 수처리 기기(100)로 공급하는 세정수 또는 헹굼수의 공급을 중단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만수위신호는 상기 세정키트(200)에 구비된 입수개폐밸브(210)를 폐쇄함으로써, 상기 세척키트(200)를 통하여 상기 수처리 기기(100)로 공급되는 세정수 또는 헹굼수의 공급을 중단할 수 있다.
상기 만수위확인신호에 의하여 상기 탱크부(120)가 만수위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별되었으므로, 상기 세정수 또는 헹굼수의 공급을 중단하여, 상기 탱크부(120)가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수신확인신호는 전송받은 상기 제어신호의 수신을 알리는 것일 수 있다. 즉, 상기 배수신호, 배수완료신호 또는 만수확인신호 등의 제어신호를 전송받으면, 상기 제어신호의 수신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수신확인신호를 상기 제어신호를 송신한 측에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처리 기기(100)가 상기 세척키트(200)로 배수완료신호 또는 만수확인신호를 전송하면, 상기 세척키트(200)는 상기 수처리 기기(100)로 상기 수신확인신호를 전송할 수 있으며, 반대로 상기 세척키트(200)가 상기 수처리 기기(100)로 배수신호를 전송하면, 상기 수처리 기기(100)는 상기 세척키트(200)로 상기 수신확인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수신확인신호가 상기 제어신호를 전송한 때로부터 기 설정 시간 이내에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신호를 재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신호를 재전송한 이후에도 상기 수신확인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신호가 수신되지 않음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처리 기기(100) 또는 세척키트(20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DP), 또는 별도로 구비된 램프(lamp), 스피커(speaker) 등을 이용하여,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사용자 또는 작업자 등에게 상기 제어신호가 수신되지 않음을 알릴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초기 배수과정(S130), 세정과정(S140) 및 헹굼과정(S150)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세척단계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준비단계(S110) 이후에 초기 배수과정(S130)이 미리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무선통신 연결 단계(S120) 이후 상기 세척단계에서는 세정과정(S140)과 헹굼과정(S150)이 연속적으로 수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방식으로 상기 세척단계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세척단계를 구성하는, 초기 배수과정(S130), 세정과정(S140) 및 헹굼과정(S150) 중 어느 하나의 과정만이 수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 배수과정(S130)이 수행된 후 정지되고, 이후 세정과정(S140) 수행을 위한 제어신호가 전송된 경우에 한하여 상기 세정과정(S140)이 수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정과정(S140) 이후에, 헹굼과정(S150) 수행을 위한 제어신호가 전송되면 헹굼과정(S150)을 수행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초기 배수과정(S130), 세정과정(S140) 및 헹굼과정(S150) 중 어느 하나의 과정만이 수행되도록 하는 경우, 수처리 기기(100)와 세척키트(200)에는 각각 '초기 배수', '세정', 헹굼'과 같은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버튼(B)이 구비될 수 있으며, 각각의 제어버튼(B)을 누름으로써 해당 과정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세척단계에서, 상기 세정작업과 헹굼작업에 구비되는 세부 공정 중 일부의 공정이 수행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세정과정(S140)이 수처리 기기(100)에 세정수를 공급하는 세정수 공급공정(S141)과, 수처리 기기(100)로부터 세정수를 배수하는 세정수 배수공정(S145)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세정수 공급공정(S141)만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세정수 공급공정(S141)이 종료되면 상기 세정수 공급을 위해 개방되었던 수처리 기기(100)와 세척키트(200) 사이의 유로는 폐쇄되고 전해살균기(220)와 펌프(230)의 구동은 종료되며, 이후 세정유지공정(S142)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세정유지공정(S142) 상태에서 다시 제어신호, 예를들어 상기 배수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세정수 배수공정(S145)이 수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세정수 배수공정(S145)이 종료되면 상기 배수완료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세정수 배수를 위해 개방되었던 수처리 기기(100)와 세척키트(200) 사이의 유로를 폐쇄시킬 수 있다. 또한, 헹굼과정(S150)이 수처리 기기(100)에 헹굼수를 공급하는 헹굼수 공급공정(S151)과, 수처리 기기(100)로부터 헹굼수를 배수하는 헹굼수 배수공정(S153)을 포함하는 경우, 무선통신 연결 단계(S120) 이후에 상기 헹굼수 공급공정(S151)만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고, 이후 제어신호, 예를들어 상기 배수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상기 헹굼수 배수공정(S153)이 수행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헹굼수 공급공정(S151)이나 헹굼수 배수공정(S153)이 종료되면 상기 배수완료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수처리 기기(100)와 세척키트(200) 사이의 유로를 다시 폐쇄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일부의 공정이 수행되도록 하는 경우, 수처리 기기(100)와 세척키트(200)에는 '세정수 공급', 헹굼수 공급', '배수'와 같은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제어버튼(B)이 구비될 수 있으며, 각각의 제어버튼(B)을 누름으로써 해당 공정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상기 세척단계에서의 수처리 기기(100)와 세척키트(200)의 구체적인 동작에 대해 살펴본다.
먼저, 초기 배수과정(S130)은 상기 세정과정(S140) 이전에 수행될 수 있으며, 탱크부(120)에 수용된 물 중 적어도 일부를 배수하게 된다.
이러한 초기 배수과정(S13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통신 연결단계(S120) 이후에 수행될 수 있으나,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무선통신 연결단계(S120)와 관계없이 사용자의 수작업 등에 의해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도10에 의하는 경우에는 상기 초기 배수과정(S130)은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무선연결 단계(S120) 이후 수행되는 초기 배수과정(S130)에서는, 상기 수처리 기기(100)의 탱크부(120)에 수용된 물의 전부 또는 일부가 배수되도록 수처리 기기(100)와 세척키트(200)의 유로가 제어된다. 즉, 도 2를 참조하면, 초기 배수과정(S130)의 경우, 상기 초기 배수를 위한 제어버튼(B)이 입력되면, 상기 세척키트(200)가 상기 수처리 기기(100)에게 배수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배수신호를 전송받은 상기 수처리 기기(100)의 제어부는, 상기 탱크부(120)의 출수코크(C1, C2)로부터 별도의 관(T5)을 통한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출수코크(C1, C2)를 개방하고, 상기 세척키트(200)의 제어부는 탱크부(120)의 드레인관으로부터 출수된 물이 배수유로(LO)를 통해 배수될 수 있도록 배수개폐밸브(250)를 개방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탱크부(120)의 드레인관과 연결된 상기 드레인라인(DL)를 통하여 배수하도록 상기 드레인밸브를 개방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출수코크(C1, C2), 배수개폐밸브(250) 및 드레인밸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개방하여 배수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탱크부(120)에 수용된 물이 모두 배출되면 상기 수처리 기기(100)는 상기 탱크부(120)의 배수 완료를 감지하여 배수완료신호를 상기 세척키트(2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탱크부(120)의 배수 완료는 상기 탱크부(120)에 구비된 수위센서(S2, S4)를 이용하여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수완료신호가 상기 세척키트(200)로 전송되면, 상기 세척키트(200)는 세정수를 상기 수처리 기기(100)로 공급하여, 상기 초기 배수과정(S130) 완료 후, 곧바로 세정과정(S140)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어버튼(B)에 따라 설정되는 세척 플로우에 따라 결정되는 것으로서, "자동세척"과 같이 초기 배수(S130)부터 세정수 공급(S140), 헹굼수 공급(S150)까지 한번에 수행되는 경우에는 상기 배수완료신호가 전송되면 상기 세정수를 공급하도록 하여 상기 세정과정(S140)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초기배수"만을 수행하는 제어버튼(B)를 입력한 경우에는, 상기 배수완료신호 후 동작을 정지하고 상기 세정과정(S140)으로 진행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세정과정(S140)은, 수처리 기기(100)의 탱크부(120) 또는 이에 연결된 유로를 세정하기 위하여 상기 수처리 기기(100)에 세정수를 공급하는 세정수 공급공정(S141)과, 수처리 기기(100)로부터 세정수를 배수하는 세정수 배수공정(S145)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정과정(S140)은, 상기 세정수 공급공정(S141)과 상기 세정수 배수공정(S145) 사이에, 상기 세정수 공급이 완료된 후 제2 설정시간 동안 대기하는 세정유지공정(S142)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정수 공급공정(141)에서는 수처리 기기(100)의 필터부(110)로부터 세척키트(200)의 공급유로(LI)에 물이 유입되며, 세척키트(200)에서 생성된 세정수는 수처리 기기(100)의 탱크부(120)로 공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별도의 세정수 공급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상기 세정수 공급공정(S141)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으며, 앞서 살핀 바와 같이, 상기 초기배수과정(S130) 이후 상기 세정과정(S140)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상기 배수완료신호를 입력받은 세정키트(200)가 상기 세정수 공급공정(S141)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세정수 공급공정(S141)의 경우, 상기 세정수 공급신호 또는 상기 배수완료신호를 전송한 상기 수처리 기기(100)의 제어부는, 수처리 기기(100)의 필터부(110)가 세척키트(200)의 공급유로(LI)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유로를 개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처리 기기(100)의 제어부는 원수차단밸브(130)를 개방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키트(200)에 별도의 입수개폐밸브(210)가 설치된 경우에는 원수차단밸브(130)를 동작하지 않고 입수개폐밸브(210)를 개방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세정수 공급신호 또는 상기 배수완료신호를 전송받은 상기 세척키트(200)의 제어부는 세정수가 수처리 기기(100)의 탱크부(120)로 공급되도록 입수개폐밸브(210)를 개방하고, 세정수 생성부(220)의 일 예인 전해 살균기(220)를 구동하여 세정수를 탱크부(120)에 공급하게 된다. 이때, 세척키트(200)의 제어부는 세정수의 공급이 원활하도록 펌프(230)를 구동하게 된다. 그리고, 수처리 기기(100)의 제어부는 출수코크(C1, C2) 및 드레인밸브가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세척키트(200)의 제어부는 배수개폐밸브(250)가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게 된다.
한편, 상기 세정수 공급공정(S141)은 수처리 기기(100)의 탱크부(120)가 수위가 일정수위, 예를 들어 만수위가 될 때까지 수행될 수 있다. 이때, 만수위확인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탱크부(120)의 수위가 만수위에 해당함을 알릴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도1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처리 기기(100)에 구비된 수위센서(S1, S2, S3, S4)를 활용할 수 있다. 즉, 상기 수위센서(S1, S2, S3, S4)를 이용하면 상기 탱크부(120)가 일정수위(예를 들어, 만수위)에 도달하였음을 감지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수처리 기기(100)는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세척키트(200)로 만수확인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탱크부(120)가 만수위에 도달하였음을 알릴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세척키트(200)는 상기 만수확인신호를 전송받으면 상기 세정수의 공급을 중단하여, 상기 수처리 기기(100)의 탱크부(120)가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외에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세척키트(200)는 수처리 기기(100)의 탱크부(120)로 공급되는 유량을 감지하는 유량감지센서(24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유량감지센서(240)에서 감지된 유량은 세척키트(200)의 제어부를 통하여 누적될 수 있다. 따라서, 유량감지센서(240)를 통하여 수처리 기기(100)로 공급되는 전체 유량을 확인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수처리 기기(100)의 수위센서(S1, S3)로부터 수위에 대한 신호를 받지 않더라도 탱크부(120)가 일정수위(예를 들어, 만수위)가 된 것을 예측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누적된 유량이 상기 탱크부(120)의 일정수위(예를들어, 만수위)에 해당하는 유량에 해당하면, 상기 만수확인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수처리 기기(100)의 탱크부(120)가 상기 일정수위(예를들어, 만수위)에 도달하였음을 알릴 수 있다. 상기 만수확인신호를 전송받은 상기 세척키트(200)는 상기 세정수의 공급을 중단시킬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수위센서(S1, S2, S3, S4)를 사용하는 대신에, 상기 수처리 기기(100)의 탱크부(120)에 세정수가 유입되기 시작하는 시점부터 시간을 카운트하여, 상기 카운트한 시점이 제3설정시간에 도달하면 상기 탱크부(120)의 수위가 상기 일정한 수위(예를들어, 만수위)에 해당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세정수가 유입되기 시작하는 시점은 상기 세정수 공급신호 또는 상기 배수완료신호를 전송받은 시점으로 할 수 있다.
즉, 원수압, 필터부(110)의 차압 등을 고려하면 상기 탱크부(120)의 용량을 채우기 위하여 필요한 시간을 설정할 수 있고 이러한 시간(제3설정시간) 동안 탱크부(120)에 물을 공급함으로써 상기 탱크부(120)의 수위가 일정 수위가 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탱크부(120)에 유입되는 유량을 보다 일정하게 하기 위해서, 수처리 기기(100) 또는 세척키트(200)에 감압밸브 또는 정유량 밸브를 설치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이러한 감압밸브나 정유량 밸브는 수처리 기기(100)의 원수차단밸브(130), 세척키트(200)의 입수개폐밸브(210)와 겸용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밸브와는 별도로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만수확인신호가 전송되면 상기 세척키트(200)는 상기 수처리 기기(100)로 공급되는 세정수의 공급을 중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세척키트(200)에 구비된 입수개폐밸브(210)를 폐쇄하고, 전해 살균기(220)와 펌프(230)의 구동을 중지하여 상기 세척키트(200)를 통하여 상기 수처리 기기(100)로 공급되는 상기 세정수의 공급을 중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탱크부(120)에 대한 세정수의 공급이 완료되면, 상기 세정수에 의하여 탱크부(120)가 충분한 살균/세정될 수 있도록, 상기 세정수 공급이 완료된 후 제2 설정시간 동안 대기하는 세정유지공정(S142)을 거칠 수 있다. 이후, 미리 설정된 상기 제2 설정 시간 이 경과되면 세정수 배수공정(S143)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세정수 배수공정(S143)은, 상기 세척키트(200)가 상기 수처리 기기(100)로 상기 탱크부(120)에 저장된 세정수를 배출하는 배수신호를 전송함으로서 수행될 수 있다. 즉, 상기 배수신호가 상기 수처리 기기(100)로 전송되면, 상기 수처리 기기(100)의 제어부는 탱크부(120)의 출수코크(C1, C2)로부터 별도의 관(T5)을 통한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출수코크(C1, C2)를 개방하거나 드레인라인(DL)의 드레인밸브를 개방하고, 상기 세척키트(200)의 제어부는 탱크부(120)의 드레인관으로부터 출수된 물이 배수유로(LO)를 통해 배수될 수 있도록 배수개폐밸브(250)를 개방하게 된다.
상기 출수코크(C1, C2) 및 배수유로(LO)를 통하여 상기 세정수가 배수되어, 상기 탱크부(120)에 대한 배수가 완료되면, 상기 수처리 기기(100)는 배수완료신호를 상기 세척키트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배수완료신호를 전송받은 상기 세척키트(200)는 상기 배수개폐밸브(250)를 폐쇄할 수 있으며, 상기 수처리 기기(100)는 상기 배수완료신호를 전송한 이후에, 상기 출수코크(C1, C2) 및 드레인밸브를 폐쇄할 수 있다.
상기 세정수 배수공정(S143)이 종료되었으므로, 상기 배수완료신호에 따라, 이후 동작을 대비하기 위하여 상기 배수개폐밸브(250), 출수코크(C1, C2) 및 드레인밸브를 폐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세정과정(S140)의 종료로 상기 수처리 기기(100)에 대한 세척작업이 완료될 수 있으나, 상기 세정과정(S140) 수행 후, 수처리 기기(100)의 탱크부(120) 또는 이에 연결된 유로에 잔류하는 세정수를 헹구기 위하여 헹굼수를 공급 및 배수하는 헹굼과정(S150)을 추가로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헹굼과정(S150)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세정과정(S140) 이후에 연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헹굼과정(S15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정과정(S140)이 종료된 후 수처리 기기(100)와 세척키트(200) 각각에서 전송하는 제어신호에 따라 헹굼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어버튼(B)에 따라 설정되는 세척 플로우에 따라 결정되는 것으로서, "자동세척"과 같이 초기 배수부터 세정수 공급, 헹굼수 공급까지 한번에 수행되는 경우에는 상기 배수완료신호가 전송되면 상기 헹굼수를 공급하도록 하여 상기 헹굼과정(S150)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반면에, "세정 과정" 만을 수행하는 제어버튼(B)를 입력한 경우에는, 상기 배수완료신호 후 동작을 정지하고 상기 헹굼과정(S150)으로 진행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헹굼과정(S150)은, 수처리 기기(100)의 탱크부(120) 또는 이에 연결된 유로를 헹구기 위하여 수처리 기기(100)에 헹굼수를 공급하는 헹굼수 공급공정(S151)과, 수처리 기기(100)로부터 헹굼수를 배수하는 헹굼수 배수공정(S15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헹굼단계(S150)는, 헹굼수 공급공정(S151)과 헹굼수 배수공정(S153) 사이에, 헹굼수 공급이 완료된 후 제4 설정시간 동안 대기하는 헹굼유지공정(S152)을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헹굼수 공급공정(S151)에서는 수처리 기기(100)의 필터부(110)로부터 세척키트(200)의 공급유로(LI)에 물이 유입되며, 세척키트(200)로부터 수처리 기기(100)의 탱크부(120)로 헹굼수가 공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별도의 헹굼수 공급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상기 헹굼수 공급공정(S151)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으며, 앞서 살핀 바와 같이, 상기 세정공정(S140) 이후에 상기 헹굼과정(S150)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상기 배수완료신호를 입력받은 상기 세정키트(220)가 상기 헹굼수 공급공정(S151)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헹굼수 공급공정(S151)의 경우, 상기 헹굼수 공급신호 또는 상기 배수완료신호를 전송받은 상기 세척키트(200)의 제어부는, 상기 헹굼수가 수처리 기기(100)의 탱크부(120)로 공급되도록 입수개폐밸브(210)를 개방하고, 헹굼수의 공급이 원활하도록 펌프(230)를 구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수처리 기기(100)의 제어부는 출수코크(C1, C2) 및 드레인밸브가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세척키트(200)의 제어부는 전해 살균기(220)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도록 하고 배수개폐밸브(250)가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게 된다.
한편, 상기 헹굼수 공급공정(S151)은 수처리 기기(100)의 탱크부(120)가 수위가 일정수위, 예를 들어 만수위가 될 때까지 수행될 수 있다. 이때, 만수위확인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탱크부(120)의 수위가 만수위에 해당함을 알릴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도1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처리 기기(100)에 구비된 수위센서(S1, S2, S3, S4)를 활용할 수 있다. 즉, 상기 수위센서(S1, S2, S3, S4)를 이용하면 상기 탱크부(120)가 일정수위(예를 들어, 만수위)에 도달하였음을 감지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수처리 기기(100)는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세척키트(200)로 만수확인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만수확인신호를 전송받은 상기 세척키트(200)는, 상기 헹굼수의 공급을 중단하여, 상기 수처리 기기(100)의 탱크부(120)가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외에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세척키트(200)는 수처리 기기(100)의 탱크부(120)로 공급되는 유량을 감지하는 유량감지센서(240)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유량감지센서(240)를 이용하여 상기 탱크부(120)가 일정수위(예를들어 만수위)에 해당하는 시점을 예측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량감지센서(240)를 이용하여 누적한 유량이 상기 탱크부(120)의 일정수위(예를들어 만수위)에 해당하는 유량과 같아지면, 상기 만수확인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헹굼수의 공급을 중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헹굼수 공급공정(S151)은 탱크부(120)의 용량과 탱크부(120)에 유입되는 유량을 감안하여 미리 설정된 제5 설정시간 동안 수행하여, 상기 탱크부(120)의 일정수위(예를들어 만수위)에 도달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5설정시간에 도달하면, 상기 만수확인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헹굼수의 공급을 중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5 설정시간은 세정수 공급공정(S141)의 제3 설정시간과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헹굼수가 일정수위 또는 일정시간 동안 탱크부(120)에 공급되도록 하는 구체적인 구성은 상기 세정수 공급공정(S141)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탱크부(120)에 헹굼수의 공급이 완료되면, 헹굼수에 의한 탱크부(120)의 충분한 헹굼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헹굼수 공급이 완료된 후 제4 설정시간 동안 대기하는 헹굼유지공정(S152)을 거칠 수 있다.
이러한 헹굼유지공정(S152)에서, 수처리 기기(100)와 세척키트(200)의 제어부는 물의 흐름이 없도록 유로를 폐쇄하게 되며, 전해 살균기(220)와 펌프(230)의 구동을 중지하게 된다.
이후, 미리 설정된 제4 설정 시간 동안이 경과된 후 헹굼과정(S150)은 헹굼수 배수공정(S153)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헹굼수 배수공정(S153)은, 상기 세척키트(200)가 상기 수처리 기기(100)로 상기 탱크부(120)에 저장된 세정수를 배출하는 배수신호를 전송함으로서 수행될 수 있다. 즉, 상기 배수신호가 상기 수처리 기기(100)로 전송되면, 상기 수처리 기기(100)의 제어부는 탱크부(120)의 출수코크(C1, C2)로부터 별도의 관(T5)을 통한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출수코크(C1, C2)를 개방하거나, 드레인라인(DL)과 연결된 드레인관을 통하여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드레인밸브를 개방할 수 있다. 그리고, 세척키트(200)의 제어부는 탱크부(120)의 드레인관으로부터 출수된 물이 배수유로(LO)를 통해 배수될 수 있도록 배수개폐밸브(250)를 개방할 수 있다.
상기 출수코크(C1, C2), 드레인라인(DL) 및 배수유로(LO)를 통하여 상기 헹굼수가 배수되어, 상기 탱크부(120)에 대한 배수가 완료되면, 상기 수처리 기기(100)는 배수완료신호를 상기 세척키트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배수완료신호를 전송받은 상기 세척키트(200)는 상기 배수개폐밸브(250)를 폐쇄할 수 있으며, 상기 수처리 기기(100)는 상기 배수완료신호를 전송한 이후에, 상기 출수코크(C1, C2) 및 상기 드레인밸브를 폐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처리 기기(100)의 세척방법은, 상기 무선통신 연결 단계(S120) 이전에 상기 수처리 기기(100)와 세척키트(200)의 유로가 연결되는 준비단계(S11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준비단계(S110)는, 수처리 기기(100)에 공급되는 원수 또는 수처리 기기(100)의 필터부(110) 중 적어도 하나의 필터(예를 들어, 111)를 거친 정수가 공급유로(LI)의 입수단(201)에 유입되도록 제1 관(T1)을 연결하는 공정과, 공급유로(LI)의 출수단(202)에서 배출된 물이 탱크부(120)로 유입되도록 제2 관(T2)을 연결하는 공정과, 탱크부(120)로부터 배출된 물이 배수유로(LO)의 입수단(203)에 유입되도록 제3 관(T3)을 연결하는 공정과, 배수유로(LO)에서 배출된 물이 세척키트(200)와 별도로 설치된 물받이(미도시) 또는 하수도(씽크대)로 배수되도록 제4 관(T4)을 연결하는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준비단계(S110)는, 필터부(110)에 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제1 관(T1) 연결 전에 원수차단밸브(130)를 차단한 상태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관(T1)을 연결하는 공정에서, 제1 관(T1)은 원수유입 유로관(L1)과 직접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지만, 원수에 포함된 이물질 중 일부를 여과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필터(예를 들어, 111)를 거친 물이 세척키트(200)로 공급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세정수 생성부로 전해 살균기(220)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전해 살균기(220)에 구비되는 전극을 보호하기 위하여, 그리고 수처리 기기(100)에 여과된 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필터를 거친 물이 세척키트(200)에 유입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1 관(T1)을 일부의 필터(예를 들어, 111)의 출수측과 연결하기 위해서는 상기 일부의 필터와 나머지 필터 사이의 유로를 분리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유로관(L1, L2, L3, L4) 중 일부를 분리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필터부(110)에 구비되는 필터 중 일부의 필터(예를 들어, 111)를 제외한 나머지 필터(112, 113)를 분리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관(T2)을 연결하는 공정은 상기 공급유로(LI)의 출수단(202)에서 배출된 물이 탱크부(120) 또는 이와 연결된 유로로 유입되도록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관(T2)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부(110)에 구비되는 유로관의 세정을 같이 수행하기 위하여 공급유로(LI)의 출수단(202)에서 배출된 물이 탱크부(120) 전단의 유로관(L4)를 거쳐 상기 탱크부(120)로 유입되도록 유로관(L4)과 커넥터(CN) 등을 통하여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상기 제2 관(T2)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탱크부(120)에 직접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제3 관(T3)을 연결하는 공정은 상기 탱크부(120)에 구비된 출수코크(C1, C2)와 드레인관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배수유로(LO)의 입수단(203)을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수유로(LO)의 입수단(203)과 연결되지 않은 드레인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드레인라인(DL)과 연결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3 관(T3)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탱크부(120)의 드레인관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출수코크(C1, C2)는 탱크부(120)에서 배출된 물이 세척키트(200)와 별도로 설치된 물받이(미도시) 또는 하수도(씽크대) 등으로 배수되도록 별도의 관(T5)과 연결될 수 있다. 즉, 탱크부(120)의 드레인관과 출수코크(C1, C2) 중 일부는 제3 관(T3)을 통하여 배수유로(LO)의 입수단(203)과 연결되도록 하고, 드레인관과 출수코크(C1, C2) 중 나머지는 탱크부(120)에서 배출된 물이 세척키트(200)와 별도로 설치된 물받이(미도시) 또는 하수도(씽크대)로 배수되도록 별도의 관(T5)을 통하여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키트(200)의 배수유로(LO)의 입수단(203)이 복수 개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 경우 복수개의 상기 제3 관(T3)이 상기 배수유로(LO)의 입수단(203)과 연결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수탱크(122)의 드레인관, 온수탱크(123)의 드레인관, 출수코크(C1, C2)가 각각 배수유로(LO)의 다수의 입수단(203)과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물론, 탱크부(120)의 출수경로의 수에 따라 일부의 입수단(203)에는 제3 관(T3)이 연결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배수유로(LO)의 입수단(203)이 복수 개인 경우에도 드레인관이나 출수코크(C1, C2) 중 일부가 별도의 관(T5)을 통하여 물받이(미도시) 또는 하수도(씽크대)와 연통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처리 기기의 세척방법(S100)은, 상기 세척단계 이후에 상기 수처리 기기(100)와 세척키트(200)의 유로가 분리되는 키트 분리단계(S16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즉, 세척작업 종료 후에 수처리 기기(100)와 세척키트(200)를 연결하는 제1 내지 제4 관(T1, T2, T3, T4)을 수처리 기기(100)와 세척키트(200) 사이에서 분리하고 필터부(110)를 원래 상태로 복귀시키게 된다.
이러한 키트 분리단계(S160) 이후에, 상기 수처리 기기(100)의 필터부(110)에서 여과된 정수가 탱크부(120)에 재공급되도록 하는 단계(S170)가 수행된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100... 수처리 기기 110... 필터부
120... 탱크부 130... 원수차단밸브
170... 하우징 200... 세척키트
201... 공급유로의 입수단 202... 공급유로의 출수단
203... 배수유로의 입수단 204... 배수유로의 출수단
210... 입수개폐밸브 220... 전해 살균기
270... 세정수 생성부 271... 투입구
230... 펌프 240... 유량감지센서
250... 배수개폐밸브 260... 전해질 공급부
280... 수동개폐밸브 B... 제어버튼
C1, C2... 출수코크 CN... 커넥터
DL... 드레인라인 DP... 디스플레이부
Tx/Rx... 송수신부 LI... 공급유로
LO... 배수유로 S1, S2, S3, S4... 수위센서
T1... 제1 관 T2... 제2 관
T3... 제3 관 T4... 제4 관
T5... 별도의 관

Claims (19)

  1. 세척키트를 이용하여 수처리 기기에 세정수를 공급함으로써 수처리 기기를 세척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처리 기기와 상기 세척키트 사이에 무선통신을 연결하는 무선통신 연결단계; 및
    상기 수처리 기기 및 세척키트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무선통신을 통하여 송수신하여, 상기 수처리 기기에 대한 세척을 수행하는 세척단계를 포함하는 수처리 기기의 세척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는
    상기 수처리 기기에 구비된 출수 코크, 드레인밸브 및 상기 세척키트에 구비된 배수개폐밸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개방하여 상기 탱크부에 수용된 물을 배출하는 배수신호,
    상기 탱크부에 수용된 물에 대한 배수 완료를 알리는 것으로서, 상기 출수 코크, 드레인밸브 및 상기 배수개폐밸브를 폐쇄하는 배수완료신호 및
    상기 수처리 기기에 구비된 탱크부의 수위가 만수위에 도달하면, 상기 만수위 도달을 알리는 만수확인신호를 포함하는 수처리 기기의 세척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는
    전송받은 상기 제어신호의 수신을 알리는 수신확인신호를 더 포함하는 수처리 기기의 세척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를 전송한 때로부터 기 설정 시간 이내에 상기 수신확인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신호가 수신되지 않음을 청각과 시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알리는 수처리 기기의 세척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단계는
    상기 수처리 기기의 탱크부 또는 상기 탱크부에 연결된 유로를 세정하는 세정수를 상기 수처리 기기에 공급하는 세정수 공급공정; 및
    상기 수처리 기기로부터 상기 세정수를 배수하는 세정수 배수공정을 포함하는 세정과정을 더 포함하는 수처리 기기의 세척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키트는 상기 수처리 기기로부터 공급된 물을 상기 수처리 기기의 탱크부로 공급하는 공급유로와, 상기 공급유로 상에 구비되어 세정수를 생성하는 세정수 생성부를 구비하며,
    상기 세정수 공급공정은, 상기 세정수 생성부로부터 생성된 세정수를 상기 수처리 기기의 탱크부로 공급하는 수처리 기기의 세척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수 공급공정은
    상기 탱크부의 수위가 만수위에 도달하는 것을 알리는 만수확인신호가 전송되면, 상기 탱크부에 대한 상기 세정수의 공급을 중단하는 수처리 기기의 세척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수 공급공정은
    상기 탱크부에 구비된 수위센서가 상기 탱크부의 수위를 측정하여 상기 만수위에 도달한 것으로 감지하면, 상기 만수확인신호를 전송하는 수처리 기기의 세척방법.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과정은
    상기 세정수 공급공정 및 상기 세정수 배수공정 사이에, 상기 세정수의 공급이 완료된 후 대기하는 세정유지공정을 더 포함하며,
    상기 세정수 배수공정은, 상기 탱크부에 수용된 물을 배출하는 배수신호가 전송되면 상기 세정수를 배수하기 시작하는 수처리 기기의 세척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수 배수공정은
    상기 배수신호가 전송되면, 상기 탱크부에 수용된 물이 상기 세척키트를 통하여 외부로 배수되는 배수유로의 배수개폐밸브, 상기 수처리 기기의 출수코크 및 드레인밸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개방하는 수처리 기기의 세척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수 배수공정은
    상기 세정수의 배수가 완료되면 상기 물탱크의 배수 완료를 알리는 배수완료신호를 전송하는 수처리 기기의 세척방법.
  12.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단계는
    상기 수처리 기기의 탱크부 또는 상기 탱크부에 연결된 유로를 헹구는 헹굼수를 공급하는 헹굼수 공급공정; 및
    상기 수처리 기기로부터 상기 헹굼수를 배수하는 헹굼수 배수공정을 포함하는 헹굼과정을 더 포함하는 수처리 기기의 세척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키트는 상기 수처리 기기로부터 공급된 물을 상기 수처리 기기의 탱크부로 공급하는 공급유로와, 상기 공급유로 상에 구비되어 세정수를 생성하는 세정수 생성부를 구비하며,
    상기 헹굼수 공급공정은, 상기 세정수 생성부를 작동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수처리 기기로부터 공급된 물을 상기 헹굼수로써 상기 탱크부에 공급하는 수처리 기기의 세척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헹굼수 공급공정은
    상기 탱크부의 수위가 만수위에 도달하였음을 알리는 만수확인신호가 전송되면, 상기 탱크부에 대한 상기 헹굼수의 공급을 중단하는 수처리 기기의 세척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헹굼과정은
    상기 헹굼수 공급공정과 상기 헹굼수 배수공정 사이에, 상기 헹굼수의 공급이 완료된 후 대기하는 헹굼유지공정을 더 포함하며,
    상기 헹굼수 배수공정은, 상기 탱크부에 수용된 물을 배출하는 배수신호가 전송되면 상기 헹굼수를 배출하기 시작하는 수처리 기기의 세척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헹굼수 배수공정은
    상기 헹굼수의 배수가 완료되면 상기 물탱크의 배수 완료를 알리는 배수완료신호를 전송하는 수처리 기기의 세척방법.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 연결단계 이전에 상기 수처리 기기와 세척키트의 유로를 연결하는 준비단계를 더 포함하는 수처리 기기의 세척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키트는 상기 수처리 기기로부터 공급된 물을 상기 수처리 기기의 탱크부로 공급하는 공급유로와, 상기 탱크부로부터 배출된 물을 외부로 배수하는 배수유로를 구비하며,
    상기 준비단계는,
    상기 수처리 기기에 공급되는 원수 또는 상기 수처리 기기의 필터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필터를 거친 정수가 상기 공급유로의 입수단에 유입되도록 제1관을 연결하는 공정;
    상기 공급유로의 출수단에서 배출된 물이 상기 탱크부로 유입되도록 제2관을 연결하는 공정;
    상기 탱크부로부터 배출된 물이 상기 배수유로의 입수단에 유입되도록 제3관을 연결하는 공정; 및
    상기 배수유로에서 배출된 물이 상기 세척키트와 별도로 설치된 물받이 또는 하수도로 배수되도록 제4관을 연결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수처리 기기의 세척방법.
  19. 세척키트를 이용하여 수처리 기기에 세정수를 공급함으로써 수처리 기기를 세척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처리 기기의 탱크부에 수용된 물을 배출하는 배수신호를 상기 수처리 기기에 전송하여, 상기 탱크부에 저장된 물을 배출하는 초기배수단계;
    상기 탱크부의 배수 완료를 알리는 배수완료신호를 상기 세척키트로 전송하여, 상기 세척키트가 생성한 세정수를 상기 수처리 기기로 공급하는 세정수 공급단계;
    상기 탱크부에 유입된 세정수가 상기 탱크부의 만수위에 도달하면 만수확인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세정수의 공급을 중단하는 세정유지단계;
    제2설정시간 이후에 상기 세정수를 배출하는 배수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탱크부에 수용된 세정수를 배출하는 세정수 배수단계;
    상기 세정수의 배수 완료를 알리는 배수완료신호를 상기 세척키트로 전송하여, 상기 세척키트가 제공하는 헹굼수를 상기 수처리 기기로 공급하는 헹굼수 공급단계;
    상기 탱크부에 유입된 헹굼수가 상기 탱크부의 만수위에 도달하면 만수확인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헹굼수의 공급을 중단하는 헹굼유지단계; 및
    제4설정시간 이후, 상기 헹굼수를 배출하는 배수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탱크부에 수용된 헴굼수를 배출하는 헹굼수 배수단계를 포함하는 수처리 기기의 세척방법.
KR1020120018048A 2012-02-22 2012-02-22 무선통신을 이용한 수처리 기기의 세척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수처리 기기 및 세척키트 KR201300965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8048A KR20130096521A (ko) 2012-02-22 2012-02-22 무선통신을 이용한 수처리 기기의 세척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수처리 기기 및 세척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8048A KR20130096521A (ko) 2012-02-22 2012-02-22 무선통신을 이용한 수처리 기기의 세척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수처리 기기 및 세척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6521A true KR20130096521A (ko) 2013-08-30

Family

ID=49219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8048A KR20130096521A (ko) 2012-02-22 2012-02-22 무선통신을 이용한 수처리 기기의 세척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수처리 기기 및 세척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9652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99320A1 (ko) * 2013-12-23 2015-07-02 코웨이 주식회사 Cdi 방식의 수처리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99320A1 (ko) * 2013-12-23 2015-07-02 코웨이 주식회사 Cdi 방식의 수처리 장치
US11084740B2 (en) 2013-12-23 2021-08-10 Coway Co., Ltd. CDI-type water treatment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8123B1 (ko) 수처리 기기의 살균세정방법
EP2435157B1 (en) Washing device for water treatment apparatus and washing method thereof
EP2393572B1 (en) Water purifying apparatus having cleaning system
JP2012528000A5 (ko)
EP2393571B1 (en) Method for cleaning water purifier
CN105776685B (zh) 净水器
KR20120135783A (ko) 살균 또는 세정이 가능한 수처리 장치 및 그 살균세정 방법
KR20130096521A (ko) 무선통신을 이용한 수처리 기기의 세척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수처리 기기 및 세척키트
KR102037684B1 (ko) 살균 또는 세정이 가능한 수처리 장치 및 그 살균세정 방법
KR20130080111A (ko) 수처리 기기의 세척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수처리 기기 및 세척키트
KR101335813B1 (ko) 정수기의 세척장치 및 세척방법
KR101647646B1 (ko) 수처리 기기용 세척장치
KR101164161B1 (ko) 수처리 기기의 세척방법
KR101164160B1 (ko) 수처리 기기용 세척장치
KR101576832B1 (ko) 수처리 기기용 세척장치 및 그 세척방법
KR20120113166A (ko) 정수기용 세정장치 및 그를 이용한 정수기
KR101510630B1 (ko) 수처리 기기용 세척장치
KR101510629B1 (ko) 수처리 기기용 세척장치 및 그 세척방법
KR20240029285A (ko) 정수기에서의 살균 세정 시스템
KR101907736B1 (ko) 정수기 살균 장치
KR20120075791A (ko) 수처리기기용 세척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기기 세척방법
KR101707427B1 (ko) 수처리기기, 수처리기기용 세척장치 및 수처리기기 세척방법
KR20160041877A (ko) 수처리 기기 세척방법
KR101777232B1 (ko) 용액 저장 용기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 기기용 세척장치 및 그 세척방법
KR20170005884A (ko) 정수기 살균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