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9930A - 조립식 정수필터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정수필터 모듈 조립체 - Google Patents

조립식 정수필터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정수필터 모듈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9930A
KR20100099930A KR1020090018509A KR20090018509A KR20100099930A KR 20100099930 A KR20100099930 A KR 20100099930A KR 1020090018509 A KR1020090018509 A KR 1020090018509A KR 20090018509 A KR20090018509 A KR 20090018509A KR 20100099930 A KR20100099930 A KR 201000999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ilter
module
module body
filter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85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68985B1 (ko
Inventor
김현영
Original Assignee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코웨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185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8985B1/ko
Publication of KR201000999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99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89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89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6Filter mounting adap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2201/301Details of removable closures, lids, caps, filter heads
    • B01D2201/302Details of removable closures, lids, caps, filter heads having inlet or outlet 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40Special measures for connecting different parts of the filt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정수필터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정수필터 모듈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정수필터 모듈은 일측에 정수필터(1)가 체결되며 상기 정수필터(1)에 물이 유입 및 유출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모듈몸체(200); 및 상기 모듈몸체(200)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정수기 또는 지지체에 고정되는 브라켓부재(300); 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정수필터가 체결되는 모듈몸체에 형성되는 유로방향과 모듈몸체의 선회중심축 방향이 일치하도록 구성하여 모듈몸체의 선회를 용이하게 하여서 정수필터의 탈착이 용이할 수 있으며, 모듈몸체가 서로 연결되어 정수필터 모듈 조립체를 이루게 되므로 다양한 정수필터의 조합이 가능하여 필요에 따라 알맞은 정수필터 모듈 조립체를 만들 수 있다.
정수필터, 정수필터 모듈, 조립식, 정수필터 모듈 조립체

Description

조립식 정수필터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정수필터 모듈 조립체{PREFABRICATED MODULE FOR WATER PURIFYING FILTER AND WATER PURIFYING FILTER MODULE ASSEMBLY USING THEM}
본 발명은 조립식 정수필터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정수필터 모듈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정수필터는 정수기에 사용되는 것으로, 정수기에는 이러한 정수필터가 복수개 구비되며, 복수개의 정수필터는 서로 연결되어 정수기에 유입되는 물을 여과시키는 여과부를 구성한다.
이와 같이 정수기의 여과부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정수필터는 정수기에 개별적으로 구비되고 유동관에 의해서 서로 연결되어 정수기의 여과부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정수필터를 서로 연결하는 정수필터 조립체에 복수개의 정수필터를 각각 체결하여 정수기의 여과부를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정수필터 조립체에는 이에 체결된 복수개의 정수필터를 서로 연결시키기 위해서 유로가 형성되어 있다. 종래 이러한 유로는 정수필터 조립체의 전면에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정수필터를 교체하기 위해서는 정수필터 조립체에서 정 수필터를 선회시키게 된다. 이러한 정수필터 조립체에서의 정수필터의 선회는 정수필터 조립체의 양 측면을 잇는 가상선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정수필터에 형성된 유로의 방향과 정수필터의 선회중심축 방향이 서로 직각을 이루게 된다. 이에 따라, 정수필터를 교체하기 위해서 정수필터 조립체에서 정수필터를 선회시키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의 정수필터 조립체에는 일정 종류와 일정 개수의 정수필터만이 정수필터 조립체에 체결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다른 종류와 다른 개수의 정수필터로 정수기의 여과부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다른 정수필터 조립체가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정수필터 조립체에서 발생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정수필터가 체결되는 모듈몸체에 형성되는 유로방향과 모듈몸체의 선회중심축 방향이 일치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모듈몸체의 선회를 용이하게 하여서 정수필터의 탈착이 용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모듈몸체가 서로 연결되어 정수필터 모듈 조립체를 이루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다양한 정수필터의 조합이 가능하여 필요에 따라 알맞은 정수필터 모듈 조립체를 구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실시 형태와 관련된 조립식 정수필터 모듈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정수필터가 체결되는 모듈몸체에 형성되는 유로방향과 모듈몸체의 선회중심축 방향을 일치시켜서 모듈몸체의 선회를 용이하게 하며, 다양한 정수필터의 조합이 가능하도록 모듈몸체를 서로 연결하여 정수필터 모듈 조립체를 이루는 것을 기초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조립식 정수필터 모듈은 일측에 정수필터가 체결되며 정수필터에 물이 유입 및 유출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모듈몸체; 및 모듈몸체가 선회가능하게 연결되며 정수기 또는 지지체에 고정되는 브라켓부재; 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모듈몸체에는 정수필터가 체결되는 필터체결부가 하부에 형성되고, 모듈몸체의 양 측면을 관통하며 필터체결부와 연결되는 유로가 형성되며, 일측은 유로에 연결되고 타측은 유동관이 연결되는 연결부가 양 측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듈몸체는 연결부를 중심으로 선회가능하게 브라켓부재에 연결되며, 모듈몸체는 연결부에 결합되는 결합부재에 의해서 브라켓부재에 선회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에는 상기 유동관이 끼워져서 지지될 수 있도록 클립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에는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브라켓부재에는 고정돌기가 걸리는 판스프링이 구비되어, 판스프링의 스프링력에 의해서 모듈몸체의 선회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라켓부재에는 연결부가 삽입되는 삽입부와 고정돌기가 선회하는 선회부 및 판스프링이 끼워지는 판스프링 끼움부를 포함하는 결합부 삽입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복수개의 조립식 정수필터 모듈에 포함되는 각각의 모듈몸체를 각각의 모듈몸체에 형성된 연결부에 연결되는 커넥터에 의해서 서로 연 결하여 정수필터 모듈 조립체를 이룰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정수필터가 체결되는 모듈몸체에 형성되는 유로방향과 모듈몸체의 선회중심축 방향을 일치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모듈몸체의 선회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정수필터의 탈착이 용이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모듈몸체가 서로 연결되어 정수필터 모듈 조립체를 이룰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다양한 정수필터의 조합이 가능하여 필요에 따라 알맞은 정수필터 모듈 조립체를 만들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조립식 정수필터 모듈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 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들은 기본적으로 정수필터가 체결되는 모듈몸체에 형성되는 유로방향과 모듈몸체의 선회중심축 방향을 일치시켜서 모듈몸체의 선회를 용이하게 하며, 다양한 정수필터의 조합이 가능하도록 모듈몸체를 서로 연결하여 정수필터 모듈 조립체를 이루는 것을 기초로 한다.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정수필터 모듈(100)은 모듈몸체(200)와, 브라켓부재(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모듈몸체(200)에는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필터체결부(210)와 유로(220) 및 연결부(230)가 형성될 수 있다.
필터체결부(210)는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듈몸체(200)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필터체결부(210)에는 정수필터(1)가 체결되는 경우 정수필터(1)에 형성된 유입구(2a)가 삽입되는 유입구 체결구멍(211)과 정수필터(1)에 형성된 유출구(2b)가 삽입되는 유출구 체결구멍(212)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필터체결부(210)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이외에도 예컨대 정수필터(1)가 멤브레인필터인 경우에 멤브레인필터에 형성된 생활용수 배출구(도시되지 않음)가 삽입되는 생활용수 배출구 삽입구멍(도시되지 않음)도 형성될 수 있다.
유로(220)는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듈몸체(200)의 양 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유로(2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된 필터체결 부(210), 즉 필터체결부(210)의 유입구 체결구멍(211)과 필터체결부(210)의 유출구 체결구멍(212)에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유로(220)의 일부는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유로(220)의 개방된 부분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밀봉부재(250)가 삽입되어 유로(220)를 밀봉할 수 있다.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유입구 체결구멍(211) 또는 유출구 체결구멍(212)과 밀봉부재(250) 사이에는 원수차단부재(240)가 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원수차단부재(24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241)에 의해서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정수필터(1)의 유입구(2a) 또는 유출구(2b)가 필터체결부(210)의 유입구 체결구멍(211)과 유출구 체결구멍(212)에 삽입되지 않은 경우에는, 원수차단부재(240)가 스프링(241)의 스프링력에 의해서 하강하여 유로(220)와 연결된 필터체결부(210)의 유입구 체결구멍(211) 또는 유출구 체결구멍(212)을 밀봉한다. 이에 따라, 유로(220)에 존재하는 물이 유입구 체결구멍(211) 또는 유출구 체결구멍(212)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연결부(230)는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모듈몸체(200)의 양 측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부(2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은 유로(220)에 연결되며 타측은 유동관(600)이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유동관(600)과 연결부(230)를 통해서 유로(220)에 물이 유입될 수 있다. 한편, 연결부(230)의 타측에는 유동관(600) 이외에도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700)도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커넥터(700)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조립식 정수필터 모듈(100)의 모듈몸체(200)에 형성된 연결부(230)의 타측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로 다른 조립식 정수필터 모듈(100)의 모듈몸체(200)에 형성된 유로(220)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230)에는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이에 연결되는 유동관(600) 또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커넥터(700)가 끼워져서 지지될 수 있도록 클립부재(500)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모듈몸체(200)는 연결부(230)를 중심으로 선회가능하게 브라켓부재(30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모듈몸체(200)는 연결부(230)에 결합되는 결합부재(400)에 의해서 브라켓부재(300)에 선회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그러므로, 모듈몸체(200)에 형성되는 유로(220)의 방향과 모듈몸체(200)의 선회중심축 방향이 일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듈몸체(200)를 용이하게 선회시킬 수 있다.
이러한 연결부(230)에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돌기(23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돌기(231)에 의해서 모듈몸체(200)의 선회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모듈몸체(200)에는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필터체결 핸들(800)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필터체결 핸들(800)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 연장부(810)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핸들 연장부(810)는 모듈몸체(200)에 형성된 연장부 삽입구멍(270)에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필터체결 핸들(800)의 핸들 연장부(810)가 모듈몸체(200)의 연장부 삽입구멍(270)에 삽입됨에 의해서 필터체결 핸들(800)이 모듈몸체(200)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모듈몸체(200)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부재(90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록킹부재(900)는 모듈 몸체(200)에 형성된 록킹부재 삽입구멍(280)에 삽입되며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스프링에 의해서 지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필터체결 핸들(800) 또는 록킹부재(900)는 자세히 설명하지는 않겠지만 정수필터(1)를 모듈몸체(200)의 필터체결부(210)에 체결하는 것을 돕는다. 대한민국 특허 제873294호에는 필터체결 핸들(800)과 록킹부재(900)를 사용하여 정수필터(1)를 모듈몸체(200)의 필터체결부(210)에 체결하는 구성과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정수필터(1)를 모듈몸체(200)의 필터체결부(210)에 체결하는 구성과 방법은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필터체결 핸들(800)과 록킹부재(900)를 사용하는 구성과 방법이외에도, 정수필터(1)를 모듈몸체(200)의 필터체결부(210)에 체결할 수 있는 구성과 방법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한편, 모듈몸체(200)에는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재(260)가 구비될 수 있어서 모듈몸체(200) 내로 먼지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브라켓부재(300)는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듈몸체(200)가 선회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브라켓부재(300)는 이에 형성된 고정구멍(330)에 볼트 등을 삽입하여 정수기(도시되지 않음)나 별도의 지지체(도시되지 않음)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브라켓부재(300)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된 연결부(230)의 고정돌기(231)가 걸리는 판스프링(310)이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판스프링(310)의 스프링력에 의해서 모듈몸체(200)의 선회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브라켓부재(300)에는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결합부 삽입구멍(320)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결합부 삽입구멍(32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부(321)와 선회부(322) 및 판스프링 끼움부(323)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 삽입구멍(320)의 삽입부(321)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듈몸체(200)의 연결부(230)가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선회부(322)에는 연결부(230)에 형성된 고정돌기(231)가 삽입되어 선회할 수 있다. 그리고, 판스프링 끼움부(323)에는 판스프링(310)이 끼워질 수 있다. 한편, 이러한 결합부 삽입구멍(320)의 삽입부(321)와 선회부(322) 및 판스프링 끼움부(323)의 형상은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모듈몸체(200)의 연결부(230)가 삽입되며 고정돌기(231)가 선회하고 판스프링(310)이 끼워지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가능하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정수필터 모듈(100)의 모듈몸체(200)의 필터체결부(210)에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필터(1)가 체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정수필터(1)가 필터체결부(210)에 체결되는 경우 정수필터(1)의 유입구(2a)와 유출구(2b)는 필터체결부(210)의 유입구 체결구멍(211)과 유출구 체결구멍(212)에 삽입된다. 이때, 유입구(2a)와 유출구(2b)는 유입구 체결구멍(211) 또는 유출구 체결구멍(212)과 밀봉부재(250) 사이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며 스프링(241)에 의해서 지지되는 원수차단부재(240)를 상승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모듈몸체(200)의 유로(220)와 유입구 체결구멍(211)에 삽입된 유입구(2a)와 유출구 체결구멍(212)에 삽입된 유출구(2b)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동관(600)을 통해 연결부(230)를 거쳐 유로(220)에 유입된 물은 유입구(2a)를 거쳐서 정수필터(1)에 유입되어 여과될 수 있다. 그리고, 정수필터(1)에서 여과된 물은 유출구 체결구멍(212)에 삽입된 유출구(2b)와 유로(220) 및 연결부(230)를 거쳐서 유동관(600)으로 유동하게 된다.
한편,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정수필터 모듈(100)의 모듈몸체(200)는 브라켓부재(300)에 선회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도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필터(1)가 모듈몸체(200)의 필터체결부(210)에 체결된 상태에서, 모듈몸체(200)를 선회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모듈몸체(200)를 선회시키면, 도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필터(1)를 모듈몸체(200)의 필터체결부(210)에 탈착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모듈몸체(200)의 선회위치는 연결부(230)에 형성된 고정돌기(231)가 판스프링(310)에 걸려서 판스프링(310)의 스프링력에 의해서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복수개의 조립식 정수필터 모듈(100)에 포함되는 각각의 모듈몸체(200)를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연결하여 정수필터 모듈 조립체를 이룰 수 있다. 각각의 모듈몸체(2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모듈몸체(200)에 형성된 연결부(230)에 연결되는 커넥터(700)에 의해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즉,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조립식 정수필터 모듈(100)의 모듈몸체(200)에 형성된 연결부(230)에 커넥터(700)의 일측이 연결되고 다른 조립식 정수필터 모듈(100)의 모듈몸체(200)에 형성된 연결부(230)에 커넥터(700)의 타측이 연결되어 2개의 모듈몸체(200)를 서로 연결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커넥터(700)에 의해서 각각의 모듈몸체(200)를 서로 연결하여 정수필터 모듈 조립체를 이룰 수 있다.
한편, 도6에는 2개의 조립식 정수필터 모듈(100)을 서로 연결하여 정수필터 모듈 조립체를 이루었으나, 이외에도 3개 이상의 조립식 정수필터 모듈(100)을 서로 연결하여 정수필터 모듈 조립체를 이룰 수도 있다. 또한, 도6에는 유입구(2a)와 유출구(2b)가 형성된 정수필터(1)가 체결될 수 있는 조립식 정수필터 모듈(100)을 서로 연결하였으나, 유입구(2a)와 유출구(2b) 이외에 생활용수 배출구(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된 멤브레인필터와 같은 정수필터(1)가 체결될 수 있는 조립식 정수필터 모듈(100)을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정수필터 모듈(100)을 사용하면, 정수필터(1)가 체결되는 모듈몸체(200)에 형성되는 유로(220)의 방향과 모듈몸체(200)의 선회중심축 방향을 일치시킬 수 있다.
그리고, 유로(220)의 방향과 모듈몸체(200)의 선회중심축 방향이 일치되기 때문에 모듈몸체(200)의 선회가 용이하여 정수필터(1)의 탈착이 용이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모듈몸체(200)가 서로 연결되어 정수필터 모듈 조립체를 이룰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다양한 정수필터(1)의 조합이 가능하여 필요에 따라 알맞은 정수필터 모듈 조립체를 만들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조립식 정수필터 모듈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필터 모듈의 일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2는 도1의 측면도이다.
도3은 도1의 일부 절개 평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필터 모듈의 일실시예에 정수필터를 체결한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5a는 도4의 일부측면도이다.
도5b는 도5a의 정수필터가 체결된 모듈몸체를 선회시킨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6은 2개의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필터 모듈의 일실시예를 서로 연결하여 정수필터 모듈 조립체를 구성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정수필터 2a : 유입구
2b : 유출구 100 : 정수필터 모듈
200 : 모듈몸체 210 : 필터체결부
211 : 유입구 체결구멍 212 : 유출구 체결구멍
220 : 유로 230 : 연결부
231 : 고정돌기 240 : 원수차단부재
241 : 스프링 250 : 밀봉부재
260 : 커버부재 270 : 연장부 삽입구멍
280 : 록킹부재 삽입구멍 300 : 브라켓부재
310 : 판스프링 320 : 결합부 삽입구멍
321 : 삽입부 322 : 선회부
323 : 판스프링 끼움부 330 : 고정구멍
400 : 결합부재 500 : 클립부재
600 : 유동관 700 : 커넥터
800 : 필터체결 핸들 810 : 핸들 연장부
900 : 록킹부재

Claims (7)

  1. 일측에 정수필터(1)가 체결되며 상기 정수필터(1)에 물이 유입 및 유출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모듈몸체(200); 및
    상기 모듈몸체(200)가 선회가능하게 연결되며 정수기 또는 지지체에 고정되는 브라켓부재(300);
    를 포함하여 구성된 조립식 정수필터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몸체(200)에는
    상기 정수필터(1)가 체결되는 필터체결부(210)가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모듈몸체(200)의 양 측면을 관통하며 상기 필터체결부(210)와 연결되는 유로(220)가 형성되며,
    일측은 상기 유로(220)에 연결되고 타측은 유동관(600)이 연결되는 연결부(230)가 양 측면에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정수필터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몸체(200)는 상기 연결부(230)를 중심으로 선회가능하게 상기 브라켓부재(300)에 연결되며,
    상기 모듈몸체(200)는 상기 연결부(230)에 결합되는 결합부재(400)에 의해서 상기 브라켓부재(300)에 선회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정수필터 모듈.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230)에는 상기 유동관(600)이 끼워져서 지지될 수 있도록 클립부재(50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정수필터 모듈.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230)에는 고정돌기(231)가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부재(300)에는 상기 고정돌기(231)가 걸리는 판스프링(310)이 구비되어,
    상기 판스프링(310)의 스프링력에 의해서 상기 모듈몸체(200)의 선회위치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정수필터 모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부재(300)에는 상기 연결부(230)가 삽입되는 삽입부(321)와 상기 고정돌기(231)가 선회하는 선회부(322) 및 상기 판스프링(310)이 끼워지는 판스프링 끼움부(323)를 포함하는 결합부 삽입구멍(32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정수필터 모듈.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복수개의 조립식 정수필터 모듈(100)에 포함되는 각각의 모듈몸체(200)를 각각의 모듈몸체(200)에 형성된 연결부(230)에 연결되는 커넥터(700)에 의해서 서로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정수필터 모듈 조립체.
KR1020090018509A 2009-03-04 2009-03-04 조립식 정수필터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정수필터 모듈 조립체 KR1015689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8509A KR101568985B1 (ko) 2009-03-04 2009-03-04 조립식 정수필터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정수필터 모듈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8509A KR101568985B1 (ko) 2009-03-04 2009-03-04 조립식 정수필터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정수필터 모듈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9930A true KR20100099930A (ko) 2010-09-15
KR101568985B1 KR101568985B1 (ko) 2015-11-13

Family

ID=430060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8509A KR101568985B1 (ko) 2009-03-04 2009-03-04 조립식 정수필터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정수필터 모듈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898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0993B1 (ko) * 2013-11-18 2015-01-14 권진철 정수기 필터용 헤드 조립체
KR101976641B1 (ko) * 2018-02-26 2019-05-09 오비오주식회사 정수장치용 필터헤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84489A1 (ko) 2016-11-04 2018-05-11 주식회사 청호시스템 정수필터용 헤드 어셈블리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9505Y1 (ko) * 2001-12-18 2002-03-22 이평호 정수용 필터의 연결호스 접속구조
US6740235B2 (en) * 2002-03-04 2004-05-25 Culligan International Company Swivelling filter head assembly
KR200432225Y1 (ko) * 2006-09-07 2006-11-30 주식회사 피코그램 정수시스템용 필터카트리지 고정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0993B1 (ko) * 2013-11-18 2015-01-14 권진철 정수기 필터용 헤드 조립체
KR101976641B1 (ko) * 2018-02-26 2019-05-09 오비오주식회사 정수장치용 필터헤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8985B1 (ko) 2015-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0572B1 (ko) 회동형 커넥터를 가지는 정수기용 필터 어셈블리
ES2449046T3 (es) Filtro de purificación de agua fácilmente reemplazable mediante el uso de un conector
KR200432225Y1 (ko) 정수시스템용 필터카트리지 고정장치
KR200415015Y1 (ko) 커넥터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교체되는 역삼투막 필터, 및이를 이용한 정수시스템
KR200384557Y1 (ko) 정수장치의 필터 장착구조
CN106865645B (zh) 净水器
KR101988947B1 (ko) 정수필터 조립모듈
KR101148053B1 (ko) 정수기 필터 조립체
KR20100099930A (ko) 조립식 정수필터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정수필터 모듈 조립체
KR200392670Y1 (ko) 정수기용 필터카트리지 결합 구조
KR20230117721A (ko) 정수필터 지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KR20100050335A (ko) 정수필터 조립체
WO2009025413A1 (en) Water purifier filter having a filter washing function
CN211283909U (zh) 滤座、水路连接系统和具有其的净水机
KR200444480Y1 (ko) 정수장치의 필터 장착구조
KR102132163B1 (ko) 정수필터 조립모듈
KR20110062463A (ko) 정수필터 조립모듈
KR101780333B1 (ko) 정수기 필터 조립체
KR101306776B1 (ko) 정수기 필터 조립체
KR102520774B1 (ko) 필터연결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필터 조립체
KR101176315B1 (ko) 필터 유닛
KR200461636Y1 (ko) 정수기의 필터 고정장치
CN113350884B (zh) 二次精密过滤器
EP4089047A1 (en) Filter assembly
KR101284444B1 (ko) 역삼투막 필터 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