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7684B1 - 정수필터 조립모듈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 - Google Patents

정수필터 조립모듈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7684B1
KR101957684B1 KR1020120121256A KR20120121256A KR101957684B1 KR 101957684 B1 KR101957684 B1 KR 101957684B1 KR 1020120121256 A KR1020120121256 A KR 1020120121256A KR 20120121256 A KR20120121256 A KR 20120121256A KR 101957684 B1 KR101957684 B1 KR 1019576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ilter
head
case
water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1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76697A (ko
Inventor
노진환
문현석
박시준
김재만
가진성
이영재
모병선
김대환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12/011123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3100478A1/en
Priority to ES12863349T priority patent/ES2792478T3/es
Priority to EP12863349.2A priority patent/EP2802399B1/en
Publication of KR201300766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66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76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76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1Constructions of two or more housings
    • B01D35/303Constructions of two or more housings the housings being modular, e.g. standardi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5/00Filters formed by clamping together several filtering elements or parts of such elements
    • B01D25/02Filters formed by clamping together several filtering elements or parts of such elements in which the elements are pre-formed independent filtering units, e.g. modular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2201/301Details of removable closures, lids, caps, filter heads
    • B01D2201/302Details of removable closures, lids, caps, filter heads having inlet or outlet por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6Cartridg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7Modular desig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하나 이상의 정수필터가 헤드부에 연결된 여과부가 케이스부에 안착되게 연결되면 별도의 관 연결작업 없이 여과부에 원수가 유입되고 여과부에서 여과된 정수가 유출되도록 구성된 정수필터 조립모듈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수필터 조립모듈은 하나 이상의 정수필터(200)가 연결 또는 분리되며 상기 정수필터(200)의 연결시 원수가 상기 정수필터(200)에 유입되고 상기 정수필터(200)에서 여과된 정수가 유출되도록 구성된 헤드부(300); 및 상기 정수필터(200)가 상기 헤드부(300)에 연결된 여과부(400)가 안착되게 연결 또는 분리되며 상기 여과부(400)의 연결시 원수가 상기 헤드부(300)에 유입되고 상기 헤드부(300)에서 유출된 정수가 유출되도록 구성된 케이스부(500); 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정수필터가 헤드부에 연결된 여과부가 케이스부에 안착되게 연결되면 별도의 관 연결작업 없이 여과부에 원수가 유입되고 여과부에서 여과된 정수가 유출될 수 있으며, 정수필터가 헤드부에 연결된 여과부가 케이스부에 용이하게 안착되게 연결되고 분리되도록 할 수 있고, 좁은 공간에서도 정수필터의 교체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정수필터 조립모듈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WATER PURIFYING FILTER ASSEMBLY MODULE AND WATER PURIFIE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정수필터가 연결 또는 분리되며 정수필터의 연결시 정수필터에 원수가 유입되도록 하고 정수필터에서 여과된 정수가 유출되도록 구성된 정수필터 조립모듈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나 이상의 정수필터가 헤드부에 연결된 여과부가 케이스부에 안착되게 연결되면 별도의 관 연결작업 없이 여과부에 원수가 유입되고 여과부에서 여과된 정수가 유출되도록 구성된 정수필터 조립모듈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정수필터 조립모듈은 정수기 등에 구비되어 하나 이상의 정수필터가 연결되고 정수필터에 원수가 유입되도록 하고 정수필터에서 여과된 정수가 외부, 예컨대 정수가 저장되는 정수탱크로 유동하도록 하는 장치이다.
종래, 이러한 정수필터 조립모듈은 정수기 등에 구비되며 하나 이상의 정수필터가 연결 또는 분리되고 연결된 정수필터에 원수를 공급하고 정수필터에서 여과된 정수가 외부로 유출되도록 구성된 헤드부를 포함한다.
종래의 정수필터 조립모듈의 경우에는 정수필터가 연결 또는 분리되는 헤드부가 정수기 등에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정수필터의 연결 또는 분리를 위해서 소정의 공간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좁은 공간에 정수기 등이 위치하면 정수필터의 헤드부에의 연결 또는 분리가 용이하지 못하여 정수필터의 교체가 용이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정수필터의 교체시 헤드부 또는 정수필터로부터 물이 떨어질 수 있는데, 이러한 물이 헤드부가 구비되는 정수기 등에 떨어져서 정수기 등에 구비되는 전자장비가 고장 나게 하거나 정수기를 오염시킨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정수필터 조립모듈에 2개 이상의 정수필터를 연결한다고 하더라도, 2개 이상의 정수필터가 직렬로 연결되도록 하지는 못하였다. 즉, 종래에 2개 이상의 정수필터를 정수필터 조립모듈에 연결하면, 정수필터 조립모듈에 연결된 2개 이상의 정수필터는 병렬로 연결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2개 이상의 정수필터에 물이 동시에 유입되고, 2개 이상의 정수필터에서 여과된 물이 동시에 유출된다. 그러므로, 다른 종류의 2개 이상의 정수필터를 정수필터 조립모듈에 연결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같은 종류의 정수필터만을 사용하기 때문에, 정수필터에 의한 물의 여과효율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같은 종류의 2개 이상의 정수필터만을 정수필터 조립모듈에 연결하기 때문에, 정수필터의 교체시 2개 이상의 정수필터를 함께 교체해야만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같은 종류의 2개 이상의 정수필터 중 일부만을 교체하면, 교체하지 않은 정수필터에 의해서 물의 여과효율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에서 발생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일 측면은 하나 이상의 정수필터가 헤드부에 연결된 여과부가 케이스부에 안착되게 연결되면 별도의 관 연결작업 없이 여과부에 원수가 유입되고 여과부에서 여과된 정수가 유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또 다른 측면은 정수필터가 헤드부에 연결된 여과부가 케이스부에 용이하게 안착되게 연결되고 분리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다른 측면은 좁은 공간에서도 정수필터의 교체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또 다른 측면은 정수필터가 헤드부에 연결된 여과부가 케이스부에서 분리되면 원수가 정수필터에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또 다른 측면은 정수필터가 헤드부에 연결된 여과부가 케이스부에서 분리될 때 물이 떨어지더라도 케이스부에 낙하하도록 하여 낙수로 인한 오염이나 사고를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 형태와 관련된 정수필터 조립모듈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하나 이상의 정수필터가 헤드부에 연결된 여과부가 케이스부에 안착되게 연결되면 별도의 관 연결작업 없이 여과부에 원수가 유입되고 여과부에서 여과된 정수가 유출되도록 구성된 것을 기초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정수필터 조립모듈은 하나 이상의 정수필터가 연결 또는 분리되며 정수필터의 연결시 원수가 정수필터에 유입되고 정수필터에서 여과된 정수가 유출되도록 구성된 헤드부; 및 정수필터가 헤드부에 연결된 여과부가 안착되게 연결 또는 분리되며 여과부의 연결시 원수가 헤드부에 유입되고 헤드부에서 유출된 정수가 유출되도록 구성된 케이스부; 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여과부는 케이스부로부터 분리시 케이스부의 상방으로 들어올려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드부는 헤드부본체; 정수필터의 연결시 정수필터에 원수가 유입되고 정수필터에서 여과된 정수가 유출되도록 헤드부본체에 구비된 필터연결부; 및 케이스부에의 연결 또는 분리가 용이하도록 헤드부본체에 구비된 탈착부; 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탈착부는 헤드부본체의 양측에 각각 하나씩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여과부를 케이스부로부터 연결 또는 분리시키기 위해서 탈착부는 헤드부본체에 탄성지지되는 탈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탈착부는 헤드부본체에 구비되는 삽입돌기에 삽입되는 탄성부재; 및 탄성부재에 의해서 탄성지지되며 케이스부에 연결시 케이스부에 걸리고 케이스부로부터 분리시 케이스부로부터 해제되도록 구성된 탈착부재;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탈착부재의 일측에는 헤드부본체에 형성된 손잡이구멍에 삽입되어 돌출되는 손잡이부가 형성되고, 탈착부재의 타측에는 헤드부본체에 형성된 삽입구멍에 삽입되어 돌출되며 케이스부에 연결시 케이스부에 형성된 걸림구멍에 걸리는 걸림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헤드부는 헤드부본체에 구비되며 케이스부에 연결시 케이스부에 유입된 원수가 필터연결부에 유입되고 필터연결부로부터 유출된 정수가 케이스부를 통해 유출되도록 구성된 유입유출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입유출부는 일측은 필터연결부에 포함되는 유입연결부에 연결되도록 헤드부본체에 구비되고 타측은 케이스부에 연결시 케이스부에 구비된 유입구삽입부에 삽입되어 연결되는 원수유입구; 및 일측은 필터연결부에 포함되는 유출연결부에 연결되도록 헤드부본체에 구비되고 타측은 케이스부에 연결시 케이스부에 구비된 유출구삽입부에 삽입되어 연결되는 정수유출구; 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원수유입구와 정수유출구에는 밀봉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연결부는 정수필터의 연결시 정수필터에 구비된 유입구에 연결되는 유입연결부; 및 정수필터의 연결시 정수필터에 구비된 유출구에 연결되는 유출연결부; 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부에는 원수공급원과 연결되고 여과부의 연결시 헤드부에 포함되는 원수유입구가 삽입되어 연결되는 유입구삽입부; 및 여과부의 연결시 헤드부에 포함되는 정수유출구가 삽입되어 연결되는 유출구삽입부; 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입구삽입부에는 원수유입구의 삽입시 유입구삽입부에 형성된 유로를 개방하며 원수유입구의 분리시 유로를 닫는 개폐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개폐부재는 유입구삽입부에 구비되는 탄성부재에 의해서 탄성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부의 상부에는 여과부의 연결시 헤드부에 포함되는 탈착부재에 형성된 걸림돌기가 걸리는 걸림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부는 여과부가 내부에 안착되도록 여과부와 대응되는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부에는 여과부의 연결시 정수필터가 삽입되는 필터삽입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정수기는 정수기 하우징; 및 정수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는 전술한 정수필터 조립모듈; 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정수필터 조립모듈에 포함되는 헤드부는 정수기 하우징의 상면에 노출되거나 정수기 하우징의 상면 커버 분리시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정수필터가 헤드부에 연결된 여과부가 케이스부에 안착되게 연결되면 별도의 관 연결작업 없이 여과부에 원수가 유입되고 여과부에서 여과된 정수가 유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정수필터가 헤드부에 연결된 여과부가 케이스부에 용이하게 안착되게 연결되고 분리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여과부를 케이스부로부터 분리하여 상방으로 완전히 들어올린 후 헤드부에서 정수필터를 분리하기 때문에, 좁은 공간에서도 정수필터의 교체가 가능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정수필터가 헤드부에 연결된 여과부가 케이스부에서 분리되면 탄성지지되는 개폐부재가 유로를 닫아서 원수가 정수필터에 유입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정수필터가 헤드부에 연결된 여과부가 케이스부에서 분리될 때 물이 떨어지더라도 케이스부에 낙하하므로 낙수로 인한 정수기 내부 오염이나 감전사고 등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르면, 2개 이상의 다른 종류의 정수필터가 서로 직렬로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2개 이상의 정수필터를 함께 교체하지 않아도 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정수필터에 의한 물의 여과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2개 이상의 정수필터를 정수필터가 연결되도록 헤드부에 포함되는 2개 이상의 필터연결부 중 알맞은 필터연결부에 각각 연결시킬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필터 조립모듈의 일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필터 조립모듈의 일실시예의 정수필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필터 조립모듈의 일실시예의 헤드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필터 조립모듈의 일실시예의 케이스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5는 도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6은 도1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필터 조립모듈의 일실시예의 여과부가 케이스부에서 분리된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필터 조립모듈의 일실시예의 헤드부에서 정수필터가 분리된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정수필터 조립모듈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들은 기본적으로 하나 이상의 정수필터가 헤드부에 연결된 여과부가 케이스부에 안착되게 연결되면 별도의 관 연결작업 없이 여과부에 원수가 유입되고 여과부에서 여과된 정수가 유출되도록 구성된 것을 기초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정수필터 조립모듈(100)은 도1과 도5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하나 이상의 정수필터(200)가 연결 또는 분리되는 헤드부(300)와, 정수필터(200)가 헤드부(300)에 연결된 여과부(400)가 안착되게 연결 또는 분리되는 케이스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정수필터(200)에는 도2와 도5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원수 또는 다른 정수필터(200)에서 여과된 정수가 유입되는 유입구(210)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정수필터(200)에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전술한 유입구(210)로부터 유입된 원수 또는 다른 정수필터(200)에서 여과되어 유입된 정수를 여과시키는 여과부재(23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정수필터(200)에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여과된 정수가 유출되는 유출구(220)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정수필터(200)에는 연결턱(24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정수필터(200)의 연결턱(240)은 정수필터(200)의 회전에 의해서 헤드부(300)에 포함되는 후술할 필터연결부(320)에 형성된 걸림턱(도시되지 않음)에 걸리거나 해제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정수필터(200)가 회전에 의해서 헤드부(300),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헤드부(300)의 필터연결부(320)에 도5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또는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정수필터(200)에는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회전방지돌기(260)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후술할 케이스부(500)에 정수필터(200)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필터삽입부(500b)에는 도4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회전방지홈(53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부(300)에 연결된 여과부(400)가 케이스부(500)에 안착되도록 정수필터(200)가 필터삽입부(500b)에 삽입되면, 정수필터(200)의 회전방지돌기(260)가 케이스부(500)의 필터삽입부(500b)의 회전방지홈(530)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정수필터(200)가 필터삽입부(500b)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므로, 정수필터(200)가 필터삽입부(500b)에 삽입된 상태에서, 예컨대 정수필터(200)에 유입되는 물의 압력에 의해서 회전되어, 필터연결부(32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정수필터(200)에는 식별돌기(250)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다른 정수필터(200)에는 식별돌기(250)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아울러, 도5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식별돌기(250)가 형성된 정수필터(200)가 연결되지 않아야 할, 헤드부(300)에 포함되는 후술할 필터연결부(320)에는 다른 식별돌기(350)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정수필터(200)가 연결되어야 할 필터연결부(320)에는 다른 식별돌기(350)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정수필터(200)에 형성된 식별돌기(250)가 필터연결부(320)에 형성된 식별돌기(350)와 간섭되어, 연결되지 않아야 할 필터연결부(320)에는 정수필터(200)가 연결되지 않고 연결되어야 할 필터연결부(320)에만 정수필터(200)가 연결될 수 있다. 즉, 2개 이상의 정수필터(200)를, 정수필터(200)가 연결되도록 헤드부(300)에 포함되는 2개 이상의 필터연결부(320) 중 알맞은 필터연결부(320)에 각각 연결시킬 수 있다.
헤드부(300)는 전술하고 도5와 도7 및 도8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하나 이상의 정수필터(200)가 연결 또는 분리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헤드부(300)에는 2개의 정수필터(200)가 연결 또는 분리될 수 있다. 그러나, 헤드부(300)에 연결 또는 분리되는 정수필터(200)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하나 이상이라면 어떠한 개수라도 가능하다.
또한, 헤드부(300)는 정수필터(200)의 연결시 원수가 정수필터(200)에 유입되고 정수필터(200)에서 여과된 정수가 유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헤드부(300)는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헤드부본체(310), 필터연결부(320), 및 탈착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3과 도5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헤드부본체(310)는 커버부재(310a)와 본체부재(310b)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체부재(310b)의 개방된 상부에 커버부재(310a)가 연결되어 헤드부본체(310)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커버부재(310a)에는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끼움돌기(311)가 형성되고 본체부재(310b)에는 커버부재(310a)가 본체부재(310b)의 개방된 상부에 연결시 전술한 끼움돌기(311)가 끼워지는 끼움홈(312)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체부재(310b)의 개방된 상부에 커버부재(310a)가 연결되어 헤드부본체(310)가 이루어지는 구성은 전술한 바에 한정되지 않고, 본체부재(310b)의 개방된 상부에 커버부재(310a)가 연결되어 헤드부본체(310)가 이루어지는 구성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필터연결부(320)는 도3과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필터(200)의 연결시 정수필터(200)에 원수가 유입되고 정수필터(200)에서 여과된 정수가 유출되도록 헤드부본체(310), 즉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헤드부본체(310)의 본체부재(310b)에 구비될 수 있다.
필터연결부(3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부(300)에 2개 포함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헤드부(300)에 2개의 정수필터(200)가 각각 연결 또는 분리될 수 있다. 그러나, 헤드부(300)에 포함되는 필터연결부(320)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1개일 수도 있으며 3개 이상일 수도 있다. 헤드부(300)에 포함되는 필터연결부(320)의 개수가 1개이면, 1개의 정수필터(200)만이 헤드부(300)에 연결 또는 분리될 수 있다. 그리고, 헤드부(300)에 포함되는 필터연결부(320)의 개수가 3개 이상이면, 3개의 이상의 정수필터(200)가 헤드부(300)에 연결 또는 분리될 수 있다.
도3와 도5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이러한 필터연결부(320)는 유입연결부(321)와 유출연결부(322)를 포함할 수 있다.
유입연결부(321)는 도5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정수필터(200)의 연결시 정수필터(200)에 구비된 유입구(210)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연결부(321)에 유입된 원수는 정수필터(200)의 유입구(210)에 유입될 수 있다.
또한, 도5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유출연결부(322)는 정수필터(200)의 연결시 정수필터(200)에 구비된 유출구(220)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연결부(321)와 정수필터(200)의 유입구(210)를 통해 정수필터(200)에 유입된 원수는 정수필터(200)에 구비된 여과부재(230)를 통과하면서 여과되어 정수로 된 후 정수필터(200)의 유출구(220)와 유출연결부(322)를 통해 유출될 수 있다.
도3과 도5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필터연결부(320)는 헤드부본체(310),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헤드부본체(310)의 본체부재(310b)에 2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2개의 필터연결부(320)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연결관(T)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즉,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연결관(T)의 일측과 타측은 피팅부재(F)에 의해서 2개의 필터연결부(320)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도3과 도5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연결관(T)의 일측은 한 필터연결부(320)의 유출연결부(322)에 연결되고, 연결관(T)의 타측은 다른 필터연결부(320)의 유입연결부(321)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정수필터(200)에서 여과된 정수는 이에 연결된 한 필터연결부(320)의 유출연결부(322)로부터 유출되어 연결관(T)을 유동한 후 다른 필터연결부(320)의 유입연결부(321)에 유입되어 다른 정수필터(200)에 유입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헤드부(300)에 정수필터(200)를 연결하는 것으로 2개 이상의 다른 종류의 정수필터(200)를 서로 직렬로 연결할 수 있다. 그러므로, 같은 종류의 정수필터(200)를 병렬로 연결하는 경우보다, 정수필터(200)에 의한 물의 여과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다른 종류의 정수필터(200)는 수명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헤드부(300)에 연결된 정수필터(200)를 함께 교체하지 않아도 될 수 있다.
한편, 정수필터(200)의 유입구(210)와 유출구(220)에는 도2와 도5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밀봉부재(R)가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전술하고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필터(200)의 유입구(210)와 유출구(220)가 각각 필터연결부(320)의 유입연결부(321)와 유출연결부(322)에 각각 연결되어 원수 또는 정수가 유동하는 경우, 원수 또는 정수가 외부로 새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탈착부(330)는 헤드부본체(310), 즉 도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헤드부본체(310)의 본체부재(310b)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탈착부(330)에 의해서 정수필터(200)가 헤드부(300)에 연결된 여과부(400)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부(500)에 연결되거나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부(500)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탈착부(330)는 헤드부본체(310),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헤드부본체(310)의 본체부재(310b)에 양측에 각각 하나씩 2개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탈착부(330)의 개수는 2개에 한정되지 않으며, 정수필터(200)가 헤드부(300)에 연결된 여과부(400)가 케이스부(500)에 연결되거나 케이스부(500)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개수라면 어떠한 개수라도 가능하다.
탈착부(330)는 여과부(400)를 케이스부(500)로부터 연결 또는 분리시키기 위해서 헤드부본체(310)에 탄성지지되는 탈착부재(3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탈착부(330)는 탄성부재(331)와 전술한 탈착부재(332)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재(331)는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헤드부본체(310),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헤드부본체(310)의 본체부재(310b)에 구비되는 삽입돌기(310c)에 삽입될수 있다.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탈착부재(332)는 전술한 탄성부재(331)에 의해서 탄성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탈착부재(332)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필터(200)가 헤드부(300)에 연결된 여과부(400)가 케이스부(500)에 연결시 케이스부(500)에 걸리고,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과부(400)가 케이스부(500)로부터 분리시 케이스부(500)로부터 해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술한 바와 같이 여과부(400)가 케이스부(500)에 연결되거나 케이스부(500)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도3과 도6 내지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착부재(322)의 일측에는 손잡이부(332a)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탈착부재(322)의 타측에는 걸림돌기(332b)가 형성될 수 있다.
도3과 도6 내지 도8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손잡이부(332a)는 헤드부본체(310),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헤드부본체(310)의 본체부재(310b)에 형성된 손잡이구멍(310d)에 삽입되어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손잡이부(332a)를 용이하게 누를 수 있다. 또한, 이를 위해서, 손잡이부(332a)에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복수개의 마찰돌기 또는 마찰홈이 형성될 수 있다.
걸림돌기(332b)는 도3과 도6 내지 도8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헤드부본체(310),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헤드부본체(310)의 본체부재(310b)에 형성된 삽입구멍(310e)에 삽입되어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걸림돌기(332b)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필터(200)가 헤드부(300)에 연결된 여과부(400)가 케이스부(500)에 연결시 케이스부(500)에 형성된 걸림구멍(500a)에 걸릴 수 있다.
즉, 사용자가 탈착부재(332)의 손잡이부(332a)를 눌러서 외력을 가하면 탈착부재(332)는 탄성부재(331)의 탄성력을 이기고 장치본체(310),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장치본체(310)의 본체부재(310b) 안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정수필터(200)가 헤드부(300)에 연결된 여과부(400)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부(500)에 삽입되어 안착되도록 한다. 그리고, 탈착부재(332)의 손잡이부(332a)에 가해진 외력을 제거하면, 탄성부재(331)의 탄성력에 의해서 탈착부재(332)가 장치본체(310),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장치본체(310)의 본체부재(310b) 바깥쪽으로 이동하여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간다.
이에 의해서, 도5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필터(200)가 헤드부(300)에 연결된 여과부(400)가 케이스부(500)에 삽입되어 안착되면,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착부재(332)의 걸림돌기(332b)가 케이스부(500)에 형성된 걸림구멍(500a)에 걸릴 수 있다. 그러므로, 정수필터(200)가 헤드부(300)에 연결된 여과부(400)가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부(500)에 삽입되어 안착된 상태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도6에 도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탈착부재(332)의 손잡이부(332a)를 눌러서 손잡이부(332a)에 외력을 가하면, 탈착부재(332)가 탄성부재(331)의 탄성력을 이기고 전술한 바와 같이 장치본체(310),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장치본체(310)의 본체부재(310b)의 안쪽으로 이동한다. 이에 의해서, 탈착부재(332)의 걸림돌기(332b)가 케이스부(500)의 걸림구멍(500a)으로부터 해제된다. 이에 따라,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부(500)에 삽입된 여과부(400)를 케이스부(50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여과부(400)를 케이스부(500)로부터 분리한 후 탈착부재(322)의 손잡이부(332a)에 가해진 외력을 제거하면, 탈착부재(322)는 탄성부재(331)의 탄성력에 의해서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간다.
이에 의해서, 정수필터(200)가 헤드부(300)에 연결된 여과부(400)가 케이스부(500)에 용이하게 안착되게 연결되고 분리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정수필터(200)가 헤드부(300)에 연결된 여과부(400)를 케이스부(500)로부터 분리한 후,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필터(200)를 회전시켜서 헤드부(30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새로운 정수필터(200)를 회전에 의해서 헤드부(300)에 연결한 후 정수필터(200)가 헤드부(300)에 연결된 여과부(400)를 케이스부(500)에 안착되게 연결시킬 수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정수필터(200)가 직접 연결되는 헤드부(300)가 정수기 등에 구비되도록 하지 않고, 정수필터(200)가 헤드부(300)에 연결된 여과부(400)가 연결되는 케이스부(500)를 정수기 등에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정수필터(200)가 헤드부(300)에 연결된 여과부(400)를 케이스부(500)로부터 분리한 후 정수필터(200)를 교체하고 정수필터(200)가 헤드부(300)에 연결된 여과부(400)를 케이스부(500)에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여과부(400)는 상기 케이스부(500)로부터 분리시 상기 케이스부(500)의 상방으로 들어올려질 수 있다. 그러므로, 종래와 같이 헤드부(300)가 정수기(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된 상태에서 정수필터(200)를 헤드부(300)에 연결하거나 분리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좁은 공간에서도 정수필터(200)의 교체가 가능할 수 있다.
또한, 헤드부(300)는 유입유출부(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유입유출부(340)는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헤드부본체(310),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헤드부본체(310)의 본체부재(310b)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필터(200)가 헤드부(300)에 연결된 여과부(400)가 케이스부(500)에 연결시 케이스부(500)에 유입된 원수가 필터연결부(320)에 유입되고 필터연결부(320)로부터 유출된 정수가 케이스부(500)를 통해 유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도3과 도6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유입유출부(340)는 원수유입구(341)와 정수유출구(342)를 포함할 수 있다.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원수유입구(341)의 일측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필터연결부(320)의 유입연결부(321)에 연결되도록 헤드부본체(310),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헤드부본체(310)의 본체부재(310b)에 구비될 수 있다. 원수유입구(341)의 일측은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필터연결부(320)의 유입연결부(321)에 일측이 연결되는 연결관(T)의 타측에 연결되어 필터연결부(320)의 유입연결부(321)에 연결될 수 있다. 연결관(T)의 일측과 타측은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피팅부재(F)에 의해서 필터연결부(230)의 유입연결부(321)와 원수유입구(341)의 일측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원수유입구(341)의 타측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필터(200)가 헤드부(300)에 연결된 여과부(400)가 케이스부(500)에 연결시 케이스부(500)에 구비되고 수도 등의 원수공급원(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된 후술할 유입구삽입부(510)에 삽입되어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입구삽입부(510)에 원수공급원의 원수가 유입되면, 유입구삽입부(510)에 유입된 원수는 원수유입구(341)에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원수유입구(341)에 유입된 원수는 전술한 필터연결부(320)의 유입연결부(321)로 유동할 수 있다. 또한, 필터연결부(320)의 유입연결부(321)로 유동한 원수는 필터연결부(320)의 유입연결부(321)에 연결된 정수필터(200)의 유입구(210)를 통해 정수필터(200)에 유입될 수 있다.
정수유출구(342)의 일측은 도3와 도6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전술한 필터연결부(320)의 유출연결부(322)에 연결되도록 헤드부본체(310),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헤드부본체(310)의 본체부재(310b)에 구비될 수 있다. 정수유출구(342)의 일측은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필터연결부(320)의 유출연결부(322)에 일측이 연결되는 연결관(T)의 타측에 연결되어 필터연결부(320)의 유출연결부(322)에 연결될 수 있다. 연결관(T)의 일측과 타측은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피팅부재(F)에 의해서 필터연결부(230)의 유출연결부(322)와 정수유출구(342)의 일측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정수유출구(342)의 타측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필터(200)가 헤드부(300)에 연결된 여과부(400)가 케이스부(500)에 연결시 케이스부(500)에 구비된 유출구삽입부(520)에 삽입되어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정수필터(200)로부터 여과되어 정수필터(200)의 유출구(220)로부터 유출된 정수는 필터연결부(320)의 유출연결부(322)를 통해 정수유출구(342)에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정수유출구(342)에 유입된 정수는 유출구삽입부(520)에 유입되어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한편, 원수유입구(341)와 정수유출구(342)의 타측에는 도3과 도6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하나 이상의 밀봉부재(R)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전술한 바와 같이 정수필터(200)가 헤드부(300)에 연결된 여과부(400)가 케이스부(500)에 연결되어 전술한 바와 같이 케이스부(500)의 유입구삽입부(510)를 통해 원수유입구(341)로 원수가 유입될 때 원수가 외부로 새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정수유출구(342)에서 유출된 정수가 케이스부(500)의 유출구삽입부(520)로 유동할 때 외부로 새지 않을 수 있다.
케이스부(500)는 정수필터(200)가 헤드부(300)에 연결된 여과부(400)가 안착되게 연결 또는 분리될 수 있다. 그리고, 여과부(400)의 연결시 원수가 헤드부(300)에 유입되고 헤드부(300)에서 유출된 정수가 유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케이스부(500)에는 도4와 도6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유입구삽입부(510)와 유출구삽입부(520)가 구비될 수 있다.
유입구삽입부(510)는, 예컨대 수도 등의 원수공급원(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과부(400)의 케이스부(500)에의 연결시 헤드부(300)에 포함되는 전술한 원수유입구(341)가 삽입되어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전술하고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수공급원의 원수가 유입구삽입부(510)와 원수유입구(341)를 통해 헤드부(300), 즉 전술한 헤드부(300)의 필터연결부(320)의 유입연결부(321)에 유입되어 정수필터(200)의 유입구(210)에 유입될 수 있다.
한편, 유입구삽입부(510)에는 도6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개폐부재(511)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개폐부재(511)에 의해서 원수유입구(341)의 삽입시 유입구삽입부(510)에 형성된 유로를 개방하며 원수유입구(341)의 분리시 유로를 닫을 수 있다. 그리고, 개폐부재(511)는 유입구삽입부(510)에 구비되는 탄성부재(512)에 의해서 탄성지지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과부(400)가 케이스부(500)에 연결되어 원수유입구(341)가 유입구삽입부(510)에 삽입되어 연결되면, 원수유입구(341)에 의해서 개폐부재(511)가 탄성부재(512)의 탄성력을 이기고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구삽입부(510)에 형성된 유로가 개방될 수 있다. 그리고, 유입구삽입부(510)에 유입된 원수가 원수유입구(341)에 유입될 수 있다.
또한,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과부(400)가 케이스부(500)로부터 분리되어 원수유입구(341)가 유입구삽입부(510)로부터 분리되면,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512)의 탄성력에 의해서 개폐부재(511)가 전술한 바와는 반대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구삽입부(510)에 형성된 유로가 닫힐 수 있다. 그러므로, 유입구삽입부(510)에 유입된 원수가 유동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여과부(400)가 케이스부(500)에 연결되면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수공급원의 원수가 여과부(400)의 헤드부(300)에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여과부(400)가 케이스부(500)로부터 분리되면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수가 여과부(300)의 헤드부(300)에 유입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므로, 별도로 개폐밸브를 구비하지 않아도 여과부(400)를 케이스부(500)에 연결하거나 여과부(400)를 케이스부(500)로부터 분리하는 것만으로도, 원수를 헤드부(300)에 공급하거나 원수의 헤드부(300)에의 공급을 중단할 수 있다.
유출구삽입부(520)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과부(400)의 케이스부(500)에의 연결시 헤드부(300)에 포함되는 전술한 정수유출구(342)가 삽입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전술하고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필터(200)의 유출구(220)로부터 유출된 정수는 헤드부(300)의 필터연결부(320)의 유출연결부(322)에 유입되고 정수유출구(342)를 유동하여 유출구삽입부(520)로 유입되어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케이스부(500)의 상부에는 전술하고 도4와 도6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걸림구멍(500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걸림구멍(500a)에는 전술하고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필터(200)가 헤드부(300)에 연결된 여과부(400)가 케이스부(500)에 연결시 헤드부(300)에 포함되는 탈착부재(332)에 형성된 걸림돌기(332b)가 걸릴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여과부(400)가 케이스부(500)에 연결되면 여과부(400)가 케이스부(500)로부터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여과부(400)가 케이스부(500)에 연결되어 원수유입구(341)와 정수유출구(342)가 각각 케이스부(500)의 유입구삽입부(510)와 유출구삽입부(520)에 삽입되어 연결된 것이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원수유입구(341)가 유입구삽입부(510)에 구비된 개폐부재(511)가 유입구삽입부(510)에 형성된 유로가 개방되도록 하는 위치에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원수가 정수필터(200)로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정수필터(200)로부터 유출되는 정수 또한 외부로 원활하게 유출될 수 있다.
이러한 케이스부(500)는 도4와 도5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여과부(400)가 내부에 안착되도록 여과부(400)에 대응되는 형상일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케이스부(500)에는 여과부(400)의 연결시 정수필터(200)가 삽입되는 필터삽입부(500b)가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여과부(400)에 2개의 정수필터(200)가 포함되도록 케이스부(500)에 2개의 필터삽입부(500b)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필터삽입부(500b)의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여과부(400)에 포함되는 정수필터(200)에 대응되는 개수라면 어떠한 개수라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과부(400)가 케이스부(500)에서 분리되는 경우에, 여과부(400)로부터 물이 떨어진다고 하더라도, 케이스부(500)에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케이스부(500)가 구비되는 정수기(도시되지 않음) 등에는 떨어지지 않게 된다. 이에 의해서, 정수기 등에 구비되는 전자장비가 고장나지 않을 수 있고, 정수기 등이 오염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P)는 도9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정수기 하우징(H)과 전술한 정수필터 조립모듈(1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9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전술한 정수필터 조립모듈(100)은 정수기 하우징(H) 내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정수필터 조립모듈(100)에 포함되는 헤드부(300)는 정수기 하우징(H)의 상면에 노출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정수필터 조립모듈(100)의 헤드부(300)가 정수기 하우징(H)의 커버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도9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정수필터 조립모듈(100)의 헤드부(300)는 정수기 하우징(H)의 상면 커버(C) 분리시 외부로 노출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정수필터 조립모듈(100)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P)를 사용하면, 하나 이상의 정수필터가 헤드부에 연결된 여과부가 케이스부에 안착되게 연결되면 별도의 관 연결작업 없이 여과부에 원수가 유입되고 여과부에서 여과된 정수가 유출되도록 할 수 있으며, 정수필터가 헤드부에 연결된 여과부가 케이스부에 용이하게 안착되게 연결되고 분리되도록 할 수 있고, 좁은 공간에서도 정수필터의 교체가 가능할 수 있으며, 정수필터가 헤드부에 연결된 여과부가 케이스부에서 분리되면 원수가 정수필터에 유입되지 않도록 할 수 있고, 정수필터가 헤드부에 연결된 여과부가 케이스부에서 분리될 때 물이 떨어지더라도 케이스부에 낙하하도록 하여 낙수로 인한 오염이나 사고를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2개 이상의 다른 종류의 정수필터가 서로 직렬로 연결되도록 할 수 있으며, 2개 이상의 정수필터를 함께 교체하지 않아도 될 수 있으며, 정수필터에 의한 물의 여과효율이 향상될 수 있고, 2개 이상의 정수필터를 정수필터가 연결되도록 헤드부에 포함되는 2개 이상의 필터연결부 중 알맞은 필터연결부에 각각 연결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정수필터 조립모듈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 정수필터 조립모듈 200 : 정수필터
210 : 유입구 220 : 유출구
230 : 여과부재 240 : 연결턱
250, 350 : 식별돌기 260 : 회전방지돌기
300 : 헤드부 310 : 헤드부본체
310a : 커버부재 310b : 본체부재
310c : 삽입돌기 310d : 손잡이구멍
310e : 삽입구멍 320 : 필터연결부
321 : 유입연결부 322 : 유출연결부
330 : 탈착부 331,512 : 탄성부재
332 : 탈착부재 332a : 손잡이부
332b : 걸림돌기 340 : 유입유출부
341 : 원수유입 342 : 정수유출구
400 : 여과부 500 : 케이스부
500a : 걸림구멍 500b : 필터삽입부
510 : 유입구삽입부 511 : 개폐부재
520 : 유출구삽입부 530 : 회전방지홈
T : 연결관 F : 피팅부재
R : 밀봉부재 P : 정수기
H : 정수기 하우징 C : 상면 커버

Claims (22)

  1. 하나 이상의 정수필터(200)가 연결 또는 분리되며 상기 정수필터(200)의 연결시 원수가 상기 정수필터(200)에 유입되고 상기 정수필터(200)에서 여과된 정수가 유출되도록 구성된 헤드부(300); 및
    상기 정수필터(200)가 상기 헤드부(300)에 연결된 여과부(400)가 안착되게 연결 또는 분리되며 상기 여과부(400)의 연결시 원수가 상기 헤드부(300)에 유입되고 상기 헤드부(300)에서 유출된 정수가 유출되도록 구성된 케이스부(5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케이스부(500)에는 원수공급원과 연결되고 상기 여과부(400)의 연결시 상기 헤드부(300)에 포함되는 원수유입구(341)가 삽입되어 연결되는 유입구삽입부(510)와, 상기 여과부(400)의 연결시 상기 헤드부(300)에 포함되는 정수유출구(342)가 삽입되어 연결되는 유출구삽입부(520)가 구비되고,
    상기 유입구삽입부(510)에는 상기 원수유입구(341)의 삽입시 상기 유입구삽입부(510)에 형성된 유로를 개방하며 상기 원수유입구(341)의 분리시 상기 유로를 닫는 개폐부재(511)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필터 조립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부(400)는 상기 케이스부(500)로부터 분리시 상기 케이스부(500)의 상방으로 들어올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필터 조립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300)는
    헤드부본체(310);
    상기 정수필터(200)의 연결시 상기 정수필터(200)에 원수가 유입되고 상기 정수필터(200)에서 여과된 정수가 유출되도록 상기 헤드부본체(310)에 구비된 필터연결부(320); 및
    상기 케이스부(500)에의 연결 또는 분리가 용이하도록 상기 헤드부본체(310)에 구비된 탈착부(3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필터 조립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부(330)는 상기 헤드부본체(310)의 양측에 각각 하나씩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필터 조립모듈.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부(400)를 상기 케이스부(500)로부터 연결 또는 분리시키기 위해서 상기 탈착부(330)는 상기 헤드부본체(310)에 탄성지지되는 탈착부재(3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필터 조립모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부(330)는
    상기 헤드부본체(310)에 구비되는 삽입돌기(310c)에 삽입되는 탄성부재(331); 및
    상기 탄성부재(331)에 의해서 탄성지지되며 상기 케이스부(500)에 연결시 상기 케이스부(500)에 걸리고 상기 케이스부(500)로부터 분리시 상기 케이스부(500)로부터 해제되도록 구성된 상기 탈착부재(33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필터 조립모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부재(332)의 일측에는 상기 헤드부본체(310)에 형성된 손잡이구멍(310d)에 삽입되어 돌출되는 손잡이부(332a)가 형성되고,
    상기 탈착부재(332)의 타측에는 상기 헤드부본체(310)에 형성된 삽입구멍(310e)에 삽입되어 돌출되며 상기 케이스부(500)에 연결시 상기 케이스부(500)에 형성된 걸림구멍(500a)에 걸리는 걸림돌기(332b)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필터 조립모듈.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300)는
    상기 헤드부본체(310)에 구비되며 상기 케이스부(500)에 연결시 상기 케이스부(500)에 유입된 원수가 상기 필터연결부(320)에 유입되고 상기 필터연결부(320)로부터 유출된 정수가 상기 케이스부(500)를 통해 유출되도록 구성된 유입유출부(34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필터 조립모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유출부(340)는
    일측은 상기 필터연결부(320)에 포함되는 유입연결부(321)에 연결되도록 상기 헤드부본체(310)에 구비되고 타측은 상기 케이스부(500)에 연결시 상기 케이스부(500)에 구비된 유입구삽입부(510)에 삽입되어 연결되는 원수유입구(341); 및
    일측은 상기 필터연결부(320)에 포함되는 유출연결부(322)에 연결되도록 상기 헤드부본체(310)에 구비되고 타측은 상기 케이스부(500)에 연결시 상기 케이스부(500)에 구비된 유출구삽입부(520)에 삽입되어 연결되는 정수유출구(34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필터 조립모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원수유입구(341)와 정수유출구(342)에는 밀봉부재(R)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필터 조립모듈.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연결부(320)는
    상기 정수필터(200)의 연결시 상기 정수필터(200)에 구비된 유입구(210)에 연결되는 유입연결부(321); 및
    상기 정수필터(200)의 연결시 상기 정수필터(200)에 구비된 유출구(220)에 연결되는 유출연결부(32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필터 조립모듈.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300)는 2개 이상의 필터연결부(320)를 포함하며,
    상기 필터연결부(320)는 연결관(T)에 의해서 서로 연결되고,
    상기 연결관(T)의 일측은 상기 한 필터연결부(320)의 유출연결부(322)에 연결되고 타측은 다른 필터연결부(320)의 유입연결부(321)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필터 조립모듈.
  13.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300)는 2개 이상의 상기 필터연결부(320)를 포함하여 2개 이상의 정수필터(200)가 연결 또는 분리되며,
    상기 2개 이상의 정수필터(200) 중 적어도 하나에는 식별돌기(250)가 형성되고,
    상기 식별돌기(250)가 형성된 정수필터(200)가 연결되지 않아야 할 필터연결부(320)에는 다른 식별돌기(350)가 형성되어,
    상기 식별돌기(250)가 형성된 정수필터(200)가 상기 다른 식별돌기(350)가 형성된 필터연결부(320)에 연결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필터 조립모듈.
  14. 삭제
  15. 삭제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511)는 상기 유입구삽입부(510)에 구비되는 탄성부재(512)에 의해서 탄성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필터 조립모듈.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500)의 상부에는 상기 여과부(400)의 연결시 상기 헤드부(300)에 포함되는 탈착부재(332)에 형성된 걸림돌기(332b)가 걸리는 걸림구멍(500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필터 조립모듈.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500)는 상기 여과부(400)가 내부에 안착되도록 상기 여과부(400)와 대응되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필터 조립모듈.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500)에는 상기 여과부(400)의 연결시 상기 정수필터(200)가 삽입되는 필터삽입부(500b)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필터 조립모듈.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필터(200)에는 회전에 의해서 상기 헤드부(300)에 포함되는 필터연결부(320)에 형성된 연결턱에 걸리거나 해제되는 연결턱(240)이 형성되어 상기 필터연결부(320)에 회전에 의해서 연결 또는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필터 조립모듈.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필터(200)에는 회전방지돌기(260)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부(500)에 형성된 필터삽입부(500b)에는 상기 회전방지돌기(260)가 삽입는 회전방지홈(530)이 형성되어 상기 정수필터(200)의 삽입시 상기 정수필터(200)의 회전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필터 조립모듈.
  22. 정수기 하우징(H); 및
    상기 정수기 하우징(H) 내에 설치되는 제1항 내지 제13항 및 제16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정수필터 조립모듈(100); 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정수필터 조립모듈(100)에 포함되는 헤드부(300)는 상기 정수기 하우징(H)의 상면에 노출되거나 상기 정수기 하우징(H)의 상면 커버(C) 분리시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KR1020120121256A 2011-12-28 2012-10-30 정수필터 조립모듈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 KR1019576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2/011123 WO2013100478A1 (en) 2011-12-28 2012-12-20 Water purifying filter assembly module and water purifier having the same
ES12863349T ES2792478T3 (es) 2011-12-28 2012-12-20 Módulo de ensamblaje de filtro purificador de agua y el purificador de agua que tiene el mismo
EP12863349.2A EP2802399B1 (en) 2011-12-28 2012-12-20 Water purifying filter assembly module and water purifier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4646 2011-12-28
KR20110144646 2011-12-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6697A KR20130076697A (ko) 2013-07-08
KR101957684B1 true KR101957684B1 (ko) 2019-03-19

Family

ID=48990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1256A KR101957684B1 (ko) 2011-12-28 2012-10-30 정수필터 조립모듈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2802399B1 (ko)
KR (1) KR101957684B1 (ko)
ES (1) ES2792478T3 (ko)
WO (1) WO201310047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4052A (ko) 2021-10-15 2023-04-24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2163B1 (ko) * 2013-08-27 2020-07-09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필터 조립모듈
KR102436118B1 (ko) * 2014-09-12 2022-08-26 코웨이 주식회사 수처리장치의 공기흡입구조
CN108926900A (zh) * 2017-05-25 2018-12-04 佛山市顺德区美的饮水机制造有限公司 净水器
KR101971284B1 (ko) * 2017-08-24 2019-04-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2266573B1 (ko) * 2018-07-17 2021-06-18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기
KR20220096521A (ko) * 2020-12-31 2022-07-07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44659Y2 (ja) * 1991-02-04 1997-08-20 九州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浄水器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9636Y1 (ko) * 1995-12-30 1999-01-15 김광호 냉온정수기의 전면판넬 착탈장치
US6984313B2 (en) * 2001-03-26 2006-01-10 Mark Farvell M Filtration and purification system and method therefor
WO2007043668A1 (ja) * 2005-10-13 2007-04-19 Yamashin-Filter Corp. 濾過装置
US7799219B2 (en) 2006-08-25 2010-09-21 Honeywell International Inc. Filter and method of making
WO2008035830A1 (en) * 2006-09-22 2008-03-27 Winix Inc. A purification manifold and filter cartridge for filtration system
KR100804302B1 (ko) * 2006-12-20 2008-02-18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정수기용 필터카트리지 결합구조
KR100873294B1 (ko) * 2007-06-14 2008-12-11 웅진코웨이주식회사 필터 조립체
KR100886866B1 (ko) * 2007-07-09 2009-03-04 웅진쿠첸 주식회사 급수장치용 필터 조립체
KR20090047577A (ko) * 2007-11-08 2009-05-13 박진서 격실 연결 통합 캡 장착 필터 하우징을 이용한 정수처리장치
KR20100050335A (ko) 2008-11-05 2010-05-13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정수필터 조립체
KR20100051447A (ko) * 2008-11-07 2010-05-17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자외선 살균 가능한 정수필터 조립체
KR20100081827A (ko) * 2009-01-07 2010-07-15 삼성전자주식회사 필터어셈블리와 밸브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장치
KR101023007B1 (ko) * 2010-05-19 2011-03-28 주식회사 승광 정수기용 필터탱크 및 이를 이용한 정수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44659Y2 (ja) * 1991-02-04 1997-08-20 九州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浄水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4052A (ko) 2021-10-15 2023-04-24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02399A1 (en) 2014-11-19
EP2802399B1 (en) 2020-03-04
KR20130076697A (ko) 2013-07-08
WO2013100478A1 (en) 2013-07-04
EP2802399A4 (en) 2015-05-13
ES2792478T3 (es) 2020-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7684B1 (ko) 정수필터 조립모듈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
US8845897B2 (en) Drain valve for filter service and method
KR100873294B1 (ko) 필터 조립체
RU2343955C2 (ru) Одинарный или множественный переходник типа фитинга, соединяемого одним нажатием, и фильтровальный узел, разъемно соединенный с ним
JP4266833B2 (ja) 濾過カートリッジ構造
CA2669010C (en) Filter element and filter assembly including locking mechanism
KR101164159B1 (ko) 정수필터 조립모듈
TWI546110B (zh) 過濾器裝置
US9084952B2 (en) Device for the treatment of water, in particular a filter device, and cartridge
JP2010527768A (ja) 安全機能がついた流体ろ過装置および方法
JP3804949B2 (ja) 流体フィルタ及びそのドレン機構、流体フィルタに使用されるドレン用冶具並びに流体フィルタのドレン方法
KR100637044B1 (ko) 원터치 착탈식 단일 및 멀티 어댑터, 이에 착탈되는 필터조립체 및 이들 요소를 채용한 정수 시스템
KR20220096521A (ko) 정수기
KR20100050335A (ko) 정수필터 조립체
KR101732503B1 (ko) 직수형 정수기
KR101326805B1 (ko) 정수기 필터 케이스용 커넥터
KR101206642B1 (ko) 낙하방지부가 구비된 필터조립체
JP4181766B2 (ja) 浄水カートリッジ装着装置
KR20110062463A (ko) 정수필터 조립모듈
KR20120038281A (ko) 필터섬프 체결용 커넥터
CN215842023U (zh) 一种用于净水器的滤芯安装结构
KR101206612B1 (ko) 필터섬프
JP2000126758A (ja) 浄水器及び浄水器用接続具
KR20130129676A (ko) 정수필터 조립헤드
JP2006175441A (ja) 流体フィルタ及びそのドレン機構、流体フィルタに使用されるドレン用冶具並びに流体フィルタのドレ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