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1447A - 자외선 살균 가능한 정수필터 조립체 - Google Patents

자외선 살균 가능한 정수필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1447A
KR20100051447A KR1020080110619A KR20080110619A KR20100051447A KR 20100051447 A KR20100051447 A KR 20100051447A KR 1020080110619 A KR1020080110619 A KR 1020080110619A KR 20080110619 A KR20080110619 A KR 20080110619A KR 20100051447 A KR20100051447 A KR 201000514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ilter
flow rate
outlet
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06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유승
이정환
Original Assignee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코웨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106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51447A/ko
Publication of KR201000514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14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02F1/003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using household-type filters for producing potable water, e.g. pitchers, bottles, faucet mounted de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02F1/3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light
    • C02F1/325Irradiation devices or lamp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32Details relating to UV-irradiation de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4Disinfe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7/00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 C02F2307/10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as part of a potable water dispenser, e.g. for use in homes or offic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외선 살균 가능한 정수필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살균 가능한 정수필터 조립체는 물이 유입되는 입수구(201)와 물이 배출되는 출수구(202) 및 연결구(210)가 구비된 조립체 헤드(200); 상기 연결구(210)에 연결 또는 분리되며 여과될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301)와 유입된 물을 여과시키는 정수필터(310) 및 여과된 물이 배출되는 유출구(302)가 구비된 정수필터 하우징(300); 및 상기 출수구(202)에 연결되어 여과된 물이 유입되는 정수유입구(401)와 여과되어 유입된 물을 자외선 살균하는 UV 램프(410) 및 자외선 살균된 물을 배출하는 정수유출구(402)가 구비되며 상기 조립체 헤드(200)에 장착되는 UV 필터(400); 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여과된 물을 자외선으로 살균할 수 있도록 정수필터 조립체를 구성할 수 있으며, 정수필터 조립체에 포함되어 여과된 물을 자외선 살균하는 UV 필터의 살균정도를 일정정도 이상으로 유지할 수 있고, 여과된 물을 자외선 살균하는 UV 필터 내에 구비된 UV 램프의 교환주기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알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일정정도 이상으로 살균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정수필터, 정수필터 조립체, 자외선 살균, UV 필터, UV 램프

Description

자외선 살균 가능한 정수필터 조립체{WATER PURIFYING FILTER ASSEMBLY PROVIDED WITH UV FILTER}
본 발명은 자외선 살균 가능한 정수필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정수필터 조립체는 물을 여과시켜 정수로 만들기 위해서 사용되는 장치이다. 이러한 정수필터 조립체는 내부에 정수필터가 구비된 하나 이상의 필터하우징과 이러한 필터하우징이 연결되는 조립체 헤드로 구비되어 있다. 조립체 헤드에는 필터하우징이 연결 또는 분리되는 연결구와 여과될 물이 유입되는 입수구 및 여과된 물이 유출되는 출수구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필터하우징이 조립체 헤드의 연결구에 연결된 상태에서 조립체 헤드의 입수구에 여과될 물을 공급하면 여과될 물은 조립체 헤드의 입수구를 통해 필터하우징의 정수필터에 유입되게 된다. 이와 같이 정수필터에 유입된 물은 정수필터에서 여과된 후 조립체 헤드의 출수구를 통해 유출되게 된다. 조립체 헤드의 출수구를 통해 유출된 정수필터에서 여과된 물은 다른 필터하우징의 정수필터에 들어가서 재여과되거나 정수탱크에 저장된 후 사용자에게 공급되거나 또는 파우셋을 통해 사용자에게 공급된다.
한편, 근래의 정수기에는 여과된 물을 살균하기 위해서 UV, 즉 자외선을 방사하는 UV 램프가 구비된 UV 필터가 구비되어 있다. 그러나, 전술된 정수필터 조립체에는 UV 필터와 같은 여과된 물을 살균하는 장치가 없기 때문에 여과된 물을 살균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UV 필터는 이에 유입되는 물의 공급압력에 따라 UV 필터 내에 유입되는 물의 유량이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UV 필터에서 체류하는 물의 체류시간이 달라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물의 공급압력이 큰 경우에는 UV 필터에서 체류하는 물의 체류시간이 단축되어 물이 UV, 즉 자외선에 의해서 살균되는 시간이 단축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UV 필터의 살균정도가 UV 필터로의 물의 공급압력에 따라 달라질 수 있어서, UV 필터가 항상 일정정도 이상의 살균정도를 유지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종래의 UV 필터에서는 사용자가 UV 필터 내에 구비된 UV 램프의 실제사용시간에 따른 UV 램프의 교환주기를 용이하게 알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도 적절한 시기에 UV 램프를 교환해 주지 못하여, UV 필터의 살균정도를 일정정도 이상으로 유지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정수필터 조립체에서 발생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여과된 물을 자외선으로 살균할 수 있도록 정수필터 조립체를 구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정수필터 조립체에 포함되어 여과된 물을 자외선 살균하는 UV 필터의 살균정도를 일정정도 이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여과된 물을 살균하는 UV 필터에 구비된 UV 램프의 교환주기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알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사용자에게 일정정도 이상으로 살균된 여과된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실시 형태와 관련된 자외선 살균 가능한 정수필터 조립체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정수필터 조립체에 자외선 살균 가능한 UV 필터를 구비시켜 정수필터 조립체에서 여과된 정수를 자외선으로 살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초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자외선 살균 가능한 정수필터 조립체는 물이 유입되는 입수구와 물이 배출되는 출수구 및 연결구가 구비된 조립체 헤드; 연결구 에 연결 또는 분리되며 여과될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와 유입된 물을 여과시키는 정수필터 및 여과된 물이 배출되는 유출구가 구비된 정수필터 하우징; 및 출수구에 연결되어 여과된 물이 유입되는 정수유입구와 여과되어 유입된 물을 자외선 살균하는 UV 램프 및 자외선 살균된 물을 배출하는 정수유출구가 구비되며 조립체 헤드에 장착되는 UV 필터; 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UV 필터는 정수유입구와 이에 연결되며 일정한 유량의 물이 배출되게 하는 정유량 밸브 및 정유량 밸브에 연결된 정유량유출구가 구비되며 조립체 헤드에 장착되는 정유량 공급부; UV 램프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정유량 공급부에 장착되는 전원공급부; 및 정유량유출구와 연결되어 일정한 유량의 물이 유입되는 정유량유입구와 UV 램프 및 정수유출구가 구비되며 전원공급부에 장착되는 UV필터하우징; 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정유량 공급부는 정유량 밸브의 출측과 정유량유출구에 연결되며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유량 공급부에는 유량센서에서 측정된 유량을 적산할 수 있는 회로기판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전원공급부에는 회로기판에서 적산된 유량이 일정량 이상이 되면 UV 램프의 교환시기임일 알리는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UV 램프는 UV필터하우징에 구비된 석영관 내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UV필터에 포함되며 UV 램프가 내부에 구비되는 UV필터하우징에는 격벽이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격벽은 UV필터하우징과 UV 램프가 내부에 구비되는 석영관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격벽의 일측 단부는 물이 유동할 수 있도록 UV필터하우징과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여과된 물을 자외선으로 살균할 수 있도록 정수필터 조립체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정수필터 조립체에 포함되어 여과된 물을 자외선 살균하는 UV 필터의 살균정도를 일정정도 이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여과된 물을 살균하는 UV 필터에 구비된 UV 램프의 교환주기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정수필터 조립체에서 여과된 물을 자외선 살균하는 UV 필터 내에 구비된 UV 램프의 교환주기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에게 일정정도 이상으로 살균된 여과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자외선 살균 가능한 정수필터 조립체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들은 기본적으로 정수필터 조립체에 자외선 살균 가능한 UV 필터를 구비시켜 정수필터 조립체에서 여과된 정수를 자외선으로 살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초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살균 가능한 정수필터 조립체는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여과될 물이 유입되고 여과된 물이 유출되도록 구성된 조립체 헤드(200)와 조립체 헤드(200)에 연결 또는 분리되며 물을 여과시키는 정수필터(310)가 내부에 구비된 정수필터 하우징(300) 및 여과된 물을 자외선 살균 시키도록 UV 램프(410)가 구비된 UV 필터(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조립체 헤드(200)에는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물이 유입되는 입수구(201)와 물이 배출되는 출수구(202)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여과될 물은 입수구(201)를 통해 조립체 헤드(200)에 유입되어 이에 연결구(210)를 통해 연결된 정수필터 하우징(300)의 정수필터(310)에서 여과될 수 있다. 또한, 정수필터(310)에서 여과된 물은 출수구(202)를 통해 조립체 헤드(200)에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조립체 헤드(200)에는 정수필터 하우징(300)이 연결 또는 분리되는 연결구(210)가 도시된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구비될 수 있다. 도면에서 연결구(210)의 형상과 구조는 자세하게 도시되지 않았으나, 정수필터 하우징(300)이 연결 또는 분리가능한 형상과 구조라면 어떠한 형상과 구조라도 가능하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구(210)에 정수필터 하우징(300)이 연결되면, 조립체 헤드(200) 내에 형성된 유로에 의해 조립체 헤드(200)의 입수구(201)는 후술할 정수필터 하우징(300)에 구비된 유입구(301)에 연결되고, 조립체 헤드(200)의 출수구(202)는 정수필터 하우징(300)에 구비된 유출구(302)와 연결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1과 도3에는 조립체 헤드(200)에 1개의 정수필터 하우징(300)만이 연결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체 헤드(200)에 연결 또는 분리되는 정수필터 하우징(300)의 개수는 2개도 될 수 있다. 이 때에는 조립체 헤드(200)의 입수구(201)를 통해 유입된 물이 2개의 정수필터 하우징(300) 내에 구비된 각각의 정수필터(310)에서 여과될 수 있도록 조립헤 헤드(200)가 구성되어야만 한다. 그러나, 이외에도 2개 이상의 정수필터 하우징(300)이 조립체 헤드(200)에 연결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조립체 헤드(200)가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정수필터 하우징(300)은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전술된 조립체 헤드(200)의 연결구(210)에 연결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조립체 헤드(200)의 연결구(210)에 연결 또는 분리되는 정수필터 하우징(300)의 부분 의 형상과 구조는 도면에서 상세하게 도시되지 않았으나, 조립체 헤드(200)의 연결구(210)에 연결 또는 분리가능한 형상과 구조라면 어떠한 형상과 구조라도 가능하다. 정수필터 하우징(300)에는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여과될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301)와 유입된 물을 여과시키는 정수필터(310) 및 여과된 물이 배출되는 유출구(302)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전술된 바와 같이 조립체 헤드(200)의 입수구(201)에 유입된 물은 조립체 헤드(200)의 연결구(210)에 연결된 정수필터 하우징(300)의 유입구(301)에 유입되고 정수필터(310)에서 여과된 후 정수필터 하우징(300)의 유출구(302)를 통해 조립체 헤드(200)의 출수구(202)로 유동하여 배출된다. 정수필터(310)는 도1과 도3에 도시된 본 실시예에서는 카본필터를 예로 하였고, 도2에서는 침전필터와 카본필터를 예로 하였으나, 이외에도 침전필터나 멤브레인 필터 등 어떠한 정수필터도 가능하다.
UV 필터(400)는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출수구(202)에 연결되어 여과된 물이 유입되는 정수유입구(401)와 여과되어 유입된 물을 자외선 살균하는 UV 램프(410) 및 자외선 살균된 물을 배출하는 정수유출구(402)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UV 필터(400)는 도시된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조립체 헤드(200)에 장착될 수 있다. UV 필터(400)가 조립체 헤드(200)에 장착되는 방법은 조립체 헤드(200)와 일체로 형성된다거나 볼트 등을 이용하여 결합되는 등, 한정되지 않고 UV 필터(400)를 조립헤 헤드(200)에 장착시킬 수 있는 방법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또한, UV 필터(400)는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일정한 유량의 물이 흐르도록 하는 정유량 공급부(420)와 UV 램프(41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전원공급부(430) 및 UV 램프(410)가 구비되어 물을 자외선 살균하는 UV필터하우징(440)을 구비할 수 있다.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정유량 공급부(420)는 정수유입구(401)와 이에 연결되며 일정한 유량의 물이 배출되게 하는 정유량 밸브(421) 및 정유량 밸브(421)에 연결된 정유량유출구(422)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정수필터(310)에서 여과되어 정수유입구(401)에 유입된 물은 정수유입구(401)를 통해 정유량 밸브(421)에 유입되고 정유량 밸브(421)를 통과하면서 일정한 유량이 되어 정유량유출구(422)를 통해 배출된다. 한편, 정유량 공급부(420)에 사용되는 정유량 밸브(421)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상류의 압력에 관계없이 일정한 유량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이러한, 정유량 공급부(420)는 도시된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조립체 헤드(200)에 장착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정유량 공급부(420)가 조립체 헤드(200)에 장착되는 방법은 조립체 헤드(200)와 일체로 형성된다거나 볼트 등을 이용하여 결합되는 등, 한정되지 않고 정유량 공급부(420)를 조립헤 헤드(200)에 장착시킬 수 있는 방법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전술된 정유량 공급부(420)에 의해서 후술할 UV필터하우징(440)에 일정한 양의 물이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물이 UV필터하우징(440)에서 체류하는 체류시간을 일정시간 이상으로 조절할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UV 램프(410)에서 방사되는 자외선에 의해서 살균되는 물의 살균정도를 일정정도 이상으로 유지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정유량 공급부(420)에는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정유량 밸브(421)의 출측과 정유량유출구(422)에 연결되며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센서(4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UV 램프(41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전원공급부(430)는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정유량 공급부(420)에 장착될 수 있다. 전원공급부(430)가 정유량 공급부(420)에 장착되는 방법은 정유량 공급부(420)와 일체로 형성된다거나 볼트 등을 이용하여 결합되는 등, 한정되지 않고 전원공급부(430)를 정유량 공급부(420)에 장착시킬 수 있는 방법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한편,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정유량 공급부(420)에는 유량센서(423)에서 측정된 유량을 적산할 수 있는 회로기판(424)이 구비될 수 있고, 전원공급부(430)에는 회로기판(424)에서 적산된 유량이 일정량 이상이 되면 UV 램프(410)의 교환시기임을 알리는 디스플레이부(431)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용이하게 UV 램프(410)의 교환시기를 알 수 있다.
UV 필터(400)에 포함되는 UV필터하우징(440)은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정유량유출구(422)와 연결되어 일정한 유량의 물이 유입되는 정유량유입구(441)와 UV 램프(410) 및 정수유출구(402)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일정한 유량의 여과된 물이 UV필터하우징(440)에 유입되어 이에 구비된 UV 램프(410)에서 방사되는 자외선에 의해서 살균될 수 있다. 살균된 물은 정수유출구(402)를 통해 정수탱크(도시되지 않음)에 저장된 후 사용자에게 공급되거나 또는 파우셋(faucet;도시되지 않음)을 통해 사용자에게 직접 공급될 수 있다. 한편, UV필터하우징(440)에는 이에 연결된 정유량 공급부(420)에 의해서 전술된 바와 같이 상류의 압력에 관계없이 일정한 유량의 물이 유입될 수 있기 때문에, UV필터하우징(440)에서의 물의 체류시간을 일정 시간 이상으로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를 이용하여 전술된 바와 같이 정수필터(310)에서 여과되어 유입된 물이 일정정도 이상의 살균정도를 가지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UV필터하우징(440)은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공급부(430)에 장착될 수 있다. UV필터하우징(440)이 전원공급부(430)에 장착되는 방법은 끼워맞춤식이나 볼트 등을 이용하여 결합되는 등, 한정되지 않고 UV필터하우징(440)을 전원공급부(430)에 장착시킬 수 있는 방법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한편, UV필터하우징(440) 내에 구비되는 UV 램프(410)는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UV필터하우징(440) 내에 구비되는 석영관(442) 내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UV필터하우징(440)에는 도4와 도5에 도시된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격벽(443)이 설치될 수 있다. 격벽(443)은 도시된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UV필터하우징(440)과 석영관(442) 사이에 2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격벽(443)의 일측 단부, 본 실시예에서 하단부는 UV필터하우징(440)과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격벽(443)이 UV필터하우징(440) 내에 설치되면 UV필터하우징(440) 에 유입된 물이 UV 램프(410)를 완전히 감싸며 유동할 수 있도록 유로를 형성하기 때문에 물의 유동거리가 길어진다. 따라서, UV 램프(410)에 의해서 살균되는 물의 살균시간이 많아질 수 있다. 한편, 이를 위해서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UV필터하우징(440)에 구비될 수 있는 정유량유입구(441)와 정수유출구(402)는 UV필터하우징(440)의 상부에 같은 높이로 위치될 수 있도록 UV필터하우징(440)에 구비될 수 있다.
이하, 도3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살균 가능한 정수필터 조립체(100)의 작동을 설명한다. 입수구(201)에 유입된 물은 조립체 헤드(200)에 구비된 유로를 유동하여 정수필터 하우징(300)의 유입구(301)에 유입된다. 정수필터 하우징(300)의 유입구(301)에 유입된 물은 정수필터 하우징(300) 내에 구비된 정수필터(310)를 거쳐 여과된 후 정수필터 하우징(300)의 유출구(302)를 통과하고 조립체 헤드(200)에 구비된 유로를 유동하여 출수구(202)에 도달한다.
출수구(202)에 도달한 정수필터(310)에서 여과된 물은 UV 필터(400)의 정유량 공급부(420)의 정수유입구(401)를 통과하여 이에 연결된 정유량 밸브(421)를 거치면서 일정한 유량으로 된다. 한편, 정유량 밸브(421)에서 배출되는 물은 유량센서(423)를 통과하면서 그 유량이 측정된다. 이렇게 측정된 유량은 회로기판(424)에서 적산되고 적산된 양이 일정 양 이상이 되면, 디스플레이부(431)에 표시되게 하여 사용자에게 UV 램프(410)의 교환시기임을 알리게 된다. 유량센서(423)를 통과한 여과된 일정한 유량의 물은 정유량유출구(422)를 통과하며 정유량유입구(441) 를 통해 UV필터하우징(440)에 유입된다.
UV필터하우징(440)에 유입된 여과되고 일정한 유량의 물은 격벽(443)에 의해서 형성된 유로를 따라 아래쪽으로 유동하면서 UV 램프(410)에 의해서 방사된 자외선에 의해서 살균된다. 한편, 격벽(443)은 그 하단부가 UV필터하우징(440)에서 일정간격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물은 그 공간을 따라 격벽(443)을 지난 후 UV필터하우징(440)의 상부로 이동하면서 UV 램프(410)에 의해서 방사되는 자외선에 의해서 살균된다. 여과되고 일정한 유량이며 살균된 물은 정수유출구(402)를 통과하여 정수탱크(도시되지 않음)에 저장된 후 사용자에게 공급되거나 또는 파우셋(도시되지 않음)을 통해 사용자에게 직접 공급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살균 가능한 정수필터 조립체(100)를 사용하면, 정수필터(310)에서 여과된 물을 자외선으로 살균할 수 있다.
또한, 상류의 압력에 관계없이 일정한 유량의 물이 UV 필터(400)에 공급되기 때문에, UV 필터(400) 내에 체류하는 물의 체류시간을 일정하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UV 램프(410)에서 방사되는 자외선에 의해서 살균되는 물의 살균정도를 일정정도 이상으로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UV 램프(410)의 교체주기를 사용자에게 용이하게 알릴 수 있다.
더불어, 사용자에게 일정정도 이상으로 살균된 여과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자외선 살균 가능한 정수필터 조립체는 상기 설명된 실 시예의 구성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살균 가능한 정수필터 조립체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살균 가능한 정수필터 조립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3은 도1의 종단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살균 가능한 정수필터 조립체에 포함되는 UV필터하우징의 다른 방향에서의 종단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살균 가능한 정수필터 조립체에 포함되는 UV필터하우징의 횡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정수필터 조립체 200 : 조립체 헤드
201 : 입수구 202 : 출수구
210 : 연결구 300 : 정수필터 하우징
301 : 유입구 302 : 유출구
310 : 정수필터 400 : UV 필터
401 : 정수유입구 402 : 정수유출구
410 : UV 램프 420 : 정유량 공급부
421 : 정유량 밸브 422 : 정유량유출구
423 : 유량센서 424 : 회로기판
430 : 전원공급부 431 : 디스플레이부
440 : UV필터하우징 441 : 정유량유입구
442 : 석영관 443 : 격벽

Claims (8)

  1. 물이 유입되는 입수구(201)와 물이 배출되는 출수구(202) 및 연결구(210)가 구비된 조립체 헤드(200);
    상기 연결구(210)에 연결 또는 분리되며 여과될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301)와 유입된 물을 여과시키는 정수필터(310) 및 여과된 물이 배출되는 유출구(302)가 구비된 정수필터 하우징(300); 및
    상기 출수구(202)에 연결되어 여과된 물이 유입되는 정수유입구(401)와 여과되어 유입된 물을 자외선 살균하는 UV 램프(410) 및 자외선 살균된 물을 배출하는 정수유출구(402)가 구비되며 상기 조립체 헤드(200)에 장착되는 UV 필터(400);
    를 포함하여 구성된 자외선 살균 가능한 정수필터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UV 필터(400)는
    상기 정수유입구(401)와 이에 연결되며 일정한 유량의 물이 배출되게 하는 정유량 밸브(421) 및 상기 정유량 밸브(421)에 연결된 정유량유출구(422)가 구비되며 상기 조립체 헤드(200)에 장착되는 정유량 공급부(420);
    상기 UV 램프(41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정유량 공급부(420)에 장착되는 전원공급부(430); 및
    상기 정유량유출구(422)와 연결되어 일정한 유량의 물이 유입되는 정유량유입구(441)와 상기 UV 램프(410) 및 상기 정수유출구(402)가 구비되며 상기 전원공 급부(430)에 장착되는 UV필터하우징(44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살균 가능한 정수필터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유량 공급부(420)는
    상기 정유량 밸브(421)의 출측과 상기 정유량유출구(422)에 연결되며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센서(42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살균 가능한 정수필터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정유량 공급부(420)에는 상기 유량센서(423)에서 측정된 유량을 적산할 수 있는 회로기판(424)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전원공급부(430)에는 상기 회로기판(424)에서 적산된 유량이 일정량 이상이 되면 상기 UV 램프(410)의 교환시기임일 알리는 디스플레이부(431)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살균 가능한 정수필터 조립체.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UV 램프(410)는 상기 UV필터하우징(440)에 구비된 석영관(442) 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살균 가능한 정수필터 조립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UV필터(400)에 포함되며 상기 UV 램프(410)가 내부에 구비되는 UV필터하우징(440)에는 격벽(443)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살균 가능한 정수필터 조립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443)은 상기 UV필터하우징(440)과 상기 UV 램프(410)가 내부에 구비되는 석영관(442)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살균 가능한 정수필터 조립체.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433)의 일측 단부는 물이 유동할 수 있도록 상기 UV필터하우징(440)과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살균 가능한 정수필터 조립체.
KR1020080110619A 2008-11-07 2008-11-07 자외선 살균 가능한 정수필터 조립체 KR201000514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0619A KR20100051447A (ko) 2008-11-07 2008-11-07 자외선 살균 가능한 정수필터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0619A KR20100051447A (ko) 2008-11-07 2008-11-07 자외선 살균 가능한 정수필터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1447A true KR20100051447A (ko) 2010-05-17

Family

ID=42277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0619A KR20100051447A (ko) 2008-11-07 2008-11-07 자외선 살균 가능한 정수필터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5144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00478A1 (en) 2011-12-28 2013-07-04 Coway Co., Ltd. Water purifying filter assembly module and water purifier having the same
KR20140057941A (ko) * 2012-11-05 2014-05-14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필터 조립모듈
KR102582428B1 (ko) 2023-07-06 2023-09-25 주식회사 필랩 가정용 정수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00478A1 (en) 2011-12-28 2013-07-04 Coway Co., Ltd. Water purifying filter assembly module and water purifier having the same
EP2802399A4 (en) * 2011-12-28 2015-05-13 Coway Co Ltd MOUNTING MODULE FOR WATER CLEANING FILTER AND WATER CLEANER THEREOF
KR20140057941A (ko) * 2012-11-05 2014-05-14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필터 조립모듈
KR102582428B1 (ko) 2023-07-06 2023-09-25 주식회사 필랩 가정용 정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85825B1 (en) Water treatment system combining ozone injection and monitoring apparatuses
GB2426513A (en) UV light for aquarium
KR101429823B1 (ko) 싱크대용 수전금구의 정수장치
KR20130068559A (ko) 정수필터 및 이를 구비한 수처리장치
KR20100051447A (ko) 자외선 살균 가능한 정수필터 조립체
KR101072592B1 (ko) 정수용 자외선 살균장치
KR100877421B1 (ko) 해수의 살균 및 정수장치
KR102279332B1 (ko) 정수필터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WO2008010116A3 (en) A water purifier system and a filter element for such system
KR20070106847A (ko) 은용액 살균용 공기청정기
KR200445575Y1 (ko) 활어수족관용 살균정수장치
KR20100045335A (ko) 정수기용 uv 필터
KR20170139993A (ko) 정수기 배관용 살균모듈
CN114364444A (zh) 净水器和用于净水器的过滤器
KR200376626Y1 (ko) 카트리지형 자외선 살균장치
RU2008120133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чистки воды
KR200197816Y1 (ko) 정수기의 필터교환시기 및 수질 표시장치
EP4269363A1 (en) A water purifier
CN108862772A (zh) 一种新型污水处理装置
WO2012120391A1 (en) Water purifier and method of determining the performance of a water purifying system
JP2018202293A (ja) 純水製造装置とその組み立て方法
CN217757143U (zh) 一种过流式紫外杀菌模组
KR101358277B1 (ko) 슬림형 살균 정수기
KR20100120440A (ko) 자외선 살균 정수 시스템
KR101439830B1 (ko) 자가세정가능한 정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